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04291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291A
KR20100004291A KR1020080064390A KR20080064390A KR20100004291A KR 20100004291 A KR20100004291 A KR 20100004291A KR 1020080064390 A KR1020080064390 A KR 1020080064390A KR 20080064390 A KR20080064390 A KR 20080064390A KR 20100004291 A KR20100004291 A KR 20100004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support part
crystal panel
crystal display
backlight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4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291A/ko
Publication of KR20100004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291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 액정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 1 서포트부; 제 1 서포트부로부터 연장되며, 액정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액정패널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제 2 서포트부; 및 제 1 서포트부로부터 연장되며, 액정패널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 3 서포트부를 포함한다.
액정, 패널, 백라이트, 샤시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실시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처리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서, LCD, PDP 및 AMOLED 등과 같은 표시장치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LCD는 휴대용 표시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크기가 작고, 슬림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실시예는 크기가 작고 슬림한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 1 서포트부; 상기 제 1 서포트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제 2 서포트부; 및 상기 제 1 서포트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 3 서포트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 1 내지 제 3 서포트부들에 의해서, 액정패널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수납 및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 1 내지 제 3 서포트부들 외에 별도로 액정패널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수납 고정하기 위한 몰드프레임을 필요로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동일한 액정패널의 크기에 대하여, 크기가 더 작고, 더 슬림하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패널, 부재, 부, 층, 기판 또는 전극 등이 각 패널, 부재, 부, 층, 기판 또는 전극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 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부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B-B`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일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실시예에 따른 샤시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샤시(100),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액정패널(300) 및 차광테이프(400)를 포함한다.
상기 샤시(100)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및 상기 액정패널(300)을 수납 및 고정한다. 상기 샤시(1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샤시(10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알루미늄, 아연, 구리, 철, 스테인레스 스틸 및 이들의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샤시(100)는 제 1 서포트부(110), 제 2 서포트부(120) 및 제 3 서포트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서포트부(110)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서포트부(110)는 예를 들어, 4 개의 측벽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벽들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의 측면을 감싼다.
상기 측벽들은 서로 이격되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측벽들은 서로 연결되어,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트부(110)에는 체결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111)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에 형성된 체결돌기(211)를 체결한다.
상기 제 2 서포트부(120)는 상기 제 1 서포트부(110)로부터 내측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서포트부(120)는 상기 제 1 서포트부(110)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상기 제 2 서포트부(12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제 2 서포트부(120)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의 상부를 노출하는 제 1 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서포트부(120)는 상기 액정패널(300)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액정패널(300)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 2 서포트부(120)는 상기 액정패널(300)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상기 제 2 서포트부(120)에는 상기 제 3 서포트부(130)에 대응하는 제 2 홀(122)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2 홀(122)의 평면적은 상기 제 3 서포트부(130)의 평면적과 동일하다.
상기 제 3 서포트부(130)는 상기 제 1 서포트부(1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 3 서포트부(130)는 상기 제 1 서포트부(110)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 3 서포트부(130)는 상기 액정패널(300)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서포트부(130)는 상기 제 1 서포트부(110)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 3 서포트부(130) 및 상기 제 1 서포트부(110) 사이의 각도는 약 180°이다. 또한, 상기 제 3 서포트부(130)와 상기 제 2 서포트부(120)는 직각을 이루며, 서로 교차한다.
또한, 상기 제 1 서포트부(110), 상기 제 2 서포트부(120) 및 상기 제 3 서포트부(130)는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서포트부(110), 상기 제 2 서포트부(120) 및 상기 제 3 서포트부(130)는 하나의 금속 플레이트의 절단 및 절곡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상기 샤시(100) 내측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상기 제 1 서포트부(110) 내측에 및 상기 제 2 서포트부(12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광을 발생시켜, 상기 액정패널(300)을 향하여 출사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도광판(210), 발광다이오드(220), 반사시트(230) 및 광학시트(240)를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210)은 상기 샤시(100)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도광판(210)은 상기 제 1 서포트부(110) 내측에 및 상기 제 2 서포트부(12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도광판(21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2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입사받아, 굴절, 산란 및 반사를 통해서, 상방으로 출사한다.
상기 도광판(210)은 측면상에 돌기되는 체결돌기(211)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돌기(211)는 상기 체결홈(111)에 대응한다.
즉, 상기 체결돌기(211) 및 상기 체결홈(111)은 체결되고, 상기 도광판(210)은 상기 샤시(100)에 체결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20)는 상기 도광판(210)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20)는 또한, 연성회로기판(221)에 실장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20)는 광을 발생시켜, 상기 도광판(210)을 향하여 출사한다.
상기 반사시트(230)는 상기 도광판(2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반사시트(23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20)에서 발생하는 광을 상방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반사시트(230)는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서, 상기 도광판(210)의 하부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240)는 상기 도광판(2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광학시트(240)는 통과하는 광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광학시트(240)는 상기 도광판(210) 및 상기 제 2 서포트부(120)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광학시트(240)는 상기 액정패널(300) 및 상기 제 2 서포트부(1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액정패널(300)은 상기 제 2 서포트부(120) 상에 및 상기 제 3 서포트부(130)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액정패널(300)은 상기 제 2 서포트부(120) 및 상기 제 3 서포트부(130)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액정패널(300)은 통과하는 광의 세기를 픽셀별로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액정패널(300)은 TFT기판, 컬러필터기판 및 상기 두 기판들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300)은 상기 TFT기판의 상면에 상 기 컬러필터기판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편광시트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300)은 영상을 표시하는 유효표시영역(EDR) 및 상기 유효표시영역(EDR)의 주위에 형성되는 비유효표시영역(NEDR)을 포함한다.
상기 차광테이프(400)는 상기 액정패널(300) 및 상기 제 2 서포트부(12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차광테이프(400)는 양면 테이프이며, 상기 액정패널(300)을 상기 제 2 서포트부(120)에 접착시킨다. 즉, 상기 액정패널(300)은 상기 차광테이프(400)에 의해서 상기 샤시(1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차광테이프(400)는 상기 액정패널(300) 및 상기 제 2 서포트부(120) 사이에 새는 광을 차단한다. 즉, 상기 차광테이프(400)는 접착부재 및 차광부재의 기능을 모두 수행한다.
상기 차광테이프(400)는 상기 비유효표시영역(NEDR)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차광테이프(400)는 상기 제 2 서포트부(120)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홀(121)은 상기 유효표시영역(EDR)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샤시(100)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금속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101)를 절단하여, 상기 제 1 홀(121) 및 체결홈(11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서포트부(130)가 상기 제 1 서포트부(110)와 연결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01)의 일 부분을 절단하여 절단부(102)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홀(121), 상기 체결홈(111) 및 상기 절단부(102)는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플레이트(101)는 점선을 따라서 접혀지고, 상기 제 1 서포트부(110)와 상기 제 2 서포트부(120)가 직각을 이루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3 서포트부(130)는 상기 절단부(102)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서포트부(11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접혀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3 서포트부(130)는 상기 제 1 서포트부(110)와 동일한 평면에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샤시(100) 만으로 상기 액정패널(300)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수납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액정패널(300)은 상기 제 2 서포트부(120) 및 상기 제 3 서포트부(130)에 의해서, 수납되고, 지지된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상기 제 1 서포트부(110)에 의해서 수납되고, 고정된다.
상기 액정패널(300)는 상기 제 2 서포트부(120)에 상기 차광테이프(400)에 의해서 부착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액정패널(300)을 부착시키기 위한 몰드프레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샤시(1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도, 상기 액정패널(300)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지지하기 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몰드프레임 등의 수납부재 없이 상기 샤시(100)만으로 상기 액정패널(300)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수납할 수 있으므로, 슬림하도록, 동일한 크기의 액정패널(300)에 대하여, 보다 크기가 작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B-B`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일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실시예에 따른 샤시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8)

