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132101A -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2101A
KR20090132101A KR1020080058190A KR20080058190A KR20090132101A KR 20090132101 A KR20090132101 A KR 20090132101A KR 1020080058190 A KR1020080058190 A KR 1020080058190A KR 20080058190 A KR20080058190 A KR 20080058190A KR 20090132101 A KR20090132101 A KR 20090132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wiring
thin film
temperature sensing
printing
lower me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0087B1 (ko
Inventor
최인묵
김용규
우삼용
양인석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58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087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08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성 기판 상에 프린팅(printing) 기법을 이용하여 박막형으로 제조되며, 1차원 또는 이차원 온도 분포의 측정이 가능하고, 온도 측정 대상의 형태에 무관하게 온도 분포의 측정이 가능한 온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유연성 기판에 길이방향으로 긴 스트링(string)형태의 하부금속배선을 프린팅하는 단계; 상기 하부금속배선 상부에 복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이 서로 이격되어 상기 하부금속배선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을 프린팅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 상부에 상기 하부금속배선과 통전되지 않으며, 상기 복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별로, 상부금속배선을 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특징이 있다.
온도 센서, 온도 분포, 프린팅, 인쇄, 유연성 기판, 저항형 온도센서

Description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Array-type Flexible Thin Film Temperature Sensor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연성 기판 상에 프린팅(printing) 기법을 이용하여 1차원 또는 이차원 온도 분포의 측정이 가능하며, 온도 측정 대상의 형태에 무관하게 온도 분포의 측정이 가능한 박막형 온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종래의 온도센서로는 2종의 금속으로 만들어진 열전대(thermocouple wire), 다이오드 센서, 저항온도검출기(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등을 들 수 있다.
이중 열전대를 이용한 온도 센서가 가장 일반적이다. 열전대는 2종의 다른 금속으로 폐회로를 구성한 후, 폐회로의 2종 금속이 접촉하여 형성된 2개의 접점중 한쪽 접점을 고온에 연결하고, 다른 쪽 접점을 저온에 연결하면 폐회로를 구성하는 금속의 종류와 두 접점에서의 온도차에 따라 기전력이 발생하는 제베크 효과를 이용한 온도 센서이다.
그러나, 이러한 열전대 온도센서는 수십마이크로 크기의 미소영역 온도 측정 이 어려우며, 여러개의 열전대를 사용하여 미소한 특정 영역의 온도분포를 측정하는 일은 더욱 어려운 일이다. 또한, 온도 측정 대상과 한 접점을 직접 접속 위치시켜야 하므로, 온도 측정 대상의 형상에 따라 정확한 온도 측정이 힘든 한계 또한 존재한다.
다이오드를 이용한 온도센서(다이오드 센서)는 센서에 전압 인가시 온도에 따라 센서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가변하는 성질을 이용한 온도 센서이며, 저항온도검출기는 온도에 따라 저항이 달라지는 특성을 이용한 온도 센서이다.
