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915A - Collecting apparatus for solar heat - Google Patents
Collecting apparatus for solar heat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8915A KR20100018915A KR1020080077652A KR20080077652A KR20100018915A KR 20100018915 A KR20100018915 A KR 20100018915A KR 1020080077652 A KR1020080077652 A KR 1020080077652A KR 20080077652 A KR20080077652 A KR 20080077652A KR 20100018915 A KR20100018915 A KR 201000189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heat collecting
- profile
- support
- collecting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3—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modules or their peripheral frames to supporting elements
- F24S25/634—Clamps; Clips
- F24S25/636—Clamps; Clips clamping by screw-threaded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1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extending in directions away from a supporting surfa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1—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to the ground or to building structures
- F24S25/617—Elements driven into the ground, e.g. anchor-piles; Foundations for supporting elements; Connectors for connecting supporting structures to the ground or to flat horizontal surfa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3—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modules or their peripheral frames to supporting elements
- F24S25/632—Side connectors; Base conne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5—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coupling adjacent support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profiles togeth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7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final position or orientation of supporting elements in relation to each other or to a mounting surface; with means for compensating mounting toleran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열판을 지지하는 지지유니트의 설치가 용이하고,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태양열 집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heat collecting apparatus that is easy to install a support unit for supporting a heat collecting plate and has sufficient strength to prevent damage caused by external force.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집열장치는 태양열을 집열하는 집열판과, 상기 집열판을 지지하는 지지유니트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유니트는 복수개의 전방서포트부와, 상기 전방서포트부로부터 남북방향을 따라 북쪽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후방서포트부와, 상기 전·후방서포트부에 설치되어 집열판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지지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조서포트부를 구비한다.The solar hea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 collecting plate for collecting solar heat, and a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heat collecting plate, wherein the support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ront support parts and a north side along the north-south direction from the front support part. And a plurality of rear support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main frame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support parts to support the heat collecting plate, and an auxiliary support part for reinforcing the supporting strength of the main fr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태양열 집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집열기를 지지하는 지지유니트의 설치가 용이하고, 상기 지지유니트가 가벼우면서도 외력에 대한 충분한 집열판의 지지강도를 갖는 태양열 집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heat colle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lar heat collecting apparatus that is easy to install a support unit for supporting a collector, and that the support unit is light and has sufficient support strength of a heat collecting plate against external force.
화석 에너지의 고갈과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점차 신재생 에너지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는 태양, 풍력, 연료전지, 수소, 소수력, 지열 에너지와 같이 자연에서 쉽게 얻을 수 있으며, 무한한 공급이 가능한 에너지를 말한다.Due to the depletion of fossil energ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terest in renewable energy is increasing. Renewable energy refers to energy that can be easily obtained from nature such as solar, wind, fuel cell, hydrogen, hydrophobic energy and geothermal energy, and can be infinitely supplied.
태양에너지는 태양광 에너지와 태양열 에너지로 나눌 수 있는데, 현재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에 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태양열 에너지에 대한 연구 개발 역시 활발하게 진행중이다.Solar energy can be divided into solar energy and solar energy. Curre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on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solar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n solar energy is also actively underway.
태양으로부터 오는 복사에너지를 생활에 사용될 수 있는 열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시스템은 집열장치, 축열장치, 제어 및 설계와 같은 분야로 나뉠 수 있다. Systems for converting radiant energy from the sun into thermal energy that can be used for living can be divided into areas such as heat collectors, heat storage devices, control and design.
태양열의 집열은 보통 집열판을 이용해 이루어진다. 집열판의 대표적인 예가 평판형 집열판인데, 평판형 집열판은 윗부분이 투명한 유리로 덮여 있고, 그 속에 는 햇빛을 흡수해서 뜨거워진 열매체가 흐르는 관이 설치되어 있다. 집열판에 햇빛이 비치면 온실효과가 일어나고, 그 결과 열매체에 태양열이 전달되면 이 열매체의 열에너지를 축열한 뒤 이를 난방 또는 온수공급에 사용하게 된다.The collection of solar heat is usually done by means of collector plate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heat collecting plate is a flat heat collecting plate, the top of which is covered with a transparent glass, there is a tube through which the heat medium heated by absorbing the sunlight flows. When sunlight is collected on the heat collecting plate, the greenhouse effect occurs. As a result, when solar heat is transferred to the heat medium, the heat energy of the heat medium is accumulated and used for heating or hot water supply.
