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15246A -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저장장치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저장장치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5246A
KR20100015246A KR1020080076201A KR20080076201A KR20100015246A KR 20100015246 A KR20100015246 A KR 20100015246A KR 1020080076201 A KR1020080076201 A KR 1020080076201A KR 20080076201 A KR20080076201 A KR 20080076201A KR 20100015246 A KR20100015246 A KR 20100015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formation
unit
storage device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6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5246A/ko
Priority to US12/512,847 priority patent/US8819315B2/en
Publication of KR20100015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24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 G06F13/12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where hardware performs an I/O function other than control of data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22Control panels
    • G11B19/025'Virtual' control panels, e.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저장장치 및 그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장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사용자의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대표할 표시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쉽게 구분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저장장치, 표시정보, 메모리

Description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저장장치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Storage device with display unit, method of displaying an information}
본 발명은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저장장치 및 그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관련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로 메모리 디바이스의 단가가 크게 인하됨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들이 여러개의 저장장치를 보유하거나 휴대하여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저장장치 중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로 USB 메모리나 메모리 카드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저장장치의 가격이 매우 저렴해짐에 따라 여러개의 저장장치에 서로 다른 성격의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등 복수개의 저장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저장장치에는 디지탈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한 사진을 저장하고, 다른 저장장치에는 회사 프로젝트 관련 문서를 저장하고, 또 다른 저장장치에는 음악이나 동영상 등 자신의 취미와 관련된 파일을 저장하는 등 여러가지 저장장치에 여러가지 종류의 정보를 다양하게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복수개의 저장장치에 정보를 분산하여 저장하면, 어떤 정보가 어느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들 저장장치를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그 디렉토리나 파일을 탐색해 보아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저장장치에 어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가 번거롭다.
한편,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기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그 저장된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저장장치는 그 저장된 정보를 그대로 보여줄 뿐이어서, 그 저장장치에 어떤 종류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가를 한눈에 쉽게 확인하기가 어렵다. 즉,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MP3 플레이어 등에 저장된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의 리스트를 그대로 보여줄 뿐 이를 대표할 수 있는 정보를 별도로 추출하거나 선택하여 보여주는 것은 아니므로,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단번에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대표할 수 있는 표시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저장장치와 그 표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데이터 저장부; 및 사용자의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대표할 표시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거나 교환하기 위해 타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검색 이력이나 사용자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대표할 표시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출된 표시 정보를 상기 타 디바이스와의 연결없이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대표할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된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보여주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정보의 검색 이력이나 사용자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대표할 표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표시 정보를 타 디바이스와의 연결없이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정보를 보여주는 저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저장장치는 데이터 저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제어부(130) 및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부(110)는 사용자가 저장하고자 하는 여러가지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한다. 사용자 데이터는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일예로 문서파일, 그림파일,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등 어떠한 형태의 데이터도 가능하며 복수의 폴더로 구분된 디렉토리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데이터 저장부(11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구조는 일반적인 저장장치에서 사용하는 여러가지 데이터 구조를 모두 채용할 수 있다. 폴더를 구비한 디렉토리 형태의 데이터 구조의 일예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BCD(Bistable Cholesteric Display) 등 과 같은 여러가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의 내용 또는 제목 등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저장장치와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에 따른 결과나 응답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저장장치에 구비된 버튼이나 스위치 등 여러가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도 있다.
