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128444A - 색보호 세제 또는 세정제 - Google Patents

색보호 세제 또는 세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8444A
KR20090128444A KR1020097020620A KR20097020620A KR20090128444A KR 20090128444 A KR20090128444 A KR 20090128444A KR 1020097020620 A KR1020097020620 A KR 1020097020620A KR 20097020620 A KR20097020620 A KR 20097020620A KR 20090128444 A KR20090128444 A KR 20090128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formula
radical
carbon atoms
cyc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디네 바르코트슈
비르기트 미델하우페
마르크-슈테펜 쉬에델
토마스 아이팅
Original Assignee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40060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12844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7016391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7016391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7023828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7023828A1/de
Priority claimed from DE200710038450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7038450A1/d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090128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44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21Dye-stain or dye-transfer inhibit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1/00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96Heterocyc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11D3/222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 C11D3/227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with nitro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2Amides; Substitute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C11D3/345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e groups, e.g. vinyl sulf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C11D3/349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dditionally containing nitrogen atoms, e.g. nitro, nitroso, amino, imino, nitrilo, nitrile groups containing compounds or their derivatives or thio urea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C11D3/36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es
    • C11D3/3742Nitrogen containing silic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88Graft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유색 직물 패브릭을 세척 또는 세정하기 위해 세제 및 세정제를 사용하는 동안 세제 및 세정제의 색 보호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호에 사용될 수 있는 특정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우레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 또는 특정 반응기를 함유하는 이들의 전구체 화합물이 사용된다.

Description

색보호 세제 또는 세정제 {COLOR-PROTECTING DETERGENTS OR CLEANING AGENTS}
본 발명은 이염방지 (dye transfer inhibiting) 활성 성분으로서 특정 반응기를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우레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 또는 이들의 합성에 사용될 수 있는 전구체 화합물의 직물 세척 및/또는 세정에서의 용도, 및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세제 또는 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세척 또는 세정 방법을 위해 필요 불가결한 계면활성제 및 강화제와 같은 성분 이외에, 세제 및 세정제는 통상적으로 용어 "세정 보조제" 하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 성분을 함유하고, 기포 조절제, 안티-그레이 화합물 (anti-grey compound), 표백제, 표백 활성화제 및 효소와 같은 상이한 군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조 물질에는 또한 염색된 직물 패브릭이 세정 후 변화된 색 인상을 제공하는 것을 방지해야 하는 물질이 포함된다. 세척된, 즉 세정한 직물의 색 인상의 이러한 변화는, 우선, 염료 성분이 세척 또는 세정 방법에 의해 직물로부터 제거된다는 사실 ("색바램"), 및 두 번째로 다른 색의 직물로부터 방출된 염료가 직물에 증착될 수 있다는 사실 ("변색") 을 근거로 할 수 있다. 변색 양상은 또한 이들이 유색 세탁물과 함께 세척되는 경우 염색되지 않은 세탁물에 역할을 할 수 있 다. 통상적으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계로 처리함으로써 직물로부터 오염물 제거의 이러한 원하지 않는 2차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세제는, 특히 소위 유색 직물 세척용 유색 세탁 세제로서 제공되는 경우, 염료가 직물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세척 욕조에 용해된 염료의 직물 상의 침전을 적어도 방지해야 하는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수의 중합체는 염색된 섬유로부터 염료를 증가된 범위까지 흡수하는 염료에 대한 이러한 높은 친화도를 가져서, 이들이 사용될 때 퇴색이 발생한다.
이제 놀랍게도, 특정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우레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 및 이들의 합성에 사용될 수 있는 반응성 시클릭 카르보네이트 및 우레아 유형의 전구체 화합물이 세제에 사용될 때 예상치 않게 높은 이염방지를 일으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직물에서 세척된 염료에 의해 백색 또는 다른 유색 직물의 얼룩을 방지하는 것이 특히 명백하다. 하기에 더욱 상세히 정의되는 화합물이 세척 시 직물 상에 흡수되어 직물로부터 염료의 방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또한 세척액에서 이미 염료 분자에 대해 방수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는 수용액, 특히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에서 함께 세척되는 경우 염색된 직물에서 염색되지 않은 직물 또는 상이한 색의 직물로의 직물 염료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하기 화학식 (I) 의 하나 이상의 구조 요소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우레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 또는 이의 산 부가 화합물 및/또는 염의 용도이다:
-Y-A-(C=O)-A- (I)
(식 중, 각 A 는 독립적으로 S, O 및 NR1 로부터 선택되고,
Y 는 탄소수 1000 이하의 2 가 내지 다가, 특히 4 가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치환 또는 비치환 탄화수소 라디칼 (또한 임의로 포함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단위체의 탄소 원자를 계수하지 않음) 로부터 선택되고, 이는 -O-, -(CO)-, -NH-, -NR2-, -(N+R2R3)- 및 규소수 2 내지 1000 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단위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고,
R1 은 수소, 또는 탄소수 40 이하의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이는 -O-, -(CO)-, -NH- 및 -NR2- 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고,
R2 는 탄소수 40 이하의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이는 -O-, -(CO)- 및 -NH- 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고,
R3 은 탄소수 100 이하의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 (이는 -O-, -(CO)- 및 -NH- 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음), 또는 2 가 라디칼 (이는 라디칼 Y 내에서 시클릭 구조를 형성함) 이거나,
라디칼 Y 에 인접한 라디칼 A 하나 또는 모두는 이들 사이의 라디칼 Y 와 함께 질소 함유 헤테로시클릭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고,
전체 화합물에서, 화학식 (I) 에 나타낸 라디칼 A 및/또는 Y 및/또는 R1 및/또는 R2 및/또는 R3 모두가 동일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고, 단, 전체 화합물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칼 Y 는 규소수 2 내지 1000 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단위체임).
