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31583A - 밸브 및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밸브 및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583A
KR20100031583A KR20097027200A KR20097027200A KR20100031583A KR 20100031583 A KR20100031583 A KR 20100031583A KR 20097027200 A KR20097027200 A KR 20097027200A KR 20097027200 A KR20097027200 A KR 20097027200A KR 20100031583 A KR20100031583 A KR 20100031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outlet
inlet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097027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멀린 코플스톤-부루스
Original Assignee
존 멀린 코플스톤-부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GB2007/001991 external-priority patent/WO2007138312A1/en
Application filed by 존 멀린 코플스톤-부루스 filed Critical 존 멀린 코플스톤-부루스
Publication of KR20100031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58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for dispensing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for dispensing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 B65D83/42Filling or charging means
    • B65D83/425Delivery valves permitting filling or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for dispensing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 B65D83/60Containers for dispensing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with 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73Containers for dispensing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with 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pellant being separated from the product and incrementally released by means of a pressure regul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12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Nozzl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밸브는 입구와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제1평형 위치와 제2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밸브 요소를 갖고, 상기 밸브 요소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입구와 출구는 흐름 연통에 있지 않고, 상기 밸브 요소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입구와 출구는 흐름 연통에 있고, 상기 밸브 요소는 입구와 출구에서의 압력에 반응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밸브, 디스펜서, 입구, 출구, 압력

Description

밸브 및 디스펜서{VALVE AND DISPENSER}
본 발명은 밸브 및 밸브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체적 내의 압력을 제어하고 공급원으로부터 압력이 공급될 필요가 있는 위치에, 적합한 밸브를 제공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밸브는 바이어스 요소(biasing element)와 제어 메커니즘을 갖고 있어서 복잡하고, 여러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대체로 적절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르면, 입구와 출구를 포함하는 밸브를 제공하고, 상기 밸브는 제1평형 위치와 제2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밸브 요소를 갖고, 상기 밸브 요소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입구와 출구는 흐름 연통에 있지 않고, 상기 밸브 요소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입구와 출구는 흐름 연통에 있고, 상기 밸브 요소는 입구와 출구에서의 압력에 반응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밸브 요소는 출구에서의 압력에 반응하는 제1표면적 및 입구에서의 압력에 반응하는 제2 소 표면적을 갖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피스톤은 제1 및 제2표면적 상의 네트 힘(net force)에 반응하여 이동가능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출구를 갖는 흐름 연통(flow communication)의 제1보어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고, 상기 제2표면적은 피스톤에 부착된 로드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입구를 갖는 흐름 연통의 제2보어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상기 로드에 관통-보어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로드와 제2보어 사이에 슬라이딩 실(sliding seal)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부 실과 하부 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위치에서, 유체가 상기 로드의 주위에서 하부 실을 통과할 수 있고 상기 관통-보어로 들어가도록 상기 상부 실과 하부 실 사이에 상기 로드의 단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요소는 입구와 출구에서의 압력에 반응하여 제3위치로 이동가능할 수 있고, 상기 입구와 출구는 흐름 연통에 있지 않다.
상기 밸브 요소는 출구에서 입구로 유체가 흐르도록 제4위치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요소는 입구와 출구에서의 압력에 반응하여 단독으로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어떠한 바이어스 요소나 제어 요소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밸브 요소를 이동시키도록 존재할 수 없다.
상기 밸브의 예시적인 이용은 에어로졸 같은 액체용 디스펜서에서 이용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디스펜서는 프로판, 부탄, 또는 ISO-부탄 같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추진제로 충전된다. 이와 같은 추진제는 낮은 끓는점을 가져서 에어로졸이나 시가렛 라이터(cigarette lighter)로 도입되는 경우에 에어로졸이 이용될 때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저온에서 증발하여 저압에서 액체로 쉽게 존재한다. 이러한 추진제가 가연성이며 유독하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질소나 이산화탄소와 같은 불활성 또는 덜 유해한 추진제가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액체로 된 질소에 대해서는 약 4000 psi에서 포집하여 유지될 필요가 있고, 이산화탄소는 815 psi에서 유지될 필요가 있는데, 이는 너무 높아서 통상의 에어로졸 컨테이너 내에 함유할 수 없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가스의 압력 곡선에 대한 팽창은 내부 압력이 60-120 psi의 범위에 있는 일반적인 에어로졸 캐니스터(canister)에서 전개되는 경우에 상기 컨테이너에서의 압력은 내용물이 이용됨에 따라 매우 빠르게 내려가서, 방출율은 감소된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르면, 컨테이너 및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압력하의 액체를 방출하기 위한 노즐을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컨테이너에 압력하의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압력 공급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공급원과 컨테이너는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밸브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압력 공급원은 컨테이너에 해제가능하게 연결가능할 수 있다.
