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643A - 터치 입력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6643A KR20100006643A KR1020080066855A KR20080066855A KR20100006643A KR 20100006643 A KR20100006643 A KR 20100006643A KR 1020080066855 A KR1020080066855 A KR 1020080066855A KR 20080066855 A KR20080066855 A KR 20080066855A KR 20100006643 A KR20100006643 A KR 201000066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group
- touch input
- coordinate value
- determi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32 reaction spe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입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처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터치 입력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먼저, 터치 스크린의 터치 영역이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그룹화된 터치 스크린에 터치 입력이 제공되면, 터치 입력이 시작되는 시작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1 그룹 및 터치 입력이 종료되는 종료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2 그룹을 판단하고, 판단된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를 결정한다. 따라서, 터치 입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터치 입력의 인식을 위한 처리 부하가 획기적으로 감소한다.
터치 스크린, 터치 입력, 그룹, 궤적, 방향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 입력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터치 입력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프로세서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메모리 용량의 증가 그리고 멀티미디어 부호화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되는 기능이 점점 더 다양화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는 기능이 다양하게 증가하면서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메뉴도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해 종래의 고정적 매트릭스 배열을 가지는 키 패드 만으로는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기가 부적합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이 숫자나 텍스트 기반의 인터페이스에서 그래픽 기반으로 인터페이스로 변화하면서 종래의 숫자, 문자 또는 방향키만으로는 그래픽 기반의 응용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 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재생 및 휴대 인터넷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표시 기능을 구비하면서 더 넓은 가시화면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최근에는 별도의 키패드를 구비하지 않고 입력과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장치에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이 휴대용 단말기에 채용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버튼 또는 그래픽 개체를 손가락 또는 펜으로 접촉하는 것만으로 대화적이고 직감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 작업이 간결해지고, 입력을 위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개체가 해당 응용프로그램에 최적화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보다 쉽게 인지하여 입력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터치 패드가 일체형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와 같이 키패드 설치공간을 별도록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더 큰 가시화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용 단말기에 채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터치 스크린은 구동 방식에 따라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광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 압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저항막 방식이 있고, 이 중 투과율이 높고 반응속도가 빠르며 내성이 우수하여 작동환경에 영향을 적게 받는 저항막 방식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을 위해 작은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는 터치 스크린의 크기도 제한될 수 밖에 없고, 작은 크기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는 메뉴 항목의 수나 또는 응용프로그램의 제어를 위한 버튼의 수도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의 터치 입력 방법에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메뉴 또는 버튼을 단순 터치하여 입력하는 터치 입력 방법 이외에도,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터치를 통해 직선, 곡선, 도형, 기호 등과 같은 소정의 이차원 제스쳐를 제공함으로써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거나 소정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직선, 곡선, 도형 또는 기호 등과 같은 이차원 형태의 터치 궤적을 그리게 되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사용자가 터치한 궤적에 상응하는 좌표값들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좌표값들을 다시 처리하여 사용자가 제공한 터치 입력의 유형을 판단한 후 판단된 터치 궤적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실행하기 때문에,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처리 부하가 크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처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사용자가 제공한 터치 입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처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터치 입력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사용자가 제공한 터치 입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처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터치 입력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인식 방법은, 상기 터치 스크린의 터치 영역이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그룹화되는 단계와, 상기 그룹화된 터치 스크린에 터치 입력이 제공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입력이 시작되는 시작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1 그룹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종료되는 종료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2 그룹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의 터치 영역이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그룹화 되는 단계는, 터치 스크린의 중심 좌표를 기준으로 반지름이 소정 길이만큼 일정하게 증가하는 소정 개수의 가상의 동심원에 의해 그룹화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의 터치 영역이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그룹화되는 단계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모양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이 시작되는 시작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1 그룹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종료되는 종료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2 그룹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작 좌표값 및 상기 종료 좌표값을 미리 저장된 각 그룹의 좌표값들과 비교하여 상기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이 시작되는 시작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1 그룹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종료되는 종료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2 그룹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작 