화학식 (I) 의 화합물은 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클로로포름산 에스테르 및/또는 아미드 또는 포스겐과 구조 요소 Y 를 함유하는 티올, 알코올 또는 아민을 반응시켜 수득될 수 있다. 중합체 구조를 수득하기 위해, 이러한 구조 요소 Y 를 함유하는 개시 화합물은 상기 언급된 관능기 중 2 개 이상을 가진다. 단관능성이지만 구조 요소 Y 에 해당하는 화합물은 말단기로서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 중에, 하나 이상의 하기 화학식 (II) 또는 (III) 의 구조 요소를 함유하는 것이 존재한다:
-A-Y-A-(CO)-O-Z-(CHOH)-Z-O-(CO)- (II)
-A-Y-A-(CO)-O-(CHCH2OH)-Z-O-(CO)- (III)
(식 중, A 및 Y 는 상기 제공된 의미를 가지고,
Z 는 탄소수 1 내지 12 의 2 가,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이고 임의 치환된 탄화수소 라디칼로부터 선택됨). 이러한 구조 요소는 구조 요소 Y 를 함유하는 티올, 알코올 또는 아민을 이용한 시클릭 카르보네이트 (인접 디올의 탄산 에스테르) 의 개환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우레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 의 구조 요소를 수회 연속으로 함유하고, 여기서 수회 나타나는 상응하는 라디칼 A 및/또는 Y 및/또는 Z 및/또는 R1 및/또는 R2 및/또는 R3 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용어 "산 부가 화합물"은 염 유사 화합물을 나타내고, 이는 분자 내 염기성 기, 특히 임의로 존재하는 아미노기의 양성자첨가 반응 (protonation) 에 의해, 예를 들어 유기 또는 무기 산과의 반응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산 부가 화합물은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거나 임의로 상기 정의된 화합물의 사용 조건 하에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 폴리우레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이 -(N+R2R3)- 기를 함유하는 경우, 종래의 카운터 음이온, 예를 들어 할라이드, 히드록시드, 설페이트, 카르보네이트는 전하 중성화를 보장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우레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에 존재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구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SiR4 2O)p-(SiR4 2)- 구조이고, 식 중 R4 는 탄소수 20 이하의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p = 1 내지 999 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 폴리우레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평균 2 이상, 특히 3 이상의 상기 언급된 폴리오르가노실록산 구조 요소를 함유한다. R4 는 바람직하게는 선형 또는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또는 방향족 C1 내지 C20, 특히 C1 내지 C9 탄화수소 라디칼,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페닐이고, p 는 특히 1 내지 199,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9 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모든 라디칼 R4 는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우레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은 선형이다, 즉 화학식 (I) 의 구조 요소 중 모든 Y 단위체는 2 가 라디칼이다. 그러나, 분지형 화합물은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라디칼 Y 는 3 가 또는 다가, 바람직하게는 4 가이어서, 선형 반복 구조를 갖는 분지형 구조는 화학식 (I) 의 구조 요소로부터 형성된다.
또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 의 구조 요소에 따른 하나 이상의 Y 단위체는 -NR2- 기를 가지고, 화학식 (I) 의 구조 요소에 따른 하나 이상의 Y 단위체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우레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에 -(N+R2R3)- 기를 가진다. R2 및 R3 은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이다.
또다른 구현예는 바람직하게는 올리고에톡시기 및/또는 올리고프로폭시기의 형태로 화학식 (I) 의 구조 요소에 따른 단위체 Y, R1, R2 및/또는 R3 중 하나 이상에서의 -O- 기의 다중 규칙 발생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이들의 올리고머화도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0 의 범위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올리고머화도가 10 내지 150000 의 범위인 올리고에틸렌이민기는 화학식 (I) 의 구조 요소에 따른 단위체 Y, R1, R2 및/또는 R3 중 하나 이상에 존재한다.
