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171A - Overslam bumper unit of vehicle - Google Patents
Overslam bumper unit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24171A KR20100024171A KR1020080082911A KR20080082911A KR20100024171A KR 20100024171 A KR20100024171 A KR 20100024171A KR 1020080082911 A KR1020080082911 A KR 1020080082911A KR 20080082911 A KR20080082911 A KR 20080082911A KR 20100024171 A KR20100024171 A KR 201000241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mper
- housing
- vehicle
- thread
- stopp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23—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오버슬램 범퍼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외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이 형성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상부면에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조작부가 회전될 때 스토퍼와 접촉되는 치형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조정부로 구성된 범퍼 몸체와; 범퍼 몸체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slam bumper unit of a vehicle, wherein a first thread is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s integrally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operating portion, and a tooth contacting the stopper when the operating portion is rotated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bumper body composed of an adjusting part; And a housing in which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bumper body is formed and a second thread formed on the inner side thereof is engaged with the first thread.
이에 의하여, 범퍼 몸체의 회전에 따라 치형과 스토퍼의 상호 작동에 의해 치형이 몇 번 클릭되었는지 가늠할 수 있어 범퍼 몸체의 상향 또는 하향 이동 거리를 쉽게 알 수 있으므로, 단차 조절이 매우 편리하여 작업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number of teeth is clicked by the interaction of the teeth and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umper body, so that th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distance of the bumper body can be easily known. In addition, uniform quality can be ensur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오버슬램 범퍼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범퍼 몸체의 회전에 따른 상하 이동량을 알 수 있는 차량의 오버슬램 범퍼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slam bumper unit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verslam bumper unit of a vehicle capable of knowing the amount of vertical movemen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umper body.
일반적으로 오버슬램 범퍼는 후드나 트렁크에 장착되어 후드나 트렁크와 접촉되는 상대 부품이 후드나 트렁크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In general, the overslam bumper is mounted on the hood or trunk to mitigate the impact by preventing the hood or the trunk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counterparts in contact with the hood or the trunk.
도 1의 (a)는 종래 차량의 오버슬램 범퍼가 후드나 트렁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b)는 (a)의 오버슬램 범퍼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종래 오버슬램 범퍼(101)는 후드나 트렁크(105)에 형성된 범퍼 홀(117)에 삽입되어 장착되는데, 이 때 외주면에는 차체와의 단차를 조정하기 위한 나사산(101a)이 형성되어 있다. Figure 1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verslam bumper of the conventional vehicle is mounted on the hood or trunk,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slam bumper of (a), the
즉, 작업자가 오버슬램 범퍼(101)를 회전시키면 나사산(101a)에 의해 오버슬램 범퍼(10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차체와의 단차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그런데, 이러한 종래 오버슬램 범퍼(101)에 있어서는, 차체와의 단차를 조정 하기 위해 오버슬램 범퍼(101)의 회전에 따른 상하 이동량을 알 수 없으므로 반복적으로 조정 작업을 함으로써 단차를 맞추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균일한 품질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such 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범퍼 몸체의 회전에 따른 상하 이동량을 알 수 있어 단차 조정을 위한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의 오버슬램 범퍼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know the amount of vertical movemen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umper body can not only improve the work efficiency for step adjustment, but also to provide an overslam bumper unit of the vehicle that can ensure a uniform quality will b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오버슬램 범퍼유닛에 있어서, 외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이 형성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상부면에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조작부가 회전될 때 스토퍼와 접촉되는 치형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조정부로 구성된 범퍼 몸체와; 범퍼 몸체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 하우징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verslam bumper unit of a vehicle, the first threaded portion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tegral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portion and the teeth contacted with the stopper when the operation portion is rotated circumference A bumper body comprising an adjusting part formed along a direction;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bumper body is formed and is achieved by a housing in which a second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ide which engages the first thread.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후드나 트렁크에 체결 부재로 체결되기 위해 체결공이 형성된 결합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housing is preferably composed of a housing body in which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and a coupling piece in which a fastening hole is formed to extend to a lower end of the housing body to be fastened to a hood or a trunk by a fastening member.
이 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 몸체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치형을 탄성적으로 접촉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pper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ousing body to elastically support and support the teeth.