여기서, BCD 소자는 전원이 꺼져도 자체 발광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장치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LCD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디스플레이부(120)가 꺼지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LCD 스크린을 터치할 때마다 디스플레이부(120)의 ON/OFF가 바뀌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는 컴퓨터 등과 같은 타 디바이스와의 연결없이 독립적으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20)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에 관한 사항을 보여주는 기본적인 기능외에,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대표할 수 있는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시 정보는 사용자가 원하는 여러가지 정보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대표할 수 있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예컨데, 저장장치에 주로 가족여행 사진이 저장되어 있다면 표시정보는 "2006년도 가족여행"이 될 수 있고, 업무관련 여러가지 참고문서가 저장되어 있다면 표시정보는 "업무자료"가 될 수 있다. 즉, 저장된 정보의 성격이나 명칭 등을 참고하여 이를 대표할 수 있는 명칭을 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정할 수도 있다. 저장장치에 저장된 여러가지 정보로부터 표시정보를 추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이렇게 추출된 표시정보는 별도의 소형 밧데리를 구비하여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디바이스와 연결없이도 디스플레이부(120)를 구동하여 보여질 수 있으며, 별도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표시 정보가 보여질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저장장치와는 달리 호스트 디바이스에 연결하여 내용을 탐색하지 않아도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관련정보를 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MP3 플레이어나 PMP 와는 달리 저장된 데이터 리스트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이를 대표할 표시정보가 추출되고 추출된 표시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BCD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원 공급없이 자체 발광에 의해 표시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디스플레이부(120)가 꺼져 전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20)를 터치할 때마다 디스플레이부(120)의 ON/OFF가 바뀌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장치가 컴퓨터나 기타 호스트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그 저장장치의 데이터 저장부(110)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의 검색 이력이나, 사용자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데이터 저장부(110)에 저장된 정보를 대표할 표시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표시정보는 디스플레이부(120)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표시 정보의 추출은 다양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부(110)에 기록된 최상위 폴더의 이름정보에서 표시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최상위 폴더의 명칭은 일반적으로 그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대표할 수 있도록 명명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최상위 폴더가 아니라 특정 폴더의 명칭을 표시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즉, 특정한 폴더의 명칭이 그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의 특징을 대표할 수도 있으므로 이를 표시정보로 추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예로는 저장장치를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디바이스에 연결하여 데이터 저장부(110)를 검색하다가 검색을 완료한 후 저장장치를 호스트에서 분리하기 바로 직전에 탐색한 폴더의 이름정보에서 표시정보를 추출하거나, 혹은 사용자가 임의의 제목을 표시정보로 선정할 수도 있다.
즉, 어떤 정보를 표시 정보로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보여줄 것인가 하는 것은 제어부(130)가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저장장치가 아닌 타 기기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표시정보의 추출과정은 타 기기에서 수행되고, 본 발명의 저장장치는 타 기기로부터 수신된 표시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수동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는 데이터 저장부(110)의 내용을 검색하거나 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이들 타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저장장치가 USB 메모리인 경우에는 USB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메모리 카드인 경우에는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저장장치를 액세스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USB 인터페이스, 카드 인터페이스 외에 IEEE1394, 시리얼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부(140)는 여러가지 다양한 인터페이스로 구현 가능하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40)는 제어부(130)를 제어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어부(1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저장장치 외부에 제어버튼과 같은 제어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저장장치는 타 디바이스와 연결하여 제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직접 본 발명의 저장장치를 탐색하여 표시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표시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고, 타 디바이스와 연결하여 제어부(130)를 제어함으로써 표시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장치는 지문 인식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문 인식부는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위한 것으로 사용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지문 인식부를 통해 사용자를 등록하고, 이후 지문 인식부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 대조하여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에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저장장치가 구현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장장치(210)를 메모리 카드 형태로 구현하는 경우, 외형적으로는 디스플레이부(220) 및 인터페이스부(230)가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방법에 따라, 저장장치(210)에 저장된 정보의 표시 정보가 