반응성 시클릭 카르보네이트 및 우레아, 이들의 합성 방법 및 중합체 기질과의 반응은 국제 특허 출원 WO 2005/058863 에 기재되어 있다. 이제 놀랍게도, 상기 지시된 유형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로부터 이용할 수 있는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이 표면에 대한 향료의 부착을 향상시키고, 또한 반응성 시클릭 카르보네이트 및 우레아 그자체 및/또는 중합체 기질과 반응하여 이들로부터 수득가능한 중합체가 원하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는 하기 화학식 (IV) 또는 (V) 의 화합물 및/또는 히드록시기, 1 차 및 2 차 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중합체 기질과 화학식 (IV) 또는 (V) 의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한 중합체의 용도이다:
Figure 112009060594658-PCT00001
(식 중,
R 은 C1-C12 알킬렌을 의미하고,
k 는 0 초과의 수를 의미하고,
X 는 CO-CH=CH2, CO-C(CH3)=CH2, CO-O-아릴, C2-C6-알킬렌-SO2-CH=CH2 또는 CO-NH-R1 을 의미하고; R1 은 C1-C30-알킬, C1-C30-할로알킬, C1-C30-히드록시알킬, C1-C6-알콕시-C1-C30-알킬, C1-C6-알킬카르보닐옥시-C1-C30-알킬, 아미노-C1-C30-알킬, 모노- 또는 디(C1-C6-알킬)아미노-C1-C30-알킬, 암모니오-C1-C30-알킬, 폴리옥시알킬렌-C1-C30-알킬, 폴리실록사닐-C1-C30-알킬, (메트)-아크릴로일옥시-C1-C30-알킬, 설포노-C1-C30-알킬, 포스포노-C1-C30-알킬, 디(C1-C6-알킬)포스포노-C1-C30-알킬, 포스포네이토-C1-C30-알킬, 디(C1-C6-알킬)-포스포네이토-C1-C30-알킬 또는 사카라이드 라디칼을 의미하고, 화학식 I 의 X 는 k 가 1 을 의미하는 경우에만 상기 의미를 가지거나,
또는
k 가 1 초과의 수를 의미하는 경우,
X 는
(i) 괄호 안의 화학식 일부가 (CO)NH 기를 통해 결합되는 폴리아민의 라디칼, 또는
(ii) 괄호 안의 화학식 일부가 (CO), NH-C2-C6-알킬렌-O(CO) 또는 (CO)-O-C2-C6-알킬렌-O(CO) 기를 통해 결합되는 중합체 구조, 또는
(iii) 괄호 안의 화학식 일부가 (CO)-폴리실록사닐-C1-C30-알킬기를 통해 결합되는 중합체 구조를 의미함).
바로 앞서 언급된 본 발명의 양상에 관련하여 적합한 중합체 기질에는 특히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알킬렌아민,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비닐아민, 폴리알릴아민, 폴리에틸렌 글리콜, 키토산,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폴리아미노스티렌, 말단 위치에 또는 측면기로서 아미노알킬기로 치환된 폴리실록산, 예컨대 폴리디메틸실록산, 펩티드, 폴리펩티드 및 단백질뿐 아니라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기질은 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0 의 범위, 특히 15,000 내지 50,000 의 범위인 폴리에틸렌이민, 화학식 NH2-[CH2]m-(Si(CH3)2O)n-Si(CH3)2-[CH2]o-R' 의 화합물 (식 중, m =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이고, n =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이고, o =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이고, R' = H, C1 -22 알킬, 아미노기 또는 암모늄기임), 및/또는 화학식 NH2-[CH(CH3)-CH2O]l-[CH2-CH2O]m-[CH2-CH(CH3)O]n-R" 의 화합물 (식 중, l, m 및 n 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50 의 수를 나타내고, 단, l + m + n 합은 5 내지 100, 특히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이고, R" = H, C1 -22 알킬, C1 -22 아미노알킬 또는 C1 -22 암모늄 알킬기임)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중합체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중합체는 중합체 기질과 k = 1 인 화학식 (IV) 또는 화학식 (V) 의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하다. 또한, 중합체 기질과 히드록시기, 1 차 및 2 차 아미노기의 양에 대해 동일한 몰량의, k = 1 인 화학식 (IV) 또는 화학식 (V) 의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한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IV) 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로부터 선택된다:
4-페닐옥시카르보닐옥시메틸-2-옥소-1,3-디옥솔란,
4-(4-페닐옥시카르보닐옥시)부틸-2-옥소-1,3-디옥솔란,
2-옥소-1,3-디옥솔란-4-일-메틸 아크릴레이트,
2-옥소-1,3-디옥솔란-4-일-메틸 메타크릴레이트,
4-(2-옥소-1,3-디옥솔란-4-일)부틸 아크릴레이트,
4-(2-옥소-1,3-디옥솔란-4-일)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4-(비닐설포닐에틸옥시)부틸-2-옥소-1,3-디옥솔란.
또한, 본원에 기재되어 있는 활성 성분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우레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 반응성 시클릭 카르보네이트 또는 반응성 시클릭 우레아 및/또는 중합체 기질과 반응하여 반응성 시클릭 카르보네이트 또는 반응성 시클릭 우레아로부터 수득가능한 중합체) 이 예를 들어 섬유 유연제의 성분으로서 세탁 후처리 단계에서 직물과 접촉하고, 상이한 색의 세탁물의 존재 하에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제제 또는 상기 활성 성분이 없는 제제로 수행될 수 있는 다음 세척 작업에서 이와 같이 처리된 직물이 세척될 때, 원하는 이염방지 효과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는 상기 정의된 활성 성분과 혼화성인 종래의 성분에 더해 상기 정의된 활성 성분의 형태로 이염방지제를 함유하는 색-보호 세제, 세정제 또는 세탁 후처리제이다.
본 발명의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1 중량% 내지 1 중량%의 상기 언급된 제제를 함유한다. 상기 언급된 종류의 화합물 중 하나에 해당하는 화합물의 공동 사용이 또한 가능하다.
