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521A - Slide actuator assemblies with circle springs and band springs for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s - Google Patents
Slide actuator assemblies with circle springs and band springs for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26521A KR20100026521A KR1020080085551A KR20080085551A KR20100026521A KR 20100026521 A KR20100026521 A KR 20100026521A KR 1020080085551 A KR1020080085551 A KR 1020080085551A KR 20080085551 A KR20080085551 A KR 20080085551A KR 20100026521 A KR20100026521 A KR 201000265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point
- slide actuator
- housing
- coupled
- gu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07 modif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49 size re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제1 및 제2 몸체를 갖는 휴대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액추에이터가 개시된다.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중심선과, 중심선을 따라서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중간에 있는 중앙점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는 또한 제1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점(attachment point)과 하우징의 제1 단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연결점을 갖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는 제2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3 연결점과 하우징의 제2 단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제4 연결점을 갖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는 중앙점을 중심으로 하우징에 결합된 바이어스요소를 포함한다. 바이어스요소는 중심선을 따라서 중앙점을 향하는 제2 연결점 및 제4 연결점의 이동에 대항하는 바이어싱력을 제공한다.Disclosed is a slide actuator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irst and a second body. The slide actuator includes a housing having a first end, a second end, a centerline across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nd a center point midway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long the centerline. . The slide actuator also includes a first resilient member having a first attachment point for rotatably connecting to the first body and a second connection point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end of the housing. The slide actuator further includes a second elastic member having a third connection point for rotatably coupling to the second body and a fourth connection point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end of the housing. The slide actuator includes a biasing element coupled to the housing about a center point. The bias element provides a biasing force against movement of the second and fourth connection points along the centerline toward the center poin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actuator assembly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휴대 무선 통신단말기(예컨대,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 등)가 점차 대중화되고 있다. 대중화의 증대와 더불어, 사용자의 수와 장치의 개폐 방식에 관한 다양한 사용자의 선호와 같이 장치의 기능과 작동에 관련된 사용자의 개별적 선호 및 취향이 또한 늘어나고 있다.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eg, mobile phones with digital cameras, etc.) are becoming more and more popular. In addition to the increasing popularity, the individual preferences and tastes of users related to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device are also increasing, such as the number of users and various user preferences regarding the manner of opening and closing the device.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바(bar) 타입, 플립(flip) 타입, 플립업(flip-up) 타입 및 폴더(folder) 타입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휴대통신단말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유형 중에서 폴더 타입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더 타입 단말기는 와이드 LCD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가지면서 휴대성이 좋도록 접어져서 컴팩트한 상태로 된다.To meet the needs of these users, various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such as a bar type, a flip type, a flip-up type, and a folder type. Among these types, the folder type is widely used. The folder type terminal has a space sufficient to accommodate a wide LCD display module while being folded for good portability into a compact state.
또한, 슬라이더(slider) 타입 단말기도 도입되었다. 슬라이더 타입 단말기에는 폴더 타입 단말기에 통상 구비되는 LCD 디스플레이 모듈과 유사한 크기를 가 지는 LCD 디스플레이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슬라이더 메커니즘이 이것이 합체되는 휴대통신단말기의 크기 감소 또는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종래의 슬라이더 타입 단말기는 본체 상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개폐될 수 있는 부몸체 또는 커버를 구비한다.Also, a slider type terminal has been introduced. The slider type terminal may be equipped with an LCD display module having a size similar to that of an LCD display module normally provided in a folder type terminal. The slider mechanism may contribute to the size reduction or miniaturization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it is incorporated. Conventional slider type terminals have a sub-body or cover that can be slidably opened and closed on the body.
