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43365A -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 - Google Patents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3365A
KR20100043365A KR1020080102373A KR20080102373A KR20100043365A KR 20100043365 A KR20100043365 A KR 20100043365A KR 1020080102373 A KR1020080102373 A KR 1020080102373A KR 20080102373 A KR20080102373 A KR 20080102373A KR 20100043365 A KR20100043365 A KR 20100043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lack paint
polyester
radiator grill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억
김대업
오우정
김영일
서석형
이정환
김말복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2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3365A/ko
Priority to CN200910204612A priority patent/CN101724338A/zh
Publication of KR20100043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36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아크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및 변성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주제 고형분 15~35중량%, 2액형 우레탄 타입의 경화제 0.5~5중량%, 안료 16~35중량%, 유기용제 30~65중량%, 및 분산제, 침전방지제, 표면조정제, 경화촉진제, 왁스타입 첨가제, 실리콘 첨가제 및 촉매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1~10중량%를 포함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에 관한 것이다.
라디에이터, 그릴, 흑색도료, 프라이머, 내치핑성

Description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BLACK PAINT FOR RADIATOR GRILL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 도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롬 도금 후 도포하는 상도로서 내후성 및 내치핑성이 우수한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 도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라디에이터 그릴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ABS수지를 이용하여 설계된 형상 및 모양으로 라디에이터 그릴 제품을 사출 성형하는 단계; 2) 상기 사출 성형으로 제작된 라디에이터 그릴의 표면을 세정 공정과 부착력 증진을 위한 부식 공정에 의해 전처리하는 단계; 3) 상기 전처리 공정을 마친 라디에이터 그릴을 크롬도금 욕조에 침적후, 라디에이터 그릴의 전체 표면에 걸쳐 크롬을 도금하는 단계; 4) 상기 크롬도금 완료후 부착력 증대를 위해 프라이머를 크롬 도금면 위에 도포하는 단계; 5) 상기 프라이머 위에 흑색도료의 상도(베이스 코트)를 도포하여 라디에이터 그릴을 완성하는 단계.
상기 크롬 도금면에 프라이머와 함께 도포되는 흑색도료는 크롬 도금면이 노출되는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면적에 걸쳐 도포된다. 상기와 같은 라디에이터 그 릴 제조공정 중 크롬도금 공정은 라디에이터 그릴중 일부분만 크롬으로 장식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공정이다. 특히, 흑색도료의 도장 후 크롬 도금을 수행할 경우, 크롬 도금 이전에 수행하는 부식 등의 전처리 공정에 의해 흑색도막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반드시 크롬도금 후 흑색도장을 수행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 그릴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ABS수지는 표면장력 값이 높아 도장공정에서 프라이머 없이도 상도를 바로 도장할 수 있을 정도로 부착력이 우수한 소재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흑색도료 또는 차체도료를 이용하여 라디에이터 그릴의 전면을 도장할 경우 치핑성 문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에는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에 외관상 고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크롬 도금을 실시하고 있으며, ABS 소재와 달리, 크롬도금 사양의 경우는 크롬도금 표면 위에 흑색도료가 도장되므로 부착력 저하에 따른 치핑성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치핑성 문제는 소비자 크레임 비용의 증가를 야기하고 있다.
상기 치핑성 문제란, 차량 주행 중 앞선 차량으로부터 날아오는 돌맹이나 자갈, 모래 등이 라디에이터 그릴의 표면에 부딪쳐서 흑색도막면이 손상되며 벗겨지는 동시에 그 아래층을 이루는 크롬도금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치핑성 문제는 라디에이터 그릴이 차체와 동일색상의 칼라로 도장되거나 흑색 도료만을 이용하여 전면 흑색도장되는 경우에는 발생 빈도가 작으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크롬도금 후 흑색도막을 형성하는 사양에서는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종래의 라디에이터 그릴에 이용되어 온 흑색도료는 염소화(CHLORINATED) 폴리올레핀을 주 수지로 하는 프라이머와 최종 외관 및 색상을 결정하는 상도로 구성이 되었으며, 프라이머를 도장하고 5분의 플레쉬 오프 타임(FLASH OFF TIME)이 지난 다음 2액형 우레탄 상도를 도장하여 80 ℃에서 30분간 가열건조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졌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은 크롬도금과 흑색도막이 충분한 부착력을 갖지 못하여 외부 충격에 쉽게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치핑성 개선이 필요하였다.
