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24109A - Shock reduction member - Google Patents

Shock reduction mem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109A
KR20100024109A KR1020080082806A KR20080082806A KR20100024109A KR 20100024109 A KR20100024109 A KR 20100024109A KR 1020080082806 A KR1020080082806 A KR 1020080082806A KR 20080082806 A KR20080082806 A KR 20080082806A KR 20100024109 A KR20100024109 A KR 20100024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s
groove
main body
sealing
sealing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8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시천
Original Assignee
양시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시천 filed Critical 양시천
Priority to KR1020080082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4109A/en
Publication of KR20100024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109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f pneumat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 A47C27/10Fluid mattresse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ly-fillable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PURPOSE: A shock-absorbing member including grooves is provided to apply to products that need to be contacted with human body, and to effectively reduce an impact of the human body when using the products. CONSTITUTION: A shock-absorbing member formed with an elastic material comprises the following: a main body(10) with a honeycomb structure including grooves(15) continuously arranged to length and a breadth direction; and a sealer blocking the flowing in and flowing out of air through openings of each groove by sealing the grooves. The bottom(16) of the groove is in a dome shape. The sealer includes a sealing sheet(22) attached to the main body to seal the openings of each groove.

Description

충격 감소 부재{Shock-absorbing member}Shock reduction member {Shock-absorbing member}

본 발명은 충격 감소 부재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주로 인간이 접촉하면서 사용하여야 하는 물품에 적용되어 이 물품을 사용 시 신체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충격 감소 부재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act reducing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act reducing member which is applied mainly to an article to be used in contact with a human being so as to effectively alleviate a shock that may be applied to the body when using the article.

일반적으로 ①매트, 매트리스, 방석과 같은 깔개 ②베개 ③보호 용구 ④신발의 깔창, 밑창 ⑤소파를 비롯한 의자나 안장 따위의 앉을 것 등 인간이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접촉하면서 사용하여야 하고, 아울러 사용함에 있어 신체에 압박 등 각종의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 물품들은 푹신함을 제공하거나 하여 사용자가 받게 될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감소 부재를 가진다.In general, ① rugs such as mats, mattresses and cushions ② pillows ③ protective equipment ④ shoe insoles, soles ⑤ sofas, seats such as chairs or saddles, etc. Articles that can be subject to various impacts, such as pressure, have a shock reduction member that provides softness or mitigates the impact a user will receive.

충격 감소 부재로서 오래 전부터 이용되어 오던 것에는 솜, 짚, 천연 고무와 같은 천연 재료를 뭉치거나 다져서 만든 완충재가 있는데, 근래에는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이 보다는 스프링을 이용한 것, 원상 또는 발포시킨 연성 합성수지나 합성 고무를 이용한 것, 공기 주머니를 이용한 것 등을 선호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들 충격 감소 부재는 다음과 같이 효율이 떨어지는 편이거나 용도가 제한적인 편이었다.Shock absorbing materials that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include cushioning materials made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of natural materials such as cotton, straw and natural rubber.In recent years, as technology is advanced, rather than using springs, original or foamed soft synthetic resins. The trend is to use synthetic rubbers or airbags. However, these impact reducing members were less efficient or limited in use as follows.

- 솜, 짚, 천연 고무 등 천연 재료는 대체로 높은 완충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들이다. 그리고 그 대부분이 체적 대비 무게가 상대적으로 커서 효율이 떨어지는 편이다.-Natural materials, such as cotton, straw, and natural rubber, generally do not expect high buffering effects. And most of them are relatively large in weight and relatively inefficient.

- 스프링은 대부분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바, 무게가 무거운 데다 형상을 마음대로 형성하는 것이 어려워 용도가 제한적이다.-Most of the springs are made of metal, so they are heavy and difficult to form at will.

- 발포시킨 연성 합성수지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연속기포상의 발포체가 형성되는데, 발포 구조에 따른 낮은 밀도에도 불구하고 실용적인 수준의 완충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연성 합성수지 소재의 탄성률(elastic modulus)을 높여야 한다. 그러나 이는 결과적으로 발포체의 촉감과 충격 흡수성을 떨어뜨리는 부작용을 가져온다. 반면, 연성 합성수지로 독립기포상의 발포체를 만드는 경우에는 그 제조 공정상 소재의 탄성률을 높여 사용하기에 한계가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너무 부드러운 완충재가 얻어지게 되므로 부재의 실용상 제한이 나타나게 된다.-In the case of foamed flexible synthetic resins, foams of continuous foam are usually formed. In order to exhibit a practical level of buffering effect despite the low density according to the foam structure, the elastic modulus of the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must be increased. However, this results in side effects that reduce the feel and shock absorbency of the foam.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aking a foam in the form of an independent bubble with a flexible synthetic resin, there is a limit to increase the elastic modulus of the material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so that a relatively too soft cushioning material is obtained, thereby exhibiting practical limitations of the member.