일 예로서, 휴대용 통신단말기용의 종래의 슬라이드 조립체의 분해사시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는 서로를 따라서, 서로에 대하여 또는 서로에게 상대적으로 전후방으로 슬라이드하도록 상호 결합되어 있다.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는 토션스프링(31a, 31b)에 결합된다. 제2 몸체(20)는 토션스프링(31a, 31b)이 가하는 탄성력 및 바이어싱력에 의해 반자동으로 슬라이드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제2 몸체(20)가 제1 몸체(10)에 대하여 충분히 큰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하면, 토션스프링(31a, 31b)이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 사이에 위치해 있으므로, 토션스프링(31a, 31b)이 노출되어 외부로 보이게 된다.As an exampl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lide assembly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hown in FIG. In this example, the
다른 종래의 슬라이드형 휴대통신단말기에서는, 곡선형 판스프링 또는 나선형 스프링이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나선형 스프링(40)의 일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나선형 스프링(40)은 제1 및 제2 단부(50, 60)를 갖는다. 스프링의 제1 단부(50)는 본체의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스프링의 제2 단부(60)는 슬라이더의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나선형 스프링(40)은 또한 제1 단부(50)와 제2 단부(60)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70)를 포함한다. 탄성부(70)는 스프링(40)이 탄성부(70)의 중간 지점 을 중심으로 최대의 탄성에너지를 갖도록 아치형 또는 곡선형이다.In other conventional slide 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curved leaf springs or helical springs can be used as the slide actuator.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나선형 스프링(40)이 본체 및 슬라이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 사용자가 슬라이더를 본체에 대하여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함으로써 휴대통신단말기를 슬라이드 개폐함에 따라, 나선형 스프링(40)은 제1 위치(80a)(도 3)와 제2 위치(80c)(도 3)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나선형 스프링(40)이 제1 위치(80a)와 제2 위치(80c)의 사이에 있는 중간위치(80b)에 있도록 슬라이더가 이동하면, 탄성부(70)의 탄성력이 슬라이더를 제1 위치(80a)와 제2 위치(80c)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밀거나, 압박하거나 바이어스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폐쇄위치로부터 중간위치로 슬라이더를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하면, 스프링(40)은 바이어싱력을 슬라이더에 인가하여 슬라이드를 개방위치까지 반자동으로 이동시킨다.When the
슬라이더가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 최대하중이 나선형 스프링(40)의 탄성부(70), 특히 탄성부(70)의 곡선부 또는 아치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인가될 수 있다. 슬라이더는 계속하여 이동하거나 슬라이드 하여 휴대통신단말기를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하중이 나선형 스프링(40)에 계속하여 인가하여 탄성부(70)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When the slider is moved to the closed or open position, the maximum load can be applied about the center of th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갖는 휴대통신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는 제1 단부, 제2 단부,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로지르는 중심선 및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중간지점 부근에 상기 중심선 상에 위치한 중앙점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제1 연결점(attachment point)과 상기 하우징의 제1 단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점을 갖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제3 연결점과 상기 하우징의 제2 단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연결점을 갖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는 중앙점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바이어스요소(biasing component)를 구비한다. 상기 바이어스요소는 상기 제2 연결점과 제4 연결점이 중앙점 측으로 중심선을 따라서 이동하는데 대항하는 바이어싱력(biasing force)을 제공한다.On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The second body can slide relative to the first body. The slide actuator has a first end, a second end, a centerline across the first and second ends, and a center point located on the centerline near a midpoi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s. The slide actuator also includes a first elastic member having a first attachment point for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and a second connection point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end of the housing. The slide actuator further includes a second elastic member having a third connection point for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and a fourth connection point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end of the housing. The slide actuator also has a biasing component that couples to the housing about a center point. The bias element provides a biasing force against moving the second connection point and the fourth connection point along the center line toward the center point.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갖는 휴대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액추에이터가 개시된다.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는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가이드 채널과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에 결합된 바이어스요소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채널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는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하여 제1 단부 상에 연결점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제2 단부는 제3 가이드에 결합된다. 상기 제3 가이드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중 하나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채널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다.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제2 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단부 상에 연결점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제2 단부는 제4 가이드에 결합된다. 상기 제4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채널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또한 상기 제3 가이드에 대항하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다.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de actuator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is disclosed. The second body is slidably moveable relative to the first body. The slide actuator has a housing having a guide channel transverse to a first direction and a bias element coupled to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The first and second guides are coupled to the housing and slideable within the guide channel. In addition, the slide actuator has a first elastic member and a second elastic member. The first elastic member has a connection point on the first end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The second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opposite the first end is coupled to a third guide. The third guide is coupled to the housing adjacen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s and is slidable within the guide channel. The second elastic member has a connection point on the first end to be rotatably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opposite the first end is coupled to a fourth guide. The fourth guide is slidably movable within the guide channel and is coupled to the housing adjacent to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s and against the third guid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제2 몸체를 갖는 휴대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를 개시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및 바이어스요소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몸체 및 하우징에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몸체 및 하우징에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바이어스요소는 상기 슬라이드 액추에이터가 줄어드는데 대항하는 바이어싱력을 생성하도록 결합된다.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a slide actuator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cond body that is movable relative to a first body is disclosed. The actuator includes a housing having a first connector, a second connector, and a biasing element. The first connector is formed to be attached to the first body and the housing. The second connector is formed to be attached to the second body and the hous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formed to extend or reduce the slide actuator as the second body slides relative to the first body. The biasing element is coupled to generate a biasing force against the reduction of the slide actuator.
