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548A - Medical suction head - Google Patents
Medical suction hea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7548A KR20100007548A KR1020080068217A KR20080068217A KR20100007548A KR 20100007548 A KR20100007548 A KR 20100007548A KR 1020080068217 A KR1020080068217 A KR 1020080068217A KR 20080068217 A KR20080068217 A KR 20080068217A KR 20100007548 A KR20100007548 A KR 201000075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head
- medical suction
- drain tube
- tube
- fema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holding wounds open, e.g. retractors; Tra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6—Connectors between drainage tube and handpiece, e.g. drainage tubes detachable from handpie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61M1/91—Suction aspects of the dressing
- A61M1/912—Connectors between dressing and drainage tu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삼출물을 드레인 튜브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드레인 튜브와 흡입헤드의 연결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의료용 흡입헤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suction head capable of smoothly discharging the exudates absorbed by the porous pad to the drain tube, and to secure the coupling of the drain tube and the connection of the suction head.
상기 본 발명은 부압을 이용해 외과용 드레이프에 의해 밀폐된 상처부위의 삼출물을 드레인 튜브로 배출하도록, 상기 상처부위에 부착한 다공성 패드에 접촉하여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상기 삼출물을 모아 상기 드레인 튜브로 안내하기 위한 의료용 흡입헤드에 있어서, 중앙에 연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패드와 접촉하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삼출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다수의 단일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삼출물을 상기 연통구멍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채널을 갖는 플랜지부; 및, 일단이 상기 플랜지부의 연통구멍에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드레인 튜브와 연결 시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exudates absorbed by the porous pad in contact with the porous pad attached to the wound site to discharge the exudates of the wound area closed by the surgical drape to the drain tube by using a negative pressure to guide the drain tube. In the medical suction head for form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formed in the center, formed on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porous pad to form a plurality of single flow paths so that the exudates do not mix with each other to guide the exudates into the communication holes A flange portion having a guide channel of; And a connecting tube having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flange portion and the other end being fastened so as not to be separated when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drain tube.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입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의 피부 상처부위의 삼출물이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흡입헤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ction he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dical suction head that allows the exudates of the skin wounds of the patient to be smoothly inhaled.
외과에서는 상처부위의 치유를 촉진시킬 목적으로 부압을 이용한 치료를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부압을 이용한 상처부위의 치료를 위해서, 감염을 감소시키고 절개부 주위 피부의 용이한 처리를 위한 외과용 드레이프(surgical drape)와 오픈 셀 폴리머(open cell polymer)로 이루어진 다공성 패드를 통해 시술하였다.Surgery is performed using negative pressure to promote healing of wounds. In order to treat the wound using negative pressure, the procedure was performed through a porous pad made of a surgical drape and an open cell polymer to reduce infection and facilitate treatment of the skin around the incision. .
이와 같은 부압을 이용한 진공유도치료 프로세스는 텍사스 주 샌 안토니오의 키네틱컨셉 회사(Kinetic Concepts, Inc.)와 상업적으로 이용된 V.A.C. (Vacuum Assisted Closure) 제품라인에 의하여 최근에 대중화되었다. 이러한 진공유도치료 프로세스는, 미국특허 제4,969,880호, 미국특허 제5,100,396호, 미국특허 제5,261,893호 및 미국특허 제5,527,293호에 각각 개시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진공유도치료 프로세스의 개선사항과 수정사항 들이 미국특허 제5,636,643호, 미국특허 제5,645,081호, 미국특허 제6,142,982호에 개시되어 있다.This vacuum induction treatment process using negative pressures was developed by Kinetic Concepts, Inc. of San Antonio, Texas, and commercially available V.A.C. (Vacuum Assisted Closure) The product line was recently popularized. Such vacuum induction treatment processes are disclosed in US Pat. No. 4,969,880, US Pat. No. 5,100,396, US Pat. No. 5,261,893 and US Pat. No. 5,527,293, respectively. Moreover,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of the vacuum induction treatment process are disclosed in US Pat. No. 5,636,643, US Pat. No. 5,645,081, and US Pat. No. 6,142,982.
