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25332A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332A
KR20100025332A KR1020080084046A KR20080084046A KR20100025332A KR 20100025332 A KR20100025332 A KR 20100025332A KR 1020080084046 A KR1020080084046 A KR 1020080084046A KR 20080084046 A KR20080084046 A KR 20080084046A KR 20100025332 A KR20100025332 A KR 20100025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ront panel
air
filter
de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4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5332A/ko
Priority to CN200910007204A priority patent/CN101658753A/zh
Priority to EP09250597A priority patent/EP2159503A3/en
Publication of KR20100025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12Details of the casing or co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습기는 공기 흡입부와 공기 토출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필터가 구비되며,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한 전면패널, 상기 필터를 통과한 상기 실내 공기를 제습하는 데시칸트 로터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패널이 본체에 결합된 경우 상기 걸림돌기를 구속하는 착탈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면패널을 일회에 동작에 의해서 간편하게 본체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필터의 교체를 위하여 전면패널을 본체에서 분리하는 경우도 사용자가 착탈부재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제습기, 전면패널, 걸림돌기, 착탈부재, 탄성부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전면패널을 본체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착탈부재를 포함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작동방식에 따라 냉방사이클을 이용한 제습기와 데시칸트 로터를 이용한 제습기로 구분될 수 있다.
냉방사이클을 이용한 제습기의 경우 압축기가 구비되어야 하고, 압축기의 소음 및 압축기가 위치하는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등이 있어, 최근에는 데시칸트 로터를 이용한 제습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데시칸트 로터는 공기중의 습기를 흡착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실내공기를 데시칸트 로터로 통과시키면서 제습시키고, 습기가 흡착된 데시칸트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재생시키는 원리에 의한다.
여기서 데시칸트 로터를 재생시킨 공기는 고온 다습하게 되고,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제습기가 건물의 외관에 위치하거나, 실내에 위치하더라도 별도의 배기덕트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데시칸트를 재생시킨 고온 다습한 공기를 제습기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경우, 별도의 배기덕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습기의 위치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놓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서는 고온 다습한 공기의 습기를 제거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실내공기유입부와 데시칸트로터 사이의 공간에 고온 다습한 공기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응축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즉 고온 다습한 공기를 상온의 공기와 열교환 시켜서 고온 다습한 공기 내부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원리에 의해 습도를 낮춘다.
한편 최근에는 제습기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유로에 공기중의 이물질 등을 거르는 필터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필터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필터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 등을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게 된다.
결국 본체 내부의 필터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본체의 일부분을 본체에서 분리하여야 하고, 일반적으로 전면패널을 분리하여 필터를 본체에서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전면패널을 본체에서 분리하는 경우 전면패널과 본체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분리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체결부재를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공구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함에 있어 사용자가 전면패널을 분리하는데 많은 공정과 시간을 들이는 작업을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전면패널을 본체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면패널과 본체를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공기 흡입부와 공기 토출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필터가 구비되며,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한 전면패널, 상기 필터를 통과한 상기 실내 공기를 제습하는 데시칸트 로터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패널이 본체에 결합된 경우 상기 걸림돌기를 구속하는 착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착탈부재는 외력이 전달되는 버튼부, 상기 외력에 의해 변형되고 변형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전면패널의 걸림돌기와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와 결합되고, 상기 외력에 의한 상기 탄성부의 변형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에서 해방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버튼부와 상기 탄성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부의 일부는 본체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전면패널에 설치된 상기 필터로 유도하는 필터유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에는 상기 필터가 결합되는 필 터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장착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착탈부재에 외력을 가하여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전면패널을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면패널에 설치된 필터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둘째, 전면패널을 본체에 결합할 때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한번의 동작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면패널을 분리하여 필터를 교체한 후 전면패널을 다시 본체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제습기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수분을 흡수한 후 제습된 실내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체(1)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34)와 흡입된 실내공기가 제습된 후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흡입부(34)는 본체(1)의 좌, 우측면에 위치하고, 공기 토출부의 상면에 위치한다.