종래의 이러한 태양열 집열판은 가정의 지붕에 설치되거나 별도의 프레임을 통해 건물의 옥상 또는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종래에는 상기 집열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니트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계절에 따른 태양의 남중고도에 따라 집열판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어려웠다.Conventional solar collectors are often installed on the roof of a home or installed on the roof or outdoors of a building through a separate frame. In the past, installation of a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collector plates was not easy, It was difficult to easily adjust the angle of the heat collecting plate according to the south-high altitude of the sun.
물론 태양의 고도에 따라 집열판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추적형 집열판 지지유니트에 대한 연구 개발이 있어왔으나, 이러한 추적형 집열판 지지유니트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일반 가정이나 소규모 업체에서 이를 사용하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Of course, there has been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tracking plate support unit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collector plate according to the altitude of the sun.However,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tracker plate support unit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use it.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집열판의 지지유니트의 설치가 용이하고 계절에 따른 태양의 고도에 따라 집열판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기가 용이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voltaic device that is easy to install the support unit of the heat collecting plate and to easi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eat collecting plate according to the altitude of the sun according to the season. .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집열장치는 태양열을 집열하는 집열판과, 상기 집열판을 지지하는 지지유니트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유니트는 지지면에 고정되는 제1 베이스부재와, 상기 제1 베이스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는 제1 연장부재와, 제1 연장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체결브라켓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전방서포트부와, 상기 전방서포트부로부터 남북방향을 따라 북쪽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지지면에 고정되는 제2 베이스부재와, 상기 제2 베이스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 연장부재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제2 연장부재와, 제2 연장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 체결브라켓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후방서포트부와, 상기 집열판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지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전방서포트부와 후방서포트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후방서포트부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3 체결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제3 체결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바를 향해 연장되는 보강지지바와, 상기 보강지지바의 타탄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4 체결브라켓을 포함하는 보조서포트부를 포함한다.The solar hea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 collecting plate for collecting solar heat, a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heat collecting plate, and the support unit includes a first base member fixed to a support surface and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first base member. A plurality of front support parts including a first extension member exten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fastening bracke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member, an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northward in a north-south direction from the front support part; A second base member fixed to the support surface, a second extension member extending upward from the second base member, the second extension member having a relatively longer length than the first extension member, and a second coupling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A plurality of rear support parts including a fastening bracket and the heat collecting plate are supported to suppor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rface. A main fram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support part and the rear support part, a third fastening bracket detachably fastened to one side of the rear support part, and one end coupled to the third fastening bracket toward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an auxiliary support part including an extended reinforcement support bar and a fourth fastening bracket coupled to the tartan of the reinforcement support bar and detachably hinged to the main frame.
상기 메인프레임은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제2 체결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 연결바와, 상기 제1 연결바들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제1 연결바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연결바와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2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체결브라켓은 상기 제1 연결바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체결브라켓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제1 연결바 및 상기 제2 연장부재에는 상호 마주보는 두 면에 체결핀이 관통될 수 있도록 제1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4 체결브라켓은 각각 상기 제1, 제2 연장부재 또는 상기 보강지지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연결바 또는 상기 제2 연장부재의 대향되는 두 면에 각각 접촉되고 상기 제1 체결홀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된 접촉부분과, 상기 접촉부분의 양단으로부터 소정각도 절곡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분을 포함하는 힌지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frame has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bars, both ends of which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brackets, respectively, and are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bars and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bars. And a second connection bar installed to cross the first connection ba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fourth fastening bracket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to fourth fastening brackets. A first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the second extension member to b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astening pins may pass through the two connecting surfaces. A fastening member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med therein so that a second extension member or the reinforcing support bar can be inserted, and extending up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fastening member and having the first fastening hole formed therein; A contact portion contacting two opposite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ng bar or the second extension member and having a second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 and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both ends of the contact portion to be fastened; It is preferred to have a hinged member including a bent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member.
