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849A -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0849A KR20100000849A KR1020080060500A KR20080060500A KR20100000849A KR 20100000849 A KR20100000849 A KR 20100000849A KR 1020080060500 A KR1020080060500 A KR 1020080060500A KR 20080060500 A KR20080060500 A KR 20080060500A KR 20100000849 A KR20100000849 A KR 201000008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ne
- housing
- implant
- screw bar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4053 dental implant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7
- 210000004086 maxillary sinus Anatomy 0.000 description 27
- 210000004877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050 maxill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9 lev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400 mucous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164 oss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54 trans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2—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bones, e.g. intraosseus inje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25—Mouth
- A61M2210/0631—Gu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25—Mouth
- A61M2210/0637—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시술시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부위에 골량이 충분하지않는 경우 골을 이식하기 위한 골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는 내부에 이식용 골이 채워지며 배출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캡과, 캡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하우징의 내부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판이 스크루바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므로 가압판의 승강을 정밀하게 조정함으로써 이식하는 골의 양을 필요한 만큼 정확하게 주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주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임플란트의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임플란트, 골이식, 상악동, 골주입
Description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시술시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부위에 골량이 충분하지않는 경우 골을 이식하기 위한 골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란 본래는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치아 이식을 의미한다.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으로 만든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어서 유착시킨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시술로써,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의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위의 치아 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는 큰 장점이 있으며,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비슷하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비교적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 중 상악 구치부에서의 임플란트 성공률은 다른 부위에 비해 비교적 낮다고 보고되어 있는데 이는 상악 구치부에서는 골질이 약하고 상악 동(maxillary sinus)이 있으므로 긴 임플란트를 매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상악에 존재하는 상악동은 점막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써 생리적으로 치아가 상실되면 밑으로 내려오면서 확장되므로 상악의 치아가 상실되면 치아 상실에 따른 골 흡수와 함께 상악동의 하방확장으로 인해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골 량이 부족해 상악 구치부에서의 임플란트 시술이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상악동까지의 골량이 부족한 경우의 기존의 대표적인 임플란트 시술방법에는, 측방접근 상악동저거상술(Lateral window sinus lift)과 오스테오톰 상악동저거상술(Internal sinus lift (Sinus lift)을 들 수 있는데 시술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측방접근 상악동저거상술은 수직적인 골량이 많이 부족한 상악 구치부에서(잔존 골량 5mm 미만) 임플란트 수술시 상악동까지의 잔존 치조골 높이에 따라 상악골 측벽을 따내고 이식 골을 통하여 충분한 골량을 확보하여 길이가 긴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한 수술법이다.
이러한 측방접근 상악동저거상술의 수술법을 살펴보면, 부족한 골 이식을 위해 환자 자신의 골편을 수술 이외의 부위에서 채취하는 이식 골편의 채취(환자의 골편을 채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인공골을 사용한다)과정과, 구치에 상당하는 구간 전정부위에 절개선을 설정하는 절개과정과, 점막 골막 피판의 형성과정과, 상악동을 열 때 라운드 버(round bur) 등을 사용하여 골절선을 넣고 개창하는 상악동 안면 벽의 개창과정과, 상악동 안면벽 및 상악동 점막의 거상과정과, 골판을 거상한 상악동 내 공간의 처리과정과, 골이식 과정과, 봉합과정과, 수술 6~12개월 후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시술방법 중 측방접근 상악동저거상술의 경우 시술이 매우 어렵고 많은 양의 골 이식이 시행되면서 이식된 골이 골화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여 전체 치료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오스테오톰 상악동저거상술은 잔존 골량이 약간 부족한 경우(5~10mm)의 수술방법으로써, 오스테오톰(osteotome)이라는 정 같은 기구로 망치질을 해서 뼈를 거상 시킨 후 이 공간에 자가골이나 인공골을 넣고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으로써, 즉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한 부위에 1차 드릴로 상악골을 삭제하여 홀을 형성한 후 이 홀에 작은 직경에서부터 점점 큰 직경의 오스테오톰을 번갈아 삽입하여 조심스럽게 망치질함으로써 홀을 점점 확장한 다음 상악동 점막까지 서서히 접근하여 상악동 점막은 손상시키지않고 골만을 파절시켜 이 공간에 자가골이나 인공골을 이식 후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한 수술법이다.
