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37421A - 외기분리 다단형 구조를 가진 방열판, 함체 및 냉각기 - Google Patents

외기분리 다단형 구조를 가진 방열판, 함체 및 냉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7421A
KR20100037421A KR1020080096745A KR20080096745A KR20100037421A KR 20100037421 A KR20100037421 A KR 20100037421A KR 1020080096745 A KR1020080096745 A KR 1020080096745A KR 20080096745 A KR20080096745 A KR 20080096745A KR 20100037421 A KR20100037421 A KR 20100037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heat dissipation
stage
heat si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우
박장익
오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플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플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플웍스
Priority to KR1020080096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7421A/ko
Publication of KR20100037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42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기분리 다단형 구조를 가진 방열판, 함체 및 냉각기에 관한 것으로, 방열베이스 또는 함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평행하게 배열되고, 경사지게 형성된 노치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개의 단으로 이루어진 방열핀과; 상기 방열핀의 각 단의 공기 배출측에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된 공기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구조를 가진 방열판, 함체 및 냉각기를 제공함으로서 방열 및 냉각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방열판(Heat Sink), 방열핀, 방열베이스, 노치(Notch)

Description

외기분리 다단형 구조를 가진 방열판, 함체 및 냉각기{Heat Sink, Case And Cooling Plate Having Multi-Stage Structure}
본 발명은 방열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발열체의 자연대류 냉각을 위해 다단형 구조로 된 다수의 평행 방열핀을 형성하여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외기분리 다단형 구조를 가진 방열판, 함체 및 냉각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전자, 통신, 기계 제품에 있어서 고집적화, 고출력화, 소형화가 급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발열 부품에 대한 효과적인 냉각 방법에 대한 연구가 히트파이프(Heat Pip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 CNT), 열전소자, 액체 냉각, 다공성 재료를 이용한 방열판 등의 다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발열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방법으로 발열 부품의 일측에 공기통로로 이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 내로 강제 대류가 일어나도록 송풍수단을 설치하는 강제대류 냉각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강제대류 냉각의 경우 팬(Fan)과 같은 송풍수단을 사용하는 관계로 고장이 빈발하고, 팬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크며 전력 소모량이 많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발열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는 방열판을 이용한 자연대류 냉각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연대류 방열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평행핀 방열판(4)은 방열베이스(1)에 다수의 방열핀(Fin)(2)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평행하게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다. 평행핀 방열판의 하부로 저온의 공기가 인입되면, 인입된 공기와 방열핀(2) 사이에서 방열핀(2)은 열을 방출하고 방열핀(2) 사이로 인입된 공기에서는 방열핀(2)에서 방출된 열을 흡수하는 열교환 과정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평행핀 방열판(4)의 하부로 인입되어 유입된 공기는 방열핀(2)에서 방출되는 열을 흡수함에 따라 가열되면서 팽창하게 되어 밀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외부 공기와 방열핀(2) 사이로 유입된 공기 간에는 밀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그 차이에 의한 부력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방열핀(2) 사이의 통로에서 수직으로 상승 이동하게 되고, 평행핀 방열판(4)의 상부로 토출됨에 따라 방열판을 냉각하는 방열과정이 수행되는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평행핀 방열판(4)의 유속과 방열핀(2) 사이의 공기 유동속도 구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핀 방열판(4)의 하부에서 인입된 외기는 그대로 방열판 상부의 방열핀(2)까지 상승하여 이동되면서 가열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방열판의 하부로 인입된 공기가 가열되면서 관로를 따라 상승하면서 방열핀(2)으로부터 열을 흡수함에 따라 방열핀(2) 사이의 통로로 상승하는 공기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방열핀(2) 내부의 유동 공기의 평균 온도가 높아지게 되며, 특히 방열핀(2) 상부에서의 유동 공기의 평균 온도가 높아져 방열핀(2)과의 온도차가 적게지게 되어 열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방열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방열핀(2)의 수직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어 관로 저항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방열핀(2)과의 마찰 손실로 인해 공기의 유량이 적어지게 된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핀(2) 사이로 유입된 공기가 긴 관로를 흐르는 동안 방열핀(2) 표면 마찰에 의하여 방열핀(2) 사이의 중앙부 유속에 비하여 방열핀(2) 표면에서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속도 구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방열핀(2) 표면에서의 공기의 유속이 감소하게 되면 유입된 공기의 대부분의 유량이 방열핀(2) 사이의 중앙부로 집중되어 유입된 공기와 방열핀(2) 표면 사이의 열교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효과적으로 방열핀(2)이 냉각되지 못하게 되므로 방열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평행핀 방열판(4)의 경우 방열핀(2) 사이의 유입된 공기의 온도상승, 유속저하 및 속도 구배상의 문제로 인하여 효율적인 열 방출이 수행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 