KR20100053192A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53192A KR20100053192A KR1020080112208A KR20080112208A KR20100053192A KR 20100053192 A KR20100053192 A KR 20100053192A KR 1020080112208 A KR1020080112208 A KR 1020080112208A KR 20080112208 A KR20080112208 A KR 20080112208A KR 20100053192 A KR20100053192 A KR 201000531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recording
- sound
- gain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를 녹음할 때, 녹음되는 손떨림 보정 기구의 손떨림 보정 작동에 의한 소음의 레벨을 줄일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에 장착되어, 촬영 시에 상기 본체가 움직이는 손떨림을 측정하는 손떨림 검지부;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것으로, 상기 보정에 의한 손떨림 보정 소리를 생성하는 손떨림 보정부; 녹음하고자 하는 소리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녹음부; 및 상기 녹음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소리가 녹음되는 경우에 상기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도록 상기 손떨림 보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떨림 보정 장치 및 마이크가 탑재되어, 손떨림 보정 기능이 수행되는 동안에도 녹음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처리하거나 영상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을 영상 표시장치에 표시하여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셔터 릴리즈 버튼을 눌러 원하는 영상을 획득(capture)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촬영할 때, 사용자의 손떨림으로 인하여 카메라 등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흔들릴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촬영할 때, 이러한 흔들림으로 인하여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이 흔들려, 촬영이 실패될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사용자의 손떨림으로 인한 촬영 실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떨림에 영향을 받지 않는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손떨림 보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리를 녹음할 때, 녹음되는 손떨림 보정 기구의 손떨림 보정 작동에 의한 소음의 레벨을 줄일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에 장착되어, 촬영 시에 상기 본체가 움직이는 손떨림을 측정하는 손떨림 검지부;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것으로, 상기 보정에 의한 손떨림 보정 소리를 생성하는 손떨림 보정부; 녹음하고자 하는 소리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녹음부; 및 상기 녹음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소리가 녹음되는 경우에 상기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도록 상기 손떨림 보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손떨림 보정 소리에 따라 상기 녹음부의 녹음 레벨이 조정될 수 있다.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줌 레벨을 조정하는 줌 조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줌 레벨에 따라 상기 녹음부의 녹음 레벨이 조정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리 노이즈의 레벨에 따라 상기 녹음부의 녹음 레벨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손떨림 보정부의 제어 게인을 조정하여 상기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도록 상기 손떨림 보정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녹음부의 녹음 게인을 조정하여 상기 녹음 레벨을 조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체에 장착되어, 촬영 시에 상기 본체가 움직이는 손떨림을 측정하여 손떨림 신호를 생성하는 손떨림 검지부;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것으로, 상기 보정에 의한 손떨림 보정 소리를 생성하는 손떨림 보정부; 녹음하고자 하는 소리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녹음부; 및 상기 녹음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소리가 녹음되는 경우에 상기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도록 상기 손떨림 보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손떨림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손떨림 보정부를 제어하는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손떨림 검지부가, 상기 손떨림을 검지하는 손떨림 검지 센서, 및 상기 손떨림 검지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를 증폭하여 손떨림 신호를 생성하는 증폭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손떨림 검지 센서가 각속도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손떨림 보정부가,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하여 작동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의 작동을 검지하는 작동 검지 센서, 상기 작동 검지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를 증폭하여 작동 검지 신호를 생성하는 증폭기, 및 상기 작동부를 구동하는 작동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손떨림 신호와 상기 작동 검지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작동 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작동 신호가 상기 작동 구동부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작동 검지 센서가 상기 렌즈 또는 상기 촬상 소자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센서가 될 수 있다.
