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721A - Reinforcement - Google Patents
Reinforc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7721A KR20100007721A KR1020090054904A KR20090054904A KR20100007721A KR 20100007721 A KR20100007721 A KR 20100007721A KR 1020090054904 A KR1020090054904 A KR 1020090054904A KR 20090054904 A KR20090054904 A KR 20090054904A KR 20100007721 A KR20100007721 A KR 201000077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punching
- base
- composite structure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8—Reinforcements for flat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건물이나 철골 구조물, 교량과 같이 큰 하중을 갖는 물체를 지층에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으로 깊이 굴토하고 바닥 콘트리트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기초 구조를 형성하거나, 부피가 작고, 간단하여, 굴토 깊이를 작게 하면서도 높은 하중에 의한 기둥하부의 펀칭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lower end so that the building or steel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apartments, steel structures, bridges can be supported by the ground layer to be seated, more specifically, deeply dug downwards and thicken the bottom concrete lay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a pillar base, which is formed to form a foundation structure, or is small in volume and simple, and can prevent punching cracks under the column under high load while reducing the depth of pit.
본 발명은 기초 바닥층에 인가되는 펀칭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인장력이나 압축력에도 강한 내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 구조의 부피를 작게 시공할 수 있어 터파기 면적, 깊이를 감소시키면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시공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uniformly dispersing the punching pressure applied to the base bottom layer and having a strong strength against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with a small volume of the foundation structure can support a high load while reducing the trench area, depth, it is easy to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en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건물이나 철골 구조물, 타워크레인 하부, 교량과 같이 큰 하중을 갖는 물체를 지층에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으로 깊이 굴토하고 바닥 콘트리트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기초 구조를 형성하는 것 대신에, 부피가 작고, 간단하여, 굴토 깊이를 작게 하면서도 높은 하중에 의한 기둥하부의 펀칭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lower end to be supported by the ground floor to support the object with a large load, such as buildings or steel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apartments, steel towers, lower bridges, more specifically, deeply dug downwards to the bottom Instead of forming a thick concrete layer to form a foundation structure, a plate type for reinforcing punching cracks at the base of a column under the column that is small in volume and simple, and can prevent the punching crack under the column under high load while reducing the depth of pit. For composite structures.
일반적으로 건물, 교량, 타워크레인 등의 자중에 의해 지반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 시공시 건물의 하부에는 건물 하중이 지반에 골고루 전달되며 지지될 수 있도록 기초 구조가 시공되는데, 종래의 기초 구조는 두꺼운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주로 사용하였다. 건물이 점점 높아지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단위면적당 기초 구조에 인가되는 하중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되고 있는 기초 구조의 경우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된 기초 구조의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내력을 증가시켰다.In general, in order to prevent the ground from sinking due to the weight of buildings, bridges, tower cranes, etc., the foundation structure is constructed in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so that the building load is evenly transmitted and supported on the ground. Mainly used thick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s the building heightened and the size increased, the load applied to the foundation structure per unit area also increased. For the foundation structure used, the strength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foundation structure made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따라서 기초 구조의 크기나 두께가 커짐에 따라 기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굴토 깊이, 즉 터파기의 깊이가 깊어지게 된다. 이는 기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지반의 터파기 작업과 기초 구조 설치 공정이 복잡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이 증대되는 문제와 터파기를 위한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를 유발하였다. 특히 건물 하부에 암반형 지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터파기를 깊게 하는데 보다 긴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소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as the size or thickness of the foundation structure increases, the depth of burrow to form the foundation structure, that is, the depth of the trench is deepened. This caused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excessive cost of construction for the excavation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ground excavation work and the foundation structure installation process to form the foundation structure. In particular, when there is a rock-type ground in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a longer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to deepen the trench.
또한 터파기를 깊게 하는 경우 굴토된 지하층 벽면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측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굴토하여야 하므로, 인접 건물에 피해를 주게 되거나 밀집장소에서의 공사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측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굴토하게 되면 그만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야 할 공간이 커지게 되므로 콘크리트를 낭비하게 된다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if the trench is deepened,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collapsed basement wall from collapsing and to incline the slope to widen the upper side in order to secure a working space, thereby causing damage to adjacent buildings or making construction difficult in crowded places. have. In addition, if the upper side is inclined to be inclined to be wider, the space to be poured is increased, s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wastes concrete.