- 합성 고무는 덩어리 상태로 이용할 때 그 무게가 무겁고 압축에 따른 변위가 작은바, 완충재로서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가 많다. 물론, 천연 고무도 마찬가지이다.-Synthetic rubber is heavy when it is used in agglomerate state and its displacement due to compression is small. In many cases, it cannot function as a cushioning material. Of course, the same is true of natural rubber.

또한, 발포시킨 합성 고무의 경우에도 연속기포상의 발포체는 발포체 구조상 의 문제로, 독립기포상의 발포체는 제조 공정상의 제약 조건으로 공히 지나치게 부드러워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적용 용도상 제한이 따르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합성 고무에 탄성률이 높은 합성수지를 혼합하는 경우에는 부재의 사용 도중 반복적인 외력의 작용을 받음에 따라 압착 변형이 일어나 완충 능력이 손상되는 부작용을 가져온다. 이는 천연 고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the foamed synthetic rubber, the foam of the continuous foam is a problem in the foam structure, the foam of the independent foam is too soft due to the constraint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application purpose, and to supplement In the case where the synthetic rubber having high elastic modulus is mixed with the synthetic rubber, the compressive deformation occurs due to the repeated external force during the use of the member, resulting in a side effect of impairing the buffering ability. The same is true of natural rubber.

- 공기 주머니도 스프링과 마찬가지로 그 형상을 마음대로 제조하는 것이 어려운바, 용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Like air springs, air bags are difficult to manufacture at will, so their use is limited.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여 보면, 현재 보급되어 사용하고 있는 충격 감소 부재는 내구성, 완충 능력, 무게(겉보기비중) 등이 서로 역 상관관계에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용도에 따른 만족할만한 최선의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바,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히 요구된다.In summary, since the impact reduction members currently in widespread use are often inversely correlated with durability, cushioning capacity, and weight (apparent specific gravity), they do not show satisfactory effect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Bar, there is an urgent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의 목적은 경제적이고,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충격 감소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act reducing member that is economical and can more effectively alleviate an imp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부에 홈이 가로세로 연속하여 있도록 배열되어 허니콤 구조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각 홈을 밀봉하여 이 홈의 입구를 통한 공기의 출입을 봉쇄하는 봉합 수단을 포함하는 충격 감소 부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dy having a honeycomb structur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arrang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grooves are arranged in a row in a vertical direction, sealing each groove of the main body and entering and exiting air through the inlet of the groove An impact reduction member is provided that includes a closure means for sealing the.

여기에서, 상기 본체의 홈은 그 바닥이 돔 형상일 수 있다. 또, 상기 봉합 수단은 상기 본체에 이 본체의 각 홈의 입구가 봉쇄되도록 접착된 봉합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groove of the main body may have a dome shape at the bottom thereof. In addition, the sealing means may include a sealing sheet bonded to the main body of the inlet of each groove of the main body is sea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본체, 제2 본체 및 봉합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와 제2 본체는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한쪽에 홈이 가로세로 연속하여 있도록 배열되어 허니콤 구조를 가지며 서로 이 홈이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봉합 시트는 상기 제1, 제2 본체의 각 홈을 밀봉하여 이 홈의 입구를 통한 공기의 출입을 봉쇄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제2 본체 사이에 개재되고 이 제1, 제2 본체에 이 두 본체의 홈의 입구가 봉쇄되도록 양면이 각각 접착되며, 상기 제1 본체의 홈과 제2 본체의 홈은 서로 크기가 다른 충격 감소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neycomb comprising a first body, a second body, and a sealing sheet, wherei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and the grooves are arranged so that the grooves are continuously arranged on one side thereof. The grooves have a comb structure and are disposed such that the grooves face each other, and the sealing sheet seals the grooves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to block the entry and exit of air through the inlet of the grooves. Both surfaces are bonde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openings of the grooves of the two main bodies are sealed to the first and the second main bodies, and the grooves of the first main body and the grooves of the second main body are provided with impact reducing members having different sizes.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면 중 한 면에 홈이 가로세로 연속하여 있도록 배열되어 허니콤 구조를 가지며 복수 개 구비되고 서로 한 면과 다른 쪽 면이 밀착됨에 따라 사이의 각 홈이 밀봉되도록 적층된 상태로 접착된 본체, 상기 복수 개의 본체 중 홈이 노출된 것의 각 홈을 밀봉하여 이 홈의 입구를 통한 공기의 출입을 봉쇄하는 봉합 수단을 포함하는 충격 감소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aterial and the grooves on one side of the both sides are arranged so as to be continuou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has a honeycomb structure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and close to each other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 impact reduction member comprising a main body bonded in a laminated state such that each groove between the seals is sealed, and sealing means for sealing each groove of an exposed groove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to block the entry and exit of air through the inlet of the groove; May be provid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격 감소 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mpact reduc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소 부재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깔개(매트, 매트리스, 방석 따위), 베개, 보호 용구(헬멧 따위), 신발의 깔창이나 밑창이나 중창, 앉을 것(소파를 비롯한 의자나 안장 따위) 등 주로 인간이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접촉하면서 사용하여야 하는 물품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이 물품을 사용하는 과정 중 받게 될 수 있는 각종의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것이다.An impact reducing mem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The impact reduc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is mainly made by humans such as rugs (mats, mattresses, cushions), pillows, protective gears (such as helmets), insoles, soles or midsoles of shoes, and seats (such as sofas, chairs and saddles). It applies to articles that need to be used in direct or indirect contact, which mitigates the various impacts that a user may experience while using the article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특정한 형상의 홈(15)이 가로세로 연속하여 있도록 형성된 본체(10), 이 본체(10)의 각 홈(15)을 밀봉하는 봉합 수단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impact reduction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0 formed such that grooves 15 of a specific shape are continuously and horizontally continuous, and sutures sealing each groove 15 of the main body 10 are shown. Means;

