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919U - Handle structure of umbrella or parasol - Google Patents
Handle structure of umbrella or paras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1919U KR20100001919U KR2020080010812U KR20080010812U KR20100001919U KR 20100001919 U KR20100001919 U KR 20100001919U KR 2020080010812 U KR2020080010812 U KR 2020080010812U KR 20080010812 U KR20080010812 U KR 20080010812U KR 20100001919 U KR20100001919 U KR 2010000191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umbrella
- hanger member
- body hanger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11/02—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attached to the body of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45B2009/025—Handles or heads releasably connected to a wrist strap or a glov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 또는 양산의 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에 손목이나 팔에 걸어지는 신체걸이부재가 설치되어, 우산이나 양산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지 않고도 신체에 지지가 가능하여 양손의 사용이 모두 가능하면서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적용될 수 있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될 수 있으며, 사용이 간편한 우산 또는 양산의 손잡이 구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structure of an umbrella or sunshade, and more particularly, a body-hanging member is mounted on the handle to a wrist or an arm, so that the body can be supported without holding the handle of the umbrella or sunshade by hand. It can be used all the time and can be conveniently applied in daily life, and also the structure is simple and can be distributed at a low price, and provides an easy-to-use umbrella or mass production handle structure.
우산, 양산, 손잡이, 양손, 신체걸이 Umbrella, sunshade, handle, both hands, body hanger
Description
본 고안은 우산 또는 양산의 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에 신체걸이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우산이나 양산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지 않고도 신체에 지지가 가능하여 양손의 사용이 모두 가능한 우산 또는 양산의 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structure of an umbrella or sunshade,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body-hanging member on the handle,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body without grasping the handle of the umbrella or sunshade by hand so that both hands can be used or It relates to a mass production handle structure.
우산이나 양산은 우천 시 또는 일조량이 많은 낮 시간대에 빗물이나 자외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우산이나 양산은 지주대(통상, 우산대), 살대, 덮개포(통상, 우산포) 및 손잡이를 갖는다. 즉, 우산이나 양산은 지주대를 중심으로 방사 형태로 구비된 살대에 의해 덮개포가 반구 형태로 펼쳐지고, 지주대의 하단에는 손잡이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구성되고 있다. Umbrellas and parasols are used to protect the human body from rain and UV rays during rainy or sunny days. In general, umbrellas and parasols have props (usually umbrellas), stools, cover cloths (usually umbrellas) and handles. That is, an umbrella or a parasol is spread in a hemispherical shape by a stalk provided in a radial form around a prop, and a handle is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prop and is configured to be held by a user.
최근에는 우산이나 양산의 손잡이에 다양한 기능이 부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106241호(선행 문헌 1)에는 우산의 손잡이에 손전 등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 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28863호(선행 문헌 2)에는 우산 또는 양산의 손잡이에 스피커를 내장시켜 사용 시 MP3와의 연결을 통해 라디오 기능과 음악 재생 기능을 가지는 스피커 내장형 우산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40968호(선행 문헌 3)에는 우산 손잡이에 히팅 코일을 권선시키고 배터리의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되게 함으로써 손을 따뜻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우산 손잡이가 제시되어 있다. In recent years, various functions have been given to the handles of umbrellas and parasols.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106241 (prior document 1) discloses a technique of detachably combining a flashlight with a handle of an umbrella, 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28863 (prior document 2) When using a built-in speaker on the handle of an umbrella or sunshade, a speaker-integrated umbrella that has a radio function and a music playback function through a connection with an MP3 is proposed.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40968 (prior document 3) is presented an umbrella handle that can keep the hand warm by winding the heating coil to the umbrella handle and heated by the current supply of the battery.
우산이나 양산의 사용 시, 메모를 해야 한다든지, 지갑이나 가방에서 물건을 꺼내야 한다든지, 급하게 휴대폰 조작(문자메시지 전달)을 해야 한다든지 등과 같이 부득이하게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우산/양산을 목과 어깨 사이에 불안정하게 걸쳐 놓고 양손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매우 불안정하여 우산/양산이 쓰러지거나 비/햇빛을 제대로 막아주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자세가 매우 불편하고, 바람이 불 때나 이동 중에는 그나마 이런 방법을 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When using an umbrella or a sunshade, you have to use both hands inevitably, such as taking notes, taking things out of your purse or bag, or urgently manipulating your cell phone. At this time, the umbrella / sunshade is unstable over the neck and shoulders to use both hands, which is very unstable, the umbrella / sunshade falls or rain / sun does not properly prevent the problem. In addition, the posture is very uncomfortable, it is difficult to take this way when the wind is blowing or moving.