언급된 활성 성분은, 얼룩 방지 효과가 특히 백색 직물의 세척 시 가장 뚜렷한 경우에도, 상기 언급된 두 양상을 갖는 색 항상성에 기여한다, 즉 그들은 변색 및 색바램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는 직물이 특히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에서 세탁될 때 직물의 색 인상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상응하는 활성 성분의 용도이다. 색 인상의 변화는 오염된 직물과 깨끗한 직물 간의 차이로서 이해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세척 작업 전후의 깨끗한 직물 간의 색 차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는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에서 유색 직물을 세척하는 방법이고, 상기 방법은 계면활성제 및 상기 정의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수용액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백색 또는 염색되지 않은 직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염색된 직물과 함께 백색 또는 염색되지 않은 직물을 세척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기 이염방지 활성 성분에 더하여, 본 발명의 제제는, 원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공지된 이염방지제를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1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이염방지제는 비닐피롤리돈, 비닐이미다졸, 비닐피리딘 N-옥시드의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이다. 분자량이 15,000 내지 50,000 인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분자량이 1,000,000 초과, 특히 1,500,000 내지 4,000,000 인 폴리비닐피롤리돈 모두, N-비닐이미다졸/N-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폴리비닐옥사졸리돈, 비닐 단량체와 카르복실산 아미드 기재 공중합체, 피롤리돈기 함유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 그래프트된 폴리아미도아민 및 폴리에틸렌이민, 2 차 아민으로부터의 아미드기를 갖는 중합체, 폴리아민 N-옥시드 중합체, 폴리비닐 알코올 및 아크릴아미도알케닐설폰산 기재 공중합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페록시다아제와 과산화수소 및/또는 물에서 과산화수소를 공급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효소계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페록시다아제를 위한 매개 화합물, 예를 들어 아세토시링온, 페놀 유도체 또는 페노티아진 또는 페녹사진의 첨가가 이러한 경우 바람직하고, 상기 언급된 중합체 이염방지 활성 성분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제에 사용하기 위해 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60,000 의 범위, 특히 25,000 내지 50,000 의 범위이다. 공중합체 중에서, 평균 분자량이 5000 내지 50,000 의 범위, 특히 10,000 내지 20,000 의 범위이고 몰비가 5:1 내지 1:1 인 비닐피롤리돈과 비닐이미다졸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후-압축 미립자 형태의 특히 분말화된 고체로서 존재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세제는 균질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원칙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활성 성분에 더하여 이러한 제제에서 종래 사용되는 임의의 공지된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특히 강화제 물질, 계면활성제, 유기 또는 무기 과산소 화합물 기재 표백제, 표백 활성화제, 수혼화성 유기 용매, 효소, 이온봉쇄제, 전해질, pH 조절제 및 기타 보조 물질, 예컨대 형광 발광제, 안티-그레이 화합물, 기포 조절제 및 염료 및 향료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특히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그들의 혼합물, 및 양이온성, 쯔비터이온성 (zwitterionic)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특히 알킬 글리코시드 및 알킬 글리코시드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코올의 에톡시화 생성물 및/또는 프로폭시화 생성물이 포함되고, 각각은 알킬 부분에 탄소수가 12 내지 18 이고, 알킬 에테르기가 3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 이다. 또한, N-알킬아민, 인접 디올, 지방산 에스테르 및 지방산 아미드의 상응하는 에톡시화 또는 프로폭시화 생성물 (이는 알킬 부분에 대해 상기 언급된 장쇄 알코올 유도체에 해당함), 및 알킬 라디칼에 탄소수가 5 내지 12 인 알킬 페놀의 이러한 생성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알콕시화, 유리하게는 에톡시화된, 특히 1 차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8 내지 18 이고 알코올 1 몰 당 평균 1 내지 12 몰의 에틸렌 옥시드 (EO) 를 갖는 1 차 알코올이고, 상기 알코올 라디칼은 선형일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는 위치 2 에 메틸 분지를 갖고/갖거나 혼합물에 선형 및 메틸-분지형 라디칼, 예컨대 통상적으로 옥소 알코올 라디칼에서 발견되는 것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예를 들어 코코넛, 야자나무, 탤로 지방 알코올 또는 올레일 알코올로부터의 탄소수가 12 내지 18 이고 알코올 1 몰 당 평균 2 내지 8 EO 를 갖는 고유 알코올의 선형 라디칼을 갖는 알코올 에톡실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에톡시화 알코올에는, 예를 들어, 3 EO 또는 4 EO 를 갖는 C12-C14 알코올, 7 EO 를 갖는 C9-C11 알코올, 3 EO, 5 EO, 7 EO 또는 8 EO 를 갖는 C13-C15 알코올, 3 EO, 5 EO 또는 7 EO 를 갖는 C12-C18 알코올 및 그들의 혼합물, 예를 들어 3 EO 를 갖는 C12-C14 알코올과 7 EO 를 갖는 C12-C18 알코올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명시된 에톡시화도는 통계 평균이고, 이는 특정 생성물에 대해 정수 또는 분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알코올 에톡실레이트는 좁은 동족체 분포를 가진다 (좁은 범위 에톡실레이트, NRE). 이러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더하여, 12 초과의 EO 를 갖는 지방 알코올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의 예에는 14 EO, 16 EO, 20 EO, 25 EO, 30 EO 또는 40 EO 를 갖는 (탤로) 지방 알코올이 포함된다. 예시적인 저-거품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기계 세척 방법에 사용되는 제제에 특히 사용된다. 이에는, 예를 들어, 분자에 8 몰 이하의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 단위체를 갖는 C12-C18 알킬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에테르가 포함된다. 그러나, 다른 공지된 저-거품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분자에 8 몰 이하의 에틸렌 옥시드 및 부틸렌 옥시드 단위체를 각각 갖는 C12-C18 알킬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부틸렌 글리콜 에테르 및 말단기-캡핑된 알킬폴리알킬렌 글리콜 혼합 에테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알콕시화 알코올, 예컨대 유럽 특허 출원 EP 0 300 305 에 기재된 것, 소위 히드록시 혼합 에테르가 또한 특히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또한 화학식 RO(G)x (식 중, R 은 탄소수 8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 내지 18 의, 특히 위치 2 에서 메틸 분지를 갖는 1 차 선형 또는 메틸-분지형 지방족 라디칼을 나타내고, G 는 탄소수 5 또는 6 의 글리코스 단위체, 바람직하게는 글리코스를 의미함) 의 알킬 글리코시드가 포함된다. 모노글리코시드와 올리고글리코시드의 분포를 나타내는 올리고머화도 x 는 또한 분석에 의해 결정되는 양으로서 분수값을 나타낼 수 있는 1 내지 10 의 임의의 수일 수 있고; x 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 이다. 또한 하기 화학식 (VI) 의 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 (식 중, R1CO 는 탄소수 6 내지 22 의 지방족 라디칼을 의미하고, R2 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4 의 알킬 또는 히드록시알킬 라디칼을 의미하고, [Z] 는 3 내지 10 개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탄소수 3 내지 10 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폴리히드록시알킬 라디칼을 의미함) 가 적합하다:
[화학식 VI]
Figure 112009060594658-PCT00002
.
