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17418A -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7418A
KR20100017418A KR20097024740A KR20097024740A KR20100017418A KR 20100017418 A KR20100017418 A KR 20100017418A KR 20097024740 A KR20097024740 A KR 20097024740A KR 20097024740 A KR20097024740 A KR 20097024740A KR 20100017418 A KR20100017418 A KR 20100017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vice
downlink
period
radio resource
upli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09702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코 미키
요시히사 기시야마
켄이치 히구치
마모루 사와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00017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41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11Semi-persistent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기지국장치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으로 소정의 기간마다 준비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유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수단과, 소정의 기간마다 준비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 내, 유저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패킷에 사용되지 않는 무선 리소스를, 상기 유저장치와는 다른 유저장치로 할당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Figure P1020097024740
이동통신, 무선통신, 기지국장치, 퍼시스턴트 스케줄링, 무선 리소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BASE STATION DEVICE, USER DEVICE,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세대 이동통신기술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와이드밴드 부호분할 다중접속(W-CDMA)방식,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 방식,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 방식 등의 후계가 되는 통신방식- 즉,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이, W-CDMA의 표준화 단체 3GPP에서 검토되고 있다. LTE에서의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이,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싱글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SC-FDMA: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 유망시되고 있다.
OFDM 방식은,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전송을 수행하는 멀티캐리어 전송방식이다. 서브캐리어를 주파수축상에 직교하면서 밀접하게 배열함으로써 고속전송을 실현하고, 주파수의 이용효율을 높이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SC-FDMA 방식은, 주파수대역을 단말마다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 간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단말 간의 간섭을 간이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에 더해서 송신전력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이 방식은 단말의 저소비전력화 및 커버리지(coverage)의 확대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양방에 있어서, 이동국에 하나 이상의 리소스 블럭을 할당받음으로써 통신이 수행된다. 리소스 블럭은 시스템 내의 다수의 이동국에서 공유된다. LTE에서는 1ms인 서브프레임(Sub-frame)마다 복수의 이동국 중 어느 이동국에 리소스 블럭을 할당하는지를 기지국이 결정한다(이 프로세스는 스케줄링이라고 불리어진다). 서브프레임은, 송신시간간격(TTI)으로 불리어져도 좋다.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기지국장치는, 스케줄링으로 선택된 이동국 앞으로, 1 이상의 리소스 블럭으로 공유채널을 송신한다. 이 공유채널은, 물리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로 불리어진다.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스케줄링으로 선택된 이동국이, 기지국에 대하여 1 이상의 리소스 블럭으로 공유채널을 송신한다. 이 공유채널은, 물리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로 불리어진다.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서브프레임마다, 어느 유저장치로 어느 공유채널을 할당하는지를 시그널링(통지)할 필요가 있다. 이 시그널링에 이용되는 제어채널은, LTE에서는, 물리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하향 L1/L2 제어채널(DL-L1/L2 Control Channel)로 불리어진다. 물리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에는, 예를 들면, 하향 스케줄링 정 보 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인포메이션(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송달확인정보(ACK/NACK: Acknowledgement information),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 오버로드 인디케이터(Overload Indicator), 송신전력 제어 코맨드(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 Bit) 등이 포함된다.
하향 스케줄링 정보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상기의 시그널링할 필요가 있는 정보에 상당한다. 하향 스케줄링 정보에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며, 구체적으로는, 하향링크의 리소스 블럭(Resource Block)의 할당정보, 유저장치의 식별정보(UE-ID), 스트림 수,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에 관한 정보, 데이터 사이즈, 변조방식,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며, 구체적으로는, 상향링크의 리소스의 할당정보, UE의 ID, 데이터 사이즈,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정보, 업링크 MIMO(Uplink MIMO)에 있어서의 디모듈레이션 레퍼런스 시그널(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공통제어 물리채널(CCPCH: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도 송신된다. CCPCH에는 알림채널(Broadcast Channel)이 포함된다. CCPCH에 의해 송신되는 알림채널은 정적인 알림채널로 불리어진다. 정적인 알림채널과는 별개로, 동적인 알림채널(Dynamic part)도 존재한다. 동적인 알림채널은, PDSCH로 맵핑된다. 이 경우, 하향물리링크 제어채널에 의해, 동적인 알림채널을 위한 하향 스케줄링 정보가 송신된다.
상향링크 제어채널로는,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및 물리하향링크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Acknowledgement Information) 등이 전송된다. CQI는,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공유물리채널의 스케줄링 처리나 적응변복조 및 부호화처리(AMCS: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등에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안되고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서브프레임마다, 어느 유저장치에 어느 공유채널을 할당하는지를 하향 L1/L2 제어채널로 시그널링(통지)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 원칙이다. 이 시그널링은 패킷길이의 장단에 상관없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패킷 길이가 짧은 데이터가 빈번하게 전송되는 경우에도, 개개의 패킷전송의 모두에 하향 L1/L2 제어채널에 의한 시그널링이 필요해진다. 그 결과, 제어채널에 할당하는 무선 리소스의 비율이 많아지고, 오버헤드가 점하는 비율이 커지게 되며, 데이터 채널에 할당하는 무선 리소스가 적어진다. 패킷 길이가 짧은 빈번하게 발생하는 데이터의 대표예는, 음성패킷, VoIP, 리얼타임 데이터 등이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퍼시스턴트 스케줄링(Persistent Scheduling)으로 불리어지는 수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 수법에서는 고정된 어느 전송포맷으로, 예를 들면 20ms와 같은 소정의 주기로 하향 데이터 채널(전형적으로는, 음성패킷)이 전송된다. 전송포맷에는 변조방식이나 채널 부호화율 등의 데이터 채널을 복원하는 것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변조방식은 QPSK에, 채널 부호화율은 1/3으로 고정되며, 그들은 기지국 및 유저장치에 기지이다. 따라서 L1/L2 제어채널과 같은 제어채널이 서브프레임마다 통지되지 않아도, 유저장치는 하향공유채널을 적절하게 수신할 수 있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시그널링 및 오버헤드를 감소하는 관점에서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원리에 따라서, 무선 리소스를 특정의 유저로 고정적으로 할당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하면, 무선 리소스의 유효이용(effective use)을 도모하는 것이 방해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으로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을 도모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르면,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가 사용된다. 기지국장치는, 상기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으로 소정의 기간마다 준비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유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수단과, 상기 소정의 기간마다 준비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 내, 상기 유저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패킷에 사용되지 않는 무선 리소스를, 상기 유저장치와는 다른 유저장치로 할당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는, 유저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패킷에 대해서 재송의 요부를 판정하는 수단과, 재송패킷에 사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지정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L1/L2 제어신호를 작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유저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패킷에 대해서 재송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하향 L1/L2 제어신호가 상기 유저장치로 통지되며, 상기 스케줄링 정보로 지정되는 무선 리소스로 재송패킷이 전송된다.