도 1a, 1b는 일반적인 기초 바닥의 단면에 집중되는 펀칭 압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수직의 기둥(A)과 수평의 기초 바닥(B) 사이에는 45도 정도의 비스듬한 방향(C)으로 펀칭 압력이 형성되어 가해진다. 1A and 1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unching pressure concentrated in the cross section of a general foundation bottom. Referring to FIG. 1A, a punching pressure is formed and applied in an oblique direction C of about 45 degrees between a vertical column A and a horizontal base bottom B. FIG.
그런데 기초 바닥(B) 내에 이러한 펀칭 압력을 지지할만한 구성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펀칭 압력에 의한 펀칭크랙이 발생되어, 건축 구조물의 변형 내지는 파손을 가져오게 된다. However, when there is no configuration that can support such a punching pressure in the foundation floor (B), a punching crack is generated by the punching pressure, resulting in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building structure.
이는 앙카(a)를 사용하여 건물의 부상을 방지하는 공법의 도 1b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앙카(a)는 건물을 하방으로 당기는 역할을 하므로, 펀칭 압력의 방 향이 C'와 같이 하방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나타나게 되거나 앙카 부분만 구멍이 뚫리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This also applies to FIG. 1B of the method of using anchors (a) to prevent injuries of buildings. Since the anchor (a) serves to pull the building downward, the direction of the punching pressure may appear in a downward direction such as C 'or a hole may be formed only in the anchor portion.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초 바닥 내에 다중의 철근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철근 방식은 여러 층을 복잡하게 구비하여야 함은 물론, 설치 자체의 공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기초 바닥의 두께도 두꺼워져야 해서 콘크리트의 소모량이 상당히 늘어나고 시공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철근의 선 방식으로 펀칭크랙을 해결하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하중 지지력을 가질 수밖에 없다.In order to prevent this, multiple reinforcing structures are formed in the foundation floor, and this reinforcing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process itself requires a lot of time, as well as having multiple layers.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oundation floor has to be thick, so the consumption of concrete is considerably increas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and the punching crack must be solved by the reinforcement method of steel, so it has a relatively low load bearing capacity.
본 발명은 바닥콘크리트층 하측으로 터파기 깊이를 줄이거나, 터파기 과정 없이, 바닥콘크리층 내부에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구조체를 구비하여,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depth of the trench to the bottom of the bottom concrete layer, or to provide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inside the bottom concrete layer, without the process of digging, the plate-shaped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the base of the lower pillar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omposite structure.
또한, 건물, 교량의 기둥 기초, 타워크레인의 하부 기초 및 내력벽의 기초 등과 같이 지반에 기초를 형성할 때, 전체 하중이 기둥의 하방으로 가중되어, 기둥 기초에 발생하는 펀칭크랙을 방지하도록 판 형태의 구조체를 설치하여, 가해지는 펀칭 크랙을 효율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forming a foundation in the ground such as a pillar foundation of a building, a bridge foundation, a bottom foundation of a tower crane, and a bearing wall, the overall load is weighted downward to prevent the punching crack occurring in the pillar found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a lower pillar base, which is capable of efficiently supporting and dispersing an applied punching crack by providing a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파기를 깊고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하방 펀칭 압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기초 구조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펀칭 압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크랙 보강용 판형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punching pressure is more increased without forming a thicker structure of the foundation structure which can support and disperse the high downward punching pressure more effectively without deepening the trench.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te-lik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a pillar base to enable effective support and dispersion.
또한 본 발명은 모듈형으로 콘크리트층 내에 내입되도록 하여,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the lower base of the column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layer in a modular form,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또한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에 절곡 형태의 지지부 또는 결합돌출부재 또는 정착공을 구비하여, 별도의 추가부재 없이도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호 간에 견고하게 정착되어 합성구조를 형성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late form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or coupling protrusion member or fixing hole in the form of bent, the concrete is poured without the need for any additional member is firmly fixed to each other to form a composite structure of the lower pillar bas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펀칭 압력이 가해지는 기둥 하부 기초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펀칭 압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위치되는 철근들에 의해 관통되거나 또는 접촉 되거나 또는 연결되거나 또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합성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가 2 이상 나란히 또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a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punching pressure is applied to a structure provided at a lower base position of a column to which punching pressure is applied in a concrete structure. The base plate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ynthetic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in a state that is penetrated, contacted or connected by the reinforcing bars located within the concrete structure, or located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the base plate structure Provides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a pillar b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is arr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at least two side by side or intersecting.