  1.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 1 서포트부;
    상기 제 1 서포트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제 2 서포트부; 및
    상기 제 1 서포트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액정패널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 3 서포트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포트부는 상기 액정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 2 서포트부에는 상기 제 3 서포트부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포트부, 상기 제 2 서포트부 및 상기 제 3 서포트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포트부에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 및 상기 제 2 서포트부 사이에 개재되는 차광부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포트부는 폐루프 형상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 및 상기 제 2 서포트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액정패널 및 상기 제 2 서포트부에 접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80064390A 2008-07-03 2008-07-03 액정표시장치 Withdrawn KR20100004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390A KR20100004291A (ko) 2008-07-03 2008-07-03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390A KR20100004291A (ko) 2008-07-03 2008-07-03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291A true KR20100004291A (ko) 2010-01-13

Family

ID=4181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390A Withdrawn KR20100004291A (ko) 2008-07-03 2008-07-03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2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2729B2 (ja) 表示装置
KR101001405B1 (ko) 액정표시장치
EP2487515A2 (en) Backlight assembly
KR102308152B1 (ko) 표시 장치
KR20160135894A (ko) 표시 장치
KR20160022955A (ko) 표시 장치
KR102282447B1 (ko) 표시장치
KR20160019565A (ko) 표시장치
KR20090056208A (ko) 표시장치
KR102253430B1 (ko) 표시 장치
KR20160116101A (ko) 표시 장치
KR102236168B1 (ko) 표시 장치
KR101510887B1 (ko) 표시장치
KR102343712B1 (ko) 표시 장치
KR20100004291A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002178U (ko) 액정표시장치
KR101510889B1 (ko) 표시장치
KR20090055986A (ko) 표시장치
KR200466966Y1 (ko) 표시장치
KR20090120355A (ko) 표시장치
KR20100066136A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025173A (ko) 표시장치
KR200466526Y1 (ko) 표시장치
US20180217321A1 (en)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090002494U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05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