좌표값 및 상기 종료 좌표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된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판단된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 사이의 거리와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인식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터치된 궤적에 대응되는 좌표값을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의 터치 영역을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제공된 좌표값들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이 시작되는 시작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1 그룹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종료되는 종료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2 그룹을 판단하고, 판단된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모양으로 상기 터치 영역을 그룹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 좌표값 및 상기 종료 좌표값을 미리 저장된 각 그룹의 좌표값들과 비교하여 상기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 좌표값 및 상기 종료 좌표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 사이의 거리와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터치 입력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의 터치 영역을 소정 개수의 가상 그룹으로 그룹화한 후, 터치 영역에 터치 궤적이 그려지면 터치 궤적에 대응되는 좌표값에 기초하여 터치 궤적의 시작 위치에 대응되는 그룹과 터치 궤적의 종료 위치에 대응되는 그룹을 판단하고 터치 궤적의 방향을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된 그룹 정보 및/또는 터치 궤적의 방향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를 결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공한 터치 궤적에 대응되는 좌표값에 기초하여 터치 궤적을 추정하는 별도의 복잡한 처리 과정이 필요없이 터치 궤적의 시작 및 종료 위치에 대응되는 그룹을 판별하는 것만으로 터치 입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터치 입력의 인식을 위한 처리 부하가 획기적으로 감소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 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인식 방법에서는 먼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터치 입력 인식 장치가 터치 스크린의 터치 영역을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한다. 여기서, 터치 영역은 사용자가 터치 가능한 터치 스크린의 표면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영역(10)의 그룹화는 터치 영역의 중심(11)을 기준으로 반지름이 소정 길이 만큼 일정하게 증가하는 복수의 가상 동심원을 형성하고, 형성된 가상 동심원에 의해 구분된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영역의 그룹화는 터치 영역(10)의 중심(11)으로부터 터치 영역의 가장자리 쪽으로 등간격으로 그려진 복수의 동심원들에 기초하여 제1 그 룹(21) 내지 제8 그룹(28)로 그룹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치 영역이 그룹화되면 터치 입력 인식 장치는 그룹화된 각각의 그룹에 속하는 좌표값들의 정보로 구성된 그룹 좌표값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터치 영역에 소정의 터치 궤적을 입력하면 입력된 터치 궤적의 시작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값과 터치 궤적의 종료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값을 상기 저장된 그룹 좌표값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제공한 터치 궤적이 시작된 그룹과 터치 궤적이 종료된 그룹을 판단한다.
그리고, 터치 입력 인식 장치는 터치 궤적이 시작된 그룹과 터치 궤적이 종료된 그룹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의 그룹화된 터치 영역 중 제3 그룹(23)부터 제 6 그룹(26)까지 터치 궤적으로 직선(30)을 그린 경우, 터치 입력 인식 장치는 터치 궤적의 시작 위치(31)에 대응되는 좌표값과 터치 궤적의 종료 위치(33)에 대응되는 좌표값을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받은 좌표값들을 미리 저장된 그룹 좌표값 정보와 비교하여 터치 궤적이 제3 그룹(23)부터 제6 그룹(26) 까지 세 개의 그룹에 걸쳐 그려졌음을 판단한다.
이후, 터치 입력 인식 장치는 터치 궤적이 그려진 그룹간의 거리를 3으로 판단하고, 이에 상응하는 실행 이벤트를 결정한 후 결정된 실행 이벤트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에 소정의 이미지가 표시된 경우 상기와 같이 세 개의 그룹에 걸쳐 터치 입력이 제공되면, 터치 입력 인식 장치는 상기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실행 이벤트를 이미지 확대로 결정할 수 있고, 터치 궤적이 그려진 제3 그룹과 제6 그룹의 거리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확대 배율을 3배(즉, 각 그룹의 거리를 1배로 가정)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 인식 장치는 터치 궤적의 시작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값과 터치 궤적의 종료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값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터치 궤적이 그려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궤적의 시작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값과 터치 궤적의 종료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값을 비교한 결과, X값의 변화량보다 Y값의 변화량이 큰 경우에는 터치 궤적이 세로 방향으로 그려진 것으로 판단하고, Y값의 변화량보다 X값의 변화량이 큰 경우에는 터치 궤적이 가로 방향으로 그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 인식 장치는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제공된 터치 궤적의 시작 위치의 좌표값 및 터치 궤적의 종료 위치의 좌표값 중 X값 또는 Y값의 증감 특징에 기초하여 터치 궤적이 그려진 상하좌우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작 위치의 좌표값 및 종료 위치값의 좌표값에서 Y값의 변화량보다 X값의 변화량이 크면 터치 궤적이 수평방향으로 그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X값이 증가하면 터치 궤적이 좌에서 우로 그려진 것으로 판단하고, X값이 감소하면 우에서 좌로 터치 궤적이 그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의 (a)에서는 터치 영역의 그룹화가 터치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동심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터치 영역의 그룹화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메뉴, 실행 화면, 그래픽 정보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상응하여 각각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에 소정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 영역의 그룹화가 설정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궤적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가 소정 배율로 확대되거나 축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터치 스크린에 소정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파일 목록이 표시된 경우에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그려진 가상의 사각형에 의해 그룹화가 설정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파일 목록(예를 들면, 사진 앨범 또는 음악파일 리스트)이 소정 개수 스킵(skip)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 스크린에 소정의 텍스트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영역을 메시(mesh) 모양으로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영역에 제공되는 터치 궤적에 기초하여 텍스트가 소정 방향 및 소정 속도로 스크롤(scroll)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인식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의 터치 영역이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그룹화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의 조작 또는 기설정된 동작 방법(예를 들면, 부팅)에 의해 터치 스크린에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되면(단계 201), 터치 입력 인식 장치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응하여 터치 영역을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한다(단계 203).