또한, 상기 판재의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 또는 측방 단부에 지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the lower pillar b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lower end or side end of the plate.
또한, 상기 판재 또는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결합돌출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the lower pillar b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member protrudes outward from one surface of the plate or the support.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rovides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the lower pillar bas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bending the plate.
또한, 상기 지지부는 용접 또는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판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rovides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the lower pillar bas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plate by welding or coupling member.
또한, 상기 판재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the lower pillar b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plate.
또한,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판재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wo or more plate members formed with the coupl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the lower pillar b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groove.
또한, 상기 판재들 중 서로 마주보거나 이웃하는 일면이 연결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the lower pillar b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urface of the plate facing each other or adjacent to each other is configured to be inter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판재들의 서로 마주보거나 이웃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연결홀에 삽입 위치되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provides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the lower pillar bas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formed on one surface facing each other or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연결부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provides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the lower pillar bas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ircular or square shape.
또한, 상기 연결부는 장형 철판 또는 환봉 또는 철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provides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the lower pillar bas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long iron plate or round bar or reinforcing bar.
또한, 상기 판재들의 길이방향 단부를 따라 테두리부가 일체로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the lower pillar b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integrally l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end of the plate.
또한, 상기 테두리부는 장형 철판 또는 환봉 또는 철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edge portion provides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the lower pillar bas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long iron plate or round bar or reinforcing bar.
또한, 상기 판재에 바닥면 방향으로 지지프레임이 설치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상기 바닥면과 이격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is installed on the plate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the base plate structure provides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the pillar bas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판재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판재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in the plate, to provide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the lower base of the pilla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late and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판재에 구비되는 지지공에 상기 지지프레임이 삽입되되,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전에 의한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판재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is inserted into a support hole provided in the plate,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frame, the space between the plate and the bottom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by the rotation of the support frame Provided is a plate-shaped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a pillar bottom found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is adjusted.
또한, 상기 판재의 단부에는 지지 가이딩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 가이딩부에 관통 위치되어, 상기 판재가 상기 지지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upport guiding part, the support frame is located through the support guiding part, the punching crack of the lower pillar b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support frame Provide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ement.
또한, 서로 마주보거나 서로 이웃하는 상기 판재들 사이 사이에 하나 이상의 수직형 철근이 배치되고, 상기 수직형 철근의 내측 또는 외측에 수평형 철근이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one or more vertical rebars are disposed between the plate facing each other or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punching crack of the lower pillar b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are arranged inside or outside the vertical rebars Provide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ement.
또한, 상기 수직형 철근은 상기 판재와 상호 연결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하부 기초의 펀칭 크랙 보강용 판형 합성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provides a plate-like composite structure for punching crack reinforcement of the pillar base, characterized in that positioned to be interconnected with the plate.
본 발명은 기초 바닥층에 인가되는 펀칭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인장력이나 압축력에도 강한 내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uniformly dispersing the punching pressure applied to the base bottom layer and having a strong strength against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또한, 본 발명은 수직형 철근이 철근연결부에 관통되면서 상기 판재와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수평형 철근이 수직형 철근을 감싸도록 구성되는바, 기둥 등에 의한 펀칭크랙이 판재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펀칭크랙이 판재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interconnected with the plate while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penetrate the reinforcing bars,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the punching crack by the column or the like is configured to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plate As a result, the punching crack is effectively supported and dispersed by the sheet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판재들이 나란히 또는 교차되도록 배치되므로, 소성단면계수가 높이지고, 연성이 좋아지며, 단면 성능이 좋아지게 되어, 기둥 등에 의한 펀칭크랙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o that the plates are arranged side by side or cross, the plastic cross-sectional coefficient is increased, the ductility is improved, the cross-sectional performance is improved, the effect that can be more effectively supported and dispersed punching cracks by the column, etc. have.
