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26874A -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및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및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874A
KR20100026874A KR1020080086042A KR20080086042A KR20100026874A KR 20100026874 A KR20100026874 A KR 20100026874A KR 1020080086042 A KR1020080086042 A KR 1020080086042A KR 20080086042 A KR20080086042 A KR 20080086042A KR 20100026874 A KR20100026874 A KR 20100026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ed resource
terminal device
external device
server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939B1 (ko
Inventor
권오인
남기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6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93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9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74Peer-to-peer [P2P] networks for supporting data block transmission mechanisms
    • H04L67/1078Resource delivery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공유리소스를 외부장치가 장치 대 장치 간 통신을 통해 요청하여 제공 받음으로써 P2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및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은, 외부장치가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한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로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소정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로부터 회신되는 접속주소정보에 기초하여 외부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단말장치에 접속하고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면, 해당 단말장치가 내부의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을 확인하여 접근이 허용되는 경우,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P2P, 이동통신, 단말장치, 내장웹서버

Description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및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 {RESOURCE COMMON SECURITY FOR DEVIDE TO DEVICE SYSTEM AND RESOURCE COMMON METHOD FOR DEVIDE TO DEVICE}
본 발명은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공유리소스를 외부장치가 장치 대 장치 간 통신을 통해 요청하여 제공 받음으로써 P2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및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트워크의 발전과 이에 더불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 및 기능의 다양화에 따라, P2P(Peer tp Peer)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P2P 서비스는, 기존의 서버와 클라이언트 개념이나 공급자와 소비자 개념에서 벗어나 개인 컴퓨터끼리 직접 연결하고 검색함으로써 모든 참여자가 공급자인 동시에 수요자가 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에, 컴퓨터 간의 P2P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이 되는 인터넷 네트워크 못지 않게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 치에서도 P2P 서비스의 적용을 위한 노력이 존재할 것이다.
헌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P2P 서비스를 적용함에 있어서 임의의 타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전화번호부, 사진, 동영상 등)를 검색하거나 요청 및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이 없다. 즉, 기존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장치 간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이동통신 단말장치 간에 P2P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호 데이터를 검색 및 요청/제공할 수 있는 즉,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 P2P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외부장치가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한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로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소정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로부터 회신되는 접속주소정보에 기초하여 외부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단말장치에 접속하고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면, 해당 단말장치가 내부의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을 확인하여 접근이 허용되는 경우,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및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을 제공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단말장치에서도 P2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접근권한을 기 저장하고, 소정 공유리소스에 대한 소정 외부장치의 접근권한확인이 요청되면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을 확인한 접근허용여부를 회신하는 디렉토리서버와,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저장하고, 저장된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공유리소스로서 상기 디렉토리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접근권한을 상기 디렉토리서버에 등록하는 리소스관리자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공유 리소스가 요청되면, 상기 디렉토리서버로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확인을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접근허용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리소스관리자의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내장형웹서버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및 이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단말장치에서도 P2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외부장치가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소정 프록시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면, 상기 프록시서버가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로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요청하여 회신되는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공유리소스 요청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내부의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는 경우,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프록시서버로 제공하고, 이에 프록시서버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회신되는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및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을 제공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단말장치에서도 P2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 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접근권한을 기 저장하고, 소정 공유리소스에 대한 소정 외부장치의 접근권한확인이 요청되면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을 확인한 접근허용여부를 회신하는 디렉토리서버와,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저장하고, 저장된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공유리소스로서 상기 디렉토리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접근권한을 상기 디렉토리서버에 등록하는 리소스관리자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소정 프록시서버로부터 소정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공유리소스 요청이 제공되면, 상기 디렉토리서버로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확인을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접근허용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리소스관리자의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프록시서버로 제공하는 내장형웹서버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및 이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단말장치에서도 P2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은,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하며, 소정 외부장치로부터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해당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가 요청되면 해당 접속주소정보를 회신하는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소정 단말장치의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에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외부장치; 및 내부에 저장된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상기 공유리소스로서 등록하고,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접근권한을 등록하며,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상기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요청하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회신되는 상기 공유리소스목록에 기초하여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단말장치 별로 해당 단말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기 저장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소정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단말장치의 단말장치정보를 상기 외부장치로 회신하는 공유리소스검색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장치는, 소정 공유리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단말장치의 단말장치정보를 상기 공유리소스검색서버에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상기 단말장치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장치의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접근권한을 기 저장하고, 소정 공유리소스에 대한 소정 외부장치의 접근권한확인이 요청되면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을 확인한 접근허용여부를 회신하는 디렉토리서버;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저장하고, 저장된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공유리소스로서 상기 디렉토리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접근권한을 상기 디렉토리서버에 등록하는 리소스관리자; 및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상기 디렉토리서버로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확인을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접근허용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리소스관리자의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내장형웹서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렉토리서버는, 상기 리소스관리자로부터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저장하고, 상기 내장형웹서버는, 접속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공유리소스목록가 요청되면, 상기 디렉토리서버의 상기 공유리소스목록을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렉토리서버는, 상기 리소스관리자로부터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외부의 소정 공유리소스검색서버에 제공하여, 자신이 포함된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공유리소스목록의 저장을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장형웹서버는, 자신이 포함된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접속주소정보를 외부의 소정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에 등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은,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하며, 소정 프록시서버로부터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해당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가 요청되면 해당 접 속주소정보를 회신하는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소정 프록시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외부장치;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에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공유리소스 요청을 제공하고, 이에 회신되는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프록시서버; 및 내부에 저장된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상기 공유리소스로서 등록하고,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접근권한을 