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26870A - 다층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870A
KR20100026870A KR1020080086037A KR20080086037A KR20100026870A KR 20100026870 A KR20100026870 A KR 20100026870A KR 1020080086037 A KR1020080086037 A KR 1020080086037A KR 20080086037 A KR20080086037 A KR 20080086037A KR 20100026870 A KR20100026870 A KR 20100026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diffusion layer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운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to KR1020080086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6870A/ko
Priority to PCT/KR2009/004904 priority patent/WO2010024648A1/ko
Publication of KR2010002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87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7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88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 H04N13/395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with depth sampling, i.e. the volume being constructed from a stack or sequence of 2D image pl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의 이차원 이미지를 중첩하여 깊이를 가지는 다층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다층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층 영상 표시 장치는, 제1 액정 표시 장치와 상기 제1 액정 표시 장치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 액정 표시 장치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액정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액정 표시 장치의 아래 면과 상기 제2 액정 표시 장치의 위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 중 하나 이상은 편광막, 그리고 상기 편광막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광을 부분적으로 확산하는 확산층을 포함한다. 중첩된 액정 표시 장치의 편광판 내에 확산층이 구비됨으로써, 상이한 픽셀 패턴의 간섭에 의한 간섭 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다층 영상 표시 장치의 조립 공정이 매우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층, 깊이, 간섭 무늬, 확산층, 편광판

