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33457A - 수지호스 - Google Patents

수지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3457A
KR20100033457A KR1020080092454A KR20080092454A KR20100033457A KR 20100033457 A KR20100033457 A KR 20100033457A KR 1020080092454 A KR1020080092454 A KR 1020080092454A KR 20080092454 A KR20080092454 A KR 20080092454A KR 20100033457 A KR20100033457 A KR 20100033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reinforcement
resin hose
hose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선
Original Assignee
정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선 filed Critical 정인선
Priority to KR1020080092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3457A/ko
Priority to PCT/KR2009/005346 priority patent/WO2010032996A2/ko
Priority to CN2009801448243A priority patent/CN102159864A/zh
Priority to US13/119,745 priority patent/US20110162749A1/en
Publication of KR20100033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457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08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reinforcements embedded in the wall
    • F16L11/08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reinforcements embedded in the wall comprising one or more braided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08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reinforcements embedded in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이송용 수지호스는 수지로 된 관 형태의 내피; 수지로 된 관 형태의 외피; 및 이들 내피와 외피 사이에 개재된 직물 보강층을 포함한다. 직물 보강층은 서로 교차하는 제1방향 보강재와 제2방향 보강재를 포함하며, 각각의 보강재들은 서로 다른 굵기, 서로 다른 두께 또는 서로 다른 연사수를 갖는 실들로 이루어진다. 각 보강재를 서로 다른 굵기, 서로 다른 두께 또는 서로 다른 연사수를 갖는 실들로 구성함으로써 전체 실의 양을 증가하지 않고도 내피와 외피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호스의 내압을 높일 수 있다.
수지호스, 내피, 외피, 직물, 보강층, 내압, 실, 직조, 편사, 연수

Description

수지호스{Resin hose}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호스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직물 보강층을 개재한 수지호스에 관한 것이다.
호스는 자유롭게 휘어지도록 고무, 수지, 헝겊 등의 다양한 재료로 만든 관으로서 물, 가스 또는 유동 가능한 토사와 같은 유체를 이송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이들 호스 중에서 수지호스는 고무 또는 수지로 된 관 형태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직물 보강층을 배치하여 필요한 강도를 보강한다.
수지호스는 필요한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고, 내피와 외피 사이의 접착력이 우수해 수명이 길며, 내피와 외피가 연질의 고무 또는 수지로 되어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수지호스는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며 그 일례가 도 1과 도 2에 도시된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수지호스(10)는 고무 또는 수지로 된 관 형태의 내피(12)와 외피(16)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직물 보강층(14)을 포함한다. 직물 보강층(14)은 제1방향 실(14a)과 제2방향 실(14b)을 서로 교차시켜 형성한 것으로 호스의 강도를 강화하면서 적절한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수지호스(10)는 보강층(14)의 실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다는 문제가 있다. 실 사이의 간격이 넓으면 내피(12)와 외피(16) 수지 사이의 접착력은 좋으나 보강층(14)의 강도가 떨어지고 호스(10)가 견딜 수 있는 압력이 낮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지호스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지호스(20)는 고무 또는 수지로 된 관 형태의 내피(22)와 외피(26)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직물 보강층(24)을 포함한다. 직물 보강층(22)은 한 쌍의 제1방향 실(24a, 24b)과 다른 한 쌍의 제2방향 실(24c, 24d)을 서로 교차시켜 형성한 것이다.
2쌍의 실로 직물 보강층(24)을 구성하면 보강층(24)의 강도를 크게 할 수 있고 호스(20)가 견딜 수 있는 압력도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실의 양이 늘어남으로써 호스(20)의 무게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실 간격이 좁아서 접착력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실의 양이 증가하고 조밀하게 배치됨에 따라 유연성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지호스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지호스(30)는 고무 또는 수지로 된 관 형태의 내피(32), 중간피(36) 및 외피(40)가 구비되고, 이들 사이에 제1 직물 보강층(34)과 제2 직물 보강층(38)이 배치된 구성이다. 즉, 제1 직물 보강층(34)은 내피(32)와 중간피(36)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직물 보강층(38)은 중간피(36)와 외피(40) 사이에 배치된다.