편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형 평행핀 방열판(5)은 종래의 평행핀 방열판(4)의 방열핀(Fin)(2)에 크로스 커팅(Cross Cutting) 등의 방법에 의한 노치(Notch)(3)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는 공기가 방열핀(2) 사이의 유로를 따라 상승하는 과정에서 방열핀(2) 표면과의 마찰에 의해 방열핀(2) 표면에서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열핀(2)과 접촉되는 공기의 유속을 높여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판을 냉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노치형 평행핀 방열판(5)에 의하더라도 방열판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가 수직상승하게 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방열판 상부의 방열핀(2) 내에서의 유동 공기의 평균 온도가 높아 방열핀(2)과 유입된 공기와의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또한 방열핀(2)의 노치(3)로 새로 저온의 외기가 유입되어야 하나, 방열핀(2) 내에서 수직 상승하는 내부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저온의 외기의 유입이 방해되어 방열판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방열판의 방열핀(2) 내부의 공기와 방열핀(2)과의 마찰에 의해 공기의 상승 속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방열핀(2) 내부의 공기의 평균 온도를 낮게 유지하여 방열핀(2)과 내부 공기와의 열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연대류 방열판이 절실히 요구되나, 종래의 방열판으로는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방열판 내부로 저온의 외기가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와 방열핀과의 마찰에 의한 방열핀 표면에서의 속도 저하를 방지하며, 방열핀 사이의 유입된 공기의 평균 온도를 낮게 유지하여 방열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는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 및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구조를 가진 함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판 내부로 고온의 외기가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와 방열핀과의 마찰에 의한 속도 저하를 방지하고, 방열핀 사이의 유입된 공기의 평균 온도를 높게 유지하여 외기의 냉각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는 외기분리 다단형 냉각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은 발열체에 인접하여 열을 교환하도록 된 방열베이스와; 상기 방열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평행하게 배열되고, 경사지게 형성된 노치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개의 단으로 이루어진 방열핀과; 상기 방열핀의 각 단의 공기 배출측에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된 공기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은 송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강제 대류 방식에 의하여 방열과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양상에 의하면,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구조를 가진 함체는 열을 발산하는 함체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발열측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노치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개의 단으로 이루어진 방열핀이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방열핀의 각 단의 공기 배출측에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된 공기차단막이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양상에 의하면,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냉각기는 저온의 물체와 열을 교환하도록 된 방열베이스와; 상기 방열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평행하게 배열되고, 경사지게 형성된 노치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개의 단으로 이루어진 방열핀과; 상기 방열핀의 각 단의 공기 배출측에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된 공기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 상기 방열핀의 각 단의 공기 유입측으로 인입된 고온의 공기로부터 저온의 방열핀 및 방열베이스로 열 전달 과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외기가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 및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구조를 가진 함체는 방열핀이 복수개의 단으로 분리되어 있어 방열핀의 표면과 유입된 공기와의 마찰에 따라 방열핀 표면에서의 공기의 유속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여 효율적인 방열이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동시에 방열핀 각 단의 공기 배출측에 공기차단막이 구비되어 있어 가 열된 공기가 방열판 외부로 배출되고, 상승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외기 유입이 방해되는 일이 없이 방열핀의 각 단마다 저온의 외기가 노치로 공급되므로 유입된 공기의 평균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열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효율적인 방열이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냉각기는 방열핀이 복수개의 단으로 분리되어 있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효율적인 방열이 수행되며, 방열핀 각 단의 공기 배출측에 공기차단막이 구비되어 있어 유입된 공기의 평균 온도를 높게 유지하여 저온의 방열판과의 열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지게 됨으로서 효율적인 냉각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과 함체 및 외기분리 다단형 냉각기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1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10)은 도시되지 않은 발열체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방열베이스(11)와, 상기 방열베이스(11)에 일체로 형성되어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방열핀(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열핀(12)은 외기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노치(Notch) (13)에 의해 복수개의 단으로 구분되며, 일 예로서 n-1개의 노치(13)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방열핀(12)은 n개의 단으로 구분되게 된다.