상기 녹음부가, 상기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소리의 녹음 레벨을 결정하는 녹음 게인을 조정하는 마이크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손떨림 보정 소리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녹음 게인을 포함하는 마이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마이크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각각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상기 손떨림 신호와 상기 작동 검지 신호로부터 손떨림 보정량을 계산하는 손떨림 보정량 계산부, 상기 녹음부를 통하여 입력된 소리가 녹음되는 경우에 상기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도록 상기 작동부의 작동 게인을 조정하는 작동 게인 조정부, 및 녹음되는 소리의 녹음 레벨을 제어하는 마이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녹음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녹음 제어부가 상기 녹음부를 통하여 입력된 소리가 녹음되는 경우에 상기 작동 게인을 조정하도록 상기 작동 게인 조정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녹음 제어부에서, 줌 렌즈의 줌 레벨,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리 노이즈, 상기 작동 게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녹음 레벨을 결정하는 녹음 게인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줌 레벨 및 상기 소리 노이즈의 레벨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녹음 게인 및 상기 작동 게인의 게인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게인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녹음 게인 및 상기 작동 게인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의하면, 소리를 녹음할 때, 녹음되는 손떨림 보정 기구의 손떨림 보정 작동에 의한 소음의 레벨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카메라(10)의 앞면 및 윗면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0)의 뒷면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의 앞면 및 윗면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플래시-광량 센서(13), 원격 수신부(14), 렌즈부(15), 뷰 파인더의 앞면(17), 전원 스위치(23), 셔터 버튼(26), 및 마이크(MIC)가 구비될 수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버튼(26)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셔터가 동작하는 시점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플래시-광량 센서(13)는 플래시(12)가 동작하는 경우에 그 광량을 감지하여 마이크로제어기(도 3의 212)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도 3의 207)에 입력시킨다.
원격 수신부(14)는 원격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명령 신호 예를 들어, 촬영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제어기(도 3의 212)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도 3의 207)에 입력시킨다.
마이크(MIC)를 통하여 소리가 입력될 수 있다. 마이크(MIC)를 통하여 입력된 소리는 내부의 마이크로제어기(도 3의 212) 및/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도 3의 207)에 의하여 녹음되어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MIC)는 피사체 측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본체(10a)의 앞면에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MIC)는 도 3에 도시된 마이크(MIC)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의 본체(10a) 내부에는 손떨림 검지부(26) 및 손떨림 보정부(도 3의 217)가 구비될 수 있다. 손떨림 검지부(216)에서 본체(10a)의 손떨림을 검지하고, 그에 따라 손떨림 보정부(217)의 작동에 의하여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부(217)는 모터 등을 포함한 구동부를 작동시켜 손떨림을 보상할 수 있도록 렌즈 또는 촬상 소자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손떨림 보정부(217)의 손떨림 보정 작동 시에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피사체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리가 마이크(MIC)를 통하여 입력되어 녹음될 수 있다. 이때, 피사체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리가 녹음되는 동안에도 손떨림 보정 기능이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손떨림 보정 기능의 작동에 의한 소리가 마이크(MIC)를 통하여 입력되어 사용자가 녹음하고자 하는 소리와 함께 녹음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손떨림 보정 기능의 작동에 의한 소리는 사용자가 녹음하고자 하는 소리가 아닌 소음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손떨림 보정 기능이 작동되는 동안 녹 음이 진행된다면, 녹음되는 소리에 손떨림 보정 기능의 작동에 의한 소음이 함께 녹음될 수 있다.
이때, 마이크(MIC)를 통하여 녹음되는 소리를 줄일 수 있으나, 이 경우 원래 녹음하고자 하는 소리까지도 함께 줄어들게 되어 녹음 시 소리 자체가 작아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녹음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손떨림 보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일 수 있도록 손떨림 보정부(217)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아니하는 손떨림 보정 소리의 녹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손떨림 보정부(217)를 제어하여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고, 그에 따라 마이크(MIC)를 통하여 녹음되는 소리의 녹음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손떨림 보정 소리는 줄이고, 사용자가 실제로 녹음하고자 하는 소리는 더욱 선명하게 입력되어 녹음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의 뒷면에는 방향 버튼(21), 메뉴-OK 버튼(22),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W), 망원(Telephoto)-줌(Zoom) 버튼(T), 스피커(SP), 및 디스플레이 패널(2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방향 버튼(21)에는 상향 버튼(21a), 하향 버튼(21b), 좌향 버튼(21c), 우향 버튼(21d)의 총4개의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방향 버튼(21)과 메뉴-OK 버튼(22)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하는 키이다.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은 그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 나, 화각이 좁아진다.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광각-줌 버튼(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지고, 망원-줌 버튼(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5)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의 영상 표시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스피커(SP)를 통하여 마이크(MIC)를 통하여 입력되어 녹음된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의 앞면과 뒷면에는 뷰 파인더의 앞면 및 뒷면(17, 27) 각각에는 대물 렌즈와 접안 렌즈가 구비될 수 있다.