각각의 직물 보강층(34, 38)의 실의 교차 형태는 도 1과 2에 도시한 종래기술의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4의 종래기술의 예는 직물 보강층(34, 38)을 이중으로 구성한 것으로 전체 보강층(34, 38)의 강도가 증가하여 호스(30)가 견딜 수 있는 압력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중간피(36)를 사용하고 직물 보강층(34, 38)을 이중으로 하였기에 전체 호스(30)의 무게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내피와 외피 사이에 직물 보강층을 개재한 유체 이송용 수지호스에서, 제1조의 실들과 제2조의 실들을 서로 교차시켜 직물 보강층을 형성하되, 각 조를 서로 다른 굵기, 서로 다른 두께 또는 서로 다른 연사수의 실들로 구성함으로써 전체 실의 양을 증가하지 않고도 내피와 외피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수지호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이송용 수지호스는 수지로 된 관 형태의 내피;
수지로 된 관 형태의 외피; 및
이들 내피와 외피 사이에 개재된 직물 보강층;을 포함한다.
상기 직물 보강층은 제1방향 보강재와 제2방향 보강재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보강재들은 서로 다른 굵기, 서로 다른 두께 또는 서로 다른 연사수(꼬임수, twisting number)를 갖는 실들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1방향 및 제2방향 보강재는 서로 직조(weaving) 또는 편사(knitting)된다.
또, 각각의 보강재의 실들은 동일한 오버 및 언더 패턴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오버 및 언더 패턴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수지호스에서, 각각의 보강재들을 직조 또는 편사할 때 두 가닥 이상의 실을 합사하여 한 가닥의 실처럼 사용하며, 이 합사되어 한 가닥을 이루는 두 가닥 이상의 실은 서로 다른 굵기, 서로 다른 두께 또는 서로 다른 연사수(꼬임수)의 실을 배치하여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방향 보강재와 제2방향 보강재는 직조 또는 편사할 때 합사되어 한 가닥을 이루는 실이 동일한 배치로 이루어지게 하거나 또는 제1방향 보강재와 제2방향 보강재의 합사되어 한 가닥을 이루는 실들의 배치를 서로 다르게 하여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수지호스에서, 보강재가 굵기가 다른 실이 3개로서 합사되어 한 가닥을 이룰 때, 이 3개의 실들은 1:1.5:2의 상대 굵기를 가지면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 이송용 수지호스에 따르면, 실들로 된 제1 및 제2 방향 보강재들을 서로 교차시켜 직물 보강층을 형성하되, 각 보강재를 서로 다른 굵기, 서로 다른 두께 또는 서로 다른 연사수의 실들로 구성함으로써 전체 실 의 양을 증가하지 않고도 내피와 외피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내압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피와 외피 사이의 접착력이 증가하므로 사용 중에 외피가 벗겨지는 일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수지호스의 수명이 연장된다.
아울러, 실의 양이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수지호스의 유연성이 감소되는 일도 없다.
더욱이, 각 보강재의 실들이 서로 다른 굵기, 서로 다른 두께 또는 서로 다른 연사수를 가지므로 실들 사이의 굵기 차에 의한 요철과 마찰에 의해 수지호스의 유연성이 증가하고 내피와 외피의 접착이 더욱 강화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용 수지호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용 수지호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용 수지호스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먼저, 도 5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체 이송용 수지호스(100)는 수지로 된 관 형태의 내피(120)와 외피(160)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직물 보강층(140)을 포함한다. 이때의 직조는 하나의 추(bobbin)에서 두 가닥의 실(142a와 142b 또는 144a와 144b)을 합사하여 한 가닥의 실과 같이하여 직조한다.
직물 보강층(140)은 서로 교차하는 제1방향 보강재(142a, 142b)와 제2방향 보강재(144a, 144b)를 포함한다. 제1방향 보강재(142a, 142b)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제1실(142a)과 제2실(142b)로 이루어지며, 제1실(142a)은 제2실(142b)보다 두께가 크다. 제2방향 보강재(144a, 144b)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제1실(144a)과 제2실(144b)로 이루어지며, 제1실(144a)은 제2실(144b)보다 두께가 크다.
