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07485U -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 - Google Patents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485U
KR20100007485U KR2020090000490U KR20090000490U KR20100007485U KR 20100007485 U KR20100007485 U KR 20100007485U KR 2020090000490 U KR2020090000490 U KR 2020090000490U KR 20090000490 U KR20090000490 U KR 20090000490U KR 20100007485 U KR20100007485 U KR 201000074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cloth
dust collector
cloth
du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신화이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이엔피 filed Critical (주)신화이엔피
Priority to KR2020090000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7485U/ko
Publication of KR201000074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485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01D46/52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with means for maintaining spacing between the pleats or 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진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의 주름형 여과포의 주름 간격을 유지시켜 필터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필터의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집진기(1) 필터(10)의 여과포(2)에 결합 구성되는 간격유지구(2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20)는 여과포의 바깥쪽 둘레에 접하게 구성된 환형의 띠(21)와, 상기 환형의 띠(21) 내측으로 여과포(12) 주름의 외측 골(12a)에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된 수개의 결합돌기(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간격유지구(20)가 결합 구성된 여과포(12)의 안쪽 둘레에 접하게 구성된 환형의 띠(21)와, 상기 환형의 띠(21) 외측으로 여과포(12) 주름의 내측 골(12a)에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된 수개의 결합돌기(22)로 이루어진 내측간격유지구(20')를 더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간격유지구(20)를 여과포의 바깥쪽 둘레에 또는 간격유지구(20) 및 내측간격유지구(20')를 여과포의 바깥쪽 둘레와 동시에 안쪽 둘레에 여과포(12) 주름의 골(12a) 사이사이와 대응되는 결합돌기(22)를 사용하여 결합 구성하여 필터(10)에 의한 탈진 시나 필터(10)의 역세척 시에 여과포(12)의 주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여과포(12)의 수축 및 팽창을 최대한 억제시키므로 필터(10)의 내구성을 증대시켜서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필터(10)의 집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집진기, 필터, 여과포, 주름, 골, 간격유지구, 띠, 결합돌기

Description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Space sustenance unit of filter cloth for dust collector filter}
본 고안은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유입되는 기체 중에 함유된 각종 분진 등을 걸러주어 깨끗한 기체만이 배출되도록 구성된 집진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집진기용 필터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분진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주름형 여과포의 주름 간격을 유지시켜 주어 필터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필터의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등의 기체 중에 함유된 분진 등을 제거(=탈진(脫塵))하기 위한 집진기는 집진의 방법에 따라 중력에 의한 것, 여과에 의한 것, 관성 및 원심력에 의한 것, 음파를 이용한 것, 세정에 의한 것 등 그 종류가 많은데, 크게 나누어서 전기식과 기계식이 있고, 기계식에는 다시 건식과 습식이 있으며, 상기 전기식은 관, 판, 막대, 철사와 같은 집진전극에 고전압을 걸고 이들 사이에 기체를 통과시켜 분진을 전기에 의해 집진하는 것으로 집진효율이 가장 좋으나 설비비가 비싸서 보통은 기계식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기계식에서도 보통 습식 집진기가 건식 집진기에 비해 효율이 좋으나 설치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고, 구조가 복잡하여 설비비도 높고 유지, 보수비용도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고자 근자에 들어 습식 집진기와 집진효율이 거의 비슷하거나 월등하게 뛰어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공간의 점유율도 낮아서 설비비가 저렴한 건식 집진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상기한 건식 집진기는 내부에 수개의 필터가 설치되는 격판을 고정 구성하고, 집진기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로 기체가 유입되면 상기 필터에 의해 분진이 걸러져 깨끗한 기체만 격판 상부에 형성된 유출구로 유출되도록 구성하되, 필터에 의해 걸러진 분진은 하부의 분진배출구로 포집되면서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집진기 내부에 설치된 필터는 필터의 여과포 표면에 분진이 결착되어 어느 정도 적층되면 기체가 분진층의 통과저항 증가로 압력손실이 점차적으로 높아져서 정상적인 운전이 불가능하므로 필터의 여과포에 적층된 분진을 주기적으로 털어내기 위해 집진기 상부에 별도의 컴프레서(compressor)와 연결 설치된 고압분사관을 설치하여 고압분사관에서 필터 내부로 에어를 분사하여 여과포에 적층된 분진을 이탈시켜서 하부 배출구로 낙하(=역세척)되게 하는 건식 집진기용 필터(일반적으로 '백필터'라고도 함.)