등록하며, 상기 프록시서버로부터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공유리소스 요청이 제공되면 상기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프록시서버로 제공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록시서버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접속요청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접속요청메시지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공유리소스 요청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단말장치 별로 해당 단말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기 저장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소정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단말장치의 단말장치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로 회신하는 공유리소스검색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장치는, 소정 공유리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단말장치의 단말장치정보를 상기 공유리소스검색서버에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상기 단말장치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소정 프록시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접근권한을 기 저장하고, 소정 공유리소스에 대한 소정 외부장치의 접근권한확인이 요청되면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을 확인한 접근허용여부를 회신하는 디렉토리서버;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저장하고, 저장된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공유리소스로서 상기 디렉토리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접근권한을 상기 디렉토리서버에 등록하는 리소스관리자; 및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소정 프록시서버로부터 소정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공유리소스 요청이 제공되면, 상기 디렉토리서버로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확인을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접근허용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리소스관리자의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프록시서버로 제공하는 내장형웹서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장형웹서버는, 상기 프록시서버로부터 소정 접속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프록시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렉토리서버는, 상기 리소스관리자로부터 등록되는 적 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외부의 소정 공유리소스검색서버에 제공하여, 자신이 포함된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공유리소스목록의 저장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은, 외부장치가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소정 단말장치의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한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접속주소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 접속주소정보를 회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상기 단말장치가 내부의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는 경우,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장치가 각 단말장치 별로 해당 단말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기 저장한 공유리소스검색서버로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상기 공유리소스검색서버가 상기 공유리소스목록에 기초하여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단말장치의 단말장치정보를 상기 외부장치로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은, 내부에 저장된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공유리소스로서 등록하고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접근권한을 등록하는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내장형웹서버가 상기 요청된 공유리소스에 대한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내장형웹서버가 상기 요청된 공유리소스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외부의 소정 공유리소스검색서버에 제공하여, 자신이 포함된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공유리소스목록의 저장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장형웹서버가 자신이 포함된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접속주소정보를 외부의 소정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에 등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은, 외부장치가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소정 프록시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프록시서버가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하는 소정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로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프록시서버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공유리소스 요청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록시서버로부터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공유리소스 요청이 제공되면, 상기 단말장치가 내부의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는 경우,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프록시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록시서버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회신되는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록시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프록시서버가 회신되는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접속요청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접속요청메시지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프록시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8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은, 내부에 저장된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공유리소스로서 등록하고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접근권한을 등록하는 단계; 소정 프록시서버로부터 접속을 요청하는 소정 접속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 내장형웹서버가 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프록시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접속된 상기 프록시서버로부터 소정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공유리소스 요청이 제공되면, 상기 내장형웹서버가 상기 요청된 공유리소스에 대한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내장형웹서버가 상기 요청된 공유리소스를 상기 프록시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및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에 의하면, 외부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소정 단말장치에 접근하여, 단말장치 내의 공유리소스에 접근/검색/요청할 수 있고 이에 단말장치의 내장형웹서버는 요청된 해당 공유리소스를 해당 외부장치로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도 P2P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및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에 의하면, 이동통신 환경을 고려한 단말장치 간의 P2P 서비스 적용이 가능할 뿐 만이 아니라, 이에 따라 단말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측면에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을 제어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은,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하며, 소정 외부장치(예 : 10a)로부터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해당 단말장치(예 : 100)의 접속주소정보가 요청되면 해당 접속주소정보를 회신하는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300)와,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소정 단말장치(예 : 100)의 접속주소정보를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300)에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접속주소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1)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접속하여 내부에 저장된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외부장치(10a...10n)와, 내부에 저장된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공유리소스로서 등록하고,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접근권한을 등록하며, 외부장치(예 : 10a)로부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되면 요청된 공유리소스를 외부장치(10a)로 제공하는 단말장치(100)와, DNS서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장치(10a...10b)는, 네트워크(1)를 통해 단말장치(100) 내의 공유리소스에 접근하고자 하는 장치로써,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부장치(10a)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단말장치(100)를 단일개로 도시하였지만, 단말장치(100) 역시 복수 개 일 수 있다.
여기서, 외부장치(10a)와 단말장치(100) 간의 접속에 기반이 되는 네트워크(1)는, 인터넷 망과 이동통신 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100)가 외부장치(10a...10n)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인 것을 실시예로 하며, 이에 네트워크(1)에 포함되는 이동통신 망은 이러한 단말장치(100)을 지원하는 타입의 이동통신 망일 것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망으로서는 WCDMA 이동통신 망을 예로 들 수 있다.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300)는, 복수 개일 수 있는 단말장치(100)들 각각에 해당하는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한다. 이러한 접속주소정보는 해당 단말장치(100)의 IP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며,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300)는, 각각의 단말장치(100)로부터 단말장치(100) 자신의 IP정보를 등록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이후 설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300)를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라고 명칭 하겠다.
그리고,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는,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해당 단말장치(100)의 접속주소정보 즉 단말장치(100)의 IP정보가 소정 외부장치(10a)로부터 요청되면, 해당 IP정보를 검색하여 외부장치(10a)로 회신한다.
여기서, 외부장치(10a)가 단말장치(100)의 IP정보를 직접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로 요청할 수 있지만, 외부장치(10a)가 DNS서버(200)를 통해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로 단말장치(100)의 IP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DNS서버(200)는, 외부장치(10a)가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해당 단말장치(100)의 일반적인 단말장치정보(예 :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아이디 등)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단말장치(100)의 IP정보를 요청하면, 이에 기초하여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로 단말장치(100)의 IP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로부터 요청한 단말장치(100)의 IP정보가 회신되면, DNS서버(200)는 회신된 IP정보를 외부장치(10a)로 제공한다.
외부장치(10a)는, 네트워크(1)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접속하여 단말장치(100) 내에 저장된 공유리소스에 접근,검색,요청하고자 하는 장치로써, 단말장치(100)와 같은 구성의 이동통신 단말장치일 수 있고 또는 컴퓨터, PDA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외부장치(10a)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 단말장치(100) 내의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이벤트가 입력되면, DNS서버(200)로 해당 단말장치(100)의 IP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외부장치(10a)는,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해당 단말장치(100)의 일 반적인 단말장치정보(예 :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아이디 등)를 URL형태로 DNS서버(200)에 제공하여, 해당 단말장치(100)의 IP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DNS서버(200)로부터 해당 단말장치(100)의 IP정보가 제공되면, 외부장치(10a)는 IP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1)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접속하고, 단말장치(100)로 공유리소스를 요청한다.