다른 응용 분야는 본원에서 제공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과제해결수단의 설명 및 구체적 예들은 예시적 목적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Other areas of applica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provided herein. The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of the present solution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면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 구성요소들, 장치들, 방법들의 예와 같이 다수의 구체적 세부요소가 이하의 설명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체적 세부요소들은 채용될 필요가 없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추론되지 않아야 함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실제로 실시하기 위해 개발할 때, 시스템에 관련되는 또는 사업에 관련되는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등 실시에 관련된 많은 구체적 결정들이 행해져야 한다. 그러한 개발 노력이 복잡하고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설계, 제조 및 생산에 관련된 일상적인 일이다.In order to facilitat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uch as examples of specific components, devices, and method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specific details need not be employed and should not be inferr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en developing to be implemented in practice, many specific decisions related to implementation must be made, such as satisfying system- or project-related requirements. Such development efforts can be complex and time consuming, but are routine tasks related to design, manufacture and production.
도 4는 휴대통신단말기가 슬라이드 되어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움직임을 나타내는 서로 다른 세 위치 A, B, C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는 제1 탄성부재(102) 및 제2 탄성부재(104)를 포함한다. 제1 탄성부재(102)는 휴대통신단말기의 제1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기 위한 제1 연결점(106)(예컨대, 관통홀, 개방구 등)과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의 하우징(110)의 제1 단부(109)에 결합되기 위한 제2 연결점(108)을 구비한다. 제2 탄성부재(104)는 휴대통신단말기의 제2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기 위한 제3 연결점(112)과 하우징(110)의 제2 단부(116)에 결합되기 위한 제4 연결점(114)를 구비한다. 탄성부재들(102, 104)은 각각 대체로 영문자 "V"형상으로 이루어진 세 개의 밴드스프링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탄성부재들(102, 104)이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세 개 이상 또는 이하의 스프링 요소를 구비할 수 있거나(예컨대, 단일 요소 밴드 스프링 등), 밴드 스프링 외의 스프링일 수 있거나, 다른 적절한 탄성부재일 수도 있다. 4 illustrates a
하우징(110)은 제1 단부(109) 및 제2 단부(116) 사이에 하우징을 가로지르는 중심선 D-D를 갖는다. 또한, 중심선 D-D를 따라서 하우징(110) 제1 단부(109)와 제2 단부(116) 사이의 중간지점 부근에 위치한 중앙점(118)을 구비한다. 바이어스요소(120)는 중앙점(118)을 중심으로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바이어스요소(biasing component)(120)는 환형스프링이거나 다른 적절한 바이어스요소일 수 있다.The
하우징(110)은 중심선 D-D를 따라 가이드 채널(122)을 구비한다. 바이어스요소(120)와 탄성부재(102, 104)는 가이드(124)를 통해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더욱 상세하게, 제2 연결점(108)은 제1 가이드(124a)에 결합되며, 제4 연결점(114)은 제2 가이드(124b)에 결합된다. 바이어스요소(120)는 제3 가이드(124c) 및 제4 가이드(124d) 사이에 결합된다. 가이드(124)는 가이드채널(122)에 결합되어 있고 이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The
이하, 도 5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가 휴대폰(160)과 같은 휴대통신단말기의 개폐 이동을 돕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휴대폰(160)은 본체(162) 및 슬라이더몸체(164)를 구비한다. 본체(162)와 슬라이더몸체(164)는 작동을 위해, 예를 들면 연성회로기판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슬라이더몸체(164)는 휴대폰(160)의 개폐를 위해 본체(1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예컨대, 슬라이드 이동 등) 본체(162)에 결합된다. 트랙시스템(track system)(예컨대, 암-수 트랙시스템 등)이 슬라이더몸체(164)를 본체(162)에 결합하고 슬라이더몸체(164)와 본체(162) 사이의 원활한 이동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슬라이더몸체(164)를 본체(162)에 결합시키기 위한 다른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휴대통신단말기는 본체의 일체형 부품으로 성형된 슬라이더몸체, 본체와 분리되어 성형되며 본체에 고정된 슬라이더몸체 등을 구비할 수 있다.5A and 5B, as described above, the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휴대폰(160)의 슬라이더몸체(164)에는 휴대폰(160)의 다른 동작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외부 스크린(166)이 설치된다. 