상술한 다이오드 센서 또는 저항 온도검출기가 열전대와는 달리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미소영역의 온도를 측정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그 제작공정이 매우 복잡하며 수많은 단계의 공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큰 단점이 있으며 대면적 센서의 제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온도 측정 대상의 표면 온도 측정시, 측정 대상의 형상에 따라 온도 센서를 특수 제작해야 하거나, 아예 그 측정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 대상의 형상과 무관하게 측정 대상 표면의 1차원 또는 2차원 온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으며, 그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시간과 비용의 소모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고, 대면적 온도 측정이 가능한 온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유연성 절연 기판 및 프린팅 기법을 이용한 어레이형 온도 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어레이형 온도 센서의 금속 배선 수를 최소화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의 제조방법은 유연성 기판에 길이방향으로 긴 스트링(string)형태의 하부금속배선을 프린팅하는 단계; 상기 하부금속배선 상부에 복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이 서로 이격되어 상기 하부금속배선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을 프린팅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 상부에 상기 하부금속배선과 통전되지 않으며, 상기 복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별로, 상부금속배선을 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금속배선은 다수개(M개, M>1의 자연수)의 길이방향으로 긴 스트링(string)형태의 금속배선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금속배선을 구성하 는 다수개의 금속배선이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인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각각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프린팅되고, 상기 다수개의 금속배선 상부에 복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이 상기 하부금속배선의 길이방향의 행(row) 및 상기 수평방향의 열(column)로 2차원 배열되도록 프린팅되고, 상기 상부금속배선은 다수개(N개, N>2의 자연수)의 상기 수평방향으로 긴 스트링(string)형태의 금속배선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금속배선을 구성하는 각 금속배선은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의 2차원 배열중 각 열(column)을 구성하는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의 상부로 프린팅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상부금속배선,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 및 상기 하부금속배선의 프린팅은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아 프린팅,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프린팅인 특징이 있으며, 상기 상부금속배선,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 상기 하부금속배선 각각의 두께는 상기 프린팅을 반복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유연성 기판은 절연성 물질로 구성되어 임의의 형상으로 휘어지고, 굴곡짐이 가능한 모든 기판이 사용가능하나, 상기 상부금속배선 및 상기 하부금속과 상기 유연성 기판과의 우수한 접합력(adhesion) 측면에서 PVC계열과 같은 고분자 박막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금속배선 및 상기 하부금속배선은 은, 알루미늄, ITO(Indium-Tin-Oxide), Cu-C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며,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은 열저항물질, 압저항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은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를 조절하고자 탄소가루, 은 파우더 등과 같은 전도성 물질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는 절연물질로 구성되며 유연성있는 기판상에 박막형태로 제조되어 온도 측정 대상의 형상과 무관하게 임의의 형상에 부착되어 표면의 온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온도에 따라 저항이 달라지는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이 1차원 또는 2차원 배열을 가지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별로 독립적으로 온도에 따른 저항의 변화가 측정 가능하여 1차원 또는 2차원 온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잉크젯 프린팅 또는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하여 종이와 같은 유연/절연성 박막 기판에 박막형으로 1차원 또는 2차원 온도분포 측정이 가능한 온도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므로, 그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시간이 빠르며, 센서 구조의 제어가 용이하며, 띠형, 판형, 원주형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가능하며, 온도센서를 대면적으로 제조가능하고, 대량생산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서로 이격 배열된 다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이 하부전극 및/또는 상부전극을 공유하므로, 개별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금속 배선의 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온도센서는 온도 측정 대상의 형상과 무관하게 임의의 형상에 부착되어 표면의 온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으며, 1차원 또는 2차원 온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일 순서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절연물질인 유연성(flexible) 기판, 바람직하게는 절연물질인 유연성 박막 또는 후막 기판에 프린팅(printing) 기법만을 이용하여 어레이형 온도센서를 제조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유연성 기판에 하부금속배선을 인쇄한 후(s10), 인쇄된 하부금속배선의 상부에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을 인쇄하여(s20) 온도 변화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화되어 실질적으로 온도 감지 기능을 갖는 온도감지부(저항형 온도센싱 박막들)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 및 유연성 기판 상부에 상부금속배선을 인쇄하여(s30)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 각각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3의 공정도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상술한다.
도 2는 일차원 온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일 예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는 유연성 기판(10)에 길이방향(L)으로 긴 스트링(string)형태의 하부금속배선(20)을 프린팅(도 2(a))한 후, 상기 하부금속배선 상부에 복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301, 302, 303, 304)이 서로 이격되어 상기 하부금속배선의 길이방향(L)으로 배열되도록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을 프린팅하여 온도감지부(30)를 형성하고(도 2(b)), 이후, 상기 복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301, 302, 303, 304) 상부에 상기 하부금속배선(20)과 맞닿아 통전되지 않으며, 상기 복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301, 302, 303, 304)별로, 상기 복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 상부에(301, 302, 303, 304) 상부금속배선(41, 42, 43, 44)을 프린팅하여(도 2(c)) 제조된다.