여기서 상악골에 형성된 홀을 통해 자가골이나 인공골을 주입하기 위해 종래에는 일반 주사기에 골이식재를 담아 피스톤을 손으로 눌러 주입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일반 주사기를 이용한 골 주입은 골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홀로 완전히 주사기의 단부가 완전히 삽입이 되지 않아 골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홀 내부의 충분한 깊이에서 주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스톤을 손으로 눌러 골을 주입하므로 힘이 일정하게 피스톤에 전달되지 않아 골 주입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주입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시술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이식하고자 하는 골의 양을 정확하게 필요한 만큼 주입할 수 있도록 이식하고자 하는 골에 가해지는 배출압력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술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신속한 골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전동공구를 이용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는 내부에 이식용 골이 채워지며 배출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캡과; 상기 캡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캡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며 정/역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스크루바와, 상기 스크루바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압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루바의 하단에는 상기 스크루바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는 유선형의 돔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공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방사상 방향으로 다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캡과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에 의하면 가압판이 스크루바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므로 가압판의 승강을 스크루바의 회전에 의해 정밀하게 조정함으로써 이식하는 골의 양을 정확하게 필요한 만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스크루바를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골주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임플란트의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배출공이 다수가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되어 골의 주입이 이식공간 내에서 골고루 분포하도록 하여 이식된 골의 골화가 빠르다.
또한, 액체형상의 물질을 넣어서 상악동의 점막의 거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고체 혹은 겔타입의 이식골 재료를 상악동에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상부에 유선형의 돔부를 형성함으로써 상악동의 점막이 손상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안전한 임플란트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 주입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골 주입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골 주입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골 주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골 주입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적용되는 가압판 및 스크류바를 나타내는 일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골 주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골 주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 주입장치(10)는 임플란트의 시술시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부위의 골조직이 약하거나 골량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 골을 이식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골 주입장치(10)는 크게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캡(40)과, 하우징(20)의 내부를 가압하는 가압수단(50)을 구비한다.
하우징(20)은 치조골(9)의 하부에서 상악동(3)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이식용 골이 채워지도록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가진다. 그리고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는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부는 상악동의 점막(5)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서 유선형의 돔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20)의 외경은 홀에 삽입되는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고, 하우징(20)의 높이는 치조골의 두께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0)의 하부에는 하우징(2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는 스토 퍼(27)가 하우징(20)의 외측면을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7)는 하우징(20)으로부터 턱을 형성하여 하우징(20)이 홀에 삽입될 시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방에서 가압되는 하우징(20)이 홀의 입구의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하여 하우징(2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하우징(20)의 상부에는 내부에 채워진 골이 가압수단(50)에 의해 골 이식공간으로 배출되는 배출공(25)이 형성된다. 배출공(25)은 골이 사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20)의 측면 전후좌우에 방사상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4개가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외에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24)은 돔부(21)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되되 하우징(20)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골이 사방으로 골고루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배출공(71)은 하우징(20)의 상부 측면에 사각형상으로 관통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는 많은 양의 이식골을 빠른 시간에 주입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하우징(20)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돔부(22)가 형성되고 돔부(22)의 하방에 배출공(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공(23)이 형성된 하우징(20)의 상부는 하우징(20)의 하부보도 더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캡(40)은 하우징(20)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된다. 캡(40)은 하우징(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우징(20)의 하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된다.