또한, 휴대폰(160)의 본체(162)에는 휴대폰(160)이 갖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패드가 표면(168)에 설치된다. 휴대폰(160)이 폐쇄위치(도 5a 참조)에 있는 경우 키패드(및 표면(168))는 부주의한 접촉 또는 작동을 피하기 위해 슬라이더몸체(164)에 의해 가려진다. 키패드(및 표면)를 사용할 수 있게 노출시키기 위해서, 슬라이더몸체(164)를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도 5a 및 도 5b에 도시) 휴대폰(160)은 개방위치(도 5b 참조)까지 이동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5A and 5B, the
본원에 사용된 "본체" 및 "슬라이더몸체"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개폐 작동하는 경우, 휴대통신단말기의 정지 부분과 슬라이딩하는 부분을 각각 지칭하고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는 단말기를 개폐하기 위하여 슬라이더몸체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키고 슬라이더몸체로부터 본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는 본체 및 슬라이더몸체 모두를 각각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단말기를 개폐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개폐하기 위해 선택한 특별한 방식 및 변화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볼 수는 없다.As used herein, the terms "body" and "slider body" refer to and mean a stop portion and a sliding portion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respectively, when 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terminal. However, the user may keep the slider body stationary and move the body relatively from the slider body to open and close the terminal. Alternatively, the user may open and close the terminal by moving both the main body and the slider body relative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particular manner and change that the user has chosen to open and close the terminal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는 작동을 위해 조립된 휴대폰(160)의 본체(162) 및 슬라이더몸체(164) 사이에 위치된다. 도 6a,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의 위치는 도 4의 위치 A, B, C에 각각 대응한다. 이들 도면에서 본체(162) 및 슬라이더몸체(164)는, 휴대폰(160) 개폐작동시의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의 위치와 움직임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가상선으로 나타내었다.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의 제1 연결점(106)은 본체(162)의 상방을 향하는 표면(예컨대, 도 6a 내지 도 6c에서 도면 밖으로 향하는 표면 등)에 결합되고,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의 제3 연결점(112)은 슬라이더몸체(164)의 하방을 향하는 표면(예컨대, 도 6a 내지 도 6c에서 도면 내측으로 향하는 표면 등)에 결합된다. 탄성부재(102, 104)를 본체 및 슬라이더몸체(162, 164)에 각각의 연결점(106, 112)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체결구(도시하지 않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제1 탄성부재(102)를 본체(162)에 회동가능하게 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지만, 본체(162)에 대한 상대적 병진운동(예컨대, 벗어나는 움직임 등)에 대해서는 구속한다. 이것은 또한 제2 탄성부재(104)를 슬라이더몸체(164)에 회동가능하게 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지만, 슬라이더몸체(164)에 대한 상대적인 병진운동(예컨대, 벗어나는 움직임 등)에 대해서는 구속한다. 당업자는 탄성부재(102, 104)가, 억지끼워맞춤 연결, 스냅-인서트 연결, 베어링 연결 등 과 같은, 본원에 개시된 바 이외의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연결점(106, 112)을 통해 각각의 몸체(162, 164)에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6A-6C, the
계속해서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폐쇄위치(도 6a 참조)와 개방위치(도 6c 참조) 사이에서 휴대폰(160)이 이동하는 것을 돕는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의 작동을 설명한다.6A-6C, the operation of the