추출된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부(220)를 통 해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저장장치(210)에 저장된 정보가 대부분 2006년도 가족여행시 찍었던 사진이라고 하면, 디스플레이부(220)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006년도 가족여행" 이라는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2006년도 가족여행"이라는 표시 정보가 추출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장치(210)의 최상위 폴더의 명칭이 "2006년도 가족여행"이라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가 최상위 폴더 명칭으로부터 표시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표시정보를 정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이 저장장치에는 올해 가족여행시 찍은 사진을 저장하겠다는 의도로 미리 "2006년도 가족여행"이라는 정보를 표시 정보로 설정할 수도 있고, 자동적으로 표시 정보가 설정된 이후에도 사용자가 이를 변경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에 표시 정보 추출엔진을 탑재시켜 표시 정보의 추출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저장된 파일이름을 참조하여 공통적인 속성을 발견하여 표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된 파일의 생성일이 대부분 2006년도라는 점을 바탕으로 "2006년도"라는 단어를 추출하고, 파일이름이 "dad", "mom", "family" 등이라는 점을 바탕으로 "가족여행"이라는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표시 정보는 도 2를 참조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저장장치 자체의 제어부(130)가 추출한 표시정보 또는 타 기기로부터 수신된 표시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일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시정보가 추출되면 먼저 이를 디스플레이부(120)로 전달한다. 이 과정에서 표시정보의 제목과 관련된 이미지 등을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 정보의 디스플레이도 여러가지 효과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목이나 이미지를 계속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흘러가는 텍스트로 보여줄 수도 있고 깜빡깜빡하도록 보여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여러가지 효과나 설정은 제어부(130)를 통해 제어 가능하며, 저장장치에 구비된 버튼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한 사용자와 인터랙션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저장장치와 연결된 타 디바이스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에 적용될 수 있는 표시정보 추출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의 검색 이력이나 사용자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대표할 표시 정보를 추출한다(S310). 표시 정보 추출의 구체적인 여러가지 일예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즉, 추출된 표시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하거나,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 중 최상위 폴더의 이름정보나 마지막 탐색 폴더 이름 정보에서 표시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된 표시 정보를 타 호스트 디바이스와의 연결없이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S320).
이때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예로 인터페이스 부(140)를 통해 컴퓨터를 연결한 후 컴퓨터를 통해 제어부(130)에 사용자 조건을 설정하거나 제어부(130)가 표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의 제목(title)을 제어부(130)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설정하는 조건은 표시 정보 추출 방법을 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표시정보 추출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저장장치가 USB 메모리에 적용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저장장치로써 가장 많이 사용되고 흔히 접할 수 있는 것으로 USB 메모리를 들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장치가 USB 메모리와 같은 저장장치(260)인 경우에도 인터페이스부(250)만 달라질 뿐 표시 정보의 추출이나 호스트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 등은 인터페이스부(250)의 형태에 무관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에 따라 추출된 "2006년도 가족여행"이라는 표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됨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인터페이스부(230, 250)가 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USB 인터페이스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USB 메모리, SD 카드 메모리, 메모리 스틱과 같은 여러가지 휴대용 저장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저장장치의 인터페이스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장치는 이러한 USB 인터페이스, SD 카드 인터페이스 등의 인터페이스부(230, 250) 외에 RF 모듈,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RF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탐색할 수도 있고, 표시정보의 결정이나 변경시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의 탐색이나 표시정보의 결정,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표시 정보 추출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본 발명의 저장장치가 디렉토리 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여러가지 정보를 폴더의 형태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다고 하면, 일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료구조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정보는 일예로 최상위 폴더(410)의 이름을 바탕으로 추출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저장장치가 호스트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정보를 탐색하다가 호스트로부터 분리하기 바로 직전에 탐색한 폴더(420)의 이름을 바탕으로 추출될 수도 있다. 즉, 마지막까지 탐색을 하여 데이터를 확인하였다는 것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았다고도 볼 수 있으므로 이를 표시 정보로 결정하여 디스플레이하면 사용자는 이를 쉽게 기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장치에서 표시정보를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장치(500)는 추가적으로 사용자 조작부(510), 영상 인식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510)는 저장장치(500)의 각종 기능을 조절하기 위한 부분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의 기능 조절 버튼으로는 저장장치(500)의 온/오프 조절 버튼, 디스플레이부(530)의 온/오프 조절 버튼, 디스플레이부(530)에 표시되는 영상의 전환 버튼 등이 될 수 있다.
