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755U - switch assembly - Google Patents
switch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6755U KR20100006755U KR2020080017084U KR20080017084U KR20100006755U KR 20100006755 U KR20100006755 U KR 20100006755U KR 2020080017084 U KR2020080017084 U KR 2020080017084U KR 20080017084 U KR20080017084 U KR 20080017084U KR 20100006755 U KR20100006755 U KR 2010000675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switch box
- fixing bracket
- hole
-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07—Adjustable mounting of cas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14—Hand-held casings
- H01H9/0235—Hand-held 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control, e.g. of audio or video apparatus
- H01H9/0242—Protective enclosures; Cushioning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0—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06—Electrical outlet box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에 매립된 스위치박스에 다양한 크기의 고정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판이 더 구비된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witch assembly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ng plate so that fixing brackets of various sizes can be coupled to a switch box embedded in a wall.
이를 위해, 체결부를 포함하며 벽체에 매립된 스위치박스와, 전원에 대한 접속신호를 제어하는 회로부 및 접속신호를 on/off시키는 버튼을 상기 스위치박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스위치 어셈블리에 있어서,상기 고정브라켓과 스위치박스의 크기 차로 인해, 고정브라켓과 체결부 간에 이격거리가 발생할 때,상기 고정브라켓과 체결부 사이에는 이격거리를 보상하는 연결판이 더 배치되도록 하여 스위치박스에 대한 고정브라켓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To this end, in a switch assembly including a fastening part and a switch box embedded in a wall, a circuit part for controlling a connection signal for a power source and a fixing bracket for fixing a button for turning on / off a connection signal to the switch box, Due to the difference in size between the fixed bracket and the switch box, when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xing bracket and the fastening portion occurs, a coupling plate for compensating the separation distance is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ixed bracket and the fastening portion to couple the fixed bracket to the switch box It provides a switch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is is done.
스위치,어셈블리,고정브라켓,연결판,체결부,차폐판,커버판 Switch, assembly, fixing bracket, connecting plate, fastener, shield plate, cover plate
Description
본 고안은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매설된 스위치 박스에 다양한 크기의 고정브라켓이 간편하게 결합되도록 한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witch assembly to be easily coupled to the fixed bracket of various sizes to the existing buried switch box.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할 때에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각종 전기부품들이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된다.In general,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various electric parts for applying power are embedded in a wall.
가장 대표적인 예가 콘센트 및 스위치이다.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are outlets and switches.
이중, 스위치는 모든 조명기구에 대한 전원을 on/off 시키는 것으로서 여러 부품이 조립된 조립체로 이루어진다.Among them, a switch is to turn on / off power for all lighting fixtures, and is composed of an assembly of several parts.
이러한 조립체를 스위치 어셈블리라 하며, 첨부된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종래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uch an assembly is called a switch assembly, and a conventional switch assembl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B.
스위치 어셈블리는 거푸집 형태로 매립 설치된 스위치박스(10)와, 이 스위치 박스(10)의 내부로 노출된 케이블(C)에 연결된 스위치단자(20)와, 이 스위치단자(20)를 스위치박스(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30)과, 상기 스위치단자(20)에 대한 접속신호를 on/off시키는 버튼(40)과, 상기 고정브라켓(30)을 차폐 시키는 커버플레이트(50)로 구성된다.The switch assembly includes a
이때, 상기 스위치박스(10)의 테두리에는 체결공(11a)이 형성된 체결부(11)가 형성된다.In this case, a fastening
이는, 고정브라켓(30)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체결부(11)에 대응되는 고정브라켓(30)에는 결합공(31a)이 형성된 결합부(31)가 형성된다.This is to allow th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위치 어셈블리의 결합은 다음과 같다.The combination of the switch assembly consisting of such a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스위치박스(10)는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이 스위치박스(10)의 내부에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된 케이블(C)이 배치된다.The
이후, 스위치단자(20)가 설치된 고정브라켓(30)을 스위치박스(10)에 결합시킨다.Then, the
이때, 고정브라켓(30)의 결합공(31a)은 스위치박스(10)의 체결공(11a)에 대응된다.At this time, the
이후, 스크류(S)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공(31a)과 체결공(11a)을 통과시켜 고정브라켓(30)을 스위치박스(10)에 체결시킨다.Thereafter, the
이후, 버튼(40)을 스위치 단자(20)에 결합시킨후, 커버플레이트(50)를 고정플레이트(30)에 결합하여 버튼(40)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Then, after the
이로써, 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한 결합은 완료되며, 버튼(40)의 조작을 통해 스위치단자(20)의 접속신호를 on/off시키게 된다.As a result, the coupling to the switch assembly is completed, and the connection signal of the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스위치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switch assembly has the following problems.
