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10206A -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206A
KR20100010206A KR1020080071092A KR20080071092A KR20100010206A KR 20100010206 A KR20100010206 A KR 20100010206A KR 1020080071092 A KR1020080071092 A KR 1020080071092A KR 20080071092 A KR20080071092 A KR 20080071092A KR 20100010206 A KR20100010206 A KR 20100010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image
terminal
identification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8650B1 (ko
Inventor
노용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1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650B1/ko
Publication of KR20100010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65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 및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단말기의 주위에 위치한 홈시어터 장비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개인 블로그 화면이나 홈페이지 화면상에 아이콘화하여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홈시어터 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co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홈시어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 및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단말기의 주위에 위치한 홈시어터 장비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개인 블로그 화면이나 홈페이지 화면상에 아이콘화하여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홈시어터 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배경 화면상에 표시하는 소정의 테마를 가지는 테마 이미지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에 부착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속성 정보를 판독하는 RFID 리더부와; 상기 테마 이미지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각각 나타내기 위한 식별 이미지들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 이미지들 중 상기 RFID 리더부를 통해 판독된 외부 장치의 속성 정보에 해당하는 식별 이미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상의 테마 이미지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터치 스크린상의 배경 화면에 소정의 테마를 가지는 테마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 리더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속성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테마 이미지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각각 나타내기 위해 기 저장된 식별 이미지들 중 상기 판독된 외부 장치의 속성 정보에 해당하는 식별 이미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식별 이미지를 상기 배경 화면상의 테마 이미지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RFID 및 근거리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들을 사용자의 개인 블로그나 홈페이지 화면상에 아이콘화하여 표시할 수 있고, 상기 표시된 아이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RFID 및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단말기의 데이터(음향, 이미지 및 동영상)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여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RFID 및 근거리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에서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 리더부(182)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100)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의 방위,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 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 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블로그 화면 또는 홈페이지 상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이미지들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외부 장치들은 오디오 재생 장치, 비디오 재생 장치, 디지털 TV, DVD 플레이어, 홈시어터 등의 음향, 동영상 및 이미지등을 재생 및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즉, 상기 식별 이미지들은 상기 외부 장치가 오디오 재생 장치이면, 상기 오디오 재생 장치를 나타내는 형상의 아이콘이 될 수 있고, 상기 외부 장치가 홈시어터이면, 상기 홈시어터를 나타내는 형상의 아이콘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 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별 모듈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 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RFID 리더부(182)는 외부 장치들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속성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외부 장치의 속성 정보를 메모리(160)에 저장하고,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 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 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 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도 3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 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가 출력된다. 소프트키(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 3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가 단말기 바디를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3b는 단말기 바디를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35a)과 입력창(135b)이 표시된다. 입력창(135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소프트키(135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소프트키(135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를 통하여 소프트키(135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35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시 소프트키(135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근접 센서(141)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펜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 깊이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 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55,156)가 오버랩된 형태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에 개시된 단말기는 본체에 대해 폴더부가 폴딩(folding) 가능하게 연결된 폴더 형태의 단말기이다. 폴더부에 장착된 제1 디스플레이부(155)는 TOLED와 같은 광투과형 또는 투명 형이나, 본체에 장착된 제2 디스플레이부(156)는 LCD와 같이 빛이 투과하지 않는 형태여도 무방하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5 및 156)는 각각 터치 입력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또는 TOLED(155)에 대한 터치{접촉 터치(contact touch) 또는 근접 터치(proximity-touch)}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터치의 종류 및 터치 시간에 따라 TOLED(155)에 표시된 이미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select)되거나 실행(run)되게 할 수 있다.
이하, 오버랩(overlap)된 형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TOLED(155)에 대한 터치 시 다른 디스플레이부 또는 LCD(156)에 표시된 정보가 제어되는 방식에 대하여, 터치, 롱터치, 롱터치 & 드래그(drag) 등으로 구분된 입력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오버랩된 상태(이동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TOLED(155)는 LCD(156)의 하 측에 중첩되게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앞서 TOLED(155)에 표시된 이미지의 제어를 위한 터치와 다른 방식의 터치, 예를 들어 롱터치(예를 들어, 2초 내지 3초 이상 지속된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LCD(156)) 에 표시된 이미지 리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게 한다.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실행에 따른 결과는 상기 TOLED(155)에 표시된다.
