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2179A - 공작기구 - Google Patents
공작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32179A KR20100032179A KR1020080091211A KR20080091211A KR20100032179A KR 20100032179 A KR20100032179 A KR 20100032179A KR 1020080091211 A KR1020080091211 A KR 1020080091211A KR 20080091211 A KR20080091211 A KR 20080091211A KR 20100032179 A KR20100032179 A KR 201000321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fastening member
- action force
- tool
- processing to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30 cut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2—Boring bars
- B23B29/022—Boring bars with vibration reduc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23Q5/043—Accessories for spindle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면의 접촉영역이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피 가공물의 가공시 발생하는 진동에 대한 흡수율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구는 절삭팁이 구비되며, 원기둥 구조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가공툴과; 원기둥 구조의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가공툴의 일부 영역이 끼워져 결합하도록 결합구멍이 구비되며, 가공툴의 고정을 위한 작용력을 제공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가 끼워져 결합하도록 결합구멍이 구비되며, 슬리브의 고정을 위한 작용력을 제공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홀더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홀더블록에 구비되는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구멍에 끼워진 슬리브의 측면 방향으로 120도 간격의 방향에서 고정을 위한 작용력이 제공되도록 작용력을 제공하는 어느 두 방향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가공 툴이 홀더블록에 안정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고, 피가공물의 가공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흡수율이 증가될 수 있으며, 피가공물의 가공오차율 및/또는 표면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공작기구, 가공 툴, 홀더블록, 절삭, 공작기계
Description
본 발명은 결합면의 접촉영역이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피 가공물의 가공시 발생하는 진동에 대한 흡수율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피가공물의 절삭, 연삭 및/또는 드릴링 등과 같은 가공을 위한 가공 툴(tool : 기구)이 슬리브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슬리브가 공작기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블록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가공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가공 툴은 피가공물이 고속으로 회전되는 상태에서 서로 접하여 가공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가공 툴 자체가 고속으로 회전되는 상태에서 서로 접하여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가공 툴은 피가공물과의 접촉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진동은 가공시 가공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비트의 손상을 유발하거나, 그리고/또는 피가공물에 대한 표면 정밀도 등의 저하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가공시 발생하는 진동은 공작기구에 의해 흡수되지 못하는 경우, 발생 된 진동이 공작기구와 공작기구가 결합되는 공작기계로 전달되어 가공툴 및/또는 가공툴이 결합되는 슬리브의 결합 상태가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원인에 의해, 가공 오차율이 커지게 될 수 있다.
한편, 발생하는 진동이 가공 툴과 슬리브 간의 결합력 및/또는 슬리브와 홀더블록 간의 결합력보다 커지게 되는 경우, 가공툴이 슬리브로부터 분리되거나, 그리고/또는 슬리브가 홀더블록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가공툴 및/또는 슬리브가 분리되어 이탈되는 경우, 고속회전에 의한 가공작업의 특성으로 인해 분리된 공작기구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가공툴과 슬리브 및/또는 슬리브와 홀더블록의 결합구조를 다양하게 개선하여 진동이 최대한 흡수될 수 있도록 노력을 하고 있으나, 실제 작업시 결합구조에 의한 진동흡수율을 그다지 크게 개선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작기구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가공툴과 슬리브 간의 결합구조 및/또는 슬리브와 홀더블록 간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가공시 발생하는 진동의 흡수율이 향상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진동흡수율을 향상시켜 가공 비트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진동흡수율을 향상시켜 가공오차를 감소시키고,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가공툴 및/또는 슬리브의 결합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여, 가공툴 및/또는 슬리브의 분리가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공작기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진동흡수율이 증가를 위하여 최대한 동일한 작용력이 가공툴 및/또는 슬리브의 고정을 위한 