도 1의 단계(s20) 또는 도 2의 온도감지부(30)가 형성단계(도 2(b))에서, 상기 개별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301, 302, 303, 304)은 상기 하부금속배선 상부 및 개별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이 인쇄되는 하부금속배선과 접한 기판의 상부에도 인쇄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길이방향(L1)에 수직인 수평방향(H)의 상기 하부금속배선(20)을 구성하는 금속 스트링(20)의 폭이 h1일때, 상기 개별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의 상기 수평방향(H)의 폭(h2)이 상기 금속 스트링(20)의 폭과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단계(s20) 이후, 별도의 절연막층을 형성하지 않고도 상기 하부금속배선(20)과 상기 상부금속배선(41, 42, 43, 44)이 서로 연결되어 통전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길이방향(L)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301, 302, 303, 304)은 단일한 하부금속배선(20)을 공유하며, 각각의 상부금속배선(41, 42, 43, 44)을 가짐으로써, 다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단일한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의 전기적 성질(전압, 저항, 전류등)을 측정하기 위한 금속배선(상부금속배선 및 하부금속배선)의 수를 감소할 수 있다. 도 2(c)의 일 예에서는 8개의 금속 배선이 아닌 5개의 금속배선만으로 온도감지부(20)를 구성하는 개별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여 일차원 온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은 2차원 온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일 예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금속배선은 다수개의 길이방향(L)으로 긴 스트링(string)형태의 금속배선(21, 22, 23)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금속배선 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금속배선(21, 22, 23)이 상기 길이방향(L)에 수직인 수평방향(H)으로 일정거리 각각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프린팅된다.
이후, 상기 하부금속배선을 구성하는 상기 다수개의 금속배선 상부에 복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이 상기 하부금속배선의 길이방향의 행(row) 및 상기 수평방향의 열(column)로 2차원 배열되도록 프린팅된다. 즉, 단일한 금속배선(하부금속배선을 구성하는) 상부에 길이 방향(L)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일 예로, 311, 312, 313 및 314)이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 배열의 행을 구성하고, 서로 다른 금속배선(하부금속배선을 구성하는) 상부에 수평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일 예로, 311, 321 및 331)이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 배열을 구성하여 2차원 온도분포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30)가 형성된다.
온도감지부(30)가 형성된 후, 상부금속배선(41, 42, 43, 44)을 인쇄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상부금속배선(41, 42, 43, 44)은 다수개의 상기 수평방향으로 긴 스트링(string)형태의 금속배선(41, 42, 43, 44)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금속배선을 구성하는 각 금속배선(41, 42, 43, 44)은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의 2차원 배열중 각 열(column)을 구성하는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의 상부로 프린팅된다.
상기 상부금속배선을 구성하는 일 금속배선은 상기 길이방향(L)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일 예로, 311, 321 및 331)의 상부에 형성되게 되므로, 다수개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들은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 배열의 행방향으로 하부금속배선을 구성하는 일 금속배선을 공유하며,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 배열의 열방향으로 상부금속배선을 구성하는 일 금속배선을 공유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 배열이 JxK 배열(J는 1이상의 정수, K은 J과 독립적으로 1이상의 정수임)일 경우, 상기 하부금속배선은 J개의 금속 배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금속배선은 K개의 금속 배선으로 구성되게 된다.
이에 의해, 온도감지부(30)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을 서로 독립적으로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금속 배선이 최소화 되는 장점이 있다.
도 2 및 도 3의 도시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간단한 프린팅을 통해 온도센서가 제조되므로, 온도센서의 전체적 크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의 형상,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의 크기, 금속 배선의 구체적인 형상 및 크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간의 이격 간격,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 배열의 구체적인 행, 열의 수등은 본원발명에 따른 온도센서의 활용에 적합하게 조절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금속배선,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 및 상기 하부금속배선의 프린팅은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아 프린팅,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프린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금속배선, 상기 하부금속배선 및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의 프린팅은 스크린 프린팅 또는 잉크젯 프린팅인 것이 더욱 바람직 하다.
