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39706A -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706A
KR20100039706A KR1020080098782A KR20080098782A KR20100039706A KR 20100039706 A KR20100039706 A KR 20100039706A KR 1020080098782 A KR1020080098782 A KR 1020080098782A KR 20080098782 A KR20080098782 A KR 20080098782A KR 20100039706 A KR20100039706 A KR 20100039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metadata
preference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록
이문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9706A/ko
Priority to US12/564,152 priority patent/US20100088406A1/en
Publication of KR20100039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70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3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rs' behaviour or opin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제1 컨텐츠를 시청중인 사용자의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모니터링된 사용자의 반응을 기초로,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에 대한 선호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 분석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제2 컨텐츠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제2 컨텐츠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providing dynamic contents service using analysis of user's respons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지털 및 양방향성(interactive)을 앞세운 인터넷 망을 활용한 TV 매체가 큰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TV 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 디바이스에서 프로그램 및 컨텐츠에 대한 시청자의 기호도(또는 선호도)의 분석은 예를 들어, 군중 선호(demographic-based) 컨텐츠 제공, 개인 맞춤형 컨텐츠 제공 및 광고 서비스와 같은 동적 서비스에서 필수 불가결한 기술 요소이다. 특히 중간 삽입형 광고가 대형 방송사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환경에서, 위와 같은 시청자의 선호도 분석 기술의 중요도는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시청자의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의 선호도를 분석할 때, 대부분의 경우 시청자로부터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의 만족/불만족 여부, 평점 입력등의 방식으로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 단위에서 시청자 스스로의 직접 입력(explicit rating) 방법을 활용하 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에 대한 선호 정보 분석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은, 제1 컨텐츠를 시청중인 사용자의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된 사용자의 반응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에 대한 선호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제2 컨텐츠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2 컨텐츠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에 관한 군중 정보(demographic information)인 나이, 성별, 지역 또는 유사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을 재편집한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의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를 시청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비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컨텐츠의 장면에 대한 선호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 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컨텐츠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제1 컨텐츠의 휴지 시간(idle period)에 출력하거나, 상기 화면에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거나,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은, 제1 컨텐츠를 시청중인 사용자의 모니터링된 반응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에 대하여 분석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제2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2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에 관한 군중 정보인 나이, 성별, 지역 또는 유사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을 재편집한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광고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기술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제1 컨텐츠를 시청중인 사용자의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센서부와; 상기 모니터링된 사용자의 반응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에 대한 선호 정보를 분석하는 선호 인지부와; 상기 분석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제2 컨텐츠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제2 컨텐츠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에 관한 군중 정보인 나이, 성별, 지역 또는 유사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을 재편집한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컨텐츠를 시청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비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호 인지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 정보를 추출하는 전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제1 컨텐츠의 휴지 시간에 출력하거나, 상기 화면에 PIP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 송하거나,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서버는, 제1 컨텐츠를 시청중인 사용자의 모니터링된 반응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에 대하여 분석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메타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제2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제2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방송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에 관한 군중 정보인 나이, 성별, 지역 또는 유사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을 재편집한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광고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를 시청중인 사용자의 음성, 몸의 움직임, 눈동자의 움직임 트랙킹(eye-tracking) 및 행동 패턴 수집 등의 입력 방법을 통하여 인터넷 TV 또는 DMB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선호 장면 분석을 통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을 제안한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은
제1 컨텐츠를 시청중인 사용자의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단계(110)와 모니터링된 사용자의 반응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에 대한 선호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120)와 분석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130)와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제2 컨텐츠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140)와 수신된 제2 컨텐츠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150)를 포함한다.