셔터 릴리즈 버튼(26)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촬상 소자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힌다. 또한, 셔터 릴리즈 버튼은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촬상 소자에 영상을 기록한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4/0130650호(명칭: 카메라의 이차함수를 이용한 자동 포커싱 방법, Method of automatically focusing using a quadratic function in camera)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출원에 개시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사항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 치(2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200)는 도 1 및 2의 디지털 카메라(1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212)가 렌즈 구동부(2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즉, 광각-줌 버튼(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줌 버튼(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한편, 자동 초점 모드(auto focusing mode)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2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210)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때, 포커스 모터(MF)를 구동하여 가장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다.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광전 변환부(OEC)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2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타이밍 회로(2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실시간 클럭(203)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CDS-ADC 소자(2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Y 값) 및 색도(R, G, B)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에 내장된 주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 제어기(2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모드 지시 램프 및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방향 버튼(21), 광각-줌 버튼(W) 및 망원-줌 버튼(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2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2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의 동작에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및 키 입력 프로그램 등과 같은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2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3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208)와 그 접속부(3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209) 및 비디오 출력부(3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그 내부에 마이크로제어기(212)를 내장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213)는, 마이크(MIC)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손떨림 검지부(216)는 본체(도 1의 10a)에 장착되어, 촬영 시에 본체(도 1의 10a)가 움직이는 손떨림을 측정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부(217)는 손떨림 검지부(216)에 의하여 검지된 손떨림에 따라 렌즈부 또는 촬상 소자를 이동시켜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렌즈부 또는 촬상 소자를 이동시켜 손떨림을 보정할 때, 모터 등을 포 함하는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손떨림 보정 소리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녹음 시에는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도록 손떨림 보정부(217)를 제어하여, 녹음되는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및/또는 마이크로 제어기(212)는 도 4의 제어부(500)에 포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손떨림 검지부(216) 및 손떨림 보정부(217)는 각각 도 4의 손떨림 검지부(410) 및 손떨림 보정부(420)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MIC) 및 오디오 처리기(213)는 각각 도 4의 녹음부(430)에 포함되는 마이크(431) 및 마이크 제어부(43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렌즈부에 포함되는 줌렌즈와 구동부(210)는 각각 도 4의 줌 조정부(450)에 포함되는 줌 렌즈(451)와 줌 제어부(45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DRAM(204), EEPROM(205), 및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를 통하여 인식되는 메모리 카드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도 4의 저장부(46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40)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40)에 포함되는 제어부(5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40)는 손떨림 검지부(410); 손떨림 보정부(420); 녹음부(430); 및 제어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손떨림 검지부(410)는 본체(도 1의 10a)에 장착되어, 촬영 시에 본체(도 1의 10a)가 움직이는 손떨림을 측정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부(420)는 손떨림을 보정하는 것으로, 보정에 의한 손떨림 보정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녹음부(4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녹음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녹음부(430)에 의하여 소리가 녹음되는 경우에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도록 손떨림 보정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500)는 손떨림 보정부(420)의 제어 게인에 해당하는 작동 게인을 조정하여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도록 손떨림 보정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손떨림 보정 기능의 작동 중에 녹음이 진행되는 경우에, 녹음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손떨림 보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일 수 있도록 손떨림 보정부(420)를 제어함으로써, 녹음되는 사용자가 원하지 아니하는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손떨림 보정 소리에 따라 녹음부(430)의 녹음 레벨이 조정되도록 녹음부(430)를 제어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부(420)를 제어하여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고, 그에 따라 마이크(MIC)를 통하여 녹음되는 소리의 녹음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손떨림 보정 소리는 줄이고, 사용자가 실제로 녹음하고자 하는 소리는 더욱 선명하게 입력되어 녹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4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줌 레벨을 조정하는 줌 조정부(4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줌 레벨에 따라 녹음부(430)의 녹음 레벨이 조정되도록 녹음부(4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줌 레벨에 따라 복수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각각의 구간에 따라 녹음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줌 레벨은 광각(wide) 구간, 중간(middle) 구간, 및 망원(tele) 구간으로 나뉠 수 있다.