유저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패킷이 소정의 제 1 기간마다 전송되는 토크기간(talk - spurt period)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수단이 기지국장치에 더 구비되어도 좋다. 토크기간이 아닌 경우, 상기 제 1 기간보다 긴 소정의 제 2 기간마다 준비된 무선 리소스로 상기 유저장치와의 통신이 수행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의 기지국장치는, 유저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 패킷이 소정의 기간마다 전송되는 토크기간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토크기간이 아닌 경우, 상기 유저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패킷에 사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지정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L1/L2 제어신호를 작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토크기간이 아닌 경우, 상기 하향 L1/L2 제어신호가 상기 유저장치로 통지되며, 상기 스케줄링 정보로 지정되는 무선 리소스로 상기 상향 또는 하향 패킷이 전송된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따르면,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가 사용된다. 유저장치는, 소정의 기간마다 준비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로 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수단과, 해당 유저장치 앞으로의 하향패킷이 상기 소정의 기간마다 수신되고 있는 토크기간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토크기간이 아닌 경우, 상기 소정의 기간마다 준비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에 복수의 후보(candidate)가 있으며, 상기 복수의 후보로 전송된 하향패킷 각각에 대해서 복조처리가 수행되며, 유의의(meaningful) 하향패킷이 추출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퍼시스턴트 스케줄링(persistent scheduling)으로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제 1 방법을 나타내는 도,
도 3은, 제 1 방법에 의한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제 2 방법을 나타내는 도,
도 5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제 2 방법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제 2 방법에 의한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제 3 방법을 나타내는 도,
도 8은, 제 3 방법에 의한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부분 블럭도,
도 10은, 도 9의 기지국장치의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의 부분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장치의 부분 블럭도, 그리고
도 12는, 도 11의 유저장치의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의 부분 블럭도.
부호의 설명
50 셀
1001, 1002, 1003, 100n 이동국
102 송수신 안테나
104 앰프부
106 송수신부
108 베이스밴드 처리부
110 어플리케이션부
1081 레이어 1 처리부
1082 MAC 처리부
200 기지국장치
202 송수신 안테나
204 앰프부
206 송수신부
208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
210 무선 리소스 관리부
212 전송로 인터페이스
2081 레이어 1 처리부
2082 MAC 처리부
2083 RLC 처리부
300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400 코어 네트워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시스템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동통신 시스템(1000)은, 예를 들면 LTE(Evolved UTRA and UTRAN 또는 Super 3G여도 좋다)가 적용되는 시스템이다. 이동통신 시스템(100)은, 기지국장치(eNB: eNode B)(200)와, 기지국장치(200)와 통신하는 복수의 이동국(100n)(1001, 1002, 1003, ...100n, n은 양의 정수)을 포함한다. 기지국장치(200)는, 상위국,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또는 이동관리 노드(MME/UPE)(300)와 접속되며,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코어 네트워크(400)와 접속된다. 이동국(100n)은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LTE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하는 것은 이동국이지만, 보다 일반적으로는 이동단말도 고정단말도 포함하는 유저장치(UE:User Equipment)여도 좋다.
(제 1 실시형태)
도 2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제 1 방법을 나타낸다. 횡축은 시간축이며,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어느 유저로, 소정의 무선 리소스가 소정의 빈도로 고정적으로 확보된다. 도시의 예에서는, 20ms마다 소정의 무선 리소스(리소스 블럭, 전송포맷, 전력 등)가, 예를 들면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A를 위해 확보된다. 본 발명은 상향패킷에도 하향패킷에도 적용가능하다. 상향 또는 하향의 무선 리소스가 소정의 간격마다 확보되는 것은, 예를 들면 음성패킷(voice packet)이 그와 같이 주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음성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유저 A가 발성하고 있는 토크기간(talk spurt)과, 발성하고 있지 않은 사일런트 기간(silent period)이 교호적으로(alternately) 나타나는 것이 통상적이다. 토크기간에서는, 음성 패킷이 정기적으로 발생하고, 사전에 확보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유저 A의 음성패킷이 20ms마다 전송된다. 사일런트 기간에서는 음성패킷은 발생하지 않지만, 20ms보다 긴 주기(예를 들면, 160ms)로 유저 A 또는 통신상대의 배경잡음(background noise)이 전송된다. 따라서, 사일런트 기간 동안, 유저 A용으로 확보된 모든 무선 리소스가 유저 A로 실제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 1 방법에서는, 무선 리소스의 유효이용을 도모하기 위해, 유저 A용으로 20ms마다 확보된 무선 리소스 내, 유저 A로 할당되지 않은 것을, 유저 A이외의 유저로 할당하는 것이 허용된다. 도면 중, 흰(white) 블럭은, 미리 확보되어 있지만 유저 A에는 사용되지 않은 미사용 리소스이며, 이 부분의 다른 유저에 의한 사용이 허용된다.