상기 롱터치는 LCD(156)에 표시된 개체들 중 원하는 개체를 (그에 대한 실행 동작 없이) 선택적으로 TOLED(155)로 옮길 때도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LCD(156)의 특정 개체에 대응하는 TOLED(155)의 일 영역을 롱터치할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개체가 TOLED(155)로 옮겨져서 표시되게 한다. 한편, TOLED(155)에 표시되어 있는 개체 역시, TOLED(155)에 대한 소정 터치입력, 예를 들어 플리킹(flicking), 스월링(swirling) 등에 따라 LCD(156)로 옮겨서 표시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LCD(156)에 표시된 2번 메뉴가 TOLED(155)로 옮겨져서 표시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롱터치와 함께 다른 입력, 예를 들어 드래그가 추가로 감지된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롱터치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와 관련된 기능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이 TOLED(155)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2번 메뉴(이미지 파일)에 대한 미리보기(남자 사진)가 행하여진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미리보기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롱터치를 유지하면서 추가로 TOLED(155)에 다른 이미지를 향한 드래그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는 LCD(156)의 선택커서(혹은 선택바)를 움직이고, 상기 선택커서가 선택한 이미지를 미리보기 화면(여자 사진)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터치(롱터치 및 드래그)가 종료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롱터치에 의해 선택된 처음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터치 동작 (롱터치 및 드래그)은 TOLED(155)에 대한 롱 근접터치(적어도 2초 내지 3초 이상 지속되는 근접터치)와 함께 슬라이드(상기 드래그에 대응되는 근접터치의 동작)가 감지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상 언급된 것 이외의 터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일반적인 터치 제어 방법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오버랩(overlap)된 형태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제어 방법은 싱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형태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폴더 형태와 다른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과 촉각 효과 발생 영역에 대한 설명에 참조 되는 도면이다.
도 6a는 아이콘이나 메뉴 항목 등과 같은 오브젝트를 설명의 편의상 원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영역은, 도 6a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제1 영역(A)과 그를 감싸는 제2 영역(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은 서로 다른 세기나 패턴을 갖는 촉각 효과가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영역(B)을 터치한 경우 제1 진동을 출력하고, 제1 영역(A)을 터치한 경우 제1 진동보다 큰 제2 진동을 출력하도록 2단계로 구성할 수 있다.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에 근접 터치 인식 영역과 햅틱 영역을 동시에 설정해야 하는 경우라면, 촉각 효과가 발생하는 햅틱 영역과 근접신호가 검출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이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햅틱 영역을 근접 터치 인식 영역보다 좁게 설정하거나 혹은 햅틱 영역을 근접 터치 인식 영역보다 넓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a의 (a)에서,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을 포함하는 영역을 근접 터치 인식 영역으로 하고, 제1 영역(A)을 햅틱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a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3개의 영역(A, B, C)으로 구분하거나, 혹은 도 6a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N(N>4) 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구분된 각 영역은 서로 다른 세기나 패턴을 갖는 촉각 효과가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3개 혹은 그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경우에도, 햅틱 영역과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은 사용환경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 깊이에 따라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6b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근접 깊이에 따라 대응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이 'C', 'B', 'A'로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하거나, 혹은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근접 깊이에 따라 대응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이 점차 커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햅틱 영역은, 도 6b의 (b)에 도시한 'H'영역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근접 깊이와 무관하게 일정한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햅틱 영역이나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의 설정을 위해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분할하는 경우,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심원 형태의 분할 외에,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의 분할, 방사형 분할, 및 이들을 조합한 방식의 분할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100)에서 외부 장치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후술되는 실시예들이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테마 이미지상에 외부 장치를 나타내는 식별 이미지 표시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의 배경 화면상에 소정의 테마를 가지는 테마 이미지(81)를 표시한다[S71][도 8의 (a)]. 이때, 상기 테마 이미지(81)는 사용자의 개인 블로그 또는 홈페이지에 접속 시에 따른 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입력부(130) 또는 터치 스크린(151)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단말기(100) 주위에 위치한 외부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S72], RFID 리더부(182)를 구동시키고, 상기 RFID 리더부(182)를 통해 외부 장치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판독한다[S73].
이때, 상기 외부 장치들은 오디오 재생 장치, 비디오 재생 장치, 디지털 TV, DVD 플레이어, 홈시어터 등의 음향, 동영상 및 이미지등을 재생 및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에 구비된 근거리 통 신 모듈(114)와 근거리 통신 연결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더욱 간결하고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상기 외부 장치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이라 하고,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14)이라 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에 구비된 RFID 태그에는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속성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종류 및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 포맷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즉, 상기 외부 장비가 오디오 재생 장치이면, 상기 속성 정보에는 상기 외부 장치의 종류가 오디오 재생 장치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포함되고, 또한 상기 오디오 재생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의 포맷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부(180)는 상기 RFID 리더부(182)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82a)의 RFID 태그내의 속성정보가 판독되면, 메모리(160)에 저장된 식별 이미지들 중 상기 판독된 속성 정보에 해당하는 식별 이미지(82b)를 검색한다[S74].