이때, 피사체가 가까이 있을 가능성이 큰 광각(wide) 구간에는 녹음 레벨을 낮추고, 피사체가 멀리 있을 가능성이 큰 망원(tele) 구간에는 녹음 레벨을 높일 수 있다. 광각(wide) 구간과 망원(tele) 구간의 중간 영역에 해당하는 중간(middle) 구간에서는 녹음 레벨을 광각(wide) 구간과 망원(tele) 구간의 녹음 레벨들의 중간값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녹음 레벨은 녹음부(430)에 포함되는 마이크(431)의 마이크 게인을 조정하여 조절될 수 있다. 각각의 줌 레벨에 따른 마이크 게인을 미리 구하여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로 만들어 저장부(460)에 저장한 후에,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현재의 줌 레벨에 해당하는 마이크 게인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가 멀리 있는 경우에는 녹음 레벨을 높여 녹음할 수 있으며, 피사체가 가까이 있는 경우에는 녹음 레벨을 낮추어 녹음할 수 있다. 즉,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녹음 레벨을 달리함으로써,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적정한 녹음 레벨로 녹음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리 노이즈의 레벨에 따라 녹음부(430)의 녹음 레벨이 조정될 수 있다. 즉, 녹음부(430)를 통하여 입력되어 녹음되는 소리에서 노이즈 성분을 검출하고, 노이즈 성분이 포함된 정도에 따라 녹음 레벨이 조정될 수 있다.
촬영 시에 손떨림을 측정할 수 있는 손떨림 검지부(410)는 손떨림 검지 센서(411), 및 증폭기(412)를 구비할 수 있다. 손떨림 검지 센서(411)는 손떨림의 정도를 검지할 수 있다. 증폭기(412)에 의하여 손떨림 검지 센서(411)에서 검지된 신호를 증폭하여 손떨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손떨림 신호는 손떨림의 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손떨림 검지 센서(411)는 각속도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손떨림을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부(420)는, 작동부(421), 작동 검지 센서(422), 증폭기(423), 및 작동 구동부(424)를 구비할 수 있다.
작동부(421)는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하여 작동될 수 있다. 작동 검지 센서(422)는 작동부(421)의 작동을 검지할 수 있다. 증폭기(423)는 작동 검지 센서(422)에서 검지된 신호를 증폭하여 작동 검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작동 구동부(424)는 작동부(421)를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500)에서 손떨림 신호와 작동 검지 신호를 입력받아,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하여 작동부(421)를 구동하기 위한 작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500)에서 생성된 작동 신호는 작동 구동부(424)로 입력될 수 있다. 작동 구동부(424)는 작동 신호에 따라 작동부(421)를 이동시켜 손떨림 신호에 따른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손떨림 보정 작동에 의한 소음에 해당하는 손떨림 보정 소리가 녹음되는 것을 줄이기 위하여, 제어부(500)에서 손떨림 보정부(420)의 제어 게인을 조정 하여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도록 손떨림 보정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작동부(421)는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도 3의 렌즈부 또는 촬상 소자가 될 수 있다. 또한, 작동 검지 센서(422)는 렌즈부 또는 촬상 소자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센서가 될 수 있다.
녹음부(430)는 소리를 녹음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소리를 입력받는 것으로, 마이크(431) 및 마이크 제어부(432)를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431)를 통하여 소리가 입력받을 수 있다. 마이크 제어부(432)는 마이크(431)를 제어하는 것으로, 마이크(431)를 통하여 입력되는 소리의 녹음 레벨을 결정하는 녹음 게인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녹음 게인을 포함하는 마이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마이크 제어부(432)로 출력할 수 있다. 녹음 게인은 제어부(500)에서 손떨림 보정 소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녹음 게인은 제어부(500)에서 손떨림 보정 소리 및 녹음부(4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소리 노이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녹음 게인은 제어부(500)에서 손떨림 보정 소리, 소리 노이즈, 및 줌 레벨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녹음부(430)에 의하여 소리가 녹음되는 경우에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도록 손떨림 보정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500)는 손떨림 신호를 입력받아 손떨림 보정부(420)를 제어하는 작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손떨림 보정량 계산부(510), 작동 게인 조정부(520), 및 녹음 제어부(530)를 구비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량 계산부(510)는 각각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손떨림 신호와 작동 검지 신호로부터 손떨림 보정량을 계산할 수 있다. 작동 게인 조정부(520)는 녹음부(430)를 통하여 입력된 소리가 녹음되는 경우에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도록 작동부(421)의 작동 게인을 조정할 수 있다.
