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030A - Structure for apartment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apart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9030A KR20100009030A KR1020080069701A KR20080069701A KR20100009030A KR 20100009030 A KR20100009030 A KR 20100009030A KR 1020080069701 A KR1020080069701 A KR 1020080069701A KR 20080069701 A KR20080069701 A KR 20080069701A KR 20100009030 A KR20100009030 A KR 201000090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ab
- concrete
- wall
- unit
- balcon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5—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cast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단위세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구조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를 적절히 혼합한 공동주택의 단위세대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household structure of a multi-family ho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unit household structure of a multi-unit house in which the cast-in-place concrete structure and the precast concrete structure are properly mixed.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코어벽체 및 단위세대를 구획하는 세대간 벽체를 현장타설 콘크리트 벽체로 구성하고, 단위세대 내부는 복수의 장방형 PC 기둥을 2열로 배치하되 각 열 그리고 각 열을 구성하는 기둥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하며, 각 열의 이웃하는 장방형 PC 기둥 상부에 복수의 와이드 PC 보를 거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와이드 PC 보 상부에 복수의 리브드 PC 슬래브를 거치하며, 어느 한 열의 와이드 PC 보로부터 전면 하프 PC 발코니를 돌출되도록 거치하고 다른 한 열의 와이드 PC 보로부터 후면 하프 PC 발코니를 돌출되도록 거치하며, 부재들의 접합부 및 슬래브 그리고 발코니 상부에 덧침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여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위세대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generational wall partitioning the core wall and the unit household is composed of a cast-in-place concrete wall, and inside the unit household, a plurality of rectangular PC columns are arranged in two rows, each row and each row. The colum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wide PC beams are mounted on top of neighboring rectangular PC columns in each column, and a plurality of ribbed PC slabs are mounted on top of wide PC beams facing each other. Mounting so as to protrude from the front half PC balcony from the other side, protruding the rear half PC balcony from the other row of wide PC beams, and the joints and slabs of the members and the cast-in-place concrete on top of the balcony integrated A unit generation structure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단위세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구조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를 적절히 혼합한 공동주택의 단위세대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household structure of a multi-family ho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unit household structure of a multi-unit house in which the cast-in-place concrete structure and the precast concrete structure are properly mixed.
콘크리트는 타설시기에 따라 현장타설 콘크리트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분류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PC"라고 부르며 PC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건축하는 공법을 PC공법이라 한다. Concrete is classified into cast-in-place concrete and precast concrete according to the time of pouring. Precast concrete is called "PC"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PC is called PC construction.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 보통 공사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물을 완성하는 현장타설공법으로 시공된다. 현장타설공법의 경우 건물이 연속된 한 덩어리의 구조체가 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 및 동바리 설치, 콘크리트 경화 후의 해체 등 가설공사가 요구되고 콘크리트 경화 시까지 공사를 진행할 수 없어 공사기간이 길어지며 거푸집 설치 및 철근 배근 등을 위해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multi-unit houses such as apartments, it is usually constructed by a site casting method in which a formwork is installed at a construction site, reinforcing steel bars and concrete is poured to complete the building. On-site casting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the building becomes a continuous structure, while construction works such as the installation of formwork and ridges for placing concrete and the dismantling after concrete hardening are required. This lengthens the disadvantage that many manpower is required for formwork installation and reinforcement.
이러한 현장타설공법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공동주택에 PC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PC공법은 기둥, 보, 슬래브, 벽체와 같은 구조부재들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 장으로 운반, 조립하여 건물을 완성하는 공법으로 거푸집 공사를 생략할 수 있고 철근공사가 용이하며 공정의 분리가 가능하여 주공정이 전체공정을 지연시키는 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on-site casting method, the PC method has been applied to apartment houses. The PC method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structural members such as columns, beams, slabs, and walls at the factory and then transporting and assembling them to the site to complete the building, eliminating formwork, easy reinforcement work, and separating processes.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in process can prevent the delay of the entire process.