본체(10)는 탄력성이 있어 신축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바, 이러한 성질을 가지는 재료로서 고분자 화합물(high molecular compound, polymer)에 속하는 고무(천연 고무, 합성 고무)나 연성 합성수지가 이용된다. 본체(10)의 재료로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연성 합성수지로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이 있다.The main body 10 is made of a flexible and stretchable material. As a material having such properties, a rubber (natural rubber, synthetic rubber) or a flexible synthetic resin belonging to a high molecular compound (polymer) is used. Flexible synthetic resins suitable for use as the material of the main body 10 include polyvinyl chloride, polystyrene, polyethylene, polyethylene-co-vinyl acetate, polyurethane (polyurethane), polypropylene, and the like.

본체(10)는 고무와 연성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다른 종류의 고무 둘 이상이 혼합되거나 다른 종류의 연성 합성수지 둘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 각각 적어도 한 종류의 고무와 연성 합성수지가 혼합된 혼합물로 이룰 수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를 이용하는 것이 탄력성과 내압축영구줄음율 면에서 유리하므로 이를 주로 이용하는 편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10 may not be made of any one of rubber and soft synthetic resin. That i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two or more different kinds of rubbers may be mixed or a mixture of two or more different kinds of soft synthetic resins may be formed, respectively, a mixture of at least one kind of rubber and soft synthetic resins.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mainly because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lasticity and compression set resistance.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이것이 적용될 물품의 목적에 맞는 외형으로 형성된다.The impact reduc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is formed into an outlin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article to which it is applied.

이에 따르면, 본체(10)는 그 형상이 특별히 정하여져 있는 것이 아니기는 하지만, 여기에서는 일례로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하여 보았다. 또, 홈(15)의 경우에도 본체(10)의 일부분에 한하여 걸쳐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본체(10)의 전체에 걸쳐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여기에서는 본체(10)의 한 면(도 1에서 보아 상면) 전반에 걸쳐 있도록 형성하여 보았다.According to this, although the shape is not specifically determined, the main body 10 was formed in the flat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n example here. In addition, the groove 15 may be formed so as to cover only a part of the main body 10, or may be formed so as to cover the whole of the main body 10, but here,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It was formed so as to cover the whole (top view in Figure 1).

가로세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홈(15)은 본체(10)가 허니콤의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허니콤 구조를 마련하는 각 홈(15)은 그 횡단면이 원형(타원형을 포함한다)이나 다각형일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정육각형으로 형성하였다. 이렇게 정육각형으로 형성하면 도 1과 같이 홈(15)의 크기를 모두 동일하게 한 때 홈(15)을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할 수 있다. 물론, 이 대신 정사각형이나 정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마찬가지이겠으나, 굳이 정육각형으로 한 것은 이것이 보다 밀도가 낮고 안정된 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이다.The grooves 15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llow the body 10 to have a honeycomb structure. Each groove 15 providing the honeycomb structure may be circular (including elliptical) or polygonal in cross section, here formed as a regular hexagon. When formed in a regular hexagon as shown in FIG. 1, the grooves 15 may be arranged at the same interval when all the sizes of the grooves 15 are the same. Of course, this may also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or an equilateral triangle instead, but the reason why it is a regular hexagon is that it provides a lower density and stable structure.

각 홈(15)은 그 패인 깊이가 전부 또는 일부 상이할 수 있는 등 적용될 물품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이기는 하나, 여기에서는 모두가 동일하도록 형성하여 보았다.Each groove 15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rticle to be applied such that its depth may be all or partly different, but here, all grooves are formed to be the same.

각 홈(15)은 또, 그 바닥(16)이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형상적 특징은 허니콤 구조의 기계적성질을 보강한다.Each groove 15 also has its bottom 16 in a dome shape, which reinforce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honeycomb structure.