전면패널(10), 버킷(2)의 전면, 좌, 우측 패널(30,35), 상부 패널(3), 베이스(8), 후면 상부 패널(7) 및 후면 하부 패널(6)은 본체의 외관을 형성한다.
후방패널(6,7)은 본체의 후방을 형성한다. 특히 하부 후방 패널(6)은 본체에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후방 패널(6)의 내부에는 본체의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코드가 고정되는 파워코드 고정부(미도시)가 위치한다.
베이스(8)는 본체의 저면을 형성하고, 제습기의 이동을 돕도록 휠과 휠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휠 지지체로 이루어진 휠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베이스(8)는 상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면에는 드레인팬(5)이 위치한다. 그리고 베이스(8)의 내부에는 버킷(2)이 슬라이딩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드레인팬(5)은 베이스(8)의 상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부에 응축 열교환기(100), 로터 프레임(47)와 송풍기(9)등이 장착된다. 그리고 응축열교환기(100)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드레인팬(5) 하부의 버킷(2)으로 배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다.
버킷(2)은 드레인팬(5)을 통하여 유입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베이스(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응축수가 어느 정도 수용된 경우 사용자는 버킷(2)을 베이스(8)에서 분리시켜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좌, 우측 패널(30,35), 전면패널(10), 상부패널(3)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본체의 내부에는 송풍기(9)와, 제습 로터와, 재생 팬(50)과, 재생공기 가열부재(60)와, 응축 열교환기(100)가 설치된다.
송풍기(9)는 공기 흡입부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를 통과한 후 공기 토출부로 토출되게 하는 일종의 제습 팬으로서, 후방 상부 패널(7)와 함께 송풍 유로를 형성하도록 배면이 개방되고 전면에 공기 흡입홀이 형성되며 상부에 토출부가 개구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에 팬모터와 팬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팬을 포함하고, 토출부에 토출 그릴이 설치될 수 있다.
제습 로터(45)는 송풍기(9)에 의해 흡입된 실내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되 고 저온 재생이 가능한 것으로서, 송풍기(9)와 응축 열교환기(100)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제습 로터(45)는 실내 공기가 통과하면서 실내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되고 재생이 가능한 데시컨트(44)와, 데시컨트(44)의 둘레를 감싸고 데시컨트(44)가 고정되는 데시컨트 휠(43)을 포함한다.
데시컨트(44)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게 감기고, 중앙에 고정을 위한 고정홀이 형성된다.
데시컨트로 다양한 형태 및 재질의 데시컨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데시컨트(44)는 세라믹 섬유질의 평면지와 파형지를 번갈아 원통형으로 감아올린 형상이다. 그리고 메조 실리카(Meso-Silica(SiO2))로서 기공 및 표면적이 매우 발달돼 있어 흡습 특성이 우수하고 대략 60℃ 이하인 저온에서도 재생이 가능한 나노 카본 볼(NCB: Nano caboon Ball)이 포함된다.
나노 카본 볼(NCB)은 구형의 중공 코어부와 메조 다공성의 카본 셀부로 이루어지고, 직경 200nm~500nm 인 구형 탄소구조체로서, 세공이 2㎚~50nm이며, 통상적인 활성탄의 경우 보다 표면적 BET 및 Mesopore area가 크기 때문에 기공 막힘 현상이 없다.
한편, 데시컨트(44)는 실내 공기가 통과하면서 수분이 흡착되는 영역(이하,'제습 영역' 이라 칭함)과 재생 공기가 통과하면서 수분이 증발되는 영역(이하,'재생 영역'이라 칭함)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데시컨트(44)의 회전에 따라 각 영역이 교대로 바뀌면서 수분이 흡착/증발된다.
재생 영역은 일반적으로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재생 영역은 후술하는 재생공기 가열부재(60)에 대향되게 구획될 수 있다.
데시컨트 휠(43)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데시컨트(44) 둘레를 둘러싸는 테두리부와, 데시컨트(44)가 고정하는 고정부와, 테두리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도록 테두리부와 고정부 사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체의 내부에는 제습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터 서포터(41)와, 로터 서포터(41)가 장착되는 로터 프레임(47)이 배치된다.