여기서, 외부장치(10a)는 네트워크(1)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접속한 후, 먼저 단말장치(100)의 내부에 저장된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요청하여 공유리소스목록이 회신되면, 이에 기초하여 원하는 공유리소스를 검색한 후 해당 공유리소스를 단말장치(100)로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외부장치(10a)는 요청한 공유리소스가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면, 제공된 공유리소스를 내부에 저장하여, 외부장치(10a)의 리소스로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외부장치(10a) 입장에서 요청할 공유리소스를 어떤 단말장치가 내장하고 있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 또는 외부장치(10a)가 단말장치(100)에 접속하여 공유리소스를 검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은 공유리소스검색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유리소스검색서버(400)는, 각 단말장치 별로 해당 단말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기 저장한다. 그리고, 공유리소스검색서버(400)는, 외부장치(10a)로부터 소정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기 저장된 공유리소스목록에 기초하여,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단말장치(예 : 100)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단말장치(100)의 단말장치정보(예 :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아이디 등)를 외부장치(10a)로 회신한다.
이에, 외부장치(10a)는, 요청하고자 하는 소정 공유리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장치의 단말장치정보를 공유리소스검색서버(400)에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단말장치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장치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장치(예 : 100)의 IP정보를 DNS서버(200)로 요청할 수도 있다.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된 외부장치(10a)로부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요청된 공유리소스를 외부장치(10a)로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100)가 외부장치(10a...10n)와 직접 접속하여 외부장치(10a...10n)로부터의 요청을 직접 처리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며,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WCDMA 방식의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접근권한을 기 저장하고, 소정 공유리소스에 대한 소정 외부장치(예 : 10a)의 접근권한확인이 요청되면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을 확인한 접근허용여부를 회신하는 디렉토리서버(120)와,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저장하고, 저장된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공유리소스로서 디렉토리서버(120)에 등록하고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접근권한을 디렉토리서버(120)에 등록하는 리소스관리자(130)와,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된 외부장치(예 : 10a)로부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디렉토리서버(120)로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확인을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접근허용여부에 기초하여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되면, 리소스관리자(130)의 요청된 공유리소스를 외부장치(10a)로 제공하는 내장형웹서버(110)를 포함한다.
리소스관리자(130)는,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다양한 데이터 및 컨텐츠에 해당하는 리소스(전화번호부, 사진, 동영상, 게임컨텐츠 등)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 설정에 따라 리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타 장치에서 공유 가능한 공유리소스로서 설정하여 디렉토리서버(120)에 등록한다. 그리고, 리소스관리자(130)는, 공유리소스로서 등록한 해당 공유리소스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을 디렉토리서버(120)에 등록한다.
여기서, 각 공유리소스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은, 해당 공유리소스에 접근을 허용하는 외부장치목록정보, 해당 공유리소스에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인증패스워드정보 등 접근 허용을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디렉토리서버(120)는, 리소스관리자(130)로부터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각 접근권한을 기 저장한다. 그리고, 디렉토리서버(120)는, 내장형웹서버(110)로부터 소정 공유리소스에 대한 소정 외부장치(예 : 10a)의 접근권한확인이 요청되면, 해당 공유리소스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해당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을 확인한다. 이에, 디렉토리서버(120)는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을 확인한 접근허용여부를 내장형웹서버(110)로 회신한다.
여기서, 디렉토리서버(120)는, 리소스관리자(130)에 의해 공유리소스로서 등 록되는 해당 리소스들에 대한 리스트 즉, 리소스관리자(130)로부터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디렉토리서버(120)는, 내장형웹서버(110)로부터 공유리소스목록이 요청되면 기 저장된 공유리소스목록을 내장형웹서버(110)로 회신한다.
한편, 디렉토리서버(120)는, 기 저장된 공유리소스목록을 외부의 공유리소스검색서버(400)에 제공하여, 자신이 포함된 단말장치(100)에 저장된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의 저장을 요청할 수도 있다.
내장형웹서버(11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의 외부장치(10a...10n)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써, 자신이 포함된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소정의 접속주소정보 즉, 단말장치(100)의 IP정보를 외부의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에 제공하여 등록을 요청한다.
그리고, 내장형웹서버(11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의 외부장치(예 : 10a)로부터 공유리소스목록이 요청되면 디렉토리서버(120)의 공유리소스목록을 외부장치(10a)로 제공하고, 외부장치(예 : 10a)로부터 소정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디렉토리서버(120)로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확인을 요청한다.
이에, 디렉토리서버(120)로부터 회신되는 접근허용여부에 기초하여, 내장형웹서버(110)는 해당 공유리소스에 대한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된다고 판단되면 리소스관리자(130)로 해당 공유리소스를 요청하고, 이에 반환되는 공유리소스를 외부장치(10a)로 제공한다. 그리고, 디렉토리서버(120)로부터 회신되는 접근허용여부에 기초하여, 내장형웹서버(110)는 해당 공유리소스에 대한 외부장치(10a)의 접 근이 허용되지 않는 다고 판단되면 접근권한이 없음을 외부장치(10a)로 통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은, 외부장치(10a...10n)가 네트워크(1)를 통해 직접 단말장치(100)에 접속하여, 단말장치(100)의 공유리소스에 접근/검색/요청할 수 있고 이에 단말장치(100)의 내장형웹서버(110)는 요청된 해당 공유리소스를 외부장치(10a...10n)로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도 P2P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의 제어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의 전체 제어 흐름을 설명하면, 단말장치(100)는 자신에 대응하는 소정의 접속주소정보 즉, 단말장치(100)의 IP정보를 외부의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에 제공하여 등록을 요청한다(S10).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소정 단말장치(100) 내의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이벤트가 입력되는(S20) 소정의 외부장치(예 : 10a)는,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소정 단말장치(예 : 100)의 IP정보를 DNS서버(200)를 통해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에 요청한다(S30). 이때, 외부장치(10a)는,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해당 단말장치(100)의 일반적인 단말장치정보(예 :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아이디 등)를 URL형태로 DNS서버(200)로 제공하여, 해당 단말장치(100)의 IP정보를 단 말장치IP관리서버(3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는 요청된 해당 단말장치(100)의 IP정보를 외부장치(10a)로 회신하고(S40), 외부장치(10a)는 회신되는 IP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1)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접속한다(S50). 그리고, 외부장치(10a)는 단말장치(100)의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하거나 또는 공유리소스목록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외부장치(10a)는 접속한 단말장치(100)로 공유리소스를 요청하고(S60), 이에, 단말장치(100)는 요청된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해당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접근이 허용되는 경우, 단말장치(100)는 요청된 공유리소스를 외부장치(10a)로 제공하고(S80),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단말장치(100)는 접근권한 없음을 외부장치(10a)에 통보한다(S90).