이러한 부압을 이용한 치료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처부위에 부착되는 다공성 패드를 부착하고 다공성 패드와 상처부위를 함께 덮도록 외과용 드레이프를 부착하여 상처부분을 밀폐시킨다. 이렇게 상처부위가 밀폐된 상태에서 드레인 튜브의 일단을 다공성 패드에 직접 삽입시키고 드레인 튜브 타단에 연결된 진공발생장치를 구동시켜 드레이프 내측에 부압을 발생시키면, 상처에서 배출되는 삼출물이 다공성 패드로 흡수되어 드레인 튜브로 배출됨으로써 상처가 봉합된다. 이 경우, 다공성 패드는 상처 표면과 드레이프 간에 소정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드레이프 내측에 부압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삼출물이 드레인 튜브를 통해 원활하게 빠져나가는 데 도움을 준다.The treatment process using this negative pressure is as follows. First, a porous pad attached to the wound is attached, and a surgical drape is attached to cover the wound and the porous pad together to seal the wound. When the wound is closed, one end of the drain tube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porous pad, and a vacuum genera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rain tube is driven to generate a negative pressure inside the drape. The wound is closed by discharge into the tube. In this case, the porous pad maintains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wound surface and the drape to maintain a negative pressure inside the drape to help the exudates smoothly escape through the drain tube.
그런데, 이와 같이 드레인 튜브를 다공성 패드에 직접 삽입시킬 경우, 드레인 튜브의 끝 부분과 가까운 상처 부위의 삼출물은 원화하게 흡수되는 반면, 드레인 튜브의 끝 부분으로부터 원거리에 있는 삼출물은 원활하게 드레인 튜브로 흡입되지 못해 부압에 의한 상처 봉합 치료가 더디게 된다.However, when the drain tube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porous pad in this manner, exudates from the wound near the end of the drain tube are absorbed in a circular manner, while exudates remote from the end of the drain tube are smoothly sucked into the drain tube. As a result, the treatment for wound closure caused by negative pressure is slow.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특허등록 제516,28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처부위로부터 삼출물의 흡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흡입헤드가 제시된 바 있다.상기 흡입헤드는 다공성 패드 상측에 압착된 플랜지부와 그 상측에는 드레인 튜브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플랜지부의 저면에는 상기 연결관으로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삼출물을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유체흐름을 촉진하는 유동채널을 규정하는 대략 반구형의 여러 돌출부가 간격을 두고 분포되어 있다. 이 경우, 흡입헤드는 다공성 패드의 개방된 면과 환자의 피부에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박형의 가용성 접착제 코팅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외과용 드레이 프와 조합하여 사용되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516,288, a suction head for smoothly sucking the exudates from the wound area has been proposed. The suction head has a flange portion compres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rous pad and an upper side thereof. The connection tube for connecting with the drain tube is formed. In this case, several hemispherical protrusions are formed at intervals on the bottom of the flange to define a flow channel for promoting fluid flow so as to smoothly guide the exudates absorbed by the porous pad to the connecting pipe. In this case, the suction head was used in combination with a surgical drape comprising a thin soluble adhesive coated plastic film to secure the assembly to the open side of the porous pad and the patient's skin.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흡입헤드는 여러 개의 반구형 돌출부가 음압이 집중되는 중심부에 불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공성 패드의 곳곳에서부터 연결관으로 안내되는 유로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연결관 주위로 갈수록 유로가 한곳으로 몰리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는 삼출물을 연결관으로 이동시키는 데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여 삼출물을 원활하게 드레인 튜브로 배출하기 어려웠고 이로 인해 부압을 이용한 치료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uction head, since several hemispherical protrusions are irregularly disposed at the center where the negative pressure is concentrated, the length of the flow path guided from the various parts of the porous pad to the connector is not constant and in some cases around the connector. Increasingly, the flow path is concentrated in one place, which acts as an obstacle to moving the exudate to the connecting pipe, and it is difficult to discharge the exudate to the drain tube smoothly.