한편, 상기 체결 부재는 기둥과, 기둥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기둥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의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단부에 하부로 연장되어 체결 부위에 걸리는 걸림 돌기와, 상기 기둥의 하단에 상기 체결공보다 크게 형성된 걸림편으로 구성된 것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member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lumn and the pillar, and the elastic body of the shape that opens toward the outer sid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n both sides of the column, extending downward to the end of the elastic body and the locking projections caught on the fasten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pillar is composed of a locking piece formed larger than the fastening hol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범퍼 몸체의 회전에 따라 치형과 스토퍼의 상호 작동에 의해 치형이 몇 번 클릭되었는지 가늠할 수 있어 범퍼 몸체의 상향 또는 하향 이동 거리를 쉽게 알 수 있으므로, 단차 조절이 매우 편리하여 작업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의 오버슬램 범퍼유닛이 제공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how many times the teeth are clicked by the interaction of the teeth and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umper body, so that the up or down moving distance of the bumper body can be easily known,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n overslam bumper unit, which is very convenient and has good workability and ensures uniform quality.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오버슬램 범퍼유닛(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나 트렁크(5)에 형성된 범퍼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장착되어 후드나 트렁크(5)와 접촉되는 상대 부품이 후드나 트렁크(5)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2, the
오버슬램 범퍼유닛(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범퍼 몸체(10)와, 범퍼 몸체(1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된 하우징(20)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범퍼 몸체(10)는 원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11a)이 형성된 조작부(11)와, 조작부(11)의 상부면에 일체로 마련되어 조작부(11)가 회전될 때 스토퍼(25)와 접촉되는 치형(13)이 형성된 조정부(12)로 구성된다. The
제1 나사산(11a)은 후술할 하우징(20)의 제2 나사산(21a)과 맞물려 범퍼 몸체(10)의 회전에 따라 범퍼 몸체(10)가 하우징(20)에 대해 상하 이동되도록 한다.The
스토퍼(25)는 범퍼 몸체(10)가 회전방향으로 자유 회전되지 않도록 조정부(12)를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The stopper 25 functions to hold the adjusting
조정부(12)는 조작부(11)의 상부면에 조작부(11)의 직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조정부(12)에는 오목부(13a)와 볼록부(13b)로 구성된 치형(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치형(13)은 스토퍼(25)와 접촉됨으로써 작업자가 범퍼 몸체(10)를 회전시키는 경우 범퍼 몸체(10)가 얼마만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되었는지 가늠할 수 있게 한다. The adjusting
즉, 작업자가 범퍼 몸체(10)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토퍼(25)는 어느 한 곳의 오목부(13a)(또는 볼록부(13b))에서 볼록부(13b)를 거쳐 바로 다음의 오목부(13a)(또는 볼록부(13b))에 접촉하게 되어 치형(13)이 1클릭 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치형(13) 1클릭당 범퍼 몸체(10)가 0.5mm 단위로 상하 높이 조정되도록 설계된 경우, 치형(13)이 10개이면 작업자가 범퍼 몸체(10)를 1회전시 범퍼 몸체(10)는 하우징(20)에 대해 5mm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이에, 작업자가 범퍼 몸체(10)를 회전시키는 경우 범퍼 몸체(10)의 상향 또는 하향 이동 거리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단차 조정 작업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단차 조정을 정확히 할 수 있으므로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us, 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하우징(20)은 범퍼 몸체(1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과 내측면에 제1 나사산(11a)과 맞물리는 제2 나사산(21a)이 형성된 하우징 몸체(21)와, 하우징 몸체(21)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후드나 크렁크에 체결 부재(30)로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22a)이 형성된 결합편(22)으로 구성된다. The
이 때, 하우징 몸체(21)의 상부면에는 조작부(11)는 걸리고 조정부(12)가 노출되기 위한 노출공(2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몸체(21)의 상부면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집게 모양으로 형성되어 치형(13)을 탄성적으로 접촉 지지하는 스토퍼(2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스토퍼(25)는 도 5의 (a)와 같이 치형(13)의 오목부(13a)에 접촉해 있다가 작업자가 범퍼 몸체(10)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5의 (b)와 같이 볼록부(13b)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되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When the
여기서, 하우징(20)과 스토퍼(25)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로 사출 제작되어 하우징(20)과 스토퍼(25)를 별도로 조립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스토퍼(25)가 하우징(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스토퍼(25)가 하우징(20)에 형성되지 않고 후드나 트렁크(5)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하우징(20)은 후드나 트렁크(5)에 체결 부재(30)로 체결되는데, 이 때 체결 부재(30)는 공구를 이용해야 하는 볼트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조립성이 용이하도록 원터치 타입의 클립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The
체결 부재(30)는 기둥(31)과, 기둥(31)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기둥(31)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의 탄성체(32, 33)와, 기둥(31)의 하단에 체결공(22a)보다 크게 형성된 걸림편(36)으로 구성된다. 이 때, 각 탄성체(32, 33)의 단부에는 하부로 연장된 걸림 돌기(34, 35)가 각각 형 성되어 있다. The fastening
상부의 탄성체(32)에 형성된 걸림 돌기(34)는 후드나 트렁크(5)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에 상부의 탄성체(32)가 삽입된 후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고, 하부의 탄성체(33)에 형성된 걸림 돌기(35)는 결합편(22)의 체결공(22a)에 하부의 탄성체(33)가 삽입된 후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이와 같이, 체결 부재(30)를 체결공(22a)에 체결시킨 후 후드나 트렁크(5)의 체결공에 끼워 넣으면 오버슬램 범퍼유닛(1)을 공구없이 후드나 트렁크(5)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fastening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범퍼 몸체(10)의 회전에 따라 치형(13)과 스토퍼(25)의 상호 작동에 의해 치형(13)이 몇 번 클릭되었는지 가늠할 수 있어 범퍼 몸체(10)의 상향 또는 하향 이동 거리를 쉽게 알 수 있으므로, 단차 조절이 매우 편리하여 작업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stimate how many times the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modifications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의 (a)는 종래 차량의 오버슬램 범퍼가 후드나 트렁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b)는 (a)의 오버슬램 범퍼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1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verslam bumper of a conventional vehicle is mounted on the hood or trunk,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slam bumper of (a).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오버슬램 범퍼유닛이 후드나 트렁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verslam bumper uni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mounted on the hood or trunk.
