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575A - 액체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저장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8575A KR20100018575A KR1020097026512A KR20097026512A KR20100018575A KR 20100018575 A KR20100018575 A KR 20100018575A KR 1020097026512 A KR1020097026512 A KR 1020097026512A KR 20097026512 A KR20097026512 A KR 20097026512A KR 20100018575 A KR20100018575 A KR 201000185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ervoir
- lid
- container
- opening
- container accor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8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the auxiliary container falling into the main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in solid block form falling into the main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하려는 제품을 포함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저장기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제 1 및 제 2 저장기는 각각의 개구부를 갖는데,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는 나사산의 리드에 의해 닫혀진다. 제 2 저장기는 저장 위치 및 제 1 저장기의 제품을 혼합하기 위하여 제 2 저장기에 포함된 제품을 제 1 저장기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위치를 갖는다. 저장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로의 제 2 저장기의 이동은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한 방향에서 리드의 회전을 필요로 하며 그러한 회전에 의해 저장 위치로부터 제 2 저장기의 방출을 용이하게 한다.
컨테이너(Container), 액체 저장기(Liquid Reservoir), 물질 저장기(Substance Reservoir), 리드(Lid), 커넥터(Connec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액체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질이 액체에 선택적으로 첨가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적용되는 액체 저장 장치 및 그러한 제품 혹은 물질을 액체에 선택적으로 첨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체로 분말의 비타민 보충제를 물에 선택적으로 첨가하는 것을 허용하는 병의 사용을 위하여 개발되어 왔으며 그러한 이용과 관련된 발명은 편리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적용 분야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보충제(supplement)는 액체, 겔(gel) 정제 혹은 다른 보충제 형태일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생수의 소비는 매우 대중적이다. 더욱이, 물 및 비타민 혹은 다른 물질과 미리 혼합된 다른 음료의 소비 또한 매우 대중적이다.
몇몇의 '예혼합(premixed)' 음료들의 단점은 비타민 혹은 다른 물질들의 효능이 물 내의 부유 상태로의 저장 때문에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처리하는 하나의 시도는 비타민 혹은 다른 물질을 분리하여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것들이 소비 바로 직전, 예를 들면 운동 후에 물 혹은 다른 음료와 혼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시도의 단점은 사용자가 비타민 혹은 다른 물질을 일반적으로 분리된 컨테이너(container)로부터 물 혹은 다른 음료에 혼합하도록 요구되는 것인데, 이는 특히 운동 동안에 혹은 혼합을 하기에 어려운 장소에서 혼합이 요구될 때 불편할 수 있으며 및/혹은 시간 낭비적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중인 국제특허 PCT/AU2007/000699에서, 액체 저장 장치는 액체 저장기(reservoir) 및 물질 저장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발표하였다. 그러한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물질 저장기는 물질 저장기의 물질을 액체 저장기 내로 방출하기 위하여 파열(rupture)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액체 저장기 및 물질 저장기를 포함하는 새로운 액체 저장 장치를 개발하여 왔다. 이 새로운 장치에서는 물질 저장기의 터짐(rupture)이 요구되지 않는다. 더욱이, 새로운 액체 저장 장체에 있어서, 물질 저장기의 물질을 액체 저장기 내로 방출하도록 사용되는 배열은 간단하고 직관적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혼합하려는 제품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저장기를 포함하며, 각각의 저장기 내에 포함된 제품이 방출되는 개구부(opening)를 갖는 제 1 및 제 2 저장기는 배출될 수 있으며,제 1 저장기의 개구부는 컨테이너의 닫힘 상태에서 나사산의 리드(lid)에 의해 닫혀지며, 상기 제 2 저장기는 제 2 저장기 내에 포함된 제품이 제 1 저장기 내에 포함된 제품으로부터 분리되어 유지되는 저장 위치 및 제 1 저장기 내에 포함된 제품과 혼합하기 위하여 제 2 저장기의 개구부를 통하여 제 1 저장기 내로 배출되는 저장 위치로부터 이동되는 배출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로의 제 2 저장기의 이동은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한 방향에서 리드의 회전을 필요로 하며, 그러한 회전이 저장 위치로부터 제 2 저장기의 방출을 촉진하는,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장점은 혼합을 위하여 제 2 저장기에 포함된 제품을 제 1 저장기에 방출하기 위하여 컨테이너의 어떤 부분도 파열하기 위한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더하여, 저장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로의 제 2 저장기를 배출하고 이동하는 작동은 단순한 컨테이너 리드의 회전 작동을 적용한다. 따라서, 컨테이너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음료 콘테이너인 그러한 컨테이너로부터 리드가 제거되는 방법에 익숙한 방법으로 컨테이너를 작동하도록 요구되지 않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저장기 내에 포함된 제품의 혼합이 달성될 수 있는 방법을 미리 인식하기 위한 어떠한 교육이나 지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컨테이너는 제 2 저장기가 저장 위치로부터 이동하기 위하여 저장 위치로부터 제 2 저장기를 배출하는 데 필요한 리드의 회전량은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하여 필요한 회전량보다 적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위치로부터 제 2 저장기의 배출은 제 1 저장기로부터 리드의 완전한 제거를 요구하지 않으며, 도리어 적은 회전량을 요구할 수 있다. 몇몇의 배열에서, 저장 위치로부터 제 2 저장기를 배출하는데 필요한 리드의 회전량은 리드의 반대 회전량의 반 이하이다. 편리하게, 이는 컨테이너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저장기의 제품을 혼합하는데 리드의 적은 회전만을 허용하며, 컨테이너로부터 누출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는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완전히 열지 않아도 되도록 허용한다.