만약, 현재 디스플레이부(530)에 특정 표시정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부(510)에 구비된 영상 전환 버튼을 눌러서 디스플레이부(530)에 다른 표시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영상이 전환되는 방식은 사용자 조작부(510)가 터치될 때마다 저장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영상이 토글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해당 인증 정보를 선택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510)의 다른 예로써, 사용자 조작부(510)는 디스플레이부(53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510)가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 조작부(510)는 별도의 버튼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530)를 직접 조작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530)를 이용하는 경우, 저장장치(500)에 저장된 정보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폴더 구조를 디스플레이부(530)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중 하나를 직접 선택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부(530)에 표시되는 표시 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상 인식부(520)는 사용자의 지문, 눈동자(홍채) 또는 다른 특징의 인식을 위한 것으로, 인증 정보를 처리할 때 사용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장치(500)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최초 저장장치(500) 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등록을 위해 영상 인식부(520)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접촉시키면 영상 인식부(520)는 지문에 대한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장치(500)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인증 정보를 추출할 때 저장장치(500)에 저장되어 있는 지문 스캔 이미지와 영상 인식부(5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지문 정보를 대조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사용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 권한 판단 결과, 저장 장치(500)의 소지자가 최초 지문 등록된 사용자가 아니라면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530)에 표시하고 사용을 불허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 인식부(520)는 사용자 조작부(510)에 구비된 버튼의 일부로써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러한 조작부(520)나 전원 관리부(530)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저장장치의 기능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저장장치들 중에서 어떤 정보가 어떤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혹은 자주 이용하는 표시 정보를 몇 개 지정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표시 정보 중에서 원하는 정보를 스크린상에서 직접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표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표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정보를 보여주는 저장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저장장치가 구현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에 적용될 수 있는 표시정보 추출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저장장치가 USB 메모리에 적용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표시정보 추출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장치에서 표시정보를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10 : 데이터 저장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제어부 140 : 인터페이스부

Claims (18)

  1. 데이터 저장부; 및
    사용자의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대표할 표시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출된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설정이 상기 표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저장장치의 타 디바이스와의 연결없이 독립적으로 상기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거나 교환하기 위해 타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기록된 최상위 폴더의 이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장치의 표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검색 도중 상기 저장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분리되기 바로 직전의 폴더의 이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장치의 표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는 USB 메모리,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저장장치와 사용 자와의 인터랙션에 따른 결과나 응답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탐색하거나 확인하고, 상기 표시정보의 효과나 설정에 관한 사항을 입력하는 사용자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부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온/오프 조절을 위한 전원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13.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거나 교환하기 위해 타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검색 이력이나 사용자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대표할 표시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출된 표시 정보를 상기 타 디바이스와의 연결없이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선택이나 설정에 따라, 상기 추출된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기록된 최상위 폴더의 이름정보에서 상기 저장장치의 표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16.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대표할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된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17.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보여주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정보의 검색 이력이나 사용자에 의한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저 장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대표할 표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표시 정보를 타 디바이스와의 연결없이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이나 설정에 따라, 상기 추출된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0076201A 2008-08-04 2008-08-04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저장장치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Ceased KR20100015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201A KR20100015246A (ko) 2008-08-04 2008-08-04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저장장치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US12/512,847 US8819315B2 (en) 2008-08-04 2009-07-30 Storage device with display unit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201A KR20100015246A (ko) 2008-08-04 2008-08-04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저장장치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246A true KR20100015246A (ko) 2010-02-12

Family

ID=4160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201A Ceased KR20100015246A (ko) 2008-08-04 2008-08-04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저장장치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19315B2 (ko)