로터 서포터(41)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재생공기 분배부재(90)가 결합된다. 그리고 재생공기 분배부재(90)의 후면은 개방되어 있고 로터 서포터(41)과 결합하면서 재생공기 분배부재(90)로 재생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를 형성한다.
로터 프레임(47)은 본체의 내부를 송풍기(9)가 배치되는 후방측 공간과 응축 열교환기(100)가 배치되는 전방측 공간을 구획하는 일종의 베리어 역할을 한다. 로터 프레임(47)의 전면은 개구 형성되어 데시컨트(44)를 통과하는 실내공기 및 재생공기가 통과한다. 그리고 후술할 배기덕트(80)를 경유한 재생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로터 프레임(47)의 상부에는 제습기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수(22)가 장착되는 컨트롤 박스 설치부가 상부에 형성된다.
재생팬(50)은 재생공기가 본체내에서 순환하면서 유동을 할 수 있도록 순환력을 부여한다. 즉 재생팬(50)은 배기덕트(80)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여 재생공기 가열부재(60)으로 토출한다.
재생공기 가열부재(60)는 재생 팬(90)에서 토출된 재생공기를 공기를 가열하여 제습 로터(45)로 고온의 재생 공기를 공급한다. 재생공기 가열부재(60)은 히터(63), 히터(63)를 덮으면서 재생 팬(50)과 연통되는 제1히터 커버(65) 및 제1히터 커버(65)와 제습 로터 사이에 위치하며, 제1히터 커버(65)와 결합되는 제2히터 커버(61)을 포함한다.
제2히터 커버(61)은 히터(63)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히터(63)와 제습 로터 사이에서 주변으로 새나가지 않고 제습 로터로 향해 이동되게 막는 일종의 에어 가이드 역할을 한다.
한편 재생공기 가열부재(6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재생공기는 데시컨트(44)의 재생영역을 통과하여 재생공기 분배부재(90)으로 유입된다.
재생공기 분배부재(90)는 상기 재생영역과 응축열교환기(100)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재생영역에서 배출된 재생공기는 재생공기 분배부재(90)로 들어가서 응축열교환기(100)로 분배되어 유입된다.
응축 열교환기(100)는 재생공기 분배부재(90)를 경유한 재생공기를 실내공기와 열교환시킨다. 즉 데시컨트(44)의 재생 영역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흡착시킨 재생공기를 실내공기를 이용하여 응축시켜, 수분이 제거된 재생공기는 배기덕트(80)를 통하여 재생팬(50)측으로 배출한다. 그리고 응축수를 응축 열교환기(100) 하부에 형성된 배출홀을 통하여 드레인팬(5)으로 배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응축열교환기(100)는 복수개의 열교환판으로 형성되어 재생공기와 실내공기의 열교환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다.
응축열교환기(100)을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재생공기는 응축열교환기와 연통되어 형성되는 배기덕트(90)을 통하여 다시 재생팬(50)으로 흡입되게 된다.
도3은 본 실시예의 전면패널이 분리되었을 때의 제습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전면패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4를 참조하면, 전면 패널(10)은 본체의 전면 상부의 외관을 형성한다. 전면패널(10)의 전면은 제습기의 미감을 고려한 다양한 디자인이 도안될 수 있도록 별도의 장치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면패널(10)의 후면에는 고정돌기(11), 걸림돌기(12), 필터 장착부(13) 및 필터유로(15)가 형성된다.
고정돌기(11)는 전면패널(10)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다. 고정돌기(11)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돌기(11)의 위치도 전면패널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패널(10)의 후면 중 상측에 2개의 고정돌기(11)가 형성된다. 고정돌기(11)는 상면패널(3)의 홈(3a)에 결합되어 전면패널(10)을 본체(1)에 고정시킨다.