제 1 방법에서는, 초회 패킷뿐 아니라, 재송패킷에 대해서도 송신타이밍 및 무선 리소스는 미리 확보되어 있다. 재송이 소정의 최대 재송회수까지 이루어져 좋은 경우에는, 초회 및 재송패킷 모두의 무선 리소스가 미리 유저 A용으로 확보된다. 도시의 간명화를 위해, 상단의 타이밍 채널에는 재송패킷에 대응하는 블럭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초회 패킷용 리소스 및 미사용 리소스 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하단의 확대된 타이밍 챠트에는, 초회 패킷용 리소스, 재송패킷용 리소스 및 미사용 리소스 모두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제 1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하향음성패킷(VoIP)이 전송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상향음성패킷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당연히 적용가능하다. 어느 유저 A가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기인하여,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적용되도록 기지국(eNB)에서 결정된다. 단계 S1에서는, 적용되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구체적 내용(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개시 타이밍, 무선 리소스의 할당빈도, 무선 리소스에 사용되는 전송포맷 등)이 유저장치로 통지된다. 또한, 그 통지의 내용이 시스템에서 사전에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개시 타이밍이 유저장치로 통지되면 좋다.
단계 S2에서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을 개시하는 의미의 통지에 대한 응답이 이루어진다.
단계 S3에서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으로 예약이 끝난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초회의 어느 음성패킷이 유저장치로 전송된다. 유저장치는 단계 S4에서 송달확인신호를 송신한다. 송달확인신호는, 긍정적인 응답인 ACK 및 부정적인 응답인 NACK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된다. 단계 S4에서는 ACK가 반송되고 있다.
단계 S5에서는, 예약이 끝난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초회의 다른 음성패킷이 유저장치로 전송된다. 도시의 예에서는 유저장치는 단계 S6에서 NACK를 반송하고 있다.
단계 S7에서는 기지국은, NACK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과거에 송신한 음성 패킷을 재송한다. 이 재송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 리소스도,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으로 사전에 최대 재송회수분만큼 예약되어 있다. 이 재송패킷은, 도시의 예에서는 양호하게 수신되며, 단계 S8에서 ACK가 기지국으로 반송된다.
단계 S9에서는, 예약이 끝난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초회의 다른 음성패킷이 유저장치로 전송된다. 이후 동일한 수순이 반복된다.
이와 같이 제 1 방법에 의하면, 초회패킷 및 재송패킷 모두에 대해서 무선 리소스가 사전에 고정적으로 확보되므로, 무선 리소스의 시그널링에 기인하는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제 2 실시형태)
도 4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제 2 방법을 나타낸다. 초회패킷용의 무선 리소스가 소정의 빈도로 미리 고정적으로 확보되는 점에서, 본 방법은 제 1 방법과 공통한다. 그러나, 재송패킷용의 무선 리소스가, 사전에는 확보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동적으로 할당되는 점에서, 본 방법은 제 1 방법과 다르다. 초회패킷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은, 하향 L1/L2 제어신호가 없어도 유저장치에 기지이지만, 재송패킷에 대해서는 하향 L1/L2 제어신호로 필요에 따라서 통지될 필요가 있다.
재송패킷에 대해서, 무선 리소스의 시그널링이 수행되므로,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으로 최대 재송회수분의 무선 리소스를 사전에 확보할 필요는 없어진다.
도 5는 제 2 방법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재송패킷에 대해서 동적인 스케줄링이 수행되는 점에서, 변형예는 도 4의 방법과 공통한다. 그러나, 토크기간과 사일런트 기간에서 무선 리소스를 확보하는 빈도가 다른 점에서, 변형예는 도 4의 방법 과 다르다. 도 5의 예에서는, 토크기간에서는 20ms마다 무선 리소스가 확보되어 있지만, 사일런트 기간에서는 160ms마다 이외는 무선 리소스가 확보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도 4의 예의 경우와는 다르게, 도 5의 예에서는 미사용 리소스는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게 되고, 리소스의 유효이용에 기여할 수 있다.
도 6은 제 2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의 경우와 동일하게, 단계 S1에서는, 적용되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구체적 내용(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개시 타이밍, 무선 리소스의 할당빈도, 무선 리소스에 사용되는 전송포맷 등)이 유저장치로 통지된다.
단계 S2에서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을 개시하는 의미의 통지에 대한 응답이 이루어진다.
단계 S3에서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으로 예약이 끝난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초회의 어느 음성패킷이 유저장치로 전송된다. 단계 S4에서는 유저장치는 ACK를 반송하고 있다.
단계 S5에서는, 예약이 끝난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초회의 다른 음성패킷이 유저장치로 전송된다. 도시의 예에서는 유저장치는 단계 S6에서 NACK을 반송하고 있다.
단계 S7에서는 기지국은, NACK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과거에 송신한 음성패킷을 재송한다. 이 재송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 리소스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으로 사전에 예약되어 있지 않다.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아닌 통상의 스케줄링으로, 재송패킷에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가 결정된다. 결정된 내용은, 하향 L1/L2 제어신호로 유저장치로 통지된다. 유저장치는, 하향 L1/L2 제어신호를 복조함으로써, PDSCH의 어디로 재송패킷이 맵핑되어 있는지를 특정하고, 자장치 앞으로의 재송패킷을 추출한다. 도시의 예에서는 재송패킷은 양호하게 수신되며, 단계 S8에서 ACK가 기지국으로 반송된다.
단계 S9에서는, 예약이 끝난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초회의 다른 음성패킷이 유저장치로 전송된다.