캡(40)의 중앙에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43)이 마련된다. 나사홀(43)에는 후술할 가압수단의 스크루바(51)가 나사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가압수단(50)은 하우징(20)의 내부에 채워진 골을 배출공(25)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우징(20)의 내부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가압수단(50)은 캡(40)의 나사홀(43)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루바(51)와, 스크루바(51)의 상단에 형성된 가압판(55)으로 이루어진다.
스크루바(51)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봉체의 외주면에 나사홀(43)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스크루바(51)는 캡(40)의 하방에서 나사홀(43)에 나사결합되도록 삽입되어 상단이 하우징(20)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루바(51)는 나사홀(43)에 결합된 상태로 정 또는 역회전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이때 스크루바(51)의 하단에는 스크루바(51)를 회전시키기 위한 결합부(57)가 형성된다. 결합부(57)는 전동 공구(7) 또는 수공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단면이 사각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골주입장치는 전동공구(7)가 스크루바(51)의 하단에 결합되어 전동공구(7)에 의해 스크루바(51)가 회전함으로써 균일한 회전력으로 신속하게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골주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임플란트의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는 시술자가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 도록 스크루바(51)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바(59)일 수 있다.
가압판(55)은 스크루바(51)의 상단에 결합되어 하우징(2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스크루바(51)가 회전하더라도 가압판(55)은 회전하지 않도록 스크루바(51)와 가압판(55)이 결합될 수 있다.
가압판(55)은 실리콘 등의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55)의 외측 둘레를 따라 오링(5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크루바(51)가 회전하여 상승하면서 가압판(55)을 상승시켜 하우징(20)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한다. 따라서 하우징(20)의 내부에 채워진 골은 가압판(55)에 의해 가압되어 배출공(25)을 통해 배출된다.
이 경우 골이 모두 배출될 수 있도록 가압판(55)이 최대로 상승시 가압판과 하우징(20)의 내측 단부는 빈 공간 없이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가압판(55)의 상면은 하우징(20)의 내측 단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내측 단부면(26)이 수평으로 평탄하게 형성된 경우 가압판(55)의 상면 역시 이와 대응되는 수평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내측 단부면(26)이 상방으로 볼록한 돔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가압판(55)의 상면 역시 이와 대응되는 돔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가압판(55)의 상면과 하우징(20)의 내측 단부면이 대응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10)에 의하면 가압판(55)이 스크루바(51)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므로 가압판(51)의 승강을 스크루바(51)의 회전에 의해 정밀하게 조정함으로써 이식하는 골의 양을 정확하게 필요한 만큼 주입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주입 장치는 하우징(20) 하부에서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손잡이부(7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73)는 골 주입시 손으로 움켜쥠으로써 하우징(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골 주입장치(10)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사선 사진상 상악동(3)까지의 치조골(9)의 두께를 측정한 다음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한 부위에 드릴로 상악동(3)과 연결되는 치조골(9)에 1차적으로 홀을 형성한다. 그리고 홀에 작은 직경에서부터 점점 큰 직경의 오스테오톰을 번갈아 삽입하여 조심스럽게 망치질함으로써 홀을 점점 확장한 다음 임플란트 식립에 적합한 홀을 형성시킨다. 홀에 오스테오톰을 조심스럽게 때려서 상악동 점막(5)은 손상시키지 않고 골을 파절시켜 상악동(3)으로 관통되는 홀을 형성한다.
이 경우 홀에 본 발명의 골 주입장치(10)를 이용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를 식립 할 수 있는 가용 골의 높이가 확보되도록 골을 주입하게 된다.
먼저, 하우징(20)을 홀을 통해 삽입하여 하우징(20)의 상부가 상악동 안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하우징(20)이 홀을 통해 위치하면 스크루바(51)의 결합 부(57)에 전동공구(7)를 결합시켜 스크루바(51)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경우 하우징(2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도 8에 도시된 손잡이부(73)를 움켜쥐고 시술을 할 수 있다.