몇몇의 어렌지멘트(arrangement)에서, 저장 위치로부터 제 2 저장기의 배출에서, 제 2 저장기는 중력 혹은 자체 무게에 의해 위치를 배출하기 위하여 저장 위치로부터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2 저장기는 배출 위치로 변환하기 위하여 중력 외에는 어떠한 부가적인 영향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컨테이너는 이러한 방법으로 제 2 저장기를 이동하도록 적절하게 기원하여야 하며, 그러나 대부분의 컨테이너에 대하여, 적절한 기원은 그러한 컨테이너가 유지되는 일반적인 기원으로서 자동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장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로의 제 2 저장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리드의 회전량이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하여 필요한 회전량보다 적은 상기의 어렌지먼트에서, 리드는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닫기 위한 위치로 돌아올 수 있으며, 그러므로 컨테이너는 제 1 및 제 2 저장기의 내용물을 혼합하기 위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어렌지먼트는 저장 위치로부터 제 2 저장기를 배출하기 위한 리드의 회전이 매우 적고 편하게 요구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며, 후에 리드는 리턴 방향에서 같은 양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는 제 1 및 제 2 저장기의 두 제품을 철저하게 혼합하기 위하여 흔들 수 있다. 일단 두 제품이 함께 철저하게 혼합되면 혼합된 제품이 개구부를 통하여 소비되도록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하여 리드는 충분한 회전이 요구된다.
몇몇의 어렌지먼트에서, 제 2 저장기는 저장 위치에서 리드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저장 위치로부터 제 2 저장기의 배출을 위하여 제 2 저장기를 리드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한 방향에서 리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다. 리드 및 제 2 저장기 사이의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제 2 저장기가 저장 위치에 있을 때 저장기 내의 제품의 배출에 대하여 제 2 저장기를 밀봉하기 위하여 적어도 밀봉 배열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리드 및 제 2 저장기 사이의 결합은 리드로부터 뻗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심에 위치하며 제 2 저장기와 결합하는 스커트(skirt) 혹은 마개(spigot)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개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이며 제 2 저장기의 단부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마개의 내부 표면과 관여하도록 배열되며 바람직하게는 그 표면에 프릭션 핏(friction fit)이 되도록 한다.
마개는 원통형이 바람직하나, 마개는 복수의 슬릿(slit)에 의해 분리되는 연속되는 부분에서와 같이, 연속되는 분리된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나, 만약 그렇지 않으면 제 2 저장기에 결합하는 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마개와 관련해서는 제 2 저장기와 결합하기 위한 리드로부터 뻗어 있는 어떠한 형태의 결합도 포함할 수 있다.
리드 및 제 2 저장기 사이의 결합은 부가하거나 혹은 대안으로 돌출부(projection)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돌출부를 편안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홈(groove) 내로 뻗어 있다. 이러한 배열은 리드의 모든 적합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비록 바람직한 어렌지먼트에서는 돌출부 및 홈은 마개의 자유 단부 혹은 자유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위에서 논의된 마개의 종류를 적용한 몇몇의 어렌지먼트에서, 마개의 접촉 단부로부터 리드에 멀리 떨어진, 마개의 자유 단부는 제 2 저장기 내로 뻗어 있으며 마개의 자유 단부 혹은 자유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위에서 언급한 돌출부 및 홈은 제 2 저장기의 내부 표면 부분 내 혹은 상에 형성하는 각각의 홈 혹은 돌출부와 관여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한 방향에서 리드의 회전은 각각의 돌출부 및 홈을 풀기 위하여 마개 및 제 2 저장기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야기하며 따라서 저장 위치로부터 제 2 저장기를 배출한다.
위에서 논의한 어렌지먼트에 대한 부가 혹은 대안에 있어서, 제 2 저장기는 적어도 마개의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마개의 자유 단부로 뻗어 있는 리세스(recess)를 한정한다. 그러한 리세스는 위에서 언급한 돌출부 혹은 홈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리세스 내로 뻗어 있는 마개의 부분은 돌출부 혹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마개의 부분이 리세스로 들어감에 있어서, 돌출부는 홈 내에 수용되며 따라서 제 2 저장기 및 마개 사이의 결합을 형성한다. 그러한 결합은 제 2 저장기가 저장 위치일 때 저장기 내의 제품의 배출에 대하여 제 2 저장기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배열을 형성하거나 혹은 도움을 준다.
대안의 어렌지먼트로서, 제 1 저장기는 나사산의 커넥터(connector)에 적용되고 제 1 및 제 2 나사산 부분을 갖는 나사산의 넥(neck)을 포함한다. 제 1 부분은 넥에 접착되며 리드는 제 2 부분에 접착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제 1 및 제 2 부분은 리드가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한 방향에서 제 2 부분 상에서 회전할 때 커넥터가 넥으로부터 풀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반대 방향에서 형성되는 쓰레드(thread)를 갖는다. 몇몇의 어렌지먼트에서, 커넥터는 리드가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한 방향에서의 결합의 제 2 나사산의 부분 상에서 회전할 때 제 2 저장기가 리드와 함께 움직이지 것을 막기 위하여 제 2 저장기에 관여하는 결합자(abutment)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한 어렌지먼트에 의해,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한 방향에서의 리드의 회전은 저장 위치로부터 제 2 저장기를 방출하기 위하여 제 2 저장기에 상대적인 리드의 움직임을 야기한다.
몇몇의 실시 예에서, 제 1 저장기는 리드에 나사산으로 연결되는 나사산의 넥을 가지며, 제 2 저장기는 제 2 저장기의 저장 위치에서 넥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열에서, 슬리브(sleeve)는 넥 및 넥 내로 뻗어 있는 제 2 저장기의 부분 사이에 배열되며 슬리브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구동을 가질 수 있다.