그리고 상기 후방서포트부들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서포트부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보강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보강부는 인접하는 두 개의 후방서포트부 중, 일측 후방서포트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 지지봉과, 타측 후방 서포트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2 지지봉과, 상기 제1, 제2 지지봉의 타단을 각각 연결하는 턴버클을 구비하며, 상기 집열판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체결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reinforcement part installed on the rear support parts to adjust the strength of the rear support part, wherein the reinforcement part includes a first support rod having one end fixed to one rear support part among two adjacent rear support parts, and the other side. And a second support ro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ear support portion, and a turnbuckle connecting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to each other, and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means for supporting the heat collecting plate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frame. It is desirable to.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집열장치는 집열판의 지지유니트를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으며, 외력에도 충분한 지지강도를 갖는 안정적인 지지유니트를 구비함으로써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solar hea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nstall and dismantle the support unit of the heat collecting plate, and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risk of damage by providing a stable support unit having sufficient support strength against external for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집열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olar hea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태양열 집열장치(100)는 집열판(10)과 집열판(10)을 지지하는 지지유니트(20)를 포함한다.1 to 7, the solar
본 실시예의 집열판(10)은 평판집열기로서, 케이스(11)와, 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집열체(14)와, 집열체(14)와 접촉되게 설치되어 집열된 태양열에 의해 가열되는 열매체가 이송하는 이송관(15)과, 케이스(11)의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재(16)를 포함한다.The
케이스(11)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바디(12)와, 바디(12)의 상면에 설치되는 투광판(13)을 포함하는데, 투광판(13)을 통과해 케이스(11)의 내부로 유입되는 태양광 및 복사에너지에 의해 열매체가 가열되며, 열매체는 이송관(15)을 통해 이동하여 축열조(미도시)에 유입된다.The
열매체는 물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유동성이 있으며 집열체(14)에 집열된 열의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heat medium, water may be used, but various media may be used that are fluid and may easily absorb heat collected in the heat collecting body 14.
지지유니트(20)는 상기 집열판(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호 소정거 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전방서포트부(21)와 후방서포트부(40), 전·후방서포트부(21,40)에 지지되는 메인프레임(50)과, 상기 메인프레임(50)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조서포트부(60) 및 후방서포트부(40)에 설치되는 보강부(70) 및 상지 집열판(10)을 메인프레임(50)에 체결하는 체결수단(80)을 포함한다.The
전방서포트부(21)는 동서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설치되며, 지지면에 고정되는 제1 베이스부재(22)와, 제1 베이스부재(2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재(25)와, 제1 연장부재(25)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체결브라켓(30)을 구비한다.The
제1 베이스부재(22)는 지지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출부재(24)들이 끼워질 수 있는 관통홀(23)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재(24)가 관통홀(23)을 통해 제1 베이스부재(22)의 상부로 연장되면 너트를 돌출부재(24)와 체결함으로써 지지면에 제1 베이스부재(22)를 고정한다.The
제1 연장부재(25)는 제1 베이스부재(2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는 사각 형강이고, 제1 연장부재(25)의 하단에는 제1 연장부재(25)와 제1 베이스부재(22)의 결합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2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연장부재(25)의 상부에는 상호 마주보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두 개의 제1 결합홀(27)들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연장부재(25)가 사각 형강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연장부재(25)는 상호 마주보는 면을 갖는 육각 또는 팔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제1 체결브라켓(30)은 제1 연장부재(25)의 상단에 연결되며, 후술하는 메인프레임(50)과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연장부재(25)와 결합되는 체결부재(31)와, 체결부재(31)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힌지결합부재(36)를 포함한다.The