상기 방열핀(12) 각 단의 공기 배출측(12b)에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된 공기차단막(Air Baffle)(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는 상기 방열핀(12) 각 단의 공기유입측(12a)으로 유입되고, 방열핀(12) 사이로 유입되어 상승된 공기는 방열핀(12)의 공기배출측(12b)에 고정된 공기차단막(14)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배출되게 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치(13)는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방열판(10)의 측면에서 보아 평행사변형 또는 찌그러진 'ㄷ'자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방열핀(12) 각 단의 공기 배출측(12b)에 구비되는 공기차단막(14)과 방열베이스(11)가 이루는 각(α)은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둔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의 공기 유동을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7는 도 6의 C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의 공기 유동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의 공기 유동을 정면에서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의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우선 고온의 발열체로부터 방사되는 열을 방열베이스(11)에서 흡수하게 되고, 방열베이스(11)에서 흡수된 열은 상기 방열베이스(11)와 일체로 형성된 방열핀(12)으로 전달되게 된다. 상대적으로 저온의 외기가 상기 방열핀(12) 하부의 공 기유입측(12a)으로 인입되게 되면, 하기의 수식 1에 따라 고온의 방열핀(12)으로부터 저온의 공기로 열이 전달되게 되며,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된 공기는 밀도가 낮아져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승된 공기는 공기차단막(14)의 바닥면을 타고 방열핀 밖으로 유도되며 부력에 의해 포물선을 그리면서 상승된다.
[ 수 식 1 ]
Figure 112008069132485-PAT00001
Q는 교환되는 열량, h는 열전달계수(Convec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 Ts는 방열판의 온도, T는 외기의 온도.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는 1단 공기유입측(12a)으로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1단만을 냉각시킨 후 도 6의 D와 도 7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 외부로 배출된다.
도 7의 H 및 도 8의 I와 J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으로는 평행사변형의 노치의 방열핀 면과 수직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새로운 저온의 외기가 유입되게 된다. 2단의 공기유입측(12a)으로 유입되어 가열되면서 상승된 공기는 2단만을 냉각시킨 후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진 2단의 공기차단막(14)의 바닥면을 타고 상승하여 방열판 밖으로 배출되도록 유도된다.
이 때, 1단 공기차단막(14)에 의해 유도배출되어 외부에서 포물선을 그리고 상승하던 고온의 1단 유출 공기는 2단 유출 공기에 의해 더욱 밖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런 방법으로 방열판의 길이 방향으로 차례로 분리된 1단, 2단, 3단을 거쳐 n단에 이르기까지 노치의 양측으로 유입되는 저온의 외기로부터 각 단의 방열핀(12)을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단으로 외기가 직접 입력되므로 방열판에 유입되는 외기의 유량을 크게 할 수 있으며, 각 단의 공기는 짧은 유로를 지나가므로 관로의 저항을 줄일 수 있어 방열핀(12) 표면 마찰에 의해 방열핀 표면에서의 공기 유동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n-1)단의 방열핀(12) 사이를 통과한 공기가 (n-1)단의 공기차단막(14)에 의해 방열판 밖으로 유도배출되므로, (n-1)단의 방열핀(12)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n단의 공기유입측(12a)으로 저온의 외기가 유입되게 된다.
한 편, 방열핀(12)이 n개의 단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n단의 공기배출측(12b)에는 공기차단막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 경우 도 6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수직으로 배출되게 된다.