상기 상부금속배선 및 상기 하부금속배선은 은, 알루미늄, ITO, Cu-C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금속배선 및 상기 하부금속배선을 프린팅하기 위한 배선용잉크(또는 페이스트)는 은, 알루미늄, ITO, Cu-C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며, 점도, 접착성 및 분산성을 조절하기 위한 유기물 및 유기 용매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상부금속배선 및 상기 하부금속배선을 프린팅하기 위한 배선용 잉크로 플렉서블 유기박막 트렌지스터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사용되는 통상의 도전성 잉크를 사용하여 프린팅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은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 전류와 같은 전기적 특성이 변화되는 물질이면 사용가능하나, 정확하고 민감한 온도 측정을 위해,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은 온도에 따라 전기저항이 크게 변하는 열저항 물질 또는 압력에 따라 전기저항이 크게 변하는 압저항 물질을 함유하며, 바람직하게 열저항 물질을 함유한다. 상기 열저항 물질은 통상의 서미스터(thermistor) 소자에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니켈산화물, 망간산화물, 코발트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주가 될 수 있다. 상기 압저항 물질은 통상의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계 물질이 주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을 잉크젯, 그라비아, 또는 스크린 프린팅하기 위한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용 잉크(또는 페이스트)는 열저항 전기전도성 물질 또는 압저항 전기전도성 물질을 함유하며, 배선용 잉크와 마찬가지로 점도, 접 착성 및 분산성을 조절하기 위한 유기물 및 유기 용매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배선용 잉크(또는 페이스트) 및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용 잉크(또는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유연성 기판 상부에 상기 하부금속배선이 프린팅된 후, 건조를 위한 어닐링(annealing)이 수행되고, 어닐링 후,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이 프린팅되고, 다시 건조를 위한 어닐링이 수행되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의 건조 후, 상부금속배선의 프린팅 및 건조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온도 센서는 박막 또는 후막의 유연성 기판 상부에 박막형으로 제조되어, 외부 응력에 쉽게 변형되므로, 온도 측정 대상의 형상과 무관하게 측정 대상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임의의 형상에 부착되어 1차원 또는 2차원 온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1차원 배열을 갖는 온도센서(A)를 기판의 길이방향 양 끝단을 접합시켜 유체(도 4의 화살표)가 흐르는 관(B)에 부착한 일 예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는 특정한 지점의 온도가 아닌 전체적인 온도 분포의 측정이 가능하며, 1차원 또는 2차원적인 온도의 변화 또한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일 공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다른 공정도이며,
도 4는 도 2(c)의 띠형 온도센서를 유관에 부착한 활용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절연/유연성 기판 20, 21~23 : 하부금속배선
30 : 온도감지부 301 ~ 334 :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
41 ~ 44 : 상부금속배선

Claims (5)

  1. 유연성 기판에 길이방향으로 긴 스트링(string)형태의 하부금속배선을 프린팅하는 단계;
    상기 하부금속배선 상부에 복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이 서로 이격되어 상기 하부금속배선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을 프린팅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 상부에 상기 하부금속배선과 통전되지 않으며, 상기 복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별로, 상부금속배선을 프린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속배선은 다수개(M개, M>1의 자연수)의 길이방향으로 긴 스트링(string)형태의 금속배선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금속배선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금속배선이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인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각각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프린팅되고,
    상기 다수개의 금속배선 상부에 복수의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이 상기 하부금속배선의 길이방향의 행(row) 및 상기 수평방향의 열(column)로 2차원 배열되도록 프린팅되고,
    상기 상부금속배선은 다수개(N개, N>2의 자연수)의 상기 수평방향으로 긴 스 트링(string)형태의 금속배선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금속배선을 구성하는 각 금속배선은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의 2차원 배열중 각 열(column)을 구성하는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의 상부로 프린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속배선,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 및 상기 하부금속배선의 프린팅은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프린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속배선 및 상기 하부금속배선은 은, 알루미늄, ITO, Cu-C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며,
    상기 저항형 온도센싱 박막은 열저항물질, 압저항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의 제조방법.