첫 번째 구동은 리드가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한 방향에서 회전할 때 리드의 움직임 방향에서 제 2 저장기가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저장 위치에서 제 2 저장기에 관여하는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자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리드가 제 2 저장기에 상대적으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제 2 저장기는 저장 위치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결합자는 슬리브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뻗어 있는 립에 의한 것과 같이, 슬리브로부터 내부로 뻗어 있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단일 립이제공되거나 혹은 복수의 립(lip)이 제공될 수 있다. 한 가지 배열에서, 단일의 원통형의 립이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저장기는 슬리브 결합자의 결합을 위한 결합자를 포함하며 결합자는 제 2 저장기의 벽 내에 형성되는 리세스와 같이, 어떠한 적절한 형태로도 취할 수 있다. 다른 형태의 결합자도 슬리브 및 제 2 저장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슬리브는 또한 저장 위치에서 제 2 저장기에 관여하는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자를 형성하는데, 제 2 결합자는 바람직하게는 제 1 결합자로부터 넥에 세로로 위치한다. 이러한 배열은 슬리브 및 제2 저장기 사이의 접촉점의 두 개의 점을 제공하는데, 따라서 저장 위치에서 제 2 저장기의 안정적인 위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결합 접촉의 두 점은 정상적인 사용 또한 컨테이너가 충돌이나 부딪힘에도 불구하고 제 2 저장기가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유지한다. 이는 제 2 저장기의 내용물이 제 1 저장기로 누출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밀봉 배열이 컨테이너 경험하는 충돌이나 부딪힘에 덜 기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결합자 는 슬리브의 자유 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넥의 개구부 단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 2 저장기의 적합한 결합자와 결합한다.
슬리브는 대안으로 혹은 부가하여 리드가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닫는 방향에 있을 때 리드의 내부 표면을 갖는 실을 형성하기 위하여 넥의 자유 단부를 지나 뻗을 수 있다. 슬리브 및 리드는 돌출부 및 홈을 통하여 밀봉할 수 있으며, 혹은 다른 적절한 배열에 의해 밀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슬리브는 제 2 저장기가 저장 위치로부터 배출되고 리드가 제 1 저장기의 내용물을 제 1 개구부를 통하여 소비될 수 있도록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도록 회전할 때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통한 배출로부터 제 2 저장기를 막는 기능을 한다. 바꾸어 말하면, 슬리브는 컨테이너로부터 제 2 저장기가 배출되는 것을 예방하며, 따라서 컨테이너의 제품을 마실 수 있게 된다, 이 공간에서, 슬리브는 제 2 저장기가 삼켜지는 것을 예방하며 사용자가 제 2 저장기 상에서 질식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안전 장치로서 작동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슬리브 중 어느 것이라도 첫 번째는 세척 목적으로, 그러나 한 가지 형태로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따라서 제 2 저장기는 보충을 위하여 컨테이너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컨테이너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의 컨테이너에 제 2 저장기에 첨가하는 제품을 바꿀 수 있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의 제품을 다른 제품과 혼합하는 방법까지 확장되는데, 상기 방법은 위에 설명한 종류의 컨테이너를 적용하며, 제 1 제품은 제 1 저장기에 위치시키며 제 2 제품은 제 2 저장기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서 제 2 저장기는 저장 위치에 배열되며 제 1 저장기 및 제 2 저장기의 각각의 제품을 혼합하려고 할 때, 리드는 제 2 저장기가 저장 위치로부터 방출되고 배열되도록 야기하며 제 2 제품을 제 2 저장기에 배출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한 방향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 방법의 몇몇 형태에 있어서, 리드는 그리고 나서 컨테이너가 제 1 저장기 및 제 2 저장기의 내용물을 혼합하기 위하여 흔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닫는 반대 방향에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리드는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혼합된 제품은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통하여 소비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은 전술한 종류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첨부한 도면 및 관련 설명의 특징은 본 발명의 전술한 광범위한 설명을 대체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배경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4는 도1의 분해도의 일부분 및 조립도의 일부분이다.
도 5는 도 1의 컨테이너에 대한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리드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슬리브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제 2 저장기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제 2 저장기에 대한 배경도이다.
도 1 내지 도 5는 액체 저장 장치(10)의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다. 장치(10)는 액체 저장기(11), 리드(12) 커넥터(13) 및 물질 저장기(14)를 갖는다.
도 2에서와 같이, 리드(12)는 나사로 죄거나 풀어질 수 있으며, 커넥터(13)는 스스로 나사로 죄거나 풀어질 수 있으며, 넥(15)은 액체 저장기(11)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커넥터(13)는 도 3에서 가장 잘 나타나는데, 내부의 쓰레드(17)를 갖는 큰 직경 구역(16) 및 외부의 쓰레드(19)를 갖는 작은 직경 구역(18)을 갖는다. 커넥터(13)는 내부 쓰레드(17)와 나사산이 맞물리도록 넥(15)에 나사를 죄도록 배열되며, 외부 쓰레드(19)와 나사산이 맞물리도록 리드(12)에 나사를 죄도록 배열된다. 쓰레드(17)의 방향은 쓰레드(19)의 방향과 반대이거나 마주보기 때문에, 리드(12)가 커넥터(13)로부터 리드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커넥터(13)는 리드(12)와 같이 넥(15)으로부터 풀어지지 않는다.
리드(12)는 내부에 나사산을 낸 마개(20) 및 마개 커넥터(21)를 포함한다. 내부에 나사산을 낸 마개(20)는 커넥터(13)를 나사로 죄거나 푼다. 마개 커넥터(21)는 원통형이며 선단부에 방사상의 플렌지(flange, 22)를 포함한다. 플렌지(22)는 물질 저장기(14)의 개방 단부에 관여하도록 배열되어 물질 저장기(14)가 마개 커넥터(21)에 안전할 수 있다.