녹음 제어부(530)는 녹음되는 소리의 녹음 레벨을 제어하는 마이크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녹음 제어부(530)는 녹음부(430)를 통하여 입력된 소리가 녹음되는 경우에 작동 게인을 조정하도록 작동 게인 조정부(520)를 제어할 수 있다.
녹음 제어부(530)에서는, 줌 렌즈의 줌 레벨,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리 노이즈, 작동 게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녹음 게인이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줌 레벨 및 소리 노이즈의 레벨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결정되는 녹음 게인 및 작동 게인의 게인 데이터 베이스가 미리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게인 데이터 베이스는,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면서 녹음하고자 하는 소리의 녹음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미리 실험 등을 통하여 구축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40)는 이러한 게인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되는 저장부(4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손떨림 검지 센서(411)는 손떨림을 검지하고, 이를 각속도 신호로 바꾸어 증폭시켜 손떨림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500)로 입력된 손떨림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므로, 이를 아날로그 디지털 신호 변환부(540) 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제어부(500)에서는 손떨림 신호에 의하여 손떨림 보정량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작동 게인 조정부(520), 작동 신호 생성부(530), 및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570)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작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작동 신호에 따라 작동 구동부(424)에 의하여, 작동부(421)가 구동되어, 손떨림 보정 메커니즘이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작동부(421)가 작동되는 위치가 작동 검지 센서(422)에 의하여 검지되고, 증폭기(423)를 통하여 증폭되어 작동 검지 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500)로 피드백된다. 다음, 손떨림 신호와 작동 검지 신호가 손떨림 보정량 계산부(510)에 입력되어, 손떨림 보정량이 다시 계산되고, 그에 따라 새로운 작동 신호가 생성된다. 이때, 제어부(500)에 입력된 작동 검지 신호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550)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손떨림 보정량 계산부(510)로 입력된다.
제어부(500)에서 작동부(421)를 구동하기 위해 작동 게인을 조정할 때, 작동 게인 조정부(520)는 녹음 제어부(530)와 연결되어, 작동 게인과 녹음 게인이 서로 간의 게인 조절의 레벨이 자동적으로 비교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작동 게인은 제어부에서 모터 등을 포함하는 작동 구동부(424)의 구동 파워나 구동 방식에 영향을 주게 되고, 그에 따라 작동부(421)의 구동 시의 작동음의 레벨과 관련이 있게 된다. 따라서, 작동 게인을 어떤 수준으로 조정하느냐가 손떨림 보정 메카니즘의 작동음에 직접 영향을 준다.
이때, 작동 게인은 작동 구동부(424)에 포함되는 액츄에이터(actuator)의 게 인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작동 게인은 서보 게인(servo gain), 루프 게인(loop gain), 감도 게인 등이 될 수 있다. 즉, 이들은 손떨림 보정부(420)가 잘 제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 게인이 될 수 있다.
녹음 게인 설정은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431)의 게인의 설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녹음 게인은 하한값과 상한값이 설정되어, 그에 따른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도록 조정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녹음 게인은 손떨림 보정부(420)의 작동 게인과 자동 조정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작동 구동부(424)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 게인을 조정하면, 작동 게인에 대응하여 마이크(431)의 녹음 게인도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작동 게인 및 녹음 게인은 미리 설정된 각각의 스텝 단위별로 디스크릿(discrete) 하게 조정될 수 있다.
녹음 게인의 조정 범위가 작동 게인의 조정 범위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작동 게인은 영점을 기준으로 좌우 각각 5 스텝까지 각각의 스텝 단위로 조정되고(-5,~-1,0,1~5), 녹음 게인은 영점을 기준으로 좌우 각각 10 스텝까지 각각의 스텝 단위로 조정될 수 있다(-10,~-1,0,1~10).