작용점에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작기구는 단부 영역에 절삭팁이 구비되며, 원기둥 구조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가공툴과; 원기둥 구조의 몸체로 구성되고, 가공툴의 일부 영역이 끼워져 결합하도록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구멍이 구비되며, 가공툴의 고정을 위한 작용력을 제공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슬리브와; 슬리브가 끼워져 결합하도록 결합구멍이 구비되며, 슬리브의 고정을 위한 작용력을 제공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홀더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홀더블록에 구비되는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구멍에 끼워진 슬리브의 측면 방향으로 120도 간격의 방향에서 고정을 위한 작용력이 제공되도록 작용력을 제공하는 어느 두 방향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슬리브는 홀더블록에 구비되는 체결부재와 접하는 영역이 체결부재의 단부 측면과 상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체결부재의 접촉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지지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슬리브에 구비되는 체결부재는 결합구멍에 끼워진 가공툴의 측면 방향으로 120도 간격의 방향에서 고정을 위한 작용력이 제공되도록 작용력을 제공하는 어느 두 방향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가공툴은 슬리부에 구비되는 체결부재와 접하는 영역이 체결부재의 단부 측면과 상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체결부재의 접촉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지지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슬리브에 구비되는 체결부재는 홀더블록에 구비되는 체결부재와 평면상 위치에서 서로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슬리브의 고정을 위한 작용점과 가공툴의 고정을 위한 작용점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공작기구는 단부 영역에 절삭팁이 구비 되며, 원기둥 구조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가공툴과; 원기둥 구조의 몸체로 구성되고, 가공툴의 일부 영역이 끼워져 결합하도록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구멍이 구비되며, 가공툴의 고정을 위한 작용력을 제공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슬리브와; 슬리브가 끼워져 결합하도록 결합구멍이 구비되며, 슬리브의 고정을 위한 작용력을 제공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홀더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슬리브에 구비되는 체결부재는 결합구멍에 끼워진 슬리브의 측면 방향으로 120도 간격의 방향에서 고정을 위한 작용력이 제공되도록 작용력을 제공하는 어느 두 방향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공툴은 슬리브에 구비되는 체결부재와 접하는 영역이 체결부재의 단부 측면과 상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체결부재의 접촉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지지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개선된 가공툴과 슬리브 간의 결합구조 및/또는 슬리브와 홀더블록 간의 결합구조에 의해 진동흡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흡수율의 향상으로 가공 비트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향상된 진동흡수율로 인해 가공오차가 감소될 수 있고, 또한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선된 결합구조에 의해 가공툴 및/또는 슬리브의 결합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가공툴 및/또는 슬리브의 분리가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공작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진동흡수율이 증가를 위하여 최대한 동일한 작용력이 가공툴 및/또는 슬리브의 고정을 위한 작용점에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구(10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작기구(100)는 피가공물의 가공을 위하여 가공툴(130)이 구비되며, 상기 가공툴(130)은 슬리브(120)에 의해 공작기계(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 는 홀더블록(110)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블록(110)은 슬리브(1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111)에 결합구멍(1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112)에 장착되는 슬리브(120)를 고정하는 체결부재(115a,115b)가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111)의 외부에서 결합구멍(112)으로 관통되는 삽입구멍(113a,113b)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구멍(113a,113b)은 상기 홀더블록 몸체(111)의 측면 위치의 두 방향에서 결합구멍(112)의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두 방향으로 배치되는 삽입구멍(113a,113b)은 서로에 대하여 약 120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슬리브(120)가 홀더블록(110)의 결합구멍(11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멍(113a,113b)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15a,115b)가 상기 슬리브(120)의 외부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115a,115b)에 의해 밀리는 상기 슬리브(120)의 외부면의 다른 영역(선 O-C1 선상에 위치하는 영역)이 홀더블록(110)의 결합구멍(112)의 내부면과 밀착되어 