KR (1) KR201000152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1890B2 (en) * 2010-01-15 2013-04-16 Picofield Technologies, Inc. Electronic imager using an impedance sensor grid array and method of making
US8791792B2 (en) * 2010-01-15 2014-07-29 Idex Asa Electronic imager using an impedance sensor grid array mounted on or about a switch and method of making
US8866347B2 (en) 2010-01-15 2014-10-21 Idex Asa Biometric image sensing
KR101600549B1 (ko) * 2010-02-11 201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간정보에 연계된 정보의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장치
US9323807B2 (en) * 2010-11-03 2016-04-26 Sap Se Graphical manipulation of data objects
EP2958052B1 (en) 2012-04-10 2020-10-07 Idex Asa Biometric sensing
BR112015003849B1 (pt) * 2012-08-23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étodo de transmissão de informação realizado por um dispositivo, dispositivo, método de transmissão de informação realizado por um dispositivo de entrada, e dispositivo de entrada
JP6252138B2 (ja) * 2013-11-29 2017-12-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仲介サーバ
USD785002S1 (en) 2016-02-10 2017-04-25 Maha Abdullah A. Alhasnani Flash drive
US20230116682A1 (en) * 2021-09-29 2023-04-13 Tigris Clemons Multiple Interface External Hard Driv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5745B2 (ja) 1998-01-29 2006-11-15 株式会社Snkプレイモア ゲーム機、及びゲーム機の制御方法
KR20000051236A (ko) 1999-01-20 2000-08-16 서윤득 디지털 오디오 재생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의 표시 방법
US20080261450A1 (en) * 1999-08-04 2008-10-23 Super Talent Electronics, Inc. Portable and retractable flash drive with optional rotary deploying and retracting and fingerprint verification capability
US6720983B1 (en) * 2000-01-05 2004-04-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gital feedback display panel for communicating computer status information
US7359991B2 (en) * 2002-11-05 2008-04-15 Microsoft Corporation Folder synchronization
EP1550942A1 (en) * 2004-01-05 2005-07-06 Thomson Licensing S.A. User interface for a device for playback of audio files
US7806705B2 (en) * 2004-02-26 2010-10-05 Super Talent Electronics, Inc. Slide flash memory devices
KR100596496B1 (ko) 2004-03-30 2006-07-03 주식회사 레인콤 휴대용 저장기기의 파일 디렉토리 디스플레이 장치 및디스플레이 방법
US8578063B2 (en) * 2004-08-20 2013-11-05 Mitsubishi Kagaku Media Co., Ltd. Self-labeling digital storage unit
US20070022233A1 (en) * 2005-07-20 2007-01-25 Lexmark International, Inc. Document processing device with USB drive
US7913004B2 (en) * 2005-09-06 2011-03-22 Sandisk Il Ltd Portable selective memory data exchange device
KR20070054865A (ko) 2005-11-24 2007-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장치 및 이의 메모리정보 표시방법
US7451262B2 (en) * 2005-12-02 2008-11-11 Nagarjun V Yetukuri Removable memory storage device having a display
KR101179890B1 (ko) 2006-02-09 2012-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디지털 이미지 표시방법 및 장치
KR20080002108U (ko) 2006-12-20 2008-06-25 임병민 이동형 디스플레이 장치
US8217947B2 (en) * 2008-01-24 2012-07-10 Fuji Xerox Co., Ltd. Text-reading support on handheld devices and devices with small displays
US7979653B2 (en) * 2008-02-04 2011-07-12 Jui-Feng Liu File-copying apparatus of portable storage media
US7899831B2 (en) * 2008-03-25 2011-03-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older recommendation in a file operation
TWI361353B (en) * 2008-04-10 2012-04-01 Phison Electronics Corp Data writing method for non-volatile memory, storage system and controller thereof
US9305060B2 (en) * 2008-07-18 2016-04-05 Steven L. Roberts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contextual searches across content sources
US8818274B2 (en) * 2009-07-17 2014-08-26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interfacing between a master device and objec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30921A1 (en) 2010-02-04
US8819315B2 (en) 201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5246A (ko)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저장장치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JP682629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と、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672443A1 (en) Information supply device
US20070196033A1 (en) Searching and indexing of photos based on ink annotations
US2014008984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interface based on writing input
US981760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toring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of a data storage device
EP2511859B1 (en)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program and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method
US2013023832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 dictionary function and dictionary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2019117622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1196895B (zh) 具自动备份功能的电子相框及自动备份方法
JP2012159917A (ja) 文書管理システム、文書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10009B2 (ja) データ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94111B1 (ko) 저장부를 내장한 화상형성장치의 폴더생성 방법 및 장치와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장치
JP510019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4241704B2 (ja) 情報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069926B2 (ja) 検索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検索方法
US20130097171A1 (en) Automatic storage media content cataloging
JP2018032199A (ja) 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JP2006172086A (ja) 情報表示装置
JP2008083962A (ja) 文書管理システム
JP2014160428A (ja) ファイル選択装置
JP2015210770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装置
KR102257431B1 (ko) 집합도서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전자기기 및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JP2006163732A (ja) データ表示方法、データ表示用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並びに文書管理装置
JP2017054208A (ja) ファイル編集装置、ファイル編集方法及びファイル編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7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8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5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