기존 도료의 도장 방식에서는 단순히 프라이머에 적용되는 염소화 폴리올레핀의 염소기가 가지고 있는 극성에 의해서 물리적인 부착력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부착력에 어느 정도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치핑성 개선을 위해 폴리에스테르를 폴리글리콜 또는 장쇄의 지방족 산으로 변성시키거나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를 혼합하여 사용한 제안(미국특허 제 4,616,054호, 제4,532,177호, 제3,565,839호, 일본특허공개 소58-74349호, 소61-23650호, 소62-15147호) 이 있었으나, 치핑성 개선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라이머와의 부착력이 향상되고, 충격 흡수력이 증대되어 내후성 및 내치핑성이 우수한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아크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및 변성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주제 고형분 15~35중량%, 2액형 우레탄 타입의 경화제 0.5~5중량%, 안료 16~35중량%, 유기용제 30~65중량%, 및 분산제, 침전방지제, 표면조정제, 경화촉진제, 왁스타입 첨가제, 실리콘 첨가제 및 촉매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1~10중량%를 포함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흑색도료에 의한 흑색도막을 포함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는 내후성 및 내치핑성이 우수하여 고품질의 라디에이터 그릴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외국산 도료에 대한 수입 대체 효과가 있어 관련 제품의 생산 원가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아크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및 변성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주제 고형분 15~35중량%, 2액형 우레탄 타입의 경화제 0.5~5중량%, 안료 16~35중량%, 유기용제 30~65중량%, 및 분산제, 침전방지제, 표면조정제, 경화촉진제, 왁스타입 첨가제, 실리콘 첨가제 및 촉매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1~10중량%를 포함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흑색도료에서 주제 고형분의 함량이 15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부착력 및 기계적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35중량%를 초과하면 외관불량, 작업성불량 및 내치핑성능의 저하가 발생된다.
상기 주제 고형분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아크릴 폴리올 13.5~27중량%, 폴리에스테르 1~5중량% 및 변성 폴리에스테르 0.5~3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주제 고형분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15~29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아크릴 폴리올은 공중합 가능한 지방족 불포화산 모노머로 구성되며, 아크릴 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 60~80 중량%, 수산기를 갖는 불포화 모노머 15~35 중량% 및 산기를 갖는 불포화 모노머 1~5 중량%에 중합 연쇄 이동제 2~10 중량%와 중합개시제 2~5 중량%를 첨가하여 110~140 ℃에서 반응시켜 얻어진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와 액상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5~15 중 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액상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도막의 연성이 부족하여 기계적 물성이 부족한 문제가 발생하며,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도막이 너무 유연하여 광택 및 경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아크릴 폴리올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5000의 범위이고, 유리전이온도는 25~65 ℃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흑색도료에서 아크릴 폴리올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3.5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도막의 내후성 및 기계적물성이 부족한 문제가 발생되고, 27중량%를 초과하면 외관불량 및 도막이 깨지기 쉬워(Brittle) 내치핑성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8~2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아크릴 폴리올은 도막의 내후성 및 내치핑성 향상에 중점을 두고 사용된 Main 수지로 이 수지의 특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구분 Vis. A.V N.V(%) Tg(℃) OH% 용 제 분자량
아크릴 폴리올 W~Z 5↓ 51±1.5 55 0.65 톨루엔 30,000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로서 에스테르를 형성할 수 있는 유도체와, 탄소수 1~10의 알코올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이때 카르복 실산은 탄소수 2~8의 관능성 방향족 또는 지방족 카르복실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카르복실산이 2관능성일 경우 보다 좋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탄소수 6~18의 장쇄 알킬기가 치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1종 이상의 방향족 카르복실산과 1종 이상의 지방족 카르복실산을 산성분으로 하며, 2 종 이상의 알킬렌글리콜과 탄소수 6~18의 장쇄 알킬기가 치환된 모노애시드, 모노알콜 또는 글리시딜 에스테르로 합성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서, 유리전이온도가 -40~2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특성은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구분 Hazen color value 산도 (KOH mg/g) 점도 (at 23℃, 80% in butyi acetate(mPa·S) OH% Hydroxyl content Water content
폴리에스테르 ≤150 2 ±1 2,200±400 1.6 4.3±0.4% ≤0.1%
본 발명의 흑색도료에서 폴리에스테르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내치핑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5중량%를 초과하면 건조불량, 외관불량, 기계적물성 저하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는 변성 폴리에스테르는 탄소수 2~8의 지방족 직쇄상 카르복실산과, 탄소수 1~10의 알코올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에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디올을 첨가하여 변성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100 중량부에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3~40중량부 사용하여 변성시키는데, 이때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사용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 내치핑성이 저하되고,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외관 불량이 발생한다.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디올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0~100 중량부 사용하는데, 사용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도막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치핑성 문제가 발생하며, 100 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막이 너무 연성을 갖게 되어 경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수평균 분자량이 1,000~3,500 인 것을 사용하며, 상기 범위 미만이면 부착성이 저하되고, 초과하면 경도가 저하된다.