고정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체결부재(115a,115b)에 의해 발생하는 가압력이 상기 슬리브(120)에 제공되고, 상기 체결부재(115a,115b)에 의한 작용력의 합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영역(즉, 선 O-C1 선상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상기 체결부재(115a,115b)의 가압력과 비례하는 반발력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슬리브(120)가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체결부재(115a,115b)에 의해 제공되는 작 용력은 120도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선 O-A1과 선 O-B1이 이루는 각도가 120도를 이루도록 상기 체결부재(115a,115b)가 배치되어 작용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재(115a,115b)는 삽입구멍(113a,113b)에 나사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슬리브(120)의 외부 면과 접하게 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115a,115b)에 의해 제공되는 작용력이 발생하게 되는 두 작용점의 위치와 상기 슬리브(120)의 외부면 및 홀더블록의 결합구멍(112)의 면접촉에 의한 반발력이 발생하게 되는 작용점(이 경우에는 최대 반발력이 발생하는 위치) 간의 간격이 120도 간격을 이루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생하게 되는 힘은 각 작용점에 대하여 최대한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게 되고, 작용력의 분포가 최대한 균일하게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즉, 일 체결부재(115a)에 의해 작용력이 제공되는 방향인 선 O-A1과 다른 일 체결부재(115b)에 의해 작용력이 제공되는 방향인 O-B1, 그리고 상기 두 작용력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반발력이 제공되는 방향인 O-C1이 이루는 각도가 각각 120도가 되어 작용력의 분포가 최대한 균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력의 분포는 상기 슬리브(120)가 결합되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될 수 있고, 가공시 발생하는 진동의 흡수율이 증가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리브(120)는 상기 체결부재(115a,115b)가 접하게 되는 영역이 체결부재의 단부 측면과 상응하는 구조로 지지부(121a,121b)가 구비되어 체결부재의 접촉면적이 보다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 리브(120)와 접하게 되는 체결부재(115a,115b)의 영역이 평면 구조인 경우, 상기 지지부(121a,121b)는 이와 상응하는 평면구조로 이루어져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슬리브(120)는 가공툴(13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121)에 결합구멍(12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122)에 장착되는 가공툴(130)을 고정하는 체결부재(125a,125b)가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121)의 외부에서 결합구멍(122)으로 관통되는 삽입구멍(123a,123b)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구멍(123a,123b)은 상기 슬리브 몸체(121)의 측면 위치의 두 방향에서 결합구멍(122)의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두 방향으로 배치되는 삽입구멍(123a,123b)은 서로에 대하여 약 120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리브(120)는 홀더블록(110)과 결합시 슬리브 몸체(12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랜지부(12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120)의 결합구멍(122)은 다양한 치수 및/또는 규격의 가공툴(130)의 장착을 위하여 각 치수 및/또는 규격의 가공툴(130)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공툴(130)이 슬리브(120)의 결합구멍(12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멍(123a,123b)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25a,125b)가 상기 가공툴(130)의 외부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125a,125b)에 의해 밀리는 상기 가공툴(130)의 외부면의 다른 영역(선 O-C2 선상에 위치하는 영역)이 슬리브(120)의 결합구멍(122)의 내부면과 밀착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체결부재(125a,125b)에 의해 발생하는 가압력이 가공툴(130)에 제공되고, 상기 체결부재(125a,125b)에 의한 작용력의 합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영역(즉, 선 O-C2 선상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상기 체결부재(125a,125b)의 가압력과 비례하는 반발력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슬리브(120)가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체결부재(125a,125b)에 의해 제공되는 작용력은 120도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선 O-A2와 선 O-B2가 이루는 각도가 120도를 이루도록 상기 체결부재(125a,125b)가 배치되어 작용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재(125a,125b)는 삽입구멍(123a,123b)에 나사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가공툴(130)의 외부면과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125a,125b)에 의한 작용력이 발생하게 되는 두 작용점의 위치와 상기 가공툴(130)에 대하여 슬리브(120)에 의한 반발력이 발생하게 되는 작용점(최대 반발력이 발생하는 위치) 간의 간격이 120도 간격을 이루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생하게 되는 힘은 각 작용점에 대하여 