물질 저장기(14)는 길고 원통형이며 방사상의 플렌지(23)를 포함한다. 플렌지(23)는 물질 저장기(14)의 벽(24)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뻗어 있으며 커넥터(13)의 큰 직경 구역(16) 및 작은 직경 구역(18) 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13)의 연결 부위(25)에 관여하도록 배열된다. 그러한 관여는 리드(12)가 커넥터(13)로부터 관여하지 않을 때 커넥터(13)의 작은 직경 구역(18) 부위를 통하여 물질 저장기(14)가 배출되는 것을 예방한다.
물질 저장기(14)는 물질 저장기(14)를 마개 커넥터(21)에 대하여 보호하기 위하여 마개 커넥터(21)의 플렌지(22)를 받는 플렌지(23)에 인접한 내부로 개방된 홈(groove, 26)을 더 포함한다. 마개 커넥터(21) 및 물질 저장기(14)는 스냅 핏(snap-fit)이다.
장치(10)의 어셈블리 및 사용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 설명을 위하여, 장치(10)는 도 3에서와 같이 분해되고 액체 저장기(11)는 빈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장치(10)는 액체로 미리 채워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장치(10)는 부분적으로 액체 저장기(11), 커넥터(13) 및 리드(12)와 함께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만 한다. 장치(10)는 안에 보유한 물질 혹은 후에 물질의 삽입을 위하여 비어 있는 물질 저장기(14)를 개별적으로 공급한다.
위의 가정에서, 액체 저장기(11)는 비어 있으며 액체로 차 있다. 커넥터(13)는 리드(12)의 마개(20)에 연결되며, 그 후에 물질 저장기(14)는 도 4에서와 같이 마개 커넥터(21)의 플렌지(22)를 물질 저장기(14)의 홈(26)으로 스냅 핏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나서 커넥터(13)는 액체 저장기(11)의 넥(15)과 연결된다. 이리하여 장치(10)는 도 2에서와 같이 완전히 연결된다.
사용자가 액체 저장기(11) 및 물질 저장기(14)에서 내용물을 혼합하려고 선택할 때, 리드(12)는 커넥터(13)의 부분(18)에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커넥터(13) 각각의 부분(16, 18)의 쓰레드가 반대되기 때문에, 커넥터(13)는 액체 저장기(11)의 넥(15)과 결합된 채로 남는다. 리드(12)는 따라서 커넥터(13)로부터 풀어진다. 그러한 풀림에 의해 물질 저장기(14)는 물질 저장기(14)의 플렌지(23) 및 커넥터(13)의 브리징(bridging)부(25) 사이의 결합에 의해 리드(21)와의 움직임을 막기 때문에, 물질 저장기(14)는 마개 결합자(21)의 연결로부터 풀어진다. 일단 풀어지면, 물질 저장기(14)는 액체 저장기(11) 내로 자유롭게 떨어진다. 이러한 풀림이 발생하는 동안 물질 저장기(14)의 내부는 리드(12)의 결합에 의해 액체 저장기(11)의 내부로부터 격리된다는 것을 알아야만 한다.
사용자는 그리고 나서 리드(12)를 커넥터(13)로 다시 나사를 죌 수 있으며 물질 저장기(14) 내의 물질을 방출하여 액체 저장기(11) 내의 액체와 혼합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장치(10)를 흔들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물질 저장기(14)의 밀봉 환경에서 저장된 물질과 신선하게 혼합된 액체를 소비하도록 허용한다.
뒤따르는 실시 예는 도 5에 나타나는데,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액체 저장 장치용 리드(32) 부분의 부분적인 횡단면도이다. 리드(32)는 리드(32)와 별개로 형성되며 리세스(35) 내에서 받는 플렌지(34)에 의해 리드(32)와 부착되는 마개 커넥터(31)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 예는 마개 커넥터(31)의 부재에 의해 몰드된 리드(32)를 더 쉽게 제공할 수 있다. 마개 커넥터(31)는 장치(30)에 연결될 때 리드(32)에 스냅 핏 될 수 있다.
모든 다른 측면에서, 리드(32)는 도 1 내지 도 4의 액체 저장 장치(10)의 리드(12)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하며, 따라서 도 5에서 나타나는 다른 부분에 대하여 이전에 도면에서의 부품의 숫자가 채택된다.
세 번째 실시 예는 도 6에 나타나는데, 액체 저장 장치(40)의 상부를 횡단면으로 나타낸다. 액체 저장 장치의 바닥면은 본 발명과 관계없으며, 따라서 나타내지 않는다. 장치(40)는 액체 저장기(41), 물질 저장기(42) 및 리드(43)를 포함한 다.
액체 저장기(41)는 외부 쓰레드(45) 및 플렌지(46)를 갖는 넥(44)을 포함한다. 플렌지(46)는 리드((43)가 넥(44)으로부터 제거될 때 리드(43)의 바닥 단부의내부로 경사진 레그(leg, 49)와 함께 사용되고, 리드(43)가 제거되고 탬퍼(tamper) 증거 인디케이터(indicator)로 실행하도록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관통된 스트립(strip)은 플렌지(46)에 인접한 리드(43) 내에 형성되는데, 플렌지(46)와 대한 리드(43)의 회전은 경사진 레그(49)가 플렌지(46)를 잘 돌아가게 하며 레그(49)는 플렌지(46)를 지나쳐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관통이 중단되며 리드(43)의 바닥 단부는 리드(43)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며, 따라서 장치(40)는 개방되거나 간섭된다.