이후 동일한 수순이 반복된다. 단, 도 5에 도시되는 변형예의 경우에는, 단계 S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토크기간 및 사일런트 기간의 전환을 나타내는 통지신호가, 유저장치로 통지된다. 통지신호는, 도시의 예에서는 MAC 컨트롤 메시지이지만, 하향 L1/L2 제어신호여도 좋다. L3 제어정보로 통지하는 것도 이론상은 가능하지만, 신속하게 전환을 통지하는 관점에서는, MAC 컨트롤 메시지 또는 하향 L1/L2 제어신호로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지신호는, 초회 또는 재송의 음성패킷과 함께 전송되어도 좋으며, 음성패킷과는 별도로 전송되어도 좋다. 토크기간 및 사일런트 기간의 전환이 몇 시(timing)에 이루어지는가에 대해서는, 하향송신버퍼의 패킷량 등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제 2 방법의 변형예(도 5)에서는, 사일런트 기간에서는, 토크기간보다 긴 주기 외에는 확보되어 있지 않은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배경잡음 등의 정보가 유저장치로 전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상향링크에도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토크기간 및 사일런트 기간의 전환이 몇 시인지는, 유저장치가 상향송신 버퍼의 패킷량 등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 통지하게 된다. 도 6에서는 토크기간에서 사일런트 기간으로 이행하는 상태 외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사일런트 기간에서 토크기간으로 이행하는 경우도, MAC 컨트롤 메시지 등으로 통지가 이루어진다.
제 2 방법에 따르면, 재송패킷에 대해서,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으로 최대 재송회수분의 무선 리소스를 일률적으로 확보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에 따르면, 토크기간 및 사일런트 기간을 구별하면서, 초회패킷의 무선 리소스를 확보하므로, 초회패킷에 사용되는 무선 리소스에 대해서도 유효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7은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제 3 방법을 나타낸다. 토크기간 중의 초회패킷용의 무선 리소스가 소정의 빈도로 미리 고정적으로 확보되는 점에서, 본 방법은 제 1 방법과 공통한다. 토크 및 사일런트 기간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재송패킷용의 무선 리소스가 사전에는 확보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동적으로 할당되는 점에서, 본 방법은 제 2 방법과도 공통한다. 사일런트 기간에는, 초회패킷조차에서도 무선 리소스는 필요에 따라서 동적으로 할당되는 점에서, 본 방법은 다른 방법과 다르다. 바꿔 말하면, 제 3 방법에서는, 토크기간의 초회패킷용의 무선 리소스 외에는 사전에는 확보되지 않고, 토크기간의 재송패킷 및 사일런트 기간의 모든 패킷에 대한 무선 리소스는, 퍼시스턴트가 아닌 통상의 스케줄링으로 동적으로 결정된다.
도 8은 제 3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의 경우와 동일하게, 단계 S1에서는, 적용되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구체적 내용(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개시 타이밍, 무선 리소스의 할당빈도, 무선 리소스에 사용되는 전송포맷 등)이 유저장 치로 통지된다.
단계 S2에서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을 개시하는 의미의 통지에 대한 응답이 이루어진다.
단계 S3에서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으로 예약이 끝난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초회의 어느 음성패킷이 유저장치로 전송된다. 단계 S4에서는 유저장치는 ACK를 반송하고 있다.
단계 S5에서는, 예약이 끝난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초회의 다른 음성패킷이 유저장치로 전송된다. 도시의 예에서는 유저장치는 단계 S6에서 NACK를 반송하고 있다.
단계 S7에서는 기지국은, NACK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과거에 송신한 음성패킷을 재송한다. 이 재송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 리소스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으로 사전에 예약되어 있지 않다.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아닌 통상의 스케줄링으로, 재송패킷에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가 결정된다. 결정된 내용은, 하향 L1/L2 제어신호로 유저장치로 통지된다. 유저장치는, 하향 L1/L2 제어신호를 복조함으로써, PDSCH의 어디로 재송패킷이 맵핑되어 있는지를 특정하고, 자장치 앞으로의 재송패킷을 추출한다. 도시의 예에서는 재송패킷은 양호하게 수신되며, 단계 S8에서 ACK가 기지국으로 반송된다.
단계 S9에서는, 예약이 끝난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초회의 다른 음성패킷이 유저장치로 전송된다.
단계 S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토크기간 및 사일런트 기간의 전환을 나타 내는 통지신호가, 유저장치로 통지된다. 통지신호는, 도시의 예에서는 MAC 컨트롤 메시지이지만, 하향 L1/L2 제어신호여도 좋다. 본 방법이 상향링크에 적용되는 경우, 토크기간 및 사일런트 기간의 전환이 몇 시인지는, 유저장치가 상향송신버퍼의 패킷량 등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 통지하게 된다.
사일런트 기간에는, 초회패킷에도 재송패킷에도 무선 리소스는 사전에는 확보되어 있지 않고, 그들에 대한 무선 리소스는 퍼시스턴트가 아닌 스케줄링으로 동적으로 할당된다. 그와 같은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배경잡음 등의 정보가 유저장치로 전송된다.
단계 S20에서는, 배경잡음과 같은 정보를 통신상대에 송신할 필요가 발생한 것에 따라서, 그것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리소스가 스케줄링으로 동적으로 결정된다. 결정된 내용은, 하향 L1/L2 제어신호로 유저장치로 통지된다. 유저장치는, 하향 L1/L2 제어신호를 복조함으로써, PDSCH의 어디로 자장치 앞으로의 패킷이 맵핑되어 있는지를 특정하고, PDSCH로부터 그것을 추출한다. 이후, 초회패킷 또는 재송패킷을 전송할 필요가 생긴 시점에서, 동적인 스케줄링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며, 하향 L1/L2 제어신호에 의한 시그널링을 거쳐 유저장치로 패킷이 전송된다.
도 8에서는 토크기간에서 사일런트 기간으로 이행하는 상태 이외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사일런트 기간에서 토크기간으로 이행하는 경우도, MAC 컨트롤 메시지 등으로 통지가 이루어진다.