제어부(18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색된 식별 이미지(82b)를 상기 터치 스크린(151) 상의 테마 이미지(81)내에 합성하여 표시한다[S75].
이어서, 제어부(180)는 입력부(130) 또는 터치 스크린(151)을 통해 상기 테마 이미지(81) 상에서 상기 식별 이미지(82b)가 선택되면,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구동시켜 상기 식별 이미지(82b)에 해당하는 외부 장치(82a)의 제1 근거 리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S76].
이때,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51)의 다양한 터치 동작에 의해 상기 식별 이미지(82b)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식별 이미지(82b)를 상기 테마 이미지(81)의 기 설정된 영역에 드래그 앤 드롭하거나, 또는 상기 식별 이미지(82b)를 롱 터치하거나, 또는 상기 식별 이미지(82b)를 더블 터치하거나, 또는 상기 식별 이미지(82b)와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을 멀티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S76 단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82a)의 제1 근거리 통신 모듈과 연결되면, 이하의 실시예들과 같이 상기 외부 장치(82a)의 동작을 제어한다[S77].
<제1 실시예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에서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외부 장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1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외부 장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1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술한 도 8 및 도 9의 과정에 제 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별 이미지(82b)가 합성된 테마 이미지(81)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식별 이미지(82b)가 선택되면,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제어하여 상기 식별 이미지(82b)에 해당하는 외부 장치(82a)의 제1 근거리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S91].
이어서, 제어부(18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82a)의 동작 제어를 명령받기 위한 동작 제어창(83)을 상기 테마 이미지(81)상에 표시한다[S92].
도 10에서 상기 동작 제어창(83)은 상기 외부 장치(82a)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기 위한 전원 ON/OFF 창(83a)과, 상기 외부 장치(82a)에 저장된 음향, 동영상 및 이미지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창(83b) 및 상기 외부 장치(82a)에서 재생 중인 데이터를 일시 정지하기 위한 일시 정지창(83c)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여타의 다른 동작 제어를 위한 창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동작 제어창(83)에서 제1 명령이 입력되면[S93],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상기 입력된 제1 명령에 해당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82a)로 송신하여 상기 외부 장치(82a)의 동작을 제어한다[S94].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 장치(82a)의 RFID 태그로부터 판독된 속성 정보내의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 포맷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명령에 대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82a)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 장치(82a)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어부(180)는 입력부(130) 또는 터치 스크린(151)을 통해 상기 동작 제어창(83)에서 전원 ON/OFF 창(83a)이 선택되면, 상기 외부 장치(82a)의 전원을 ON/OFF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그러면, 외부 장치(82a)에서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전원을 ON/OFF한다.
<제2 실시예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에서 외부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음향, 동영상, 이미지 등등)를 수신하여 단말기(100) 자체에서 외부 장치의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외부 장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2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외부 장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2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술한 도 8 및 도 9의 과정에 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별 이미지(82b)가 합성된 테마 이미지(81)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식별 이미지(82b)가 선택되면,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제어하여 상기 식별 이미지(82b)에 해당하는 외부 장치(82a)의 제1 근거리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S111].
이어서,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 장치(82a)의 제1 근거리 통신 모듈과 근거 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외부 장치(82a)에 접속하여 상기 외부 장치(82a)의 내부 메모리 또는 상기 외부 장치(82a)내에 삽입된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들의 목록(111)을 파악하고,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악된 데이터 목록(111)을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4)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테마 이미지(81) 상에 표시한다[S112]. 이때, 상기 외부 저장 매체는, 외장 하드디스크, DVD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등이 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입력부(130) 또는 터치 스크린(151)을 통해 상기 데이터 목록(111)에서 어느 하나의 데이터(111c)가 선택되면[S113],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제어하여 상기 외부 장치(82a)로부터 상기 선택된 데이터(111c)를 수신하고[S114], 상기 수신된 데이터(111c)를 터치 스크린(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 재생한다[S115].
<제3 실시예 >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에 저장된 데이터(음향, 동영상, 이미지 등등)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여 외부 장치에서 단말기(100)의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외부 장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외부 장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술한 도 8 및 도 9의 과정에 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별 이미지(82b)가 합성된 테마 이미지(81)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식별 이미지(82b)가 선택되면,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제어하여 상기 식별 이미지(82b)에 해당하는 외부 장치(82a)의 제1 근거리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S131].
