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49286A - 패드의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패드의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9286A
KR20100049286A KR1020080108389A KR20080108389A KR20100049286A KR 20100049286 A KR20100049286 A KR 20100049286A KR 1020080108389 A KR1020080108389 A KR 1020080108389A KR 20080108389 A KR20080108389 A KR 20080108389A KR 20100049286 A KR20100049286 A KR 20100049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ensor
chemical mechanical
mechanical polishing
profi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열
문도민
이찬용
조희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트론
Priority to KR1020080108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9286A/ko
Publication of KR2010004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28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04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designed for working plane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88Monitoring of warpage, curvature, damage, defec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 장치는 정반 위에 위치하는 패드, 상기 정반 위의 패드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회전 가능한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패드 위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에 장착되고 상기 패드의 표면 프로파일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 상기 센서가 상기 수평부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구동 장치 및 상기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에서 읽은 값을 화면상에 플로팅할 수 있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반, 패드, 유지보수, 감지롤러

Description

패드의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장치{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DEVICE HAVING PAD PROFILE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화학기계적 연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드의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소자는 고집적화와 더불어 그 구조가 다층화되고 있다. 그 결과 각 층간의 패턴 유무에 따라 단차가 발생하며 이는 후속층의 패터닝을 위한 사진공정시 포커스 마진(focus margin)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층간막의 평탄화가 요구되며, 이러한 평탄화 기술로는 웨이퍼의 표면을 일정두께만큼 식각하는 에치백(etch back) 방법과 고온에서 웨이퍼의 표면을 녹여 평탄화를 달성하는 리플로우(reflow) 방법 및 웨이퍼의 표면에 연마제를 공급하고 기계적 연마를 시행하는 화학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은 평탄화 방법들 중에서 화학기계적 연마방법은 국소적인 평탄화 뿐만 아니라 넓은 영역의 평탄화에 있어서도 평탄화율이 우수하므로 웨이퍼가 대구경화되어 가는 추세에 적합한 평탄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화학기계적 연마장치는 회전축(11)의 일단 에 웨이퍼(15)를 지지하는 웨이퍼 캐리어(미도시)가 설치되며 웨이퍼 캐리어(12)와 웨이퍼(15) 사이에는 기계적인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웨이퍼(15)가 웨이퍼 캐리어(12)에 용이하게 흡착되도록 하기 위한 캐리어 필름(13)이 설치된다. 웨이퍼(15)의 반대쪽에는 회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한 연마정반(19)상에 웨이퍼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연마하기 위한 패드(17)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화학기계적 연마장치를 이용한 평탄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웨이퍼 캐리어(12)에 설치된 웨이퍼(15)는 회전축(11)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웨이퍼(15)의 반대쪽에 위치한 패드(17)도 연마정반(19)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이와 같이 회전하는 웨이퍼(15)와 패드(17)를 소정의 압력으로 맞닿도록 함으로써 웨이퍼(15) 표면은 패드(17)에 의해 연마된다. 연마시, 연마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슬러리(slurry)가 패드(17)의 표면으로 공급된다.
상기 화학기계 연마 장치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연마후에 연마면의 균일도이다. 상기 균일도는 CMP장치의 패드의 프로파일 변경에 의하여 발생한다. 여기서, 종래의 CMP 장치의 패드 프로파일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상기 도 1에 의한 화학기계 연마 장치를 이용하여 화학기계 연마를 할 경우의 패드 프로파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CMP 장치는 패드(17) 위에 웨이퍼(15)가 높이게 되며, 상기 웨이퍼(15)를 웨이퍼 홀더(16)가 잡고 있다. 그러나, CMP를 수행한 횟수가 증가할수록 패드(17)의 프로파일이 조금씩 변하게 된다. 즉 웨이퍼(15)가 접촉하는 부위의 패드(17)는 웨이 퍼(15)와의 물리적인 마찰의 영향으로 소모되어 접촉하지 않는 부위와 높이차를 가지게 된다. 또한, 연마도중 스핀들(spindle)이 회전(oscillation)하는 경우에는 패드(1)에 웨이퍼(3)가 항상 접촉하는 부위(a)와 일정한 시간대로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부위(b) 그리고 항상 접촉하지 않는 부위에 따라 패드(17)의 두께가 달라진다. 결국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드에 오목한 부분이 생긴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CMP 장치는 연마면의 균일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량 연마한 패드는 새로운 패드로 교체하거나, 패드 컨디션닝에 의하여 패드의 프로파일을 변경시킨다.
종래 상기 패드의 프로파일를 측정하는 계측 장비로서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05-0069768의 반도체 패드 평탄화 측정 장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화학기계적 연마 장치와는 별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패드 교환 및 패드 컨디션닝 정반과 패드 상에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치한 후, 패드 및 정반의 수평 프로파일을 측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반도체 패드 평탄화 측정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패드를 교환할 때마다 반도체 패드 평탄화 측정 장치를 웨이퍼 표면에 측정 장치를 설치 한 후 평탄화 정도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매번 새로 설치하는데 따른 시간이 많이 걸려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학기계적 연마장치는, 정반 상에 위치하는 패드, 상기 정반 상의 패드 가장 자리에 고정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회전 가능한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끝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패드의 표면 요철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움직일 수 있는 레일과 상기 센서를 상기 레일 위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수평부, 상기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에서 읽은 값을 화면 상에 플로팅할 수 있는 모니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을 참조하면, 정반 및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 장치는, 정반(29) 상에 위치하는 패드(27), 상기 정반 상의 패드 가장 자리에 고정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회전 가능한 수직부(21), 상기 수직부의 끝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패드의 표면 요철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움직일 수 있는 수평부(22), 상기 수평부 상에 설치되는 센서(24), 상기 센서를 상기 수평부 위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20), 상기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에서 읽은 값을 화면 상에 플로팅할 수 있는 모니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는 빛의 반사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볼이나 탐침을 이용한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패드의 표면 요철을 측정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정반 및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 장치를 이용하여 패드 및 정반의 표면 요철을 측정하는 방법은, 먼저, 도 5와 같이 정반의 한쪽에 설치된 정반 및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의 수직부를 회전시켜 서 센서가 설치된 수평부가 도 5와 같이 웨이퍼 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센서를 상기 수평부를 따라 움직이면서 패드의 프로파일을 연속적 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읽는다. 이와 같이 센서를 통하여 읽은 값을 바탕으로 모니터에 좌표별로 플로팅하여 패드의 표면 프로파일을 얻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 장치는 별도의 설치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패드를 교환하지 않더라도 일정 주기로 패드를 정반에서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패드의 표면 프로파일을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패드의 표면을 컨디셔닝하여 표면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웨이퍼의 연마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패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 장치를 이용하여 패드 컨디셔닝시 위치별 컨디셔닝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그러한 변형들의 범위는 본 발명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의 범위 내에 있으며, 그러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 장치는 패드의 표면 프로파일 상태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패드의 컨디셔닝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웨이퍼의 연마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패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을 참조하면, 정반 및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 장치는, 정반 상에 위치하는 패드, 상기 정반 상의 패드 가장 자리에 고정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회전 가능한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끝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패드의 표면 요철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움직일 수 있는 수평부, 상기 센서를 상기 수평부 위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32), 상기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에서 읽은 값을 화면 상에 플로팅할 수 있는 모니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는 빛의 반사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볼이나 탐침을 이용한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패드의 표면 요철을 측정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정반 및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 장치를 이용하여 패드 및 정반의 표면 요철을 측정하는 방법은, 먼저, 화학기계연마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도 5와 같이 정반 및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는 한쪽에 설치되어 있다가, 정반 및 패드 프로파일을 측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정반의 한쪽에 설치된 정반 및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의 수직부를 회전시켜서 센서가 설치된 수평부가 도 6와 같이 웨이퍼 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센서를 상기 수평부를 따라 움직이면서 패드의 프로파일을 연속적 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읽는다. 이와 같이 센서를 통하여 읽은 값을 바탕으로 모니터에 좌표별로 플로팅하여 패드의 표면 프로파일을 얻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 장치는 별도의 설치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패드를 교환하지 않더라도 일정 주기로 패드를 정반에서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패드의 표면 프로파일을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패드의 표면을 컨디셔닝하여 표면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웨이퍼의 연마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패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 장치를 이용하여 패드 컨디셔닝시 위치별 컨디셔닝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그러한 변형들의 범위는 본 발명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의 범위 내에 있으며, 그러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1은 일반적인 화학기계연마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2는 정반의 프로파일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종래 정반의 프로파일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장치의 개략도.
도 5는 화학기계연마장치를 사용할 때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로 패드의 프로파일을 측정할 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Claims (2)