제 3 방법에 따르면, 재송패킷에 대하여 무선 리소스를 사전에 확보하지 않 으므로, 최대 재송회수에 맞춰서 많은 무선 리소스를 사전에 확보하지 않아도 좋다. 사일런트 기간에는 재송패킷뿐 아니라, 초회패킷에 대해서조차 무선 리소스는 사전에 확보되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본 방법에서는, 토크기간의 초회패킷 이외의 모든 패킷에 대하여(모든 재송패킷 및 사일런트 기간의 초회패킷에 대해서), 무선 리소스를 동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시그널링이 필요해지며, 제 1 및 제 2 방법의 경우보다도, 시그널링의 오버헤드가 많아지는 것이 염려될지도 모른다.
한편, 사일런트 기간의 유저의 패킷전송의 빈도는, 토크기간에서의 빈도보다 꽤 적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그것은 1/8정도밖에 없다. 따라서 사일런트 기간에 동적인 스케줄링을 수행하였다고 하여도, 그 빈도는 꽤 작게 측정될 수 있으며, 시그널링의 오버헤드의 증가는 제 2 방법의 변형예(도 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여도 좋다. 바꿔 말하면,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의한 오버헤드의 절약은, 패킷이 빈번하게 생기는 토크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본 제 3 방법에 따르면, 토크기간에 가장 빈번하게 생기는 초회패킷에 대해서 사전에 무선 리소스를 확보하고, 다른 패킷에 대해서는 그 때마다 스케줄링으로 할당하도록 함으로써, 오버헤드의 절약 및 무선 리소스의 유효 활용의 쌍방을 도모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제 1 방법(도 2) 및 제 2 방법(도 4)에서는, 토크기간 및 사일런트 기간을 구별하지 않고 무선 리소스를 소정의 기간마다 확보하고 있다. 제 1 방법에서는 초회패킷 및 재송패킷 쌍방에 대해서, 제 2 방법에서는 초회패킷에 대해서 특정의 유저로 무선 리소스가 사전에 확보되어 있다. 예를 들면,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대 상이 되는 유저 A로 리소스 블럭 A가, 유저 B로 리소스 블럭 B가 20ms마다 확보된다. 확보된 리소스 블럭 A는, 토크기간에서는 유저 A로 할당되지만, 사일런트 기간에 유저 A로 할당되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 A 이외의 유저 C로 할당되어도 좋다. 유저 C가 누구인지는 퍼시스턴트가 아닌 스케줄링으로 동적으로 정해진다. 동일하게, 확보된 리소스 블럭 B는, 토크기간에는 유저 B로 할당되지만, 사일런트 기간에 유저 B로 할당되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 B 이외의 유저 C로 할당되어도 좋다. 사일런트 기간에, 리소스 블럭 A를 유저 A 이외의 유저 C로, 또는 리소스 블럭 B를 유저 B 이외의 유저 C로 할당하는 것은, 리소스의 유효이용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만,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잠깐 동안에 그와 같은 동적인 할당을 수행하는 것은, 처리의 복잡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편, 발성하는 기간에 대응하는 토크기간과, 침묵 또는 청취기간에 대응하는 사일런트 기간은, 1대1의 비율로 발생하는 것이 통계적으로 예상된다. 리소스 블럭 A, B의 관점에서 말하면, 리소스 블럭 A는 50% 정도의 확률로 유저 A에 할당되기 쉽고, 50% 정도의 확률로 유저 C로 동적으로 할당되기 쉽게 된다. 또한, 리소스 블럭 B는 50% 정도의 확률로 유저 B로 할당되기 쉽고, 50% 정도의 확률로 유저 C로 동적으로 할당되기 쉽게 된다. 따라서, 유저 A, B의 패킷이 발생하는 타이밍이 겹치지 않으면, 이론상, 사전에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는 리소스 블럭은 하나 분으로 충분하다. 타이밍이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에는, 유저 A, B 뿐 아니라,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다수의 유저를 고려하면 좋다. 유저수가 증가할수록 패킷의 발생 타이밍이 시간적으로 분산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 의 제 4 형태에서는, 그와 같은 고찰에 기초하여, 상기의 동적인 할당이 회피된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6개의 리소스 블럭 A, B, C, D, E, F가,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10인의 유저에 대하여 준비된다. 이들의 유저 각각은, 리소스 블럭 A-F 각각에 대한 복조를 수행하고, 어느 하나로부터 얻어진 유의의 정보를 취득한다(블라인드 검출이 수행된다). 상기의 고찰에서는 10인의 유저에 대하여, 리소스 블럭을 5개 준비하면 좋은 것이 되지만, 각 유저의 패킷의 발생은 시간적으로 완전하게 분산하지 않을지도 모르므로, 약간의 여유(리소스 블럭 하나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방법에 따르면,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유저에 대하여, 사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복수의 후보로서 준비하고, 유저장치에서 블라인드 검출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의 삭감 및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형태를 실현하는 것에 사용되는 기지국장치 및 유저장치가 설명된다.
(기지국장치)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도 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는, 송수신 안테나(202)와, 앰프부(204)와, 송수신부(206)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와, 리소스 관리부(210)와, 전송로 인터페이스(212), 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1)하향의 처리와 (2)상향의 처리를 나누어서 설명한다.
(1)하향링크에 의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이동국(100n)으로 송신되는 유저 데이터는, 기지국장치(200)의 상위에 위치하는 상위국(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으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로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서는, 유저 데이터의 분할ㆍ결합, RLC(radio link control) 재송제어의 송신처리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처리, MAC(Medium Access Control) 재송제어, 예를 들면 HARQ의 송신처리, 스케줄링, 전송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등이 수행되며, 처리 후의 신호가 송수신부(206)로 전송된다. 또한,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물리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신호에 관해서도, 채널 부호화나 역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송신처리가 수행되며, 송수신부(206)로 전송된다. 송수신부(206)에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가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되도록 주파수 변환 처리가 수행되며, 그 후 신호는 앰프부(204)에서 증폭되어 송수신 안테나(202)에 의해 송신된다.