봉합 수단은 각각의 홈(15)에 충전되기 마련인 공기가 홈(15)의 입구를 통하여 홈(15) 밖으로 유출되거나 이와 반대로 밖의 공기가 홈(15) 안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각 홈(15)의 입구를 봉쇄하여 각각의 홈(15)이 독립된 에어 셀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봉합 수단은 본체(10)의 홈(15) 형성 면(도 1에서 보아 상면)에 이 면의 전반에 걸쳐 밀착되도록 접착되어 각 홈(15)의 입구를 막는 봉합 시 트(22)를 포함한다.The sealing means is provided in each groove 15 to prevent air, which is intended to be filled in each groove 15, from flowing out of the groove 15 through the inlet of the groove 15 or vice versa. The inlet of) allows each groove 15 to act as an independent air cell. The sealing means includes a sealing sheet 22 which is adhered to the groove 15 forming surface of the main body 10 (upper surface in FIG. 1)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ire surface of the body 10 and blocks the inlet of each groove 15. .

봉합 시트(22)의 경우, 본체(10)와 마찬가지로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성질을 가지는 재료로서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가 이용된다. 물론,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보다 경질의 재료가 이용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sealing sheet 22, 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imilarly to the main body 10. Preferably,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is used as a material having such properties. Of course, harder material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봉합 시트(22)의 접착은 융착(融着)이나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봉합 시트(22)를 접착시키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접착제로는 천연고무계, 스티렌부타디엔(styrene butadiene)계나 이소프렌-이소부틸렌(isoprene-isobutylene)계나 클로로프렌(chloroprene)계와 같은 합성고무계, 핫 멜트(hot melt), 폴리비닐 클로라이드계 등이 있다.Bonding of the sealing sheet 22 is carried out by the method of fusion | melting and an adhesive agent. Adhesives that can be used to bond the sealing sheet 22 include natural rubber, styrene butadiene, synthetic rubber such as isoprene-isobutylene, chloroprene, and hot melt. melt), polyvinyl chloride, and the like.

살펴본 바와 같이 본체(10)의 각 홈(15)이 봉합 시트(22)에 의하여 밀봉되어 각각 독립된 에어 셀의 역할을 하는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충격이 가해지면 재료의 신축성으로 변형이 발생되는 것과 동시에 복원력이 나타나고, 아울러 홈(15)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는 것과 동시에 반발력이 나타나며, 이 과정에서 이웃하는 홈(15)들이 충격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탄력과 원형 회복력이 매우 우수한바, 완충 효과가 클 뿐만 아니라 반복되는 충격에도 쉽게 압착되거나 하지 않아 영구변형이 쉽사리 발생되지 않는다. 게다가,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홈(15)에 갇힌 공기의 단열 작용에 의하여 보온 효과가 뛰어나다는 장점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mpact reduc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each groove 15 of the main body 10 is sealed by the sealing sheet 22 and serves as an independent air cell, is deformed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material when the impact is applied. At the same time, the restoring force appears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inside the groove 15 is compressed and the repulsive force appears at the same time. In this process, the neighboring grooves 15 disperse the impact, so the elasticity and the circular recovery force are very excellent. Not only is it large, but it is not easily squeezed even after repeated impacts, so that permanent deformation is not easily generated. In addition, the impact reduc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is excellent due to the heat insulating action of the air trapped in the groove 15.

한편,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재료가 가지는 신축 특성에 의하여 완충 효과가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신축성 재료는 고무나 합성수지 원료에 보강제, 유연화제, 충전제 등과 함께 필요 시 가교제와 가교 촉진제 등 여러 약품을 정해진 비율에 따라 첨가하여 만들며, 그 결과 재료를 인장시킬 경우 항복점(yield point)에 도달할 때의 신장률(elongation)이 적어도 50% 이상인 것이 필요하며, 나아가서는 100%를 넘어서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impact reduction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is a cushioning effect is determined by the elas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 general, the elastic material is a rubber or synthetic resin raw materials, such as reinforcing agents, softening agents, fillers, etc. It is made by add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tio, and as a result, when the material is tensioned, the elongation when reaching the yield point is required to be at least 50% or more, more preferably 100% or more.

여기에서, 재료는 단섬유 등의 복합 소재 보강재를 포함하지 않은 조건에서 가교 또는 배합물(compound) 처리가 된 고분자 화합물을 말하며, 이 재료의 경도나 탄성률 등의 특성은 적용될 물품의 용도 및 물품의 부위에 따라 적절히 설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Here, the material refers to a polymer compound that has been crosslinked or compounded under conditions that do not include a composite material reinforcement such as short fibers, and the properties such as hardness and elastic modulus of the material may be used for the article to be applied and the site of the article. Of course, it must be properly designed according to.

도 2a 내지 도 2d는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가 적용된 매트리스, 베개, 신발의 깔창, 의자를 각각 나타낸다.2A to 2D show a mattress, a pillow, a shoe insole, and a chair to which the impact reduction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respectively.