체결부재(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연장부재(25)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삽입홀(32)을 갖는 것으로, 제1, 제2 단위부재(31a,31b)들이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다.The fastening member 31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n
제1 단위부재(31a)는 상기 제1 결합홀(27)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연장부재(25)의 측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1 결합홀(27)과 연통되는 제2 결합홀(34)이 형성되어 있는 측판(33)과, 측판(33)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측판(3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제1 절곡부분(35)을 포함한다. The
제2 단위부재(31b)는 제1 단위부재(31a)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제2 단위부재(31a,31b)의 제1 절곡부분(35)의 단면이 상호 접촉하도록 용접을 통해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제1, 제2 단위부재(31a,31b)의 측판(33)과 제1 절곡부분(35)에 의해 제1 연장부재(25)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32)이 마련된 체결부재(31)가 형성되고, 고정핀(28)을 상기 제1, 제2 결합홀(34)들을 관통하도록 삽입한 다음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체결부재(31)를 제1 연장부재(25)에 고정할 수 있다.The
상기 두 개의 힌지결합부재(36)는 각각 상기 제1, 제2 단위부재(31a,31b)의 측판(33)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접촉부분(37)과, 접촉부분(37)의 양 측 단부로부터 접촉부분(37)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곡부분(39)을 갖는데, 상기 제2 절곡부분(39)은 제1 연장부재(25)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two
따라서 제1, 제2 단위부재(31a,31b)는 각각 제1, 제2 절곡부분(35,39)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Therefore, the first and
후방서포트부(40)는 전방서포트부(21)와 남북방향을 따라 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개가 설치되는데, 각각의 후방서포트부(40)는 전방서포트부(21)와 마찬가지로 동서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The
후방서포트부(40)도 지지면에 고정되는 제2 베이스부재(41)와, 제2 베이스부재(41)의 상면에 상방으로 연장되게 연결되어 있는 제2 연장부재(42)와, 제2 연장부재(42)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 체결브라켓(43)을 구비한다.The
후방서포트부(40)는 제2 연장부재(42)의 길이가 제1 연장부재(25)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제2 베이스부재(41), 제2 연장부재(42) 및 제2 체결브라켓(43)의 형태와 기능이 각각 제1 베이스부재(22)와, 제1 연장부재(25) 및 제1 체결브라켓(3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제2 연장부재(42)의 길이가 제1 연장부재(25)보다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전·후방서포트부(21,40)에 의해 지지되는 메인프레임(50)이 남쪽으로 연장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지지된다. 이는 태양의 남중고도를 고려한 것으로, 전·후방서포트부(21,40)는 메인프레임(50)에 지지되는 집열판(10)에 대한 태양광의 입사각이 수직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집열판(10)을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length of the
메인프레임(50)은 상기 집열판(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전·후방서포트부(21,40)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되는 제1 연결바(51)와, 제1 연결바(51)의 상부에 제1 연결바(5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제2 연결바(53)를 구비한다.The
제1 연결바(51)에는 양 단 및 중앙 일측에 상기 제1, 제2 체결브라켓(30,43) 및 후술하는 제4 체결브라켓(62)과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의 체결브라켓들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체결홀(38)과 연통되는 제1 체결홀(52)이 상호 마주보는 두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2 체결홀(52,38)들이 상호 연통되도록 제1, 제2 체결브라켓(30,43)에 제1 연결바(51)를 위치시킨 후 체결핀(29)을 제1, 제2 체결홀(52,38)을 관통하도록 삽입하여 제1 연결바(51)가 전·후방서포트부(21,40)에 지지되도록 한다.Each of the first and
제1 연결바(51)는 전·후방서포트부(21,40)의 길이 차에 의해 지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며, 제1 연결바(51) 역시 제1, 제2 연장부재(25,42)와 마찬가지로 사각형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onnecting
제2 연결바(53)는 제1 연결바(51)의 상부에 제1 연결바(5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고정브라켓(54)에 의해 제1 연결바(51)에 고정된다. 제2 연결바(53)의 상면에는 체결수단(80)에 의해 집열판(10)이 고정 설치되며, 제2 연결바(53) 역시 제1 연결바(51) 및 집열판(10)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사각 형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보조서포트부(60)는 집열판(10)의 자중에 의해 제1 연결바(51)가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연결바(5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 연장부재(42)의 하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체결브라켓(61)과, 제1 연결바(51)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4 체결브라켓(62)과, 제3, 제4 체결브라켓(61,62)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지지바(63)를 구비한다.The