또 한 편으로 상기 수식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자연대류 냉각에 있어서 방열판의 온도(Ts)를낮추기 위해서는 방열판과 외기와의 열전달 계수(h)를 높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방열베이스(11) 및 방열핀(12)은 열전달 계수가 높은 재질의 소재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경제성 및 방열의 효율성을 함께 고려하면 알루미늄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은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 한 송풍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강제 대류 방식에 의하여 방열 과정이 수행되게 된다.
[실시예]
전체 면적에 100W의 발열을 갖는 폭 100mm, 수직방향의 길이 600mm, 두께 10mm의 방열베이스(11)에 돌출길이 60mm, 핀두께 2mm, 핀피치(Fin Pitch) 10mm의 방열핀(12)을 형성한 알루미늄 재질의 방열판을 경사각(α) 135˚의 노치를 형성하고 알루미늄 재질의 공기차단막(14)을 방열핀(12) 각 단의 공기배출측(12b)에 설치한 후 외기 20℃에 자연 냉각시켰다.
비교예로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부피의 방열베이스(11)에 방열핀(12)을 형성한 것으로서 노치와 공기차단막을 설치하지 않은 방열판을 사용하여 외기 20℃에 자연 냉각시켰다.
상기와 같이 실시하여 방열판의 온도분포를 측정한 결과를 도 10에 도시하였으며, 비교예의 실시 결과는 도 3에 도시하였다.
비교예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고 온도가 60.1℃에 이르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고 온도가 50.7℃에 불과하여 약 10℃ 정도의 온도 하강 효과를 얻었으며,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이 탁월한 방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구조를 가진 함 체(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외기 분리 다단형 방열판의 방열구조는 별도의 방열베이스(11)를 포함하지 않고 함체(15) 자체에 방열핀(12)을 형성한 방열목적의 함체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방열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의 방열 과정과 유사하게 수행되므로 동일한 내용의 중복 기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분리 다단형 냉각기(30)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K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냉각기(30)는 저온의 물체와 열을 교환하도록 된 방열베이스(11)와, 상기 방열베이스(11)에 일체로 형성되어 평행하게 배열되는 방열핀(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열핀(12)은 경사지게 형성된 노치(13)에 의해 복수개의 단으로 분리되며, 방열핀(12)의 각 단의 공기 배출측(12b)에는 방열핀(12) 사이로 유입된 공기가 방열판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공기차단막(14)이 구비된다.
상기 공기차단막(14)이 방열베이스(11)와 이루는 각(β)는 공기의 배출유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둔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열핀(12)의 각 단의 공기 유입측(12a)으로 인입된 고온의 공기는 상기 수식 1에 따라 저온의 방열핀(12) 및 방열베이스(11)로 열을 전달하면서 온도가 하강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아지면서 방열핀(12) 사이의 관로 내에서 하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방열핀(12)과 하강하는 공기 사이의 열 교환에 의해 외기 가 계속하여 냉각되며, 냉각된 외기는 공기차단막(14)의 상부면을 따라 방열판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도 13의 ①). 이와 같이 하강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방해됨이 없이, 방열핀(12) 각 단으로 고온의 외기가 유입(도 13의 ②)되기 때문에 고온의 외기와 저온의 방열핀(12) 사이의 온도차가 크게 유지되어 열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냉각의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도 1은 종래의 자연대류 방열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평행핀 방열판의 유속과 방열핀 사이에서의 공기유동 속도구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평행핀 방열판의 온도분포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의 공기 유동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C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의 공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의 공기 유동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의 온도분포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구조를 가진 함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분리 다단형 냉각기를 나타낸 사시 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K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 11 : 방열판베이스 12 : 방열핀
13 : 노치 14 : 공기차단막 15 : 함체
20 :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구조를 가진 함체
30 : 외기분리 다단형 냉각기

Claims (4)

  1. 발열체에 인접하여 열을 교환하도록 된 방열베이스와;
    상기 방열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평행하게 배열되고, 경사지게 형성된 노치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개의 단으로 이루어진 방열핀과;
    상기 방열핀의 각 단의 공기 배출측에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된 공기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송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강제 대류 방식에 의하여 방열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판.