매트리스는 1인 이상이 누울 수 있는 크기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쿠션 부재, 이 쿠션 부재로 구성되는 쿠션에 씌워진 커버를 포함하는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이 매트리스의 쿠션 부재로 이용될 수 있다.(가는 이점쇄선은 커버를 나타낸다) 참고로, 여기에서는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가 깔개의 한 종류인 매트리스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그 두께, 크기 등 형상을 변경하여 매트리스가 아닌 매트, 방석 등 다른 종류의 깔개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mattress includes at least one cushion member formed in a cuboid shape having a size that one or more persons can lie down, and a cover covered with a cushion composed of the cushion member, as shown in FIG. Can be used as a cushion member of this mattress. (The thin dashed line indicates a cover.) The impact reducing member of the example can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rugs, such as mats, cushions, etc., by changing the shape, such as thickness and size.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베개의 형상으로 형성하면 그대로 베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필요한 경우에는 베갯잇을 씌울 수도 있다.(가는 이점쇄선으로 표현한 것이 베갯잇이다) 아니면, 이 베갯잇 대신 촉감이 부드러운 섬유로 이룬 마감 시트를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B, the impact reduc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used as a pillow as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illow. You can, of course, cover a pillowcase if you need it (the thin line is a pillowcase). Alternatively, you can attach a detachable finish made of soft, soft fibers instead of the pillowcase.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구두, 운동화 등 신발의 바닥에 까는 깔창 형상으로 형성하면 그대로 신발의 깔창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필요한 경우에는 윗면(발바닥이 닿는 면)에 촉감을 향상시키는 마감 시트가 부착될 수도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C, the impact reduc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used as the insole of a shoe as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insole close to the bottom of the shoe such as shoes and sneakers. Of course, if necessary, a finishing sheet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the surface on which the sole touches the foot) to improve the feel.

이와 같이 신발에 적용할 경우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그 자체가 곧 깔창 전체이어야만 할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닌바, 깔창의 일부만을 구성하도록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일례로 깔창의 뒷부분(발뒤꿈치가 닿는 부분)처럼 비교적 사용자의 체중이 많이 실리는 부분에만 덧붙일 수도 있는 것이다. 또는, 복수 개를 적층하여 다층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이렇게 하되, 사용자의 체중이 많이 실리게 되는 부분만이 다층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As such, when applied to shoes, the impact reduc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constitute only a part of the insole, since 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entire insole. That is, for example, it may be added only to a portion where a relatively heavy weight of the user is carried, such as the back portion of the insole (where the heel touches).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layers may be laminated to have a multilayer structure. Alternatively, in this way, only a portion where the weight of the user is carried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여기에서는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를 신발의 깔창으로 이용한 것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갑피의 바닥을 구성하도록 적용할 수도 있고, 밑창(중창을 포함한다)을 구성하도록 적용할 수도 있 다.Here, only the use of the impact reduction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as an insole of the shoe has been described. Alternatively, the impact reduction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constitute the bottom of the upper, and the sole (including the midsole) may be used. It can also be adapted to configure.

의자는 시트 부분과 등받이 부분을 가지는데,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등받이 부분에 내장되어 푹신함을 제공하는 쿠션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이 같은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등받이 부분만이 아니라 시트 부분에도 적용되어 쿠션으로 이용될 수 있다.The chair has a seat portion and a back portion, and as shown in Fig. 2D, the impact reduc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used as a cushion provided in the back portion to provide softness. Of course, the impact reducing member of this first embodiment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back portion but also to the seat portion to be used as a cushion.

한편, 살펴본 바와 같이 적용되는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필요한 경우 그 표면이 요철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미끄럼 방지나 지압 효과를 제공하게 할 수도 있고, 그 재료에 나노 실버(nano silver) 등의 항균제를 첨가함으로써 항균성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pact reduction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applied as described above may provide the user with an anti-slip or acupressure effect by having the surface has an uneven structure, if necessary, nano silver (nano silver), etc. in the material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ntimicrobial properties by adding an antimicrobial agent.

다음에서는,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와 유사하게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때, 다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와 비교하였을 때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other embodiments that are configured similarly to the impact reduc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other parts as compared with the impact reducing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소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로,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그 작용 효과는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본체(10)(10A)를 두 개 구비하되, 이 둘의 홈(15)(15A)이 하나의 봉합 시트(22)에 의하여 밀봉된 다는 점만이 상이하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act reducing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here, the impact reducing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other configurations and its comparison with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working effects are the same for both of the same, but having two main bodies 10 and 10A, except that the two grooves 15 and 15A are sealed by one sealing sheet 22.

도 3에서 보았을 때 상측에 위치한 본체(10)(이하, 상부 본체라 한다) 및 봉합 시트(22)는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3, since the main body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upper main body) and the sealing sheet 22 located abov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에서 보아 하측에 위치한 본체(10A)(이하, 하부 본체라 한다)는 상부 본체(10)와 비교하여 그 홈(15A)의 크기가 다르다는 점만이 상이한바, 봉합 시트(22)에 각 홈(15A)이 밀봉되어 이 홈(15A)의 입구를 통한 공기의 출입을 봉쇄되도록 접착된다. 즉, 하부 본체(10A)는 상부 본체(10)와 서로 홈(15A)(15)이 마주 보고 있도록 배치되고, 봉합 시트(22)는 상부와 하부 본체(10)(10A)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이 상부와 하부 본체(10)(10A)에 홈(15)(15A)의 입구가 봉쇄되도록 양면이 각각 접착되는 것이다.3, the main body 10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ower main body) located at the lower side is different from the upper main body 10 only in that the size of the groove 15A is different, and each groove in the sealing sheet 22 is different. 15A is sealed and adhere | attached so that the entrance of air through the inlet of this groove 15A may be blocked. That is, the lower main body 10A is disposed so that the upper main body 10 and the grooves 15A and 15 face each other, and the sealing sheet 22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ain bodies 10 and 10A. Both sides are bonded to the upper and lower bodies 10 and 10A so that the inlets of the grooves 15 and 15A are sealed.