(2)기지국장치(200)는 상향링크에서 이동국(100n)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송수신 안테나(202)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204)에서 증폭되며, 송수신부(206)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되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로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서는, 입력된 베이스밴드 신호에 포함되는 유저 데이터에 대하여, FFT 처리, 오류정정복호, MAC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RLC 레이어의 수신처리가 이루어지며, 처리 후의 신호는 전 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로 전송된다.
리소스 관리부(210)는, 통신채널의 설정이나 해방 등의 호처리나, 무선 기지국(200)의 상태관리나, 무선 리소스의 관리를 수행한다. 리소스 관리부(210)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을 수행하는지 아닌지, 그것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의 제 1 내지 제 3 방법 내 어느 방법으로 수행하는지, 사전에 확보되는 무선 리소스 등의 관리를 수행한다. 토크기간과 사일런트 기간을 구별하면서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수행되는 경우(제 2 방법의 변형예 또는 제 3 방법의 경우), 토크기간 및 사일런트 기간의 전환을 유저장치로 통지할 필요가 있다. 전환의 요부는 송신버퍼 중의 패킷량 등에 기초하여 이루어져도 좋다. 그 전환이, MAC 컨트롤 메시지로 통지되는 경우에는, 전환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 MAC 처리부(2083)(도 10)로 통지된다. 전환이, L1/L2 제어신호로 통지되는 경우에는, 전환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 레이어 1 처리부(2081)(도 10)로 통지된다.
도 10을 참조하면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는, 레이어 1 처리부(2081)와, MAC 처리부(2082)와, RLC 처리부(2083)를 포함한다.
RLC 처리부(2083)에서는,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에 관한 분할ㆍ결합, RLC 재송제어의 송신처리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처리나, 상향링크의 데이터에 관한, 분할ㆍ결합, RLC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등의 RLC 레이어의 수신처리가 수행된다.
MAC 처리부(2082)는, 하향링크의 유저 데이터의 MAC 재송제어, 예를 들면 HARQ의 송신처리나, 스케줄링 처리, 전송포맷의 선택처리,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처리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케줄링 처리는, 어느 서브프레임의 하향링크에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유저 데이터의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을 선별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전송포맷의 선택처리는, 스케줄링에 의해 선별된 이동국이 수신하는 유저 데이터의 변조방식이나 부호화율,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변조방식, 부호화율, 데이터 사이즈의 결정은, 예를 들면, 이동국으로부터 상향링크에 있어서 보고되는 CQI의 양부 등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처리는, 스케줄링에 있어서 선별된 이동국이 수신하는 유저 데이터에 이용되는 리소스 블럭을 결정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리소스 블럭의 결정은, 예를 들면, 이동국으로부터 상향링크에 있어서 보고되는 CQI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그리고, MAC 처리부(2082)는, 상술한 다양한 처리(스케줄링 처리, 전송포맷의 선택처리,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처리)에 의해 결정되는 물리하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나, 그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를 레이어 1 처리부(2081)로 통지한다.
토크기간 및 사일런트 기간의 전환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 리소스 관리부(210)로부터 통지된 경우, MAC 처리부(2082)는, 전환을 나타내는 MAC 컨트롤 메시지를 작성하고, 그것을 레이어 1 처리부(2081)로 전송하고, 그것이 유저장치로 통지되도록 한다.
또한, MAC 처리부(2082)는, 상향링크의 유저 데이터의 MAC 재송제어의 수신처리나, 스케줄링 처리, 전송포맷의 선택처리,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처리 등을 수 행한다. 여기서, 스케줄링 처리는, 어느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유저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을 선별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전송포맷의 선택처리는, 스케줄링에 있어서 선별된 이동국이 송신하는 유저 데이터에 관한 변조방식이나 부호화율,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변조방식, 부호화율, 데이터 사이즈의 결정은, 예를 들면, 이동국으로부터 상향링크에 있어서 송신하는 사운딩용 레퍼런스 신호의 SIR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처리는, 스케줄링에 있어서 선별된 이동국이 송신하는 유저 데이터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소스 블럭을 결정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리소스 블럭의 결정은, 예를 들면, 이동국으로부터 상향링크에 있어서 송신하는 사운딩용 레퍼런스 신호의 SIR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그리고, MAC 처리부(2082)는, 상술한 다양한 처리(스케줄링 처리, 전송포맷의 선택처리,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처리)에 의해 결정되는 물리상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나, 그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를 레이어 1 처리부(2081)로 통지한다.
레이어 1 처리부(2081)에서는, 하향링크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채널 부호화나 IFFT 처리, 상향링크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의 채널 복호화나 FFT 처리 등이 수행된다. 여기서, 송신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웹 브라우징(Web browsing)이나 필드전송 프로토콜(FTP), 음성패킷(VoIP) 등에 의한 IP 패킷이나, 무선 리소스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의 처리를 위한 제어신호 등이다. 또한, 상기 유저 데이터는, 논리채널로서의 부르는 방법은, 예를 들면, DTCH나 DCCH이다.
레이어 처리부(2081)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물리하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나, 그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등),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물리상향링크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나, 그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등)을 MAC 처리부(2082)로부터 수취한다. 또한, 레이어 처리부(2081)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스케줄링 정보에 대하여, 채널부호화나 IFFT 처리 등의 송신처리를 수행한다.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스케줄링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어느 물리하향링크 제어채널로 맵핑된다.
토크기간 및 사일런트 기간의 전환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 리소스 관리부(210)로부터 통지된 경우, 레이어 1 처리부(2081)는, 전환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L1/L2 제어신호를 작성하고, 그것이 유저장치로 통지되도록 한다.
(유저장치)
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100n)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에는, 송수신 안테나(102)와, 앰프부(104)와, 송수신부(106)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와, 어플리케이션부(110)가 도시되어 있다.