또한, 본 발명은 판재들이 연결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 등에 의하여 판재에 펀칭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펀칭 압력이 다수 개의 판재 중 어느 한 판재로 쏠린다 하더라도, 상기 어느 한 판재가 힘의 균형을 잃고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boards are interconnec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even when the punchi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plate by the load of the concrete, etc., even if the punching pressure is dir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late, any one of the plate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balance of the force and open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의 회전에 의한 상하 이동에 의하여, 판재와 바닥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late and the bottom surface by the vertical movement by the rotation of the support frame.
또한, 본 발명은 판재의 다양한 절곡, 돌출, 관통 형상과 콘크리트가 서로 유기적으로 밀접하게 경화되면서, 견고한 합성 구조체를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orming a rigid composite structure while the various bending, protrusions, penetrating shapes and concrete of the plate and the organic harden closely to each oth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 략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가 펀칭 크랙을 담당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물 하중 등에 의한 펀칭 압력에 의하여 펀칭크랙이 형성되는 C부분에 수직으로 판재(100)가 사방으로 구비된다. 이 경우 판재(100)는 판 형상이므로, 펀칭 압력에 대해 선 형태의 철근들보다 강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펀칭 압력이 집중되는 D부분에는 판재(100)를 배치시키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듬성듬성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펀칭 크랙이 미치는 C 부분을 수직으로 세워진 판재(100)가 지지하게 됨에 따라, 펀칭 크랙을 선이 아닌 면으로 흡수하여 지지하므로, 콘크리트의 두께가 많이 줄어들게 된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plate-lik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sponsible for the punching crack. Referring to Figure 2, the
도 3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배치 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와 같이 판재(100)는 십자로 배치되거나, (b)와 같이 샵(# 내지는 우물 정(井)) 형태로 배치되거나, (c)와 같이 그물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combination embodiment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3, as shown in (a) the
도 4는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판재(100)의 상, 하단부에는 수평하게 지지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재(100)에 지지부(140)가 형성되면 상측 하중과 펀칭크랙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함은 물론, 시공시에 배치가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지 지부(140)는 판재(100)의 상단 또는 하단을 절곡하거나, 각 단부에 용접 또는 결합시켜 형성하는데 제조상 절곡을 하는 것이 가장 용이하다.Referring to FIG. 4, the
이렇게 형성되는 판재(100)는 (a)와 같이 십자로 배치되거나, (b)와 같이 샵(# 내지는 우물 정(井))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 판재(100)와 일 판재(100)에 형성되는 지지부(140)에 일체로 결합홈(190)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타 판재(100)와 타 판재(100)에 형성되는 지지부(140)에 상기 결합홈(190)에 대응되도록 결합홈(190)이 형성되며, 일 판재(100)의 결합홈(190)에 타 판재(100)의 결합홈(190)이 상호 끼워지게 된다. 이때, 일 판재(100)의 결합홈(190)에는 타 판재(100)의 지지부(140)가 위치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위치안내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이러한 판재(100)들 간의 결합, 접합은 용접에 의하거나, 별도의 결합구(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and bonding between the
이처럼 지지부(140)를 구비하는 판재(100)들이 십자 또는 샵(#) 또는 우물 정(井) 형태로 배치되면, 소성단면계수가 높이지고, 연성이 좋아지며, 단면 성능이 좋아진다. 또한, 판재(100)의 상단과 하단에 지지부(140)가 절곡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날카로운 판재(100)의 상,하단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둥 등에 의한 펀칭압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좌굴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좌굴에 대한 안정성을 바탕으로, 종래 1m 두께로 형성하던 콘크리트층을 80㎝ 내지 90㎝로 작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또한, 판재(100)와 지지부(140)의 결합에 의한 판형구조체에 큰크리트가 타설되고 경화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될 때, 큰크리트가 상기 판형구조체와 서로 유기적으로 밀접하게 경화되면서 합성 구조체를 형성하게 되어, 기둥 등에 의한 펀칭압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larg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plate-like structure by the combination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서로 교차하면서 '#' 형상으로 배치된 판재(100)들 중 서로 마주보는 일면이 연결부(21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210)는 견고한 철근, 환봉, 길이방향으로 긴 장형 철판 등으로 구성되며, 판재(100)들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관통 위치되면서 도 5의 (a)와 같이 원형 형상 또는, 도 5의 (b)와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one surface of the
