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7131A - Dual rotor type windmill - Google Patents
Dual rotor type windmi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47131A KR20100047131A KR1020090099249A KR20090099249A KR20100047131A KR 20100047131 A KR20100047131 A KR 20100047131A KR 1020090099249 A KR1020090099249 A KR 1020090099249A KR 20090099249 A KR20090099249 A KR 20090099249A KR 20100047131 A KR20100047131 A KR 201000471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or
- frame
- vertical axis
- disposed
- du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56 performanc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F03D3/0409—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surrounding the ro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horizont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e.g. aerofoil profi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05B2240/12—Fluid guiding means, e.g. va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2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horizontal axis
- F05B2240/2212—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horizontal axis perpendicular to wind dir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37—Multiple ro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로터 어셈블리는 두개가 구비되고, 인렛 가이드 베인은 로터 어셈블리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며, 로터어셈블리의 로터 샤프트는 수직축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수직축은 로터 어셈블리의 로터샤프트와 엇갈리게 배치되어, 장치의 무게 중심이 하부에 위치하여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을 수 있게 되어 수직축이 고정축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rotor wind power generator, in particular, the rotor assembly is provided with two, the inlet guide vanes are disposed i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rotor assembly, the rotor shaft of the rotor assembly is disposed behind the vertical axis so that the vertical axis is the rotor Arranged alternately with the rotor shaft of the assembl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evice is located at the bottom to be able to balance stably so that the vertical axis can rotate smoothly with respect to the fixed shaft relates to a dual-wind genera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로터 어셈블리는 두개가 구비되고, 인렛 가이드 베인은 로터 어셈블리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며, 로터어셈블리의 로터 샤프트는 수직축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수직축은 로터 어셈블리의 로터샤프트와 엇갈리게 배치되는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rotor wind power generator, in particular, the rotor assembly is provided with two, the inlet guide vanes are disposed i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rotor assembly, the rotor shaft of the rotor assembly is disposed behind the vertical axis so that the vertical axis is the rotor It relates to a dual rotor wind turbine which is staggered with the rotor shaft of the assembly.
풍력발전시스템은 수평축 방식과 수직축 방식으로 크게 대별되며, 여러 가지 조합의 하이브리드 방식이 있다. 수직축 터빈은 일반적으로 수평축 터빈에 비해 효율이 절반가량 낮은 반면 상대적으로 로터 회전속도가 낮아 소음이 적고 진동이 거의 없으므로 주거지역 및 빌딩 옥상, 학교, 병원 등 공공시설에 설치 가능하며 정밀도가 낮은 부품 및 블레이드 제작으로도 장기 사용 및 발전이 가능하여 독립 소형 풍력발전시스템에 주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친환경적 지역개발에 필수적인 분산발전용 수직축 풍력발전시스템 개발을 위해서는 터빈의 고효율화, 소형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블레이드 및 부품을 사용하여 중량 감소 및 가격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are largely divided into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and there are various combinations of hybrid methods. The vertical shaft turbine is generally about half the efficiency of the horizontal shaft turbine, but the rotor rotation speed is relatively low, so the noise is low and the vibration is little. Therefore, the vertical shaft turbine can be installed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rooftops, schools, hospitals, etc. Long-term use and power generation are possible with blade manufacturing, so it has been used mainly for independent small 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However, in order to develop a vertical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for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which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regions, it is necessary to make turbines more efficient, downsize, and use relatively few blades and parts to reduce weight and secure price competitiveness.
일반적으로 소음이 적어 주거단지 등에 적합한 분산발전용 수직축 풍력터빈 은 사보니우스의 항력식 방식과 다리우스의 양력식 방식으로 구분되며, 항력식 방식은 터빈 효율의 증대를 위해 날개수를 늘리며 베인을 사용하는 기술로 천이되었고, 양력식 방식은 크로스 터빈으로 발전하였다. In general, vertical wind turbines for distributed generation suitable for residential areas due to low noise are classified into Savonius 'drag type and Darius' lift type. The drag type uses vanes and increases the number of vanes to increase turbine efficiency. The technology has been shifted, and the lift type has developed into a cross turbine.