제3, 제4 체결브라켓(61,62)은 제1 체결브라켓(30)과 같이 보강지지바(63)와 체결되는 체결부재(31)와, 체결부재(31)로부터 연장되는 힌지결합부재(36)를 구비하며, 각각의 부재들은 제1 체결브라켓(30)과 체결위치만 다를 뿐 동일 형태와 기능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hird and
상기 지지유니트(20)는 메인프레임(50)과 전·후방서포트부(21,40) 및 보조서포트부(60)가 제1 내지 제4 체결브라켓(30,43,61,62)에 의한 상호 결합을 통해 형성되기 때문에 설치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다.The
일반적으로 집열판(10)을 지지하는 지지유니트(20)는 각 부재들을 용접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지지유니트(20)를 제작한 다음에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설치 장소에서 직접 용접을 통해 지지유니트(20)를 형성하는 것 역시 번거롭고 용이하지 않았다.In general, since the
반면 본 발명의 지지유니트(20)는 제1 내지 제4 체결브라켓(30,43,61,62)에 의해 전·후방서포트부(21,40)와 보조서포트부(60), 메인프레임(50)들의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하여 운반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간단하다.On the other hand, the
특히 제1 내지 제4 체결브라켓(30,43,61,62)의 제2 절곡부분(39)에 의해 힌지결합부재(36)의 단면계수가 커지게 되므로 이로 인해 힌지결합부재(36)의 강도가 강해지게 되므로, 강한 바람과 같은 외력이나 집열판(10)의 자중에 의해 힌지결합부재(36)가 힘을 받을 때 제2 절곡부분(39)에 의해 변형이 쉽게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하중이나 외력에 의한 제1 내지 제4 체결브라켓(30,43,61,62)의 파손 또는 강도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cross-sectional coefficient of the
보강부(70)는 후방서포트부(40)의 강도 보강을 위한 것이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서포트부(40)는 집열판(10)을 경사지게 지지하기 위해 제2 연장부재(42)가 연장길이가 제1 연장부재(25)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도시된 것처럼 인접한 후방서포트부(40)를 상호 연결하는 보강부(70)를 설치함으로써 후방서포트부(40)가 좌굴되거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by installing the reinforcing
본 실시예의 보강부(70)는 두 개가 인접한 후방서포트부(40)의 사이에 상호 교차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일측 후방서포트부(40)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1 지지봉(71)과, 타측 후방서포트부(40)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2 지지봉(72)과, 제1, 제2 지지봉(71,72)을 상호 연결하는 턴버클(73)을 포함한다.The
상기 턴버클(73)은 보강부(70)가 일정수준 이상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제2 지지봉(71,72)이 금속재로 형성되며, 기온에 따라 제1, 제2 지지봉(71,72)이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길이변화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제2 지지봉(71,72)의 팽창 또는 수축시 턴버클(73)을 이용해 이러한 길이변화를 보상해 줌으로써 보강부(70)의 장력이 일정수준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The
체결수단(8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집열판(10)을 메인프레임(5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연결바(53)에 체결되는 제1 체결프로파일(81)과, 제1 체결프로파일(81)과 결합되며, 제1 체결프로파일(81)과 함께 상기 집열판(10)의 가장자리를 파지하여 집열판(10)을 메인프레임(50)에 고정하는 제2 체결프로파일(82)을 포함한다.The fastening means 80 is for fixing the
제1 체결프로파일(81)은 상기 제2 연결바(53)를 감쌀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가지는 제1 내지 제3 부분(81a,81b,81c)과, 제3 부분(81c)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4 부분(81d) 및, 제4 부분(81d)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체결부분(81e)을 포함하며, 제1 체결부분(81e)에는 볼팅홀(86)이 형성되어 있다.The
제2 체결프로파일(82)은 상기 제1 체결부분(81e)과 볼트(83)와 너트(84)에 의해 결합되는 제2 체결부분(82a)과, 제2 체결부분(82a)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집열판(10)을 파지할 수 있게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5, 제6 부분(82b,82c)을 포함한다.The
제2 체결부분(82a)에도 볼팅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볼트(83)는 제1, 제2 체결부분(81e,82a)에 형성된 볼팅홀을 관통하도록 연장되고 볼트(83)에 너트(84)가 체결되어 제1, 제2 체결프로파일(81,82)을 상호 결합하게 되며, 제3, 제4 부분(81c,81d) 및 , 제5, 제6 부분(82b,82c)이 집열판(10)을 파지하게 된다.A bolting hole is formed in the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체결프로파일(81)이 제2 연결바(53)를 감쌀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 경우 제2 연결바(53)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사용할 수 없으므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부분(81a)을 삭제하고, 제2 연결바(53)의 크기에 상관없이 제2 연결바(53)의 연속되는 두 면에 제2, 제3 부분(81b,81c)을 접촉시킨 다음 제2 부분(81b)과 제2 연결바(53)를 관통하는 결합볼트(85)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체결프로파일(81)은 제1 체결부분(81e)에 제2 체결프로파일(82)이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 제2 가이드부재(81f,81g)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9, the