본 발명은 현장타설공법과 PC공법의 장점을 적절히 혼용하여 수평력에 대한 내력이 크면서도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공간의 융통성 및 가변성이 높은 공동주택 단위세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nit housing structure with a high flexibility and variable space, high air capacity and short space, by using the advantages of the on-site casting method and the PC method as appropriate.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코어벽체 및 단위세대를 구획하는 세대간 벽체를 현장타설 콘크리트 벽체로 구성하고, 단위세대 내부는 복수의 장방형 PC 기둥을 2열로 배치하되 각 열 그리고 각 열을 구성하는 기둥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하며, 각 열의 이웃하는 장방형 PC 기둥 상부에 복수의 와이드 PC 보를 거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와이드 PC 보 상부에 복수의 리브드 PC 슬래브를 거치하며, 어느 한 열의 와이드 PC 보로부터 전면 하프 PC 발코니를 돌출되도록 거치하고 다른 한 열의 와이드 PC 보로부터 후면 하프 PC 발코니를 돌출되도록 거치하며, 부재들의 접합부 및 슬래브 그리고 발코니 상부에 덧침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여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위세대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generational wall partitioning the core wall and the unit household is composed of a cast-in-place concrete wall, and inside the unit household, a plurality of rectangular PC columns are arranged in two rows, each row and each row. The colum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wide PC beams are mounted on top of neighboring rectangular PC columns in each column, and a plurality of ribbed PC slabs are mounted on top of wide PC beams facing each other. Mounting so as to protrude from the front half PC balcony from the other side, protruding the rear half PC balcony from the other row of wide PC beams, and the joints and slabs of the members and the cast-in-place concrete on top of the balcony integrated A unit generation structure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코어벽체와 보는, 코어벽체 거푸집을 짜대고 벽체철근을 배근한 후 보 하부 정착용 철근이 코어벽체 거푸집 속으로 매입되도록 보를 동바리를 이용해 지지한 다음 보 상부 정착용 철근을 배근하고 코어벽체 콘크리트와 덧침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함으로써 코어벽체에 보의 길이방향 단부가 일체로 접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wall and the beam are squeezed to form the core wall formwork and the wall reinforcing bars are supported, and then the beams are supported using the copper bar so that the reinforcing bar for fixing the lower part is embedded into the core wall formwork, and then the beam upper fix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beam is integrally joined to the core wall by reinforcing the steel reinforcement and pouring the core wall concrete and the overlay concrete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둥과 보는, 기둥의 상면에 인접하는 보의 보 하부 정착용 철근이 서로 교차하도록 단부를 거치시키고 기둥과 보의 접합부에 덧침콘크리트가 채워지도록 타설하여 일체로 접합되도록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ars and beams are mounted by mounting the ends so that the beam lower fixing bars of the beams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ars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fill the joints of the pillars with the beams to fill the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be bonded to.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의 폭방향으로 양단부에 내민턱을 각각 형성하여 내민턱 사이에 포켓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 포켓부 기둥-보 접합을 위한 덧침콘크리트가 채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jaw is form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am so that the pockets are formed between the inner jaws, and the overlaid concrete for the pocket column-beam connection is filled. It is don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세대간 벽체와 기둥은, 세대간 벽체 거푸집을 짜대고 벽체철근을 배근한 후 기둥과의 일체성 확보를 위한 연결철근의 일단부가 기둥의 측면에 형성된 전단키 내부로 삽입되도록 배근하고 세대간 벽체 콘크리트와 덧침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여 일체로 접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generational wall and the pillar have a shear key having one end of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for securing the integrity with the pillar after weaving the inter-generational wall formwork and reinforcing the wall reinforcement. Reinforced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and the wall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overcast concrete at the same tim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bon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래브-슬래브 간은, 이웃하는 슬래브를 서로 맞대고 그 하부를 각각 동바리로 지지한 상태에서 슬래브 상부철근을 배근하고 덧침콘크리트가 이웃하는 슬래브의 리브 사이에 채워지도록 타설하여 일체로 접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b-slab gap is placed between the ribs of the neighboring slab with the slab top reinforcing with the neighboring slabs facing each other and supporting the lower part with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o be integrally bonded by pour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래브와 발코니 슬래브는, 발코니 슬래브의 폭방향 단부를 보의 상면에 거치하고 슬래브의 길이방향 단부도 보의 상면에 거치한 다음 발코니 슬래브와 슬래브의 단부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결철근과 발코니 슬래브 및 슬래브의 상부에 슬래브 상부철근을 배근하고 덧 침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로 접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b and the balcony slab mount the widthwise end of the balcony slab to the top surface of the beam and the longitudinal end of the slab to the top surface of the beam and then to the balcony slab and the end of the slab. The reinforcing bar and the balcony slab to secure the continuity and the slab upper reinforcement on the top of the sla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joined by pouring additional concrete.