이에, 공유리소스를 제공받게 되는 외부장치(10a)는, 제공된 공유리소스를 저장하여 외부장치(10a)의 리소스로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외부장치(10a) 입장에서 요청할 공유리소스를 어떤 단말장치가 내장하고 있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 또는 외부장치(10a)가 단말장치(100)에 접속하여 공유리소스를 검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리소스검색서버(400)를 이용하는 제어 흐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공유리소스로서 등록되는 해당 리소스들에 대한 리스트 즉,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기 저장하고, 이러한 공유리소스목록을 외부의 공유리소스검색서버(400)에 제공하여, 단말장치(100)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의 저장을 요청할 수 있다(S5). 이에, 공유리소스검색서버(400)는 각 단말장치 별로 해당 단말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기 저장하게 된다(S7).
여기서, 전술한 S20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이벤트가 입력되면(S20), 외부장치(10a)는 요청하고자 하는 소정 공유리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장치의 단말장치정보를 공유리소스검색서버(400)에 요청한다(S22). 이에 공유리소스검색서버(400)는, 기 저장된 공유리소스목록에 기초하여,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단말장치(예 : 100)를 검색하고(S25), 검색된 해당 단말장치(100)의 단말장치정보(예 :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아이디 등)를 외부장치(10a)로 회신한다(S27).
이에, 외부장치(10a)는 회신되는 단말장치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장치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장치(예 : 100)의 IP정보를 요청하는 전술한 S3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된 외부장치(10a)로부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요청된 공유리소스를 외부장치(10a)로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되 는 외부장치(10a)와 통신할 수 있는 내장형웹서버(110)의 구성을 포함하여, 전술한 P2P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단말장치(100) 측의 구체적인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내장형웹서버(110)는, 자신이 포함된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소정의 접속주소정보 즉, 단말장치(100)의 IP정보를 외부의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에 제공하여 등록을 요청한다(S20). 한편,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다양한 데이터 및 컨텐츠에 해당하는 리소스(전화번호부, 사진, 동영상, 게임컨텐츠 등)들을 저장하는 리소스관리자(13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 설정에 따라 리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타 장치에서 공유 가능한 공유리소스로서 설정하여 디렉토리서버(120)에 등록하고, 공유리소스로서 등록한 해당 공유리소스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을 디렉토리서버(120)에 등록한다(S15). 이에 디렉토리서버(120) 공유리소스에 대한 각 접근권한을 기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내장형웹서버(11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소정의 외부장치(예 : 10a)가 접속되고(S50), 외부장치(10a)로부터 소정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S60), 디렉토리서버(120)로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확인을 요청한다(S72).
이에, 디렉토리서버(120)는, 내장형웹서버(110)로부터 소정 공유리소스에 대한 소정 외부장치(예 : 10a)의 접근권한확인이 요청되면, 해당 공유리소스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해당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을 확인한다(S75). 이에, 디렉토리서버(120)는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을 확인한 접근허용여부를 내장형웹 서버(110)로 회신한다(S77).
이에, 디렉토리서버(120)로부터 회신되는 접근허용여부에 기초하여, 내장형웹서버(110)는 해당 공유리소스에 대한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된다고 판단되면 내장형웹서버(110)는 리소스관리자(130)로 해당 공유리소스를 요청하고(S83), 이에 리소스관리자(130)로부터 공유리소스가 반환되면(S85), 이 공유리소스를 외부장치(10a)로 제공할 수 있다(S80).
그리고, S7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다고 판단되면 내장형웹서버(110)는 접근권한이 없음을 외부장치(10a)로 통보한다(S90).
물론, 도 6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도 7에서 설명한 S5단계를 설명하면, 디렉토리서버(120)는 전술한 S15단계에서 리소스관리자(130)로부터 등록되는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공유리소스목록을 외부의 공유리소스검색서버(400)에 제공하여, 단말장치(100)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의 저장을 요청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은, 외부장치(10a...10n)가 네트워크(1)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접속하여, 단말장치(100)의 공유리소스에 접근/검색/요청할 수 있고 이에 단말장치(100)의 내장형웹서버(110)가 요청된 해당 공유리소스를 외부장치(10a...10n)로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도 P2P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은,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하며, 소정 프록시서버(350')로부터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해당 단말장치(예 : 100')의 접속주소정보가 요청되면 해당 접속주소정보를 회신하는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와,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소정 단말장치(예 : 100')에 대응하는 소정 프록시서버(350')에 네트워크(2)를 통해 접속하여 단말장치(100')의 내부에 저장된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외부장치(10a'...10n')와, 외부장치(예 : 10a')로부터 단말장치(예 : 100)의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단말장치(100')의 접속주소정보를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에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접속주소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2)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접속하여 외부장치(예 : 10a')로부터의 공유리소스 요청을 제공하고, 이에 회신되는 공유리소스를 외부장치(예 : 10a')로 제공하는 프록시서버(350')와, 내부에 저장된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공유리소스로서 등록하고,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접근권한을 등록하며, 프록시서버(350')로부터 외부장치(예 : 10a')로부터의 공유리소스 요청이 제공되면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외부장치(예 : 10a')의 접근이 허용되면 요청된 공유리소스를 프록시서버(350')로 제공하는 단말장치(100')와, DNS서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장치(10a'...10b')는, 소정 단말장치(100') 내의 공유리소스에 접근하고자 하는 장치로써,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부장치(10a')를 언급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는 단말장치(100')를 단일개로 도시하였지만, 단말장치(100') 역시 복수 개 일 수 있다.