Description

다층 영상 표시 장치{MULTI-LAYER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다층의 이차원 이미지를 중첩하여 깊이를 가지는 다층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다층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깊이를 가지는 다층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을 중첩하는 방식이 소개된 바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간섭에 의해 나무결 모양이나 물결 모양 등의 노이즈(간섭 무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알려진 바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14419호(출원인: 딥 비디오 이미징 리미티드, 명칭: 다층 디스플레이)에서는 두 개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광을 약간 확산하는 확산층(diffuse layer)을 배치함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첩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술이 게시되었다.
그러나 두 개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확산층을 배치하는 경우 두 개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확산층을 배치한 후 조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조립 과정이 번거롭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중첩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간섭에 의한 노이즈를 제거함과 동시에 조립이 용이한 다층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 영상 표시 장치는 제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착되는 제1 편광판을 포함하는 제1 액정 표시 장치, 그리고 상기 제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2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착되는 제2 편광판을 포함하는 제2 액정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면에 접착되는 상기 제1 편광판은, 편광막, 그리고 상기 편광막 아래에 형성되며 광을 부분적으로 확산하는 확산층을 포함한다.
한편, 다층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편광막의 위 및 상기 확산층의 아래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영상 표시 장치는 제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착되는 제1 편광판을 포함하는 제1 액정 표시 장치, 그리고 상기 제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2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착되는 제2 편광판을 포함하는 제2 액정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접착되는 상기 제2 편광판은, 편광막, 그리고 상기 평광막 위에 형성되며 광을 부분적으로 확산하는 확산층을 포함한다.
한편, 다층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편광막의 아래 및 상기 확산층 위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영상 표시 장치는, 제1 액정 표시 장치와 상기 제1 액정 표시 장치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 액정 표시 장치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액정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액정 표시 장치의 아래 면과 상기 제2 액정 표시 장치의 위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 중 하나 이상은 편광막, 그리고 상기 편광막의 일측에 형성되며 광을 부분적으로 확산하는 확산층을 포함한다.
한편, 다층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액정 표시 장치의 아래 면과 상기 제2 액정 표시 장치의 위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확산층의 아래 또는 위에 형성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액정 표시 장치의 아래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은 상기 편광막의 위에 형성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액정 표시 장치의 위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은 상기 편광막의 아래에 형성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액정 표시 장치의 아래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이 상기 확산층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확산층은 상기 제1 액정 표시 장치의 아래 면에 부착되는 상기 편광판의 상기 편광막의 아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액정 표시 장치의 위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이 상기 확산층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확산층은 상기 제2 액정 표시 장치의 위 면에 부착되는 상기 편광판의 상기 편광막의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첩된 액정 표시 장치의 편광판 내에 확산층이 구비됨으로써, 상이한 픽셀 패턴의 간섭에 의한 간섭 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다층 영상 표시 장치의 조립 공정이 매우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이나 막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층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 영상 표시 장치의 편광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영상 표시 장치의 편광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영상 표시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액정 표시 장치(10)와 제2 액정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즉, 제 1 액정 표시 장치(10)와 제2 액정 표시 장치(20)는 위에서 볼 때 서로 포개져 보이도록 제1 액정 표시 장치(10)의 아래에 제2 액정 표시 장치(20)가 배치된다. 이때, 제1 액정 표시 장치(10)와 제2 액정 표시 장치(20)에서 구현된 영상이 미리 설정된 깊이를 가지도록 서로 중첩되도록, 제1 액정 표시 장치(10)와 제2 액정 표시 장치(20)는 약간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액정 표시 장치(10)와 제2 액정 표시 장치(20)를 서로 고정하는 프레임(frame) 등은 생략되었다.
제1 액정 표시 장치(10)와 제2 액정 표시 장치(20)는 기존에 알려진 액정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액정 표시 장치(10)와 제2 액정 표시 장치(20)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광학 시트 등 통상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액정 표시 장치(10)는 아래에 있는 제2 액정 표시 장치(20)에서 구현된 영상이 전면에서 보일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액정 표시 장치(10)는 액정 패널(11)을 포함하며, 편광판(13, 15)이 액정 패널(11)의 양측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편광판(13, 15)은 액정 패널(11)의 위 면과 아래 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액정 패널(11)은 종래에 알려진 액정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패널(11)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투명한 기판과 그 사이에 밀봉 되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층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액정 표시 장치(20)는 액정 패널(21)과 그 양측에 부착되는 한 쌍의 편광판(23, 25)을 포함한다. 이때, 편광판(23, 25)은 액정 패널(21)의 위 면과 아래 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액정 표시 장치(10)의 아래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15)과 제2 액정 표시 장치(20)의 위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23) 중 하나 이상은 광을 부분적으로 확산하는 확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산층은 광을 부분적으로 확산하는 종래에 알려진 헤이즈(haze) 처리된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확산층이 없다면 중첩된 두 개의 액정 표시 장치(10, 20)의 상이한 픽셀 패턴(pixel pattern)에 의해 간섭 무늬가 생기게 되는데, 제1 액정 표시 장치(10)의 아래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15)과 제2 액정 표시 장치(20)의 위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23) 중 하나 이상이 광을 부분적으로 확산하는 확산층을 구비함으로써 확산층이 픽셀 패턴을 약화시켜 간섭 무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영상 표시 장치의 편광판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2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제1 액정 표시 장치(10)와 제2 액정 표시 장치(20) 중 위에 배치되는 제1 액정 표시 장치(10)의 아래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15)이 확산층(19)을 포함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편광판(15)은 편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편광막(16)을 구비하며, 편광막(16) 위에 형성되는 보호막(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막(16)은 편광 기능을 가지는 폴리비닐알콜(PVA)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호막(17, 18)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즈(TAC)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편광막(16)과 보호막(17, 18) 그 자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확산층(19)은 편광막(16)의 아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액정 표시 장치(20)에서 발산된 빛이 확산층(19)에 의해 확산된 후 제1 액정 표시 장치(10)의 편광막(16)과 액정 패널(11)을 통과함으로써 픽셀 패턴의 간섭에 의한 간섭 무늬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확산층(19)의 아래에 보호막(1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확산층(19)이 보호막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므로, 확산층(19) 아래에 보호막이 생략될 수도 있고, 보호 기능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확산층(19) 아래에 보호막(18)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도 2에는 편광막(16) 아래에 확산층(19)과 보호막(18)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확산층(19) 아래에 있는 보호막(18)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제1 액정 표시 장치(10)와 제2 액정 표시 장치(20) 중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액정 표시 장치(20)의 위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23)이 확산층(29)을 포함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편광판(23)은 편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편광막(26)을 구비하며, 편광막(26) 아래에 배치되는 보호막(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확산층(29)은 편광막(26)의 위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액정 표시 장치(20)에서 발산된 빛이 확산층(29)에 의해 확산된 후 제1 액정 표시 장치(10)를 통과함으로써 픽셀 패턴의 간섭에 의한 간섭 무늬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확산층(29)의 위에 보호막(2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확산층(29)이 보호막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므로, 확산층(29) 위에 보호막이 생략될 수도 있고, 보호 기능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확산층(29) 위에 보호막(28)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도 3에는 편광막(26) 위에 확산층(29)과 보호막(28)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확산층(29) 위에 있는 보호막(28)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액정 표시 장치(10)의 아래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15)과 제2 액정 표시 장치(20)의 위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23) 모두가 확산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첩된 액정 표시 장치(10, 20) 사이의 간섭에 의한 간섭 무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확산층(19, 29)이 액정 표시 장치(10, 20)의 편광판(15, 23) 내에 구비됨으로써, 두 개의 액정 표시 장치 사이에 확산층을 삽입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제품 조립 과정이 매우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 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층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 영상 표시 장치의 편광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영상 표시 장치의 편광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Claims (8)