한편, 위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우산/양산을 쓰고도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시도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61954호(선행 문헌 4)에서는 조끼에 우산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설치하여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조끼가 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32814호(선행 문헌 5)에는 어깨보호 패드와 우산대 결속 끈을 등판; 등판의 상/하부에 착설된 멜빵 및 벨트; 그리고 우산 손잡이 포켓을 구비하여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우산 결속용 멜빵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36000 호(선행 문헌 6)에는 배낭의 어깨끈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우산 장착부, 우산대 밀착부, 우산대 받침대 등을 구비하여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우산 거치대가 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lleviate the inconvenience described above, a technique has been attempted to use both hands even when using an umbrella / parasol. For exampl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61954 (Prior Document 4) provides a vest that can use both hands by installing a fixing member for fixing an umbrella to the vest,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32814 ( Prior art document 5) includes a shoulder pad and umbrella strap binding strap; Suspenders and belts mount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back; And an umbrella strap for suspending both hands is provided with an umbrella handle pocket.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36000 (prior document 6) has an umbrella holder that is attached to the shoulder strap of the backpack and equipped with an umbrella mounting portion, umbrella stand contact portion, umbrella stand base, etc., both hands can be used.
그러나 상기 선행 문헌들을 포함한 종래의 기술은 모두 별도의 장비(조끼, 배낭, 멜빵, 어깨끈 등)가 구비되어야만 적용이 가능하고, 부가적인 구성 부재(결속 수단 등)를 필요로 하여 비용이 많이 발생하며, 장비의 탈부착 조작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별도의 장비(조끼, 배낭, 멜빵, 어깨끈 등)를 착용해야지만 적용이 가능하여 일상생활에서는 실효가 떨어지며, 장비 착용에 따른 타인의 이목이 집중될 수 있어 외관상 매우 부담스러운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선행 문헌들에 제시된 기술들은 장비(조끼, 배낭, 멜빵, 어깨끈 등)의 착용에 의해서만 적용이 가능하여 일상생활에서는 극히 제한적이며, 부가적인 구성 부재가 많고 사용 방법이 복잡한 문제점이 지적된다. However, the prior art including the prior art documents can be applied only when all the separate equipments (vest, backpack, suspenders, shoulder straps, etc.) are provided, and additional cost is required due to the need for additional components (binding means, etc.). And, there is a hassle of having to attach and detach the equipment.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wear separate equipment (vests, backpacks, suspenders, shoulder straps, etc.) can be applied, but ineffective in everyday life, the attention of others due to wearing the equipment may be very burdensome in appearance. . In other words, the techniques presented in the preceding documents can be applied only by wearing equipment (vests, backpacks, suspenders, shoulder straps, etc.) and are extremely limited in daily life, and there are many additional components and complicated methods of use. do.
[선행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106241호[Previous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106241
[선행 문헌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28863호[Previous Document 2]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28863
[선행 문헌 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40968호[Previous Document 3]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40968
[선행 문헌 4]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61954호[Previous Document 4]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61954
[선행 문헌 5]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32814호[Previous Document 5]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32814
[선행 문헌 6]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36000호[Previous Document 6]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36000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산/양산의 손잡이에 신체걸이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우산이나 양산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지 않고도 신체에 지지가 가능하여 양손의 사용이 모두 가능하면서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될 수 있으며, 사용이 간편한 우산 또는 양산의 손잡이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the body member on the handle of the umbrella / sunshade, support for the body without holding the handle of the umbrella or sunshade by hand can be used both hands All of them are possible and can be conveniently applied in daily lif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can be distributed at a low price,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easy-to-use umbrella or parasol handle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손잡이에 손목이나 팔에 걸어지는 신체걸이부재가 설치된 우산 또는 양산의 손잡이 구조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le structure of an umbrella or parasol provided with a body hanger member that is hooked to a wrist or an arm to a handle.