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는 알려진 물질이고, 이는 통상적으로 환원당과 암모니아, 알킬아민 또는 알칸올아민의 환원성 아민화, 이어서 지방산,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지방산 클로라이드와의 아실화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의 군에는 또한 하기 화학식 (VII) 의 화합물이 포함된다:
[화학식 VII]
Figure 112009060594658-PCT00003
(식 중, R3 은 탄소수 7 내지 12 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케닐 라디칼을 의미하고, R4 는 탄소수 2 내지 8 의 선형, 분지형 또는 시클릭 알킬렌 라디칼 또는 아릴렌 라디칼을 의미하고, R5 는 탄소수 1 내지 8 의 선형, 분지형 또는 시클릭 알킬 라디칼 또는 아릴 라디칼 또는 옥시알킬 라디칼을 의미하고, 여기서 C1-4 알킬 또는 페닐 라디칼이 바람직하며, [Z] 는 알킬 사슬이 2 이상의 히드록실기로 치환되는 선형 폴리히드록시 알킬 라디칼, 또는 상기 라디칼의 알콕시화, 바람직하게는 에톡시화 또는 프로폭시화된 유도체를 의미함). [Z] 는 바람직하게는 당, 예를 들어 글루코스, 프럭토스, 말토스, 락토스, 갈락토스, 만노스 또는 자일로스의 환원성 아민화에 의해 수득된다. 이어서, N-알콕시- 또는 N-아릴옥시-치환 화합물은, 촉매로서 알콕시드의 존재 하에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와 이들을 반응시켜 원하는 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로 전환될 수 있다. 단독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또는 다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특히 알콕시화된 지방 알코올 및/또는 알킬 글리코시드와 함께 조합되어 사용하는데 바람직한 또다른 종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알콕시화, 바람직하게는 에톡시화 또는 에톡시화 및 프로폭시화된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알킬 사슬에 탄소수가 1 내지 4 인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특히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아민 옥시드 유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N-코코알킬-N,N-디메틸아민 옥시드 및 N-탤로 알킬-N,N-디히드록시에틸아민 옥시드 및 지방산 알칸올아미드가 또한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에톡시화 지방 알코올의 양 이하, 특히 에톡시화 지방 알코올 양의 반 이하이다. 소위 제미니 계면활성제는 또한 추가적인 계면활성제로서 고려될 수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1 분자 당 2 개의 친수성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기는 통상적으로 소위 공간자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상기 공간자는 통상적으로 친수성기가 충분한 거리를 갖기에 충분히 길어야 하는 탄소 사슬이고, 따라서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매우 낮은 임계 미셀 농도 및 물의 표면 장력을 매우 감소시킬 수 있는 능력을 특징으로 한다. 예외적인 경우에, 용어 제미니 계면활성제는 따라서 이러한 "이합체성" 계면활성제뿐만 아니라 "삼합체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적합한 제미니 계면활성제에는, 예를 들어, 설페이트화 히드록시 혼합 에테르 또는 이합체성 알코올 비스-설페이트 및 에테르 설페이트 및 삼합체성 알코올 트리스-설페이트 및 에테르 설페이트가 포함된다. 말단기 캡핑된 이합체성 및 삼합체성 혼합 에테르는 특히 그들의 이관능성 및/또는 다관능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말단기 캡핑된 계면활성제는 습윤 특성이 양호하고, 저-거품이며, 따라서 특히 기계 세척 및 세정 방법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그러나, 제미니 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 또는 폴리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1 내지 6 몰의 에틸렌 옥시드로 에톡시화된 선형 또는 분지형 C7-C21 알코올의 황산 모노에스테르, 예컨대 평균 3.5 몰의 에틸렌 옥시드 (EO) 를 갖는 2-메틸-분지형 C9-C11 알코올 또는 1 내지 4 EO 를 갖는 C12-C18 지방 알코올이 또한 적합하다. 바람직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또한 설포숙시네이트 또는 설포숙신산 에스테르로도 알려져 있는 알킬 설포숙신산의 염, 및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지방 알코올, 특히 에톡시화 지방 알코올과 설포숙신산의 모노에스테르 및/또는 디에스테르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설포숙시네이트는 C8 내지 C18 지방 알코올 라디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설포숙시네이트는 에톡시화 지방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지방 알코올 라디칼을 함유하고, 이는 이들 자체로 고려되는 경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지방 알코올 라디칼이 동족체 분포 범위가 좁은 에톡시화 지방 알코올로부터 유도되는 설포숙시네이트가 또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알킬(또는 알케닐) 사슬에서 탄소수가 8 내지 18 인 알킬(또는 알케닐)숙신산 또는 이의 염을 사용할 수 있다. 