그러나 제트휠형 수직축 풍력터빈은 사보니우스 터빈의 낮은 효율을 개선하고 낮은 회전수에서도 토크를 발생하는 장점을 활용하기 위해서 사보니우스 형태의 터빈 입구에 입구안내익을 설치하였다. 즉 사보니우스 터빈의 블레이드 중 양의 토크를 받는 부분을 극대화하고 입구안내익 후류방향에 놓인 음의 토크를 받는 영역에서 와류 유동이 발생토록 하여 음의 토크를 제거하는 것이 특징이다. However, in order to improve the low efficiency of Savonius turbines and to take advantage of generating torque at low revolutions, the jet wheel-type vertical axis wind turbines have installed inlet guide vanes at the inlet of Savonius-type turbines. In other words, it maximizes the part receiving the positive torque among the blades of the Savonius turbine and removes the negative torque by causing the vortex flow to occur in the area receiving the negative torque in the wake of the inlet guide vane.
즉, 입구안내익 후류방향에 놓인 블레이드 내부유동을 막아 입구안내익(I.G.V.:Inlet Guiding Vanes)으로부터 입사된 고속의 동압이 입구안내익을 통과하고 후류에 놓인 블레이드 사이에서 정압으로 변환되어 블레이드 부압면에서 고속 유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대적 음압을 토크 발생에 활용하기 위하여 입구안내익 코드길이가 가능한 짧고 통과 유로는 적절한 곡률을 갖으며 출구각은 주어진 익단속도비에서 상류부터 하류에 걸쳐 로터날개 입사영각이 최적의 분포를 갖도록 한다.That is, high speed dynamic pressure incident from the inlet guiding vanes (IGV) is prevented by converting the internal flow of the blade in the downstream direction of the inlet guide vane. In order to utilize the relative sound pressure generated by the torque generation, the inlet guide code length is as short as possible, the passage passage has the proper curvature, and the exit angle is the optimum distribution of rotor blade incidence angle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t the given tip speed ratio. Have it.
일반적으로 사보니우스 터빈은 상류 블레이드에서 항력으로 토크를 발생한 후 하류 블레이드를 통과하도록 한 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한국등록특허 제895038호), 제트휠형 터빈(100)에서는 입구안내익(120)과 측후면안내익(130)을 통해 에너지 전환이 용이한 고속의 입사유동조건을 마련하고 터빈(100) 상하면을 개방하여 유입된 유체가 블레이드(200) 허브 면까지 이동하여 양의 토크를 크게 하 고 음의 토크를 줄이도록 설계함으로써 성능을 높일 수 있다.In general, the savonius turbine is passed through the downstream blade after the torque generated by the drag on the upstream blade, as shown in Figure 1 (Korean Patent No. 885038), in the jet
또한 터빈로터의 각 블레이드(200)에 스윕(Sweep)각 분포를 적용 및 각 블레이드(200)를 트위스트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터빈(100)에 연속적인 회전력 전달이 이루어지며 반경방향에서 축방향으로의 유로형성이 원활하여져 수직축 풍력발전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하도록 하는 수직축 풍력발전시스템용 터빈의 블레이드 구조가 최근 공시된 바 있다. In addition, by applying a sweep angle distribution to each
그러나 상기 제트휠터빈은 풍력발전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유입되는 로터 상류 바람의 면적과 로터 면적이 가능한 같도록, 입구 안내익(120)과 측후면 안내익(130)을 조합한 안내익 시스템이 풍향과 일치하도록 꼬리날개를 통해 조향한다. 따라서 상기 소형 제트휠터빈의 출력 성능은 정격 풍속까지는 꼬리날개에 의해 입구안내익(120)이 풍향과 일치하도록 조향하며, 그 이상 풍속에는 꼬리날개가 접히기 시작하며 안내익 전체가 풍향방향 대비 일정한 각도로 회전을 하게 되며 결국 터빈 로터의 회전수가 감소하여 터빈로터의 출력이 감소하며 이를 통해 발전기의 과부하를 방지한다. However, in the jet wheel turbine, the guide vane system combining the
그러나 일반적으로 입구안내익에 작용하는 회전력은 측후면안내익에 작용하는 반대방향의 회전력에 비해 커서 풍향과 같은 방향으로 안내익시스템을 조향하려면 매우 넓은 면적의 안정판과 러더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과풍속에서 러더의 압력면과 부압면의 압력 차이에 의해 스프링 탄성력 이상으로 힌지에 회전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안내익시스템의 토크 밸런스 차이로 안내익시스템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결과적으로 정지하여 결국 매우 큰 풍하중이 러더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 서 안내익시스템의 토크 불평형으로 인해 꼬리날개 면적증가로 인한 무게의 증가로 안내익시스템이 꼬리날개쪽으로의 쳐짐의 제 1문제점과 과풍속에서의 러더 풍하중으로 인한 과도한 보강이 필요한 제 2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general, the rotational force acting on the inlet guide vane is larger than the opposite rotational force acting on the side guide vane, so that the steer plate and the rudder of a very large area are required to steer the guide vane system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ind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rotational force acts on the hinge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surface of the rudder and the negative pressure surface in the overwind speed, the guide blade system rotates clockwise due to the torque balance difference of the guide blade system, and eventually stops. Large wind loads act on the rudder. Therefore, there is a first problem that the guide vane system sags toward the tail wing due to an increase in weight due to an increase in the tail wing area due to the torque unbalance of the guide vane system and a second problem that requires excessive reinforcement due to the rudder wind load at the overwind spe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장치의 무게 중심이 하부에 위치하여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을 수 있게 되어 수직축이 고정축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dual performance rotor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at the same tim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evice is located at the bottom can be stably balanced so that the vertical axis can rotate smoothly with respect to the fixed axi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ind turbin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는, 기둥;Dual rotor wind power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illar;