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종래 건식 집진기용 필터의 경우 여과포를 원주방향으로 주름지게 형성하고 길이방향으로 골을 형성하여 집진면적을 극대화시켜 집진효율을 향상시키고, 필터의 여과포 내부에 리테이너(retainer)를 내입 고정하여 기체 중의 분진을 걸러주는 탈진 시에 필터의 형상이 내부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지만, 상 기 고압분사관에 의한 필터의 역세척 시에 외부로 형상의 변형이 일어나서 여과포가 팽창되었다가 일부분이 찢어지거나 전체적으로 터져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이때 여과포를 포함한 필터 전체를 교체해야하므로 필요 이상의 비용이 들게 되며, 잦은 교체로 인하여 작업시간의 지체 및 유지, 보수비용이 증대하는 등 다방면으로 손실을 가지고 왔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이 여과포가 찢어지거나 터지지 않더라도 필터의 여과포가 원주방향으로 주름진 형태이므로 내부에 리테이너가 존재하더라도 탈진 시 여과포 표면에 결착된 분진에 의해서 내부로 고압이 작용하여 수축되거나 역세척 시 고압분사관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에 의해 팽창되었다가 원상태로 복원될 시 원주방향으로의 주름이 펴지는 등의 주름변형이 발생하여 이후 계속적인 기체의 집진작업 시 필터의 집진효율이 현저하게 극감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집진기용 필터의 주름형 여과포에서 기체 중의 분진을 탈진할 때나 필터에 분진이 결착되어 고압의 에어로 역세척할 때 필터의 여과포 형상을 항상 원래 상태인 원주방향으로 주름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여과포의 수축 및 팽창을 억제시켜 필터 자체의 변형이나 파손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필터의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를 제공함에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두고 완성한 것이다.
상기한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를 구성하되, 상기 간격유지구는 필터의 여과포 길이에 따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여과포의 바깥쪽 둘레로 수개가 결합 구성되며,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환형의 띠 형상으로 내측으로는 여과포의 주름 사이사이에 대응되게 내향되는 결합돌기가 일체로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간격유지구는 여과포의 재질에 따라 간격유지구가 결합 구성된 여과포의 내측으로 결합돌기가 외향되게 여과포의 주름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내측간격유지구를 바깥쪽 둘레의 간격유지구와 동시에 부가적으로 결합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고안의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는 여과포의 바깥쪽 둘레 또는 여과포의 바깥쪽 둘레와 동시에 안쪽 둘레에 여과포의 주름 사이사이와 대응되는 결합돌기를 사용하여 결합 구성하여 집진기 필터에 의해서 분진을 탈진할 시나 집진기 필터를 역세척할 시에 여과포의 주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여과포의 수축 및 팽창을 최대한 억제시키므로 필터의 내구성을 증대시켜서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필터의 집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집진기의 일례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간격유지구가 장착된 집진기 필터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이 및 내부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A-A선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들과 더불어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하부 일측에 분진이 함유된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며 수개의 필터(10)가 장착된 격판(3)이 고정 설치되며, 상부 일측으로는 필터(10)에 의해서 분진이 여과된 깨끗한 기체만이 유출되는 유출구(4)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필터(10)에 의해서 걸러진 분진이 포집 및 배출되도록 배출구(5)가 형성되며, 상부에 별도의 컴프레서(7)와 연결 설치되어 필터(10)의 내부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토록 고압분사관(6)이 설치된 집진기(1)에 있어서, 상기 필터(1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진기(1)의 격판(3)에 필터(10)를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부(11)와, 플랜지부(11) 하부에 상부가 접착 구성되며 기체의 분진을 보다 효과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주름져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수개의 골(12a)이 형성된 여과포(12)와, 여과포(12)의 하부에 분진이 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접착 구성된 마개부(13)와, 여과포(12)에 내접하여 기체가 여과포(12) 내부로 유입될 시 내부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토록 상하 단부가 플랜지부(11)와 마개부(13)에 각각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진 리테이너(14)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집진기(1)의 필터(10)에 수개가 결합 구성되는 집진기(1) 필터(10)용 여과포(12)의 