단계 110에서는, 컨텐츠를 시청중인 사용자의 반응(response)을 모니터링한다. 방송 프로그램과 같은 컨텐츠(제1 컨텐츠라 함)를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의 반응은 예를 들어, 환호성과 같은 음성, 제스쳐와 같은 몸동작, 찡그림 또는 웃는 모습과 같은 얼굴 표정, 눈동자의 변화 등 여러가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로서 나타날 수 있다. 단계 110에서는 이와 같은 사용자의 반응을 센싱(sensing)한다. 종래방법에서는 시청자로부터 프로그램의 만족 또는 불만족 여부, 평점 입력등의 시청자가 스스로 직접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 시청에 몰두하는 시청자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시청자의 기호에 보다 부합하는 적절한 동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반응을 자동적으로 센싱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단계 120에서는, 모니터링된 사용자의 반응을 기초로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에 대한 선호 정보(preference information)를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A/V 동영상 컨텐츠는 다수의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각 장면마다 느끼는 선호정도는 모두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장면별 사용자의 선호도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반응을 센싱하고, 각 장면으로부터 사용자의 기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분석한다. 이와 같은 분석단계를 통하여, 예를 들어 드라마에 등장하는 복수명의 배우들 중 가장 선호하는 배우가 등장하는 장면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이러한 장면들을 메인으로 구성한 예고편 장면 또는 드라마 요약편 장면의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사용자의 선호정도가 높은 각 장면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 맞춤형 컨텐츠(예를 들어,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 130에서는, 분석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한다. 전송하는 방법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며, 메타데이터를 전송받는 외부 서버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자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전송은 일정 한 시간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계 140에서는,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컨텐츠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제2 컨텐츠라 함)는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컨텐츠로서, 사용자에 관한 군중 정보(demographic information)인 나이, 성별, 지역 또는 유사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속하는 나이군, 성별군, 지역군 또는 유사 선호도를 가진 다른 사용자군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컨텐츠로서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제2 컨텐츠는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을 재편집한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의 요약편 장면이나, 스포츠 경기에서 하이라이트 장면으로 재편집된 컨텐츠일 수 있다.
단계 150에서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2 컨텐츠를 제1 컨텐츠의 휴지 시간(idle period)에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화면에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으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은 제1 컨텐츠를 시청중인 사용자의 모니터링된 반응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에 대하여 분석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210)와 수신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제2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220)와 생성된 제2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230)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각 단계는 서버단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먼저 사용자로부터 분석된 컨텐츠 장면별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210), 수신된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새로운 컨텐츠(제2 컨텐츠)를 생성한다(220). 이와 같은 제2 컨텐츠는 사용자에 관한 군중 정보인 나이, 성별, 지역 또는 유사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컨텐츠일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을 재편집한 컨텐츠일 수 있다. 사용자의 컨텐츠 장면별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에서는 예를 들어, 좋아하는 배우, 운동 선수, 코미디언 등의 인물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자동차, 악세사리 등의 상품 선호도나 각 나라별 관광지등의 장소 선호도 등 수많은 사용자 선호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개인별 선호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생성된 제2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데(230), 전송된 제2 컨텐츠는 제1 컨텐츠의 중간삽입광고 시간등에 디스플레이되거나, PIP 화면으로 나타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및 서버간의 각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시간순서별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이 나타나있다.
먼저, 클라이언트에서는 컨텐츠의 장면별 사용자의 반응을 모니터링하고(310), 각각의 장면(예, 장면A, 장면B, 장면C 등)에 대한 선호 정보가 서버로 전 송된다(321 내지 323). 이러한 전송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서버는 장면A, 장면B, 장면C 등의 선호 정보를 기초로, 장면A', 장면B', 장면C' 등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생성한다(330). 이렇게 생성된 컨텐츠는 다시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며(340), 클라이언트는 전송받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350).