상기 기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축과, 상기 수직축에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수직축 양쪽에 수평하게 각각 배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로터어셈블리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어셈블리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는 인렛 가이드베인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 가이드 베인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는 꼬리날개와, 상기 로터어셈블리에 연결되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며, A vertical ax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pillar, a main frame installed on the vertical axis, a rotor assembly horizont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axis,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and installed on the main frame; And a power generation unit including an inlet guide vane disposed at the front lower part of the assembly, an upper guide vane installed on the main frame, a tail wing connected to the main frame, and a generator connected to the rotor assembly.
상기 로터에셈블리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로터샤프트와, 상기 로터샤프트의 양측에 방사상 및 원주상으로 설치되는 로터프레임과, 상기 로터프레임의 끝단에 근접하도록 상기 로터프레임에 설치되며 로터블레이드를 포함하고,The rotor assembly may include a rotor shaft disposed horizontally, a rotor frame radially and circumferenti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tor shaft, and installed on the rotor frame so as to approach an end of the rotor frame, and including a rotor blade.
상기 로터샤프트는 상기 수직축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축은 상기 로터샤프트와 엇갈리게 배치된다. The rotor shaft is disposed rearward from the vertical axis so that the vertical axis is staggered from the rotor shaft.
상기 발전부는 두개가 구비되며, 두개의 상기 발전부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 거나, 상기 로터블레이드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로터블레이드는 비대칭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로터블레이드는 에어포일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ower generating unit is provided with two, and the two power generating units ar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otor blades are formed in an arc shape, the rotor blades are formed in an asymmetric arc shape, or the rotor blades are formed in an air foil shape. Can b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ual rotor wind power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로터 어셈블리는 두개가 구비되고, 인렛 가이드 베인은 로터 어셈블리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며, 로터어셈블리의 로터 샤프트는 수직축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수직축은 로터 어셈블리의 로터샤프트와 엇갈리게 배치되어, 장치의 무게 중심이 하부에 위치하여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을 수 있게 되어 수직축이 고정축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The rotor assembly is provided with two, the inlet guide vanes are disposed i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rotor assembly, the rotor shaft of the rotor assembly is disposed behind the vertical axis so that the vertical axis is staggered with the rotor shaft of the rotor assembly,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evice It is located at the bottom so that it can be stably balanced so that the vertical axis can rotate smoothly with respect to the fixed axi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ior art will be referred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 수직축과 기둥 결합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 발전기 설치부분 확대 사시도이 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 정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 rotor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al rotor wind power generator vertical axis and pillar coupl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al rotor wind turbine according to the front view, Figure 5 is a dual rotor wind turbine side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dual rotor wind generator generator installation of Figure 2, Figure 7 i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nt