도 6a 및 도 4의 A 위치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60)이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는 제1 연결점(106)이 대체로 제3 연결점(112)보다 높이 위치되어 수평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향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탄성부재(102, 104) 및 바이어스요소(120)가 대체로 휴지상태(예컨대, 이완된 상태, 최소인장력의 상태, 신장되지 않은 상태, 늘어나지 않은 길이를 갖는 상태 등)에 있지만, 슬라이더몸체(164)의 본체(162)에 대한 상대적인 상방향 이동(예컨대, 휴대폰(160)을 개방하려는 슬라이더몸체(164)의 이동 등)에 저항하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는 휴대폰(160)이 폐쇄상태로 유지되도록 작동한다. As shown in the A position of FIGS. 6A and 4, when the
휴대폰(160)을 개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도 6b 및 도 6c의 화살표(170)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더몸체(164)를 본체(15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예컨대, 슬라이드 시키는 등)시킨다. 이것이 대체로 직선 상방(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됨)으로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슬라이더몸체(164)에 결합됨)의 제3 연결점(112)을 이동시킨다. 제3 연결점(112)이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가 제1 연결점(106) 및 제3 연결점(11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한다. 또한, 제3 연결점(112)의 직선 상방운동은 제1 연결점(106) 및 제3 연결점(112)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킨다. 제1 및 제2 탄성부재(102, 104)는 하우징(110)의 중앙점(118) 측으로 가압되고 하우징(110)의 중심선 D-D에 직교한 방향으로 수축(대체로 변형)되기 시작한다. 탄성부재들(102, 104)의 변형에 의한 탄성력은 제1 가이드(124a) 및 제2 가이드(124b)를 하우징(110)의 중앙점(118)을 향해 가이드채널(1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바이어스요소(120)는 제3 및 제4 가이드(124c, 124d)를 통해 중앙점(118)을 향해 가이드채널(122)을 따라 제1 및 제2 가이드(124a, 124b)의 이동에 대항하는 바이어싱력을 제공한다. In order to open the
사용자가 슬라이더몸체(164)를 상방으로 계속하여 이동시키면, 제1 및 제2 탄성부재(102, 104)는 하우징(110)의 중심선 D-D에 직교한 방향으로 계속 수축한다. 또한, 제1 가이드(124a) 및 제2 가이드(124b)는 중앙점(118) 측으로 가이드채널(122)을 따라 강제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바이어스요소(120)는 중앙점(118)을 향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124a, 124b)의 이동에 대항하는 바이어싱력을 계속 제공한다. 슬라이더몸체(164)의 상방 이동에 저항하는 인장력, 바이어싱력, 탄성력 등이 제1 및 제2 탄성부재(102, 104) 및 바이어스요소(120)에서 발달한다. 이때, 사용자가 슬라이더몸체(164)를 놓으면,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는 슬라이더몸체(164)를 하방으로 또한 휴대폰(160)의 폐쇄 위치(바이어스요소(120) 및 탄성부재(102, 104)가 휴지상태인 위치)로 자동으로 압박하고, 바이어싱하고, 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인장력을 슬라이더몸체(164)에 전달하도록 작동한다.When the user continuously moves the
사용자는 슬라이더몸체(164)를 상방으로 휴대폰(160)이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의 예시적인 중간의 과도위치(도 6b 및 도 4의 B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슬라이더를 계속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탄성부재(102, 104)의 제1 및 제3 연결점(106, 112)은 대체로 수직하게 배열된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은 대체로 동일한 수직 높이에 위치한다.) 또한, 여기서, 제1 연결점과 제 3 연결점(106, 112) 사이, 제3 가이드와 제4 가이드(124c, 124d) 사이 및 제1 및 제3 연결점(106, 112)과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124a, 124b) 사이에서 각각 이격거리(separating distance)가 최소이다. 제3 및 제4 가이드(124c, 124d) 모두에는 제1 및 제2 탄성부재(102, 104)가 제1 및 제2 가이드(124a, 124b)에 가하는 힘에 의해 하우징(110)의 중앙점(118)을 향해 힘이 가해진다. 제1 및 제2 탄성부재(102, 104) 및 바이어스요소(120)는 최대압축력을 갖는다. (또한, 최대 인장력을 갖는다.)The user may continue to move the slider upwards above the
상기의 중간위치에서,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는 중립의 전환점에 있다. 바이어스요소(120)와 제1 및 제2 탄성부재(102, 104)의 인장력은 제1 연결점(106)의 본체(162)에 대한 연결과 제3 연결점(112)의 슬라이더몸체(164)에 대한 연결에 의해 대체로 균등하게 상쇄된다. 따라서, 휴대폰(160)을 폐쇄하려는 힘이 대체로 휴대폰(160)을 개방하려는 힘과 균형을 이룬다. 그리고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는 대체로 휴대폰(160)을 개방하기 위하여 상방향을 향하거나 또는 휴대폰(160)을 폐쇄하기 위하여 하방향을 향하도록 슬라이더몸체(164)를 압박하지 않는다.In the intermediate position above, the