제2 가이드부재(81g)는 제2 체결프로파일(82)의 제5 부분(82b)과 접촉하며, 제2 체결프로파일(82)이 제1, 제2 가이드부재(81f,81g)에 가이드되어 승강 또는 하강함으로써 집열판(10)이 다양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도 각각의 크기의 집옆판(10)의 두께에 상관없이 집열판(10)을 파지할 수 있다.The
제1, 제2 가이드부재(81f,81g)를 더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체결수단(80) 역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부분(81a)을 삭제하고, 제2 연결바(53)의 크기에 상관없이 제2 연결바(53)의 연속되는 두 면에 제2, 제3 부분(81b,81c)을 접촉시킨 다음 제2 부분(81b)과 제2 연결바(53)를 관통하는 결합볼트(85)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fastening means 80 of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further includes the first and
본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체결수단(8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e fastening means 80 shown in Figs. 6 and 7,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1에는 체결수단(9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체결수단(90)은 제2 연결바(53)에 체결되는 제3 체결프로파일(91)과, 집열판(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3 체결프로파일(91)과 결합되는 제4 체결프로파일(96)을 포함한다.11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ing means 90.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astening means 9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hird fastening profile 91 fastened to the
제3 체결프로파일(91)은 'ㄱ'자 형상이며 제2 연결바(53)의 상면과 측면에 접촉하는 연결바 결합부재(92)와, 연결바 결합부재(92)의 상부에 마련되는 프로파일 결합부재(93)를 포함한다.The third fastening profile 91 has a 'b' shape and a connection
연결바 결합부재(92)는 제2 연결바(53)의 상면과 접하는 제1 접촉부분(92a)과, 제1 접촉부분(92a)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제2 연결바(53)의 측면과 접하는 제2 접촉부분(92b)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갖게 되며, 제2 접촉부분(92b)에는 체결홀(94)이 마련되어 있어서 체결볼트(95)가 상기 체결홀(94)을 통해 제2 연결바(53)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제3 체결프로파일(91)이 제2 연결바(53)에 고정 결합된다.The connecting
프로파일 결합부재(93)는 연결바 결합부재(92)의 상측에 마련되어 후술하는 제4 체결프로파일(96)과 제3 체결프로파일(91)을 상호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접촉부분(91a)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2 연결바(53)의 연장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관통되는 통과공(93a)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체결프로파일(96)은 집열판(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역'U'자 형태인데, 제4 체결프로파일(96)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프로파일 결합부재(93)가 제4 체결프로파일(96)에 삽입되고, 제4 체결프로파일(96)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관통홀(97)을 통해 체결볼트(98)가 제4 체결프로파일(96)과 프로파 일 결합부재(93)를 관통하여 삽입된 후 돌출된 체결볼트(98)의 단부에 체결너트(99)가 나사결합된다. The
상기 프로파일 결합부재(93)의 두께가 제4 체결프로파일(96)의 내부 폭과 대응하기 때문에 프로파일 결합부재(93)가 제4 체결프로파일(96)에 억지끼움 결합됨으로써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볼트(98) 및 체결너트(99)에 의해 체3, 제4 체결프로파일(91,96)이 상호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Since the thickness of the
본 실시예의 연결바 결합부재(92)는 'ㄱ'자 형상으로 제2 연결바(53)의 상면과 일측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2 연결바(53)의 크기에 상관없이 체결이 가능하다. Connection
연결바 결합부재(92)는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접촉부분(92b)의 하단에서 제1 접촉부분(92a)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접촉부분(92c)을 더 구비하여, 제1 내지 제3 접촉부분(92a,92b,92c)에 의해 제2 연결바(53)의 삼면이 모두 감싸지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집열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olar hea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전방서포트부와 제1 연결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 발췌 사시도,FIG. 2 is a partial excerp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of the front support part and the first connection bar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전방서포트부의 분리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support part of FIG.
