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25799A -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 - Google Patents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799A
KR20100025799A KR1020080084499A KR20080084499A KR20100025799A KR 20100025799 A KR20100025799 A KR 20100025799A KR 1020080084499 A KR1020080084499 A KR 1020080084499A KR 20080084499 A KR20080084499 A KR 20080084499A KR 20100025799 A KR20100025799 A KR 20100025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sium
specific gravity
low specific
board
comp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수
Original Assignee
케이디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디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디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5799A/ko
Publication of KR20100025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799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슘계 혼합물과 충진재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저밀도 마그네슘 화합물의 양면에 제 1, 2 피막층이 위치되는 보드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마그네슘 화합물와 상기 제 1, 2 피막층 사이에 위치되는 제 1, 2 유리섬유; 및 상기 제 1 유리섬유와 상기 제 1 피막층 사이에 위치되는 마그네슘계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 1 고밀도 마그네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는 표면상태와 질감을 매끄럽고 우수한 상태로 표출하도록 하고, 부피하중을 낮추도록 함으로써, 마감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MAGNESIUM BOARD AND FINISHING COMPOSITION THEREOR}
본 발명은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상태와 질감을 매끄럽고 우수한 상태로 표출하도록 하고, 부피하중을 낮추도록 함으로써, 마감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생활이 윤택해지고 풍족해짐에 따라 실내 인테리어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면서, 초기에는 질감 및 미감이 우수한 천연목재인 고급원목이 각광을 받았으나, 원목의 경우에는 그 형태가 각양 각색으로 다양하고 크기에 한계가 있어 판재로의 가공성이 상당히 어려워 판재의 크기가 제한되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그 가격이 일반적으로 고가이어서 고가의 고급 가구나 건축내장재 이외에 범용으로 널리 적용시켜 사용하기에는 상당한 경제적 부담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원목의 단점을 감안하여 비교적 염가로 되는 재료로서는 통상적으로 중밀도 섬유판(Medium-Density Fiberboard, MDF), 합판, 석고보드 등과 같은 인조목이나 합성목을 가구용 판재나 건축용 내장판재로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MDF, 합판, 석고보드 등의 내장판재를 표면 처리함에 있어서는 대체로 표면에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필름을 접착하거나 일반 도료로 페인팅하는 방법, 또는 열전사필름을 이용하여 표면에 열 접착시켜 표면을 무늬와 색상을 형성하는 방법 등으로 처리된 판재를 사용하고 있음도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MDF나 합판으로 구성한 판재의 경우에 있어서는 그 자체의 물성 상 난연성을 전혀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화재발생시 쉽게 화염이 옮겨 붙어 화제사고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의 재질 구성의 특성이나 표면에 부착되는 PVC등의 필름 등에 의하여 연소될 때, 연기와 유독가스를 대량으로 발생시켜 화재 발생시 인명에 치명적인 피해를 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석고보드는 그 자체의 물성상 경성(硬性)이어서 인장력이 약하고, 유연성이 전혀 없어 외부 충격에 취약하여, 가공이나 시공시의 절단작업 또는 못질 등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표면이 쉽게 파손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어 가공이나 시공에 상당한 어려움이 뒤따르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난연성과, 유연성 및 보온성이 우수하고, 환경친화적인 마그네슘과 같은 무기질 소재로 된 마그네슘 보드가 개발되어, 각종 건물의 내장재 등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마그네슘 보드에는 다양한 무늬와 형태를 갖는 마감지가 잘 부착되지 않아, 점착성이나, 제품의 균일성 등이 떨어지며, 제품의 고유 형태가 변형되는 등 여러 가지 사용상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종래 마그네슘 보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마감을 종이로 감싸는 형태의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는 내부에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EPS)이 구비되는바,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에 의하여 생성되는 무수한 다공상의 공극이 표면으로 표출되어 있어서,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였으며, 이에 따라 실내 측으로 노출되는 종래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의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갖는 마감지가 잘 부착되지 않게 되어, 제품의 완성도가 떨어지고, 미관상에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성, 내습성, 난연성을 가지도록 함은 물론, 표면이 매끄럽도록 하여, 실내공간의 미감을 향상시키고, 공사 기간을 줄이도록 할 수 있는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그네슘계 화합물과 충진재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저밀도 마그네슘 화합물의 양면에 제 1, 2 피막층이 위치되는 보드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마그네슘 화합물과 상기 제 1, 2 피막층 사이에 위치되는 제 1, 2 유리섬유; 및 상기 제 1 유리섬유와 상기 제 1 피막층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마그네슘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1 고밀도 마그네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유리섬유와 상기 제 2 피막층 사이에는 상기 마그네슘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2 고밀도 마그네슘 화합물이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충진재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 발포폴리에틸렌(Expanded Polyethylene, EPE),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EPS) 및 펄라이트(Pearlit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슘계 화합물은 산화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및 황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2 피막층은 석고보드지 또는 크라프트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2 피막층의 외표면에는 전사지, 고밀도 멜라민 함침지(High Pressure Melamine, HPM) 및 저압 멜라민 함침지(Low Pressure Melamine, LPM), 천, 벽지, 인테리어 시트지, 피니싱 포일(Finishing Foil) 및 모양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제 1, 2 마감층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가 적어도 