간격유지구(2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간격유지구(20)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필터(10)의 여과포(12) 길이에 따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여과포(12)의 바깥쪽 둘레로 접하게 구성된 환형의 띠(21) 내측으로 각각 여과포(12) 주름의 외측 골(12a) 사이사이에 대응 결합되게 내향되는 수개의 결합돌기(22)가 일체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간격유지구(20)는 여과포(12)의 재질에 따라 여과포(12)의 내측으로 여과포(12) 주름의 내측 골(12a)과 대응되는 수개의 결합돌기(22)가 외향되게 일체로 형성된 환형의 띠(21)로 이루어진 내측간격유지구(20')를 바깥쪽 둘레의 간격유지구(20)와 동시에 부가적으로 결합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여과포(12)에 형성된 원주방향의 주름이 잘 유지되는 PE(polyethylene) 재질의 여과포(12)일 경우에는 상기 도 4와 같이 여과포(12)의 바깥쪽 둘레로만 간격유지구(20)를 결합 구성하여 바깥쪽에서 여과포(12)의 주름 형상을 유지토록 하면 되고, 여과포(12)에 형성된 원주방향의 주름이 잘 유지되지 않는 PP(polypropylene), 노멕스(nomex), 글라스 울(glass wool) 재질의 여과포(12)일 경우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과포(12)의 바깥쪽 둘레로 결합 구성된 간격유지구(20)와 동일한 위치에서 대응토록 여과포(12) 안쪽 둘레로 내측간격유지구(20')를 하나 더 결합 구성하여 안팎의 이중으로 여과포(12)의 주름 형상을 유지토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필터(10)가 집진기(1) 내부의 격판(3)에 장착되어 집진기(1) 하부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2)를 통해서 집진기(1) 내부로 유입된 분진을 함유한 기체를 필터(10)의 여과포(12)에서 분진을 여과시키면서 분진이 여과된 깨끗한 기체만을 필터(10) 여과포(12) 내 부로 유입시켜 필터(10)의 플랜지부(11)를 통해서 격판(3) 상부로 배출한 후 집진기(1) 상부 일측에 형성된 유출구(4)로 유출시켜서 외부로 배출하거나 사용처로 재공급하게 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필터(10)에 의해서 걸러진 분진은 집진기(1) 하부로 낙하되어 집진기(1) 하단의 배출구(5)로 포집 및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집진기(1)에서 기체의 탈진작용이 계속적으로 장시간 이루어지면 필터(10)의 여과포(12) 외측으로 분진이 부착 적층되어 분진층이 두꺼워지며, 분진층이 두꺼워질수록 기체의 통과저항 증가로 압력손실이 점차적으로 높아져서 정상적인 운전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컴프레서(7)에서 에어를 공급하여 집진기(1) 상부에 설치된 고압분사관(6)을 통해서 필터(10) 내부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시켜서 여과포(12)에 적층된 분진을 털어내어 하부의 배출구(5)로 배출시키면 되는 것이고, 이때 고압의 에어가 순간적으로 필터(10) 내부에 분사되더라도 여과포(12)의 바깥쪽 둘레에 결합 구성된 환형의 띠(21)와 내향되는 결합돌기(22)로 이루어진 간격유지구(20)에 의해서 여과포(12)가 팽창되지 않으며, 설령 여과포(12)가 미세하게 팽창되더라도 종래와 같이 여과포(12)가 찢어지거나 터지는 등의 파손이 일어날 정도까지 확장이 되지 않으며, 상기 에어 분사력에 의해서 탄성 소재의 간격유지구(20)가 흔들리면서 진동하게 되어 진동이 전이된 필터(10) 전체가 진동되므로 여과포(12) 외측에 부착 적층된 분진이 보다 깨끗하고 용이하게 이탈되어 하부로 떨어지며, 상기 간격유지구(20)의 환형 띠(21)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돌기(22)가 여과포(12) 주름의 외측 골(12a)에 대응되게 결합 구성되어 있어서 기체가 필터(10) 내부로 유입되거나 고압분사관(6)을 통해 고압의 에어가 필터(10) 내부로 분사되는 역세척 시에도 원주방향으로 주름진 여과포(12)의 주름이 원래 형상을 유지하므로 변형이 방지되면서 지속적인 분진의 여과가 이루어지므로 필터(10)의 내구성 증대와 더불어 집진효율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또한 여과포(12)의 바깥쪽 둘레와 안쪽 둘레에 각각 간격유지구(20)와 내측간격유지구(20')가 동시에 결합 구성되면 필터(10)에 의한 기체의 탈진과 필터(10)의 역세척 시 여과포(12)의 팽창은 물론이고 수축까지 동시에 방지할 수 있으며, 여과포(12)의 주름 형상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내구성을 더욱 증대시켜서 필터(10)의 수명을 보다 장구히 할 수 있으며, 집진효율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기체의 탈진 시 여과포(12) 내부의 리테이너(14)에 의해 여과포(12)의 수축을 방지할 수는 있었으나, 주름형상의 변형까지는 방지할 수 없으므로 상기 내측간격유지구(20')는 리테이너(14)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기능(=여과포(12)의 수축 방지 기능)에 여과포(12) 주름의 변형까지도 방지시켜주는 진일보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의 간격유지구(20)는 상술한 공장 등에 사용되는 대형 집진기용 필터 외에도 자동차용 내지 소형 집진기용 백필터의 여과포에도 사용 가능하며, 금속 소재의 주름형 백필터 등 다양한 분야의 필터 여과포에 두루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집진기의 일례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간격유지구가 장착된 집진기 필터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간격유지구가 장착된 집진기 필터의 내부 구성을 보인 확대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례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집진기 2:유입구
3:격판 4:유출구
5:배출구 6:고압분사관
7:컴프레서 10:필터
11:플랜지부 12:여과포
12a:골 13:마개부
14:리테이너 20:간격유지구
20':내측간격유지구 21:띠
22:결합돌기

Claims (2)

  1. 집진기(1) 필터(10)의 여과포(2)에 결합 구성되는 간격유지구(2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20)는 여과포의 바깥쪽 둘레에 접하게 구성된 환형의 띠(21)와,