최대한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게 되고, 작용력의 분포가 최대한 균일하게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즉, 일 체결부재(125a)에 의해 작용력이 제공되는 방향인 선 O-A2과 다른 일 체결부재(125b)에 의해 작용력이 제공되는 방향인 O-B2, 그리고 상기 두 작용력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반발력이 제공되는 방향인 O-C2이 이루는 각도가 각각 120도가 되어 작용력의 분포가 최대한 균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력의 분포는 상기 가공툴(130)이 슬리브(120)에 결합되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될 수 있 고, 가공시 발생하는 진동의 흡수율이 증가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공툴(130)은 상기 체결부재(125a,125b)가 접하게 되는 영역이 체결부재의 단부 측면과 상응하는 구조로 지지부(131a,131b)가 구비되어 체결부재의 접촉면적이 보다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공툴(130)은 몸체(131)의 일 단부에 피가공물의 가공을 위한 가공 비트(1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작기구(100)가 드릴링 가공 등과 같이 다른 가공방식의 공작기구(100)인 경우, 다른 구조의 가공 비트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가공 비트(132)는 상기 몸체(131)의 단부 위치에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체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가공툴(130)은 몸체(131)의 내부에 유로(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로는 상기 몸체(131)의 어느 일 측면 영역으로 노출되는 노즐이 구비되어 가공을 위한 윤활유(예를 들어, 절삭유 등)의 공급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슬리브(120)에 구비되는 체결부재(125a,125b)는 홀더블록(110)에 구비되는 체결부재(115a,115b)와 평면상 위치에서 서로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슬리브(120)의 고정을 위한 작용점과 가공툴(130)의 고정을 위한 작용점이 서로 대칭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평면상 위치에서 볼 때, 상기 홀더블록(110)의 일 체결부재(115a)와 슬리브(120)의 일 체결부재(125a)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두 체결부재(115a,125a)에 의해 발생하는 작용력이 선 A1-O-A2 상에 위치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홀더블록(110)의 다른 체결부재(115b)와 슬리브(120)의 다른 체결부재(125b)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두 체결부재(115b,125b)에 의해 발생하는 작용력이 선 B1-O-B2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홀더블록(110)에 의해 발생하는 반발력과 슬리브(120)에 의해 발생하는 반발력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존재하게 될 수 있다. 즉, 두 반발력은 선 C1-O-C1 상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공작기구의 실시예로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구를 구성하는 홀더블록과 슬리브가 결합된 상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구를 구성하는 슬리브와 가공툴이 결합된 상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구를 구성하는 홀더블록과 슬리브 및 가공툴이 결합된 상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공작기구 110 ... 홀더블록
111,121,131 ... 몸체 122,132 ... 결합구멍
113a,113b,123a,123b ... 삽입구멍 121a,121b,131a,131b ... 지지부
124 ... 플랜지부 130 ... 가공툴
132 ... 가공 비트
Claims (7)
- 단부 영역에 절삭팁이 구비되며, 원기둥 구조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가공툴과;원기둥 구조의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가공툴의 일부 영역이 끼워져 결합하도록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구멍이 구비되며, 가공툴의 고정을 위한 작용력을 제공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슬리브와;상기 슬리브가 끼워져 결합하도록 결합구멍이 구비되며, 슬리브의 고정을 위한 작용력을 제공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홀더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홀더블록에 구비되는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구멍에 끼워진 슬리브의 측면 방향으로 120도 간격의 방향에서 고정을 위한 작용력이 제공되도록 작용력을 제공하는 어느 두 방향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홀더블록에 구비되는 체결부재와 접하는 영역이 체결부재의 단부 측면과 상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체결부재의 접촉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 구비되는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구멍에 끼워진 가공툴의 측면 방향으로 120도 간격의 방향에서 고정을 위한 작용력이 제공되도록 작용력을 제공하는 어느 두 방향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툴은 슬리부에 구비되는 체결부재와 접하는 영역이 체결부재의 단부 측면과 상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체결부재의 접촉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 구비되는 체결부재는 홀더블록에 구비되는 체결부재와 평면상 위치에서 서로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슬리브의 고정을 위한 작용점과 가공툴의 고정을 위한 작용점이 서로 대칭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구.