여기서, 터치 영역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상응하여 서로 다른 모양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이미지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면, 터치 입력 인식 장치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상 동심원을 통해 터치 스크린을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고, 터치 스크린에 소정의 텍스트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이에 상응하여 터치 영역이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 모양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무관하게 터치 영역이 단일 형태로 그룹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의 그룹화된 터치 영역에 소정 형태의 터치 궤적을 가지는 터치 입력을 제공하면, 터치 스크린은 터치 궤적의 시작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값 및 터치 궤적의 종료 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제공한다(단계 205).
터치 입력 인식 장치는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터치 궤적의 시작 위치에 대한 좌표값 및 터치 궤적의 종료 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미리 저장된 그룹 좌표값 정보와 비교하여 각 좌표값에 대응되는 그룹을 판단한다(단계 207).
여기서, 그룹 좌표값 정보는 단계 203에서 그룹화된 터치 영역의 각각의 그룹에 포함된 좌표값들에 대한 정보로 터치 입력 인식 장치의 저장부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 인식 장치는 단계 205에서 제공된 터치 궤적의 시작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값 및 터치 궤적의 종료 위치에 대한 좌표값에 기초하여 터치 궤적의 방향을 판단한다(단계 209).
구체적으로, 터치 입력 인식 장치는 터치 궤적의 시작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값(X1,Y1)과 터치 궤적의 종료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값(X2,Y2)의 X값 변화량(즉, X2-X1) 및 Y값 변화량(즉, Y2-Y1)을 비교하여 X값의 변화량보다 Y값의 변화량이 큰 경우에는 터치 궤적이 세로 방향으로 그려진 것으로 판단하고, Y값의 변화량보다 X값의 변화량이 큰 경우에는 터치 궤적이 가로 방향으로 그려진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터치 입력 인식 장치는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제공된 터치 궤적의 시작 위치의 좌표값(X1,Y1) 및 터치 궤적의 종료 위치의 좌표값(X2,Y2) 중 X값 또는 Y값의 증감 특징에 기초하여 터치 궤적이 그려진 상하좌우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값이 증가하면 터치 궤적이 좌에서 우로 그려진 것으로 판단하고, X값이 감소하면 우에서 좌로 터치 궤적이 그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Y값이 증가하면 터치 궤적이 아래에서 위로 그려진 것으로 판단하고, Y값이 감소하면 터치 궤적이 위에서 아래로 그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터치 입력 인식 장치는 단계 207에서 판단된 터치 궤적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그룹 및/또는 단계 209에서 판단된 터치 궤적의 방향을 고려하여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실행 이벤트를 결정하고(단계 211), 결정된 실행 이벤트를 실행한다(단계 213).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에 소정의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고, 터치 궤적이 동심원에 의해 그룹화된 터치 영역의 제1 그룹에서 제3 그룹까지 그려진 경우, 터치 입력 인식 장치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를 3배 확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터치 스크린에 소정의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고 터치 궤적이 동심원에 의해 그룹화된 터치 영역의 제1 그룹에서 제3 그룹까지 그려진 경우, 터치 궤적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그려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를 3배 확대하고, 터치 궤적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려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를 3배 축소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인식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그린 터치 궤적의 시작 위치에 대응되는 그룹과 종료 위치에 대응되는 그룹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실행될 이벤트를 결정할 수도 있고, 상기 그룹 사이의 거리 및 터치 궤적의 방향을 동시에 고려하여 실행될 이벤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인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터치 입력 인식 장치의 예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인식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310), 제어부(320), 저장부(330), 마이크(340), 스피커(350) 및 무선 송수신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310)은 압력식 저항막 방식 또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고, 터치된 궤적에 대응되는 좌표값(X,Y)들을 제어부(320)에 제공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310)은 제어부(320)의 제어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나 실행된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등과 같은 그래픽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310)에 표시된 버튼을 조작하거나,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휴대용 단말기가 부팅이 완료된 후 터치 스크린(310)에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되면 터치 스크린(31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응하여 터치 영역을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한다.