본 발명에서는 수평력에 대한 저항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코어벽체 및 내력벽체를 현장타설 콘크리트로 하여 이들이 전 층에 걸쳐 연속성을 가지도록 일체화함으로써 수평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면서 단위세대 내부를 이루는 기둥, 보, 슬래브 등을 PC화하여 노동생산성을 높이고 공기를 단축함과 아울러 이들의 접합부를 현장타설 콘크리트로 일체화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wall and the bearing wall,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sistance to the horizontal force, are cast-in-place concrete, and they are integrated to have continuity throughout the entire floor, thereby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the horizontal force, and forming the pillar, beam, By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labor, shortening air by integrating slabs, etc., the structural stability is improved by integrating these joints with cast-in-place concrete.
또한 단위세대 내부에는 내력벽이나 기둥이 존재하지 않아 세대 구성원의 변경이나 사용목적에 따라 공간의 구성을 융통성이 있게 가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no bearing wall or column inside the unit household, so the composition of the space can be flexibly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household members or the purpose of u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며,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위세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unit housing structure of a multi-uni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동주택 단위세대구조는, 코어벽체(12) 및 단위세대를 구획하는 세대간 벽체(14)를 현장타설 콘크리트 벽체로 구성하고, 단위세대 내부는 복수의 장방형 PC 기둥(20)을 2열로 배치하되 각 열 그리고 각 열을 구성하는 기둥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하며, 각 열의 이웃하는 장방형 PC 기둥(20) 상부에 복수의 와이드 PC 보(30)를 거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와이드 PC 보(30) 상부에 복수의 리브드 PC 슬래브(40)를 거치하며, 어느 한 열의 와이드 PC 보(30)로 부터 전면 하프 PC 발코니(52)를 돌출되도록 거치하고, 다른 한 열의 와이드 PC 보(30)로부터 후면 하프 PC 발코니(54)를 돌출되도록 거치하며, 부재들의 접합부 및 슬래브(40) 그리고 발코니(52)(54) 상부에 덧침콘크리트(60)를 현장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unit hous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코어벽체(12)는 계단실(121), 홀(122)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 공간(123)을 구획하는 벽체를 말하며 세대간 벽체(14)는 이웃하는 단위세대를 서로 구획하는 벽체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이들 벽체는 모두 현장타설 콘크리트 벽체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코어벽체(12)와 세대간 벽체(14)는 전 층에 걸쳐 연속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단위세대구조가 적용된 공동주택의 수평력에 대한 내력을 높일 수 있는 구조시스템이 된다. The
기둥(20)은 단위세대의 전면과 후면에 2열로 배치된다. 그리고 열을 구성하는 각 기둥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기둥(20)은 PC(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구성되고 단면형상은 기둥이 배치되는 열 방향으로 긴 장방형 단면형상을 갖는다.The
각 기둥 열에서 서로 이웃하는 기둥(20) 상부에는 와이드 PC 보(30)가 각각 거치된다. 와이드 PC 보(30)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C 보 보다 폭이 큰 PC 보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와이드 PC 보(30)의 양단부에 기둥(20)과 보(30)의 접합부에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포켓부(31)를 형성하였다.