살펴본 바와 같은 제2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그 두 본체(10)(10A)에 의하여 복층의 허니콤 구조를 가지므로 단층인 것에 비하여 촉감과 탄력이 뛰어나고, 두 본체(10)(10A)의 홈(15)(15A) 크기가 서로 다르므로 어느 쪽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른 촉감과 탄력이 제공된다. 일례로, 이러한 제2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를 베개에 적용한 경우에는 사용 중 뒤집어서 반대쪽을 베면 이전과 다른 촉감과 탄력이 제공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impact reducing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multi-layer honeycomb structure by the two main bodies 10 and 10A, and thus has a superior feel and elasticity than a single layer, and the grooves of the two main bodies 10 and 10A. (15) (15A) Different sizes provide different touch and elasticity depending on which one is used. For example, when the impact reducing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to a pillow, when it is turned upside down during use,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different feel and elasticity than before.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소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로, 여 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제2 실시예의 그것과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그 작용 효과는 모두 동일한 데 대하여, 상부 본체(10)의 경우에는 양면 중 한 면에 홈(15)이 형성되고, 하나나 둘 이상의 적층 본체(10B)를 더 포함한다는 점만이 상이하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act reducing mem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here, the impact reducing member of the third embodiment may have other configurations and its comparison with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effects are all the same, except that in the case of the upper body 10, the groove 15 is formed on one side of both sides, and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laminated body 10B.

여기에서, 적층 본체(10B)는 상부 또는 하부 본체(10)(10A)와 마찬가지의 것인바, 그 홈(15B) 형성 면이 상부 본체(10)의 양면 중 다른 면(홈이 형성되지 않은 면)에 밀착됨에 따라 각 홈(15B)이 밀봉되도록 적층되고, 이렇게 적층된 상태로 접착된다. 물론, 적층 본체(10B)의 홈(15B)은 그 크기가 상부나 하부 본체(10)(10A)의 그것과 상이할 수도 있다. 또, 적층 본체(10B)는 상부 본체(10)가 아니라 하부 본체(10A)의 양면 중 한 면에 홈(15A)을 형성하여 이 하부 본체(10A)의 양면 중 다른 면에 적층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와 하부 본체(10)(10A) 둘 모두에 적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적층 본체(10B)가 상부와 하부 본체(10)(10A) 중 어느 하나에만 적층되는 경우에는 상부와 하부 본체(10)(10A) 중 다른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Here, the laminated main body 10B is the same as the upper or lower main body 10 and 10A, and the groove 15B forming surface thereof is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ain body 10 (the surface where the groove is not formed). ), The grooves 15B are laminated so as to be sealed and adhered in this stacked state. Of course, the groove 15B of the laminated body 10B may be different in size from that of the upper or lower body 10 (10A). In addition, the laminated main body 10B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both sides of the lower main body 10A by forming a groove 15A on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lower main body 10A instead of the upper main body 10. In some cases, the upper and lower bodies 10 and 10A may be stacked. When the laminated body 10B is stacked only on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main bodies 10 and 10A, the other one of the upper and lower main bodies 10 and 10A may be omitted.

이와 같은 적층 본체(10B)에 따르면, 제3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별도로 봉합 시트(22)를 구비할 것 없이 그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laminated body 10B, the impact reduction member of 3rd Example can change the thickness without providing the sealing sheet 22 separately.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소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로,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그 작용 효과는 모두 동일한 데 대하여, 봉합 시트(22)를 구비함이 없이 본체(10)를 두 개 갖추고 있다는 점만이 상이하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act reducing memb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shown here, the impact reducing member of the fourth embodiment may have other configurations and its comparison with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effects are all the same, except that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out the sealing sheet 22.

여기에서의 두 본체(10)는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것인 데다 그 홈(15)이 마주하도록 맞댄 때 홈(15)이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이렇게 홈(15)이 서로 일치된 상태로 접착된다. 이에 따르면, 두 본체(10) 중 하나는 봉합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겸한다.The two main bodies 10 her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re formed such that the grooves 15 coincide with each other when the grooves 15 face each other, and thus the grooves 15 coincide with each other. Is bonded. According to this, one of the two main bodies 10 also serves as a sealing means.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소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로,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은 모두 동일한 데 대하여, 본체(10C)가 허니콤 구조물(12)과 차폐물(13)로 구성된다는 점만이 상이한바,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act reducing memb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here, the impact reducing member of the fifth embodiment has all other configurations compared with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thing is different, except that the main body 10C is composed of the honeycomb structure 12 and the shield 13,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허니콤 구조물(12)은 적어도 그 일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이 가로세로 연속하여 있도록 마련되고, 차폐물(13)은 각 구멍의 양단 중 어느 한쪽이 봉쇄되도록 접착제 등에 의하여 이 허니콤 구조물(12)에 접착된다.The honeycomb structure 12 is provided so that the holes penetrating at least a portion thereof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ontinuously, and the shield 13 is made of the honeycomb structure 12 by an adhesive or the like so that one of both ends of each hole is sealed. Is bonded to.