view of a dual rotor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는, 기둥(300)과, 상기 기둥(3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축(400)과, 상기 수직축(400)에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500)과, 상기 수직축(400) 양쪽에 수평하게 각각 배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500)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로터어셈블리(600)와, 상기 메인 프레임(500)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어셈블리(600)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는 인렛 가이드베인(800)과, 상기 메인 프레임(500)에 설치되는 상부 가이드 베인(700)과, 상기 메인프레임(500)에 연결되는 꼬리날개(900)와, 상기 로터어셈블리(600)에 연결되는 발전기(1000)를 포함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에셈블리(600)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로터샤프트(610)와, 상기 로터샤프트(610)의 양측에 방사상 및 원주상으로 설치되는 로터프레임(620)과, 상기 로터프레임(620)의 끝단에 근접하도록 상기 로터프레임(620)에 설치되며 로터블레이드(630)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샤프트(610)는 상기 수직축(400)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축(400)은 상기 로터샤프트(610)와 엇갈리게 배치된다.As shown in FIG. 2 to FIG. 7, the dual rotor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300)은 속이 빈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면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된다.As shown in FIG. 3, the
기둥(300)은 상부 및 하부 외측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The
수직축(400)은 기둥(300)보다 내경이 크고, 속이 빈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수직축(400)은 상부 및 하부에 플랜지(403a, 403b)가 형성되어 있다.The
상부 및 하부의 플랜지(403a, 403b)에는 제1설치링(404a, 404b)이 설치되고, 제1설치링(404a, 404b)에는 제2설치링(405a, 405b)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1설치링(404a, 404b)과 제2설치링(405a, 405b)으로 인해 이하 서술되는 베어링 및 실링부재(S)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고장시 수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and
수직축(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설치링(404a)은 수직축(400)의 플랜지(403a)에 설치되는 플랜지부(406)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축(400)에 삽입되는 원통부(407)와, 원통부(407)의 하단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408)를 포함한다. The
원통부(407) 내벽에는 베어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wall of the
돌출부(408) 내벽에는 실링부재(S)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The inner wall of the
수직축(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설치링(405a)은 제1설치링(404a)의 플랜지부(406)에 설치되는 플랜지부(409)와 제1설치링(404a)의 원통부(407)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410)를 포함한다.The second mounting ring 405a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삽입부(410) 내측 하단에는 베어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내벽에는 실링부재(S)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A seating groove in which a bearing is seated is form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수직축(4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설치링(404b)은 수직축(400)의 플랜지(403b)에 설치되는 플랜지부(406)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통부(411)와 원통부의 상단 내벽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408)를 포함한다.The
원통부(411) 내벽에는 베어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wall of the
돌출부(408) 내벽에는 실링부재(S)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The inner wall of the
수직축(4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설치링(405b)은 제1설치링(404b)의 원통부(411)에 설치되는 플랜지부(409)와 제1설치링(404b)의 원통부(407)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410)와, 삽입부(410)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지지부(412)를 포함한다.The
삽입부(410)의 내벽에는 실링부재(S)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ealing member S is inserted is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수직축(400)은 기둥(30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기둥(3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수직축(400)과 기둥(300) 사이에는 기둥(300)과 제1설치링(404a, 404b)과 제2설치링(405a)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고 지지부(412)에 지지되는 베어링이 배치되어 수직축(400)이 기둥(300)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가능하게 된다.Between the
상기 베어링은 제1베어링(301)과 제2베어링(302)을 포함한다.The bearing includes a first bearing 301 and a second bearing 302.
제1베어링(301)은 상부륜과 상부륜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륜을 포함한다. 상부륜의 하부와 하부륜의 상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륜과 하부륜 사이에는 볼이 배치된다.The first bearing 301 includes an upper wheel and a lower wheel disposed below the upper wheel. Grooves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wheel and the upper part of the lower wheel. A ball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heels.