이때, 상기 신체걸이부재는, 예를 들어 "∩"자형, "C"자형, "ㄷ"자형, "ㄱ"자형 또는 "O" 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걸이부재는 손잡이에 일체형, 조립형, 접이형(절첩식) 또는 내삽형 등의 구조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신체걸이부재는 조립구조가 마련되어 손잡이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걸이부재는 힌지수단에 의해 손잡이와 절첩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ody hanger member, for example, may have a shape of "∩" shape, "C" shape, "c" shape, "a" shape or "O" shape. In addition, the body hanger member is installed in a structure such as integral, assembled, folding (folding) or interpolated in the handle. For example, the body hanger member is provided with an assembly structure may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with the handle. In addition, the body hanger member may be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folded with the handle by the hinge means.
아울러, 상기 신체걸이부재는 손잡이의 내부에 내삽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체걸이부재는 손잡이 내부로의 탄성적인 내삽과 유출이 가능한 구조이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신체걸이부재는 손목이나 팔에 걸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밀착되어 있되, 내부에 탄성수단이 내장된 지지파이프; 상기 지지파이프의 내부를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간격유지파이프; 및 상기 지지파이프를 고정/해제하는 걸림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hanger member may be installed in a structure inserted in the interior of the handle. At this time, the body hanging member may be a structure capable of elastic interpolation and outflow into the handle. For example, the body hanger member is a body that is walked on the wrist or arm; A support pip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and having elastic means built therein; An interval maintaining pipe for elastically moving the inside of the support pipe;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atch for fixing / releasing the support pipe.
본 고안에 따르면, 우산이나 양산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지 않고도 신체걸이부재를 통하여 손목이나 팔에 안정감 있게 지지, 고정되어 양손의 사용이 모두 가능하면서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될 수 있으며, 사용이 간편한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holding the handle of the umbrella or parasol by hand, it is securely supported and fixed to the wrist or arm through the body hanger member, and both hands can be used while having the effect that can be conveniently applied in daily lif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s simple and can be spread at a low price, and has an effect that is easy to u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provided only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우산/양산의 손잡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구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우산/양산의 손잡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우산/양산의 손잡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structure of the umbrella / sunsha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tate diagram used for explaining how to use the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structure of the umbrella / sunshad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structure of the umbrella / sunshad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산이나 양산은 통상과 같이 지주대(10); 상기 지주대(10)를 중심으로 방사 형태로 펼쳐지는 살대(20); 상기 살대(20)의 펴짐에 의해 거의 반구 형태로 펼쳐지는 덮개포(30); 및 상기 지주대(10)의 하단에 설치된 손잡이(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우산 또는 양산의 손잡이구조(이하, "손잡이 구조"로 약칭함)는, 상기 손잡이(40)에는 신체걸이부재(100)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First, referring to Figure 1, the umbrella or parasol is a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손목이나 팔에 걸어지는 것으로서, 이러한 신체걸이부재(100)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며, 손목이나 팔에 걸어질 수 형상이면 본 고안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신체걸이부재(100)는 손목이나 팔이 삽입될 수 있는 인입 공간(S)을 가지는 구조이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말발굽 형상("∩"자형)을 가지는 신체걸이부재(100)를 예시하였다. 또한,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예를 들어 "C"자형, "ㄷ"자형, "ㄱ"자형(도 3 참조) 또는 "O" 자형(도 6 참조)이 될 수 있다. The