서로 마주보는 보(30) 사이에는 리브드 하프 PC 슬래브(40)가 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슬래브는 1방향 슬래브 시스템이 된다. 하프 PC 슬래브란 소요 슬래브 두께의 절반 정도 두께를 갖도록 미리 제작된 콘크리트 슬래브를 말하며, 리브드 하프 PC 슬래브란 하프 PC 슬래브의 상면으로 돌출된 리브가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 슬래브를 말한다. 리브드 하프 PC 슬래브를 적용함에 따라 종래의 할로우 코어 슬래브나 더블 티 슬래브와 달리 리브 사이의 공간에 폴리스티렌 폼 등을 적용하여 단열 및 층간소음 저감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Between the
단위세대의 각 기둥 열의 전면과 후면으로는 각각 와이드 PC 보(40)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전면 하프 PC 발코니(52)와, 후면 하프 PC 발코니(54)가 설치된다. 하프 PC 발코니는 소요 발코니 두께의 절반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미리 제작되며 전술한 슬래브와 달리 리브가 돌출되어 있지 않으며 다만 덧침콘크리트와의 합성효과를 위해 상면에 전단연결철근이 돌출되도록 매립되거나 전단코터가 형성된다. A front
그리고 슬래브(40)와 발코니(52)(54) 상부 그리고 부재들의 접합부에는 덧침콘크리트(60)가 현장 타설되어 후술하는 각 부재 간의 합성요소와 함께 PC로 구성된 기둥, 보 및 슬래브를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킨다. In addition,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평력에 대한 저항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코어벽체 및 내력벽체를 현장타설 콘크리트로 하여 이들이 전 층에 걸쳐 연속성을 가지도록 일체화함으로써 수평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면서 단위세대 내부를 이루는 기둥, 보, 슬래브 등을 PC화하여 노동생산성을 높이고 공기를 단축함과 아울러 이들의 접합부를 현장타설 콘크리트로 일체화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wall and the bearing wall,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sistance to the horizontal force, are cast in place, and they are integrated to have continuity throughout the entire floor, thereby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the horizontal force, thereby forming a unit generation unit. Increasing labor productivity, shortening air, and integrating these joints with cast-in-place concrete, improve structural stability.
이하에서는 단위세대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상세한 구성 및 이들 간의 접합 부 상세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of each member which comprises a unit household, and the junction part detail between them are demonstrated.
도 2는 코어벽체-와이드 PC 보 접합부(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re wall-wide PC beam joint (part “A”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어벽체(12)는 거푸집(124)을 짜대고 벽체철근(125)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126)를 현장타설하여 구성된다. 보(30)는 일반적인 PC 보에 비해 폭이 넓은 와이드 PC 보로 구성되며 코어벽체(12)와 접합되는 단부에는 보하부 정착용 철근(32)이 돌출되어 있고, 상면에는 덧침콘크리트(60)와의 합성을 위해 상부 합성용 철근(33)이 돌출되도록 매립되어 있다. 코어벽체(12)와 보(30)의 접합은, 코어벽체 거푸집(124)을 짜대고 벽체철근(125)을 배근한 후 보하부 정착용 철근(32)이 코어벽체 거푸집(124) 속으로 매입되도록 보(30)를 동바리(s)를 이용해 지지한 다음 보상부 정착용 철근(34)을 배근하고 코어벽체 콘크리트(126)와 덧침콘크리트(60)를 함께 타설함으로써 코어벽체(12)에 보(30)의 길이방향 단부가 일체로 접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보하부 정착용 철근(32)과 보상부 정착용 철근(34)의 단부는 정착길이를 확보하기 위해 각각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도 3의 (a)는 기둥-보 접합부(도 1의 "B부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FIG. 3A is a plan view of the column-beam junction ("B" in FIG. 1), and (b) is sectional drawing.