도 7은 리드(43)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넥(44)의 쓰레드(46)에 관여하는 내부의 쓰레드(47)를 나타내며, 또한 원형이며 리드(43)의 중심에 위치하는 내측의 마개(48)를 나타낸다.
도 6으로 돌아가면, 장치(40)는 넥(44)과 조화되고 결합 상태에서 넥(44) 및 물질 저장기(42) 사이에 배열되는 슬리브(50)를 포함한다. 슬리브(50)는 도 8에서 횡단면으로 나타나는데, 이로부터 슬리브(50)는 슬리브(50)의 상부 단부에 매달려 있는 플렌지(51) 및 플렌지(51)로부터 바닥 단부(53)로 점점 가늘어지는 원통체(cylindrical body, 52)를 포함한다. 립(54)은 플렌지(51)에 인접한 원통체(52)의 내부 표면에 매달려 있으며 제 1 각진 부분(55) 및 제 2 원통형 부분(56)을 포함한다. 립(54)의 작동은 후에 설명할 것이다.
물질 저장기(42)는 도 9에서 횡단면 및 도 10의 배경도로 나타나며, 내부에 후에 액체 저장기(41) 내에서 액체를 혼합하기 위한 물질을 포함하는 격납 부(containment portion, 60)을 포함한다. 스커트(61)는 격납부(60)의 외부 표면(62)과 연결된다.
스커트(61)는 도 6에서 나타나는 장치(40)의 결합 상태에서와 같이, 슬리브(50)의 바닥 단부(53)와 인접한 바닥 플렌지(65)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합부는 리드(43) 및 슬리브(50)에 관한 위치에서 물질 저장기(42)에 위치한 하나 혹은 두 개의 접합부를 형성한다. 다른 접합부는 후에 논의될 것이다. 따라서, 도 6에서 나타나는 장치(40)의 결합 상태에서, 슬리브(50)의 바닥 단부(53)는 플렌지(65)와 접합부에서 나타난다.
스커트(61)는 도 9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리드(43)의 마개(48)의 바닥 단부(67)의 수용을 위해, 스커트(61) 및 격납부(60)의 표면(62) 사이의 위쪽으로 열려 있는 리세스(66)를 창조하기 위하여 약간 위쪽으로 뻗어 있다. 그것은 도 7에 나타나는데, 바닥 단부(67)는 바깥쪽으로의 플렌지 혹은 벌지(bulge)로 특징지워지며, 반면에 리세스(66)는 바깥쪽으로의 플렌지 혹은 벌지를 상보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내부 단부의 프로파일을 갖는다. 배열은 마개(48) 및 리세스(66) 사이의 협력에 의해 리드(43)를 보호하는 물질 저장기(42)를 야기하도록 하는 것처럼 된다. 협력은 또한 장치(40)의 밀봉 배열 부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과 같다. 따라서, 리세스(66) 내의 바닥 단부(67)의 가지런한 수용은 물질 저장기(42) 및 액체 저장기(41) 사이의 둘 중의 한 방향에서 액체의 통로에 대한 밀봉을 형성하도록 작동한 다.
슬리브(50)의 립(54) 또한 마개(48)의 바닥 단부(67)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리드(43)의 마개(46)와 협력한다. 립(54)은 마개(48) 상에 형성된 바깥으로 뻗어 있는 돌출부(69)의 수용을 위한 내부로 열려 있는 홈(68)을 형성한다. 홈(68)은 도 8에 나타나며, 반면에 돌출부(67)는 도 7에 나타난다. 돌출부(67)는 마개(48)의 바닥 단부(67)와 유사한 형태일 수 있으며, 돌출부(69)를 받을 수 있는 형태의 홈(68)을 갖는다. 홈(68) 및 돌출부(69) 사이의 협력은 장치(40)의 전체 밀봉 배열의 부분으로써 제공된다. 따라서, 바닥 단부(67) 및 리세스(66) 사이에 형성된 밀봉과 같이,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홈(68) 및 돌출부(69) 사이의 협력은 물질 저장기(42) 및 액체 저장기(41) 사이의 둘 중 한 방향에서 액체의 통로에 대한 밀봉에 기여한다.
도 6에서 나타나는 결합 상태에서, 립(54)의 바닥 단부(70)는 스커트(61)의 반대되는 단부(71)와 결합된다. 결합자는 물질 저장기(42) 및 액체 저장기(41) 사이의 둘 중 한 방향에서 액체의 통로에 대하여 밀봉하는 밀봉 배열의 다른 부품을 형성한다. 결합은 또한 물질 저장기(42)를 액체 저장기(41) 내에 적절하게 위치하도록 하며, 반면에 제 2 결합자는, 후에 설명하겠지만 그러한 적절한 위치를 돕는다.
뒤따르는 실(seal)은 제 2 저장기(42)의 표면(62) 및 마개(48)의 상부의 내부 표면 사이의 마찰에 맞도록 창조된다. 마개(48)는 리드(43)의 연결 부위에 두꺼운 벽 두께를 갖는데, 그 점에서의 마개의 내부 직경은 리드(43)의 연결과 멀리 떨 어진 내부 직경과 비교하여 감소된다. 따라서, 제 2 저장기가 마개(48)를 밀 때 제 2 저장기(42)의 상부 단부는 마찰로 마개(48)의 내부 표면을 끌게 된다.
따라서, 장치(40) 내에서 제공되는 실(seal)은 다음을 포함한다:
1. 바닥 단부(70) 및 반대되는 단부(71)의 결합자
2. 리세스(66) 내의 바닥 단부(67)의 수납(receipt)
3. 홈68) 내의 돌출부(69)의 수납
4. 마개(48) 내의 제 2 저장기(42)의 프릭션 핏.