여기서, 외부장치(10a')와 단말장치(100') 간의 접속에 기반이 되는 네트워크(2)는, 인터넷 망과 이동통신 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100')가 외부장치(10a'...10n') 로부터 데이터 접속 요청을 직접 처리할 수 없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인 것을 실시예로 하며, 이에 네트워크(2)에 포함되는 이동통신 망은 이러한 단말장치(100')을 지원하는 타입의 이동통신 망일 것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망으로서는 CDMA 이동통신 망를 예로 들 수 있다.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는, 복수 개일 수 있는 단말장치(100')들 각각에 해당하는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한다. 이러한 접속주소정보는 해당 단말장치(100')의 IP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며,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는, 각각의 단말장치(100')로부터 단말장치(100') 자신의 IP정보를 등록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는, 프록시서버(350')로부터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해당 단말장치(예 : 100')의 접속주소정보 즉 IP정보가 요청되면, 해당 IP정보를 검색하여 프록시서버(350')로 회신한다.
프록시서버(350')는, 단말장치(100')가 외부장치(10a')와 직접 접속하여 외부장치(10a')로부터의 공유리소스 요청을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연계를 위해 필요로되는 구성으로서, 소정 외부장치(10a')로부터 단말장치(100)의 소정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해당 단말장치(100')의 접속주소정보 즉 IP정보를 단말장치IP관리서 버(300')에 요청한다. 이에, 프록시서버(350')는,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로부터 단말장치(100')의 IP정보가 회신되면, 이 IP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2)를 통해 해당 단말장치(100')에 접속하게 된다.
여기서, 프록시서버(350')는, 단말장치(100')에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앞서, DNS서버(200')를 간단히 설명하면 외부장치(10a')가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해당 단말장치(100')의 일반적인 단말장치정보(예 :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아이디 등)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단말장치(100')의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면, DNS서버(200')는, 이에 단말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는 즉 해당 단말장치(100')를 관리하는 해당 프록시서버(350')로 접속을 유도한다. 즉, DNS서버(200')는, 해당 프록시서버(350')의 접속정보를 외부장치(10a')로 제공하여 외부장치(10a')가 해당 프록시서버(350')에 접속하도록 돕는다.
프록시서버(350')가 단말장치(100')에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프록시서버(350')는,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로부터 단말장치(100')의 IP정보가 회신되면, 이 IP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로 접속요청메시지를 제공한다. 이때, 프록시서버(350')는 접속요청메시지를 SMS 푸쉬를 통해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네트워크(2)를 통해 단말장치(100')가 접속되면, 프록시서버(350')는 외부장치(10a')로부터의 공유리소스 요청을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로부터 해당 공유리소스가 수신되면, 프록시서버(350')는 이 공유리소스를 외부장치(10a')로 제공한다.
외부장치(10a')는, 소정 단말장치(100') 내에 저장된 공유리소스에 접근,검 색,요청하고자 하는 장치로써, 단말장치(100')와 같은 구성의 이동통신 단말장치일 수 있고 또는 컴퓨터, PDA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외부장치(10a')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 단말장치(100') 내의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이벤트가 입력되면, DNS서버(200')로 해당 단말장치(100')의 공유리소스를 요청함에 따라 해당 프록시서버(350')에 접속하여 단말장치(100')의 공유리소스를 요청한다. 이대, 외부장치(10a')는, HTTP 리퀘스트 형태로 단말장치(100')의 공유리소스를 프록시서버(350')에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장치(10a')는, 프록시서버(350')로부터 요청한 단말장치(100')의 공유리소스가 제공되면, 제공된 공유리소스를 내부에 저장하여, 외부장치(10a')의 리소스로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외부장치(10a') 입장에서 요청할 공유리소스를 어떤 단말장치가 내장하고 있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 또는 외부장치(10a')가 단말장치(100')에 접속하여 공유리소스를 검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은 공유리소스검색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유리소스검색서버(400')는, 각 단말장치 별로 해당 단말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기 저장한다. 그리고, 공유리소스검색서버(400')는, 외부장치(10a')로부터 소정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기 저장된 공유리소스목록에 기초하여,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단말장치(예 : 100')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단말장치(100')의 단말장치정보(예 :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아이디 등)를 외부장치(10a)로 회신한다.
이에, 외부장치(10a')는, 요청하고자 하는 소정 공유리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장치의 단말장치정보를 공유리소스검색서버(400')에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단말장치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장치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장치(예 : 100')의 공유리소스를 DNS서버(200')로 요청할 수도 있다.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2)를 통해 접속된 프록시서버(350')로부터 소정 외부장치(10a')로부터의 공유리소스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된 공유리소스를 프록시서버(350')로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접근권한을 기 저장하고, 소정 공유리소스에 대한 소정 외부장치(예 : 10a')의 접근권한확인이 요청되면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을 확인한 접근허용여부를 회신하는 디렉토리서버(120')와,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저장하고, 저장된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공유리소스로서 디렉토리서버(120')에 등록하고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접근권한을 디렉토리서버(120')에 등록하는 리소스관리자(130')와, 네트워크(2)를 통해 접속된 외부장치(예 : 10a)로부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디렉토리서버(120)로 소정 프록시서버(350')로부터 소정 외부장치(10a')로부터의 공유리소스 요청이 제공되면, 디렉토리서버(120')로 상기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확인을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접근허용여부에 기초하여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되면, 리소스관리자(130')의 요청된 공유리소스를 프록시서버(350')로 제공하는 내장형웹서버(110') 를 포함한다.