고려될 수 있는 추가적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아미노산의 지방산 유도체, 예를 들어 N-메틸타우린 (타우라이드) 및/또는 N-메틸글리신 (사코시드) 이 포함된다. 사코시드 및/또는 사코시네이트, 특히 고급 및 임의로 일- 또는 다포화 지방산의 사코시네이트, 예컨대 올레일 사코시네이트가 본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비누 (soap) 는 추가적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고려될 수 있다. 포화 지방산 비누, 예컨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수소화 에루쿠산 및 베헨산의 염, 및 특히 천연 지방산, 예컨대 코코넛, 팜 커널 또는 탤로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비누 혼합물이 특히 적합하다. 알려져 있는 알케닐숙신산 염은 또한 이러한 비누와 함께 또는 비누에 대한 치환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비누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들의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 염의 형태로 그리고 모노-, 디- 또는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유기 염기의 가용성 염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의 형태, 특히 나트륨 염의 형태이다.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세제에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50 중량%, 특히 8 중량% 내지 30 중량%의 정량적인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수용성 및/또는 수불용성 유기 및/또는 무기 강화제를 함유한다. 수용성 유기 강화제 물질에는 폴리카르복실산, 특히 시트르산 및 당산, 단량체성 및 중합체성 아미노폴리카르복실산, 특히 메틸글리신 디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및 폴리아스파르트산, 폴리포스폰산, 특히 아미노트리스(메틸렌포스폰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키스(메틸렌-포스폰산) 및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중합체성 히드록시 화합물, 예컨대 덱스트린 및 중합체성 폴리카르복실산, 특히 다당류 및/또는 덱스트린의 산화에 의해 수득할 수 있는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성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및 이들의 공중합체가 포함되고, 이는 또한 그들로 중합된 카르복실산 관능기 없이 소량의 중합체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동종중합체의 상대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3000 내지 200,000 인 반면, 공중합체의 상대 분자량은 2000 내지 200,000,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120,000 이고, 각각은 유리산을 기준으로 한다. 특히 바람직한 아크릴산-말레산 공중합체는 상대 분자량이 30,000 내지 100,000 이다. 시판 제품에는, 예를 들어, BASF 사제 Sokalan® CP 5, CP 10 및 PA 30 이 포함된다. 이러한 종류의 적합한 화합물에는, 덜 바람직할지라도,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비닐 에테르, 예컨대 비닐 메틸 에테르, 비닐 에스테르, 에틸렌, 프로필렌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가 포함되고, 여기서 산은 50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수용성 유기 강화제 물질은 또한 단량체로서 2 개의 불포화 산 및/또는 이들의 염 및 제 3 단량체로서 비닐 알코올 및/또는 에스테르화 비닐 알코올 또는 카르보히드레이트를 함유하는 삼원공중합체일 수 있다. 제 1 산 단량체 및/또는 이의 염은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C3-C8 카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C3-C4 모노카르복실산, 특히 (메트)아크릴산으로부터 유도된다. 제 2 산성 단량체 및/또는 이의 염은 C4-C8 디카르복실산의 유도체 (말레산이 특히 바람직함), 및/또는 위치 2 에서 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로 치환되는 알릴설폰산의 유도체일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상대 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0 이다. 다른 바람직한 공중합체에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롤레인 및 아크릴산/아크릴산 염 및/또는 비닐 아세테이트를 단량체로서 갖는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유기 강화제 물질은, 특히 액체 제제를 제조하기 위해, 수용액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수용액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언급된 모든 산은 통상적으로 이들의 수용성 염의 형태, 특히 이들의 알칼리 염의 형태로 사용된다.
이러한 유기 강화제 물질은, 원하는 경우, 존재한다면 40 중량% 이하, 특히 2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중량%의 양일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상한에 가까운 양은 바람직하게는 페이스트 또는 액체 제제, 특히 수성의 본 발명의 제제에서 사용된다.