상기 압력 공급원은 밸브 및 압력 보틀(bott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압력 공급원을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부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연결부는 압력 공급원이 컨테이너와 결합되는 경우에 제3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상기 밸브 요소를 가압시키기 위한 푸쉬 로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컨테이너로부터 액체가 분출되도록 상기 컨테이너로 연장되는 튜브에 연결가능할 수 있다.
상기 액체는 스프레이, 분사(jet), 또는 거품 중 어느 하나로 분출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b는 제2위치에 도 1a의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c는 제3위치에 도 1a의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d는 제4위치에 도 1a의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밸브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디스펜서 부분을 제1작동 위치에서 크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디스펜서 부분을 제2작동 위치에서 크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에어로졸 부분을 제2작동 위치에서 크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디스펜서의 압력 캐니스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구체화한 밸브가 도 1a 내지 도 1d에서 도면번호 10으로 일반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밸브(10)는 제어된 유압의 공급이 필요한 임의의 적절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하는데 적합하다. 상기 밸브(10)는 압력하의 유체가 공급되는 입구(11)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압된 유체는, 예를 들면, 가스 캐니스터(gas canister)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일 수 있다. 피스톤(12)은 제1보어(13) 내에서 이동가능하고, 피스톤의 이동은 제1보어(13)의 단부(14)와 서클립(circlip)(15)에 의한 이러한 예에서 제한된다. 상기 제1보어(13)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보어(16)는 제1보어(13)로부터 입구(11)까지 연장된다. 상기 피스톤(12)에 피스톤 로드(17)가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17)는 제2보어(16)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가능하다. 상기 피스톤 로드(17)를 통해 상기 피스톤(12)의 상면으로부터 채널(18)이 연장되고, 상기 채널(18)은 하나 이상의 포트(19)를 갖는다. 상기 제2보어(16)에서의 홈에 지지된 상부 오-링 실(20)과 하부 오-링 실(21)은 피스톤 로드(17)와 제2보어(16) 사이에 슬라이딩 실을 제공한다. 상기 제1보어(13)의 상부는 출구를 제공한다. 상기 피스톤(12)과 보어(13)의 단부(14) 사이의 보어(13)의 체적은 저압, 예를 들면 적절한 포트(미도시)를 통해 공기를 분출시키는 저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피스톤(12)의 대 표면적 및 상기 피스톤 로드(17) 단부의 소 표면적에 작용하는 입구(11)와 출구에서의 상이한 압력으로부터의 네트 힘에 반응하여 상기 피스톤(12)은 자유로이 이동될 수 있다.
도 1a에는 출구와 이에 따른 보어(13)에서의 저압이 입구에서의 고압에 의해 평형을 이루고 상기 로드(17) 단부의 소면적에 대해 가해지는 제1평형 위치에서의 밸브(10)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12)에 대해 네트 힘이 없거나 또는 상기 피스톤(12)에 대해 충분한 네트 힘이 없어서, 상기 피스톤은 실(20, 21)과 피스톤 로드(17) 사이에서와 같은 임의의 마찰력에 대하여 이동한다.
출구에서의 압력이 떨어지는 경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12)에 가해진 힘은 로드(17) 단부의 소면적에 작용하는 입구(11)에서의 고압으로 인하여 상방향 힘보다 작을 것이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12)은 제2개방 위치로 상방향으로 가압된다. 상기 피스톤(12)은 하부 오-링(21)과의 접촉에서 벗어나 상 기 피스톤 로드(17)의 하부 부분을 이동시켜 상방향으로 가압될 것이다. 상기 로드(17)와 제2보어(16) 사이의 허용오차(tolerance)는 정확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압력하의 유체는 입구(11), 포트(19) 및 채널(18)을 통해 출구로 흐를 것이다. 상기 출구에서의 압력이 충분히 증가되는 경우, 상기 피스톤(12)에 대한 하방향 힘은 로드(17)의 단부에 대한 상방향 힘을 초과할 것이고, 상기 피스톤(12)은 도 1a의 제1위치로 복귀할 것이다.