스위치박스(10)는 건물의 벽체에 매립된 상태로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The
반면에, 스위치단자(20)가 결합된 고정브라켓(30)은 스위치박스(10)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서, 고장 또는 인테리어를 위한 버튼(4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고정브라켓(30)의 교체시, 새로운 고정브라켓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고정브라켓과 거의 동일해야만 한다.At this time, when replacing the
왜냐하면, 교체되는 고정브라켓(30)의 결합부(31)와 스위치박스(10)의 체결부(11)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positions of the
하지만, 최근에는 디자인이 급변함에 따라 오랜 사용기간 후에는, 교체하고자 하는 새로운 고정브라켓(30')의 구성과 기존에 설치된 고정브라켓(30)의 구성이 서로 상이한 경우가 많아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박스(10)의 체결공(11a)과 새로이 제공된 고정브라켓(30')의 결합공(31a) 사이에는 이격거리(D)가 발생한다.However, in recent years, as the design is rapidly changed, after a long period of use, the configuration of the new fixed bracket 30 'to be replaced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existing
이에 따라, 새로 제공된 고정브라켓(30')을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install the newly provided fixing bracket (30 ').
특히, 최근 사용자들은 기능 못지 않게 스위치의 외관에 대함 심미감도 중요 시 하는 바, 인테리어를 위해 이국적인 느낌을 갖는 형태의 고정브라켓(30"), 커버플레이트(50), 버튼(40) 등을 외국으로부터 수입하여 사용하게 된다.In particular, recent users are as important as the aesthetics of the switch as much as the function of the bar, the interior of the fixed bracket (30 "),
이에 따라, 기존에 설치된 스위치박스(10)는 외국의 제품과 크기 및 형태가 상이하기 때문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국 제품은 기존의 스위치박스(10)와 그 크기가 맞지 않아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게 사실이다.Accordingly, since the existing
물론, 스위치박스(10)를 벽체로부터 해체하여 새로 구입한 외국의 제품에 알맞는 스위치박스(10)를 재설치하여 사용할 수 도 있지만,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Of course, by disassembling the
본 고안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에 설치된 스위치박스의 교체 없이도 다양한 크기 및 형태를 갖는 고정브라켓의 결합이 가는하도록 연결판이 더 구비된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tch assembly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ng plate so that the coupling of the fixing bracket having a variety of sizes and shapes without the replacement of the existing switch box installed It is.
이를 위해, 체결부를 포함하며 벽체에 매립된 스위치박스와, 전원에 대한 접속신호를 제어하는 회로부 및 접속신호를 on/off시키는 버튼을 상기 스위치박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스위치 어셈블리에 있어서,상기 고정브라켓과 스위치박스의 크기 차로 인해, 고정브라켓과 체결부 간에 이격거리가 발생할 때,상기 고정브라켓과 체결부 사이에는 이격거리를 보상하는 연결판이 더 배치되도록 하여 스위치박스에 대한 고정브라켓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To this end, in a switch assembly including a fastening part and a switch box embedded in a wall, a circuit part for controlling a connection signal for a power source and a fixing bracket for fixing a button for turning on / off a connection signal to the switch box, Due to the difference in size between the fixed bracket and the switch box, when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xing bracket and the fastening portion occurs, a coupling plate for compensating the separation distance is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ixed bracket and the fastening portion to couple the fixed bracket to the switch box It provides a switch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is is done.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며,상기 연결판에는 고정공 및 체결공에 각각 대응되는 연결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a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fixing bracket, and a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astening part, and the connection plate preferably has a connection hol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xing hole and the fastening hole.
