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015A -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post and bar of rack - Google Patents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post and bar of ra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21015A KR20100021015A KR1020080079706A KR20080079706A KR20100021015A KR 20100021015 A KR20100021015 A KR 20100021015A KR 1020080079706 A KR1020080079706 A KR 1020080079706A KR 20080079706 A KR20080079706 A KR 20080079706A KR 20100021015 A KR20100021015 A KR 201000210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ar
- column
- shelf
- cross
- fastening bol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373 anti-fou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1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screwbolts as connecting memb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4—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구조의 선반의 기둥과 횡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인발 또는 압출에 의한 파이프 형태의 선형 부재인 기둥(4); 패널(8)을 받치기 위하여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기둥(4)에 연결되는 횡대(6)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횡대(6)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기둥(4)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관통하는 볼트공(22)이 마련되는 소켓부(14); 상기 볼트공(22)을 통해 체결되는 체결볼트(16)에 의해 찌그러지면서 체결볼트의 선단(16a)이 파고 들 수 있는 공간(S)을 내어줄 수 있도록 상기 기둥(4)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변형핀(20,deforming f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structure of a column and a cross of a shelf of a structure on which a heavy object can be placed. Its composition is; A column 4 which is a linear member in the form of a pipe by drawing or extrusion; A crosspiece 6 connected to said column 4 by connec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panel 8; The connecting means, the socket portion 14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crosspiece (6) is provided with a bolt hole 22 penetrating at right angles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illar (4); It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ar 4 so as to be crushed by the fastening bolt 16 fastened through the bolt hole 22 to give a space S into which the fastening bolt 16a can be excava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deforming fins (20, forming fin) is 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구조의 선반의 기둥과 횡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lf,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ng structure of a column and a cross of a shelf of a structure on which a heavy object can be placed.
선반(또는 랙(rack))은 공간효율을 높이기 위해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물건을 층층이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선반은 일반가정에서 장식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거실 또는 발코니 등에서 수족관 또는 화분을 올려놓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매장에서 다수의 상품을 진열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Shelves (or racks) are installed in predetermined places in order to increase space efficiency, and are means for placing various items on the floor. Such a shelf may be used as a decorative cabinet in a home, used to place an aquarium or a flower pot in a living room or a balcony, or may be used to display a plurality of products in a store.
본 발명은 특히 수족관, 화분 등 중량이 비교적 큰, 즉 중량물을 견딜 수 있는 강한 구조의 선반에 관련된 것이다. 종래에는 중량물을 얹기 위해 앵글이라는 수단을 널리 사용하였는데 이는 부식이 발생하며 미관상 좋지 못하고 조립이 쉽지 않아 가정에서는 선호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소비자의 필요에 맞는 규격에 따라 주문제작된 알루미늄 재질의 선반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선반은 전문 제작장 비가 구비된 작업장에서 사전에 제작한 후 설치장소로 이동시켜 설치하여야 했다. 특히, 강한 구조를 필요로 하는 선반은 볼트조립만으로는 요망하는 구조적 강성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통상 용접에 의해 부재(특히 기둥과 횡대(bar)) 상호간을 조립하여야 했다. 그러나 선반의 규격이 크게 되는 경우에는 용접된 완제품을 협소한 설치장소에 설치하기가 불편하거나 불가능했다. 따라서 선반을 일체형으로 하지 못하고 몇 개로 분리하여야 했다. 이는 공간효율상, 미관상 및 설치비용상 단점을 가지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relates to a shelf of a relatively high weight, such as an aquarium, a flower pot, etc., which can withstand heavy loads. Conventionally, an angle called a means of placing a heavy object was widely used, which is not preferred at home because corrosion occurs and the appearance is not good and assembly is not easy. Therefore, custom-made aluminum shelves have been used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s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These shelves were to be manufactured in advance in the workshop equipped with professional production facilities and then moved to the installation site. In particular, lathes that require a strong structure have to be assembled between members (especially columns and bars) by welding because they cannot have the desired structural rigidity by bolt assembly alone. However, when the size of the shelf became large, it was inconvenient or impossible to install the welded finished product in a narrow installation place. Therefore, the shelf could not be integrated and had to be separated into several pieces. This has disadvantages in space efficiency, aesthetics and installation cost.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물을 사용할 수 있는 선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반의 골격이 되는 기둥과 횡대의 연결을 설치 현장에서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반의 기둥과 횡대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 problem is to provide a structure of a shelf that can use a heavy object. 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of pillars and transverses of a shelf that can improve the structural strength while at the same time mak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pillars and the transverses serving as the frame of the shelf convenient.