도 1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구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ure 2 showing the use state of Figure 1 describes how to use the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한쪽 팔을 약 90도 각도로 구부린 상태에서 손잡이(40)에 설치된 신체걸이부재(100)를 손목이나 팔에 감싸도록 걸어서 거치시킨다. 그리고 지주재(10)는 어깨에 밀착시켜 기대어지게 한다. 따라서, 우산/양 산은 신체걸이부재(100) 및 지주대(10)에 의해 신체에 고정, 지지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르면 우산이나 양산이 손의 사용 없이 안정감 있게 신체에 지지, 고정되어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40)를 다시 한 손으로 잡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작 없이 간편하고 쉽게 손으로 잡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first, the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르면, 별도의 장비(조끼, 배낭, 멜빵, 어깨끈 등)를 착용해야지만 적용이 가능한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별도의 장비 착용 없이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하다. 그리고 종래 대비 시선을 끌지 않아 부담이 없고 단조로운 구조(디자인)를 갖는다. 또한, 기존의 손잡이(40) 디자인을 탈피하여 신체걸이부재(100)의 자체 다자인에 의해 심미감이 부여되어 실용성과 함께 미적 디자인을 갖는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wear separate equipment (vest, backpack, suspenders, shoulder straps, etc.), but can be conveniently applied in daily life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quipment, the structure is It is simple and can be distributed at low cost and is easy to use. In addition, it does not attract atten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rt and has a simple structure (design) without burden. In addition, aesthetics are given by the design of the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재질에 있어서 금속재나 합성수지재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재의 경우에는 경질이나 연질 또는 탄성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손잡이(40)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손잡이(40)와 일체로 성형되어, 손잡이(40)와 일체형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별도로 성형된 후에 손잡이(40)에 접합 또는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별도로 성형된 후, 열융착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손잡이(40)와 접합되거나, 또는 조립수단을 통해 손잡이(40)에 조립될 수 있다. The
아울러,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손잡이(100)의 하단, 상단 또는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자형의 신체걸이부재(100)가 손잡이(400)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ㄱ"자형의 형상으로서, 손잡이(40)의 측면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자형으로서, 손잡이(40)의 하단에서 연장하여 측면에 위치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조립수단을 통해 손잡이(40)에 조립될 수 있는데, 이를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s described above, the
도 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자형의 형상을 가지되, 나사(screw) 등의 체결구(50)를 통해 손잡이(4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신체걸이부재(100)에는 체결구(50)가 끼워지는 관통공(101)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40)의 하단에는 상기 나사 등의 체결구(50)가 끼움 조립될 수 있는 구멍이 천공되어지되, 상기 구멍에는 나사산(4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체걸이부재(100)는 손잡이(40)와 착탈이 가능하다. First, as shown in Figure 5, the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O"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되, 결속밴드(60)를 통해 손잡이(40)의 하단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서 도면부호 '65'는 나사를 나타낸다. 이때,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체걸이부재(100)가 "O"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손을 통과하여 손목이나 팔에 용이하게 걸어지도록 탄성력(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신체걸이부재(100)가 "O"자형인 경우에는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엘라스토머(elastomer) 등과 같은 연질 탄성체의 재질로 구성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아울러, 도 7 내지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자체 조립구조가 마련되어 손잡이(40)와 자유롭게 착탈(着脫)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7 to 9, the
예를 들어,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자형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연장된 돌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120)에는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그의 외주연부에 나사산(12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40)의 하단에는 상기 조립부(120)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40a)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신체걸이부재(100)와 손잡이(40)는 나사 결합에 의해 자유롭게 착탈이 가능하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7, the
또한,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ㄱ"자형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끼움 조립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끼움 조립부(130)는 개구부(131)가 마련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끼움 조립부(130)는 개구부(131)가 마련된 "C"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131)는 지주대(10)가 "C"자형의 끼움 조립부(130)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끼움 조립부(130)에는 예를 들어 그의 외주연부를 따라서 나사산(13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40)의 내부면에는 상기 끼움 조립부(130)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40a)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먼저 지주대(10)가 개구부(131)를 통과하게 하여 상기 "C"자형의 끼움 조립부(130)의 가운데 위치되게 한 다음, 끼움 조립부(130)를 손잡이(40)에 밀착시켜 회전 결합시키면, 신체걸이부재(100)와 손잡이(40)는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조립구조를 가지는 신체걸이부재(100)는 손잡이(40)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도 8에는 상단에 결합되는 모습을 예시하였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8, the