각각의 보강재의 제1 및 제2실들은 동일한 오버 및 언더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방향 보강재(142a, 142b)의 제1실(142a)과 제2실(142b)은 동일한 오버 및 언더 패턴으로 제2방향 보강재(144a, 144b)의 제1실(144a)과 제2실(144b)과 직조되어 있다. 또, 제2방향 보강재(144a, 144b)의 제1실(144a)과 제2실(144b)도 역시 동일한 오버 및 언더 패턴으로 제1방향 보강재(142a, 142b)의 제1실(142a)과 제2실(142b)과 직조되어 있다.
이와 달리, 각각의 보강재의 제1 및 제2실들을 서로 다른 오버 및 언더 패턴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방향 보강재(142a, 142b)의 제1실(142a)과 제2실(142b)은 서로 다른 오버 및 언더 패턴으로 제2방향 보강재(144a, 144b)의 제1실(144a)과 제2실(144b)과 직조할 수 있고, 제2방향 보강 재(144a, 144b)의 제1실(144a)과 제2실(144b)도 역시 서로 다른 오버 및 언더 패턴으로 제1방향 보강재(142a, 142b)의 제1실(142a)과 제2실(142b)과 직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합사되어 한 가닥을 이루는 제1방향 보강재와 제2방향 보강재의 실들을 동일하게 배치, 즉 제1방향 보강재의 제1실(142a)과 제2방향 보강재의 제1실(144a)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고, 제1방향 보강재의 제2실(142b)과 제2방향 보강재의 제2실(144b)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였으나, 제1방향 보강재의 제1실(142a)과 제2방향 보강재의 제1실(144a)의 두께를 달리하고, 제1방향 보강재의 제2실(142b)과 제2방향 보강재의 제2실(144b)의 두께를 달리하여 합사되어 한 가닥을 이루는 실들의 배치를 틀리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실(142a, 144a)과 제2실(144a, 144b)의 두께를 달리 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수지호스가 견딜 수 있는 압력인 내압은 실의 양과 실의 강도에 비례하며, 실의 단면은 거의 원형이어서 실의 양은 실의 반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체 실의 양을 동일하게 하면서, 서로 다른 굵기의 2개의 실을 배치하면 동일한 두께의 2개의 실을 배치하는 것보다 전체 실의 폭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실의 폭이 좁아질수록 호스의 내피와 외피가 직접 접착하는 면적은 증가하므로 내피와 외피 사이의 접착력은 증가한다.
이와 같이 제1실(142a, 144a)과 제2실(142b, 144b)의 두께를 달리하거나 각 각의 실(142a, 142b, 144a, 144b)의 두께를 달리하면 내피(120)와 외피(160) 사이의 접착력이 증가하며, 그에 따라 수지호스의 강도 및 내압력 역시 개선된다.
또한, 내피와 외피 사이의 접착력이 증가하므로 사용 중에 외피가 벗겨지는 일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수지호스의 수명이 연장된다. 아울러, 실의 양이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수지호스의 유연성이 감소되는 일도 없다. 더욱이, 각 보강재의 실들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므로 실들 사이의 두께 차에 의한 요철과 마찰에 의해 수지호스의 유연성이 증가하고 내피와 외피의 접착이 더욱 강화된다.
이때, 제1실(142a, 144a)과 제2실(144a, 144b)은 다양한 두께 비를 가질 수 있으나, 1:1/5 내지 1:4/5의 두께 비를 적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1/2의 두께 비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제1방향 보강재(142a, 142b)와 제2방향 보강재(144a, 144b)가 직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들은 편조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유체 이송용 수지호스(100)는 수지로 된 관 형태의 내피(120)와 외피(160)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직물 보강층(140)을 포함한다. 이때의 직조는 하나의 추(bobbin)에서 한 가닥의 실(142a, 142b, 144a 및 144b)을 각각 배출하여 직조한 것이다. 구성과 작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도 5)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용 수지호스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용 수지호스(200)는 수지로 된 관 형태의 내피(220)와 외피(260)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직물 보강층(240)을 포함한다.