일 실시예로서, 작동 게인을 음(-)의 방향으로 1 스텝 이동하면, 녹음 게인은 작동 게인에 비하여 조정 가능한 단위가 많이 분할되어 있으므로, -2 스텝씩 이동할 수 있다. 즉, 작동 게인이 음(-)의 방향으로 조정되면, 녹음 게인도 음(-)의 방향으로 조정되고, 반대로 작동 게인이 양(+)의 방향으로 조정되면, 녹음 게인도 양(+)의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작동 게인이 양(+)의 방향으로 조정되면, 녹음 게인도 음(-)의 방향으로 조정되고, 반대로 작동 게인이 음(-)의 방향으로 조정되면, 녹음 게인도 양(+)의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는 설계 사양이 작동 게인을 양의 방향으로 증가시키면, 작동 구동부(424)의 구동 파워가 높아지고, 그에 따라 작동음이 높아지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게인의 분해능(resolution)에 따라 게인 조정 범위의 크기 및 조정 가능한 스텝 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녹음 제어부(530)에서 저장부(460)에 저장된 게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녹음 게인 및 작동 게인이 결정될 수 있다.
작동 게인은 작동 게인 조정부(520)로 입력되고, 손떨림 보정량 계산부(510)에서 계산된 손떨림 보정량에 따른 신호가 증폭되어, 작동 신호 생성부(560)에 입력되어, 작동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녹음 게인을 포함하는 마이크 제어 신호가 녹음 제어부(530)에서 생성되고, 마이크 제어부(432)로 입력되어, 녹음 게인에 의하여 마이크 제어부(432)에서 마이크에 의한 신호 입력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떨림 보정 기능의 작동 중에 녹음이 진행되는 경우에, 녹음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손떨림 보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일 수 있도록 손떨림 보정부(420)를 제어함으로써, 녹음되는 사용자가 원하지 아니하는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손떨림 보정부(420)를 제어하여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고, 그에 따라 마이크(MIC)를 통하여 녹음되는 소리의 녹음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줌 레벨 및 외부의 소리 노이즈 등을 고려하여 녹음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손떨림 보정 소리는 줄이고, 사용자가 실제로 녹음하고자 하는 소리는 더욱 선명하게 입력되어 녹음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앞면 및 윗면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410: 손떨림 검지부,
420: 손떨림 보정부, 430: 녹음부,
450: 줌 조정부, 460: 저장부,
500: 제어부.
Claims (22)
- 본체에 장착되어, 촬영 시에 상기 본체가 움직이는 손떨림을 측정하는 손떨림 검지부;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것으로, 상기 보정에 의한 손떨림 보정 소리를 생성하는 손떨림 보정부;녹음하고자 하는 소리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녹음부; 및상기 녹음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소리가 녹음되는 경우에 상기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도록 상기 손떨림 보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손떨림 보정 소리에 따라 상기 녹음부의 녹음 레벨이 조정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줌 레벨을 조정하는 줌 조정부를 더 구비하고,상기 줌 레벨에 따라 상기 녹음부의 녹음 레벨이 조정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리 노이즈의 레벨에 따라 상기 녹음부의 녹음 레벨이 조정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손떨림 보정부의 제어 게인을 조정하여 상기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도록 상기 손떨림 보정부를 제어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녹음부의 녹음 게인을 조정하여 상기 녹음 레벨을 조정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본체에 장착되어, 촬영 시에 상기 본체가 움직이는 손떨림을 측정하여 손떨림 신호를 생성하는 손떨림 검지부;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것으로, 상기 보정에 의한 손떨림 보정 소리를 생성하는 손떨림 보정부;녹음하고자 하는 소리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녹음부; 및상기 녹음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소리가 녹음되는 경우에 상기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도록 상기 손떨림 보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손떨림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손떨림 보정부를 제어하는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 상 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손떨림 검지부가,상기 손떨림을 검지하는 손떨림 검지 센서, 및상기 손떨림 검지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를 증폭하여 손떨림 신호를 생성하는 증폭기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손떨림 검지 센서가 각속도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손떨림 보정부가,상기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하여 작동되는 작동부,상기 작동부의 작동을 검지하는 작동 검지 센서,상기 작동 검지 센서에서 검지된 신호를 증폭하여 작동 검지 신호를 생성하는 증폭기, 및상기 작동부를 구동하는 작동 구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손떨림 신호와 상기 작동 검지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작동 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작동 신호가 상기 작동 구동부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손떨림 보정부의 제어 게인을 조정하여 상기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도록 상기 손떨림 보정부를 제어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작동부가 상기 작동 구동부의 구동에 의하여 움직이는 렌즈 또는 촬상 소자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작동 검지 센서가 상기 렌즈 또는 상기 촬상 소자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센서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녹음부가,상기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 및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소리의 녹음 레벨을 결정하는 녹음 게인을 조정하는 마이크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손떨림 보정 소리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녹음 게인을 포함하는 마이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마이크 제어부로 출력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16항에 있어서,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줌 레벨을 조정하는 줌 조정부를 더 구비하고,상기 줌 레벨에 따라 상기 녹음부의 녹음 게인이 조정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녹음 게인이 상기 손떨림 보정 소리 및 상기 녹음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소리 