도 1c에 도시한 제3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보어(13)에서의 압력은, 예를 들면 상기 밸브(10)가 디스펜서로부터 계획적으로 제거되거나 또는 누출이나 그 밖의 경우로 인하여, 완전히 해제되거나 또는 대기압이나 주위 압력으로 감소된다. 이 경우, 상기 입구(11)에서의 압력은 피스톤이 서클립(15)과 결합하고 상기 포트(19)가 상부 오-링 실(20) 위치에 있을 때까지 상기 피스톤(12)을 상방향으로 가압할 것이다. 이때, 어떠한 압력하에서의 유체도 입구(11)로부터 출구(22)로 통과하지 못할 것이고, 이에 따라 상기 밸브(10)는 안전한 상태에 있게 된다.
가스 컨테이너가 압력하 유체의 공급원(source)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밸브(1)는 가스 컨테이너를 리필(refill)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구(22)에 가해진 리필 압력(refill pressure)은, 피스톤이 보어(13)의 단부(14)와 결합할 때의 이러한 예에서의 제4위치에 피스톤이 도달할 때까지, 상기 피스톤(12)을 하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채널(18)과 포트(19)는 압력하의 유체가 출구(22)로부터 입구(11)를 통과하게 하는 유체 연결부를 제공한다. 상기 압력이 출구(22)로부터 해제되는 경우, 상기 피스톤(12)은 도 1c에 도시한 피 스톤에 도달할 때까지 상방향으로 가압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보다 간단하게 상기 피스톤(12)을 제4위치로 가압하는데 상기 리필 압력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밸브가 리필 압력의 공급원과 결합되는 경우에 푸쉬 로드와 같은 적절한 물리적 메커니즘이 제4위치로 상기 피스톤(12)을 이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고, 상기 밸브(10)가 리필 압력의 공급원으로부터 연결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피스톤(12)이 도 1c에 도시한 제3위치로 복귀되게 한다. 상기 피스톤(12)이 단부면(14)과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제4위치는 보어 내의 서클립과 같은 일부의 다른 스톱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임의의 다른 적절한 채널의 구성이 입구(11)와 출구 사이의 연결을 고려하여 상기 밸브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도 2는 다른 예의 피스톤(12') 및 로드(17')를 도시하고 있고, 상기 로드(17')는 관통-보어(through-bore)(24)와는 별개의 고형체이고, 상기 로드(17')는 하부 오-링(21)과 항상 실링 접촉하고 있게 충분히 길다. 상기 보어(13)와의 흐름 연통에서 출구(22')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12')의 이동에 의해 상기 관통-보어(24)는 공급 채널(25)을 개폐시킨다.
상기 밸브(10, 10')가 가압 유체가 공급될 디스펜서와 같은 장치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피스톤(12)은 도 1c에 도시한 제3위치에 있을 것은 명백할 것이다. 상기 밸브(10)가 압력하의 유체를 입구(11)에서 보어(13)의 출구로 통과시키기 위하여, 일부의 물리적 요소가 상기 피스톤(12)을 제2위치로 초기에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도 2의 예에서, 상기 밸브(10)가 나사산 연결부(threaded connection)(28)를 통해 부착되는 장치 상에 커넥터(27)의 부분으로서 푸쉬 로드(26)가 제공되다. 상기 밸브(10)는 나사산 연결부(28) 상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푸쉬 로드(23)는 피스톤(12)과 접촉할 것이고, 상기 입구(11)로부터 보어(13)로 압력이 통과하게 하는 도 1c의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피스톤(12)을 이동시킬 것이다. 상기 장치 내의 압력, 이에 따른 보어(13)에서의 압력이 충분히 상승하면, 상기 피스톤(12)은 제1평형 위치로 이동할 것이고, 이어서 상기 보어(13)에서의 압력 변화에 반응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할 것이다.