스크루바(51)가 회전함에 따라 가압판(55)이 상승하여 하우징(20)의 내부에 채워진 상악동(3)으로 골이 신속하게 주입된다. 가압판(55)이 최대로 상승하여 골이 모두 주입이 되면 하우징(20)을 제거한다.
그리고 일정기간이 지나 골화가 진행되어 이식골이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상악동 치밀골(9)에 형성된 홀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고정함으로써 시술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골 주입장치(10)를 이용하면 골 이식 과정이 빠른 시간에 이루어짐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안전한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 주입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골 주입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골 주입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골 주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골 주입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적용되는 가압판 및 스크류바를 나타내는 일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골 주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골 주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하우징 21: 돔부
25: 배출공 27: 스톱퍼
40: 캡 43: 나사홀
50: 가압수단 51: 스크루바
55: 가압판 57: 결합부
Claims (6)
- 내부에 이식용 골이 채워지며 배출공이 형성된 하우징과;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캡과;상기 캡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캡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며 정/역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스크루바와, 상기 스크루바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압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바의 하단에는 상기 스크루바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는 유선형의 돔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방사상 방향으로 다 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캡과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0500A KR20100000849A (ko) | 2008-06-25 | 2008-06-25 |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0500A KR20100000849A (ko) | 2008-06-25 | 2008-06-25 |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0849A true KR20100000849A (ko) | 2010-01-06 |
Family
ID=4181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0500A Abandoned KR20100000849A (ko) | 2008-06-25 | 2008-06-25 |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0849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5898B1 (ko) * | 2012-06-20 | 2013-11-07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골 배분기 |
WO2024167529A1 (en) * | 2023-02-07 | 2024-08-15 | Tyw Ip Holding Llc | Borehole shield for performing an endodontic surgery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
2008
- 2008-06-25 KR KR1020080060500A patent/KR20100000849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5898B1 (ko) * | 2012-06-20 | 2013-11-07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골 배분기 |
WO2024167529A1 (en) * | 2023-02-07 | 2024-08-15 | Tyw Ip Holding Llc | Borehole shield for performing an endodontic surgery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30304B1 (ko) |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 |
JP5162663B2 (ja) | 上顎洞膜挙上用ドリル | |
KR100884211B1 (ko) | 상악동 거상 시술용 피조톰 | |
US8002548B2 (en) | Method of maxillary sinus bone grafting for placement of implant | |
JP5969588B2 (ja) | インプラント施術用ドリル | |
KR100850437B1 (ko) | 임플란트 시술용 보조기구 | |
JP2009131634A (ja) | インプラント施術用リーマー | |
KR101019121B1 (ko) | 상악동 내 수압에 의한 골막거상기 | |
WO2010146573A1 (en) | Implants, tools, and methods for sinus lift and lateral ridge augmentation | |
KR101113306B1 (ko) | 상악동 거상술용 드릴 유닛 | |
KR100981716B1 (ko) | 상악동 거상용 드릴 툴 | |
KR100981718B1 (ko) |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 |
KR101114735B1 (ko) | 임플란트 시술용 잇몸제거장치 | |
KR101192668B1 (ko) | 상악동막 거상기 | |
KR20100011761A (ko) |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 | |
KR20070108777A (ko) | 치골 채취 및 수집장치 | |
KR20100000849A (ko) | 임플란트 시술용 골 주입장치 | |
CN113349967A (zh) | 一种骨粉输送器 | |
KR100881224B1 (ko) | 치과용 템플릿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이식 방법 | |
KR101192979B1 (ko) | 전동식 상악동 거상 장치 | |
US8814565B1 (en) | Surgical device for dental implant installation | |
KR101254650B1 (ko) | 상악동막 수동 거상기구 | |
KR100936678B1 (ko) |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 | |
CN216702679U (zh) | 一种骨粉输送器 | |
IL214635A (en) | Device and implants for lifting the sinuses and improving the lateral 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9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