이처럼 판재(100)들이 연결부(21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 등에 의하여 판재(100)에 압력이 가해질 때, 판재(100)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이 연결부(210)에 의하여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므로, 외부 압력이 다수 개의 판재(100) 중 어느 한 판재(100)로 쏠린다 하더라도, 어느 한 판재(100)가 힘의 균형을 잃고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구성된다.When the
또한, 판재(100)와 연결부(210)의 결합에 의한 판형구조체에 큰크리트가 타설되고 경화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될 때, 콘크리트가 상기 판형구조체와 서로 유기적으로 밀접하게 경화되어 합성 구조체를 형성하게 되므로, 기둥 등에 의한 펀칭압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larg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plate-shaped structure by the coupling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에 철근구조가 배치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판재(100)들은 수직 하중을 받는 기둥(미도시)의 하방 또는 하단 주변에 배치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기둥과 같이 수직 하중을 잡기 위한 부분에는 철근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철근구조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형 철근(E)와, 수직형 철근(E)의 내측 또는 외측을 사방으로 감싸거나 지지하는 수평형 철근(F)을 포함한다. 상기 기둥에는 이러한 수직, 수평형 철근(E,F)이 촘촘히 위치되는데, 도면에 표시된 것 이상으로 보다 밀하게 배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bar structure is disposed in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6 (a), the
이러한 상기 철근구조는 판재(100) 주변에 위치되는데, 상세하게는 두 개 이상의 판재(100)가 서로 나란히 또는 교차되면서, 서로 마주보거나 서로 이웃하는 판재(100)들 사이 사이에 다수 개의 수직형 철근(E)이 배치되고, 다수 개의 수직형 철근(E)의 내측 또는 외측에 수평형 철근(F)이 배치된다. 그리고 다수 개의 수직형 철근(E) 중 선택되는 수직형 철근(E)은 판재(100) 또는 지지부(140)에 형성된 철근연결부(145)에 관통 위치되어, 판재(100)와 상기 철근 구조가 서로 견고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The reinforcing structure is located around the
이처럼 본 발명은 수직형 철근(E)이 철근연결부(145)에 관통되면서 상기 판재(100)와 상호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수평형 철근(F)이 수직형 철근(E)을 감싸도록 구성되는바, 기둥 등에 의한 펀칭크랙이 판재(100)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펀칭크랙이 판재(100)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vertical reinforcement (E) penetrates the
도 6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는 수직 하중을 받는 수직기둥에 위치될 수 있다. 수직기둥은 건물을 지지하는 기둥으로써, H빔 등의 견고한 수직철근(G)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수직철근(G)은 터파기를 통해 굴토된 바닥면에 그 하단부가 매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판재(100)들이 수직철근(G)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교차하면서 '#'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판형 구조체 중앙에 수직철근(G)이 삽입 위치되고, 이어서 용접 등에 의하여 수직철근(G)과 상기 판형 구조체가 상호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6 (b), the plate-lik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cated in the vertical column subjected to the vertical load. The vertical column is a pillar supporting the building, and is composed of a solid vertical reinforcing bar (G) such as an H beam. The vertical reinforcement (G) is fixed to the bottom end buried in the bottom surface excavated through the trench. And the
이처럼 수직철근(G)에 상기 판형 구조체가 배치된 후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콘크리트가 상기 판형구조체와 서로 유기적으로 밀접하게 경화되어 합성 구조체를 형성하게 되므로, 펀칭압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Thus, when concrete is poured after the plate-shaped structure is disposed on the vertical reinforcement (G), the concrete is organically hardened closely with the plate-shaped structure to form a composite structure, so that the punching pressure can be more effectively supported and dispers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도 7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서로 교차하면서 '#' 형상으로 배치된 판재(100)들 중 서로 마주보는 일면이 연결부(21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210)는 견고한 철근, 환봉, 길이방향으로 긴 장형 철판 등으로 구성되며, 판재(100)들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관통 위치되면서 원형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도 5의 (b)와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 one surface facing each other among the
그리고 판재(100)들의 길이방향 단부를 따라 테두리부(240)가 일체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240)는 철근, 환봉, 장형 철판 등으로 형성되며, 판재(100)들의 외측에 용접, 볼트 결합 등에 의하여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된다.And the