하향링크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102)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104)에서 증폭되며, 송수신부(106)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다. 이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서 FFT 처리나, 오류정정복호,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등이 이루어진다. 상기 하향링크 의 데이터 내, 하향링크의 유저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부(110)로 전송된다. 어플리케이션부(110)는, 물리 레이어나 MA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하향링크의 데이터 내, 알림정보도, 어플리케이션부(110)로 전송된다.
한편, 상향링크의 유저 데이터에 대해서는, 어플리케이션부(110)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로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서는, 재송제어(HARQ)의 송신처리, 채널부호화, IFFT 처리 등이 수행되어 송수신부(106)로 전송된다. 송수신부(106)에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처리가 실시되며, 그 후의 신호는 앰프부(104)에서 증폭되어 송수신 안테나(102)에 의해 송신된다.
도 12를 참조하면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는, 레이어 1 처리부(1081)와, MAC 처리부(1082), 를 포함한다.
레이어 1 처리부(1081)는, 일반적으로는, 하향 L1/L2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며, 그 복호결과를 MAC 처리부(1082)로 송신한다.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수행되는 경우, 사전에 확보되어 있는 하향무선 리소스로 신호가 수신된다.
레이어 1 처리부(1081)는, 어느 서브프레임의 상향링크에 있어서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MAC 처리부(1082)로부터 유저 데이터를 수취한다. 레이어 1 처리부(1081)는, 그 유저 데이터에 관하여, 부호화나 데이터 변조 등의 처리나 DFT 처리, 서브캐리어 맵핑 처리, IFFT 처리 등을 수행하며, 그들을 베이스밴드 신호로서 송수신부로 송신한다.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수행되는 경우, 사전에 확보되어 있는 상향무선 리소스로 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있어서의 리소스의 할당이, 상기의 제 4 실시형태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경우, 무선 리소스의 후보 모두에 대해서 변조 및 복호가 수행되며, 어느 후보로부터 유의의 정보가 취득된다.
레이어 1 처리부(1081)는, 어느 서브프레임의 상향링크에 있어서 제어채널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그 제어신호(예를 들면, CQI나 송달확인정보)에 관하여, 채널부호화 처리, 데이터 변조처리, 이산 푸리에 변환(DFT) 처리, 서브캐리어 맵핑처리, IFFT 처리 등을 수행하며, 그들을 베이스밴드 신호로서 송수신부로 송신한다.
MAC 처리부(1082)는, 레이어 1 처리부(1081)에 의해 수신한 물리하향링크 제어채널의 복호결과에 기초하여, 하향링크의 유저 데이터의 MAC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등을 수행한다. 즉, 하향링크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통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신한 유저 데이터에 관하여 복호를 수행하며, 유저 데이터의 신호가 오류가 있는지 아닌지의 CRC 체크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CRC 체크의 결과에 기초하여 송달확인정보를 생성하고, 레이어 1 처리부(1081)로 통지한다. CRC 체크의 결과가 OK의 경우에는 송달확인정보로서 긍정응답신호(ACK)를 생성하고, CRC 체크의 결과가 NG의 경우에는 송달확인정보로서 부정응답신호(NACK)를 생성한다.
MAC 처리부(1082)는, 레이어 1 처리부(1081)에 의해 수신한 물리하향링크 제 어채널에 포함되는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의 복호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유저 데이터의 송신포맷의 결정이나, MAC 레이어에 있어서의 재송제어 등의 송신처리를 수행한다. 즉, 레이어 1 처리부(1081)에 의해 수신한 물리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 상향링크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허가된 경우에는, 송신하는 유저 데이터에 관하여, 송신포맷의 결정이나 재송제어 등의 송신처리를 수행하며, 그 유저 데이터를 레이어 1 처리부(1081)로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각 실시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예, 수정예, 대체예, 치환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느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각 실시예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인 것이 아니며, 2 이상의 실시예가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어도 좋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럭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지만,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 수정예, 대체예, 치환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7년 5월 1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 2007-121307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수용한다.

Claims (11)

  1.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으로 소정의 기간마다 준비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유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수단과,
    상기 소정의 기간마다 준비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 내, 상기 유저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패킷에 사용되지 않는 무선 리소스를, 상기 유저장치와는 다른 유저장치로 할당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기지국장치.
  2.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장치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특정의 유저장치에 대하여, 상기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으로 소정의 기간마다 무선 리소스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유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기간마다 준비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 내, 상기 유저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패킷에 사용되지 않는 무선 리소스는, 상기 유저장치와는 다른 유저장치로 할당되는 방법.
  3.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로 서,
    상기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으로 소정의 기간마다 준비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유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수단과,
    상기 유저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패킷에 대해서 재송의 요부를 판정하는 수단과,
    재송패킷에 사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지정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L1/L2 제어신호를 작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유저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패킷에 대해서 재송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하향 L1/L2 제어신호가 상기 유저장치로 통지되며, 상기 스케줄링 정보로 지정되는 무선 리소스로 재송패킷이 전송되는 기지국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패킷의 소정의 제 1 기간마다 전송되는 토크기간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크기간이 아닌 경우, 상기 제 1 기간보다 긴 소정의 제 2 기간마다 준비된 무선 리소스로 상기 유저장치와의 통신이 수행되는, 기지국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기간의 개시 또는 종료가, MAC 컨트롤 메시지 또는 하향 L1/L2 제어신호로 상기 유저장치로 통지되는, 기지국장치.
  6.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장치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특정의 유저장치에 대하여, 상기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으로 소정의 기간마다 무선 리소스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유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유저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패킷에 대해서 재송의 요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재송패킷에 사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지정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L1/L2 제어신호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저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패킷에 대해서 재송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하향 L1/L2 제어신호가 상기 유저장치로 통지되며, 상기 스케줄링 정보로 지정되는 무선 리소스로 재송패킷이 전송되는 방법.