걸림돌기(12)는 후술하는 착탈부재(20)에 걸리면서 결합되어 전면패널(10)을 본체에 고정한다. 그리고 걸림돌기(12)는 전면패널(10)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다. 걸림돌기(12)의 개수는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걸림돌기(12)가 전면패널(12) 후방 좌, 우측 하단에 돌출 형성된다.
2개의 걸림돌기(12)의 구성은 같으므로 이하 우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우측 걸림돌기(12)는 우측패널(30)에 형성된 걸림돌기홀(31)을 관통하여 착탈부재(20)의 걸림부(23)와 걸리게 된다. 따라서 걸림 돌기(12)는 전면패널(10)의 후면에서 일정길이 돌출된다. 그리고 끝단의 일부는 또 좌, 우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걸림부(23)과 걸리면서 결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돌기(12) 끝단의 일부분에는 경사진 경사면(12a)이 형성되고, 우측패널(30)의 걸림돌기홈(31)로 삽입된 후, 경사면(12a)이 걸림부(23)의 경사면(23a)과 슬라이딩되면서 걸림돌기(12)와 걸림부(23)의 결합을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일회의 동작에 의해서 걸림돌기(12)와 걸림부(23)가 결합을 하게 된다. 좌측 걸림돌기(12)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좌측패널(35)에 결합된다.
필터 장착부(13)는 전면패널(10) 후면에 돌출 형성되고, 필터(14)가 슬라이딩 결합된다. 그리고 필터(14)는 필터 장착부(13)에 슬라이딩되면서 장착 및 분리가 된다. 필터(14)는 좌, 우 측면에서 슬라이딩 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착탈된다. 한편, 필터(14)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필터 장착부(13)도 필터의 개수에 따라 형성된다.
필터유로(15)는 필터 장착부(13)와 전면 패널의 후면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유로(15)는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흡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필터(14)를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체(1) 측면의 공기흡입부(34)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유로(15)를 통하여 전면패널(10)과 필터(14) 사이의 공간으로 유도된 후, 필터(14)를 통과하게 된다.
좌, 우측패널(30,35)은 본체의 측면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제습기를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설치된다. 좌, 우측패널(30,35)은 위치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 우측패널(30)을 기준으로 설명을 한다.
우측패널(30,35)의 하부 중 후술할 버킷(2)이 위치하는 지점에는 홀이 형성되어 버킷(2) 내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별도의 호스가 연결될 수 있다.
우측패널(30)의 전면에는 전면패널(10)의 걸림돌기(12)가 관통되는 걸림돌기홀(31)이 개구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돌기(12)는 걸림돌기홀(31)을 출입하면서 착탈부재(20)의 걸림부(23)와 결합 및 분리된다. 그리고 우측패널(30)의 측면에는 착탈부재(20)의 버튼부(21)가 관통되는 버튼부홀(32)이 형성된다. 그리고 버튼부(21)는 버튼부홀(32)을 통하여 본체(1)의 외부로 노출이 되고, 사용자의 외력 및 후술한 탄성부(25)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부홀(32)에서 좌, 우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우측패널(30)의 내부에는 후술할 착탈부재(20)의 고정부(27)가 고정되는 홈(33)이 형성된다.
상부 패널(3)은 본체의 상부를 형성하고, 공기 토출부 및 사용자가 제습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제습기의 동작을 입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및 조작부가 위치한다. 그리고 상부 패널(3)에는 전면패널(10)의 고정돌기(11)이 결합되는 고정돌기 홈(3a)이 형성된다. 고정돌기 홈(3a)은 전면패널(10)의 고정돌기(11)의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패널(3)의 전면에 2개의 고정돌기 홈(3a)이 형성된다.
도5는 본 실시예의 착탈부재와 걸림돌기가 분리되었을 때 제습기의 배면 사시도, 도6은 본 실시예의 착탈부재와 걸림돌기 결합된 부분을 절개한 확대 사시도, 도7은 상기 도6의 평면도, 도8은 상기 도7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착탈부재(20)의 구성을 설명하고 전면패널(10)의 걸림돌기와 결합과정 및 전면패널(10)과 본체(1)의 착탈과정을 설명한다.