이처럼 판재(100)들의 단부가 테두리부(240)에 의하여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 펀칭 압력 등에 의하여 판재(100)에 압력이 가해질 때, 판재(100)들이 연결부(210) 및 테두리부(240)에 의하여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므로, 외부 압력이 다수 개의 판재(100) 중 어느 한 판재(100)로 쏠린다 하더라도, 어느 한 판재(100)가 힘의 균형을 잃고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며, 기둥 등에 의한 펀칭압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ends of the
도 8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에 지지프레임이 형성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upport frame is formed in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십자로 교차되면서 배치된 두 개의 판재(100) 중 적어도 어느 한 판재(100)에 이격부재(220)가 구비된다. 상기 이격부재(220)는 판재(100)가 바닥면과 이격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판재(100)의 하단부, 상세하게는 판재(100) 하단부에 위치되는 지지부(140)에 형성되는 지지 가이딩부(224)와, 상기 지지 가이딩부(224)에 형성되는 지지공(미도시)에 관통 위치되는 지지프레임(2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 가이딩부(224)에 관통된 지지프레임(222)의 선단부는 바닥면에 견고하게 삽입되면서, 판재(100)를 바닥면에서 이격 위치시킨다. 이때, 지 지프레임(222)의 외주연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지지프레임(222)의 회전에 의한 상하 이동에 따라, 판재(100)와 바닥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하기 도 9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8, a
도 9는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가 바닥면과 이격 위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plate-lik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도 9를 참조하면, 판재(100)는 평평하게 다져진 철근 또는 버림콘크리트 위에 위치되는데, 경우에 따라, 버림콘크리트 형성 전에, 판재(100)를 울퉁불퉁한 바닥면, 즉, 땅을 굴토하여 형성되는 굴토마감면에 위치시켜야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판재(100)의 지지 가이딩부(224)에 지지프레임(222)을 삽입시키며, 이때, 지지프레임(222)을 회전시키면서 판재(100)와 굴토마감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다수 개의 판재(100)가 굴토마감면 상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그리고 굴토마감면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판재(100)와 굴토마감면 사이의 하부 공간에도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하여, 판재(100)가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정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공간에는 철근이 위치될 수도 있다.And when the concrete is poured on the top of the gulto finish surface,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lower space between the
도 10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서로 교차하면서 '#' 형상으로 배치된 판재(100) 및 지지부(140)에는 다수 개의 결합돌출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출부재는 판 재(100) 및 지지부(140)가 콘크리트와 단단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판재(100) 및 지지부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터드 볼트(106, 150) 등으로 구성된다. 스터드 볼트(106, 150)는 콘크리트층 내에서 콘크리트와 판재(100) 및 콘크리트와 지지부(14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스터드 볼트(106)에는 다수 개의 결합너트(107)가 끼워져서 콘크리트가 스터드 볼트(106)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0,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 members may be fastened to the
한편, 판재(100)의 일측에는 다수 개의 정착공(23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콘크리트 타설시에 판재(100)에 형성된 정착공(230)을 통해 원활한 콘크리트의 유입을 도모함은 물론, 콘크리트가 경화될 때, 판재(100)와 콘크리트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fixing
이처럼 판재(100)에 콘크리트가 타설 및 경화될 때, 판재(100)에 구비되는 상기 결합돌출부재 또는 정착공(230)을 통하여 콘크리트가 판재(100), 상기 결합돌출부재 및 정착공(230)과 서로 유기적으로 견고하게 경화되먼서 합성구조체를 형성하므로, 기둥 등에 의한 펀칭압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As such, when concrete is poured and hardened on the
도 11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다른 형상 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판재(100)는 상단부 및 하단부 또는 상, 하단부 중 어느 일측에 수평한 지지부(140')를 구비하여, 상측 하중과 펀칭 크랙을 견고하게 지지함은 물론, 시공시에 배치가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other shape combination example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is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1, the
그리고 판재(100)와 지지부(140')의 결합에 의한 판형구조체에 큰크리트가 타설되고 경화되어 콘크리트층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판형구조체가 큰크리트층 내에서 큰크리트와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합성 구조체를 형성하게 되어, 기둥 등에 의한 펀칭압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And a large concrete is placed on the plate-like structure by the combination of the
지지부(140)는 상기 도 4와 같이, 판재(100)의 상단 또는 하단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 이외에, 도 11의 (a)와 같이, 'ㄱ' 형태로 형성시킨 지지부(140')를 판재(100)에 용접 또는, 볼트 등의 별도의 접합구(147)를 통해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의 (b)와 같이, 판재(100)의 서로 다른 면에 지지부(140')를 각각 결합시킬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the