  3. 열을 발산하는 함체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발열측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노치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개의 단으로 이루어진 방열핀이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방열핀의 각 단의 공기 배출측에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된 공기차단막이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분리 다단형 방열구조를 가진 함체.
  4. 저온의 물체와 열을 교환하도록 된 방열베이스와;
    상기 방열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평행하게 배열되고, 경사지게 형성된 노치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개의 단으로 이루어진 방열핀과;
    상기 방열핀의 각 단의 공기 배출측에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된 공기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 상기 방열핀의 각 단의 공기 유입측으로 인입된 고온의 공기로부터 저온의 방열핀 및 방열베이스로의 열 전달 과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외기가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분리 다단형 냉각기.
KR1020080096745A 2008-10-01 2008-10-01 외기분리 다단형 구조를 가진 방열판, 함체 및 냉각기 Ceased KR20100037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745A KR20100037421A (ko) 2008-10-01 2008-10-01 외기분리 다단형 구조를 가진 방열판, 함체 및 냉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745A KR20100037421A (ko) 2008-10-01 2008-10-01 외기분리 다단형 구조를 가진 방열판, 함체 및 냉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421A true KR20100037421A (ko) 2010-04-09

Family

ID=42214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745A Ceased KR20100037421A (ko) 2008-10-01 2008-10-01 외기분리 다단형 구조를 가진 방열판, 함체 및 냉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742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09Y1 (ko) * 2011-03-17 2013-03-11 비피솔루션(주) Led 가로등시스템의 방열장치
KR20140082353A (ko) *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만도 내장형 컴퓨터 전자제어장치의 냉각 장치
US9848507B2 (en) 2016-04-06 2017-12-19 Humax Co., Ltd. Heat dissipation module assembly and set-top box having the same
CN110736086A (zh) * 2019-11-29 2020-01-31 福建省中科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散热器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09Y1 (ko) * 2011-03-17 2013-03-11 비피솔루션(주) Led 가로등시스템의 방열장치
KR20140082353A (ko) *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만도 내장형 컴퓨터 전자제어장치의 냉각 장치
US9848507B2 (en) 2016-04-06 2017-12-19 Humax Co., Ltd. Heat dissipation module assembly and set-top box having the same
CN110736086A (zh) * 2019-11-29 2020-01-31 福建省中科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散热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A review of flow and heat transfer behaviour of nanofluids in micro channel heat sinks
CN102569222B (zh) 冷却装置及具备该冷却装置的电力转换装置
US8737071B2 (en) Heat dissipation device
TWI525300B (zh) 功率模組用複合式散熱器組件
US20060291168A1 (en) Heat dissipating module and heat sink assembly using the same
US20060289146A1 (en) Thermal module incorporating heat pipe
CN105932538A (zh) 具备具有散热翅片的l字状热传导部件的空冷式激光装置
JP6126149B2 (ja) 放熱フィンを有する熱伝導部材を備えた空冷式レーザ装置
JP2008205421A (ja) 熱交換器
CN108801017B (zh) 发热源的散热装置
US20100038056A1 (en) High performance compact heat exchanger
CN106338211B (zh) 热交换器
TWM289878U (en) Heat-dissipation structure of water-cooling type parallel runner
JP2013143488A (ja) 直交する2組の放熱フィンを有する放熱用ヒートシンクを備えたサーボアンプ
JP4899997B2 (ja) サーマルサイフォン式沸騰冷却器
CN110557927A (zh) 散热器以及制造散热器的方法
JP2009099740A (ja) 筐体の冷却装置
CN111741650A (zh) 热超导散热板、散热器及5g基站设备
KR20100037421A (ko) 외기분리 다단형 구조를 가진 방열판, 함체 및 냉각기
CN2834120Y (zh) 自然空冷式被动循环微槽群相变散热系统
US20150168086A1 (en) Carbon Fiber Heat Exchangers
US20060011325A1 (en) Micro-channel heat sink
JP2010080507A (ja) 電子装置
CN102036536B (zh) 散热装置
CN103593026A (zh) 双相变化循环式水冷模块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2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6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