착탈부재(20)는 본체(1)에 구비되어 전면패널(10)의 걸림돌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착탈부재(20)는 좌, 우측패널(30,35)에 하나씩 구비된다. 2개의 착탈부재(20)의 구성과 위치는 동일한 바, 이하 하나의 우측패널(30)에 위치한 착탈부재(2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착탈부재(20)는 버튼부(21), 걸림부(23), 탄성부(25) 및 고정부(27)를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은 별도의 구성이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버튼부(21)는 우측패널(30)의 버튼부홀(32)을 관통하면서 위치한다. 따라서 버튼부(21)의 일부는 본체(1)의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버튼부(21)로 외력을 가하면, 버튼부를 외력에 의해서 버튼부홀(32) 내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외력에 의해 걸림부(23)는 본체의 내측으로 이동을 하면서 걸림돌기(12)와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탄성부(25)는 수축변형을 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는 전면패널(10)을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면패널(10)이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부(21)에 가하였던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수축변형을 하였던 탄성부(25)는 탄성력에 의해서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위치로 복원을 하게 된다. 따라서 버튼부(21)와 걸림부(23)도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걸림부(23)는 전면패널(10)이 본체(1)에 결합되었을 때, 걸림돌기(12)와 걸리면서 결합을 하게 된다. 그리고 걸림부(23)의 일단은 버튼부(21)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본체의 내측으로 이동을 하면서 걸림돌기(12)에서 해방이 되게 된다. 상기 설명한 걸림돌기(12)와 마찬가지로 걸림부의 끝단은 좌, 우로 돌출되어서 걸림돌기(12)와 걸리면서 결합된다. 그리고 끝단의 일부분에는 경사면(23a)이 형성되어, 걸림돌기(12)이 경사면(12a)과 슬라이딩하면서 걸림돌기(12)와 걸림부(23)의 결합을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걸림부(23)의 타단에는 탄성부(25)가 연결된다. 탄성부(25)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 변형이 되면서 걸림부(23)를 걸림돌기(12)에서 해방시킨다. 그리고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탄성력에 의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걸림부(23)와 버튼부(21)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걸림부(23)와 걸림돌기(12)는 탄성부(25)가 없어도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탄성부(25)를 구비함으로써, 일회의 동작에 의해서 걸림돌기(12)와 걸림부(23)의 착탈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걸림돌기(12)와 걸림부(23)가 결합한 상태에서, 탄성부(25)는 탄성력에 의해서 걸림부(23)을 걸림돌기(12)와 결합된 방향으로 밀어준다. 결국 걸림돌기(12)와 걸림부(23)는 견고하게 결합하게 되고, 따라서 전면패널(10)도 좌, 우측 패널(30,35)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고정부(27)은 탄성부(25)의 끝단에 형성되어 착탈부재(20)을 우측패널(30) 내부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고정부(27)은 우측패널(30)에 형성된 홈(33)에 고정된다. 결국 사용자의 외력과 탄성부(25)의 탄성력에 의해서 버튼부(21)와 걸림부(23)는 좌, 우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부(25) 또한 수축변형 및 복원변형을 하게 된다. 하지만 고정부(27)는 이동 또는 변형을 하지 않고 착탈부재(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전면패널(10)의 착탈과정을 설명한다.
전면패널(10)의 고정돌기(11)은 상부패널(3)의 고정돌기 홈(3a)에 결합되고, 전면패널(10)의 걸림돌기(12)는 좌, 우측패널(30,35)에 형성된 걸림돌기 홀(31,36)을 관통하여 착탈부재(20)의 걸림부(23)와 결합한다. 이 때 착탈부재(20)의 탄성부(25)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부(23)는 걸림돌기(12)측으로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전면패널(10)과 본체(1)는 견고하게 결합을 하게 된다.