- 단부 영역에 절삭팁이 구비되며, 원기둥 구조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가공툴과;원기둥 구조의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가공툴의 일부 영역이 끼워져 결합하도록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구멍이 구비되며, 가공툴의 고정을 위한 작용력을 제공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슬리브와;상기 슬리브가 끼워져 결합하도록 결합구멍이 구비되며, 슬리브의 고정을 위한 작용력을 제공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홀더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슬리브에 구비되는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구멍에 끼워진 슬리브의 측면 방향으로 120도 간격의 방향에서 고정을 위한 작용력이 제공되도록 작용력을 제공 하는 어느 두 방향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구.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툴은 슬리브에 구비되는 체결부재와 접하는 영역이 체결부재의 단부 측면과 상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체결부재의 접촉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1211A KR20100032179A (ko) | 2008-09-17 | 2008-09-17 | 공작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1211A KR20100032179A (ko) | 2008-09-17 | 2008-09-17 | 공작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2179A true KR20100032179A (ko) | 2010-03-25 |
Family
ID=4218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1211A Abandoned KR20100032179A (ko) | 2008-09-17 | 2008-09-17 | 공작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32179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81078A (zh) * | 2019-06-28 | 2019-09-27 | 哈尔滨理工大学 | 一种镗刀片尖端多参数传感器 |
KR20220111393A (ko) * | 2021-02-02 | 2022-08-09 | 박현호 | 교량의 연석용 면삭기 |
JP2022190536A (ja) * | 2021-06-14 | 2022-12-26 | オークマ株式会社 | 工具ホルダ及び工作機械 |
JP2023079823A (ja) * | 2021-11-29 | 2023-06-08 | オークマ株式会社 | 工具ホルダ及び工作機械 |
-
2008
- 2008-09-17 KR KR1020080091211A patent/KR20100032179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81078A (zh) * | 2019-06-28 | 2019-09-27 | 哈尔滨理工大学 | 一种镗刀片尖端多参数传感器 |
KR20220111393A (ko) * | 2021-02-02 | 2022-08-09 | 박현호 | 교량의 연석용 면삭기 |
JP2022190536A (ja) * | 2021-06-14 | 2022-12-26 | オークマ株式会社 | 工具ホルダ及び工作機械 |
JP2023079823A (ja) * | 2021-11-29 | 2023-06-08 | オークマ株式会社 | 工具ホルダ及び工作機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5453B1 (ko) | 클램핑 본체를 편향시키기 위한 스프링 부재를 가지는 칩 제거 기계 가공용 절삭 공구와 장치 및 방법 | |
KR100272500B1 (ko) | 인써트 클램핑 수단을 구비한 절삭공구 | |
KR101646307B1 (ko) | 공구 유지체 | |
US4528753A (en) | Reciprocating saw holder and housing | |
JP6616939B2 (ja) | 溝入れ工具ホルダー用カートリッジ、対応する溝入れ工具ホルダー、キット及びこれらのアセンブリ | |
US7112020B2 (en) | Cutting tool configured for improved engagement with a tool holder | |
US11000903B2 (en) | Blade, tool and method of grooving a metallic workpiece | |
CA2472068A1 (en) | Tunable toolholder | |
JP2015533665A (ja) | 圧縮性部材を有する内部クーラント通路を備えた切削工具ホルダ | |
KR20100032179A (ko) | 공작기구 | |
JP2010240817A (ja) | ボーリングバイト用ホルダー&スリーブ | |
CN101249613A (zh) | 切削工具 | |
HU217930B (hu) | Dörzsár | |
CN108698137B (zh) | 可转位刀片式切槽工具的刀片夹紧机构及夹紧作业工具 | |
KR20210143786A (ko) | 외부 탄성 그루브 및 커팅 도구를 가지는 상부 조가 있는 횡방향 인서트 수용 포켓을 가지는 인서트 홀더 | |
GB2525620A (en) | Cutting tool assembly | |
JP6620471B2 (ja) | 溝入れ用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溝入れ工具 | |
KR100961546B1 (ko) | 절삭공구 체결홀더 | |
KR20020074383A (ko) | 내경 가공용 공구 | |
JP5660230B2 (ja) | 切削工具及び該切削工具に用いられる切削インサートのクランプ機構のための回転部材 | |
JP6327594B1 (ja) | 切削工具 | |
KR19990064128A (ko) | 공구착탈장치 | |
JP2009226548A (ja) | 切削工具及びこれを用いた切削方法 | |
KR20190000063U (ko) | 인서트 드릴 | |
EP3769714A1 (en) | Dental implant guiding tool set and dental implant guiding sleeve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31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