이와 같은 과정을 몇 개의 시나리오로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실시 예로, 인기 드라마를 시청 중인 시청자의 음성, 몸짓, 얼굴 표정, 눈동자 트랙킹 등을 통해 선호 장면(예, 주요 장면(peak scene), 드라마 주인공 배역 출연 장면, 조연들의 재치있는 장면 등)들이 인지된다. 인지된 선호 장면 또는 인기 장면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서버로 전송된다. 이후 서버에서는 수신된 메타데이터 정보에 대해서 같은 연령대, 성별, 지역 등의 시청자 군중 선호(demographic-based) 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군집에서의 공통 선호 장면 또는 메타데이터들을 선별(filtering)한다. 이렇게 분석된 정보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드라마 요약 장면 또는 예고편 장면 등이 재구성되고, 이러한 컨텐츠는 다시 클라이언트인 TV 수상기로 전송된다. TV 수상기는 수신된 데이터를 시청자에게 적절한 시간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는 기존의 방송국에서 일방적으로 제공하는(one-way) 획일화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에 비해서, 시청자의 선호사항에 근거하여 재구성된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국가 대표간 스포츠 경기에서 시청자의 환호성 또는 격렬한 움직임이 있을 때(예, 골 장면 또는 인기 스포츠 스타에 대한 플레이 장면), 상기 장면들에 대한 관련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게 되고, 서버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시청자에게 가장 적절한 하이라이트 장면(예, 방송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카메라 앵글을 통해 수집된 장면들)을 엄선한 후, 관련 데이터를 TV 수상기로 전송한다. 추후 수신된 데이터를 조합하여 경기 쉬는 시간에 또는 PIP 화면으로 시청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방송에서 항상 동일한 장면만을 요약하여 보여 주는 기본 방법들을 탈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코미디 프로그램 시청 중 선호하는 캐릭터가 출연하는 장면 또는 극적인 웃음을 주는 장면에서, 시청자의 웃음 소리, 얼굴의 표정 및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장면별 선호도를 추출하고, 상기 장면들에 대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분석하여 관련 캐릭터가 출연하는 장면만을 취합한 예고편을 편성할 수 있고, 이러한 예고편을 TV 수상기로 전송한다. 이후 시청자에게는 개인에게 맞는 프로그램 예고 컨텐츠가 출력된다.
아울러, 시청자 선호 장면들에 대한 정보는 서버를 통하여 타 시청자 또는 버디(buddy)들과 공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클라이언트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제1 컨텐츠를 시청중인 사용자의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센서부(410)와 모니터링된 사용자의 반응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에 대한 선호 정보를 분석하는 선호 인지부(preference detection unit, 420)와 분석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와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제2 컨텐츠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440)와 수신된 제2 컨텐츠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450)를 포함한다.
아울러 선호 인지부(420)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음성, 몸짓, 눈동자 트랙킹 정보 등의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장면 정보를 추출하는 전처리부(4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서버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서버는 제1 컨텐츠를 시청중인 사용자의 모니터링된 반응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에 대하여 분석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메타데이터 수신부(510)와 수신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제2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520)와 생성된 제2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방송 전송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동적 서비스 클라이언트 및 서버에 의하면, 인터넷 TV 시청중의 사용자 소리, 움직임, 행동 패턴 등의 분석을 통해 자연스럽게 선호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의 장면 분석이 가능해지고, 이를 동적인 컨텐츠 또는 광고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은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및 서버간의 각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클라이언트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서버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상기 몇 개의 도면에 있어서 대응하는 도면 번호는 대응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도면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있지만, 도면이 축척에 따라 도시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보다 잘 나타내고 설명하기 위해 어떤 특징부는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Claims (23)

  1.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1 컨텐츠를 시청중인 사용자의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된 사용자의 반응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에 대한 선호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제2 컨텐츠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2 컨텐츠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에 관한 군중 정보(demographic information)인 나이, 성별, 지역 또는 유사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을 재편집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 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를 시청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비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의 장면에 대한 선호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제1 컨텐츠의 휴지 시간(idle period)에 출력하거나, 상기 화면에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거나,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8.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1 컨텐츠를 시청중인 사용자의 모니터링된 반응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에 대하여 분석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제2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2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에 관한 군중 정보(demographic information)인 나이, 성별, 지역 또는 유사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 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을 재편집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광고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12.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클라이언트에 있어서,
    제1 컨텐츠를 시청중인 사용자의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센서부와;
    상기 모니터링된 사용자의 반응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에 대한 선호 정보를 분석하는 선호 인지부와;
    상기 분석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제2 컨텐츠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제2 컨텐츠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클라이언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에 관한 군중 정보(demographic information) 인 나이, 성별, 지역 또는 유사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클라이언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을 재편집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클라이언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컨텐츠를 시청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비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클라이언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인지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 정보를 추출하는 전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클라이언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제1 컨텐츠의 휴지 시간(idle period)에 출력하거나, 상기 화면에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클라이언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거나,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클라이언트.