  5. 제 1항, 제 2항 또는 제4항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고 임의의 형상에 부착되어 1차원 또는 2차원 온도 분포를 측정하는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
KR1020080058190A 2008-06-20 2008-06-20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90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190A KR100990087B1 (ko) 2008-06-20 2008-06-20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190A KR100990087B1 (ko) 2008-06-20 2008-06-20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101A true KR20090132101A (ko) 2009-12-30
KR100990087B1 KR100990087B1 (ko) 2010-10-29

Family

ID=4169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190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0087B1 (ko) 2008-06-20 2008-06-20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0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258B1 (ko) * 2017-05-02 2018-04-04 주식회사 씨엔프런티어 유연성 박막 타입의 센서 구조체
CN110770556A (zh) * 2017-07-25 2020-02-07 贺利氏先进传感器技术有限公司 用于检测空间温度分布的传感器单元和制造传感器单元的方法
KR20220052255A (ko) * 2020-10-20 2022-04-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온도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151693A (ko) * 2022-04-26 2023-11-02 한경희 매트릭스 구조의 배터리 팩용 온도 센서 장치
KR20240112062A (ko) * 2023-01-11 2024-07-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연 압력센서의 제작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작된 유연 압력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5985A (ko) 2022-05-04 2023-11-13 (주) 래트론 유연한 박형 온도센서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7752A (ja) 1997-03-05 1998-09-14 S I I R D Center:Kk 熱電変換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44807B1 (ko) 2004-12-10 2006-1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한 미소 가열기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258B1 (ko) * 2017-05-02 2018-04-04 주식회사 씨엔프런티어 유연성 박막 타입의 센서 구조체
CN110770556A (zh) * 2017-07-25 2020-02-07 贺利氏先进传感器技术有限公司 用于检测空间温度分布的传感器单元和制造传感器单元的方法
US11268864B2 (en) 2017-07-25 2022-03-08 Heraeus Nexensos Gmbh Sensor unit for detecting a spatial temperature profi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sensor unit
KR20220052255A (ko) * 2020-10-20 2022-04-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온도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151693A (ko) * 2022-04-26 2023-11-02 한경희 매트릭스 구조의 배터리 팩용 온도 센서 장치
KR20240112062A (ko) * 2023-01-11 2024-07-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연 압력센서의 제작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작된 유연 압력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087B1 (ko) 201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8221B2 (ja) 広域温度センサ
KR100990087B1 (ko) 유연성 박막 어레이형 온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9664573B2 (en) Thermal imaging sensors
Hong et al. Stretchable active matrix temperature sensor array of polyaniline nanofibers for electronic skin
US20150016487A1 (en) Flexible Temperature and Strain Sensors
US20180210601A1 (en) Pressure sensor and display device
Nitani et al. Organic temperature sensors based on conductive polymers patterned by a selective-wetting method
Aliane et al. Enhanced printed temperature sensors on flexible substrate
Khalaf et al. Highly sensitive interdigitated thermistor based on PEDOT: PSS for human body temperature monitoring
US9320145B2 (en) Assembling and packaging a discrete electronic component
Sheng et al. Conformal Cu–CuNi thermocouple using particle-free ink materials
KR101650630B1 (ko) 각도 및 휨 검출 센서 제조방법 및 그 센서
Le Goupil et al. Fully printed sensors for in situ temperature, heat flow, and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s in flexible devices
Yun et al. Enhancing packing density and maximum elongation of 2D stretchable wavy circuit: Effect of section tilting
US11333560B2 (en) Temperature sensor with heat-sensitive paste
JP6868465B2 (ja) 温度センサー
KR20200064766A (ko) 스트레인 게이지 및 그의 제조 방법
Vadzak et al. Flexible inkjet sensor fabricated by inkjet printing
Khalaf et al. Flexible and Printed Electronics
Xuriguera et al. Flexible reduced graphene oxide gas sensor deposited by electrospray
Barmpakos A multi parametric measurement and control system, implemented on flexible substrates with printing technologies
Kwon et al. Flexible temperature sensor array of PDMS-encapsulated conductive CNT thin films fabricated by solution process
Vaquero et al. Silver and copper screen‐printed temperature sensors on flexible substrates: The impact of ink sintering conditions and composition
CN114001838A (zh) 一种二维材料温度检测装置
KR20110029928A (ko) 접촉힘 측정이 가능한 접촉저항형 센서, 접촉힘 및 접촉위치 측정이 가능한 접촉저항형 센서, 그들 센서의 제조방법 및 그들 센서의 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510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1021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