한 쌍 구비되고, 상기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사이에 철판, MDF 및 합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를 포함하는 마감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는 단열성, 내습성, 난연성을 가지도록 함은 물론, 매끄러운 표면상에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갖는 코팅지가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실내공간의 미감을 향상시키고, 실내,외장재로써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는 부피하중을 낮추도록 함으로써, 마감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를 포함하는 마그네슘 보드는 차음성 및 강한 강도를 갖게 되어, 아파트 등에서 비내력벽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는 합성수지 재질의 저밀도 마그네슘 화합물(10)과, 상기 저밀도 마그네슘 화합물(10)의 양면에 위치되는 마그네슘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1, 2 고밀도 마그네슘 화합물(30, 32)과, 상기 저밀도 마그네슘 화합물(10)과 상기 제 1, 2 고밀도 마그네슘 화합물(30, 32) 사이에 위치되는 제 1, 2 유리섬유(Glass Fiber)(20, 22)와, 상기 제 1, 2 고밀도 마그네슘 화합물(30, 32)의 외면에 위치되는 제 1, 2 피막층(40, 42)과, 제 1, 2 피막층(40, 42)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제 1, 2 마감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그네슘계 화합물은 산화마그네슘(MgO), 염화마그네슘(Mgcl2) 및 황산 마그네슘(Mgso4)이 혼합한 화합물로 구성된다.
저밀도 마그네슘 화합물(10)은 상기 마그네슘계 화합물과 충진재가 혼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충진재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 발포폴리에틸렌(Expanded Polyethylene, EPE),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EPS) 및 펄라이트(Pearlite)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쉽게 구할 수 있으면서도 경량화 효과가 뛰어난 발포 폴리스티렌(EPS)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제 1, 2 고밀도 마그네슘 화합물(30, 32)은 상기 마그네슘계 화합물이 고밀도로 혼합된 화합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고밀도 마그네슘 화합물(32)은 시공 환경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2 고밀도 마그네슘 화합물(30, 32)은 내부에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EPS)이 구비되지 않고, 따라서 발포 폴리스티렌에 의하여 생성되는 무수한 다공상의 공극 또한, 존재하지 않으므로, 그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실내 측으로 노출되는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의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갖는 제 1, 2 피막층(40, 42) 및 제 1, 2 마감층(50, 52)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마감처리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마감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그로 인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1, 2 피막층(40, 42)은 석고보드지 또는 크라프트지(Kraft Pap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제 1, 2 피막층(40, 42)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상기 제 1, 2 마감층(50, 52)은 다양한 색상과 무늬모양을 갖는 전사지, 고밀도 멜라민 함침지(High Pressure Melamine, HPM) 및 저압 멜라민 함침지(Low Pressure Melamine, LPM), 천, 벽지, 인테리어 시트지, 피니싱 포일(Finishing Foil), 다양한 형태의 함침지 및 모양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시공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는 발포 폴리스티렌에 의하여 발생되는 무수한 기공상의 공극이 제 1, 2 고밀도 마그네슘 화합물(30, 32)에 의하여 밀폐됨으로써, 표면상태와 질감을 보다 매끄러운 상태로 표출하게 함으로써, 난연효과는 물론, 미장효과를 동시에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를 포함하는 마감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5)를 포함하는 마감재(60)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5)가 한 쌍 구비되고, 상기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5) 사이에는 강도 보강과 차음 효과를 위하여 보강재(65)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재(65)는 철판, MDF 및 합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상기 제 2 실시예의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5)를 포함하는 마감재(60)는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5) 사이에 보강재(65)가 위치되므로, 강한 강도와 차음 효과를 갖게 되어, 건축물의 내외장재, 천장재, 벽체, 바닥재, 조립식칸막이, 일체형 거푸집, 목제 보와 기둥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차음 효과로 인하여, 아파트 등에서 층간 소음 감소를 위한 바닥재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를 포함하는 마그네슘 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10:저밀도 마그네슘 화합물
20, 22: 제 1, 2 유리섬유 30, 32: 제 1, 2 고밀도 마그네슘 화합물
40, 42: 제 1, 2 피막층 50, 52: 제 1, 2 마감층
60: 마감재 65: 보강재

Claims (7)

  1. 마그네슘계 화합물과 충진재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저밀도 마그네슘 화합물의 양면에 제 1, 2 피막층이 위치되는 보드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마그네슘 화합물과 상기 제 1, 2 피막층 사이에 위치되는 제 1, 2 유리섬유; 및
    상기 제 1 유리섬유와 상기 제 1 피막층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마그네슘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1 고밀도 마그네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리섬유와 상기 제 2 피막층 사이에는 상기 마그네슘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2 고밀도 마그네슘 화합물이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 발포폴리에틸렌(Expanded Polyethylene, EPE),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EPS) 및 펄라이트(Pearlit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계 화합물은 산화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및 황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피막층은 석고보드지 또는 크라프트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피막층의 외표면에는 전사지, 고밀도 멜라민 함침지(High Pressure Melamine, HPM) 및 저압 멜라민 함침지(Low Pressure Melamine, LPM), 천, 벽지, 인테리어 시트지, 피니싱 포일(Finishing Foil) 및 모양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제 1, 2 마감층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가 적어도 한 쌍 구비되고,
    상기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사이에 철판, MDF, 합판 및 단열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를 포함하는 마감재.