제2베어링(302)은 내륜과 내륜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륜을 포함한다. 내륜의 외측과 내륜의 내측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내륜과 외륜 사이에는 볼이 배치된다.The
수직축(400)과 기둥(300)의 상부 사이에는 제1베어링(301)과 제2베어링(302)이 배치되고, 수직축(400)과 기둥(300)의 하부 사이에는 제2베어링(302)이 배치된다.The
수직축(400)과 기둥(300)의 상부 사이에 있는 제1베어링(301)은 제2베어링(302) 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The
제1베어링(301)의 하부륜은 제2베어링(302)의 내륜에 의해 지지된다.The lower wheel of the
제2베어링(302)의 내륜과 제1베어링(301) 사이에는 지지링(303)이 배치되어 두개의 베어링이 서로 간섭되지 않으며, 제1베어링(301)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The
또한, 기둥(300)의 외측 또는 수직축(400)의 내벽에는 윤활유가 유입되는 유입공(40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축(400)에 유입공(401)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n
또한, 기둥(300)과 수직축(400) 사이에는 윤활유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부(402)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이러한 공간부(402)에 있는 윤활유로 인해 상기 베어링의 작동이 원활해진다.Lubricant in the
기둥(300)과 수직축(400) 사이에는 상기 베어링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도록 실링부재(S)가 제1설치링(404a, 404b)과 제2설치링(405a, 405b)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설치된다.Between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500)은 상기 수직축(400)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된다.As shown in FIG. 4, the
메인 프레임(500)은 양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개의 네모형상의 지지프레임(560)과 양측의 지지프레임(560)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510)을 포함한다. The
지지프레임(560)은 양측에 배치되는 수직프레임(561)과, 수직프레임(561)의 하부를 연결하는 수평프레임(562)을 포함한다.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561)의 전방 하부에는 제1설치프레임(520)이 설치된다. 제1설치프레임(520)은 여러개 구비되는 경사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과 상기 경사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a
수직프레임(561) 후방 상부에는 제2설치프레임(540)이 설치된다.The
제2설치프레임(540)은 경사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의 끝단과 수직프레임(561)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The
또한, 수직프레임(561)의 후방에는 제2설치프레임(54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제3설치프레임(580)이 설치된다. In addition, a
제3설치프레임(580)은 경사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의 끝단과 수직프레임(561)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The
로터어셈블리(600)는 상기 수직축(400) 양쪽에 수평하게 각각 배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500)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에셈블리(600)는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로터샤프트(610)와, 상기 로터샤프트(610)의 양측에 방사상 및 원주상으로 설치되는 로터프레임(620)과, 상기 로터프레임(620)의 끝단에 근접하도록 상기 로터프레임(620)에 설치되며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로터블레이드(6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로터샤프트(610)는 제3설치프레임(580)에 양측이 설치된다. 로터샤프트(610)와 제3설치프레임(580) 사이에는 베어링(B)이 설치되어, 로터샤프트(610)는 제3설 치프레임(580)에 대해 회전가능해진다.Both sides of the
로터샤프트(610)는 수직축(400)과 엇갈리도록 수직축(400) 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The
로터프레임(620)은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제1프레임(621)과, 원주상으로 설치되어 제1프레임(621)을 연결하는 제2프레임(622)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제2프레임(622)은 제1프레임(621)에서 로터블레이드(630)가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The
제1프레임(621)은 여섯개가 구비되어 제2프레임(622)은 육각형을 이룬다.Six
제1프레임(621)의 개수는 로터블레이드(630)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number of
로터블레이드(630)는 단면형상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에는 반원통형상(cup 형상)이다.The
나아가, 로터블레이드(630)에는 로터블레이드(630)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중간에 보강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다. Further, the
바람직하게 로터블레이드(630)는 4개 이상 10개 이하로 구비된다. Preferably, the
로터블레이드(630)의 개수에 따른 성능 실험데이터 그래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d/D = 0.25, U(풍속)=7m/s)A performance experimental data graph according to the number of
또한, 도 8에는 풍속에 따른 본원발명의 풍력발전기의 성능 실험데이터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d/D = 0.25, Z(풍력발전기의 높이)=6)In addition,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performance test data of the wind turb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wind speed. (D / D = 0.25, Z (height of the wind turbine) = 6)
또한, d/D(로터블레이드컵의 직경/로터의 직경)는 0.15이상 0.35이하가 되도록 한다.In addition, d / D (diameter of rotor blade cup / diameter of rotor) is 0.15 or more and 0.35 or less.