리소스관리자(130')는,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다양한 데이터 및 컨텐츠에 해당하는 리소스(전화번호부, 사진, 동영상, 게임컨텐츠 등)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 설정에 따라 리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타 장치에서 공유 가능한 공유리소스로서 설정하여 디렉토리서버(120')에 등록한다. 그리고, 리소스관리자(130')는, 공유리소스로서 등록한 해당 공유리소스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을 디렉토리서버(120')에 등록한다.
여기서, 각 공유리소스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은, 해당 공유리소스에 접근을 허용하는 외부장치목록정보, 해당 공유리소스에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인증패스워드정보 등 접근 허용을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디렉토리서버(120')는, 리소스관리자(130')로부터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각 접근권한을 기 저장한다. 그리고, 디렉토리서버(120')는, 내장형웹서버(110')로부터 소정 공유리소스에 대한 소정 외부장치(예 : 10a')의 접근권한확인이 요청되면, 해당 공유리소스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해당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을 확인한다. 이에, 디렉토리서버(120')는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을 확인한 접근허용여부를 내장형웹서버(110')로 회신한다.
여기서, 디렉토리서버(120')는, 리소스관리자(130')에 의해 공유리소스로서 등록되는 해당 리소스들에 대한 리스트 즉, 리소스관리자(130')로부터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디렉토리서버(120')는, 내장형웹서버(110')로부터 공유리소스목록이 요청되면 기 저장된 공유리소스목록을 내장형웹서버(110')로 회신한다.
한편, 디렉토리서버(120')는, 기 저장된 공유리소스목록을 외부의 공유리소스검색서버(400')에 제공하여, 자신이 포함된 단말장치(100')에 저장된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의 저장을 요청할 수도 있다.
내장형웹서버(110')는, 네트워크(2)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의 프록시서버(35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써, 자신이 포함된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소정의 접속주소정보 즉, 단말장치(100')의 IP정보를 외부의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에 제공하여 등록을 요청한다.
그리고, 내장형웹서버(110')는, 프록시서버(350')로부터 접속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 접속요청메시지에 기초하여 네트워크(2)를 통해 해당 프록시서버(350')에 접속한다. 내장형웹서버(110')는, 네트워크(2)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의 프록시서버(350')로부터 외부장치(예 : 10a')로부터의 공유리소스목록 요청이 수신되면 디렉토리서버(120')의 공유리소스목록을 프록시서버(350')로 제공하고, 프록시서버(350')로부터 외부장치(예 : 10a')로부터의 소정 공유리소스 요청이 수신되면 디렉토리서버(120')로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확인을 요청한다.
이에, 디렉토리서버(120')로부터 회신되는 접근허용여부에 기초하여, 내장형웹서버(110')는 해당 공유리소스에 대한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된다고 판단되면 리소스관리자(130')로 해당 공유리소스를 요청하고, 이에 반환되는 공유리소스를 프록시서버(350')로 제공한다. 그리고, 디렉토리서버(120')로부터 회신되는 접근허용여부에 기초하여, 내장형웹서버(110')는 해당 공유리소스에 대한 외부장 치(10a')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다고 판단되면 접근권한이 없음을 프록시서버(350')로 통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은, 외부장치(10a'...10n')가 네트워크(2)를 통해 프록시서버(350')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접근하여, 단말장치(100')의 공유리소스에 접근/검색/요청할 수 있고 이에 단말장치(100')의 내장형웹서버(110')는 요청된 해당 공유리소스를 프록시서버(350')를 통해 외부장치(10a'...10n')로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도 P2P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의 제어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의 전체 제어 흐름을 설명하면, 단말장치(100')는 자신에 대응하는 소정의 접속주소정보 즉, 단말장치(100')의 IP정보를 외부의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에 제공하여 등록을 요청한다(S110).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소정 단말장치(100') 내의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이벤트가 입력되는(S120) 소정의 외부장치(예 : 10a')는,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소정 단말장치(예 : 100')의 공유리소스를 프록시서버(350')로 요청한다(S130).
이에, 프록시서버(350')는 소정 외부장치(10a')로부터 단말장치(100)의 소정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해당 단말장치(100')의 접속주소정보 즉 IP정보를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에 요청한다(S140). 이에,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로부터 단말장치(100')의 IP정보가 회신되면(S150), 프록시서버(350')는, 회신된 IP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로 접속요청메시지를 제공한다(S160). 이때, 프록시서버(350')는 접속요청메시지를 SMS 푸쉬를 통해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접속요청메시지에 기초하여 네트워크(2)를 통해 프록시서버(350')에 접속하고(S170), 프록시서버(350')는 단말장치(100')가 접속되면 외부장치(10a')로부터의 공유리소스 요청을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180).
이에, 단말장치(100')는 요청된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해당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0). 접근이 허용되는 경우, 단말장치(100')는 요청된 공유리소스를 프록시서버(350')로 제공하고(S200), 프록시서버(350')는 제공되는 공유리소스를 외부장치(10a')로 제공한다(S210).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단말장치(100')는 접근권한 없음을 프록시서버(350')로 통보하고(S220), 프록시서버(350')는 접근권한 없음을 외부장치(10a')에 통보한다(S230).
이에, 공유리소스를 제공받게 되는 외부장치(10a')는, 제공된 공유리소스를 저장하여 외부장치(10a')의 리소스로서 활용할 수 있다.
물론, 외부장치(10a')는 단말장치(100')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요청할 수도 있다. 공유리소스목록을 요청하는 경우도 전술한 S110단계 내지 S230단계에서 그 제어 흐름을 동일할 것이다.