또한, 종래의 흡입헤드는, 연결관에 드레인 튜브를 연결시킨 후 환자가 움직이게 되면 쉽게 분리되는 경우가 잦았으며, 이로 인해 상처가 실내 공기에 노출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세균 등에 상처 부위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어, 이 경우 의료진은 즉시 새로운 흡입헤드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흡입헤드와 드레인 튜브를 접착제 등으로 완전 고정을 하였는데, 이 경우 드레이프로 흡입헤드를 상처부위에 고정할 때 드레인 튜브 때문에 드레이프를 흡입헤드에 완전히 밀착시킬 수 없으며, 이로 인해 드레이프 내측에 설정된 부압이 발생하지 못하게 되어 삼출물의 제거가 어렵고 따라서 상처의 회복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uction head is often easily separated when the patient moves after connecting the drain tube to the connection tube, which causes the wound to be exposed to indoor air, contaminating the wound site with various bacteria included in the air. There is a problem, in which case the clinician has to replace the new suction head immediate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uction head and the drain tube are completely fixed with adhesive, etc. In this case, when the suction head is fixed to the wound by the drape, the drain tube cannot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ction hea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egative pressure set in the inner side is not generated, so that the exudates are difficult to remove and thus the recovery of the wound is delayed.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삼출물을 드 레인 튜브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드레인 튜브와 흡입헤드의 연결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의료용 흡입헤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dical suction head capable of smoothly discharging the exudates absorbed by the porous pad to the drain tube, and to secure the coupling of the drain tube and the connection of the suction head. Its purpose is t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부압을 이용해 외과용 드레이프에 의해 밀폐된 상처부위의 삼출물을 드레인 튜브로 배출하도록, 상기 상처부위에 부착한 다공성 패드에 접촉하여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상기 삼출물을 모아 상기 드레인 튜브로 안내하기 위한 의료용 흡입헤드에 있어서, 중앙에 연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패드와 접촉하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삼출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다수의 단일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삼출물을 상기 연통구멍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채널을 갖는 플랜지부; 및, 일단이 상기 플랜지부의 연통구멍에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드레인 튜브와 연결 시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입헤드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negative pressure to discharge the exudates of the wound site closed by the surgical drape to the drain tube, the exudates absorbed in the porous pad in contact with the porous pad attached to the wound site In the medical suction head for collecting and guiding to the drain tube, a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formed on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porous pad to form a plurality of single flow path so that the exudate is not mixed with each other to the exudate A flang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guide channels guiding to the communication holes; And, one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flange portion,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tube is fastened so as not to be separated when connected with the drain tube; provides a medical suction head comprising a.
상기 다수의 안내채널은 상기 연통구멍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다수의 안내채널은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단으로부터 상기 연통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안내채널은 직선으로 이루어진 홈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guide channels are formed radially around the communication hole.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guide channels may be form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flange portion to the communication hole.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guide channels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formed of straight lines.
상기 플랜지부는 부착되는 상기 드레이프가 찢어지지 않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단 모서리가 라운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flange portion is rounded to prevent tearing of the drape to which the flange is attached.
상기 연결관의 타단 내주와 상기 드레인 튜브의 외주 일단에는 상호 체결되는 암/수톱니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암/수톱니부는 상기 드레인 튜브를 상기 연 결관에 삽입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 형성될 수 있으면, 이에 따라 연결관에 삽입한 드레인 튜브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other end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ip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ain tube may be formed with female / gear teeth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emale / gear portion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inserting the drain tube into the connection pipe. If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ain tu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tube from being separated.
상기 연결관은 상기 드레인 튜브가 환자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타단이 절곡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랜지부와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ipe is bent at the other end such that the drain tub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patient, and preferably, may be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flange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일단부가 상기 드레인 튜브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연결관에 체결되어 상기 드레인 튜브와 연결관을 상호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조인트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관의 타단 내주와 상기 조인트파이프의 외주 일단에는 상호 체결되는 암/수톱니부가 각각 단일로 형성되며, 상기 암/수톱니부는 상기 드레인 튜브를 상기 연결관에 삽입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joint pipe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drain tube and the other end fastened to the connection tube to connect the drain tube and the connection tub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other end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pip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joint pipe are each formed with a single female / gear tooth par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emale / gear portion is a reverse direction of inserting the drain tube into the connection pipe. It is preferable to be inclined.