이러한 실은 제 1 저장기(41) 및 제 2 저장기(42) 사이의 둘 중 한 방향으로의 누출을 안정적으로 막아준다. 뒤따르는 실(73)은 제 1 저장기(41)로부터 리드(43)를 지나는 누출의 예방과 관련하여 뒤에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실에 의해, 물질 저장기(42)의 격납부(60)의 내부는 도 6에서 나타나는 결합 상태에서 액체 저장기(41)의 내부와 관련하여 안전하게 밀봉될 수 있다. 이는 제품의 혼합이 요구될 때까지 저장기(41, 42) 각각에서 제품을 효과적으로 유지시킨다.
립(54) 및 스커트(61)의 단부(71)는 위에서 언급한 두 결합자의 제 2 결합자를 형성한다. 두 개의 결합자에 의해, 물질 저장기(42)는 장치(40)가 부딪치거나 충돌함에도 불구하고 올바른 위치에서 안전하게 지탱시킨다. 두 개의 결합자는 세로로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접촉점을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물질 저장기(42)의 움직임을 저지한다. 물질 저장기(42)의 이러한 안전한 위치는 물질 저장기(42)로부터 물질의 누출에 대한 밀봉을 위하여 위에서 언급한 밀봉 배열을 돕는다.
스커트(61)는 도 10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개구부(74)를 포함한다. 이러한 개구부(74)는 스커트(61) 물질의 양을 감소시킨다.
액체 저장 장치(40)는 재사용할 수 있다. 재사용은 넥(44) 내에서의 프릭션 핏인 슬리브(50)의 사용에 의해 촉진된다. 슬리브(50)는 따라서 요구될 때 액체 저장기(41)의 넥(44)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거 이전에, 슬리브(50)는 액체 저장기(41)의 액체가 넥(44)을 통과할 때 물질 저장기(42)의 넥(44)으로 통하는 통로를 막는데, 즉, 리드(43)가 제거될 때 혼합 액체는 소비된다. 슬리브(50)는 슬리브(50)의 바닥 단부(53) 및 물질 저장기(42)의 플렌지(65) 사이의 결합에 의해 물질 저장기(42)의 넥(44)으로 통하는 통로를 막는다. 그러나, 장치(40)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슬리브(50)는 제거될 수 있으며 넥(44)의 내부 직경이 물질 저장기(42)의 최대 외부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보충을 위하여 넥(44)을 통한 물질 저장기(42)의 제거를 허용한다. 일단 보충되면, 슬리브(50)는 아래에 설명하는 결합에서 넥(44)으로 재삽입될 수 있다.
슬리브(50)의 바닥 단부(53)가 내부로 약간 구부러지거나 불쑥 나오고 넥(44)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것을 도 6에서 볼 수 있다. 이는 슬리브(50)의 바닥 단부(53)가 넥(44)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외부 직경을 확보함으로써, 슬리브(50)의 넥(44)으로의 삽입을 효과적으로 쉽게 할 수 있다.
장치(40)의 결합 상태에서 뒤따르는 실(73)은 리드(43) 및 슬리브(50)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73)은 리드(43)로부터 돌출한 환상의 비드(bead) 및 슬리브(50)의 마주보는 표면에 형성되는 환상의 홈을 구성한다. 실(73)은 리 드(43)가 넥(44)에 단단히 고정될 때 액체 저장기(41)로부터 액체의 배출을 예방한다.
처음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재사용에 있어서 장치(40)의 실제 결합 배열은 물질 저장기(42) 내로의 물질의 삽입에 관여하는데, 그때에 물질 저장기(42)를 슬리브(50) 내로 삽입하며, 그리고 나서 리드(43)를 결합된 물질 저장기(42) 및 슬리브(50)에 적용한다. 그러한 부품의 결합은 액체 저장기(41)의 넥(44) 내부로 결합되는데, 리드(43)를 넥(44) 상에 회전함으로써 적절한 액체로 차게 된다.
물질이 액체와의 혼합이 일어나면, 리드(43)는 리드(43)를 넥(44)으로부터 제거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리드(43)는 따라서 슬리브(40) 및 물질 저장기(42)에 상대적으로 움직이며 마개(48)를 리세스(66)로부터 분리시키며 마개(48)를 물질 저장기(42)의 단부(72)와 상대적으로 변경시킨다. 충분한 움직임이 일어나면, 물질 저장기(42)는 액체 저장기(41)로 떨어지며 물질은 액체 저장기(41) 내에서 액체와의 혼합을 위하여 누출될 것이다. 장치(40)는 필요하면 물질 및 액체를 적절하게 혼합하기 위하여 흔들 수 있다. 지금까지의 테스트로는 물질 저장기(42)는 거의 반회전 만큼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치(40)는 액체와 물질을 각각 포함하는 액체 저장기(41) 및 물질 저장기(42) 각각을 제공한다. 이전에 논의한 물질 저장기(42), 리드(43) 및 슬리브(50)의 밀봉 배열에 의해, 물질 저장기(42) 내의 물질은 혼합이 요구될 때까지 액체 저장기(41) 내의 액체로의 전달에 대하여 밀봉할 수 있다.
장치(40)는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재사용할 수 있으며, 혹은 각각의 액체 저장기(41) 및 물질 저장기(42)를 빈 상태로 제공할 수 있는데, 따라서 사용자는 적절한 시간과 장소에서 액체/물질의 선택에 따라 각각의 저장기(41, 42)를 채울 수 있다.