d/D에 따른 최고 Cp(동력계수) 실험데어터 그래프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Z(풍력발전기의 높이)=6, U(풍속)=7m/s)A graph of the peak Cp (power factor) experimental data according to d / D is shown in FIG. 9 (Z (height of wind power generator) = 6, U (wind speed) = 7 m / s)
이러한 로터블레이드(630)는 최대 터빈 효율이 0.52로 높고, 동작 제어 주속비가 0.5~0.75로 제어범위가 넓으며, 무게가 가볍고, H/D (로터높이 대 직경)이 1.0 이상도 가능(효율영향 없음)하고, 제작이 용이하다.(Z=6)The
인렛 가이드베인(800)은 로터에셈블리(600)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도록 메인 프레임(500)의 제1설치프레임(520)에 양측이 설치된다. Both sides of the
인렛 가이드베인(800)은 외부의 바람을 유입시키고 유입된 바람을 가속시켜서 로터어셈블리(6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인렛 가이드베인(800)은 원호형상의 가이드판(810)이 세개 구비되며, 세개의 가이드판(810)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The
또한, 인렛 가이드베인(800)의 양측은 판으로 막혀 있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상부 가이드 베인(700)은 로터에셈블리(600)의 후방 상부에 배치되도록 메인 프레임(500)의 제2설치프레임(540)에 양측이 설치된다.The
상부 가이드 베인(700)은 로터어셈블리(600)의 상부로 벗어나는 바람을 로터어셈블리(600)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상부 가이드 베인(700)은 원호형상의 가이드판(710)이 한개 구비된다.The
또한, 상부 가이드 베인(700)의 양측은 판으로 막혀 있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꼬리날개(900)는 메인프레임(500)의 수직프레임(561) 상단에 설치되어, 메인프레임(500)에 연결된다.
꼬리날개(900)는 제2설치프레임(540)에 설치되는 수직지지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The
꼬리날개(900)는 연결프레임(910)에 의해 수직프레임(561)에 설치된다.
이러한 꼬리날개(900)는 로터어셈블리(600)의 후방에 배치된다.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1000)는 로터어셈블리(600)에 연결되어, 로터어셈블리(600)의 회전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한다. As shown in FIG. 6, the
발전기(1000)는 로터샤프트(610)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기어박스(2000)에 의해 로터어셈블리(600)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기어박스(2000)에는 베벨기어가 구비되어 로터샤프트(610)의 회전력을 발전기(1000)에 전달한다.The
이러한 기어박스(2000)와 발전기(1000)를 둘러싸는 하우징(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으로 인해 발전기(1000)와 기어박스(2000)가 보호된다.A housing (not shown) surrounding the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1000)는 로터어셈블리(600)의 로터샤프트(610)에 직결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illustrated in FIG. 7, the
발전기(1000)는 연결프레임(510)에 설치되어, 양측의 로터어셈블리(600) 사이에 배치된다.The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is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인렛 가이드 베인(800)을 통해 로터 어셈블리(600)로 바람이 유입되면 로터 어셈블리(600)는 회전하게 되고, 로터 어셈블리(600)의 회전력은 기어박스(2000)로 전달되고, 기어박스(2000)의 전해진 회전력은 발전기(1000)로 전달된다. 발전기(1000)에 전달된 회전력은 전기로 변환된다. When wind is introduced into the
한편, 꼬리날개(900)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메인 프레임(500) 및 수직축(400)을 포함하는 상기 발전부가 기둥(30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는 발전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전부는 두개가 구비되며, 두개의 상기 발전부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Unlike the above, as illustrated in FIG. 11, two power generation units may be provided, and two power generation units may b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두개의 상기 발전부는 메인 프레임(500)이 서로 연결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The two power generating uni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어셈블리의 로터블레이드(630')는 비대칭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로터블레이드(630')는 수평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이 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로터블레이드(630')는 한쪽 끝이 다른 쪽 끝보다 돌출되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어셈블리의 로터블레이드(630'')는 에어포일(airfoil)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Can be carried ou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는, 특히, 인렛 가이드 베인과 상부 가이드 베인을 구비하는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에 적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dual rotor wind tur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a dual rotor wind turbine having an inlet guide vane and an upper guide vane.
도 1은 종래의 풍력발전기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wind power generator.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 rotor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 수직축과 기둥 결합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al rotor wind power generator vertical shaft and pillar coupl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of a dual rotor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of a dual rotor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2의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 발전기 설치부분 확대 사시도.Figure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dual rotor wind generator generator installation of Figure 2;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 정면도.Figure 7 is a front view of a dual rotor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로터 블레이드 수에 따른 본 발명의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 성능 그래프.8 is a dual rotor wind power generator performance graph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rotor blades.