고려될 수 있는 수용성 무기 강화제 물질에는 특히 알칼리성, 중성 또는 산성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알칼리 실리케이트, 알칼리 카르보네이트 및 알칼리 포스페이트가 포함된다. 예에는 인산 삼나트륨, 이인산 사나트륨, 이인산 이수소 이나트륨, 삼인산 오나트륨, 소위 육메타인산 나트륨, 올리고머화도가 5 내지 1000, 특히 5 내지 50 인 올리고머성 인산 삼나트륨, 및 상응하는 칼륨 염 및/또는 나트륨과 칼륨 염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특히, 특히 1 중량% 내지 5 중량%의 액체 제제 중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하의 양의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알칼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수불용성 및 수분산성 무기 강화제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세제 품질의 결정질 나트륨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특히 제올라이트 A, P 및 임의로 X 가 바람직하고,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예를 들어 제올라이트 A 및 X 의 공결정화물의 형태 (Vegobond® AX, Condea Augusta S.p.A. 의 시판 제품) 이다. 상기 언급된 상한에 가까운 양은 바람직하게는 고체 미립자 제제에서 사용된다. 적합한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특히 입자 크기가 30 ㎛ 초과인 입자를 갖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크기가 10 ㎛ 미만인 입자로 80 중량% 이상 이루어진다. 독일 특허 DE 24 12 837 의 명세서에 따라 측정될 수 있는 이들의 칼슘 결합 능력은 통상적으로 1 g 당 100 내지 200 ㎎ CaO 의 범위이다.
상기 언급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에 적합한 치환물 및/또는 부분 치환물은 단독으로 또는 비결정질 실리케이트와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는 결정질 알칼리 실리케이트이다. 본 발명의 제제에서 강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칼리 실리케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옥시드 대 SiO2 의 몰비가 0.95 미만, 특히 1:1.1 내지 1:12 이고, 비결정질 또는 결정질일 수 있다. 바람직한 알칼리 실리케이트는 나트륨 실리케이트, 특히 Na2O:SiO2 의 몰비가 1:2 내지 1:2.8 인 비결정질 나트륨 실리케이트이다. 단독으로 또는 비결정질 실리케이트와 혼합물로 존재할 수 있는 사용된 결정질 실리케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Na2SixO2x +1ㆍyH2O (식 중, x 는 소위 계수이고, 1.9 내지 22, 특히 1.9 내지 4 의 값을 가지고, y 는 0 내지 33 의 수이고, x 에 대한 바람직한 값은 2, 3 또는 4 임) 의 결정질 파일로실리케이트 (phyllosilicate) 이다. 바람직한 결정질 파일로실리케이트는 상기 언급된 화학식 중 x 가 2 또는 3 의 값을 나타내는 것이다. 특히 β- 및 δ-나트륨 디실리케이트 (Na2Si2O5ㆍyH2O) 둘다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비결정질 알칼리 실리케이트로부터 합성되고 상기 주어진 화학식 (x 는 1.9 내지 2.1 의 수를 나타냄) 의 무수 결정질 알칼리 실리케이트가 본 발명의 제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의 또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모래 및 소다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2 내지 3 의 계수를 갖는 결정질 나트륨 파일로실리케이트가 사용된다. 1.9 내지 3.5 범위의 계수를 갖는 결정질 나트륨 실리케이트는 본 발명의 제제의 또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사용된다. 상기 언급된 화학식 (I) 의 결정질 시트 실리케이트는 상표명 Na-SKS, 예컨대 Na-SKS-1 (Na2Si22O45ㆍxH2O, 케냐이트), Na-SKS-2 (Na2Si14O29ㆍxH2O, 마가다이트), Na-SKS-3 (Na2Si8O17ㆍxH2O) 또는 Na-SKS-4 (Na2Si4O9ㆍxH2O, 마카타이트) 로 Clariant GmbH 사로부터 공급된다. 이 중에서, Na-SKS-5 (α-Na2Si2O5), Na-SKS-7 (β-Na2Si2O5, 나트로실라이트), Na-SKS-9 (NaHSi2O5ㆍ3H2O), Na-SKS-10 (NaHSi2O5ㆍ3H2O), 카네마이트), Na-SKS-11 (t-Na2Si2O5) 및 Na-SKS-13 (NaHSi2O5), 그러나 특히 Na-SKS-6 (δ-Na2Si2O5) 이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제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결정질 파일로실리케이트 및 시트레이트, 결정질 파일로실리케이트 및 상기 언급된 (공)중합체성 폴리카르복실산 또는 알칼리 실리케이트 및 알칼리 카르보네이트로부터의 (공)중합체성 폴리카르복실산의 과립 화합물, 예를 들어 상표명 Nabion® 15 로 시판되는 것이 사용된다.
강화제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제에서 75 중량% 이하, 특히 5 중량%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히 유기 과산 및/또는 유기산의 과산 염, 예컨대 프탈로이미도퍼카프로산, 퍼벤조산 또는 디퍼도데칸이산의 염, 과산화수소, 및 퍼보레이트, 퍼카르보네이트, 퍼실리케이트 및/또는 퍼설페이트를 포함하는, 세척 조건 하에서 과산화수소를 방출하는 무기 염뿐만 아니라 카로에이트는 본 발명의 제제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과수소 화합물로 고려될 수 있다. 고체 과수소 화합물이 사용될 경우, 이들은 원칙적으로는 또한 공지된 방식으로 쉬딩 (sheathe) 될 수 있는 분말 또는 과립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가 과수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하, 특히 5 중량% 내지 30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한다. 소량의 공지된 표백제 안정화제, 예컨대 포스포네이트, 보레이트 및/또는 메타보레이트 및 메타실리케이트뿐만 아니라 황산 마그네슘과 같은 마그네슘 염이 적당할 수 있다.