액체 저장 장치(10 및 40)는 사용자가 물질의 신선함을 보존하기 위하여 소비 바로 전에 다른 물질을 액체와 편리하게 혼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비록 본 발명은 물과 분말의 비타민 보충제를 언급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영역의 종사자들은 본 발명은 이러한 결합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많은 다른 제품의 결합에도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기에 서술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지정한 의미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어떠한 변형, 대체 및 개량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24)
- 혼합하려는 제품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저장기를 포함하며, 각각의 저장기 내에 포함된 제품이 방출되는 개구부를 갖는 제 1 및 제 2 저장기는 배출될 수 있으며,제 1 저장기의 개구부는 컨테이너의 닫힘 상태에서 나사산의 리드에 의해 닫혀지며, 상기 제 2 저장기는 제 2 저장기 내에 포함된 제품이 제 1 저장기 내에 포함된 제품으로부터 분리되어 유지되는 저장 위치 및 제 1 저장기 내에 포함된 제품과 혼합하기 위하여 제 2 저장기의 개구부를 통하여 제 1 저장기 내로 배출되는 저장 위치로부터 이동되는 배출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로의 제 2 저장기의 이동은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한 방향에서 리드의 회전을 필요로 하며, 그러한 회전이 저장 위치로부터 제 2 저장기의 방출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1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저장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로의 제 2 저장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상기 리드의 회전량은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하여 필요한 회전량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1항 혹은 2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저장 위치로부터 제 2 저장기를 방출하기 위한 상기 리드의 다음의 회전에서 제 2 저장기는 중력에 의해 저장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저장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로의 제 2 저장기의 상기 다음의 방출에서 리드는 컨테이너가 제 1 저장기 및 제 2 저장기의 내용물을 함께 혼합하기 위하여 흔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다시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1 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위치에서, 제 2 저장기는 리드와 결합되며 리드로부터 제 2 저장기의 분리는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한 방향에서 리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5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리드 및 제 2 저장기의 결합은 제 2 저장기가 저장 위치일 때 제 2 저장기 내의 제품의 방출에 대하여 적어도 제 2 저장기를 밀봉하도록 밀봉 배열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5항 혹은 제 6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리드 및 제 2 저장기의 결합은 리드로부터 뻗어 있으며 제 2 저장기와 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7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장기의 단부는 마개의 내부 표면과 맞물리며 마개와 프릭션 핏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5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리드 및 제 2 저장기 사이의 상기 결합은 돌출부를 편안하게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홈 내로 뻗어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9항에 따른 컨테이너 있어서, 상기 돌출부 혹은 홈 중의 하나는 마개의 자유 단부 혹은 자유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10항에 다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자유 단부는 제 2 저장기의 내부로 뻗어 있으며 자유 단부 혹은 자유 단부에 인접한 돌출부 혹은 홈은 제 2 저장기의 내부 표면 부분 내 혹은 상에 형성되는 각각의 홈 혹은 돌출부에 맞물리며 이로 인해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한 방향에서의 리드는 저장 위치로부터 제 2 저장기를 방출하기 위하여 각각의 돌출부 및 홈을 풀기 위한 마개 및 제 2 저장기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7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장기는 적어도 마개 내로 뻗어 있는 리세스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1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기는 나사산의 커넥터가 적용된 나사산의 넥을 가지며, 커넥터는 제 1 및 제 2 나사산 부분을 포함하며, 제 1 부분은 넥에 접착되며 리드는 제 2 부분에 접착되며, 제 1 및 제 2 나사산 부분은 반대되는 방향에서 형성되는 쓰레드를 가지며, 따라서 리드가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한 방향에서 제 2 부분 상에서 회전할 때, 커넥터는 넥으로부터 풀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13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리드가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하여 제 2 부분 상에서 회전할 때 제 2 저장기가 리드와 함께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제 2 저장기에 관여하는 결합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1항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기는 리드와 나사산으로 결합되는 넥을 가지며, 적어도 제 2 저장기의 한 부분이 제 2 저장기의 저장 위치에서 넥 내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15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넥 및 넥 내로 뻗어 있는 제 2 저장기 부분 사이에 배열되며, 슬리브는 저장 위치로부터 제 2 저장기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리드가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한 방향에서 회전할 때 제 2 저장기가 리드가 움직이는 방향에서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저장 위치에서 제 2 저장기에 관여하는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16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결합자는 슬리브로부터 내부로 뻗 어 있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17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슬리브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뻗어 있는 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16항 내지 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저장 위치에서 제 2 저장기에 관여하는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자를 형성하며, 제 2 결합자는 넥의 제 1 결합자로부터 세로로 간격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16항 내지 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넥의 자유 단부를 넘어 뻗어 있으며 닫힌 상태에서의 컨테이너에서 리드를 갖는 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15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넥 및 넥 내로 뻗어 있는 제 2 저장기 부분 사이에 배열되며, 슬리브는 제 2 저장기가 저장 위치로부터 방출 되며 리드가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통하여 제 1 저장기 내에서 포함된 제품의 방출을 위하여 제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하여 회전할 때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통한 방출로부터 제 2 저장기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제 21항에 따른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제 2 저장기가 컨테이너로부터 제거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 하나의 제품을 다른 제품과 혼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테이너를 적용하며, 제 1 제품은 제 1 저장기에 위치시키며 제 2 제품은 제 2 저장기에 위치시키며, 제 2 저장기를 저장 위치에 배열시키며, 제 2 저장기가 저장 위치로부터 방출되고 배열되도록 야기하며 제 2 제품을 제 2 저장기에 배출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저장기의 개구부를 열기 위한 방향에서 리드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23항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제 1 저장기 및 제 2 저장기의 내용물을 함께 혼합하기 위하여 저장 위치로부터 제 2 저장기의 방출 및 이동을 위하여 흔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AU2007902665 | 2007-05-18 | ||