상기 밸브(10)가 압력 공급원의 리필을 허용하도록 의도하지 않는다면, 상기 밸브는 도 1d에 도시한 제4위치로 상기 피스톤(12)이 이동할 수 없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하부 오-링(21)을 지나서 연장될 수 없도록 상기 로드(17)의 길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보어(13)의 단부(14)의 위치만큼 상기 피스톤(12)의 행정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또는 다른 서클립을 제공하거나 그 밖의 경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10)가, 고압에서의 공급원으로부터 저압에서의 장치나 체적으로 압력하의 유체를 공급하는 경우에, 임의의 적절한 어플리케이션에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상기 공급원은 가스 보틀(gas bottle) 같은 압력하의 유체를 보유하는 컨테이너, 압력 라인, 펌프, 또는 임의의 적절한 공급원일 수 있다. 상기 밸브의 구성은 바이어스나 제어 장치가 필요없는 간단한 구성이고, 상기 피스톤(12)과 로드(17)의 상대 치수는 공급원의 원하는 압력과 출구 압력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밸브(10)는 소형화에 적합하며 제조하는데 간단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밸브의 예시적인 적용을 설명한다. 디스펜서의 내용물이 안개(mist), 스프레이, 또는 거품(foam)의 형태로 배출되도록 작동가능한 에어로졸(aerosol)을 포함하는 예에서, 디스펜서는 도면번호 30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다른 타입의 디스펜서가 의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30)는 컨테이너(31)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컨테이너(31) 상단의 캡(32)에 의해 액체를 분출 및 폐쇄시킨다. 보다 상세히 후술할 바와 같이, 가스 압력의 공급원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31)의 하부에 연결부(33)가 배치된다. 상기 캡(32)은 노즐(34a) 및 상기 컨테이너(31)의 몸체로 연장되는 딥 튜브(dip tube)(34b)를 갖는다. 상기 딥 튜브(34a)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31)에서의 압력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31)로부터 상기 노즐(34a)을 통해 외부로 액체가 가압되도록 누룰 때 상기 딥 튜브(34b)를 노즐(34a)에 연결시키는 버튼(35)이 제공된다.
상기 연결부(33)는 내부 실(37)을 갖는 일반적인 원통형 몸체(36)를 포함한다. 벤트(vent)(38)는 상기 연결부(33)를 컨테이너(31)의 내부에 연결시킨다. 후술할 바와 같이 밸브(1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36)에 하방향으로 푸쉬 로드(39)가 연장된다.
압력하의 유체를 컨테이너에 제공하기 위하여, 압력 공급원(40)이 제공된다. 상기 압력 공급원(40)은 압력 보틀(41) 및 레귤레이터(42)를 포함하고, 상기 레귤레이터(42)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밸브(10)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12)은 실(12a)을 가지며 상기 압력 공급원(40)의 단부(40a)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레귤레이터(42)에서, 나사산 스크류(43)는 피스톤(12) 아래의 체적용 공기에 연결을 제공한 다. 이러한 예에서, 또한 상기 나사산 스크류(43)는,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압력 보틀(41)의 방출을 저지하거나 방해하기 위하여 안전한 대책으로서 상기 피스톤(12)이 제4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시킨다. 상기 압력 보틀(41)이 압력하의 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공급원(40)이 연결부(33)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밸브(10)는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3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실(37)을 통과할 때까지 상기 압력 공급원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압력 공급원(40)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결부(33)에 도입된다. 상기 압력 공급원을 더 밀어넣으면 상기 피스톤(12)은 푸쉬 로드(39)와 접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상기 피스톤(12)을 제3위치에서 떨어지게 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위치로 가압한다. 압력하의 유체는 벤트(38)를 통해 상기 밸브(10)로부터 컨테이너(31)로 공급된다. 상기 컨테이너(31)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12)과 피스톤 로드(17)의 치수를 선택함으로써 적합한 압력에 도달한 경우, 상기 피스톤(12)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평형 위치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압력 공급원(40)과 연결부(33)가 컨테이너(31)의 대략 중심에 위치되고 상기 컨테이너(31)의 하부 내에 포함되게 도시되는 경우에도,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위치되고 연결된 상기 압력 공급원과 컨테이너가 디스펜서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버튼(35)이 컨테이너(31)로부터 액체를 분출하기 위하여 눌러지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31) 내의 압력이 떨어질 것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12)은 상방향으로 가압될 것이고, 평형 압력이 다시 한번 달성될 때까지 압력하의 유체는 컨테이너(31)로 공급될 것이다.