  7.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으로 소정의 기간마다 준비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유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수단과,
    상기 유저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패킷이 소정의 기간마다 전송되는 토크기간 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토크기간이 아닌 경우, 상기 유저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패킷에 사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지정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L1/L2 제어신호를 작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토크기간이 아닌 경우, 상기 하향 L1/L2 제어신호가 상기 유저장치로 통지되며, 상기 스케줄링 정보로 지정되는 무선 리소스로 상기 상향 또는 하향 패킷이 전송되는 기지국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기간의 개시 또는 종료가, MAC 컨트롤 메시지 또는 하향 L1/L2 제어신호로 상기 유저장치로 통지되는 기지국장치.
  9.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장치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특정의 유저장치에 대하여, 상기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으로 소정의 기간마다 무선 리소스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유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유저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패킷이 소정의 기간마다 전송되는 토크기간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토크기간이 아닌 경우, 상기 유저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패킷에 사용되는 무선 리소스를 지정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L1/L2 제어신호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토크기간이 아닌 경우, 상기 하향 L1/L2 제어신호가 상기 유저장치로 통지되며, 상기 스케줄링 정보로 지정되는 무선 리소스로 상기 상향 또는 하향패킷이 전송되는 방법.
  10.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로서,
    소정의 기간마다 준비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로 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수단과,
    상기 유저장치 앞으로의 하향패킷이 상기 소정의 기간마다 수신되고 있는 토크기간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토크기간이 아닌 경우, 상기 소정의 기간마다 준비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에 복수의 후보가 있으며, 상기 복수의 후보로 전송된 하향패킷 각각에 대해서 복조처리가 수행되며, 유의의 하향패킷이 추출되는, 유저장치.
  11.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유저장치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소정의 기간마다 준비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로 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와,
    해당 유저장치 앞으로의 하향패킷이 상기 소정의 기간마다 수신되고 있는 토크기간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토크기간이 아닌 경우, 상기 소정의 기간마다 준비되어 있는 무선 리소스에 복수의 후보가 있으며, 상기 복수의 후보로 전송된 하향패킷 각각에 대해서 복조 처리가 수행되며 유의의 하향패킷이 추출되는 방법.
KR20097024740A 2007-05-01 2008-04-28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Ceased KR201000174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21307 2007-05-01
JP2007121307A JP5069040B2 (ja) 2007-05-01 2007-05-01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418A true KR20100017418A (ko) 2010-02-16

Family

ID=4000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24740A Ceased KR20100017418A (ko) 2007-05-01 2008-04-28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265030B2 (ko)
EP (1) EP2146514A4 (ko)
JP (1) JP5069040B2 (ko)
KR (1) KR20100017418A (ko)
CN (1) CN101690373A (ko)
AU (1) AU2008249265A1 (ko)
BR (1) BRPI0811179A2 (ko)
RU (1) RU2009142533A (ko)
WO (1) WO20081399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841A (ko) * 2012-12-19 2015-07-2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단말기, 무선 기지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8734B2 (ja) * 2007-02-02 2011-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方法、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
US8064390B2 (en) 2007-04-27 2011-11-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Uplink scheduling and resource allocation with fast indication
JP4940115B2 (ja) * 2007-07-13 2012-05-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および無線基地局
CN101488906B (zh) 2008-01-14 2011-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实时业务传输的资源分配方法、实时业务传输方法
US8908578B2 (en) 2008-12-22 2014-12-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questing and allocating uplink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510598C2 (ru) * 2009-02-09 2014-03-27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 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WO2010101439A2 (en) * 2009-03-05 2010-09-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system information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308976B2 (ja) * 2009-09-28 2013-10-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無線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5812114B (zh) * 2009-10-05 2019-08-0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载波聚合的方法和装置
JP5890673B2 (ja) * 2011-12-07 2016-03-22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
EP2645799B1 (en) * 2012-03-26 2015-10-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redictive EUL scheduling based on service awareness
US11304228B2 (en) 2017-03-08 2022-04-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tilization of unused long-term UL assignmen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3432B1 (en) 2001-01-12 2003-05-13 Safegate International Ab Aircraft docking system and method with automatic checking of apron and detection of fog or snow
US7822059B2 (en) * 2005-07-27 2010-10-26 Atheros Communications, Inc. Managing contention-free time allocations in a network
US8385273B2 (en) * 2006-05-01 2013-02-26 Ntt Docomo, Inc. Mobile station,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8064390B2 (en) * 2007-04-27 2011-11-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Uplink scheduling and resource allocation with fast ind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841A (ko) * 2012-12-19 2015-07-2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단말기, 무선 기지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39923A1 (ja) 2008-11-20
JP2008278343A (ja) 2008-11-13
RU2009142533A (ru) 2011-06-10
EP2146514A1 (en) 2010-01-20
US8265030B2 (en) 2012-09-11
AU2008249265A1 (en) 2008-11-20
CN101690373A (zh) 2010-03-31
JP5069040B2 (ja) 2012-11-07
BRPI0811179A2 (pt) 2014-10-29
EP2146514A4 (en) 2014-12-31
US20100150087A1 (en)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904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JP5119235B2 (ja)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8817768B2 (en) Mobile station,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8036110B2 (en) Base station apparatus, user equipment, and method use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3220108B (zh) 移动台和基站装置
JP5116758B2 (ja) 基地局装置、移動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制御方法
JPWO2008105310A1 (ja)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WO2009022822A2 (en) Method of data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803261A (zh) 移动设备在无线通信网络中传输信道质量指示符(cqi)的方法和系统
WO2014046715A1 (en) Inter-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591849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マシン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03493559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用于减轻小区间干扰的信号的方法及其装置
JP5511383B2 (ja) 基地局装置及び移動局装置
JP5052599B2 (ja) 送達確認情報送信方法、基地局装置、およびユーザ装置
JP2010045549A (ja) 移動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方法
JP505306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及び方法
WO20100701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for multi-user, multi-input/multi-output capable communication de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97206A (ko)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CN103326847A (zh) 发送装置和接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3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3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