아울러, 상기 연결관과 조인트파이프 사이의 결합을 견고하기 위해,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조인트파이프를 조여 주도록 상기 연결관 외주에 결합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ion pipe and the joint pip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fixing ring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pipe to tighten the joint pipe through the connection pipe.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압을 이용해 외과용 드레이프에 의해 밀폐된 상처부위의 삼출물을 드레인 튜브로 배출하도록, 상기 상처부위에 부착한 다공성 패드에 접촉하여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상기 삼출물을 모아 상기 드레인 튜브로 안내하기 위한 의료용 흡입헤드에 있어서,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상기 드레인 튜브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관을 갖는 제1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과 연통하는 연통구멍; 및, 상기 다공성 패드와 부분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삼출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다수의 단일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삼출물을 상 기 연통구멍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채널을 갖는 제2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입헤드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the porous pad in contact with the porous pad attached to the wound site to discharge the exudates of the wound site closed by the surgical drape to the drain tube using a negative pressure. A medical suction head for collecting exudates and guiding the drain tube, the medical suction head comprising: a first surface having a flat surface and having a connection tube connected to the drain tube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pipe; And a second surface having a plurality of guide channels that partially contact the porous pad and form a plurality of single flow paths so that the exudates do not mix with each other, thereby guiding the exudates into the communication hole. Provide a medical suction hea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처부위의 부압치료를 행할 경우,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삼출물을 다수의 안내채널을 통해 서로 섞이지 않도록 최단거리로 연통구멍으로 안내함에 따라 삼출물의 원활한 흡입을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압을 이용한 상처 치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에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performing the negative pressure treatment of the wound, the exudates absorbed in the porous pad is guided to the communication hole in the shortest distance so as not to mix with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guide channels to induce smooth inhalation of the exudate.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ound treatment using the negative pressure is smooth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흡입헤드는 연결관과 드레인 튜브가 암/수톱니부에 의해 상호 연결 후 분리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치료 중에 드레인 튜브가 분리되어 연결관으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세균에 의해 상처부위가 감염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connection tube and the drain tube from being separated after the interconnection by the female / toothed portion, so that the drain tube is separated during the treatment and wound by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tube. It can fundamentally prevent the site from becoming infected.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흡입헤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medical suction hea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입헤드의 평면도이고, 도 2은 도 1에 표시된 Ⅱ-Ⅱ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입헤드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입헤드에 연결하는 드레인 튜브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suction hea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su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view of the head, and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rain tube connected to a suction he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흡입헤드(100)는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드레인 튜브(200)에 연결될 수 있 는 연결관(130)을 갖는 제1면(즉, 상부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130)과 연통하는 연통구멍(113), 및 다공성 패드(20)와 부분적으로 접촉하며 삼출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다수의 단일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삼출물을 상기 연통구멍(113)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채널(111)을 갖는 제2면(즉, 하부면)을 포함하고 있다.1 to 3 and 7, the medical suction hea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necting