AU2007902665A AU2007902665A0 (en) | 2007-05-18 | A liquid storage device III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8575A true KR20100018575A (ko) | 2010-02-17 |
Family
ID=40031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26512A Withdrawn KR20100018575A (ko) | 2007-05-18 | 2008-05-19 | 액체 저장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157723A1 (ko) |
EP (1) | EP2155583A4 (ko) |
JP (1) | JP2010527313A (ko) |
KR (1) | KR20100018575A (ko) |
AU (1) | AU2008253582A1 (ko) |
BR (1) | BRPI0810259A2 (ko) |
WO (1) | WO200814136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4633B1 (ko) * | 2009-09-23 | 2012-01-12 |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 음료용기 |
WO2011082333A2 (en) * | 2009-12-30 | 2011-07-07 | Sprunger Timothy R | Flavor enhancement apparatus and method |
US9795242B2 (en) | 2013-02-14 | 2017-10-24 | Cirkul, Inc. | Additive delivery systems and containers |
US9193508B2 (en) | 2013-02-28 | 2015-11-24 |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 Closure pendant to indicate package opening |
US9498086B2 (en) | 2014-11-21 | 2016-11-22 | Cirkul, Inc. | Adjustable additive cartridge systems |
US10888826B2 (en) | 2014-11-21 | 2021-01-12 | Cirkul, Inc. | Adjustable additive cartridge systems and methods |
JP6408930B2 (ja) * | 2015-02-16 | 2018-10-17 | 株式会社セブン・セブン | 保温容器 |
US12017191B2 (en) | 2017-03-06 | 2024-06-25 | Cirkul, Inc. | Adjustable additive delivery systems and dispensing closure valves for the same |
WO2019088810A1 (ko) * | 2017-11-06 | 2019-05-09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
US11912480B2 (en) * | 2018-12-12 | 2024-02-27 | Katie Grobman | Container cap for controlled mixing and dispensing |
KR102637331B1 (ko) * | 2019-04-12 | 2024-02-19 |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 재구성 가능 컨테이너-폐쇄부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326400A (en) * | 1965-10-23 | 1967-06-20 | Oreal | Two compartment container |
NL7413077A (nl) * | 1974-10-03 | 1976-04-06 | Leer Koninklijke Emballage | Houder met schroefdop. |
FR2370650A1 (fr) * | 1976-11-15 | 1978-06-09 | Oreal | Recipient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comportant au stockage deux compartiments separes |
DE2753737C2 (de) * | 1977-12-02 | 1984-04-19 | Wella Ag, 6100 Darmstadt | Behälter für zwei schüttbare Stoffe |
GB2298406B (en) * | 1995-02-21 | 1998-05-06 | Bespak Plc | Dual component dispensing apparatus |
JP4409204B2 (ja) * | 2003-04-28 | 2010-02-03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混合物収納部を設けた混合容器 |
-
2008
- 2008-05-19 US US12/600,490 patent/US2010015772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8-05-19 WO PCT/AU2008/000688 patent/WO200814136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05-19 JP JP2010508666A patent/JP2010527313A/ja active Pending
- 2008-05-19 BR BRPI0810259-7A2A patent/BRPI0810259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05-19 EP EP08747958A patent/EP2155583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8-05-19 KR KR1020097026512A patent/KR20100018575A/ko not_active Withdrawn
- 2008-05-19 AU AU2008253582A patent/AU2008253582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0527313A (ja) | 2010-08-12 |
EP2155583A1 (en) | 2010-02-24 |
BRPI0810259A2 (pt) | 2014-10-29 |
WO2008141367A1 (en) | 2008-11-27 |
WO2008141367A8 (en) | 2010-03-04 |
EP2155583A4 (en) | 2012-03-21 |
US20100157723A1 (en) | 2010-06-24 |
AU2008253582A1 (en) | 2008-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18575A (ko) | 액체 저장 장치 | |
RU2605177C2 (ru) |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емкости, содержащее сред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добавки в содержимое емкости | |
AU2007246847B2 (en) | Container closure having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 |
AU661402B2 (en) | Pharmaceutical product container for separately holding two substances and having a mixing device and dosed dispensation means | |
US6533113B2 (en) | System, device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mixing substances | |
US20060049127A1 (en) | Container | |
US20200245818A1 (en) | Component storage and mix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 |
US8136660B2 (en) | Multi compartment container system | |
US20020066677A1 (en) | Device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substance by mating with a container and associated methods | |
US20120168327A1 (en) |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pensing | |
EP0634340B1 (en) | Bottle for preserving in a separated condition substance to be mixed together before dispensing | |
JP2004244110A (ja) | 異種物質を混合可能な容器の蓋および容器 | |
KR20070032632A (ko) | 카트리지 장치, 카트리지 제조 방법 및 마개 장치 | |
JP2013519596A (ja) | 投与量を供給するための反転ドーム | |
MX2013004042A (es) | Cierre de plástico que tiene una cápsula para surtir ingredientes activos. | |
CN110139808B (zh) | 闭合设备、容器和将添加剂液体引入到容器中的方法 | |
KR102619842B1 (ko) | 혼합 및 분배를 위한 용기 시스템 | |
US20150076012A1 (en) | Cap with additive chamber and associated packaging unit | |
WO2008002160A2 (en) | Cap with a capsule rupturable by a cutter | |
JP2017520489A (ja) | 万能ボトルキャップ | |
US20100012613A1 (en) | Water container cap for holding additives to water | |
RU2530840C2 (ru) | Крепеж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насадки с контейнером | |
RU2410306C2 (ru) | Вкладыш для контейнер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го для нескольких компонентов | |
EA008578B1 (ru) | Затвор для пакетов с жидким продуктом | |
JP2016533983A (ja) | 液体容器上に装着するための閉鎖キャッ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912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