휴대폰(160)이 중간위치에 있는 경우 슬라이더몸체(164)의 추가적인 상방향 이동은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를 중립, 전환점에서 멀어지게 이동시키며 대체로 자동으로 휴대폰(160)을 개방한다. 특히, 제3 연결점(112)은 제1 연결점(106)을 너머 상방으로 이동하여 본체(162)와 슬라이더몸체(164)에 대한 접합이 더 이상 인장력을 균등하게 상쇄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바이어스요소(120)와 제1 및 제2 탄성부재(102, 104)가 팽창한다(변형이 없는 상태로 되돌아 간다). 가이드(124)는 바이어스요소(120)에 의해 중앙점으로부터 멀리 하우징(110)의 제1 및 제2 단부(109, 116)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강제된다. 이것이 슬라이더몸체(164)를 자동으로 본체(162)에 대해 상방으로 밀도록(사용자가 더 이상 개방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작동하고 휴대폰(160)을 그 개방위치(예컨대, 도 6c)로 이동시킨다. 달리 말하면, 슬라이더몸체(164)를 자동적으로 본체(1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압박, 바이어싱, 또는 이동시키기 위하여, 바이어스요소(120)와 제1 및 제2 탄성부재(102, 104)의 팽창은 인장력이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로부터 슬라이더몸체(164)에 전달되도록 작동한다.When the
또한, 휴대폰(160)이 중간위치에 있는 경우 슬라이더몸체(164)의 하방 이동(예컨대, 사용자에 의한 슬라이더몸체(164)의 하방 이동 등)은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를 중립의 전환점에서 이동되도록 할 것이고, 자동으로 휴대폰(160)을 폐쇄한다. 특히, 제3 연결점(112)이 제1 연결점 아래로 하방으로 이동하여, 본체(162)와 슬라이더몸체(164)에 대한 접합이 더 이상 인장력을 균일하게 상쇄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바이어스요소(120)와 제1 및 제2 탄성부재(102, 104)가 팽창한다(변형이 없는 상태로 되돌아 간다). 가이드(124)는 바이어스요소(120)에 의해 중앙점으로부터 멀리 하우징(110)의 제1 및 제2 단부(109, 116)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되 도록 강제된다. 이것이 슬라이더몸체(164)를 자동으로 본체(162)에 대해 하방으로 밀도록(사용자가 더 이상 폐쇄력 가하지 않더라도) 작동하고 휴대폰(160)을 그 폐쇄위치(예컨대, 도 6a)로 이동시킨다. 달리 말하면, 슬라이더몸체(164)를 자동적으로 본체(162)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압박, 바이어싱, 또는 이동시키기 위하여, 바이어스요소(120)와 제1 및 제2 탄성부재(102, 104)의 팽창은 인장력이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로부터 슬라이더몸체(164)에 전달되도록 작동한다.In addition, when the
도 6c 및 도 4의 C위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이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는 제3 연결점(112)이 대체로 제1 연결점(106)보다 높이 위치되어 수평에 대해 비스듬히 배향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탄성부재(102, 104) 및 바이어스요소(120)가 대체로 휴지상태(예컨대, 이완된 상태, 최소인장력의 상태, 신장되지 않거나 늘어나지 않은 길이를 갖는 상태 등)에 있지만, 슬라이더몸체(164)의 본체(162)에 대한 상대적인 하방향 이동(예컨대, 휴대폰(160)을 폐쇄하려는 슬라이더몸체(164)의 이동 등)에 저항하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는 휴대폰(160)이 개방위치에 유지되도록 작동한다. 6C and 4, when the mobile phone is in the open position, the
휴대폰(160)을 폐쇄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슬라이더몸체(164)를 본체(162)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은 실질적으로 전술한 휴대폰(160)의 개방 작동과 유사하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In order to close th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면 위치 B에서, 네 점을 가로지르는 구성요소, 예컨대, 바이어스요소(120)의 양면 및 각 탄성부재(102, 104)에 최대하중이 분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는 휴 대통신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개폐하게 한다. 본원에 개시된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는 비교적으로 복잡하지 않고 얇은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슬라이드 액추에이터의 내구성은 변형에 의한 피로가 약해지기 때문에 공지의 액추에이터에 비해 향상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slide actua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example, at position B, the maximum load is distributed on the components across four points, for example on both sides of the
본원에서 사용된, "상부", "하부", "내부", "외부", "내측으로", "외측으로" 등과 같은 용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보여지는 대로의 각각의 요소의 위치를 말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위치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제1", "제2"와 같은 용어와 다른 서수적 용어는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지시되지 않는 한 순서나 순번을 의미하지는 않는다.As used herein, terms such as "top", "bottom", "inside", "outside", "inward", "outward", and the like refer to the location of each element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a location.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nd other ordinal terms do not imply order or order unless clearly indicated by the context.