    상기 환형의 띠(21) 내측으로 여과포(12) 주름의 외측 골(12a)에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된 수개의 결합돌기(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20)가 결합 구성된 여과포(12)의 안쪽 둘레에 접하게 구성된 환형의 띠(21)와,
    상기 환형의 띠(21) 외측으로 여과포(12) 주름의 내측 골(12a)에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된 수개의 결합돌기(22)로 이루어진 내측간격유지구(20')를 더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
KR2020090000490U 2009-01-14 2009-01-14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 Ceased KR201000074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490U KR20100007485U (ko) 2009-01-14 2009-01-14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490U KR20100007485U (ko) 2009-01-14 2009-01-14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485U true KR20100007485U (ko) 2010-07-22

Family

ID=4445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490U Ceased KR20100007485U (ko) 2009-01-14 2009-01-14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7485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078B1 (ko) * 2012-11-26 2013-11-05 주식회사 이피아이티 집진기용 필터
KR20180080402A (ko) * 2017-01-03 2018-07-12 김범주 자동 먼지분리기능이 구비된 집진장치
KR101951465B1 (ko) 2018-11-23 2019-02-22 케이씨에어필터텍 주식회사 집진기용 필터백 조립체
KR20210087394A (ko) * 2020-01-02 2021-07-12 신대건 형태유지밴드가 내부에 고정되는 카트리지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90622B1 (ko) 2020-03-24 2021-08-18 (주)에어릭스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
KR20210156732A (ko) * 2020-06-17 2021-12-27 광저우 파르리 필트랙션 컴퍼니., 리미티드. 먼지 제거 필터 카트리지
KR102385595B1 (ko) 2021-09-27 2022-04-14 주식회사 더이앤이솔루션 여과포용 간격유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필터카트리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078B1 (ko) * 2012-11-26 2013-11-05 주식회사 이피아이티 집진기용 필터
US9278302B2 (en) 2012-11-26 2016-03-08 EPiT Co., Ltd. Filter for dust collector
KR20180080402A (ko) * 2017-01-03 2018-07-12 김범주 자동 먼지분리기능이 구비된 집진장치
KR101951465B1 (ko) 2018-11-23 2019-02-22 케이씨에어필터텍 주식회사 집진기용 필터백 조립체
KR20210087394A (ko) * 2020-01-02 2021-07-12 신대건 형태유지밴드가 내부에 고정되는 카트리지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90622B1 (ko) 2020-03-24 2021-08-18 (주)에어릭스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
KR20210156732A (ko) * 2020-06-17 2021-12-27 광저우 파르리 필트랙션 컴퍼니., 리미티드. 먼지 제거 필터 카트리지
KR102385595B1 (ko) 2021-09-27 2022-04-14 주식회사 더이앤이솔루션 여과포용 간격유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필터카트리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381Y1 (ko) 집진기용 필터
KR20100007485U (ko)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
US20100242423A1 (en) Canister air filt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S6393318A (ja) バツグフイルタ集塵機
KR102037668B1 (ko)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
KR20200049171A (ko)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
WO1995003115A1 (en) Reusable filter
KR200446600Y1 (ko) 집진기용 필터 케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백 어셈블리
US20120174787A1 (en) Filter having flow control features
KR102283478B1 (ko) 메탈필터
KR102744136B1 (ko) 공기 청정기
KR101423665B1 (ko) 여과재의 교체가 가능한 주름형 필터
CN104906885A (zh) 弹性体波纹滤管
CN206843205U (zh) 一种活性炭纤维滤芯
CN219848710U (zh) 一种空气滤清器滤芯及空气滤清器
CN202707305U (zh) 一种圆筒形pet涤纶无纺布空气滤清器滤芯
KR20180005885A (ko) 필터카트리지의 여과포 압박밴드
KR20020029341A (ko) 집진기용 필터
CN204745917U (zh) 弹性体波纹滤管
CN202789228U (zh) 一种中圆筒形pet涤纶无纺布空气滤清器滤芯
KR102484724B1 (ko) 촉매 케이지와 필터형태 유지부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
JP2014008443A (ja) 産業用の集塵機の濾過用カートリッジ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の濾材
CN202700254U (zh) 褶皱式布袋除尘器
CN114768391B (zh) 一种高效过滤器
CN213313968U (zh) 滤筒组合式接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11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63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