직물 보강층(240)은 서로 교차하는 제1방향 보강재(242a, 242b, 242c)와 제2방향 보강재(244a, 244b, 244c)를 포함한다. 제1방향 보강재(242a, 242b, 242c)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제1실(242a), 제2실(242b) 및 제3실(242c)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제1실(242a), 제2실(242b) 및 제3실(242c)의 순서로 된 두께를 갖는다. 제2방향 보강재(242a, 242b, 242c)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제1실(244a), 제2실(244b) 및 제3실(244c)로 이루어지며, 제1실(244a), 제2실(244b) 및 제3실(244c)의 순서로 된 두께를 갖는다.
이때 제1방향 보강재의 각각의 실들(242a, 242b, 242c)는 합사하어 한 가닥의 실처럼 사용하며, 마찬가지로 제2방향 보강재의 각각의 실들(244a, 244b, 244c)도 합사하어 한 가닥의 실처럼 사용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실들(242a, 242b, 242c, 244a, 244b, 244c)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게 구성하여도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조의 실의 수를 증가하면 직물 보강층(240)의 강도가 증가함으 로써 전체 수지호스(200)의 내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물론, 각 조의 실의 수는 수지호스의 필요한 용도 및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각 조의 실의 수를 달리하더라도 도 5, 도 6 또는 도 8을 참조하여 선행 실시예에서 전술한 특징 및 유리한 성능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된다. 실의 수를 달리하거나, 굵기, 두께 또는 연사수를 달리하여 적용하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 또는 응용할 수 있는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유체 이송용 수지호스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의 유체 이송용 수지호스의 다른 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의 유체 이송용 수지호스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용 수지호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용 수지호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용 수지호스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100, 200: 수지호스
120, 220: 내피
140, 240: 직물 보강층
160, 260: 외피
142a, 142b, 242a, 242b, 242c: 제1방향 실
144a, 144b, 244a, 244b, 244c: 제2방향 실

Claims (5)

  1. 유체 이송용 수지호스에 있어서,
    수지로 된 관 형태의 내피;
    수지로 된 관 형태의 외피; 및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개재된 직물 보강층;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물 보강층은 서로 교차하는 제1방향 보강재와 제2방향 보강재로 구성되며, 위 제1방향 보강재가 서로 다른 굵기, 서로 다른 두께 또는 서로 다른 연사수로 형성된 두 가닥 이상의 실들이 하나의 단위가 되어 반복적으로 배치되고, 위 제2방향 보강재는 동일한 굵기의 실들이 배치된 형태로 편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호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 보강재가 서로 다른 굵기, 서로 다른 두께 또는 서로 다른 연사수로 형성된 두 가닥 이상의 실들이 하나의 단위가 되어 반복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호스.
  3. 유체 이송용 수지호스에 있어서,
    수지로 된 관 형태의 내피;
    수지로 된 관 형태의 외피; 및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개재된 직물 보강층;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물 보강층은 서로 교차하는 제1방향 보강재와 제2방향 보강재로 구성되며, 위 제1방향 보강재와 제2방향 보강재가 서로 다른 굵기, 서로 다른 두께 또는 서로 다른 연사수로 형성된 두 가닥 이상의 실들이 한 가닥의 실처럼 합사된 실들로 편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호스.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 보강재의 실들이 동일한 오버 및 언더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호스.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 보강재의 실들이 서로 다른 오버 및 언더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호스.