여기에서, 차폐물(13)에 의하여 양단 중 한쪽이 봉쇄된 허니콤 구조물(12)의 구멍은 본체(10C)의 홈(15C)이 되는데, 이 홈(15C)은 그 입구가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봉합 시트(22)에 의하여 밀봉되어 각각 독립된 에어 셀의 역할을 한다.Here, the hole of the honeycomb structure 12 whose one end is blocked by the shield 13 becomes the groove 15C of the main body 10C, and the groove 15C has its inlet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Likewise sealed by the sealing sheet 22 serves as an independent air cell each.

이 같이 본체(10C)를 허니콤 구조물(12)과 차폐물(13)로 나누어서 구성한 제5 실시예의 충격 감소 부재는 이점쇄선으로 표현된 것처럼 허니콤 구조물(12)을 하 나 이상 추가 구비하여 한쪽 또는 양쪽에 적층되도록 접착할 수도 있다.Thus, the impact reduction member of the fifth embodiment configured by dividing the main body 10C into the honeycomb structure 12 and the shield 13 has one or more additional honeycomb structures 12 as shown by the double-dotted line. It may also be bonded to be laminated on both sides.

한편, 여기의 도면에서는 홈(15C)의 바닥이 돔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차폐물(13)은 허니콤 구조물(12)의 구멍과 마주하는 각각의 부분이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패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홈(15C)은 그 바닥이 돔 형상일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bottom of the groove 15C is not shown to be formed in a dome shape in the drawings, the shield 13 may be recessed in a hemispherical shape with each part facing the hole of the honeycomb structure 12. Thus, each groove 15C may have a dome shape at its bottom.

또한, 제2 내지 제4 실시예의 경우에도 그 본체를 허니콤 구조물과 차폐물로 나누어서 구성할 수도 있다.Also in the case of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the main body may be divided into a honeycomb structure and a shield.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는 홈이 본체의 어느 한쪽에만 형성된 것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설명하였으나, 홈은 봉합 수단으로 밀봉하여 에어 셀을 마련할 수 있다면 어느 부분에라도 형성할 수 있다. 때문에, 홈은 본체의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이 양쪽의 홈은 서로 크기가 다르게 할 수도 있는데, 이 구성은 제2 실시예와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grooves are concentrated on only one side of the main body, but the grooves may be formed in any part as long as the grooves can be sealed by sealing means. Therefore, the groove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nd the grooves on both sides may be different in size from each other, and this configuration can expect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또한, 위 설명에서는 봉합 시트가 단지 본체에 접착되기만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봉합 시트는 본체에 접착된 때 이 본체의 홈에 각각 끼워지는 돌기를 가질 수도 있다. 돌기는 본체와 봉합 시트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바, 보다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홈에 끼워진 상태로 접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aling sheet is only bonded to the main body, but the sealing sheet may have protrusions that are fitted into the grooves of the main body when the sealing sheet is bonded to the main body. The protrusion improves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ealing sheet, and may be bond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또한, 본 발명은 봉합 수단으로서 홈에 각각 끼워지고 이렇게 끼워진 상태로 접착되어 홈의 입구를 봉쇄하는 봉합 마개가 대신 적용되거나 부분적이나마 이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or partially used instead of a suture stopper which is fitted into each of the grooves and bonded in such a fitted state to seal the inlet of the groove as sealing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소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act reducing mem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소 부재의 사용 상태도로, 도 2a는 매트리스를, 도 2b는 베개를, 도 2c는 신발의 깔창을, 도 2d는 의자를 각각 나타낸다.Figure 2a to 2d is a state of use of the impact reduc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mattress, Figure 2b is a pillow, Figure 2c is a shoe insole, Figure 2d is a chair .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소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act reducing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소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act reducing mem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소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act reducing memb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소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mpact reducing memb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10A, 10B, 10C : 본체10, 10A, 10B, 10C: main body

15, 15A, 15B, 15C : 홈15, 15A, 15B, 15C: Home

16 : 홈의 바닥16: bottom of the groove

22 : 봉합 시트(봉합 수단)22: sealing sheet (sealing means)