상기에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불 휘발분이 70%, OH% 1.7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흑색도료에서 변성폴리에스테르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내치핑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3중량%를 초과하면 건조불량, 외관불량, 기계적물성의 저하가 유발된다.
상기 2액형 우레탄 타입의 경화제는 NCO:OH가 1:1으로 설계된 것을 사용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HDI(Hexamethylene diisocyanate) 삼량체(Trimer)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흑색도료에서 2액형 우레탄 타입의 경화제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도료의 경화가 불충분하게 이루어져서 도료의 오염 문제가 발생하며, 5중량%를 초과하면 도료의 경화가 너무 급격하게 발생하여, 도장 작업시 도막에 팝핑현상이 발생하거나 도막의 수축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흑색도료는 2액형의 도료로서 사용시에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안료로는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체질안료 15~30중량% 및 착색안료 1~5중량%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막의 내구성 및 기계적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체질안료로는 탈크, 크레이, 실리카, 수산화 알루미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탈크(Tal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질안료는 도장시 단단한 도막 유지 및 도막의 분해 방지를 위하여 배합 설계되어야 하며, 도막의 중요한 성능으로 내식성, 인장 강도, 전단 응력, 탄성 등이 필요하므로 이에 준하는 충진제, 보강제인 체질 안료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체질안료로서 탈크를 사용하여 도막의 내치핑성이 우수하도록 배합 설계하였다.
본 발명의 흑색도료에서 체질안료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도막의 내구성 및 기계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30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의 함량이 부족해져서 도막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착색안료로는 카본블랙(Carbon black)을 사용할 수 있는데, 흑도값과 분산시 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흡유량이 좋은 안료를 자체적으로 선별하여 검증 후 사용한다. 도료의 분산력에 따라 도장시 외관이 좌우되는 점을 감안 할 때 카본블랙 안료의 선정은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흑색도료에서 착색안료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착색이 부족하여 도막의 외관이 나빠지고, 5중량%를 초과하면 착색안료의 낭비와 다른 성분의 함량 부족으로 인한 도막의 물성이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흑색도료에서 유기용제로는 하이드로카본계, 케톤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등을 들 수 있으며, 진용제의 성분이 약 60%이상 함유되어 있는 비교적 용해력이 좋은 신나를 사용하며, 용제의 비점을 고려하여 휘발성이 좋은 용제를 선정하여 사용한다.
상기 첨가제 중 안료 분산시 분산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산제로서 습윤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윤 분산제로는 점도 저하 및 광택 증진에 효과가 있는 다기능성 폴리머 알킬올 암모늄염 용액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습윤 분산제의 특성은 하기 표 3과 같다.
[표 3]
습윤 분산제의 일반물성 아민가 mgK 산가 mgK 밀도 고형분 % 인화점 (°C) 용제
33 33 1.04 65 46 메톡시 프로필 아세테이트/프로필렌글리콜/메톡시 프로판올=5/3/2
도막의 특수한 기능을 부여할 목적으로 사용된 상기 첨가제 중 침강 방지제로는 특수 종합 폴리아미드와 크실렌으로 이루어진 팽윤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침강방지제는 유성 도료에 요변성을 부여하여 분산의 안정화 및 도료의 흐름을 방지하고 안료의 침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침강 방지제의 특성은 하기 표 4와 같다.
[표 4]
외관 인화점 불휘 발분 비중 (at 20℃) 용제 용해성
미백색의 연PASTE상 약 12℃ 15±1% 0.877 알코올류, 크실렌 물에 불용, 열로 가열시 지방족, 방향족
상기 첨가제 중 표면조정제는 도장시 레벨링이 우수한 도막을 얻기 위하여 사용하며, 아크릴 중합물로 구성된 표면조정제가 바람직하다.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이하이다. 상기 아크릴 중합물로 구성된 표면조정제의 특성은 하기 표 5와 같다.