아울러,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ㄱ"자형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뭉치 조립부(140)를 가지되, 상기 뭉치 조립부(140)는 본체(110)로부터 연장된 가이드 돌기부(142)와, 상기 가이드 돌기부(142)의 말단에 형성된 뭉치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40)에는 대공(42), 소공(44) 및 상기 대공(42)과 소공(44)을 연결하는 가이드공(43)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대공(42)은 뭉치부(144)가 내입될 수 있는 크기로서, 뭉치부(144)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지며, 상기 소공(44)은 뭉치부(144)가 빠져 나가지 못하는 크기로서 뭉치부(144)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가이드공(43)은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ㄴ"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9, the
따라서 먼저 뭉치부(144)를 대공(42)에 끼운 후, 가이드공(43)을 따라 소 공(44) 쪽에 위치시키면, 신체걸이부재(100)는 손잡이(40)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뭉치 조립부(140)는 본체(110)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손잡이(4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덮개부(14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돌기부(142)는 덮개부(146)로부터 연장, 설치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46)는 "C"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덮개부(146)가 마련된 경우, 신체걸이부재(100)는 손잡이(40)에 보다 안정감 있게 조립될 수 있으며, 가이드 돌기부(142)와 뭉치부(144)는 물론 손잡이(40)에 형성된 대공(42), 소공(44) 및 가이드공(43)이 덮개부(146)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Therefore, first insert the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손잡이(40)에 접이형(절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제9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도 10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결합 단면도이다. 10 and 11 show a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손잡이(40)에 힌지수단(150)(45)을 통해 접이(절첩)가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ㄱ"자형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힌지공(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40)에는 상기 힌지공(150)에 끼워지는 힌지축(4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40)에는 신체걸이부재(100)가 접어져 내입되는 삽입홈(46)이 신체걸이부재(100)에 대 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신체걸이부재(100)는 힌지수단(150)(45)에 의해 접이(절첩)되면서, 삽입홈(46)에 내입되어 외관상으로도 말끔하게 결합된다. 또한, 신체걸이부재(100)가 접어진 후에, 손잡이(4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110)의 말단에는 체결돌기(116)가 형성된 것이 좋다. 이때, 손잡이(40)에는 상기 체결돌기(116)가 끼워지는 체결홈(47)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접이식 구조(힌지수단)를 도모함에 있어서, 도 10 및 도 11에는 상기 힌지공(150)은 신체걸이부재(100)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힌지축(45)은 손잡이(40)에 형성된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상기 힌지공(150)은 손잡이(40)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공(150)이 끼워지는 힌지축(45)은 신체걸이부재(100)에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또한,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손잡이(40)에 내삽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손잡이(40) 내부에 내삽되어 있되, 사용 시에는 외부로 빼내어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내삽형 구조는 버튼의 누름 작용을 통한 외부 노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이다. In addition, the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 12는 신체걸이부재(100)가 손잡이(40)의 내부에 내삽된 모습이며, 도 13은 신체걸이부재(100)가 손잡이(40)로부터 빠져나온 모습을 보인 것이다. 12 and 13 ar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자형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에 밀착되어 있되, 내부에 탄성수단(175)이 내장된 지지 파이프(170); 상기 지지파이프(170)의 내부를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간격유지파이프(180); 및 누름 버튼(B)의 조작에 의해 상기 지지파이프(170)를 고정/해제하는 걸림쇠(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형의 본체(110)는 손잡이(40)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쉽게 압착될 수 있고, 외부로 빠져 나올 경우에는 다시 쉽게 펴질 수 있도록 탄력성의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파이프(170)는 그 내부에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175)이 내장되어 있되, 일측에는 상기 걸림쇠(190)에 끼워지는 고정홈(178)이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2 and 13, the
따라서 신체걸이부재(100)의 본체(110)를 손잡이(40) 내부 쪽으로 가압하게 되면, 간격유지파이프(180)가 지지파이프(170) 내부로 장입되고, 이후 상기 걸림쇠(190)에 고정홈(178)이 끼워져 본체(110)는 손잡이(40)의 내부에 내삽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사용 시에 누름 버튼(B)을 누르면, 고정홈(178)이 걸림쇠(190)로부터 이탈되어 지지파이프(170)에 의해 본체(110)는 탄성적으로 외부로 빠져나온다. Therefore, whe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신체걸이부재(100)는 손잡이(40)에 일체형, 조립형, 접이형(절첩식), 내삽형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구조는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경우로서,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경우의 일상생활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 활용예 ><Application example>
1. 지갑에서 카드, 신분증, 돈 등을 꺼내야 할 때 1.When you need to take out cards, IDs, money, etc. from your wallet
2. 거리에서 메모를 해야 할 때 2. When you need to take notes on the street
3. 가방에서 물건을 꺼낼 때3. When taking things out of the bag
4, 노상 주차장 관리인 등이 주차권발급, 수금 등을 할 때4, roadside parking lot managers issue parking ticket, collect money
5. 차량을 기다리면서 독서를 할 때5. When reading while waiting for the vehicle
6. 핸드폰으로 문자메시지 등을 주고받을 때6. When sending and receiving text messages, etc.