상기 흡입헤드(100)는 형상으로 구분할 때 플랜지부(110)와 연결관(13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면(즉, 상부면)과 제2면(즉, 하부면)을 갖는 상기 플랜지부(110)는 피부(10)의 상처부위(11)에 부착되는 다공성 패드(20, 도 6 및 도 7 참고)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다공성 패드(20)로 흡수된 삼출물을 안내하여 연통구멍(113)으로 모아주도록 다공성 패드(20)와 접촉하는 일측면에 다수의 안내채널(111)을 형성하고, 중앙에 연결관(130)과 연통되는 연통구멍(113)을 형성한다.The
상기 다수의 안내채널(111)은 삼출물을 연결관(130)의 연통구멍(113)으로 모아주되, 삼출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다수의 단일 유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단일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안내채널(111)은 연통구멍(11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홈형상, 예를 들어, 단면이 트렌치형 또는 반구형이나 삼각형상을 이루는 요홈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다수의 안내채널(111) 간의 각도(θ)는 삼출물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예를 들어, 약 30ㅀ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안내채널(111) 간의 각도(θ)는 상처부위(11)의 크기, 즉 플랜지부(110)의 직경의 크기에 따라 또는 삼출물의 양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또한, 플랜지부(110)가 통상 다공성 패드(20) 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관계로 다공성 패드(20)의 외주변에 흡수된 삼출물을 효과적으로 이송하기 위해 다수의 안 내채널(111)은 플랜지부(110)의 외주단으로부터 연통구멍(113)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며, 이 경우 다수의 안내채널(111)은 직선으로 형성하여 플랜지부(110)의 외주단으로부터 연통구멍(113)이 최단거리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안내채널(111)이 직선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다수의 안내채널(111)을 통해 이송되는 삼출물이 섞이지 않도록 다수의 안내채널(111)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rst embodiment, a plurality of
또한, 플랜지부(110)는 드레이프(30)를 플랜지부(110) 타측면에 부착한 상태로 피부(10)에 부착할 때, 플랜지부(110)의 모서리(112)에 의해 드레이프(30)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라운딩 형성된다. 이에 따라 드레이프(30)가 찢어짐에 따라 피부와 드레이프(30) 사이에 형성된 부압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더욱이, 플랜지부(110)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처부위(11)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Moreover, the
상기 연결관(130)은 연통구멍(113)에 연통되는 제1 관부(131)와, 드레인 튜브(200)에 연결되는 제2 관부(133)를 포함하며 일체로 형성된다.The connecting
상기 제1 관부(131)는 일단이 연통구멍(113)과 연통된 상태로 플랜지부(110)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관부(131)는 플랜지부(110)에 대하여 대략 직각방향으로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상기 제2 관부(133)는 드레인 튜브(200)와 연결 시 드레인 튜브(200)가 환자의 신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일단이 제1 관부(131) 타단에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이 경우 제2 관부(133)는 대략 플랜지부(110)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관부(133)를 절곡 형성함에 따라 드레인 튜브(200)가 치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The
또한, 제2 관부(133)는 드레인 튜브(200)의 일단이 삽입 연결되는 체결구멍(135)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제2 관부(133)의 체결구멍(135)에 인접한 내주에는 암톱니부(137)가 형성되고, 드레인 튜브(200)의 일단에는 암톱니부(137)에 체결 삽입되는 수톱니부(210)가 각각 형성된다. 이 경우, 암/수톱니부(137,210)는 드레인 튜브(200)를 제2 관부(133)의 체결구멍(135)에 삽입하는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경사 형성된다. 이러한 암/수톱니부(137,210)의 경사방향은 드레인 튜브(200)를 제2 관부(133)의 체결구멍(135)에 삽입 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암/수톱니부(137,210)는 체결 후, 진공발생장치에 의해 음압이 형성되고 유지될 수 있도록 적절한 공차를 갖도록 설계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더욱이, 상기한 제2 관부(133)와 드레인 튜브(200) 사이의 결합구조는 암/수톱니부(137,210) 체결 이외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실링용 패킹이 추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한편, 흡입헤드(100)는 다공성 패드(20), 드레이프(30) 및 드레인 튜브(200)와 함께 폴리파우치에 포장되거나 개별 포장될 수 있고, 감마선에 의해 멸균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흡입헤드(100)의 재질은 감마선 멸균에 의해 변성되지 않거나 변성되더라도 강도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 않는 탄성을 갖고 비교적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는 데 실리콘 고무 또는 PVC 재질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입헤드(100)를 이용하여 상처부위(11)에 고정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 5 내지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A method of fixing the