한편, 외부장치(10a') 입장에서 요청할 공유리소스를 어떤 단말장치가 내장하고 있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 또는 외부장치(10a')가 단말장치(100')에 접속하여 공유리소스를 검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에서도, 전술한 제1실시예의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공유리소스검색서버(400')를 통해 외부장치(10a')가 요청할 공유리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단말장치(예 : 100')에 대한 단말장치정보(예 :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아이디 등)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2)를 통해 접속된 프록시서버(350')로부터 소정 외부장치(10a)로부터의 공유리소스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된 공유리소스를 프록시서버(350')로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2)를 통해 접속되는 프록시서버(350')와 통신할 수 있는 내장형웹서버(110')의 구성을 포함하여, 전술한 P2P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단말장치(100') 측의 구체적인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내장형웹서버(110')는, 자신이 포함된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소정의 접속주소정보 즉, 단말장치(100')의 IP정보를 외부의 단말장치IP관리서버(300')에 제공하여 등록을 요청한다(S110). 한편,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다양한 데이터 및 컨텐츠에 해당하는 리소스(전화번호부, 사진, 동영상, 게임컨텐츠 등)들을 저장하 는 리소스관리자(13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 설정에 따라 리소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타 장치에서 공유 가능한 공유리소스로서 설정하여 디렉토리서버(120')에 등록하고, 공유리소스로서 등록한 해당 공유리소스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을 디렉토리서버(120')에 등록한다(S115). 이에 디렉토리서버(120')는 공유리소스에 대한 각 접근권한을 기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내장형웹서버(110')는, 프록시서버(350')로부터 접속요청메시지가 제공되면(S160), 접속요청메시지에 기초하여 네트워크(2)를 통해 프록시서버(350')에 접속한다(S170). 그리고, 내장형웹서버(110')는, 프록시서버(350')로부터 외부장치(10a')로부터의 공유리소스 요청이 수신되면(S180), 디렉토리서버(120')로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확인을 요청한다(S192).
이에, 디렉토리서버(120')는, 내장형웹서버(110')로부터 소정 공유리소스에 대한 소정 외부장치(예 : 10a')의 접근권한확인이 요청되면, 해당 공유리소스에 대응하는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해당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을 확인한다(S195). 이에, 디렉토리서버(120')는 외부장치(10a')의 접근권한을 확인한 접근허용여부를 내장형웹서버(110')로 회신한다(S197).
이에, 디렉토리서버(120')로부터 회신되는 접근허용여부에 기초하여, 내장형웹서버(110')는 해당 공유리소스에 대한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0).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된다고 판단되면 내장형웹서버(110')는 리소스관리자(130')로 해당 공유리소스를 요청하고(S203), 이에 리소스관리자(130')로부터 공유리소스가 반환되면(S205), 이 공유리소스를 프록시서 버(350')로 제공한다(S200).
그리고, S19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외부장치(10a')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다고 판단되면 내장형웹서버(110')는 접근권한이 없음을 프록시서버(350')로 통보한다(S22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은, 외부장치(10a'...10n')가 네트워크(2)를 통해 프록시서버(350')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접근하여, 단말장치(100')의 공유리소스에 접근/검색/요청할 수 있고 이에 단말장치(100')의 내장형웹서버(110')는 요청된 해당 공유리소스를 프록시서버(350')를 통해 외부장치(10a'...10n')로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도 P2P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외부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소정 단말장치에 접근하여, 단말장치 내의 공유리소스에 접근/검색/요청할 수 있고 이에 단말장치의 내장형웹서버는 요청된 해당 공유리소스를 해당 외부장치로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도 P2P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는 장치 대 장 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및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을 적용할 경우, 이동통신 환경을 고려한 단말장치 간의 P2P 서비스 적용, 단말장치의 리소스 공유 이용의 효율성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P2P서비스 및 단말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에서 단말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에서 단말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의 전체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에서 단말장치 측의 구체적인 제어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에서 공유리소스검색서버를 이용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에서 단말장치 측의 구체적인 제어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에서 단말장치 측의 구체적인 제어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네트워크 10a...10n : 외부장치
100 : 단말장치 200 : DNS서버
300 : 단말장치IP관리서버 400 : 공유리소스검색서버

Claims (21)

  1.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하며, 소정 외부장치로부터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해당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가 요청되면 해당 접속주소정보를 회신하는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소정 단말장치의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에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외부장치; 및
    내부에 저장된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상기 공유리소스로서 등록하고,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접근권한을 등록하며,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상기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요청하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회신되는 상기 공유리소 스목록에 기초하여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단말장치 별로 해당 단말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기 저장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소정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단말장치의 단말장치정보를 상기 외부장치로 회신하는 공유리소스검색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장치는,
    소정 공유리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단말장치의 단말장치정보를 상기 공유리소스검색서버에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상기 단말장치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장치의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5. 적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접근권한을 기 저장하고, 소정 공유리소스 에 대한 소정 외부장치의 접근권한확인이 요청되면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을 확인한 접근허용여부를 회신하는 디렉토리서버;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저장하고, 저장된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공유리소스로서 상기 디렉토리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접근권한을 상기 디렉토리서버에 등록하는 리소스관리자; 및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상기 디렉토리서버로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확인을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접근허용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리소스관리자의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내장형웹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서버는, 상기 리소스관리자로부터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저장하고,
    상기 내장형웹서버는,
    접속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공유리소스목록가 요청되면, 상기 디렉토리서버의 상기 공유리소스목록을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서버는,
    상기 리소스관리자로부터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외부의 소정 공유리소스검색서버에 제공하여, 자신이 포함된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공유리소스목록의 저장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웹서버는,
    자신이 포함된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접속주소정보를 외부의 소정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에 등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9.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하며, 소정 프록시서버로부터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해당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가 요청되면 해당 접속주소정보를 회신하는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소정 프록시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외부장치;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에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공유리소스 요청을 제공하고, 이에 회신되는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프록시서버; 및
    내부에 저장된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상기 공유리소스로서 등록하고,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접근권한을 등록하며, 상기 프록시서버로부터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공유리소스 요청이 제공되면 상기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프록시서버로 제공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서버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접속요청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접속요청메시지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공유리소스 요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 단말장치 별로 해당 단말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기 저장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소정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단말장치의 단말장치정보를 상기 외부장치로 회신하는 공유리소스검색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장치는,
    소정 공유리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단말장치의 단말장치정보를 상기 공유리소스검색서버에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상기 단말장치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소정 프록시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12. 적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접근권한을 기 저장하고, 소정 공유리소스에 대한 소정 외부장치의 접근권한확인이 요청되면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을 확인한 접근허용여부를 회신하는 디렉토리서버;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저장하고, 저장된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공유리소스로서 상기 디렉토리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접근권한을 상기 디렉토리서버에 등록하는 리소스관리자; 및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소정 프록시서버로부터 소정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공유리소스 요청이 제공되면, 상기 디렉토리서버로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확인을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접근허용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리소스관리자의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프록시서버로 제공하는 내장형웹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웹서버는,