위와 같은 목적은, 인발 또는 압출에 의해 일정한 단면을 가지게 되는 파이프 형태의 선형 부재로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기둥; 물건을 얹을 수 있는 패널을 받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어느 특정한 지점에 상기 기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결되는 횡대(橫帶) 를 포함하되; The above object is a linear member in the form of a pipe that has a constant cross-section by drawing or extrusion, the column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anel on which an object can be mounted, comprising: a transverse line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the post at a specific poi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st by connecting means;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횡대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의 외부에 끼워지며, 상기 기둥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관통하는 볼트공이 마련되는 소켓부; 상기 볼트공을 통해 체결되는 체결볼트의 선단에 의해 찌그러지면서 상기 체결볼트의 선단이 파고 들 수 있는 공간을 내어줄 수 있는 두께로 상기 기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변형핀(deforming f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기둥과 횡대의 연결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The connecting means, the socket portion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cross-section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pillar, and provided with a bolt hole penetrating at right angles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illar; A plurality of deformation pin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pillar to a thickness that is distorted by the front end of the fastening bolt fastened through the bolt hole to give a space for the front end of the fastening bolt ( It is achieved by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column and the cross of the shelf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forming fi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a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ross section of a circular or polygo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형핀은 상기 기둥의 외부에 마련되는 안착홈 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ormation pi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seating groov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illar.
본 발명에 있어서, 중공으로 된 상기 기둥 내부에는 상기 기둥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중간판이 더 설치되어 기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mediate plate is further installed inside the pillar to be hollow to improve the strength against the force appli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illa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둥과 기둥 사이에 유리, 합판 또는 아크릴판 등으로 된 측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의 원주방향을 따라 1개 이상의 벽설치홈이 상기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 구간에 더 마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wall mounting groov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lumn are provided in all sec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so that side plates made of glass, plywood, or acrylic plate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column and the column. It can be arranged further.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볼트체결에 의한 조립식으로써 설치현장에서 직접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구조적으로 강도가 매우 높은 선반의 기둥과 횡대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따라서 영구접합 또는 강성유지를 위한 용접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며, 중량물을 얹을 수 있는 선반이 제공된다. 이는 체결볼트가 변형핀을 우그러뜨리면서 체결되어 체결볼트 선단의 고유한 형태대로 볼트안착부를 성형하기 때문이다. 이는 쐐기와 같은 작용으로 체결볼트로 하여금 기둥과 횡대가 체결되게 하는데, 결과적으로는 체결볼트의 이완을 방지하고 횡대가 중량물에 의해 기둥을 따라 미끄러져 내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s a prefabricated by bolting can be assembled and installed directly at the installation site and further provides a structurally strong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illar and the side of the shelf. 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welding for permanent bonding or rigidity, and a shelf on which a heavy object can be placed is provided. This is because the fastening bolt is tightened while twisting the deformation pin to form the bolt seat in the unique shape of the fastening bolt tip. This causes the fastening bolt to fasten the column and the cross in the same action as the wedge, which prevents the loosening of the fastening bolt and prevents the side from sliding down the column by the heavy object.
또한, 사용자는 기둥의 연장방향을 따라 임의의 높이에 횡대 내지 패널을 설치할 수 있으며, 체결볼트의 체결에 의해 기둥의 강성에 손상을 주지 않는 선반의 기둥과 횡대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In addition, the user can install the horizontal to the panel at any height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lumn,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illar and the side of the shelf does not damage the rigidity of the column by the fastening of the fastening bolt.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실시예가 적용된 선반의 사시도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2. 6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pilla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elf to which the embodiment of FIG. 6 is applied.