Claims (5)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부에 홈이 가로세로 연속하여 있도록 배열되어 허니콤 구조를 가지는 본체,Body made of elastic material and arrang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grooves in a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ontinuous structure having a honeycomb structure, 상기 본체의 각 홈을 밀봉하여 이 홈의 입구를 통한 공기의 출입을 봉쇄하는 봉합 수단을 포함하는 충격 감소 부재.Sealing means for sealing each groove of the body to block the entry and exit of air through the inlet of the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홈은,The groove of the main body, 그 바닥이 돔 형상인 충격 감소 부재.The impact reduction member whose bottom is a dome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합 수단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ing means, 상기 본체에 이 본체의 각 홈의 입구가 봉쇄되도록 접착된 봉합 시트를 포함하는 충격 감소 부재.And a sealing sheet bonded to the main body such that the inlet of each groove of the main body is sealed. 제1 본체, 제2 본체 및 봉합 시트를 포함하며,A first body, a second body, and a sealing sheet, 상기 제1 본체와 제2 본체는,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한쪽에 홈이 가로세로 연속하여 있도록 배열되어 허니콤 구조를 가지며 서로 이 홈이 마주하 도록 배치되고,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and arranged so that the grooves on one side in a row and vertically continuous to have a honeycomb structure and disposed so that the grooves face each other, 상기 봉합 시트는, 상기 제1, 제2 본체의 각 홈을 밀봉하여 이 홈의 입구를 통한 공기의 출입을 봉쇄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제2 본체 사이에 개재되고 이 제1, 제2 본체에 이 두 본체의 홈의 입구가 봉쇄되도록 양면이 각각 접착되며,The sealing sheet seals the groove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bodies to block the entry and exit of air through the inlet of the grooves,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in bodies and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main bodies. Both sides are bon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openings of the grooves of the two bodies are sealed. 상기 제1 본체의 홈과 제2 본체의 홈은, 서로 크기가 다른 충격 감소 부재.The impact reduction member of which the groove | channel of the said 1st main body and the groove | channel of a 2nd main body differ from each other in size.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면 중 한 면에 홈이 가로세로 연속하여 있도록 배열되어 허니콤 구조를 가지며 복수 개 구비되고 서로 한 면과 다른 쪽 면이 밀착됨에 따라 사이의 각 홈이 밀봉되도록 적층된 상태로 접착된 본체,It is made of elastic material and is arranged so that the grooves are arrang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n one side of both sides, and has a honeycomb structure,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yers and stacked so that each groove is sealed a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onded body, 상기 복수 개의 본체 중 홈이 노출된 것의 각 홈을 밀봉하여 이 홈의 입구를 통한 공기의 출입을 봉쇄하는 봉합 수단을 포함하는 충격 감소 부재.And sealing means for sealing each of the grooves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to which the grooves are exposed to block entry of air through the inlet of the grooves.
KR1020080082806A 2008-08-25 2008-08-25 Shock reduction member Ceased KR201000241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806A KR20100024109A (en) 2008-08-25 2008-08-25 Shock reduction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806A KR20100024109A (en) 2008-08-25 2008-08-25 Shock reduction mem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109A true KR20100024109A (en) 2010-03-05

Family

ID=42176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806A Ceased KR20100024109A (en) 2008-08-25 2008-08-25 Shock reduction mem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410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98797A1 (en) * 2014-01-24 2015-07-29 Tobia Esquete, Fernando Mattress with improved heat and moisture dissipation
KR102413083B1 (en) * 2021-10-07 2022-06-23 김우진 Cover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connector
US20220355564A1 (en) * 2016-06-30 2022-11-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shioning structures including interconnected cel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98797A1 (en) * 2014-01-24 2015-07-29 Tobia Esquete, Fernando Mattress with improved heat and moisture dissipation
US20220355564A1 (en) * 2016-06-30 2022-11-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shioning structures including interconnected cells
KR102413083B1 (en) * 2021-10-07 2022-06-23 김우진 Cover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24122B (en) Mattresses and mattress toppers including knitted fabric, and related methods
TWI774973B (en) Mattresses assembly
ES2694008T3 (en) Composite foams based on latex
JP4344386B2 (en) Flexible fluid-filled bladder for footwear
JP6125711B2 (en) Fluid-filled chamber with tension element
US8932692B2 (en) Cushions comprising deformable members and related methods
JP3127954U (en) Buffer complex device
CA2483699C (en) Footwear sole component with a single sealed chamber
JP3104706U (en) Soft composite structure with breathability
WO2010135550A2 (en) Cushions comprising deformable members and related methods
WO2007024523A1 (en) Footwear sole component with an insert
KR101522563B1 (en)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17716B1 (en)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
US20150305515A1 (en) Enhanced mobility mattress
TWI802372B (en) Bedding filler using gel cushion
KR20100024109A (en) Shock reduction member
US20090155520A1 (en) Floor covering with viscoelastic dampening properties
JP2019048056A (en) Shock absorber comprising elastomeric material, insole of sho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0120315460A1 (en) Hybrid cushioning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CN104939572A (en) Mattress with multilayer structure
JP6622467B2 (en) Sole structure and shoes
CN114698902A (en) Bending-resistant damping structure and insole
JP2831799B2 (en) Impact buff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5232259A (en) Shock absorbing flooring
CN203969853U (en) multi-layered matt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1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8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