요소나 특징부 및 예시적 실시예를 소개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수식어는 그러한 요소나 특징부가 하나 이상 있음을 의미한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및 "갖는" 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구체적으로 언급된 것 이외에 부가되는 요소나 특징부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 단계, 공정 및 작용은 실행 순서로서 특별히 확인되지 않는 한 반드시 논해지거나 예시된 특별한 순서로 이들이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추론되지 않아야 함이 더 이해되어야 한다. 부가되거나 대안적인 단계가 채용될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In introducing elements or features and example embodiments, a modifier such as "above" means that there is one or more such elements or features. The terms "comprising", "including" and "having"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and mean that there may be additional elements or features in addition to those specifically mentioned. It should be further understood that the method steps, processes and actions described herein are not necessarily inferred that they must be performed in the particular order discussed or illustrated unless specifically identified as the order of execution.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additional or alternative steps may be employ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었으며, 포괄적인 것으로 또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특정 실시예의 개별 요소들 또는 특징부들은, 구체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그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응용 가능한 경우, 호환가 능하며 선택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for the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and is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to limit the invention. Individual elements or features of a particular embodiment,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or described, are not limited to that particular embodiment and, where applicable, are compatible and can be used in the selected embodiment.
도 1은 종래의 휴대통신단말기용 슬라이더 메커니즘을 도시한 분해도,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lider mechanism for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종래의 휴대통신단말기용 나선스프링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iral spring slide actuator for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3은 휴대통신단말기의 개폐시 그 이동을 나타내는 서로 다른 세 위치에서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나선스프링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를 도시한 도면,FIG. 3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piral spring slide actuator shown in FIG. 2 at three different positions showing its movement when opening and clo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를 휴대통신단말기의 개폐에 따라 세가지 다른 위치에서 도시한 도면,4 is a view illustrating a slide actu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ree different positions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5a는 도 4의 슬라이드 액추에이터를 합체하고 있고 폐쇄위치에 있는 예시적 휴대통신단말기의 평면도,5A is a plan view of an exemplary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ncorporating the slide actuator of FIG. 4 and in a closed position;
도 5b는 휴대통신단말기가 개방위치에 있는 도 5a와 유사한 평면도,5B is a plan view similar to FIG. 5A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its open position;
도 6a는 휴대통신단말기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휴대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 액추에이터의 예시적 위치를 도시하며 휴대통신단말기가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 5a와 유사한 확대평면도,FIG. 6A is an enlarged plan view similar to FIG. 5A showing an exemplary position of the slide actuat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ing shown in phantom lines; FIG.