KR1020080084499A 2008-08-28 2008-08-28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 Abandoned KR20100025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499A KR20100025799A (ko) 2008-08-28 2008-08-28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499A KR20100025799A (ko) 2008-08-28 2008-08-28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799A true KR20100025799A (ko) 2010-03-10

Family

ID=42177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499A Abandoned KR20100025799A (ko) 2008-08-28 2008-08-28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579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8597A (zh) * 2012-09-16 2012-12-19 南京敬邺达新型建筑材料有限公司 节能石材、仿花岗岩一体装饰板及其生产方法
CN110092609A (zh) * 2019-05-30 2019-08-06 酒泉市益鼎建材有限责任公司 一种有机改性聚苯板及其制备方法
WO2021092849A1 (zh) * 2019-11-14 2021-05-20 福建省德锐新材有限公司 一种 a 级防火矿物质板及其制备方法
US12110695B2 (en) * 2017-06-22 2024-10-08 Champion Link International Corporation Floor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a floor pane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8597A (zh) * 2012-09-16 2012-12-19 南京敬邺达新型建筑材料有限公司 节能石材、仿花岗岩一体装饰板及其生产方法
US12110695B2 (en) * 2017-06-22 2024-10-08 Champion Link International Corporation Floor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a floor panel
CN110092609A (zh) * 2019-05-30 2019-08-06 酒泉市益鼎建材有限责任公司 一种有机改性聚苯板及其制备方法
WO2021092849A1 (zh) * 2019-11-14 2021-05-20 福建省德锐新材有限公司 一种 a 级防火矿物质板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9488B2 (en) Non-woven glass fiber mat faced gypsum board and process of manufacture
US20140124291A1 (en) Gypsum-panel acoustical monolithic ceiling
EP2060389A1 (en) Laminate panels for flooring, wall and ceiling systems
CN101010470A (zh) 新型石膏板和包含该石膏板的系统
CN202925720U (zh) 一种具有无机纤维喷涂层的隔墙
KR100918304B1 (ko) 목재 방화도어
EP2971391B1 (en) Gypsum-panel for acoustical monolithic ceiling
KR20100025799A (ko)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
KR101710513B1 (ko) 난연성 패브릭
KR101703881B1 (ko) 구조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된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조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된 단열패널
US20240359446A1 (en) Composite panels having a melamine impregnated protective layer
KR100975816B1 (ko) 단열복합 인테리어 마감패널의 제조방법
KR200397710Y1 (ko) 실내 벽면마감용 판넬구조
JP2021059852A (ja) 建築用プラスチック板材の構造
KR20080076666A (ko) 타일 문양 구현을 위한 줄 눈 무늬 홈을 갖는 판재
CN103334508A (zh) 增强型玻镁防火板
JP2005133387A (ja) 鋼板・発泡材一体形成による外装用サイディング材
US20240027015A1 (en) Semi-noncombustible building thermal insulation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39482B1 (ko) 단열 강화 보드를 이용한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KR100887574B1 (ko) 규소 패널을 이용한 친환경 섬유강화 시멘트 보드 및 그제조방법
KR20240008435A (ko) 흡음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88421Y1 (ko) 적층체
JP3115102U (ja) 構造用不燃パネル
KR960004104B1 (ko) 페녹시수지를 이용한 건축용 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TWM628993U (zh) 多用途板體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2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