여기서, 제어부(320)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의 종류에 기초하여 터치 영역을 서로 다른 유형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영역의 그룹화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시에 고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제어부(320)가 휴대용 단말기에 발생된 이벤트(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표시 또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터치 영역의 그룹화 형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310)의 그룹화된 터치 영역에 소정 형태의 터치 궤적을 그리면, 터치 스크린(310)으로부터 터치된 궤적의 시작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값 및 터치 궤적의 종료 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제공받고, 상기 터치 궤적의 시작 위치에 대한 좌표값 및 터치 궤적의 종료 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저장부(330)에 미리 저장된 그룹 좌표값 정보와 비교하여 각 좌표값에 대응되는 그룹을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터치 스크린(310)으로부터 제공된 터치 궤적의 시작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값 및 터치 궤적의 종료 위치에 대한 좌표값에 기초하여 터치 궤적의 방향을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320)는 판단된 터치 궤적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그룹 및/또는 판단된 터치 궤적의 방향을 고려하여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실행 이벤트를 결정하고, 결정된 실행 이벤트를 실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어부(320)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는 터치 입력 인식 모듈(321)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별도의 반도체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320)는 음성 통화시 송수신 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음성 코덱(323)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코덱(323)은 마이크(34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의 음성을 제공받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음성 통화 규격에 적합하도록 인코딩한 후 무선 송수신부(360)에 제공함으로써 음성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음성 코덱(323)은 무선 송수신부(360)를 통해 음성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상대방의 음성을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350)에 제공한다.
저장부(330)는 플래쉬(Flash)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고, 터치 스크린(31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그룹 좌표값 정보가 저 장된다.
또한, 저장부(330)에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유형 각각에 대응되는 실행 이벤트(예를 들면, 응용프로그램 실행, 메뉴 이동, 그래픽 정보의 확대/축소, 이미지 스크롤 등) 목록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룹 좌표값 정보는 소정의 메뉴, 기능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응하여 터치 스크린(310)의 터치 영역이 각각 그룹화된 경우, 상기 각각 그룹화된 터치 영역의 각 그룹에 포함된 좌표값들로 구성된다.
마이크(340)는 음성 통화시 사용자 즉, 발신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제어부(320)에 제공한다. 또한, 스피커(350)는 음성 코덱(423)으로부터 디코딩된 음성 통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제공받고 이를 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출력한다.
무선 송수신부(360)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듀플렉서, 고주파 처리부 및 중간 주파수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ANT)에 유기된 무선 고주파 신호(RF: Radio Frequency)를 듀플렉서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한 후 다시 베이스 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20)에 제공하고, 제어부(320)로부터 제공되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한 후 중간 주파수의 신호를 다시 무선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듀플렉서를 통해 안테나(ANT)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송수신부(360)는 상기와 같은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 변환을 거쳐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조하는 헤테로다인 수신 방식 대신 주파수 변환 없이 수신된 고주파 신호에서 직접 신호를 복조하는 직접 변환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인식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인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 터치 스크린 320 : 제어부
321 : 터치 입력 인식 모듈 430 : 저장부
Claims (14)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의 터치 입력 인식 방법에 있어서,상기 터치 스크린의 터치 영역이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그룹화되는 단계;상기 그룹화된 터치 스크린에 터치 입력이 제공되는 단계;상기 터치 입력이 시작되는 시작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1 그룹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종료되는 종료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2 그룹을 판단하는 단계; 및상기 판단된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인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터치 영역이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그룹화 되는 단계는,터치 스크린의 중심 좌표를 기준으로 반지름이 소정 길이만큼 일정하게 증가하는 소정 개수의 가상의 동심원에 의해 그룹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인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터치 영역이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그룹화되는 단계는,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모양으로 그룹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인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이 시작되는 시작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1 그룹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종료되는 종료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2 그룹을 판단하는 단계는,상기 시작 좌표값 및 상기 종료 좌표값을 미리 저장된 각 그룹의 좌표값들과 비교하여 상기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인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이 시작되는 시작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1 그룹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종료되는 종료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2 그룹을 판단하는 단계는,상기 시작 좌표값 및 상기 종료 좌표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인식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를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판단된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인식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 를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판단된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 사이의 거리와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인식 방법.