[표 5]
외형 칼라 Non-volatile Particle Size 점도 산가
투명 400 max 83.0±3.0% 2.3 Y~Z5(Bubble viscometer) 3 max(mg·KOH/g)
상기 첨가제 중 왁스 타입의 첨가제는 도막의 침식방지, 내스크레치성 향상, 블로킹 방지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며, 솔벤트 타입의 폴리에틸렌 왁스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도료 조성물(Non-volatile) 총 중량에 대하여, 0.2~1중량%로 사용되며, 0.5%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솔벤트 타입의 폴리에틸렌 왁스 첨가제의 특성은 하기 표 6과 같다.
[표 6]
구분 Polymer NV (%) 입자 사이즈 용제 (%) Note
왁스 타입 첨가제 폴리에틸렌 왁스 10 2.3 톨루엔70%, 에틸아세테이트 20% Micro Particle
상기 첨가제 중 실리콘 첨가제는 도막의 광택, 오렌지필 향상 및 실킹 방지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도료 조성물(Non-volatile) 총 중량에 대하여, 0.01~0.1중량%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3중량%가 좋다. 구체적인 예로는 디메틸 실리콘 오일을 들 수 있으며, 디메틸 실리콘 오일의 특성은 하기 표 7과 같다.
[표 7]
구분 외관 점도 25℃(CS) 비중 25℃ NV(%) 150℃×24시간 굴절율
실리콘 첨가제 무색 투명액체 20 0.95 30이하 1.393
상기에서 기술한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흑색 도료 조성물은 이 분야에서 통 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그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1: 흑색도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9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탱크에 주제인 수지와 분산 첨가제를 투입하고 용제를 투입한 후 천천히 교반하여 균일한 조성이 되도록 한 다음 서서히 안료를 투입하여 안료가 수지와 용제에 완전히 젖도록(WETTING)하여 분산기에 투입하고 입도가 5 ㎛ 이하가 되도록 분산하였다. 여기에 경화제를 혼합하여 흑색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9]
성분 함량(중량%)
주제 아크릴 폴리올 21
폴리에스테르 2.6
변성폴리에스테르 1.6
경화제 HDI(Hexamethylene diisocyanate) 삼량체 4.5~5.5
용제 하이드로카본계 용제 30~38
에스테르계 용제 7~14
기타류 0~2
안료 체질안료 22~24
착색안료 2.3~2.7
첨가제 침강방지제 2.0~3.0
표면조정제
촉매제(catalyst;주석촉매) 0.3~0.5
분산제 1.5~2.5
시험예 1: 흑색도막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 도료의 물성은 하기 표 8과 같았으며, 상기 흑색 도료를 통상의 방법으로 도포하여 형성된 도막의 물성은 표 9와 같았다.
[표 8]
구분 NV(%) 점도(KU) 비중 입도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 도료 53.5±0.5 75±10.0 1.20±0.2 15㎛ 이하
[표 9]
항 목 규 격 결과
부착성 육안평가 이상없음
내습성 50℃, 90%, 240 hr 이상 없음
내열성 80℃, 300hr 이상없음
내치핑성 육안평가 이상 없음
내수성 40℃, 240 hr 이상없음
내후성 2500kJ 이상 없음
내약품성 엔진오일, 왁스, 유리세정제 이상 없음

Claims (11)

  1.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아크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및 변성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주제 고형분 15~35중량%, 2액형 우레탄 타입의 경화제 0.5~5중량%, 안료 16~35중량%, 유기용제 30~65중량%, 및 분산제, 침전방지제, 표면조정제, 경화촉진제, 왁스타입 첨가제, 실리콘 첨가제 및 촉매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1~10중량%를 포함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주제 고형분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아크릴 폴리올 13.5~27중량%, 폴리에스테르 1~5중량% 및 변성 폴리에스테르 0.5~3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올은, 아크릴 폴리올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 60~80 중량%, 수산기를 갖는 불포화 모노머 15~35 중량% 및 산기를 갖는 불포화 모노머 1~5 중량%에 중합 연쇄 이동제 2~10 중량%와 중합개시제 2~5 중량%를 첨가하여 110~140 ℃에서 반응시켜 얻어진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와 액상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5~15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 와, 탄소수 1~10의 알코올로 구성되며, 탄소수 6~18의 장쇄 알킬기가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산은 탄소수 2~8의 관능성 방향족 또는 지방족 카르복실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성 폴리에스테르는 탄소수 2~8의 지방족 직쇄상 카르복실산 및 탄소수 1~10의 알코올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가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디올로 변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액형 우레탄 타입의 경화제는 NCO:OH가 1:1으로 설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
  8. 청구항 1에 있어서, 안료로는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체질안료 15~30중량% 및 착색안료 1~5중량%로 구성되며, 체질안료가 탈크이고, 착색안료가 카본블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중 분산제로는 다기능성 폴리머 알킬올 암모늄염 용액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 료.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중 표면조정제로는 아크릴 중합물로 구성된 표면조정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
