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113U - 내부 바닥이 경사진 그릇 - Google Patents
내부 바닥이 경사진 그릇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5113U KR20100005113U KR2020080014928U KR20080014928U KR20100005113U KR 20100005113 U KR20100005113 U KR 20100005113U KR 2020080014928 U KR2020080014928 U KR 2020080014928U KR 20080014928 U KR20080014928 U KR 20080014928U KR 20100005113 U KR20100005113 U KR 2010000511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wl
- inner bottom
- tableware
- lower portion
- sloping botto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5—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바닥이 경사진 그릇으로, 경사부(1)와 경사하부(2)로 나눈다.
식기 내부 바닥이 한쪽으로 경사진것으로 경사부(1)는 경사각이 높고, 경사하부(2)는 경사가 완만하여 숟가락이 완만히 스치도록한다.
상기 내용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바닥이 경사진 그릇이다.
그릇, 유아, 식기, 경사진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사에 사용되는 식기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식기의 형태는 남녀노소, 장애인에 상관없이 거의 동일한 형태로 사용되며, 각 사람의 특성에 따라 식사의 방식은 달라져야 하며, 그것의 도구인 식기의 형태도 바뀌어야된다.
플라스틱그릇은 압축 성형으로 미리 제작된 바닥이 경사진 그릇모양의 금형 틀에 재료를 넣고 고온고압으로 완성한다. 사기로 된 그릇은 경사진 밑면모양을 틀로 만든 후 그릇의 바닥을 틀로 모양을 낸 후 주위를 쌓아올려 그릇을 만든다.
현재 식기는 남녀노소, 장애자등에 비슷한 형상 으로 사용되며, 각 사람별 특성에 따라 식사의 방식 및 도구도 달라져야 한다. 특히 유아의 경우 혼자서 식사를 할 때 식사도구의 사용이나 방법상 이해가 어려워 항시 부모의 지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좀더 편리하게 식사를 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내용의 해결로서, 사람의 특성을 분석하여 과학적인 식사도구의 사용으로 자연스러운 식사를 유도함으로 사용의 불편함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내부 바닥이 경사진 그릇은 유아의 사용에 효과적이며, 내부 경사로 인하여 국이나 죽,이유식 등의 수분이 다량 포함된 음식에서 음식이 식기의 한곳에 모이는 것과 음식 양이 적게 남았을 때 식기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는 효과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내부 바닥이 경사진 그릇에 의하면, 경사부(1)와 경사하단(2)이 있어서 단순한 식기의 형태로 유아의 식사에 불편을 줄이므로 아이를 둔 가정은 좀더 깔끔한 식사 문화가 형성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내부 바닥이 경사진 그릇은 그릇의 외부형태는 일반그릇과 동일하며 내부에 경사를 준 것으로, 경사부(1)와 경 사하부(2)로 나눠진다.
식기 내부 바닥중 경사부(1)는 경사를 급하게 하여 음식이 아래로 쏠림이 좋게 하고, 경사하부(2)는 완만하게 하여 숟가락이 경사하부를 스칠 때 걸림이나 각이 생기지 않도록 곡선을 준다. 상기내용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바닥이 경사진 그릇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예의 측면투시도이다.
Claims (1)
- 내부 바닥이 경사진 그릇을 구성함에 있어서, 식기 외부는 기울어짐이 없고, 내부의 바닥이 기울어진 것이 특징으로, 경사부(1)는 경사가 급하고, 경사하단(2)은 경사를 완만하게 주어 유아가 혼자서 바닥에 남은 잔여 음식물을 쉽게 비울수 있도록 형상화한다. 상기내용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바닥이 경사진 그릇이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4928U KR20100005113U (ko) | 2008-11-09 | 2008-11-09 | 내부 바닥이 경사진 그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4928U KR20100005113U (ko) | 2008-11-09 | 2008-11-09 | 내부 바닥이 경사진 그릇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5113U true KR20100005113U (ko) | 2010-05-19 |
Family
ID=4445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4928U Ceased KR20100005113U (ko) | 2008-11-09 | 2008-11-09 | 내부 바닥이 경사진 그릇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5113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1393Y1 (ko) * | 2013-08-27 | 2014-02-20 | (주)에듀케이션아이코퍼레이션 | 다기능 식판세트 |
KR20180063791A (ko) | 2016-12-02 | 2018-06-12 | 안유정 | 회전식 음식물 용기 받침대 |
-
2008
- 2008-11-09 KR KR2020080014928U patent/KR20100005113U/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1393Y1 (ko) * | 2013-08-27 | 2014-02-20 | (주)에듀케이션아이코퍼레이션 | 다기능 식판세트 |
WO2015030327A1 (ko) * | 2013-08-27 | 2015-03-05 | (주)에듀케이션아이코퍼레이션 | 다기능 식판세트 |
KR20180063791A (ko) | 2016-12-02 | 2018-06-12 | 안유정 | 회전식 음식물 용기 받침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76837A (ko) | 위생 숟가락과 젓가락 | |
KR20100005113U (ko) | 내부 바닥이 경사진 그릇 | |
CN209376935U (zh) | 一种便携套装餐具盒 | |
CN103494482A (zh) | 一种食堂用餐盘 | |
CN204931135U (zh) | 儿童防摔烫餐具 | |
CN104983249A (zh) | 一种带搁架的碗 | |
KR20140002574A (ko) |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 |
JP3176099U (ja) | 介護用食器 | |
KR200470807Y1 (ko) | 배식용 위생 주걱 | |
KR20110010878U (ko) | 수저 받침홈을 구비한 밥그릇 뚜껑 | |
CN216602401U (zh) | 一种设置有双吸盘结构的新型儿童餐垫 | |
CN208403986U (zh) | 一种婴幼儿套装餐具 | |
CN209983957U (zh) | 公筷勺形搁置架 | |
KR200472619Y1 (ko) | 식기 | |
CN202496915U (zh) | 一种新生儿人工喂养食品食具收纳存放盒 | |
CN203860922U (zh) | 一种组合套碗 | |
KR20180000188U (ko) | 숟가락 | |
KR20160003398U (ko) | 사용의 편의성이 강조된 식기 | |
CN201356351Y (zh) | 进餐用的器皿 | |
CN206333688U (zh) | 一种组合式餐具套件 | |
CN113171003A (zh) | 一种具有防唾沫传染大头带支撑架的一体卫生公筷夹 | |
KR200319611Y1 (ko) | 위생 방균(防菌) 수저 | |
CN204764704U (zh) | 一种带搁架的碗 | |
KR20150000463U (ko) | 숟가락과 포크의 위생구조 | |
KR20250039347A (ko) | 식사 도구 받침을 겸한 접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1109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728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