도 4는 도 1의 태양열 집열장치의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solar heat collector of Figure 1,
도 5는 도 1의 후방서포트부를 지지하는 보강부를 도시한 정면도,5 is a front view showing a reinforcing part supporting the rear support part of FIG. 1;
도 6은 도 1의 체결수단을 도시한 부분발췌 측면도, Figure 6 is a partial excerpt side view showing the fastening means of Figure 1,
도 7은 도 6의 체결수단을 도시한 분리사시도,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astening means of Figure 6,
도 8은 도 6의 제1 체결프로파일 중 제1 부분이 생략된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first portion of the first fastening profile of FIG. 6 is omitted;
도 9는 도 6의 제2 체결프로파일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수단을 도시한 측면도,9 is a side view showing a fastening means in which the second fastening profile of FIG. 6 is installed to be elevated;
도 10은 도 9의 제1 체결프로파일 중 제1 부분이 생략된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10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first portion of the first fastening profile of FIG. 9 is omitted;
도 11은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ing means;
도 12는 도 11의 제3 체결프로파일이 제3 접촉부분을 더 구비하고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third fastening profile of FIG. 11 further includes a third contact por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태양열 집열장치100; Solar collector
10; 집열판10; Heat collecting plate
20; 지지유니트 21; 전방서포트부20;
30; 제1 체결브라켓 40; 후방서포트부30;
50; 메인프레임 60; 보조서포트부50;
70; 보강부 80; 체결수단70;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7652A KR101030962B1 (en) | 2008-08-07 | 2008-08-07 | Solar coll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7652A KR101030962B1 (en) | 2008-08-07 | 2008-08-07 | Solar coll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8915A true KR20100018915A (en) | 2010-02-18 |
KR101030962B1 KR101030962B1 (en) | 2011-04-28 |
Family
ID=4208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7652A Active KR101030962B1 (en) | 2008-08-07 | 2008-08-07 | Solar coll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0962B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7207B1 (en) * | 2011-01-12 | 2011-05-26 | 두원산업(주) | Solar Module Support |
EP2672034A3 (en) * | 2012-06-04 | 2014-07-23 | HILTI Aktiengesellschaft | Support leg for the int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forces acting on a pressure-sensitive base and stand system with such a support leg |
CN109520150A (en) * | 2018-12-28 | 2019-03-26 | 武汉博茗低碳产业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mounting structure of heat storage type solar heat-collection plate |
KR101936066B1 (en) * | 2018-08-29 | 2019-04-03 | 박재희 | Apparatus for supporting solar energy collecting modules |
CN110500788A (en) * | 2019-08-21 | 2019-11-26 | 合肥荣事达太阳能有限公司 | An external wall installation bracket for water heater heat collecting plate |
KR20200126465A (en) * | 2019-04-29 | 2020-11-09 | 선광엘티아이(주) | Lightweight prefabricated structures for installation of solar modules |
KR20200126464A (en) * | 2019-04-29 | 2020-11-09 | 선광엘티아이(주) | Prefabricated structures for installation of solar panels |
KR102217192B1 (en) * | 2020-06-17 | 2021-02-18 | 케이제이이엔씨 유한회사 | Structure for supporting solar photovoltaic device |
KR102413135B1 (en) * | 2021-12-29 | 2022-06-24 | (주)디케이에너지 | Bracket for fixing the solar modu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0683B1 (en) * | 2012-04-12 | 2014-11-13 | 주식회사대영금속 | Support structure of solar panel |
KR101232760B1 (en) * | 2012-09-12 | 2013-02-14 | 박기주 | An assembly for supporting solar cell module |
KR102431621B1 (en) | 2022-03-03 | 2022-08-11 | 주식회사 제이앤지 | A new and renewable energy convergence system using an evaporative tank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01123A (en) * | 1998-09-25 | 2000-04-07 | Aichi Electric Co Ltd | Solar battery fitting rack device |
KR200431878Y1 (en) | 2006-08-17 | 2006-11-27 | 이건장 | Clamp Assembly for Fixing Solar Cell Module |
KR100735129B1 (en) * | 2006-12-12 | 2007-07-06 | 주식회사 이멕스 | Solar Module Fixture |
KR200440629Y1 (en) | 2007-03-27 | 2008-06-20 | (주) 인디고텍 | Solar light collecting plate installation structure |
-
2008