도 5와 같이, 피부(10)의 상처부위(11)에 삼출물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오픈 셀 폴리머(open cell polymer)로 이루어진 다공성 패드(20)를 부착한다.As shown in FIG. 5, a
이어서 다공성 패드(20)의 대략 중앙 부에 흡입헤드(100)의 플랜지부(110)를 안착시킨다.Subsequently, the
그 후, 외과용 드레이프(30)의 개방부(31)로 연결관(130)을 통과시키고 드레이프(30)의 보호필름(미도시)을 제거하여 플랜지부(110)의 타측면과 드레이프(30)가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고, 계속해서 도 6과 같이, 드레이프(30)의 외주변을 피부(10)의 상처부위(11) 주변에 진공이 새는 부분이 없도록 완전히 밀착시켜 피부(10)와 드레이프(30) 사이에 부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밀폐시킨다.Thereafter, the connecting
그 후, 도 7 및 도 8과 같이, 드레인 튜브(200)의 수톱니부(210)를 제2 관부(133)의 체결구멍(135)에 삽입시켜 암/수톱니부(137,210)를 상호 체결시킨다. 그 결과 드레인 튜브(200)는 암/수톱니부(137,210)에 의해 연결관(13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Thereafter,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이 상태에서, 드레인 튜브(200) 타단에 연결된 진공발생장치 예를 들면, 진공펌프를 작동시키면, 피부(10)와 드레이프(30) 사이에 부압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처부위(11)의 삼출물이 다공성 패드(20)로 흡수된 뒤, 플랜지부(110)에 형성된 다수의 안내채널(111)을 통해 연통구멍(113)으로 안내된다.In this state, when a vacuum generator, for example, a vacuum pump,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그 후, 삼출물은 연통구멍(113)으로 유입된 후 연결관(130)을 거쳐 드레인 튜브(200)를 따라 이송되어 최종적으로 수거통으로 수거된다.Thereafter, the exudates are introduced into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흡입헤드(100)를 통해 상처부위의 부압치료를 행할 경우,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삼출물을 다수의 안내채널(111)을 통해 서로 섞이지 않도록 최단거리로 연통구멍(113)으로 안내함에 따라, 삼출물의 원활한 흡입을 유도할 수 있다.As such, when performing the negative pressure treatment of the wound site through the
더욱이, 연결관(130)과 드레인 튜브(200)가 암/수톱니부(137,210)에 의해 상호 한번 결합되면 다시 분리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치료 중에 드레인 튜브(200)가 분리되어 연결관(130)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상처부위(11)가 공기에 포함된 세균에 노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입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입헤드에 연결구를 통해 드레인 튜브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연결구가 흡입헤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링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ction he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in tube is connected to the suction hea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connector. 1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ring for preventing the connector shown in Figure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ction hea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흡입헤드(300)는, 도 9와 같이, 플랜지부(310)와 연결관(330)을 구비하며, 플랜지부(31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피부(10)의 상처부위(11)에 부착되는 다공성 패드(20, 도 6 참고)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다공성 패드(20)로 흡수된 삼출물을 안내하여 연통구멍(313)으로 모아주도록 다공성 패드(20)와 접촉하는 일측면에 다수의 안내채널(311)을 형성하고, 중앙에 연결관(330)과 연통되는 연통구멍(313)을 형성한다.The
연결부(330)는 제1 및 제2 관부(331,333)로 이루어지며, 드레인 튜브(400)와 의 연결이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다소 상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제2 관부(333)는 내측에 단일로 이루어진 암톱니부(337)가 형성되며, 제2 관부(333)의 체결구멍(335)에는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조인트파이프(350)가 결합된다.The
이 경우 조인트파이프(350) 외주에 형성된 수톱니부(351)는 도 10과 같이, 암톱니부(337)에 스냅 결합되고, 동시에 암/수톱니부(337,351)는 조인트파이프(350)를 제2 관부(333)의 체결구멍(335)으로 삽입하는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경사 형성됨에 따라, 조인트파이프(350)는 제2 관부(333)에 대하여 한번 스냅 결합하면 분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드레인 튜브(400)는 조인트파이프(350)를 통해 연결관(330)에 연결된다.In this case, the
연결관(330)에 조인트파이프(350)를 통해 드레인 튜브(400)를 연결한 상태에서, 도 11과 같이, 조인트파이프(350)와 연결관(330)의 연결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연결관(330)에 고정링(370)을 삽입한다. 이 경우, 고정링(370)은 제2 관부(333)를 통해 조인트파이프(350)를 조일 수 있도록 제2 관부(333) 상에서 조인트파이프(350)의 선단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state in which the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흡입헤드(300)의 사용방법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Since the method of using the