-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터치된 궤적에 대응되는 좌표값을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및상기 터치 스크린의 터치 영역을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제공된 좌표값들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이 시작되는 시작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1 그룹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종료되는 종료 좌표값에 해당하는 제2 그룹을 판단하고, 판단된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인식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터치 스크린의 중심 좌표를 기준으로 반지름이 소정 길이만큼 일정하게 증가하는 소정 개수의 가상의 동심원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영역을 그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인식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모양으로 상기 터치 영역을 그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인식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시작 좌표값 및 상기 종료 좌표값을 미리 저장된 각 그룹의 좌표값들과 비교하여 상기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인식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시작 좌표값 및 상기 종료 좌표값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인식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판단된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인식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판단된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 사이의 거리와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실행 이벤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인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6855A KR20100006643A (ko) | 2008-07-10 | 2008-07-10 | 터치 입력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6855A KR20100006643A (ko) | 2008-07-10 | 2008-07-10 | 터치 입력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6643A true KR20100006643A (ko) | 2010-01-21 |
Family
ID=4181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6855A Withdrawn KR20100006643A (ko) | 2008-07-10 | 2008-07-10 | 터치 입력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6643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43069A (ko) * | 2014-06-13 | 2015-12-23 | (주)멜파스 | 터치 앤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을 이용한 잠금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CN113064538A (zh) * | 2020-01-02 | 2021-07-02 |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 设备参数设置方法、智能冰箱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2008
- 2008-07-10 KR KR1020080066855A patent/KR20100006643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43069A (ko) * | 2014-06-13 | 2015-12-23 | (주)멜파스 | 터치 앤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을 이용한 잠금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CN113064538A (zh) * | 2020-01-02 | 2021-07-02 |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 设备参数设置方法、智能冰箱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13064538B (zh) * | 2020-01-02 | 2024-03-05 |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 设备参数设置方法、智能冰箱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9618B1 (ko) | 화면 분할 표시 장치 및 방법 | |
US20090289905A1 (en) | Touch input recognition methods and apparatuses | |
CN106909305B (zh) | 显示图形用户界面的方法和设备 | |
US8179371B2 (en) |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soft keyboard | |
CN1245823C (zh) | 允许从背面输入手写字符的蜂窝电话 | |
US20140059460A1 (en) |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251761B1 (ko) |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 |
US20120032908A1 (en) |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i) to detect multipoint stroke and multimedia apparatus using the same | |
US20100107067A1 (en) | Input on touch based user interfaces | |
US20080259040A1 (en) |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ositioning an Insertion Marker in a Touch Screen Display | |
US20150212591A1 (en) |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reof | |
KR20180120768A (ko) | 사람-기계 상호작용 방법, 장치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
JP2012505443A (ja) | ポータブル電子デバイス、ならびに2次的文字レンダリングおよび入力の方法 | |
EP2392995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 |
US10048726B2 (en) | Display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 |
US20110302491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 |
US20140240262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voice service in a portable terminal for visually disabled people | |
KR20100006650A (ko) | 터치 입력 인식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터치 입력 인식 장치 | |
JP2010152759A (ja) |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支援方法、及び、文字入力支援プログラム | |
US20090049404A1 (en) |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havin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based display unit | |
KR20100006643A (ko) | 터치 입력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
KR101229629B1 (ko) |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전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
KR101473490B1 (ko) | 터치 입력 안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
KR20100018217A (ko) |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 |
US11221757B2 (en) |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