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876A - Bush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Bush for automob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35876A KR20100035876A KR1020080095249A KR20080095249A KR20100035876A KR 20100035876 A KR20100035876 A KR 20100035876A KR 1020080095249 A KR1020080095249 A KR 1020080095249A KR 20080095249 A KR20080095249 A KR 20080095249A KR 20100035876 A KR20100035876 A KR 201000358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mounting bush
- bridge portion
- rubber body
- bus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마운팅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도로의 단차나 요철을 통과할 때, 진동 및 충격 흡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마운팅 부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bush for automobi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nting bush for automobiles to facilitate the absorption of vibration and shock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a step or unevenness of the road.
일반적으로 차량용 CTBA(Coupled Torsion Beam Axle)는 차량의 후륜부 휠 사이에 장착되어 차량의 코너링과 브레이킹시 조정 안정성과 승차감 향상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소형차의 후륜 서스펜션 타입으로 적용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the CTBA (Coupled Torsion Beam Axle) for vehicles is mounted between the rear wheels of the vehicle and is responsible for adjusting stability and riding comfort during cornering and braking of the vehicle. to be.
이러한 CTBA를 구성하는 부품은, 트레일링암, 토션바, 마운팅 부시로 나누어진다.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TBA are divided into a trailing arm, a torsion bar, and a mounting bush.
상기 트레일링암은 하나의 강체 링크로 취급되며 전체적인 움직임을 구속하는 링크로 모든 부품이 트레일링암에 장착되는 구조를 이룬다.The trailing arm is treated as one rigid link and forms a structure in which all parts are mounted to the trailing arm as a link restraining the overall movement.
상기 토션바는 주로 차량의 롤 거동에 대한 영향을 제어하며 롤강성 및 좌우 횡력에 대한 트레일링암의 운동을 구속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torsion bar mainly controls the influence of the roll behavior of the vehicle and serves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trailing arm with respect to the roll stiffness and the lateral force.
또한, 상기 마운팅 부시는 지면에서 들어오는 진동 및 충격에 대해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bush serves to mitigate the vibration and impact coming from the ground.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CTBA는 차체와 연결하는 점이 다른 서스펜션에 비해 지지점의 개수가 2개로 적은 편이나, 이에 비해 들어오는 하중은 다양하게 들어오며 크기도 상대적으로 큰 값이 입력된다.CTBA is constructed with such a configuration, but the number of supporting points is smaller than that of other suspensions, but the incoming loads come in a variety of sizes and relatively large values are input.
따라서, 상기 마운팅 부시의 성능에 따라 차량의 성능 변화가 많으며, 승차감 및 조종 안정성 측면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바, 통상 CTBA의 마운팅 부시는 횡력에 대한 강성은 조정 안정성 측면에서 크게 설정하고, 전후력에 대해서는 승차감 측면에서 작게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varies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mounting bush, and occupies an important part in terms of ride comfort and steering stability. In general, the mounting bush of the CTBA is largely set in terms of adjustment stability in terms of adjustment stability, In general, it is generally set smaller in terms of riding comfort.
보통, 자동차용 마운팅 부시의 형상은 원통형에 공간을 추가한 형태로 대칭적인 형상을 주로 사용한다.In general, the shape of the automotive mounting bush is a symmetrical shape is mainly used to add a space to the cylindrical shape.
종래의 마운팅 부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파이프(110) 및 외측 파이프(120)와, 상기 내,외측 파이프(110,120)를 일체 결속시켜주는 고무체(130)와, 상기 고무체(130)에 형성되어 직접적으로 차량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브릿지부(140)로 이루어져 있다. Conventional mounting bush, as shown in Figure 4, the
그런데,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마운팅 부시의 구성 중, 상기 브릿지부(140)의 내부가 차량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 시에 변형에 의해 접촉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By the wa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mounting bush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act noise is generated by the deformation when the interior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자동차용 마운팅 부시에 형성된 브릿지부의 일측면에 요철면을 구비하여 타측면과의 선접촉을 유도함으로써, 부시의 내구성능과 관련된 물리적 특성 중, 수평 방향으로의 변형으로 인한 접촉 소음을 저감시켜 자동차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마운팅 부시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having a concave-convex surface on one side of the bridge portion formed in the automobile mounting bush to induce lin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the physical performance related to the durability of the bush Among the characteristics, it is to provide a mounting bush for a vehicle that can improve the running stability of the vehicle by reducing the contact noise due to deform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 파이프 및 외측 파이프와, 상기 내,외측 파이프를 일체 결속시켜주는 고무체와, 상기 고무체에 형성되어 직접적으로 차량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브릿지부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마운팅 부시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14)는 그 내측면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선택된 어느 한 면에 요철면(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pipe and the outer pipe, a rubber body for integrally binding the inner and outer pipes, and a bridge formed on the rubber body directly absorbs the vibration and impact of the vehicle In the vehicle mounting bush made of a portion, th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요철면(20)은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직선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마운팅 부시에 의하면, 부시의 내구성능과 관련된 물리적 특성 중, 수평 방향으로의 변형으로 인한 접촉 소 음을 저감시켜 자동차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otive mounting b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physical properties related to the durability of the bush,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unning stability of the vehicle by reducing the contact noise due to deform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 i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마운팅 부시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마운팅 부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마운팅 부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mounting b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mounting bracke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mounting bush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o be.