사용자가 필터(14)를 교체하는 경우, 사용자는 버튼부(21)에 외력을 가하게 된다. 버튼부(21)에 가하여진 외력에 의해서 버튼부(21)는 이동을 하게 되고 버튼부(21)에 연결된 걸림부(23)도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부(23)은 걸림돌기(12)에서 해방되게 된다. 따라서 걸림돌기(12)는 좌, 우 패널(30,35)의 걸림돌기 홈(31,36)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이 때 전면패널(10)의 고정돌기(11)는 고정돌기 홈(3a)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면패널(10)을 본체(1)에서 분리하는 경우 고정돌기(11)는 고정돌기 홈(3a)에서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필터(14)를 필터 장착부(13)에서 슬라이딩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면패널(10)을 본체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착탈부재(20)에는 사 용자의 외력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탄성부(25)의 탄성력에 의해서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위치로 복원된 상태이다.
한편, 사용자가 필터(14)의 청소를 마친 후, 필터 장착부(13)로 슬라이딩 결합한 다음 전면패널(10)을 본체(1)로 다시 결합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우선 고정돌기(11)을 고정돌기 홈(3a)에 결합을 한다. 그리고 전면패널(10)을 본체로 밀착시키면서 걸림돌기(12)를 좌, 우 패널(30,35)의 걸림돌기 홈(31,36)으로 삽입을 하게 된다. 결국 걸림돌기(12)는 걸림돌기 홈(31,36)을 통과하여 걸림부(23)과 결합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명한 걸림돌기(12) 끝단의 경사면(12a)은 걸림부(23) 끝단의 경사면(23a)에 슬라이딩되면서 걸림돌기(12)가 좌, 우 패널(30,35)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걸림돌기(12)는 걸림부(23)의 경사면(23a)의 끝단을 지나면서 걸림부(23)과 결합을 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제습기의 재생공기의 응축과정, 실내공기의 제습과정 및 본체(1) 내부의 응축수 및 수분의 배출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재생공기는 재생팬(50)의 회전에 의해 재생유로를 순환한다. 즉 재생팬(50)을 통과한 재생공기는 재생공기 가열부재(60)에서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한다. 상기 고온의 재생공기는 데시컨트(44)의 재생 영역을 재생시키고, 재생공기 분배부재(90)를 경유하여 응축열교환기(100)으로 유입된다
응축열교환기(100)로 유입된 재생공기는 복수개의 열교환판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을 하면서 실내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상기 열교환과정에서 재생공기중의 수분이 응축된다. 응축된 재생공기는 배기덕트(90)을 통하여 로터 프레임(47)의 개구부를 통하여 다시 재생팬(50)으로 유입된다. 즉 재생공기는 상기의 사이클을 따라 본체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한편, 실내공기는 본체의 공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되어 응축열교환기(100)의 실내공기유로를 통과하면서 재생공기유로를 유동하는 재생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응축열교환기(100)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데시컨트(44)의 제습영역을 통과하면서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된다. 수분이 흡착된 실내공기는 송풍팬(9)을 통과하여 본체의 공기토출부를 통하여 실내로 다시 배출된다.
한편, 응축열교환기(100)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드레인팬(5)을 경유하여 버킷(2)의 내부로 수용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버킷(2)을 베이스(8)에서 분리하여 응축수 및 수분을 제품의 외부에 버리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제습기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실시예의 전면패널이 분리되었을 때의 제습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전면패널의 배면 사시도;
도5는 본 실시예의 착탈부재와 걸림돌기가 분리되었을 때 제습기의 배면 사시도;
도6은 본 실시예의 착탈부재와 걸림돌기 결합된 부분을 절개한 확대 사시도;
도7은 상기 도6의 평면도;
도8은 상기 도7의 분해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버킷
3: 상부패널 5: 드레인팬
6,7: 하부패널 8: 베이스
10: 전면패널 11: 고정돌기
12: 걸림돌기 13: 필터 장착부
14: 필터 15: 필터 유로
20: 착탈부재 21: 버튼부
23: 걸림부 25: 탄성부
27: 고정부 30: 우측패널
31,36: 걸림돌기 홀 32: 버튼부 홀
33: 홈 35: 좌측패널
41: 로터 서포터 43: 데시컨트 휠
44: 데시컨트 45: 제습로터
47: 로터 프레임 50: 재생팬
60: 재생 히터 80: 배기 덕트
90: 재생공기 분배부재 100: 응축 열교환기

Claims (7)

  1. 공기 흡입부와 공기 토출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필터가 구비되며,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한 전면패널;
    상기 필터를 통과한 상기 실내 공기를 제습하는 데시칸트 로터;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패널이 본체에 결합된 경우 상기 걸림돌기를 구속하는 착탈부재;
    를 포함하는 제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는 외력이 전달되는 버튼부, 상기 외력에 의해 변형되고 변형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전면패널의 걸림돌기와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습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와 결합되고, 상기 외력에 의한 상기 탄성부의 변형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에서 해방되는 제습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버튼부와 상기 탄성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습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의 일부는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습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공기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전면패널에 설치된 상기 필터로 유도하는 필터유로를 포함하는 제습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필터가 결합되는 필터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장착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습기.