    상기 프록시서버로부터 소정 접속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프록시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14.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에 있어서,
    외부장치가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소정 단말장치의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한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접속주소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 접속주소정보를 회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상기 단말장치가 내부의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는 경우,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가 각 단말장치 별로 해당 단말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기 저장한 공유리소스검색서버로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상기 공유리소스검색서버가 상기 공유리소스목록에 기초하여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단말장치의 단말장치정보를 상기 외부장치로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
  16. 내부에 저장된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공유리소스로서 등록하고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접근권한을 등록하는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공유리소스가 요청되면, 내장형웹서버가 상기 요청된 공유리소스에 대한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내장형웹서버가 상기 요청된 공유리소스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리소스에 대한 공유리소스목록을 외부의 소정 공유리소스검색서버에 제공하여, 자신이 포함된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공유리소스목록의 저장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웹서버가 자신이 포함된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소정의 접속주소정보를 외부의 소정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에 등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
  19.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에 있어서,
    외부장치가 소정 공유리소스를 요청할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소정 프록시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프록시서버가 각 단말장치의 접속주소정보를 기 저장하는 소정 단말장치주소정보관리서버로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프록시서버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공유리소스 요청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록시서버로부터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공유리소스 요청이 제공되면, 상기 단말장치가 내부의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는 경우, 요청된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프록시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록시서버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회신되는 상기 공유리소스를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프록시서버가 회신되는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접속요청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접속요청메시지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프록시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
  21. 내부에 저장된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공유리소스로서 등록하고 상기 공유리소스에 대응하여 접근권한을 등록하는 단계;
    소정 프록시서버로부터 접속을 요청하는 소정 접속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 내장형웹서버가 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프록시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접속된 상기 프록시서버로부터 소정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공유리소스 요청 이 제공되면, 상기 내장형웹서버가 상기 요청된 공유리소스에 대한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외부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내장형웹서버가 상기 요청된 공유리소스를 상기 프록시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80086042A 2008-09-01 2008-09-01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및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 Active KR101065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42A KR101065939B1 (ko) 2008-09-01 2008-09-01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및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42A KR101065939B1 (ko) 2008-09-01 2008-09-01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및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874A true KR20100026874A (ko) 2010-03-10
KR101065939B1 KR101065939B1 (ko) 2011-09-19

Family

ID=4217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042A Active KR101065939B1 (ko) 2008-09-01 2008-09-01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및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9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966B1 (ko) * 2011-12-07 2013-07-30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M2m 통신에서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4042446A3 (ko) * 2012-09-12 201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리소스에 대한 특정 권한 획득을 요청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4088340A1 (ko) * 2012-12-05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근 권한 인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086475A (ko) * 2015-01-09 2016-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921A (ko) * 2001-05-17 2001-08-22 박준상 순수 p2p 서비스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운영시스템
KR20040025445A (ko) * 2002-09-19 2004-03-24 주식회사 네오위즈 웹사이트를 통한 피투피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및 방법
KR20030004206A (ko) * 2002-11-28 2003-01-14 (주) 로스틱테크놀로지 디지털 콘텐츠 유통을 위한 피어투피어 기반 유무선 통합디.알.엠 시스템 구축 방법
KR101065980B1 (ko) * 2004-12-10 2011-09-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2p 방식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유무선 인터넷 연동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966B1 (ko) * 2011-12-07 2013-07-30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M2m 통신에서 장치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4042446A3 (ko) * 2012-09-12 201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리소스에 대한 특정 권한 획득을 요청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955348B2 (en) 2012-09-12 2018-04-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questing for specific right acquisition on specific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88340A1 (ko) * 2012-12-05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근 권한 인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9615346B2 (en) 2012-12-05 2017-04-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information chan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257800B2 (en) 2012-12-05 2019-04-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access author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60086475A (ko) * 2015-01-09 2016-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939B1 (ko) 201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3840B2 (en) Method for distributing contact information between applications
JP4301997B2 (ja) 携帯電話による情報家電向け認証方法
CN100533440C (zh) 基于对共享式数据的访问权限来提供服务
EP3203709B1 (en) Cloud service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loud service server
US20110013775A1 (en) System and method of mobile content sharing and delivery in an integrated network environment
US9232340B2 (en) Application store system and application development method using the application store system
JPWO2009107219A1 (ja) 認証装置,認証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装した認証プログラム
CN105025484B (zh) 接入Wi-Fi热点的方法及装置
KR101065939B1 (ko)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시스템 및 장치 대 장치 간의 리소스 공유 방법
US8751673B2 (en) Authentication apparatus, authentication method, and data using method
JP5678893B2 (ja) 属性情報連携提供システム、アクセス情報管理装置、アクセス情報代理管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0064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883372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모듈 다운로딩 시스템 및 방법
JP4872268B2 (ja) 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携帯端末
JP2004213315A (ja) 認証サーバ、認証システム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JP6343045B2 (ja) 記憶媒体及び方法
KR101409348B1 (ko) 통합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및 관리 방법
JP4629024B2 (ja) 認証サーバ及び認証方法
KR100620565B1 (ko) 이동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에 가입하기 위한 방법 및 그장치
KR100818304B1 (ko) 인터넷 망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원격 접근 방법 및 시스템
KR101237054B1 (ko) 디렉토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디렉토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013579A (ko) 무선 통신 기기
CN115941349A (zh) 社交通信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8125045A (ja) ユーザ管理装置
KR20050066093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2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9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