선반(2)은 기둥(4), 기둥(4)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횡대(6, 橫帶(bar)) 및 횡 대(6)에 지지되는 패널(8)로 구성된다. 도 2에는 4개의 기둥(4)이 직사각 형태로 배치되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 에 횡대(6)가 설치되는 2단 구조의 일반적인 선반이 도시된다. 선반의 형태는 도시된 것에 한하지 않음이 명백하며 심지어 외팔보 형태의 것도 가능하다. 기둥(4)은 인발 또는 압출에 의해 형강과 같이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파이프 형태의 선형 부재로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다. 기둥(4)의 재질은 미관이 뛰어나고 인발 또는 압출 성형이 가능한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이 적당하다. 기둥(4)의 저면에는 공지의 다리(10) 또는 바퀴가 설치되며, 상단에는 상부캡(12)이 씌워진다. The
횡대(6)는 물건을 얹을 수 있는 패널(8)을 받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수단에 의해 기둥(4)의 길이방향을 따라 어느 특정한 지점에 기둥(4)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결된다. 횡대(6) 역시 알루미늄 또는 그의 합금으로 인발 또는 압출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횡대(6)에는 사각판 형태의 패널(8)이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된다. 횡대(6)와 패널(8)은 용접으로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요철홈에 의한 끼워맞춤식일 수도 있고 볼트 등에 의한 조립식일 수도 있다. 횡대(6)와 패널(8)의 관계는 본 발명의 내용과는 직접적 연관성이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본 발명은 기둥(4)과 횡대(6)의 연결구조에 핵심적 특징을 가진다. 이하 이 연결구조를 달성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key feature 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연결수단은, 단관 형태의 소켓부(14), 소켓부(14)에 체결되는 체결볼트(16) 및 체결볼트의 선단(16a)과 접촉되는 복수개의 변형핀(20)을 포함한다. 소켓부(14) 는 횡대(6)의 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가 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기둥(4)의 외부에 면밀하게 끼워지는 단면 형태를 가진다. 소켓부(14)는 기둥(4)에 끼워진 상태에서 기둥(4)의 연장방향을 따라 자재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본인이 원하는 높이로 패널(8)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The connecting means includes a
소켓부(14)에는 기둥(4)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관통하는 볼트공(22)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볼트공(22)은 소켓부(14)의 세로방향을 따라 일렬로 3 ~ 4개가 마련된다. 또한 만족할 만한 체결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볼트공이 마련되는 부분(14a, 이하, '소켓리브'(socket lib)라 한다)은 다른 부분보다 2배 이상 두텁게 되어 있다. The
복수개의 변형핀(20, deforming fin)이 볼트공(22)을 통해 체결되는 체결볼트(16)에 의해 찌그러지면서 체결볼트의 선단(16a)이 파고 들 수 있는 공간(S, 도 4 내지 도 5 참조)을 내어줄 수 있는 두께로 기둥(4)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변형핀(20)은 기둥(4)에 박히는 형국이 된다. A plurality of deformation fins 20 (deforming fin) is crushed by the fastening
이 변형핀(20)은 기둥(4)의 인발 또는 압출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하면 기둥(4)의 길이를 따라 전체 구간에 마련되게 된다. 변형핀(20)이 형성되는 부분(4a, 이하, '기둥리브'라 한다)에는 강도보강을 위해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The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체결볼트의 선단(16a)이 변형핀(20)을 우그러뜨리면서 체결되어 마치 쐐기와 같이 기둥(4)과 결합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5의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큰 하중이 가해진다 해도 소켓부(14)는 기둥(4)을 따라 하방 향으로 미끄러질 수 없게 된다. 이는 곧 선반의 사용하중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둥(4)의 기본적 형태에 손상을 가하지 아니하여 기둥(4)의 강성을 약화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변형핀(20)의 원상복원력은 체결볼트(16)가 쉽게 이완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체결볼트(16)는 록킹볼트 또는 스프링와셔와 유사한 작용을 받게 된다. 4 to 5 it can be seen that the front end (16a) of the fastening bolt is fastened while twisting the
체결볼트(16)의 체결력, 선반의 요구되는 지지하중 등을 고려하여 각부위의 세부적 규격이 결정될 것이다. 전제적 조건은 체결볼트(16)의 체결력은 변형핀(20)의 항복강도를 상회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Detailed specifications of each part will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astening force of the
체결볼트(16)는 큰 체결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무두볼트 또는 무두렌치볼트라고 칭하는 체결요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체결볼트(16)의 개수 또는 체결위치 또한 마찬가지로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선반의 전방에서 체결볼트(16)를 체결할 수 있도록 볼트공(22) 및 변형핀(20)이 선반의 전방을 향해 형성되고 있다. The fastening
때에 따라서 변형핀(20)이 설치된 얇은 판을 기둥에 별도로 볼트결합 또는 용접하여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는 작업성이 떨어질 것이 자명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회피하고자 하는 의도로서 고려될 수 있다. In some cases, the thin plate on which the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변형핀(20)은 기둥(4)의 외부에 마련되는 안착홈(24) 내부에 마련된다. 이 안착홈(24)에는 소켓리브(14a)의 일측이 일부 끼워져 서로간 에 암수결합을 하도록 되어 있다(도 4 참조). 이와 같은 결합형태는 기둥에 끼워진 소켓부로 하여금 기둥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지 못하도록 키(key)의 기능을 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으로 된 기둥(4) 내부에는 기둥(4)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중간판(26)이 더 설치되어 기둥(4)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to 4,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횡대(6)가 설치되지 않는 부분에 원형 그대로 남아있는 변형핀(20)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다란 오염방지캡(28)이 결합될 수 있다(도 8 참조). 쫄대와 같은 기능을 하는 오염방지캡(28)은 현장에서 쉽게 요망하는 길이로 절단할 수 있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이다. 