또한, 상기 연결판의 재질은 알미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connecting plate is preferably aluminum.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과 스위치박스 사이에는 스위치박스의 내부를 차폐하는 차폐판이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hielding plate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bracket and the switch box to shield the inside of the switch box.
이때, 상기 차폐판은,연결판에 대응된 부위에는 간섭방지홈이 형성되고, 차폐판의 중앙에는 회로부가 배치된 중앙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hielding plate, the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i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plate, the center of the shielding plate is preferably formed with a central hole in which the circuit portion is disposed.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어셈블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스위치박스와 고정플레이트 사이에 연결판이 더 배치됨으로써, 벽체에 매립된 스위치박스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크기의 고정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Since the connection plate is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switch box and the fixed plate, fixed plates of various sizes may be installed without replacing the switch box embedded in the wall.
즉, 스위치 어셈블리의 다양한 형태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심미감을 높일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forms of the switch assemb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esthetic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user's satisfaction.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B.
스위치 어셈블리는 스위치박스(100)와, 회로부(210) 및 버튼(220)이 설치된 고정브라켓(200)과, 연결판(300)과, 차폐판(400)과, 커버판(500)을 포함하여 구성 된다.The switch assembly includes a
스위치박스(100)는 외부의 전원에 연결된 케이블(미도시)을 수용하며, 건물의 벽체에 매립되도록 이루어진다.The
이때, 스위치박스(100)의 재질의 금속임이 바람직하며, 그의 내부에는 각 부품이 수용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al of the material of the
이때, 스위치박스(100)에는 고정브라켓(200)이 설치되기 위한 체결부(110)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체결부(110)는 스위치박스(100)의 테두리에 형성되되, 일반적으로는 스위치박스(100)의 상,하부 테두리에 각각 형성된다.The
이때, 체결부(110)에는 스크류(S) 등의 체결수단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111)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체결부(110)의 개수는 스위치 어셈블리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그 특성에 맞게 정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다음으로, 고정브라켓(200)은 버튼(220) 및 회로부(210)를 스위치박스(1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여러 가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Next, the
이때, 회로부(210)는 스위치박스(100)에 배치된 케이블에 연결되어 접속신호를 제어하며, 고정브라켓(200)의 후방에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버튼(220)은 회로부(210)에 연결된 케이블의 접속신호를 on/off시키며, 고정브라켓(200)의 전방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버튼(220)은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인 만큼 심미감을 위해 형태 및 색상 재질 등 여러 가지로 제공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200)에는 스크류 체결을 위한 고정공(201)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고안은 기존에 설치된 버튼 및 회로부의 고장 또는 건물의 인테리어를 위해 버튼 등의 부품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 새로이 제공된 고정브라켓(200)의 크기가 스위치박스(100)의 크기에 비해 작더라도, 상호 간에 간편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button and the circuit portion of the existing installation or parts, such as for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must be replaced, even if the size of the newly provided
이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200)의 크기가 스위치박스(100)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체결공(111)의 위치와 고정공(201)의 위치가 서로 맞지 않은 상태임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ize of the
다음으로, 연결판(300)은 고정브라켓(200)과 스위치박스(100)의 체결부(110)를 연결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Next, the connecting
즉, 고정브라켓(200)과 스위치박스(100)의 크기차로 인해 발생한 고정공(201)과 체결공(111) 사이의 이격거리를 보상해주는 것이다.That is, to compensate fo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이때, 상기 연결판(300)의 형태는 이격거리만 보상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도 무방하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연결판(300)의 재질은 내구성을 위해 금속임이 바람직하며, 알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connecting