상기 압력 보틀(41)을 리필하길 원하는 경우, 상기 피스톤(12)이 제4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나사산 스크류(43)는 제거되거나 또는 충분히 인출된다. 이때, 상기 밸브(10)는 피스톤(12)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4위치로 가압하는 적절한 리필 노즐(44)과 결합될 수 있다. 압력은 보어(18)와 출구(19)를 통해 노즐(44)의 채널(45)로부터 압력 보틀(41)로 공급된다. 상기 컨테이너(31)를 리필하길 원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31)에 액체가 도입되도록 상기 캡(32)이나 연결부(33)가 제거될 수 있고, 이때 적절한 액체-밀폐 실 및 압력-밀폐 실로 폐쇄된다. 또한, 적절하다면, 분출될 액체는 압력 공급원(40)을 삽입하기 전에 벤트(38)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31)에 도입될 수 있다.
모든 액체로 리필될 수 있게 제공될 에어로졸이나 디스펜서가 분출되고 추진될 수 있게 하는 점에서 디스펜서는 이점이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이는 일단 내용물이 방출되면 자원의 상당한 낭비를 나타내는 모든 컨테이너가 낭비하는 기존의 에어로졸을 뛰어넘는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는 신뢰가능하게 이용되는 질소나 이산화탄소를 허용하는 밸브(10)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점이 있다. 질소나 이산화탄소는 기존의 추진제의 환경적인 유해 효과를 갖지 않을 것이고, 생산 및 배급하는데 비교적 싸다. 또한, 질소나 이산화탄소는 불활성이고, 상대적으로 비싸지 않으며, 기존의 가연성 추진제와 관련해서 위험을 갖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면, 대략 75-250 psi의 압력을 컨테이너 내에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압력 공급원은 약 4000 psi의 액체 질소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과 로드의 면적은 선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러 한 압력이 밸브(10)의 출구 및 입구에 각각 적용되는 경우 상기 밸브 요소는 제1평형 위치로 이동한다. 액체 질소의 1 cc는 70C에서 가스로 696.5 cc를 줄 것이다. 그러므로, 12 cc의 체적을 갖는 압력 공급원은 디스펜서의 약 10 방출을 위한 추진제를 제공할 수 있다.
압력 보틀을 포함하는 압력 공급원 및 밸브(10)가 임의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 별개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이용되는 경우, "포함한다", "포함하는", 및 이들의 변형적인 용어는 특정된 특징, 단계, 또는 전체가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용어는 다른 특징,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배제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청구항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7)

  1. 입구와 출구; 및
    제1평형 위치와 제2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밸브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요소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입구와 출구는 흐름 연통에 있지 않고, 상기 밸브 요소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입구와 출구는 흐름 연통에 있고,
    상기 밸브 요소는 입구와 출구에서의 압력에 반응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요소는 출구에서의 압력에 반응하는 제1표면적 및 입구에서의 압력에 반응하는 제2 소 표면적을 갖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제1 및 제2표면적 상의 네트 힘에 반응하여 이동가능한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출구를 갖는 흐름 연통의 제1보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표면적은 피스톤에 부착된 로드 상에 제공되고, 상기 입구를 갖는 흐름 연통의 제2보어에서 이동가능한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 관통-보어가 제공되고, 상기 로드와 제2보어 사이에 슬라이딩 실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부 실과 하부 실이 제공되는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에서, 유체가 상기 로드의 주위에서 하부 실을 통과할 수 있고 상기 관통-보어로 들어가도록 상기 상부 실과 하부 실 사이에 상기 로드의 단부가 위치되는 밸브.
  6.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요소는 입구와 출구에서의 압력에 반응하여 제3위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입구와 출구는 흐름 연통에 있지 않은 밸브.
  7.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요소는 출구에서 입구로 유체가 흐르도록 제4위치로 이동가능한 밸브.
  8.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요소는 입구와 출구에서의 압력에 반응하여 단독으로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어떠한 바이어스 요소나 제어 요소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밸브 요소를 이동시키도록 존재하지 않는 밸브.
  9. 본 명세서 및/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은 밸브.