도 3 (a)(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둥-보 접합은, 기둥(20)의 상면에 인접하는 보(30)의 단부를 거치시키고 보(30)의 단부에 형성된 포켓부(31)에 덧침콘크리트(60)가 채워지도록 타설하면 된다. 기둥(20)의 상면에서 접합되는 보(30)의 연속성은 보(30)의 단부에서 돌출된 보 하부 정착용 철근(32)이 기둥(20)의 상면에서 서로 교차되도록 하고 이들이 콘크리트에 매입됨으로써 확보될 수 있다. 보(30)의 단부에 형성되는 포켓부(31)는 보(30)의 폭방향으로 양단부에 내민턱(31a)(31b)을 각각 형성함으로서 내민턱(31a)(31b) 사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층 기둥과 하층 기둥 간의 접합은 하층 기둥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배근된 하층 기둥철근(21)이 덧침콘크리트(60)의 상면으로부터 어느 정도 돌출되도록 덧침콘크리트(60)를 타설하고 하층 기둥철근(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층 기둥(20')의 하면에 상층 기둥(20')의 기둥철근(21')이 위치하는 곳에 형성된 삽입홀(22)에 하층 기둥철근(21)를 삽입한 후 무수축 고강도 모르터(22)를 채워 넣으면 상하층 간의 기둥이 서로 연결된다. 이때, 상층 기둥(20')이 덧침콘크리트(60) 상에서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상층 기둥의 하면과 덧침콘크리트(60) 사이에도 무수축 고강도 모르터(23)가 채워진다. Referring to Figure 3 (a) (b), the pillar-beam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cket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도 4는 기둥-세대간 벽체 접합부(도 1의 "C"부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the column-to-generation wall joint (part “C” in FIG.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대간 벽체(14)는 거푸집(144)을 짜대고 벽체횡철근(145)과 벽체종철근(146)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147)를 현장타설하여 구성된다. 기둥(20)은 장방형 단면형상을 갖는 PC 기둥으로 구성되고 세대간 벽체(14)가 연결되는 부분의 측면에는 세대간 벽체(14)와의 일체성 확보를 위해 전단키(24)가 형성되어 있다. 세대간 벽체(14)와 기둥(30)의 접합은, 세대간 벽체 거푸집(144)을 짜대고 벽체철근(145)(146)을 배근한 후 기둥(20)과의 일체성 확보를 위한 연결철근(148)의 일단부가 전단키(24) 내부로 삽입되도록 배근하고 세대간 벽체 콘크리트(147)와 덧침콘크리트(60)를 함께 타설함으로써 세대간 벽체(14)가 기둥(20)에 일체로 접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현장타설로 시공되는 세대간 벽체(14)는 기둥의 측면에 형성된 전단키(24)와 연결철근(148)에 의해 기둥(20)과 일체화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도 5는 세대간 벽체와 슬래브 폭방향 단부의 접합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의 D-D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1 and showing a junction between the intergenerational wall and the slab widthwise end. FIG.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대간 벽체(14)는 거푸집(144)을 짜대고 벽체횡철근(145)과 벽체종철근(146)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147)를 현장타설하여 구성된다. 슬래브(40)의 폭방향 양단부는 세대간 벽체(14)를 구성하기 위한 거푸집(144) 상에 거치되고 동바리(s)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에서 슬래브는 하프 PC 슬래브의 상면으로 돌출된 리브(42)가 길리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 리브드 하프 PC 슬래브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세대간 벽체(14)에 접하는 슬래브의 단부 및 슬래브-슬래브 간의 접합부를 구성하는 단부를 제외하고 리브(42) 사이의 공간에는 폴리스티렌 폼(44)을 채웠다. 따라서 단열 및 층간소음 저감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세대간 벽체(14)와 슬래브(40) 폭방향 단부의 접합은, 세대간 벽체 거푸집(144)을 짜대고 벽체철근(145)(146)을 배근한 후 슬래브(40)의 폭방향 단부를 세대간 벽체 거푸집(144)에 거치하고 동바리(s)를 이용해 지지한 다음, 슬래브 상부철근(46)과 세대간 벽체를 관통하여 슬래브(40)의 폭방향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슬래브 연결철근(48)를 배근하고 세대간 벽체 콘크리트(146)와 덧침콘크리트(60)를 함께 타설함으로써 세대간 벽체(14)에 슬래브(40)의 폭방향 단부가 일체로 접합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도 6은 슬래브-슬래브 간의 접합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의 E-E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1 showing the joint between the slab and the slab.