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02682A -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682A
KR20100002682A KR1020080062659A KR20080062659A KR20100002682A KR 20100002682 A KR20100002682 A KR 20100002682A KR 1020080062659 A KR1020080062659 A KR 1020080062659A KR 20080062659 A KR20080062659 A KR 20080062659A KR 20100002682 A KR20100002682 A KR 20100002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nker
water
boiler
detecting
furn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8240B1 (ko
Inventor
오승환
유갑수
김일식
Original Assignee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24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2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2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56Boiler cleaning control devices, e.g. for ascertaining proper duration of boiler blow-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2Applications,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alarm or automatic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or arrangements for removing water, minerals or sludge from boilers ; Arrangement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486Devices for removing water, minerals or sludge from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or arrangements for removing water, minerals or sludge from boilers ; Arrangement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54De-sludging or blow-down devices
    • F22B37/545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노 내부에 미분탄과 공기가 함께 공급 및 연소되어 삽입 설치된 배관튜브 내의 물을 증기화 시키도록 구비되는 화력발전용 보일러; 상기 보일러의 하단에 연결되고 하측에 상기 보일러에서 낙하되는 크링커를 물과 함께 이송시키기 위한 출구가 형성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출구와 연통 설치되는 유로부와, 상기 유로부 일측에 상기 출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크링커를 선택적으로 유, 출입시키는 실린더 장치와, 상기 유로부 타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상기 크링커를 분쇄하는 그라인더가 구비되는 그라인딩 배출장치; 및 상기 보일러 노 내부의 상, 하부 압력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압력센서와, 상기 수조의 수온을 검출하기 위한 수온센서와, 상기 수조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센서와, 상기 그라인더의 부하에 따른 운전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센서가 구비되는 데이터 수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노 내부의 압력, 수온, 수위 및 그라인더의 공급 전류 값을 분석함으로써 크링커 낙하로 인한 보일러 노 내부 압력변화 원인을 신속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발전기의 가동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 센서