도 3은 도 2의 오버슬램 범퍼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verslam bumper unit of FIG. 2.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도 5의 (a)는 도 3의 오버슬램 범퍼유닛의 스토퍼가 치형의 오목부를 접촉 지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b)는 (a)의 범퍼 몸체가 일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스토퍼가 치형의 볼록부에 의해 탄성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5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of the overslam bumper unit of Figure 3 in contact with the recess of the tooth shape, (b) is a stopper of the tooth shape when the bumper body of (a)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lastic deformation is caused by the convex por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오버슬램 범퍼유닛 10 : 범퍼 몸체1: overslam bumper unit 10: bumper body
11 : 조작부 11a : 제1 나사산11:
12 : 조정부 13 : 치형12: adjusting section 13: teeth
20 : 하우징 21 : 하우징 몸체20: housing 21: housing body
21a : 제2 나사산 21b : 삽입공21a:
22 : 결합편 22a: 체결공22: engaging
25 : 스토퍼 30 : 체결 부재25: stopper 30: fastening member
31 : 기둥 32, 33 : 탄성체31:
34, 35 : 걸림 돌기 36 : 걸림편34, 35: engaging projection 36: engaging piec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2911A KR20100024171A (en) | 2008-08-25 | 2008-08-25 | Overslam bumper unit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2911A KR20100024171A (en) | 2008-08-25 | 2008-08-25 | Overslam bumper unit of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4171A true KR20100024171A (en) | 2010-03-05 |
Family
ID=4217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2911A Ceased KR20100024171A (en) | 2008-08-25 | 2008-08-25 | Overslam bumper unit of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24171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32064A (en) * | 2015-09-14 | 2017-03-22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Over-slam bumper for vehicle |
KR102267013B1 (en) * | 2019-12-16 | 2021-06-18 | 주식회사 디엠씨 | Tailgate side bumper |
KR20220055793A (en) * | 2020-10-27 | 2022-05-04 | (주)한라공업 | Over slam bumper for automobile |
-
2008
- 2008-08-25 KR KR1020080082911A patent/KR20100024171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32064A (en) * | 2015-09-14 | 2017-03-22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Over-slam bumper for vehicle |
KR102267013B1 (en) * | 2019-12-16 | 2021-06-18 | 주식회사 디엠씨 | Tailgate side bumper |
WO2021125424A1 (en) * | 2019-12-16 | 2021-06-24 | 주식회사 디엠씨 | Tailgate side bumper |
KR20220055793A (en) * | 2020-10-27 | 2022-05-04 | (주)한라공업 | Over slam bumper for automobi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24171A (en) | Overslam bumper unit of vehicle | |
KR20160048716A (en) | Wiper blade and wiper | |
US7621196B2 (en) | Shift lever device | |
KR101384534B1 (en) | Mounting structure of gear knob | |
JP6313655B2 (en) | Wiper arm with nozzle and wiper device for vehicle | |
JP5798989B2 (en) | Retainer | |
KR101276575B1 (en) | A wiper arm apparatus improving lock back structure | |
CN109555763B (en) | Clamp mounting base | |
JP2008184124A (en) | Check mechanism for shift lever device | |
US20140250621A1 (en) | Windshield wiper assembly | |
EP2767628B1 (en) | Sewing machine | |
JP6013174B2 (en) | Wiper blade and wiper | |
JP6816001B2 (en) | Drainage cover for automobile windshield wiper mechanism, main body of automobile windshield wiper mechanism shaft, and automobile windshield wiper mechanism including cover and main body | |
JP4638389B2 (en) | clip | |
JP2010228594A (en) | Headlamp cleaner | |
JP4528513B2 (en) | Parts mounting structure to fuel tank | |
JP2015072021A (en) | Lock component for fixture hole | |
JP5973492B2 (en) | Wiper device | |
JP2004203163A (en) | Shift lever device | |
CN215928591U (en) | Stop element for a pipe fixture attachment assembly | |
JP5308277B2 (en) | Bathtub apron mounting structure | |
KR102551673B1 (en) | Tube holder for vehicle | |
JP2008082383A (en) | Column hole cover | |
JP5936322B2 (en) | Prop for ground installation | |
JP2010275983A (en) | Member mounting structure to fuel tan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005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2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