- 2008-08-07 KR KR1020080077652A patent/KR101030962B1/en active Active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7207B1 (en) * | 2011-01-12 | 2011-05-26 | 두원산업(주) | Solar Module Support |
EP2672034A3 (en) * | 2012-06-04 | 2014-07-23 | HILTI Aktiengesellschaft | Support leg for the int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forces acting on a pressure-sensitive base and stand system with such a support leg |
US9188273B2 (en) | 2012-06-04 | 2015-11-17 | Hilti Aktiengesellschaft | Support foot for applying and distributing forces to a pressure-sensitive substrate as well as a stand system having such a support foot |
KR101936066B1 (en) * | 2018-08-29 | 2019-04-03 | 박재희 | Apparatus for supporting solar energy collecting modules |
CN109520150A (en) * | 2018-12-28 | 2019-03-26 | 武汉博茗低碳产业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mounting structure of heat storage type solar heat-collection plate |
CN109520150B (en) * | 2018-12-28 | 2024-03-12 | 武汉博茗低碳产业股份有限公司 | Mounting structure of heat accumulation type solar heat collecting plate |
KR20200126465A (en) * | 2019-04-29 | 2020-11-09 | 선광엘티아이(주) | Lightweight prefabricated structures for installation of solar modules |
KR20200126464A (en) * | 2019-04-29 | 2020-11-09 | 선광엘티아이(주) | Prefabricated structures for installation of solar panels |
CN110500788A (en) * | 2019-08-21 | 2019-11-26 | 合肥荣事达太阳能有限公司 | An external wall installation bracket for water heater heat collecting plate |
CN110500788B (en) * | 2019-08-21 | 2024-03-26 | 合肥荣事达太阳能有限公司 | An exterior wall mounting bracket for water heater heat collecting panels |
KR102217192B1 (en) * | 2020-06-17 | 2021-02-18 | 케이제이이엔씨 유한회사 | Structure for supporting solar photovoltaic device |
KR102413135B1 (en) * | 2021-12-29 | 2022-06-24 | (주)디케이에너지 | Bracket for fixing the solar mod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30962B1 (en) | 2011-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0962B1 (en) | Solar collector | |
KR101460683B1 (en) | Support structure of solar panel | |
US7921843B1 (en) | System and method for anchoring solar panels to a flat surface | |
AU2010310453B2 (en) | Thin mirror with truss backing and mounting arrangement therefor | |
US10727781B2 (en) | Low-sloped roof solar mounting systems | |
US9027289B1 (en) | Integrated thermal module and back plate structure and related methods | |
CA2844118A1 (en) | Solar panel assembly | |
KR100868680B1 (en) | PV module fixing device and bracket manufacturing method | |
KR102413949B1 (en) | T-PARA BOLT for for installing solar structure | |
KR200412251Y1 (en) | PV Module Structure for Solar Power Generation | |
KR101597202B1 (en) | Fixing structure for solar cell array of assemble roof | |
US20120222727A1 (en) | Module Arrangement Consisting of Solar Modules | |
KR20190098636A (en) | Solar energy collector assembly kit for photovoltaic panel, solar-heat composit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20120132260A1 (en) | Assembly, Sub-Structure and Photovoltaic System | |
WO2011129686A1 (en) | Solar panel system, and profile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of mounting for such a system | |
KR101001735B1 (en) | Solar collector | |
KR101237231B1 (en) | Appratus for adjusting the angle of a solar panel in the roof of a building | |
KR20090129881A (en) | Solar collector | |
KR20180046630A (en) | Device for fixing the solar photovoltatic power generation solar cell panel | |
KR101898735B1 (en) | Building roof structure with solar collecting apparatus | |
KR102115604B1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condenser module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 |
CN217428039U (en) | Photovoltaic support and photovoltaic power plant | |
CN216668003U (en) | Pitched roof solar energy system mounting bracket | |
ES2942645T3 (en) | Substructure for mounting self-supporting photovoltaic modules | |
KR20200124385A (en) | Sopport structure for solar power generation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12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8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8112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