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래브-슬래브 간의 접합은 이웃하는 슬래브를 서로 맞대고 그 하부를 각각 동바리(s)로 지지한 상태에서 슬래브 상부철근을 배근하고 덧침콘크리트가 이웃하는 슬래브(40)의 리브(42) 사이에 채워지도록 타설하면 된다. 그리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 간의 연속성을 높이기 위해 이웃하는 슬래브(40)의 리브(42) 사이에 제2 슬래브 연결철근(49)을 더 배근할 수 있다. 제2 슬래브 연결철근(49)은 U자형으로 구부려 이웃하는 슬래브(40)의 리브(42)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1 슬래브 연결철근(48)과 같이 슬래브의 하부만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부리지 않을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slab-slab joining is performed by placing the ribs of the
도 7은 슬래브와 발코니 슬래브의 접합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의 F-F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F-F of FIG. 1, showing a junction of a slab and a balcony slab. FIG.
도 7을 참조하면, 전면 발코니 슬래브(52)는 얇은 PC판(521) 상부로 트러스 보강근(522)이 돌출되도록 매립 설치된 것으로 그 내측 폭방향 단부는 보(30)의 상면에 거치된다. 슬래브와 발코니 슬래브의 접합은 전면 발코니 슬래브(52)의 폭방향 단부를 보(40)의 상면에 거치하고 슬래브(40)의 길이방향 단부도 보(30)의 상면에 거치한 다음 전면 발코니 슬래브(52)와 슬래브(40)의 단부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결철근(523)과 전면 발코니 슬래브(52)와 슬래브(40)의 상부에 슬래브 상부철근(46)을 배근하고 덧침콘크리트(60)를 타설하면 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위세대구조는 내력벽 시스템과 PC 기둥-보 골조시스템을 적절히 조합하며 수평력에 대해서는 내력벽 시스템이 적절히 대응하도록 하면서 단위세대 내부에는 내력벽체가 없는 실내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한편 단위세대 내부를 PC 복합화 공법으로 시공함에 따라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하였다. 그리고 단위세대는 횡방향으로만 연속되도록 배치되며 단위세대의 전면과 후면으로는 또 다른 단위세대가 연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위세대에는 그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발코니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위세대의 전후면이 모두 창호 등으로 개방될 수 있으므로 외부로 탁 트인 개방된 실내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방된 내부공간은 거주자에게 넓은 시야를 제공하고 바람이 자연스럽게 실내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통풍 및 실내의 자연환기에 바람직한 평면을 구성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unit househol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ination of the bearing wall system and the PC column-beam framework system, and the bearing wall system to respond to the horizontal force is appropriately formed while the interior space without the bearing wall in the unit gen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of the unit households with the PC composite method improved construction and shortened the air. The unit households are arranged so as to be continuous on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nother unit household is not continuous in front and rear of the unit household. Therefore, in the unit generation, balconies may be formed at the front and the rear, respectively. In addition, since both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nit household can be opened by windows and the like, an open indoor space that is open to the outside can be configured. This open interior space provides a wide field of view to the occupants and allows the wind to flow naturally into the interior space, thus forming a desirable plane for ventilation and natural ventilation of the interior.