7. 두 손으로 물건을 들어야 할 때7. When you need to lift an object with both hands
8. 화장을 고칠 때 등8. When fixing makeup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구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2 is a state diagram used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제9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도 10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결합 단면도이다. 10 and 11 show a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 12는 신체걸이부재가 손잡이의 내부에 내삽된 모습이며, 도 13은 신체걸이부재가 손잡이로부터 빠져나온 모습을 보인 것이다.12 and 13 ar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body hange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andle, Figure 13 is a body hanger member is pulled out of the handle Will be show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 : 지주대 20 : 살대10: props 20: flesh
30 : 덮개포 40 : 손잡이30: cover cloth 40: handle
42 : 대공 43 : 가이드공42: grand ball 43: guide ball
44 : 소공 45 : 힌지축44: hole 45: hinge axis
46 : 삽입홈 100 : 신체걸이부재46: insertion groove 100: body hanging member
110 : 본체 120 : 돌기부110: main body 120: protrusion
130 : 끼움 조립부 140 : 뭉치 조립부130: fitting assembly 140: bundle assembly
142 : 가이드 돌기부 144 : 뭉치부142: guide protrusion 144: bundle
146 : 덮개부 150 : 힌지공146: cover portion 150: hinge hole
170 : 지지파이프 175 : 탄성수단170: support pipe 175: elastic means
180 : 간격유지파이프 190 : 걸림쇠180: space maintenance pipe 190: latch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0812U KR20100001919U (en) | 2008-08-13 | 2008-08-13 | Handle structure of umbrella or paras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0812U KR20100001919U (en) | 2008-08-13 | 2008-08-13 | Handle structure of umbrella or paraso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1919U true KR20100001919U (en) | 2010-02-23 |
Family
ID=4419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0812U KR20100001919U (en) | 2008-08-13 | 2008-08-13 | Handle structure of umbrella or paraso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1919U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7349B1 (en) | 2018-12-21 | 2020-03-02 | 장세유 | Umbrella handle structure |
KR102097251B1 (en) * | 2019-11-18 | 2020-04-03 | 김태동 | Wireless controller for VR and AR with wrist release prevention |
-
2008
- 2008-08-13 KR KR2020080010812U patent/KR20100001919U/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7349B1 (en) | 2018-12-21 | 2020-03-02 | 장세유 | Umbrella handle structure |
KR102097251B1 (en) * | 2019-11-18 | 2020-04-03 | 김태동 | Wireless controller for VR and AR with wrist release preven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79491A (en) | Mounting means for removably securing functional items to support articles | |
US7200897B2 (en) | Holder for eyeglasses | |
US20080116236A1 (en) | Combination umbrella, support and method of use | |
US20130014312A1 (en) | Freshening rings | |
US10631602B2 (en) | Umbrella holder | |
TWI819413B (en) | Adjustable and wearable device | |
KR101083705B1 (en) | Umbrella mounted bag | |
KR20100001919U (en) | Handle structure of umbrella or parasol | |
US20160345713A1 (en) | Backpack with Electronic Device Storage and Umbrella Compartment | |
KR200438289Y1 (en) | Umbrella case, umbrella that can be mounted on this umbrella case and umbrella assembly | |
US20130298952A1 (en) | Umbrapack | |
KR200470570Y1 (en) | Apparatus For Holding Umbrella Or Sun Shade | |
KR200432814Y1 (en) | Umbrella Binding Suspenders | |
GB2352969A (en) | Hands free umbrella carrying device | |
US20240277121A1 (en) | Multi-Purpose Glasses Case Device | |
CN201480240U (en) | Hand-free multipurpose umbrella | |
JP2020078372A (en) | Backpack type umbrella carrying set | |
KR102687355B1 (en) | Cap hanger | |
JP3155177U (en) | Umbrella shoulder strap for carrying a closed umbrella on your shoulder | |
CN202932213U (en) | Umbrella cap | |
CN212574388U (en) | Umbrella stand and umbrella | |
JP3248506U (en) | Backpack with head covering means | |
TW201400051A (en) | Handsfree portable umbrella supporting/hanging device | |
JP3145340U (en) | Umbrella with a shoulder strap that can be carried on the shoulder when closed | |
CN206760967U (en) | Umbrell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813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913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