노이즈에 따라 결정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가,각각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상기 손떨림 신호와 상기 작동 검지 신호로부터 손떨림 보정량을 계산하는 손떨림 보정량 계산부,상기 녹음부를 통하여 입력된 소리가 녹음되는 경우에 상기 손떨림 보정 소리를 줄이도록 상기 작동부의 작동 게인을 조정하는 작동 게인 조정부, 및녹음되는 소리의 녹음 레벨을 제어하는 마이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녹음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녹음 제어부가 상기 녹음부를 통하여 입력된 소리가 녹음되는 경우에 상기 작동 게인을 조정하도록 상기 작동 게인 조정부를 제어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녹음 제어부에서, 줌 렌즈의 줌 레벨,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리 노이즈, 상기 작동 게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녹음 레벨을 결정하는 녹음 게인이 결정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줌 레벨 및 상기 소리 노이즈의 레벨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녹음 게인 및 상기 작동 게인의 게인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고,상기 게인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녹음 게인 및 상기 작동 게인이 결정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2208A KR20100053192A (ko) | 2008-11-12 | 2008-11-12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US12/614,609 US20100118155A1 (en) | 2008-11-12 | 2009-11-09 |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2208A KR20100053192A (ko) | 2008-11-12 | 2008-11-12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3192A true KR20100053192A (ko) | 2010-05-20 |
Family
ID=4216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2208A Withdrawn KR20100053192A (ko) | 2008-11-12 | 2008-11-12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118155A1 (ko) |
KR (1) | KR20100053192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29635B2 (ja) * | 2010-06-10 | 2014-06-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音声信号処理装置および音声信号処理方法 |
JP5693085B2 (ja) | 2010-08-18 | 2015-04-01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 |
JP5675211B2 (ja) | 2010-08-18 | 2015-02-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光学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9317A (ja) * | 1994-06-22 | 1996-01-12 | Canon Inc | 画像及び音声記録装置 |
US6263162B1 (en) * | 1998-08-25 | 2001-07-17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shake preventing apparatus |
US6931138B2 (en) * | 2000-10-25 | 2005-08-16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Zoom microphone device |
JP2004222067A (ja) * | 2003-01-16 | 2004-08-05 | Olympus Corp | 記録装置 |
US7430004B2 (en) * | 2003-11-08 | 2008-09-30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Volume control linked with zoom control |
JP4218573B2 (ja) * | 2004-04-12 | 2009-02-04 | ソニー株式会社 | ノイズ低減方法及び装置 |
JP2006074652A (ja) * | 2004-09-06 | 2006-03-16 |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 撮像装置 |
US20060132624A1 (en) * | 2004-12-21 | 2006-06-22 | Casio Computer Co., Ltd. | Electronic camera with noise reduction unit |
JP4528138B2 (ja) * | 2005-01-13 | 2010-08-18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撮影装置 |
-
2008
- 2008-11-12 KR KR1020080112208A patent/KR20100053192A/ko not_active Withdrawn
-
2009
- 2009-11-09 US US12/614,609 patent/US20100118155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00118155A1 (en) | 2010-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4203B1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398475B1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94291B1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100053192A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
KR20100092217A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090042594A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64417B1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417803B1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
KR20100056279A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99880B1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7751698B2 (en) | Photographic device with image generation function | |
KR101396333B1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444101B1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2007248539A (ja) | 撮像装置 | |
KR20100099007A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10106B1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387408B1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284038B1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37950B1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336924B1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387407B1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
KR20110056102A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100070055A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
KR20090077486A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100056277A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2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904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004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