제2 실시예의 의료용 흡입헤드(300)를 통해 상처부위의 부압치료를 행할 경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안내채널(111)을 통해 삼출물을 서로 섞이지 않도록 원활한 흡입을 유도할 수 있고, 또한 연결관(330)과 조인트파이프(350)의 암/수톱니부(337,351)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탄성적으로 스냅결합이 이루어지고 고정링(370)을 통해 다시 한번 조인트파이프(350)를 연결관(330)에 견고하게 고정함에 따라,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치료 중에 드레인 튜브(400)가 분리되어 연결관(330)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상처부위(11, 도 5 참고)가 공기에 포함된 세균에 노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negative pressure treatment of the wound site through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은 드레이프와 결합하여 다공성 패드에 흡수된 삼출물을 드레인 튜브로 원활하게 배출하는 의료용 흡입헤드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medical suction head coupled with the drape to smoothly discharge the exudates absorbed in the porous pad to the drain tub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입헤드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suction hea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은 도 1에 표시된 Ⅱ-Ⅱ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입헤드의 저면도,3 is a bottom view of the suction he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입헤드에 연결되는 드레인 튜브를 나타내는 개략도,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rain tube connected to a suction he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환자의 상처부위에 다공성 패드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ous pad is attached to the wound of the pati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흡입헤드를 다공성 패드 상측에 고정하고, 이부분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드레이프를 함께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pe is attached together to fix the suction head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upper side of the porous pad, and to maintain the airtight in this portion,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흡입헤드에 드레인 튜브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및 사시도,7 and 8 are a cross-sectional sid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in tube is connected to the suction head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입헤드를 나타낸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ction he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입헤드에 연결구를 통해 드레인 튜브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ain tube is connected to a suction he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connector;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연결구가 흡입헤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링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1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ring for preventing the connector illustrated in FIG.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ction head is couple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
20: 다공성 패드 30: 드레이프20: porous pad 30: drape
31: 관통구멍 100,300: 흡입헤드31: through hole 100,300: suction head
110,310: 플랜지부 111,311: 가이드 유로홈110, 310: flange 111,311: guide flow groove
112,313: 모서리 113,313: 연통구멍112,313: corner 113,313: communication hole
130,330: 연결관 131,331: 제1 관부130,330 connector 131,331: first tube part
133,333: 제2 관부 135,335: 체결구멍133,333: second tube 135,335: fastening hole
137,337: 암톱니부 200,400: 드레인 튜브137,337: tooth tooth 200,400: drain tube
210,351: 수톱니부 350: 연결구210,351: toothed portion 350: connector
370: 고정링370: retaining ring
Claims (24)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8217A KR20100007548A (en) | 2008-07-14 | 2008-07-14 | Medical suction head |
PCT/KR2009/003834 WO2010008167A2 (en) | 2008-07-14 | 2009-07-14 | Medical suction hea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8217A KR20100007548A (en) | 2008-07-14 | 2008-07-14 | Medical suction hea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7548A true KR20100007548A (en) | 2010-01-22 |
Family
ID=4155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8217A Ceased KR20100007548A (en) | 2008-07-14 | 2008-07-14 | Medical suction head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7548A (en) |
WO (1) | WO2010008167A2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5287Y1 (en) * | 2012-12-13 | 2014-11-20 | (주) 화승엑스윌 | Fender with drain hole |
KR20150067909A (en) * | 2013-12-10 | 2015-06-19 | 주식회사 엠포스 | Medical Suction Hea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469935B2 (en) * | 2010-03-11 | 2013-06-25 | Kci Licensing, Inc. | Abdominal treatment systems,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