  1. 제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착되는 제1 편광판을 포함하는 제1 액정 표시 장치, 그리고
    상기 제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2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착되는 제2 편광판을 포함하는 제2 액정 표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면에 접착되는 상기 제1 편광판은
    편광막, 그리고
    상기 편광막 아래에 형성되며 광을 부분적으로 확산하는 확산층을 포함하는 다층 영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편광막 위와 상기 확산층의 아래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는 다층 영상 표시 장치.
  3. 제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착되는 제1 편광판을 포함하는 제1 액정 표시 장치, 그리고
    상기 제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 액정 디스플레이 패 널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2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착되는 제2 편광판을 포함하는 제2 액정 표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접착되는 상기 제2 편광판은
    편광막, 그리고
    상기 평광막 위에 형성되며 광을 부분적으로 확산하는 확산층을 포함하는 다층 영상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편광막의 아래와 상기 확산층 위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는 다층 영상 표시 장치.
  5. 제1 액정 표시 장치와 상기 제1 액정 표시 장치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 액정 표시 장치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액정 표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액정 표시 장치의 아래 면과 상기 제2 액정 표시 장치의 위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 중 하나 이상은 편광막, 그리고 상기 편광막의 일측에 형성되며 광을 부분적으로 확산하는 확산층을 포함하는 다층 영상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 액정 표시 장치의 아래 면과 상기 제2 액정 표시 장치의 위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확산층의 아래 또는 위에 형성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는 다층 영상 표시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제1 액정 표시 장치의 아래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은 상기 편광막의 위에 형성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액정 표시 장치의 위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은 상기 편광막의 아래에 형성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는 다층 영상 표시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액정 표시 장치의 아래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이 상기 확산층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확산층은 상기 제1 액정 표시 장치의 아래 면에 부착되는 상기 편광판의 상기 편광막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액정 표시 장치의 위 면에 부착되는 편광판이 상기 확산층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확산층은 상기 제2 액정 표시 장치의 위 면에 부착되는 상기 편광판의 상기 편광막의 위에 형성되는 다층 영상 표시 장치.
KR1020080086037A 2008-09-01 2008-09-01 다층 영상 표시 장치 Ceased KR20100026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37A KR20100026870A (ko) 2008-09-01 2008-09-01 다층 영상 표시 장치
PCT/KR2009/004904 WO2010024648A1 (ko) 2008-09-01 2009-09-01 다층 영상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37A KR20100026870A (ko) 2008-09-01 2008-09-01 다층 영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870A true KR20100026870A (ko) 2010-03-10

Family

ID=41721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037A Ceased KR20100026870A (ko) 2008-09-01 2008-09-01 다층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26870A (ko)
WO (1) WO20100246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399A1 (ko) * 2015-03-30 2016-10-06 강창만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1896A (zh) * 2018-07-18 2018-11-06 明基材料有限公司 偏光板
CN111999948A (zh) * 2020-09-02 2020-11-27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1999949B (zh) * 2020-09-09 2023-12-12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5998B2 (ja) * 1998-02-20 2002-10-21 ディープ ヴィデオ イメージング リミテッド 多層表示装置
JP4064337B2 (ja) * 2003-12-09 2008-03-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3次元表示装置
JP4878032B2 (ja) * 2005-09-30 2012-02-1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5224230B2 (ja) * 2006-04-18 2013-07-03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399A1 (ko) * 2015-03-30 2016-10-06 강창만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4648A1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289B1 (ko)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영상 표시 장치
KR20120013265A (ko)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영상 표시 장치
US7787071B2 (en) Display device
JP7153672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73049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41821B1 (ko) 액정표시장치
WO2021017254A1 (zh) 盖板、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JP6469583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JP2022028965A (ja) 液晶表示装置
US10969612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7017680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00026870A (ko) 다층 영상 표시 장치
KR102159949B1 (ko) 커브드 표시장치
KR102250663B1 (ko) 액정표시장치
JP4936640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8268420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025379B2 (ja) 液晶表示装置
TWI745738B (zh) 背光模組及顯示裝置
KR20140066614A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6293839B2 (ja) 液晶表示装置
KR20170140852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680672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M574252U (zh) 顯示模組
KR20170061368A (ko)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200077286A (ko) 다중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6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