도 12는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다른 형상 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ㄱ' 형태로 형성시킨 지지부(140')를 판재(100)의 서로 다른 면, 예를 들면 우측 상단 및 좌측 하단에 각각 위치시키고, 용접 또는, 볼트 등의 별도의 접합구(147)를 통해 결합시킬 수 있다.12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pe combination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2 (a), the
또한, 도 12의 (b)와 같이, 판재(100)의 서로 동일한 면에 지지부(140, 140')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판재(100)의 우측 상부를 절곡하여 지지부(140)를 형성하거나, 판재(100)의 우측 하부에 'ㄱ ' 형태로 형성시킨 지지부(140')를 볼트 등의 별도의 접합구(147)를 통해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B, the
또한, 도 12의 (c)와 같이, 판재(100)의 우측 상부와 하부에 지지부(140'')를 용접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C, the
도 13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다른 형상 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판재(100)를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그 좌측면과 우측면을 각각 90°절곡시켜서 지지부(140)를 형성시킬 수 있다.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other shape combination example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is invention. Referring to FIG. 13A, the
또한, 도 13의 (b)와 같이, 판재(100)를 수직으로 위치시키고, 그 좌측면과 우측면을 각각 90°절곡시켜서 지지부(140)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B, the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f course, variations are possible.
도 1은 일반적인 기초 바닥, 기둥 등의 펀칭 압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unching pressure of a general foundation floor, pillars and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가 펀칭 크랙을 담당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plate-lik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sponsible for the punching crack.
도 3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배치 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combination embodiment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에 철근구조가 배치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bar structure is disposed in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에 지지프레임이 형성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upport frame is formed in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가 바닥면과 이격 위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plate-lik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도 10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다른 형상 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other shape combination example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is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다른 형상 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pe combination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판형 구조체의 다른 형상 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other shape combination example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of this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판재 100a : 연결홀100:
106 : 스터드볼트 107 : 결합너트106: stud bolt 107: coupling nut
140, 140' : 지지부 144 : 위치안내부140, 140 ': support 144: location guide
145 : 철근연결부 147 : 접합구145: rebar connection 147: junction
150: 스터드 볼트 210 : 연결부150: stud bolt 210: connection portion
220 : 이격부재 222 : 지지프레임220: spacer 222: support frame
224 : 지지 가이딩부 230 : 정착공224: support guiding part 230: fixing hole
240 : 테두리부240: border
Claims (1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27710 | 2008-03-26 | ||
KR20080052498 | 2008-06-04 | ||
KR1020080067505A KR20090102596A (en) | 2008-03-26 | 2008-07-11 | Reinforcement |
KR1020080067505 | 2008-07-11 | ||
KR1020080095985A KR20090102599A (en) | 2008-03-26 | 2008-09-30 | Reinforcement |
KR1020080095985 | 2008-09-30 | ||
KR1020080104282A KR20090102604A (en) | 2008-03-26 | 2008-10-23 | Reinforcement |
KR1020080104282 | 2008-10-2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7721A true KR20100007721A (en) | 2010-01-22 |
Family
ID=41360044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7505A Pending KR20090102596A (en) | 2008-03-26 | 2008-07-11 | Reinforcement |
KR1020080095985A Pending KR20090102599A (en) | 2008-03-26 | 2008-09-30 | Reinforcement |
KR1020080104282A Pending KR20090102604A (en) | 2008-03-26 | 2008-10-23 | Reinforcement |
KR1020090054354A Abandoned KR20100007718A (en) | 2008-03-26 | 2009-06-18 | Reinforcement |
KR1020090054904A Abandoned KR20100007721A (en) | 2008-03-26 | 2009-06-19 | Reinforcement |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7505A Pending KR20090102596A (en) | 2008-03-26 | 2008-07-11 | Reinforcement |