Description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 {Clinker drop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압력 변동 원인 중 크링커의 낙하에 의한 원인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의 발전속도가 가속화되면서 전력의 수요도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전기의 품질 향상과 안정적인 전력의 공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수력 발전소, 화력 발전소, 원자력 발전소, 풍력 발전소 및 태양열 발전소 등의 다양한 발전소가 건설되어 전력을 생산하고 있는바, 그 중에서도 전력생산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500 MW급 석탄 화력 발전소의 안정적인 운전은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화력발전소는 미세하게 분말화된 석탄인 미분탄을 공기와 함께 공급하여 보일러에서 연소시키고, 보일러 내에 배관된 배관튜브 속의 물을 증기화시켜 터어빈을 회전시킴으로써 발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석탄을 미세한 크기의 미분탄으로 분쇄하여 연료 공급관을 통해 공급하는 석탄 미분기와, 이송관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미분탄과 공기 의 혼합물을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보일러를 구비하며, 미분탄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회분(Ash)을 이송관을 통해 이송하여 집진 및 고형화한 후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연소시 발생된 회분은 연소 가스와 함께 보일러 출구로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일부가 보일러 내부의 고온에 의해 용융되고 노 벽면 혹은 배관튜브에 응고되어 부착된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응고된 회분은 크게 성장하여 크링커(Clinker)를 생성하게 되고, 이러한 크링커는 부착력 이상의 무게로 성장됨에 따라 그 자중에 의해 보일러 하부의 수조로 떨어지게 된다. 낙하된 크링커는 일정압력(-12 mmH2O)으로 제어되는 보일러 내부 압력을 증대시키게 되는데 압력 과다 상승시 보일러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발전기를 정지시켜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크링커의 낙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부재하여 원인분석에 상당시간이 소요되고, 추정에 의해서 발전 설비를 정지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운전에 큰 지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석탄 화력 발전소의 보일러 노 내부에 대한 크링커의 낙하 유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는, 노 내부에 미분탄과 공기가 함께 공급 및 연소되어 삽입 설치된 배관튜브 내의 물을 증기화 시키도록 구비되는 화력발전용 보일러; 상기 보일러의 하단에 연결되고 하측에 상기 보일러에서 낙하되는 크링커를 물과 함께 이송시키기 위한 출구가 형성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출구와 연통 설치되는 유로부와, 상기 유로부 일측에 상기 출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크링커를 선택적으로 유, 출입시키는 실린더 장치와, 상기 유로부 타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상기 크링커를 분쇄하는 그라인더가 구비되는 그라인딩 배출장치; 및 상기 보일러 노 내부의 상, 하부 압력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압력센서와, 상기 수조의 수온을 검출하기 위한 수온센서와, 상기 수조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센서와, 상기 그라인더의 부하에 따른 운전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센서가 구비되는 데이터 수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의 각 센서들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크링커의 낙하 발생 유무를 실시간 확인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디스플 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에 의하면, 노 내부의 압력, 수온, 수위 및 그라인더의 공급 전류 값을 분석함으로써 크링커 낙하로 인한 보일러 노 내부 압력변화 원인을 신속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발전기의 가동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500 MW급 석탄 화력 발전소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를 확대해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500 MW급 석탄 화력 발전소(100)는 노(111) 내부에 배관튜브(115)가 구비되는 화력발전용 보일러(110)와, 석탄을 미세한 크기의 미분탄으로 분쇄하여 연료 공급관(121)을 통해 상기 노(111)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석탄 미분기(120)와, 이송관(13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노(111) 내부로 공급되는 흡입 송풍기(130)와, 상기 보일러(110)의 하단에 설치되는 수조(140)와, 상기 수조(140)의 하부 일측에 크링커(C)를 분쇄하여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그라인딩 배출장치(150)와, 크링커(C) 낙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장치(160)와, 연소된 배기가스 중 회분을 포집하기 위한 집진기(170)와, 연소된 가스를 대기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송풍기(180) 및 굴뚝(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일러(110)는 상기 연료 공급관(121)과 이송관(131)을 통해 이송되는 미분탄과 공기를 공급받아 연소시키며 삽입 설치된 배관튜브(115) 내의 물을 증기화시켜 터어빈(도시 생략)을 가동하게 된다.
상기 수조(140)는 그 하측에 상기 보일러(110)에서 낙하되는 크링커(C)를 물과 함께 선택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출구(140a)가 형성된다.
상기 그라인딩 배출장치(150)는 상기 수조(140)의 하부 출구(140a) 측에 연통 설치되는 유로부(151)와, 상기 유로부(151) 내부 일측에 상기 출구(140a)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출구(140a)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크링커(C)를 선택적으로 유, 출입시키는 실린더 장치(153)와, 상기 유로부(151)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상기 크링커(C)를 분쇄하는 그라인더(155)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160)는 상기 보일러(110) 노(111) 내부의 상, 하부 압 력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압력센서(161)와, 상기 수조(140)의 수온을 검출하기 위한 수온센서(163)와, 상기 수조(140)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센서(165), 및 상기 그라인더(135)의 부하에 따른 운전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센서(16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센서(161)는 노(111) 하부가 일정 압력으로 유지되는 상황에서 크링커(C) 낙하 발생시 노(111) 하부의 압력이 증대되는데 이때 상부와의 압력차를 측정하도록 적어도 노(111) 내부의 상, 하부에 각각 한 개소씩 한 쌍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온센서(163)와 수위센서(165)는 수조(140)에 크링커(C)가 낙하 됨으로써 물(W)의 급격한 온도 및 수위 변화를 검출하도록 수조(140) 내측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전류센서(167)는 그라인더(155) 내부로 크링커(C)가 유입되면 이를 분쇄하기 위해 그라인더(155) 내부의 전원 공급반(미 도시)에 전류 공급이 증대되는 것을 감지함으로부터 상기 그라인더(155)의 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화력 발전소(100)는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160)의 각 센서들(161)(163)(165)(167)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크링커 낙하 전후로 비교 출력하여 크링커(C)의 낙하 발생 유무를 실시간 확인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도시 생략)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보일러(110) 노(111) 내부로 미분탄과 공기가 공급이 되고 연소가 이루어지 면 배관튜브(115) 내부를 유동하는 물은 증기화되어 터어빈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연소시 발생된 회분은 연소 가스와 함께 보일러(110) 출구로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일부가 보일러(110) 내부의 고온에 의해 용융되어 노(111) 벽면 및 배관튜브(115)에 응고 부착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링커(C)를 생성 및 그 자중에 의해 보일러(110) 하부의 수조(140)로 낙하하게 된다.
낙하된 크링커(C)는 일정압력(-12 mmH2O)으로 제어되는 보일러(110) 내부 압력을 증대시키게 되는데 압력 과다 상승시 보일러(110)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발전기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크링커(C)의 낙하 유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발전기의 신속한 정지 및 재기동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수집장치(160)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용된다. 즉, 데이터 수집장치(160)의 압력센서(161)를 통해 크링커(C)가 수조로 떨어질 시 노(111) 내부의 상, 하부에 발생되는 압력차를 센싱하며, 또한 수온센서(163) 및 수위센서(165)를 통해 크링커(C) 낙하시 증대되는 수조(140)의 수위와 수온을 검출하게 된다. 아울러, 그라인더(155) 일측에 설치되는 전류센서(167)를 통해 출구(140a)로부터 유입되는 크링커(C)를 분쇄하는 과정에서의 그라인더(155) 공급 전류를 감지하게 된다.
이렇게 수집된 압력, 수온, 수위 및 전류 값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입력 및 출력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일러 노(111) 내부 압력변화 원인 중 크링커(C) 낙하로 인한 원인은 신속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발전기 가동의 신뢰성을 제 고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500 MW급 석탄 화력 발전소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를 확대해서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화력 발전소 110: 보일러
120: 석탄 미분기 130: 흡입 송풍기
140: 수조 150: 그라인딩 배출장치
160: 데이터 수집장치 170: 집진기
180: 배기 송풍기 190: 굴뚝

Claims (2)