  19.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제1 컨텐츠를 시청중인 사용자의 모니터링된 반응을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에 대하여 분석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메타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제2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제2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방송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에 관한 군중 정보(demographic information)인 나이, 성별, 지역 또는 유사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서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컨텐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을 재편집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서버.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선호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광고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서버.
  2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80098782A 2008-10-08 2008-10-08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Withdrawn KR20100039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782A KR20100039706A (ko) 2008-10-08 2008-10-08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US12/564,152 US20100088406A1 (en) 2008-10-08 2009-09-22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contents service by using analysis of user's response and apparatus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782A KR20100039706A (ko) 2008-10-08 2008-10-08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706A true KR20100039706A (ko) 2010-04-16

Family

ID=4207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782A Withdrawn KR20100039706A (ko) 2008-10-08 2008-10-08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88406A1 (ko)
KR (1) KR20100039706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9703A1 (en) 2011-12-14 2013-06-20 Intel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apturing natural responses to advertisements
KR20140047616A (ko) * 2011-06-17 2014-04-2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광고를 선택하는 기법
KR20140055835A (ko) * 2012-11-01 2014-05-09 주식회사 케이티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66203A (ko) * 2013-12-06 201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5174610A1 (ko) * 2014-05-16 2015-11-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매체를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70034311A (ko) * 2015-09-18 201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플레이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30549A (ko) * 2017-09-14 2019-03-22 주식회사 스무디 영상 채팅에 기반하여 광고 콘텐츠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10083238A (ko) * 2014-05-16 2021-07-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유휴 광고 인벤토리를 이용한 리마인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4172288A1 (ko) * 2023-02-13 2024-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상 현실 상에서 공연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66372A1 (en) * 2011-12-23 2013-06-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tilizing real-time metrics to normalize an advertisement based on consumer reaction
CN103258556B (zh) * 2012-02-20 2016-10-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10455284B2 (en) 2012-08-31 2019-10-22 Elwha Llc Dynamic customization and monetization of audio-visual content
US10237613B2 (en) 2012-08-03 2019-03-19 Elwha Llc Methods and systems for viewing dynamically customized audio-visual content
US20140039991A1 (en) * 2012-08-03 2014-02-06 Elwha LLC, a limited liabit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Dynamic customization of advertising content
US20140096152A1 (en) * 2012-09-28 2014-04-03 Ron Ferens Timing advertisement breaks based on viewer attention level
US20140153900A1 (en) * 2012-12-05 2014-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EP2779578B1 (en) 2013-03-15 2019-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Transmitting Apparatus, Data Receiving Apparatus, Data Transceiving System,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EP2779577B1 (en) * 2013-03-15 2019-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transmitting apparatus, data receiving apparatus, data transceiving system,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IN2013MU02083A (ko) * 2013-06-19 2015-07-10 Tata Consultancy Services Ltd
US10110950B2 (en) * 2016-09-14 2018-10-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ttentiveness-based video presentation management
US10720182B2 (en) 2017-03-02 2020-07-21 Ricoh Company, Ltd. Decomposition of a video stream into salient fragments