KR1020080095985A Pending KR20090102599A (en) | 2008-03-26 | 2008-09-30 | Reinforcement |
KR1020080104282A Pending KR20090102604A (en) | 2008-03-26 | 2008-10-23 | Reinforcement |
KR1020090054354A Abandoned KR20100007718A (en) | 2008-03-26 | 2009-06-18 | Reinforce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5) | KR20090102596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2977B1 (en) * | 2016-04-29 | 2017-04-04 | 최두호 | A reinforcement of foundation |
KR20240155568A (en) | 2023-04-20 | 2024-10-29 | 주식회사 한국강재기술 | Footing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with rebar frame of box typ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0378B1 (en) * | 2008-03-14 | 2012-05-03 | 극동건설주식회사 | Reinforcement |
CN106835948B (en) * | 2017-03-01 | 2018-10-26 | 华汇工程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the well formula steel plate shear force constru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assembled composite beam bridge |
CH720228A2 (en) * | 2022-11-15 | 2024-05-31 | Fir Group Ag | Reinforcing element |
-
2008
- 2008-07-11 KR KR1020080067505A patent/KR20090102596A/en active Pending
- 2008-09-30 KR KR1020080095985A patent/KR20090102599A/en active Pending
- 2008-10-23 KR KR1020080104282A patent/KR20090102604A/en active Pending
-
2009
- 2009-06-18 KR KR1020090054354A patent/KR20100007718A/en not_active Abandoned
- 2009-06-19 KR KR1020090054904A patent/KR20100007721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2977B1 (en) * | 2016-04-29 | 2017-04-04 | 최두호 | A reinforcement of foundation |
KR20240155568A (en) | 2023-04-20 | 2024-10-29 | 주식회사 한국강재기술 | Footing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with rebar frame of box ty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7718A (en) | 2010-01-22 |
KR20090102604A (en) | 2009-09-30 |
KR20090102599A (en) | 2009-09-30 |
KR20090102596A (en) | 2009-09-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7680B1 (en) | Prefabricated Precas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WO2011114507A1 (en) | Method of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to be newly built | |
KR101140378B1 (en) | Reinforcement | |
JP2011511190A (en) | Precast tempora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00007721A (en) | Reinforcement | |
KR20110029454A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lower base of pillar used for reverse drilling method | |
JP5951375B2 (en) | Steel tower reinforcement structure | |
KR20080100740A (en) | Reverse support structure of mud wall using open type plat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underground plywood and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plywood using the same | |
KR101270697B1 (en) | Precast Concrete Blocks and Remodeling 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s for Low and Middle-rise Beam-column Buildings by Using that Blocks | |
JP6283906B2 (en) | Prop foundation | |
KR20100006805U (en) | Earth plate | |
JP5228862B2 (en) |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 |
JP2008144459A (en) | Slab form and method of constructing composite floor slab | |
KR100626326B1 (en) | Concrete structure | |
KR101037502B1 (en) |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structural strength in the foundation floor layer | |
CN213805443U (en) | Steel construction, frame beam structure, side slope reinforced structure and reinforcement and support structure | |
KR101483865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using Composite Wale | |
KR100936396B1 (en) | Reinforcement | |
KR100935305B1 (en) | Reinforcement and method for joining plates | |
KR20110026663A (en) | Steel colum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2109900B1 (en) | Reinforced Concrete Method an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 |
KR20090083268A (en) |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steel interlocking strength | |
KR101161993B1 (en) | Reinforcement and method thereof | |
KR100590178B1 (en) | Formwork fixture for earth wall | |
KR20110116949A (en) | Installation method of foundation reinforcement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002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109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1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