이때, 연결판(300)에는 상기 고정공(201)과 체결공(111)에 각각 대응되는 연결공(31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이는, 스크류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으로써, 체결공(11)에 대응된 연결공(311)(이하 '제1연결공'이라 함)과 고정공(201)에 대응된 연결공(312)(이하 '제2연결공'이라 함)의 위치는 다를 수도 있다.This, in order to facilitate screw fastening, the connection hole 3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connec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다음으로, 차폐판(400)은 스위치박스(100)와 고정브라켓(200)의 크기차로 인해 노출된 스위치박스(100)의 내부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Next, the
이때, 차폐판(400)의 크기는 스위치박스(100)의 크기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스위치박스(10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ize of the
이때, 차폐판(400)의 형태는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의 중앙에는 회로부(210)가 배치되기 위한 중앙통공(410)이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shielding
이때, 중앙통공(410)의 상, 하부에는 각각 고정브라켓(200)에 설치된 연결판(300)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간섭방지홈(411)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entral through
또한, 차폐판(400)은 벽체에 노출되기 때문에, 심미감을 위해 여러 형태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ielding
다음으로, 커버판(500)은 벽체의 외부로 노출된 고정브라켓(200)을 차폐하여 스위치 어셈블리의 조립을 깔끔하게 마감하는 역할을 한다.Next, the
이때, 커버판(500) 역시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인 만큼 여러 형태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버판(500)과 고정브라켓(200)에는 각각 후크 등의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상호 간에 결합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the
이때, 결합수단은 후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coupling means is not limited to the hook.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위치 어셈블리의 결합에 대해 첨부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of the switch assembly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먼저, 스크류(S)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스위치박스(100)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판(300)을 결합시킨다.First, the connecting
이때, 스크류(S)는 연결판(300)의 제1연결공(311)과 체결부(110)의 체결공(111)을 통과하여 상기 연결판(300)을 체결부(110)에 체결시킨다.At this time, the screw (S) passes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다음으로, 차폐판(400)을 스위치박스(100)의 전방에 배치시켜 스위치박스(100)의 내부를 차폐시킨다.Next, the shielding
이때, 차폐판(400)의 중앙통공(410)으로 인해, 스위치박스(100)의 내부 전체가 차폐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due to the central through
그리고, 체결부(110)에 결합된 연결판(300)은 차폐판(400)의 간섭방지홈(411)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다음으로, 회로부(210) 및 버튼(220)이 설치된 고정브라켓(200)을 연결판(300)에 결합시킨다.Next, the fixing
이때, 회로부(210)는 중앙통공(410)을 통해 스위치박스(100)의 내부에 배치된 후, 상기 스위치박스(100)의 내부에 배치된 케이블에 연결된다.In this case, the
이때, 고정브라켓(200)의 양측은 차폐판(400) 중, 중앙통공(410)을 중심으로 차폐판(400)의 면상에 밀착되며, 고정공(201)은 연결판(300)의 제2연결공(312)에 대응된다.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fixing
다음으로, 스크류(S)를 이용하여 고정브라켓(200)을 연결판(300)에 결합시킨 다.Next, the fixing
이때, 스크류(S)는 고정공(201) 및 제2연결공(312)을 통과하여 체결된다.At this time, the screw (S) is fastened through the fixing
이와 같이, 고정브라켓(200)이 양측이 차폐판(400)을 밀착한 상태에서 연결판(30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차폐판(400)은 벽체에 유동없이 밀착된다.In this way, as the fixing
다음으로, 커버판(500)을 고정브라켓(200)에 결합시킨다.Next, the
이때, 커버판(500)과 고정브라켓(200)은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해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이후, 고정브라켓(200)은 커버판(500)에 의해 차폐되어 스크류(S) 등이 외부로 보이지 않게 됨에 따라, 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한 깔끔한 마무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n, the fixing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어셈블리는 기존에 설치된 스위치박스(100)에 대응되지 않는 크기를 갖는 고정브라켓(200)이라 하더라도, 연결판(300)에 의해 간편하게 스위치박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As described so far, even if the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