  10.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압력하의 액체를 해제하기 위한 노즐; 및
    상기 컨테이너에 압력하의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압력 공급원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공급원과 컨테이너는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밸브에 의해 연결되는 디스펜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공급원은 컨테이너에 해제가능하게 연결가능한 디스펜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공급원은 밸브 및 압력 보틀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13. 제12항에 있어서,
    제5항에 간접적으로 의존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는 압력 공급원을 결합시 키기 위한 연결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는 압력 공급원이 컨테이너와 결합되는 경우에 제3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상기 밸브 요소를 가압시키기 위한 푸쉬 로드를 갖는 디스펜서.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컨테이너로부터 액체가 분출되도록 상기 컨테이너로 연장되는 튜브에 연결가능한 디스펜서.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스프레이, 분사, 또는 거품 중 어느 하나로 분출되는 디스펜서.
  16. 본 명세서 및/또는 첨부한 도면에 실질적으로 설명되고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펜서.
  17. 본 명세서 및/또는 첨부한 도면에 설명된 특징의 조합 또는 새로운 특징.
KR20097027200A 2007-05-29 2008-05-29 밸브 및 디스펜서 Ceased KR201000315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GB2007/001991 2007-05-29
PCT/GB2007/001991 WO2007138312A1 (en) 2006-05-26 2007-05-29 Liquid dispenser that uses two pressure leve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583A true KR20100031583A (ko) 2010-03-23

Family

ID=4008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27200A Ceased KR20100031583A (ko) 2007-05-29 2008-05-29 밸브 및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556133B2 (ko)
EP (1) EP2164775B1 (ko)
JP (1) JP5368431B2 (ko)
KR (1) KR20100031583A (ko)
CN (1) CN101678946B (ko)
AU (1) AU2008256528B2 (ko)
CA (1) CA2688345A1 (ko)
GB (2) GB2438395B (ko)
MX (1) MX2009012831A (ko)
MY (1) MY147277A (ko)
NZ (1) NZ582058A (ko)
RU (1) RU2478544C2 (ko)
WO (1) WO2008146001A2 (ko)
ZA (1) ZA2009090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0003A3 (nl) * 2011-06-09 2013-03-05 Cardiff Group Naamoloze Vennootschap Een houder om een vloeibaar voedingsmiddel in te bewaren en onder druk uit te verdelen.
CA2965603A1 (en) * 2014-10-28 2016-05-06 Luca Drocco Valve assembly for a dispenser device for volumetric dispenser machine
GB201506581D0 (en) 2015-04-17 2015-06-03 Bruce John M C Nitrogen engine
CN107904639B (zh) * 2017-12-19 2023-10-27 滨州博海精工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活塞阳极氧化的流体分配机构及方法
CN110318683B (zh) * 2018-03-29 2021-03-26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水泥搅拌桩钻头喷浆孔防堵塞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460938A (zh) * 2020-03-31 2021-10-01 浙江省荣军医院 医用容量可调式分液装置
RU2766471C1 (ru) * 2021-05-24 2022-03-1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едприятие "Полихим-Воронеж" Способ заправки аэрозольных баллонов двухкомпонентными материалами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15553C (de) 1935-07-08 Adolf Schumann Siphon mit Druckmittelbehaelter und einer Druckmittelzwischenkammer
DE516046C (de) 1929-03-20 1931-01-16 Karl Dathe Siphonregelorgan
DE524397C (de) 1930-07-18 1931-05-09 Karl Dathe Siphonregelorgan
US2189643A (en) * 1936-04-25 1940-02-06 Lawrence T Ward Dispensing apparatus
DE681090C (de) * 1937-10-03 1939-09-14 Fried Krupp Akt Ges Selbstschenker
US2906492A (en) * 1951-06-01 1959-09-29 Baker Oil Tools Inc Valves
US3556128A (en) * 1969-04-30 1971-01-19 Paul J Scaglione Pressure balanced regulating valve with flared compression disc
US3827449A (en) * 1972-02-11 1974-08-06 A Gurizzan Automatic mechanism for the discharge of fluid in a pressurized system
US3883043A (en) * 1973-10-18 1975-05-13 Charles Robert Lane Dispensor for vintage wines
JPH027828Y2 (ko) * 1981-06-10 1990-02-23
US4473174A (en) * 1982-07-30 1984-09-25 Howard John Cream Wine preserver and dispenser
US4595121A (en) * 1984-09-10 1986-06-17 Sheldon Schultz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preserving bottled degradable liquids such as wine and the like
US4880366A (en) * 1988-09-06 1989-11-14 Stinson Larry A Plastic hand lift pressure pump
CN1026814C (zh) * 1989-06-09 1994-11-30 印迪考公司 使流体密封与活塞磨损量无关的方法及阔体
US4982879A (en) * 1989-12-19 1991-01-08 Apf Industries Bottle contents dispensing and contents preservation apparatus
JPH04327072A (ja) * 1991-04-26 1992-11-16 Hitachi Ltd 気体及び液体注入用継手
CN2169486Y (zh) * 1993-07-20 1994-06-22 李方龙 背负式储能喷雾器
CN2340990Y (zh) * 1997-12-31 1999-09-29 张健华 用于多种类型液压打桩锤的活塞式控制阀
DE29823474U1 (de) * 1998-02-11 1999-07-29 Thomas Metallerzeugnisse GmbH, 63826 Geiselbach Aerosol-Sprühdose mit Überdruckventil
NL1009292C1 (nl) * 1998-05-29 1999-11-30 Packaging Tech Holding Sa Drukcontrole-inrichting voor het behouden van een constante vooraf bepaalde druk in een container.