이어서, 제어부(180)는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데이터들(음향, 동영상, 이미지 등등)의 목록(141)을 상기 테마 이미지(81) 상에 표시한다[S132]. 이때, 데이터 목록(141)내의 데이터들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메모리(160)내의 카테고리 영역 중 기 설정된 영역내의 데이터이거나 또는 메모리(160)내의 데이터들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입력부(130) 또는 터치 스크린(151)을 통해 상기 데이터 목록(141)에서 어느 하나의 데이터(141a)가 선택되면[S133],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제어하여 상기 외부 장치(82a)의 제1 근거리 통신 모듈로 상기 선택된 데이터(141a)를 송신하고[S134],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장치(82a)는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141a)를 재생한다[S13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55,156)가 오버랩된 형태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과 촉각 효과 발생 영역에 대한 설명에 참조 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테마 이미지상에 외부 장치를 나타내는 식별 이미지 표시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외부 장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1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외부 장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1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외부 장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2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외부 장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2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외부 장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외부 장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Claims (15)

  1. 배경 화면상에 표시하는 소정의 테마를 가지는 테마 이미지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에 부착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속성 정보를 판독하는 RFID 리더부;
    상기 테마 이미지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각각 나타내기 위한 식별 이미지들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 이미지들 중 상기 RFID 리더부를 통해 판독된 외부 장치의 속성 정보에 해당하는 식별 이미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상의 테마 이미지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마 이미지는, 사용자의 블로그 화면에 해당하는 이미지 및 사용자의 홈페이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음향과,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재생 또는 표시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의 속성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종류 및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 포맷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에 구비된 제1 근거리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테마 이미지상에 합성된 식별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가 터치되면,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식별 이미지에 해당하는 외부 장치의 제1 근거리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 연결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 제어를 명령받기 위한 동작 제어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제어창을 통해 해당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입력된 명령에 해당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의 제1 근거리 통신 모듈로 송신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에 기 저장된 음향과,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음향과,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와 상기 식별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식별 이미지에 해당하는 외부 장치로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송신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서 상기 데이터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터치 스크린상의 배경 화면에 소정의 테마를 가지는 테마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 리더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속성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테마 이미지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각각 나타내기 위해 기 저장된 식별 이미지들 중 상기 판독된 외부 장치의 속성 정보에 해당하는 식별 이미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식별 이미지를 상기 배경 화면상의 테마 이미지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마 이미지상에 합성된 식별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식별 이미지에 해당하는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이미지에 해당하는 외부 장치의 동작 제어를 명령받기 위한 동작 제어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제어창을 통해 해당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명령에 해당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에 기 저장된 음향과,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기 저장된 음향과,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와 상기 식별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식별 이미지에 해당하는 외부 장치로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송신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서 상기 데이터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080071092A 2008-07-22 2008-07-22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48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092A KR101448650B1 (ko) 2008-07-22 2008-07-22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092A KR101448650B1 (ko) 2008-07-22 2008-07-22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206A true KR20100010206A (ko) 2010-02-01
KR101448650B1 KR101448650B1 (ko) 2014-10-08

Family

ID=4208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0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8650B1 (ko) 2008-07-22 2008-07-22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6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589A (ko) * 2010-06-15 2011-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N102647208A (zh) * 2011-02-18 2012-08-22 宏碁股份有限公司 与目标装置对应和与目标装置建立连线的方法及电子装置
KR101497858B1 (ko) * 2010-12-30 2015-03-02 노키아 코포레이션 사용자 단말을 위한 합성 가능 그래픽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377A (ko) * 2002-06-26 2005-03-10 노키아 코포레이션 무선 주파수 식별을 이용하여 무선 장치들을 통한 네트웍접속을 일으키는 시스템, 기기, 및 방법
KR100739561B1 (ko) * 2005-01-07 2007-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스마트 태그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081535B1 (ko) * 2005-09-06 2011-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방법및 장치
KR100886077B1 (ko) * 2007-04-06 2009-02-26 고창용 모바일 알에프아이디 완구를 이용한 멜로디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589A (ko) * 2010-06-15 2011-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97858B1 (ko) * 2010-12-30 2015-03-02 노키아 코포레이션 사용자 단말을 위한 합성 가능 그래픽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647208A (zh) * 2011-02-18 2012-08-22 宏碁股份有限公司 与目标装置对应和与目标装置建立连线的方法及电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650B1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723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078929B1 (ko) 단말기 및 그 인터넷 이용 방법
KR10127153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7816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제어방법
KR2011001360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24589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3103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1278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0006225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20100042405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253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5078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방법
KR101448650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0151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 컨텐츠 편집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467799B1 (ko) 단말기 및 그의 외부 장치 제어 방법
KR2010013129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KR2010003997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무선 통신 채널 변경 방법
KR1019176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537594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3418B1 (ko) 아이콘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486380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895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565385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61969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441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6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7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