  1. 정반 위에 위치하는 패드;
    상기 정반 위의 패드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회전 가능한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패드 위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에 장착되고 상기 패드의 표면 요철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
    상기 센서가 상기 수평부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구동 장치 및
    상기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에서 읽은 값을 화면상에 플로팅할 수 있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빛의 반사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볼이나 탐침을 이용한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패드의 표면 요철을 측정하는 것인 정반 및 패드 프로파일 측정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 장치.
KR1020080108389A 2008-11-03 2008-11-03 패드의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장치 Ceased KR20100049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389A KR20100049286A (ko) 2008-11-03 2008-11-03 패드의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389A KR20100049286A (ko) 2008-11-03 2008-11-03 패드의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286A true KR20100049286A (ko) 2010-05-12

Family

ID=4227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389A Ceased KR20100049286A (ko) 2008-11-03 2008-11-03 패드의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92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8273B1 (en) Methods for predicting polishing parameters of polishing pads and methods and machines for planarizing microelectronic substrate assemblies in mechanical or chemical-mechanical planarization
US6626736B2 (en) Polishing apparatus
US7070479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ditioning a polishing pad
US720163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ditioning planarizing pads used in planarizing substrates
KR100238938B1 (ko) 연마시스템
EP106305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 pad profile and closed loop control of a pad conditioning process
JPH0722143B2 (ja) 平坦なウエーハを研磨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US7137867B2 (en) Thickness control method and double side polisher
US9669515B2 (en) Polishing apparatus
KR100416808B1 (ko) 반도체소자 제조용 씨엠피장치의 연마헤드 및 이를 구비한씨엠피장치
JP2008068338A (ja) 研磨装置、研磨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0141155A (ja) ウェーハ研磨装置及びウェーハ研磨方法
KR100789842B1 (ko) 연마 패드의 형상을 측정하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연마패드 형상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학적 기계적 연마장치
KR20100049286A (ko) 패드의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장치를 일체화한 화학기계적 연마장치
JP5126657B2 (ja) 研磨装置
WO20010586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ad conditioning process of a chemical-mechanical polishing apparatus
KR100475013B1 (ko) 화학 기계적 연마 패드 프로파일 측정장치
KR20020032701A (ko) 폴리싱 패드의 프로파일 컨디셔닝 방법 및 그 cmp 설비
JP2016179513A (ja) 研磨パッドの調整方法
JPH11265860A (ja) 部分研磨装置及び方法
KR102262800B1 (ko) Cmp 장비용 스핀 베이스 구조체
JP2008254147A (ja) 研磨装置
JP2005305587A (ja) パッド表面形状測定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研磨装置
JP2001239457A (ja) ポリッシング装置
WO2025106321A1 (en) Signal processing for finding substrate no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0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