US10949705B2 (en) 2017-03-02 2021-03-16 Ricoh Company, Ltd. Focalized behavioral measurements in a video stream
US10929685B2 (en) 2017-03-02 2021-02-23 Ricoh Company, Ltd. Analysis of operator behavior focalized on machine events
US10956495B2 (en) 2017-03-02 2021-03-23 Ricoh Company, Ltd. Analysis of operator behavior focalized on machine events
US10949463B2 (en) 2017-03-02 2021-03-16 Ricoh Company, Ltd. Behavioral measurements in a video stream focalized on keywords
US10943122B2 (en) 2017-03-02 2021-03-09 Ricoh Company, Ltd. Focalized behavioral measurements in a video stream
US10929707B2 (en) * 2017-03-02 2021-02-23 Ricoh Company, Ltd. Computation of audience metrics focalized on displayed content
US10956494B2 (en) 2017-03-02 2021-03-23 Ricoh Company, Ltd. Behavioral measurements in a video stream focalized on keywords
US10956773B2 (en) * 2017-03-02 2021-03-23 Ricoh Company, Ltd. Computation of audience metrics focalized on displayed content
US10887646B2 (en) * 2018-08-17 2021-01-05 Kiswe Mobile Inc. Live streaming with multiple remote commentators
US11838592B1 (en) 2022-08-17 2023-12-05 Roku, Inc. Rendering a dynamic endemic banner on streaming platforms using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s and advanced banner personal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3790A1 (en) * 2000-03-28 2003-05-15 Logan James D. Audio and video program recording, editing and playback systems using metadata
US7822843B2 (en) * 2001-08-13 2010-10-26 Cox Communications, Inc. Predicting the activities of an individual or group using minimal information
US7319780B2 (en) * 2002-11-25 2008-01-15 Eastman Kodak Company Imaging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monitoring and personal security
BRPI0710685A2 (pt) * 2006-04-06 2011-08-23 H Kenneth Ferguson metodo e aparelho de programação de controle de conteúdo de mìdia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616A (ko) * 2011-06-17 2014-04-2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광고를 선택하는 기법
WO2013089703A1 (en) 2011-12-14 2013-06-20 Intel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apturing natural responses to advertisements
US10791368B2 (en) 2011-12-14 2020-09-29 Intel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apturing natural responses to advertisements
KR20140055835A (ko) * 2012-11-01 2014-05-09 주식회사 케이티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66203A (ko) * 2013-12-06 201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5174610A1 (ko) * 2014-05-16 2015-11-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매체를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210083238A (ko) * 2014-05-16 2021-07-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유휴 광고 인벤토리를 이용한 리마인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34311A (ko) * 2015-09-18 201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플레이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30549A (ko) * 2017-09-14 2019-03-22 주식회사 스무디 영상 채팅에 기반하여 광고 콘텐츠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19132158A1 (ko) * 2017-09-14 2019-07-04 주식회사 스무디 영상 채팅에 기반하여 광고 콘텐츠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24172288A1 (ko) * 2023-02-13 2024-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상 현실 상에서 공연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88406A1 (en)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9706A (ko)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US202201567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ducing user information from input device behavior
US11468917B2 (en) Providing enhanced content
US8726304B2 (en) Time varying evaluation of multimedia content
CN112753227B (zh) 从事件的描绘提取元数据的方法、计算机可读介质和系统
KR101552147B1 (ko) 방송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과 그 장치
US201400526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categorization of multimedia data
US20120072936A1 (en) Automatic Customized Advertisement Generation System
CN102193794B (zh) 链接实时媒体情境到相关的应用程序和服务
US201202783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ducing user information from input device behavior
US10297287B2 (en) Dynamic media recording
US117582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 asynchronous social watching experience among users
JP201203955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121016A (ko) 시청자 반응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21917A (ko) 콘텐츠/광고 프로파일링
GB2509150A (en) Bookmarking a scene within a video clip by identifying the associated audio stream
JP2012235420A (ja) 端末装置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