GB201006983D0 (en) * | 2010-04-27 | 2010-06-09 | Smith & Nephew | Wound dressing |
GB201006988D0 (en) * | 2010-04-27 | 2010-06-09 | Smith & Nephew | Suction port |
US9061095B2 (en) | 2010-04-27 | 2015-06-23 | Smith & Nephew Plc |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use |
EP2495009A1 (en) | 2011-03-02 | 2012-09-05 | Lohmann & Rauscher GmbH | Wound treatment assembly and suction attachment for same |
CN102500040B (en) * | 2011-11-30 | 2013-05-01 |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三附属医院 | Suction unit used in surgery |
EP2636417B1 (en) | 2012-03-05 | 2017-04-26 | Lohmann & Rauscher GmbH | Wound treatment assembly and covering device for same |
JP6492016B2 (en) * | 2013-02-12 | 2019-03-27 | エレクトロケミカル オキシジェン コンセプツ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Wound treatment dressing |
EP3117806B1 (en) | 2015-07-16 | 2020-06-10 | Lohmann & Rauscher GmbH | Wound treatment assembly |
EP3120817B1 (en) | 2015-07-22 | 2020-07-01 | Lohmann & Rauscher GmbH | Wound treatment assembly |
US10426874B2 (en) * | 2016-12-02 | 2019-10-01 | Apex Medical Corp. | Wound management assembly and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 |
EP3908342A2 (en) * | 2019-01-11 | 2021-11-17 | KCI Licensing, Inc. |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846314B2 (en) * | 1997-07-01 | 2005-01-25 | Ira L. Shapira |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bone marrow |
US7214202B1 (en) * | 1997-07-28 | 2007-05-08 | Kci Licensing, Inc. | Therapeutic apparatus for treating ulcers |
GB9719520D0 (en) * | 1997-09-12 | 1997-11-19 | Kci Medical Ltd | Surgical drape and suction heads for wound treatment |
US20030225393A1 (en) * | 2002-05-31 | 2003-12-04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Low profile transpyloric jejunostomy system and method to enable |
-
2008
- 2008-07-14 KR KR1020080068217A patent/KR20100007548A/en not_active Ceased
-
2009
- 2009-07-14 WO PCT/KR2009/003834 patent/WO2010008167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5287Y1 (en) * | 2012-12-13 | 2014-11-20 | (주) 화승엑스윌 | Fender with drain hole |
KR20150067909A (en) * | 2013-12-10 | 2015-06-19 | 주식회사 엠포스 | Medical Suction Hea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0008167A2 (en) | 2010-01-21 |
WO2010008167A3 (en) | 2010-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07548A (en) | Medical suction head | |
AU2013327251B2 (en) | Wound therapy device | |
US20190099527A1 (en) | Subatmospheric pressure mechanism for wound therapy system and related methods therefor | |
JP5876482B2 (en) | Device for controlling blood outflow in the bleeding area | |
US20100191197A1 (en) | Flanged Connector for Wound Therapy | |
US20100286639A1 (en) | Medical dressing with edge port and methods of use | |
JP2007007467A (en) | Device for fixing effluent tube | |
CN104645427A (en) | Drainage device | |
JP2012502755A (en) |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reduced pressure to subcutaneous tissue | |
EP0232600A1 (en) | Apparatus for draining fluid from a body cavity | |
JPH0412143B2 (en) | ||
US8663173B2 (en) | Disposable shield for a medical tool | |
US12083291B2 (en) | Anchoring devices for implanted tubes and related methods | |
CN206198355U (en) | Drainage system with O rings | |
CN113423443B (en) | Chemical pump housing for negative pressure system | |
US20200330732A1 (en) | Catheter dressings, systems and methods of use | |
US20200281776A1 (en) | Wound Drain | |
CN211485882U (en) | A outer plug-in sucking disc drainage device of membrane for wound treatment | |
KR101028916B1 (en) | Medical Suction Device | |
JP6799013B2 (en) | dressing | |
CN213490934U (en) | Negative pressure drainage dressing with medical polyester film wrapping edge | |
CN107397983A (en) | Wound healing and bone regeneration instrument | |
CN215689059U (en) | Fixing paste | |
KR200456425Y1 (en) | Connecting Device for Aspirator | |
WO2022210756A1 (en) | Suction object guiding device and suction object suc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9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