  11. 청구항 1 내지 10중 어느 한 항의 흑색도료에 의한 흑색도막을 포함하는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
KR1020080102373A 2008-10-20 2008-10-20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 KR20100043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373A KR20100043365A (ko) 2008-10-20 2008-10-20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
CN200910204612A CN101724338A (zh) 2008-10-20 2009-10-20 车辆散热器护栏用黑色涂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373A KR20100043365A (ko) 2008-10-20 2008-10-20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365A true KR20100043365A (ko) 2010-04-29

Family

ID=42218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373A KR20100043365A (ko) 2008-10-20 2008-10-20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43365A (ko)
CN (1) CN10172433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8064A (ko) * 2010-06-18 2011-12-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통기성 도료 조성물
KR101258363B1 (ko) * 2011-10-25 2013-04-30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Uv 도막층과 밀착성이 우수한 흑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판
KR101435969B1 (ko) * 2012-12-28 2014-09-23 (주)노루페인트 자동차 보수용 논샌딩 프라이머-서페이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 보수 방법
KR101463179B1 (ko) * 2012-10-16 2014-11-21 주영산업 주식회사 크롬 도금 표면에 도포되는 1회 도장용 2액형 은폐 도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1791A (zh) * 2013-05-30 2013-10-16 蚌埠市时代电子有限公司 一种热固性散热涂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8064A (ko) * 2010-06-18 2011-12-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통기성 도료 조성물
KR101258363B1 (ko) * 2011-10-25 2013-04-30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Uv 도막층과 밀착성이 우수한 흑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판
KR101463179B1 (ko) * 2012-10-16 2014-11-21 주영산업 주식회사 크롬 도금 표면에 도포되는 1회 도장용 2액형 은폐 도료 조성물
KR101435969B1 (ko) * 2012-12-28 2014-09-23 (주)노루페인트 자동차 보수용 논샌딩 프라이머-서페이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 보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24338A (zh) 201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59301B (zh) 用于水性涂料组合物的粘合增进剂
DE69115929T2 (de) Wässriger acrylurethanpolymer als pigmentdispergiermittel
KR100905063B1 (ko) 수성 수지 조성물
KR101378336B1 (ko) 내화학성, 내스크래치성 및 스크래치 복원성이 우수한 1액형 자동차 상도용 투명 도료 조성물
WO2020137161A1 (ja) クリヤー塗料組成物及びクリヤー塗膜の形成方法
KR101732918B1 (ko) 자동차용 수용성 도료 조성물
CN101583644B (zh) 油漆组合物
KR20100043365A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흑색도료
JP4836542B2 (ja) 塗料組成物
CN108463522B (zh) 多层涂层和包括该多层涂层的成形制品
ZA200303431B (en) Solvent based coating composition.
KR100965736B1 (ko) 프리 코팅용 도료 조성물
CA3066860A1 (en) One-component coating composition and substrates coated with the same
JP6741369B2 (ja) 中塗り塗料組成物
JP2001279164A (ja) 塗料組成物
TWI706011B (zh) 形成多層塗膜的方法
KR101050506B1 (ko) 유변성 에폭시에스테르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48993B1 (ko) 자동차의 복층 도막 형성방법
RU2831646C2 (ru) Атмосферостойкий лак и базовая эмаль для получ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й системы покрытия
KR100644463B1 (ko) 내치핑성 흑색도료가 코팅된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
JP6701355B2 (ja) 内蔵部品用ハイグロシ塗料組成物
CN110773402A (zh) 多层涂层及其形成方法
JP7619935B2 (ja) 塗料組成物及び塗膜形成方法
JP2005270896A (ja) 光輝性塗膜形成方法および光輝性塗装物
KR20100042523A (ko) 라디에이터 그릴 크롬도금용 프라이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1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0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0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1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