이상에서 본 발명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on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위세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unit housing structure of a multi-uni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코어벽체-와이드 PC 보 접합부(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re wall-wide PC beam joint (part “A” in FIG. 1).
도 3의 (a)는 기둥-보 접합부(도 1의 "B부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FIG. 3A is a plan view of the column-beam junction ("B" in FIG. 1), and (b) is sectional drawing.
도 4는 기둥-세대간 벽체 접합부(도 1의 "C"부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the column-to-generation wall joint (part “C” in FIG. 1).
도 5는 세대간 벽체와 슬래브 폭방향 단부의 접합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의 D-D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1 and showing a junction between the intergenerational wall and the slab widthwise end. FIG.
도 6은 슬래브-슬래브 간의 접합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의 E-E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1 showing the joint between the slab and the slab.
도 7은 슬래브와 발코니 슬래브의 접합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의 F-F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F-F of FIG. 1, showing a junction of a slab and a balcony slab. FIG.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9701A KR20100009030A (en) | 2008-07-17 | 2008-07-17 | Structure for apart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9701A KR20100009030A (en) | 2008-07-17 | 2008-07-17 | Structure for apart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9030A true KR20100009030A (en) | 2010-01-27 |
Family
ID=4181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9701A Abandoned KR20100009030A (en) | 2008-07-17 | 2008-07-17 | Structure for apart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9030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7141A (en) * | 2019-07-10 | 2021-01-20 | 주식회사 반석구조엔지니어링 | Precast type hollow concrete slab construction method for wall-type apartment and precast type hollow concrete slab using the same |
-
2008
- 2008-07-17 KR KR1020080069701A patent/KR20100009030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7141A (en) * | 2019-07-10 | 2021-01-20 | 주식회사 반석구조엔지니어링 | Precast type hollow concrete slab construction method for wall-type apartment and precast type hollow concrete slab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241374B (en) | Constructing the large-span self-braced buildings of composite load-bearing wall-panels and floors | |
CN102449247B (en) | Half precast floor plank, an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RU2376424C1 (en) | Ready-built and solid-cast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 |
CN101573495A (en) | Novel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 |
KR100830241B1 (en) | Composite method of upper and lower light weight composite wall and concrete floor slab of lightweight composite structural system using adapter | |
EP2313568A1 (en) | Method for forming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pillar and beam, and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pillar and beam | |
US4974380A (en) | Framing for structural walls in multistory buildings | |
JP2011094335A (en) |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 slab | |
KR101962853B1 (en) | Joint for Precast Beam and Columns | |
JP5574328B2 (en) | Tokai seismic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CN217711163U (en) | Full-prefabricated assembled beam-column connecting structure | |
EA014814B1 (en) | External wall for multistorey frame building arkos | |
EP2241690B1 (en) | Insulated foundation element for mounting on precast base foundation | |
CN216076471U (en) | Reinforced filling wall structure | |
CN206512898U (en) | A kind of lightweight assembled composite floor | |
KR100768081B1 (en) | Columnless structure of apartment buildings | |
RU84881U1 (en) | FRAME OF BUILDINGS AND STRUCTURES | |
KR20100009030A (en) | Structure for apartment | |
RU2323307C2 (en) | Construction method for double-sided mutually stressed reinforced concrete wall structure with heat-insulation voids | |
CN217419977U (en) | building | |
KR102740074B1 (en) | A Construction method using PC modulars | |
KR102632253B1 (en) | An Extended Structure | |
JP3028297B2 (en) | Half precast slab and floor structure using the same | |
CN118704601B (en) | Full prefabricated low-rise assembled reinforced concrete frame and node structure | |
CN220353156U (en) | Wall column joint structure and prefabricated hous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6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