  1. 노(111) 내부에 미분탄과 공기가 함께 공급 및 연소되어, 삽입 설치된 배관튜브(115) 내의 물을 증기화 시키도록 구비되는 화력발전용 보일러(110);
    상기 보일러(110)의 하단에 연결되고 하측에 상기 보일러(110)에서 낙하되는 크링커(C)를 물과 함께 이송시키기 위한 출구(140a)가 형성되는 수조(140);
    상기 수조(140)의 출구(140a)와 연통 설치되는 유로부(151)와, 상기 유로부(151) 일측에 상기 출구(140a)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크링커(C)를 선택적으로 유, 출입시키는 실린더 장치(153)와, 상기 유로부(151) 타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상기 크링커(C)를 분쇄하는 그라인더(155)가 구비되는 그라인딩 배출장치(150); 및
    상기 보일러(110) 노(111) 내부의 상, 하부 압력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압력센서(161)와, 상기 수조(140)의 수온을 검출하기 위한 수온센서(163)와, 상기 수조(140)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센서(165)와, 상기 그라인더(155)의 부하에 따른 운전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센서(167)가 구비되는 데이터 수집장치(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160)의 각 센서들(161)(163)(165)(167)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크링커(C)의 낙하 발생 유무를 실시간 확인 가능하도록 구비되 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
KR1020080062659A 2008-06-30 2008-06-30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 Active KR100958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659A KR100958240B1 (ko) 2008-06-30 2008-06-30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659A KR100958240B1 (ko) 2008-06-30 2008-06-30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682A true KR20100002682A (ko) 2010-01-07
KR100958240B1 KR100958240B1 (ko) 2010-05-17

Family

ID=4181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659A Active KR100958240B1 (ko) 2008-06-30 2008-06-30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2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7488A (zh) * 2020-05-07 2020-09-08 华电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力除渣式四角切圆型锅炉掉焦监测及自动稳燃系统
CN115655353A (zh) * 2022-09-28 2023-01-31 福建福海创石油化工有限公司 一种煤粉炉落渣量监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4348B2 (ja) * 1993-07-20 1995-08-09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石炭ガス化炉スラグ流下監視方法及び装置
JP3933262B2 (ja) 1997-07-25 2007-06-20 荏原ボイラ株式会社 ボイラの付着物処理方法
JP3872587B2 (ja) 1998-01-06 2007-01-24 株式会社サムソン ボイラの熱伝導率低下物質付着判断装置
KR100534145B1 (ko) * 2003-10-21 2005-12-06 안계홍 임목폐기물의 소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7488A (zh) * 2020-05-07 2020-09-08 华电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力除渣式四角切圆型锅炉掉焦监测及自动稳燃系统
CN115655353A (zh) * 2022-09-28 2023-01-31 福建福海创石油化工有限公司 一种煤粉炉落渣量监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240B1 (ko) 2010-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34807B (zh) 稳定电网频率的方法及设备
KR101401135B1 (ko) 전력망 주파수 제어 서브 시스템 및 복합 사이클 발전 시스템
JP5840024B2 (ja) 湿潤燃料を用いて複合発電を行うプラント及びその燃料乾燥方法
KR101205873B1 (ko) 화력발전소용 석탄연소 보일러 미분탄 미분도 제어 시스템
JP2020085305A (ja) 微粉炭機の微粉炭乾燥システム及びその微粉炭乾燥方法並びに微粉炭乾燥プログラム、微粉炭機、ガス化複合発電設備
JP5642657B2 (ja) 燃料ガス化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燃料ガス化システムを備える燃料ガス化複合発電システム
TWI836497B (zh) 發電廠用之氨供應單元、發電廠用之氨氣化處理方法、以及發電廠
CN113482775B (zh) 一种燃烧固态燃料的燃气轮机
US956790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gas turbine power plant, gas turbine power plant, method for controlling carbon-containing fuel gasifier, and carbon-containing fuel gasifier
KR100958240B1 (ko) 크링커 낙하 검출 장치
JP2014037897A (ja) バイオマス供給装置及びボイラシステム
CN103225810B (zh) 加压流化炉系统
JP2017206643A (ja) ガス化複合発電プラント及びその運転方法
CN108884991B (zh) 锅炉的运转方法和锅炉设备
JP2013088033A (ja) バイオマス前処理ユニット及びバイオマス・石炭混焼システム
KR102488142B1 (ko) 연소 챔버를 운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2078017A (ja) バイオマス貯蔵ユニット及び前処理ユニット
JP2012078018A (ja) 前処理ユニット
JP2012093008A (ja) 微粉炭火力発電設備
JP2008157545A (ja) ミルトリップ時の残炭パージ方法および残炭パージシステム
JP2012078019A (ja) バイオマス貯蔵ユニット及び前処理ユニット
KR101205871B1 (ko) 석탄연소 보일러 연소용 연료량 제어 시스템
JP7043285B2 (ja) ガス化炉設備、ガス化複合発電設備及びガス化炉設備の運転方法
JP2014037896A (ja) ボイラシステム
CN202562692U (zh) 一种煤粉锅炉直流燃烧器阻力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