KR1020080084046A 2008-08-27 2008-08-27 제습기 KR20100025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046A KR20100025332A (ko) 2008-08-27 2008-08-27 제습기
CN200910007204A CN101658753A (zh) 2008-08-27 2009-02-13 除湿机
EP09250597A EP2159503A3 (en) 2008-08-27 2009-03-02 Dehumd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046A KR20100025332A (ko) 2008-08-27 2008-08-27 제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332A true KR20100025332A (ko) 2010-03-09

Family

ID=41404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046A KR20100025332A (ko) 2008-08-27 2008-08-27 제습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159503A3 (ko)
KR (1) KR20100025332A (ko)
CN (1) CN1016587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3287B (zh) * 2012-05-24 2016-01-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机体和面板的连接装置及包括该连接装置的空气净化器
CN107762974A (zh) * 2017-11-24 2018-03-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面板安装结构及家用电器
CN107906635B (zh) * 2017-11-28 2023-11-28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下接头的排水结构和除湿机
CN110397998A (zh) * 2019-08-21 2019-11-01 无锡普爱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分体模块式转轮结构骨架、除湿转轮和转轮除湿机
CN111981574A (zh) * 2020-08-26 2020-11-24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出风面板结构和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26343A3 (en) * 1999-10-14 2005-11-23 Sharp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er and humidifying/dehumidifying apparatus attached thereto
JP3168266B1 (ja) * 1999-12-27 2001-05-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
KR100566851B1 (ko) * 2000-08-28 2006-04-0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개질 기기 및 이것에 사용되는 이온 발생 장치
JP2003314849A (ja) * 2002-04-19 2003-11-0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4092932A (ja) * 2002-08-29 2004-03-25 Sharp Corp パネル開放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節装置
WO2006135172A2 (en) * 2005-06-13 2006-12-21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59503A2 (en) 2010-03-03
EP2159503A3 (en) 2012-04-11
CN101658753A (zh)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9657B1 (en) Dehumidifier
CN1880858B (zh) 除湿机
JP4503588B2 (ja) ロータリ式除湿機の除湿ロータ取替装置
KR101476297B1 (ko) 제습기
KR101440521B1 (ko) 제습기
EP1891379A2 (en) Dehumidifier
KR20100025332A (ko) 제습기
KR101158579B1 (ko) 제습기
CN108826502A (zh) 一种转轮除湿机及其使用方法
KR101534170B1 (ko) 제습기
JP4595334B2 (ja) 除湿装置
JP2005185930A (ja) 除湿装置
JP4329584B2 (ja) 除湿装置
KR20100025344A (ko) 제습기
JP4400989B2 (ja) 除湿機
KR101433201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
KR100958391B1 (ko) 제습기
KR101535143B1 (ko) 제습기
KR20100025349A (ko) 제습기
KR100947614B1 (ko) 제습기
KR100600774B1 (ko) 제습기
KR101450555B1 (ko) 제습기
CN118785841A (zh) 鞋护理装置
JPH10296039A (ja) 吸湿式除湿装置
JP2006218432A (ja) 除湿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8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8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2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7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