도 9는 풍속에 따른 본 발명의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 성능 그래프.9 is a dual rotor wind power generator performance graph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wind speed.
도 10은 d/D에 따른 본 발명의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 최고 Cp 그래프.10 is a graph of the highest Cp dual rotor wind power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d / D.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로터 풍력발전기 개략 단면도.Figure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ual rotor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터 블레이드 개략 측면도.1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rotor bla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터 블레이드 개략 측면도.1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rotor bla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300 : 기둥 400 : 수직축300: pillar 400: vertical axis
500 : 메인 프레임 600 : 로터 어셈블리500: main frame 600: rotor assembly
700 : 상부 가이드 베인 800 : 인렛 가이드 베인700: upper guide vane 800: inlet guide vane
900 : 꼬리 날개 1000 : 발전기900: tail wing 1000: generator
2000 : 기어박스2000: gearbox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2/607,094 US8376711B2 (en) | 2008-10-28 | 2009-10-28 | Dual rotor wind turb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5672 | 2008-10-28 | ||
KR20080105672 | 2008-10-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7131A true KR20100047131A (en) | 2010-05-07 |
Family
ID=4227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9249A Ceased KR20100047131A (en) | 2008-10-28 | 2009-10-19 | Dual rotor type windmi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47131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2041B1 (en) * | 2010-10-15 | 2013-08-05 | 김보겸 | Horizontal wind power generator |
KR101300197B1 (en) * | 2010-07-20 | 2013-08-26 | 코아셈(주) | Vertical shaft wind wheel |
KR101346846B1 (en) * | 2012-12-31 | 2014-01-03 | 이동거 | Wind power generator |
KR102266859B1 (en) * | 2021-04-22 | 2021-06-18 | 박종웅 | Axis Flow Windwheel Windmill |
-
2009
- 2009-10-19 KR KR1020090099249A patent/KR20100047131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0197B1 (en) * | 2010-07-20 | 2013-08-26 | 코아셈(주) | Vertical shaft wind wheel |
KR101292041B1 (en) * | 2010-10-15 | 2013-08-05 | 김보겸 | Horizontal wind power generator |
KR101346846B1 (en) * | 2012-12-31 | 2014-01-03 | 이동거 | Wind power generator |
KR102266859B1 (en) * | 2021-04-22 | 2021-06-18 | 박종웅 | Axis Flow Windwheel Windmil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66660B2 (en) | Morphing segmented wind turbine and related method | |
US8376711B2 (en) | Dual rotor wind turbine | |
JP7030711B2 (en) | Floating wind turbine with vertical axis twin turbine with improved efficiency | |
US8454313B2 (en) | Independent variable blade pitch and geometry wind turbine | |
WO2016076425A1 (en) | Fluid power generation method and fluid power generation device | |
KR20080072825A (en) | Direct-drive generator/motor for a windmill/hydropower plant/vessel where the generator/motor is configured as a hollow profile and a method to assemble such a windmill/hydropower plant | |
CN101720385B (en) | Water turbine | |
EA030338B1 (en) | Rotor apparatus | |
JP2015513628A (en) | Wind turbine rotor | |
US20130300124A1 (en) | Profiled Air Cap on Direct Drive Wind Turbine Generator | |
CN108678908A (en) | Yawing tower section, tower and wind turbine | |
US20110038726A1 (en) | Independent variable blade pitch and geometry wind turbine | |
US9537371B2 (en) | Contra rotor wind turbine system using a hydraulic power transmission device | |
Dabachi et al. | Design and aerodynamic performance of new floating H-darrieus vertical Axis wind turbines | |
KR20100047131A (en) | Dual rotor type windmill | |
US20190293051A1 (en) | Vertical axis wind turbine rotor | |
JP6954739B2 (en) | Rotor for generator | |
KR101300197B1 (en) | Vertical shaft wind wheel | |
JP2006077747A (en) | Multiple single-blade wind power generator | |
EP3396153A1 (en) | A combination of a wind jet turbine and a wind turbine | |
US8994207B2 (en) |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from low speed wind energy by means of two systems of drive blades | |
KR101810872B1 (en) | Apparatus for generating by wind power | |
WO2013117652A1 (en) | A bearing assembly for a vertical axis wind turbine | |
KR20090040190A (en) | Building wind power system, | |
JP6047961B2 (en) | Wind power gen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4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9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