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직경을 갖는 내측 파이프(11) 및 외측 파이프(12)와, 상기 내,외측 파이프(11,12)를 일체 결속시켜주는 고무체(13)와, 상기 고무체(13) 중심의 상하측 방사상에 형성되어 직접적으로 차량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브릿지부(14)로 이루어져 있다. 2 and 3,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부(1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브릿지부(14)의 내측면 일측에 요철면(20)이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의 변형으로 인한 접촉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상기 요철면(2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같이 일측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일측면 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타측면에 형성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구현하므로 그 장착 위치는 상관없다. At this time, the concave-
상기 요철면(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릿지부(14)의 내측면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의 선택된 어느 한 면에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 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직선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 the
이와 같은 요철면(20)은 상기 브릿지부(14)의 내측면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선택된 어느 한 면에 구비되어 노면 또는 차체의 무게 변화에 의하여 대응하는 다른면과 선접촉을 하게 되고, 그 밀착된 면이 서로 미끄럼 운동을 하게 되는데, 상기 요철면(20)이 그 요철면(20)과 대응하는 면에 쿠션 효과를 주게 되어 접촉 소음을 줄여주게 된다.Such
더불어, 상기 요철면(20)과 그 밀착면이 서로 선접촉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접촉 면적이 감소하게 되므로 접촉 소음을 줄여주는 효과를 더욱 도모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부시(10)의 구성인 고무체(13)에 형성된 브릿지부(14)에 의해 직접적으로 차량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브릿지부(14)의 일측면에 요철면(20)을 두어 수평 방향으로의 변형으로 인한 접촉 소음을 저감시켜 자동차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and impact of the vehicle are directly absorbed by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equivalents may be resorted 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마운팅 부시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사시도,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mounting b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마운팅 부시를 나타내는 정면도,2 is a front view showing a mounting bush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마운팅 부시를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mounting bush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종래의 자동차용 마운팅 부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ounting bracket for a vehicl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마운팅 부시 11 : 내측 파이프10 mounting bush 11: inner pipe
12 : 외측 파이프 13 : 고무체12: outer pipe 13: rubber body
14 : 브릿지부 20 : 요철면14: bridge portion 20: uneven surface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5249A KR20100035876A (en) | 2008-09-29 | 2008-09-29 | Bush for automobi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5249A KR20100035876A (en) | 2008-09-29 | 2008-09-29 | Bush for automobi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5876A true KR20100035876A (en) | 2010-04-07 |
Family
ID=4221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5249A Ceased KR20100035876A (en) | 2008-09-29 | 2008-09-29 | Bush for automobi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35876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6159B1 (en) | 2018-07-19 | 2019-08-01 | 현대위아 주식회사 | Alignment gauges for cannonball loading apparatus |
KR20200005759A (en) | 2018-07-09 | 2020-01-17 | 현대위아 주식회사 | Axles for vehicle drive wheels |
CN112824214A (en) * | 2019-11-20 | 2021-05-21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Auxiliary frame mounting bushing structure and vehicle |
US11453262B2 (en) * | 2019-11-08 | 2022-09-27 | Hyundai Motor Company | Void bush for vehicle suspension |
-
2008
- 2008-09-29 KR KR1020080095249A patent/KR20100035876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5759A (en) | 2018-07-09 | 2020-01-17 | 현대위아 주식회사 | Axles for vehicle drive wheels |
KR102006159B1 (en) | 2018-07-19 | 2019-08-01 | 현대위아 주식회사 | Alignment gauges for cannonball loading apparatus |
US11453262B2 (en) * | 2019-11-08 | 2022-09-27 | Hyundai Motor Company | Void bush for vehicle suspension |
CN112824214A (en) * | 2019-11-20 | 2021-05-21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Auxiliary frame mounting bushing structure and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33771B2 (en) | Vehicle suspension system | |
KR100980877B1 (en) | Trailing Arm Assembly for Suspension | |
KR20100035876A (en) | Bush for automobile | |
JP2008201307A (en) | Stabilizer device | |
KR20060014152A (en) | Torsion Beam Axle Type Rear Suspension | |
KR100726568B1 (en) | Torsion Bar Type Vehicle Rear Suspension | |
KR100844653B1 (en) | Tension Arm of Automotive Suspension | |
KR20090055973A (en) | Torsion beam of vehicle | |
KR200491248Y1 (en) | rolling preventing device of automobile axle | |
JP4529737B2 (en) | Trailing arm structure | |
KR100908175B1 (en) | Car Stabilizer Bar | |
KR100217590B1 (en) | Rear suspension of car | |
JP2008201306A (en) | Stabilizer device | |
KR100936986B1 (en) | Roll control unit for suspension system | |
KR20090055842A (en) | Trailing arm bush for lateral flow control of automobiles | |
KR20090124402A (en) | Automotive Axle Mounting Units | |
JP2002046442A (en) | Rear suspension structure of vehicle | |
KR20080023557A (en) | Strut Mount Structure of Automotive Suspension | |
KR100831495B1 (en) | Structure of stabilizer bar for automobile | |
KR20100035874A (en) | Mounting bush for automobile | |
KR101211421B1 (en) | Torsion beam for vehicles | |
KR100993367B1 (en) | Rear suspension of car | |
KR101125301B1 (en) | Variable strut insulator | |
KR100862267B1 (en) | Trailing arm bush of a car | |
KR100391607B1 (en) | Suspension system of b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0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5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