오염방지캡(28)은 단면이 디귿자(ㄷ) 형태가 될 것이며 공지의 고정수단(접착제, 요철결합 등)에 의해 안착홈에 결합될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이하, 도 6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에 의하면 선반의 측부, 즉 기둥(4)과 기둥(4) 사이에 유리, 합판 또는 아크릴판 등으로 된 측판(30)을 설치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벽설치홈(32)이 기둥(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구간에 마련된다. 이 벽설치홈(32)은 기둥(4)의 원주방향을 따라 필요한 위치에 필요한 개수로 마련된다. 이 벽설치홈(32)에 측판이 끼워진 상태가 도 8의 일부절개 사시도를 통해 도시된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8. According to FIG. 6, one or mor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기둥(4)이 원형이 아닌 다각형 등 다양한 횡단면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횡단면이 대략 4각형태의 기둥이 제시된다. 소켓부(14)는 이 기둥 외주에 끼워질 수 있도록 4각형의 단면을 가져야 할 것이다. 기타 다른 부분은 위에 실시된 바와 같다. 이처럼 기둥은 원형 이외에 4각형, 5각형 또는 6각형 형태로도 설계가 가능하다.FIG. 7 shows tha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5는 도 2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2.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실시예가 적용된 선반의 사시도이다. 6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pilla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elf to which the embodiment of FIG. 6 is applie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선반 4 ; 기둥2 ;
6 ; 횡대 8 ; 패널6;
12 ; 상부캡 14 ; 소켓부12;
16 ; 체결볼트 20 ; 변형핀(deforming fin)16;
24 ; 안착홈 26 ; 중간판24; Seating
28 ; 오염방지캡 30 ; 측판28;
32 ; 벽설치홈32; Wall mounting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9706A KR101004003B1 (en) | 2008-08-14 | 2008-08-14 |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 and cross of shel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9706A KR101004003B1 (en) | 2008-08-14 | 2008-08-14 |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 and cross of shel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1015A true KR20100021015A (en) | 2010-02-24 |
KR101004003B1 KR101004003B1 (en) | 2010-12-31 |
Family
ID=42090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9706A KR101004003B1 (en) | 2008-08-14 | 2008-08-14 |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 and cross of shel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400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6454B1 (en) | 2018-06-01 | 2019-11-19 |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 Connector, and frame structure using the connec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4192B1 (en) * | 2016-04-14 | 2018-04-16 | 권홍순 | Door structure of assembly bureau |
KR102557482B1 (en) | 2021-10-19 | 2023-07-19 | 진흥용 | Shwlf |
KR20240142927A (en) | 2023-03-22 | 2024-10-02 | 진흥용 | Prefabricated shelves |
KR102574285B1 (en) | 2023-06-29 | 2023-09-06 | 주식회사 다죤 | Assembly shelf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29655Y2 (en) | 1979-10-31 | 1982-06-29 | ||
JPH0237491Y2 (en) | 1987-08-26 | 1990-10-11 | ||
JP4175263B2 (en) | 2004-01-26 | 2008-11-05 | 松下電工株式会社 | Frame connection structure |
-
2008
- 2008-08-14 KR KR1020080079706A patent/KR101004003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6454B1 (en) | 2018-06-01 | 2019-11-19 |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 Connector, and frame structure using the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04003B1 (en) | 2010-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1455B1 (en) | Assembly method shelf and its non-bolted | |
KR101004003B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 and cross of shelf | |
US8356801B2 (en) | Partially pre-assembled fence assembly and mutli-element rail | |
US9226601B2 (en) | Vertical shelf assembly | |
KR20190000828U (en) | Angle with decorative cover | |
KR102282114B1 (en) | Prefabricated steel rack with improved structure and locking structure | |
KR102015878B1 (en) | Assembly shelf | |
JP5190964B2 (en) | External member support structure and exterior structure | |
KR102324369B1 (en) | Prefabricated steel rack with improved structure | |
KR100958315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two support | |
US7407152B2 (en) | Fencing system and post insert for use therewith | |
KR102092858B1 (en) | Steel frame connection structure for furniture | |
KR101369521B1 (en) | Connect apparatus of aluminum profile | |
CN201243794Y (en) | Furniture supporting component | |
US20200355210A1 (en) | Frame for steel furniture and frame assembly | |
CN201775354U (en) | Assembled goods shelf | |
KR101217812B1 (en) | Assembling show stands | |
KR102000839B1 (en) | Steel frame for furniture and frame assembley | |
KR200473219Y1 (en) | Shelf fixing pin and prefabricated shelf assembly using the same | |
WO2008108629A3 (en) | False wall | |
KR102022027B1 (en) | Self-assembly shelves | |
CN213980253U (en) | Carved art fence | |
JP4083052B2 (en) | Fence | |
CA3049483C (en) | Connection system with connector piece for timber constructions | |
CN214170396U (en) | Safety protective n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14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0091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