이에 따라, 부품의 고장 또는 인테리어 등을 위해 부품의 교체가 이루어지더라도, 벽체에 매립된 스위치박스(100)를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편리성 및 경제성에서 탁월한 효과가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parts are replaced for the failure or interior of the parts,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도 1은 종래의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witch assembly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스위치박스와 고정브라켓의 크기가 서로 대응되지 못하여 체결공과 결합공 사이에 이격거리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2a and 2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astening hole and the coupling hole because the size of the conventional switch box and the fixing bracket does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고정브라켓이 연결판에 의해 스위치박스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Figure 4a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bracket is coupled to the switch box by a connecting plate in the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차폐판과 커버판에 의해 마무리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Figure 4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finished by the shield plate and the cover plate in the switch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s *
100 : 스위치박스 110 : 체결부100: switch box 110: fastening part
111 : 체결공 200 : 고정브라켓111: fastening hole 200: fixing bracket
201 : 고정공 210 : 회로부201: fixing hole 210: circuit part
220 : 버튼 300 : 연결판220: button 300: connection plate
310 : 연결공 311 : 제1연결공310: connection hole 311: first connection hole
312 : 제2연결공 400 : 차폐판312: second connection hole 400: shielding plate
410 : 중앙통공 411 : 간섭방지홈410: center hole 411: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500 : 커버판 S : 스크류500: cover plate S: screw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7084U KR20100006755U (en) | 2008-12-24 | 2008-12-24 | switch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7084U KR20100006755U (en) | 2008-12-24 | 2008-12-24 | switch assembl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6755U true KR20100006755U (en) | 2010-07-02 |
Family
ID=4445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7084U Ceased KR20100006755U (en) | 2008-12-24 | 2008-12-24 | switch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6755U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01944U (en) | 2013-11-13 | 2015-05-21 | 이-위엔 첸 | Switching apparatus having auxiliary securing structure |
KR102710923B1 (en) | 2024-02-07 | 2024-09-27 | 주식회사 칼리더스 | Integrated switch |
-
2008
- 2008-12-24 KR KR2020080017084U patent/KR20100006755U/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01944U (en) | 2013-11-13 | 2015-05-21 | 이-위엔 첸 | Switching apparatus having auxiliary securing structure |
KR102710923B1 (en) | 2024-02-07 | 2024-09-27 | 주식회사 칼리더스 | Integrated switch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41021B2 (en) | Wiring device with color change kit | |
US5456373A (en) | Cover plate assembly | |
US6051785A (en) | Electrical wiring switch and receptacle leveling/protector plate | |
RU2357340C2 (en) | Support device for electrical or electronic elements, flush-mounted into walls | |
US20050257951A1 (en) | Screwless switch plate assembly | |
CA2685667A1 (en) | Cover plate and kit of parts, including said plate, for wall-mounting of an electrical apparatus | |
CN101754623A (en) | Covering plate for an electrical device | |
EA011067B1 (en) | Cover plate and group of parts, including such plate, for the wall mounting of an electrical apparatus | |
JP5212709B2 (en) | Electrical equipment mounting structure | |
US20080296136A1 (en) | Rocker switch cover assembly | |
EP0788676B1 (en) | A modular structure for the wall-mounting of electrical equipment | |
KR20100006755U (en) | switch assembly | |
CN209808066U (en) | Steam oven door | |
CN105509283A (en) | Air outlet panel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 |
CN105063970A (en) | Shell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 |
JP5943294B2 (en) | Wall-mounted operation device | |
CN110500785A (en) | Shell of water heater and water heater | |
WO2018108088A1 (en) | Washing machine drawer structure and washing machine | |
CN203905628U (en) | Door body handle and air-conditioner and refrigerator all-in-one machine | |
CN211152377U (en) | Crane electrical cabinet | |
CN207727684U (en) | A kind of novel shower faucet wall base | |
KR200348963Y1 (en) | Door improvement of power receiving and distributing board | |
KR200357692Y1 (en) | Terminal box | |
JP3487206B2 (en) | Equipment storage panel | |
CN105763822A (en) | Terminal baffle fixing structure and liquid crystal television or liquid crystal displ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122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916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