KR1020080092454A 2008-09-19 2008-09-20 수지호스 Withdrawn KR20100033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454A KR20100033457A (ko) 2008-09-20 2008-09-20 수지호스
PCT/KR2009/005346 WO2010032996A2 (ko) 2008-09-19 2009-09-19 수지호스
CN2009801448243A CN102159864A (zh) 2008-09-19 2009-09-19 树脂软管
US13/119,745 US20110162749A1 (en) 2008-09-19 2009-09-19 Resin ho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454A KR20100033457A (ko) 2008-09-20 2008-09-20 수지호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577U Division KR20110010136U (ko) 2011-08-22 2011-08-22 수지호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457A true KR20100033457A (ko) 2010-03-30

Family

ID=4204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454A Withdrawn KR20100033457A (ko) 2008-09-19 2008-09-20 수지호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162749A1 (ko)
KR (1) KR20100033457A (ko)
CN (1) CN102159864A (ko)
WO (1) WO201003299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4456A (ko) * 2018-02-19 2022-05-02 게이츠 코포레이션 압력 호스
KR20230088608A (ko) * 2021-12-11 2023-06-20 정상원 농업용 호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57388C2 (ru) * 2010-10-07 2012-07-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руппа ПОЛИМЕРТЕПЛО" (ООО "Группа ПОЛИМЕРТЕПЛО") Многослойная армированная полимерная труба и система труб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воды
KR101349977B1 (ko) * 2012-05-19 2014-01-13 정인선 내압용 호스
US9188255B2 (en) * 2012-06-06 2015-11-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Knit fabric and an article comprising same
CN113154178B (zh) * 2020-01-07 2022-10-04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内衬承压软管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973A (ja) * 1995-07-07 1997-01-21 Hakko:Kk 糸入りホース並びにその製造法
IT1292955B1 (it) * 1997-02-20 1999-02-11 Fitt Spa Struttura di tubo flessibile rinforzato.
JP4323127B2 (ja) * 1999-12-15 2009-09-02 ナムローゼ・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ベーカート・ソシエテ・アノニム 剛性複合物品用補強構造体
JP2001241572A (ja) * 1999-12-24 2001-09-07 Nichirin Co Ltd ゴムホースおよびゴムホースの製法
KR20050092302A (ko) * 2004-03-15 2005-09-21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고무호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4456A (ko) * 2018-02-19 2022-05-02 게이츠 코포레이션 압력 호스
KR20230170143A (ko) * 2018-02-19 2023-12-18 게이츠 코포레이션 압력 호스를 위한 보강층
KR20230088608A (ko) * 2021-12-11 2023-06-20 정상원 농업용 호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62749A1 (en) 2011-07-07
WO2010032996A2 (ko) 2010-03-25
WO2010032996A3 (ko) 2010-07-29
CN102159864A (zh)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3457A (ko) 수지호스
CA2673739C (en) Power steering hose design for performance in high pressure and low to high volumetric expansion environments
KR20160124128A (ko) 비틀림이 없는 래핑가능한 편성 슬리브 및 그 제조 방법
CN114729476B (zh) 抗冲击可缠绕多层编织套筒及其构造方法
CN102985738B (zh) 具有编织加强结构的柔性软管和其制造方法
JP2013166375A (ja) 強化フレキシブルpvcホースの製造方法
ITVI20100217A1 (it) Struttura di tubo flessibile con rinforzo interlacciato
KR20110010136U (ko) 수지호스
EP3090785A1 (en) Carcass for a sports ball
WO2017106026A1 (en) End fray resistant woven protective texti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101349977B1 (ko) 내압용 호스
JP6668616B2 (ja) コンベヤベルト
JP2008538594A (ja) 透かし編み樹脂注入媒体および強化複合薄層
KR101350042B1 (ko) 내압용 호스
KR102024134B1 (ko) 스트레치 튜브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스트레치 튜브원단
KR101350009B1 (ko) 내압용 호스
JPS62117845A (ja) 丸織布とこれを組合わせたホ−ス
CA2574144A1 (en) Improved enhanced thickness fabric and method of making same
CN211546796U (zh) 一种多角度变色网布
EA007051B1 (ru) Армирующая ткань с однонаправленным армированием, прикрепляемая к механической армируемой структуре
JP4948723B2 (ja) 消防ホース
JP2016223054A (ja) 耐切創性を備えた糸、編織物及び手袋
KR101462336B1 (ko) 토오치 절단용 호스
KR101479855B1 (ko) 내압용 호스
KR200274794Y1 (ko) 내굴절 내압 가든 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8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9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912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C1205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