도 6b는 휴대통신단말기가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중간위치에 있을 때 휴대통신단말기 내에서의 슬라이드 액추에이터의 예시적 위치를 도시하는 도 5a에 유사한 평면도,FIG. 6B is a plan view similar to FIG. 5A showing an exemplary position of the slide actuator with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artially intermediate between the closed and open positions; FIG.
도 6c는 휴대통신단말기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휴대통신단말기 내에서의 슬라이드 액추에이터의 예시적인 위치를 도시하는 도 5a에 유사한 평면도.FIG. 6C is a plan view similar to FIG. 5A showing an exemplary position of the slide actuator with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open posi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0: 슬라이드 액추에이터100: slide actuator
102: 제1 탄성부재102: first elastic member
104: 제2 탄성부재104: second elastic member
106: 제1 접점106: first contact point
108: 제2 접점108: second contact
110: 하우징110: housing
109: 하우징의 제1 단부109: first end of the housing
116: 하우징의 제2 단부116: second end of the housing
112: 제3 접점112: third contact
114: 제4 접점114: fourth contact
120: 바이어스요소120: bias element
122: 가이드 채널122: guide channel
124a, 124b, 124c, 124d: 가이드124a, 124b, 124c, 124d: guide
160: 휴대통신단말기16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2: 본체162: main body
164: 슬라이더몸체164: slider body
Claims (2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5551A KR20100026521A (en) | 2008-08-29 | 2008-08-29 | Slide actuator assemblies with circle springs and band springs for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5551A KR20100026521A (en) | 2008-08-29 | 2008-08-29 | Slide actuator assemblies with circle springs and band springs for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6521A true KR20100026521A (en) | 2010-03-10 |
Family
ID=4217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5551A Abandoned KR20100026521A (en) | 2008-08-29 | 2008-08-29 | Slide actuator assemblies with circle springs and band springs for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26521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15210A3 (en) * | 2010-07-27 | 2012-04-19 | Ha Jong Won | Elastic member module |
CN110387690A (en) * | 2018-04-20 | 2019-10-29 |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 Clothes treatment agent dispensing component for clothes treatment equipment and clothes treatment equipment |
-
2008
- 2008-08-29 KR KR1020080085551A patent/KR20100026521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15210A3 (en) * | 2010-07-27 | 2012-04-19 | Ha Jong Won | Elastic member module |
CN110387690A (en) * | 2018-04-20 | 2019-10-29 |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 Clothes treatment agent dispensing component for clothes treatment equipment and clothes treatment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80416B2 (en) |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US7869844B2 (en) |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cellular phone | |
US8073510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848858B1 (en) | Elastic module having a narrow trajectory and slide device of a sliding type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 |
KR100902638B1 (en) | Sliding Personal Handheld Terminal | |
US8134844B2 (en) | Portable terminal of slide-down opening and closing type | |
KR100800808B1 (en) | Sliding module of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 |
KR20100026521A (en) | Slide actuator assemblies with circle springs and band springs for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s | |
KR200408500Y1 (en) | Slim Slide Hinge Modules for Mobile Phones | |
KR100573452B1 (en) | Sliding device of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 |
KR100899741B1 (en) |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 |
KR20080028252A (en) | Sliding mobile terminal and its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 |
EP2020804A1 (en) | Slider mechanism with zigzag springs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able terminal | |
KR100721175B1 (en) | Slide device on mobile device | |
KR100976117B1 (en) | Slide Actuator Assembly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63653B1 (en) | Slide device on mobile device | |
KR101006046B1 (en) | Slide assembl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 |
WO2009072701A1 (en) | Elasticity lever mechanism for mobile phone and slid type cover opening and shutting device using the same | |
KR200397454Y1 (en) |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
KR20090057887A (en) | Elastic member for sliding module | |
KR200350570Y1 (en) | Sliding apparatus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 |
KR200389766Y1 (en) | Apparatur for operating bodies of a slide type cellular phone | |
KR101024410B1 (en) | Slide switch of portable terminal | |
KR200357158Y1 (en) | Sliding construction of wireless hand phone of sliding type | |
KR200402997Y1 (en) |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2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