US6412668B1 (en) * 1998-12-16 2002-07-02 Heineken Technical Services B.V. Container with pressure control device for dispensing fluid
CN2477879Y (zh) * 2000-06-27 2002-02-20 顺德市北滘镇西海耀辉汽钉厂 气动自动送料器动作阀
US6530400B2 (en) * 2001-02-20 2003-03-11 Dispensing Systems International, Inc. Intermediate pressure dispensing method for a carbonated beverage
NL1022456C2 (nl) * 2003-01-21 2004-07-22 Packaging Tech Holding Sa Drukverpakkingssysteem voor het op een in een drukverpakking opgenomen fluïdum aanbrengen van een werkdruk.
US20060192168A1 (en) * 2005-02-17 2006-08-31 Thompson Bruce A Suction actuated gravity deactivated ball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62771A (en) 2010-02-24
GB0610491D0 (en) 2006-07-05
US20100170922A1 (en) 2010-07-08
MY147277A (en) 2012-11-30
ZA200909038B (en) 2011-05-25
CA2688345A1 (en) 2008-12-04
AU2008256528B2 (en) 2014-01-16
GB2438395A (en) 2007-11-28
EP2164775A2 (en) 2010-03-24
US8556133B2 (en) 2013-10-15
NZ582058A (en) 2012-12-21
JP2010527861A (ja) 2010-08-19
GB2462771A8 (en) 2010-03-24
RU2009147352A (ru) 2011-07-10
CN101678946A (zh) 2010-03-24
WO2008146001A3 (en) 2009-04-16
JP5368431B2 (ja) 2013-12-18
RU2478544C2 (ru) 2013-04-10
CN101678946B (zh) 2012-07-04
GB2438395B (en) 2010-02-24
EP2164775B1 (en) 2018-07-04
WO2008146001A2 (en) 2008-12-04
GB0921648D0 (en) 2010-01-27
MX2009012831A (es) 2010-02-12
AU2008256528A1 (en) 2008-12-04
HK1135165A1 (en) 2010-05-28
GB2462771B (en)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1583A (ko) 밸브 및 디스펜서
US9050428B2 (en) Device, cartridge and method for dispensing a liquid
US9254954B2 (en) Metering valve
RU2664377C2 (ru) Дозаправочный баллон под давлением с выпускным клапаном
EP2599558B1 (en) Airless pump system
EP3022132B1 (en) Foam dispenser
US5507420A (en) Reusable high efficiency propellant driven liquid product dispenser apparatus
US20110240677A1 (en) Airless double-piston double-action pump and cosmetics bottle dispensing device
RU2289536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егулирующее давление в сосуде для распыления под давлением
US20150209178A1 (en) Liquid droplet dispenser
US9834369B2 (en) Method for extracting liquid from a liquid dispenser by injecting gas
JP2009269032A (ja) 機械加圧型ディスペンサ
BG64440B1 (en) Fluid dispensing container with pressure control device
ES2689321T3 (es) Válvula y dispensador
NO762666L (ko)
US9527658B2 (en) Metering valve fillable through the valve
GB2556420A (en) Canister valve
JP4547532B2 (ja) 噴霧装置
FR2711973A1 (fr) Mécanisme de pulvérisation d'aérosol.
CA2937554A1 (en) Dispensing valve incorporating a metering valve
AU2012101213A4 (en) Gas refilling actu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5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7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