사용되는 표백 활성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0, 특히 탄소수 2 내지 4 의 지방족 퍼옥소카르복실산 및/또는 과가수분해 조건 하에서 임의 치환된 퍼벤조산을 형성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탄소수의 O- 및/또는 N-아실기 및/또는 임의 치환된 벤조일기를 갖는 적합한 물질이 적합하다. 바람직한 예는 폴리아실화 알킬렌디아민, 특히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 (TAED), 아실화 트리아진 유도체, 특히 1,5-디아세틸-2,4-디옥소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DADHT), 아실화 글리콜우릴, 특히 테트라아세틸글리콜우릴 (TAGU), N-아실이미드, 특히 N-노나노일숙신이미드 (NOSI), 아실화 페놀 설포네이트, 특히 n-노나노일- 또는 이소노나노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 (n- 및/또는 이소-NOBS), 카르복실산 무수물, 특히 프탈산 무수물, 아실화 다가 알코올, 특히 트리아세틴, 에틸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2,5-디아세톡시-2,5-디히드로푸란 및 에놀 에스테르뿐만 아니라 아세틸화 소르비톨 및 만니톨 및/또는 기재되어 있는 이들의 혼합물 (SORMAN), 아실화 당 유도체, 특히 펜타아세틸글루코스 (PAG), 펜타아세틸프럭토스, 테트라아세틸자일로스 및 옥타아세틸락토스뿐만 아니라 아세틸화, 임의로 N-알킬화 글루카민 및 글루코노락톤 및/또는 N-아실화 락탐, 예컨대 N-벤조일카프로락탐이다. 친수성 치환 아실아세탈 및 아실락탐이 또한 본원에서 사용하는데 바람직하다. 종래의 표백 활성화제의 조합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표백 활성화제는 총 제제에 대해 통상적인 양,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0 중량%, 특히 1 중량%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특히 과산화수소를 공급하는 상기 언급된 표백제의 존재 하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퍼카르복실산을 표백제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완전히 생략된다.
종래의 표백 활성화제에 더하여 또는 대신에, 설폰-이민 및/또는 표백-효력 증가 전이 금속 염 및/또는 전이 금속 킬레이트는 또한 소위 표백 촉매로 존재할 수 있다.
제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소에는 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 리파아제, 큐티나아제, 풀룰라나아제, 헤미셀룰라아제, 셀룰라아제, 옥시다아제, 라카아제 및 페록시다아제 및 이들의 혼합물의 종류로부터의 것이 포함된다. 효모 또는 박테리아, 예컨대 바실러스 섭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 (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렌터스 (Bacillus lentus), 스트렙토마이시스 그리슈스 (Streptomyces griseus), 후미콜라 라누기노사 (Humicola lanuginosa), 후미콜라 인솔렌스 (Humicola insolens), 슈도모나스 슈도알칼리진스 (Pseudomonas pseudoalcaligenes), 슈도모나스 세파시아 (Pseudomonas cepacia) 또는 코프리누스 시네류스 (Coprinus cinereus) 로부터 수득된 효소 활성 성분이 특히 적합하다. 효소는 담체 물질에 흡착되고/되거나 쉬딩 물질에 끼워 넣어서 조기의 비활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세제 또는 세정에서 5 중량% 이하, 특히 0.2 중량% 내지 4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제가 프로테아제를 함유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약 100 PU/g 내지 약 10,000 PU/g, 특히 300 PU/g 내지 8000 PU/g 범위의 단백질 가수분해 활성을 가진다. 몇몇 효소가 본 발명의 제제에서 사용될 경우, 이는 2 개 이상의 개별 효소 또는 공지된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제조된 효소 또는 결합하여 존재하는 2 개 이상의 효소를 과립으로 혼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물에 더해, 본 발명의 제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기 용매에는, 특히 액체 또는 페이스트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에, 탄소수 1 내지 4 의 알코올, 특히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tert-부탄올, 탄소수 2 내지 4 의 디올, 특히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 및 이러한 종류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에테르가 포함된다. 이러한 수혼화성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제에서 30 중량% 이하, 특히 6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자동적으로 달성되지 않는 원하는 pH 를 조절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제는 계와 융화성이고 환경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특히 시트르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말산, 락트산, 글리콜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및/또는 아디프산, 및 무기산, 특히 황산 또는 염기, 특히 암모늄 히드록시드 또는 알칼리 히드록시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pH 조절제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제에서 20 중량% 이하, 특히 1.2 중량% 내지 17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안티-그레이 화합물은 직물 섬유로부터 방출되는 오염물을 세척 용액에 현탁된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통상적으로 유기 특성의 수용성 콜로이드는 이러한 목적에 적합하고, 예를 들어 전분, 글루, 젤라틴, 전분 또는 셀룰로오스의 에테르 카르복실산 또는 에테르 설폰산의 염, 또는 셀룰로오스 또는 전분의 산성 황산 에스테르의 염이다. 산기 함유 수용성 폴리아미드는 또한 이러한 목적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열거된 것 이외의 전분 유도체, 예컨대 알데히드 전분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제에 대해 0.1 내지 5 중량%의 셀룰로오스 에테르, 예컨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염),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및 혼합 에테르, 예컨대 메틸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메틸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물 세제는, 예를 들어, 디아미노스틸벤디설폰산의 유도체 및/또는 이들의 알칼리 금속 염을 형광 발광제로서 함유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유색 패브릭용 세제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형광 발광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4,4'-비스(2-아닐리노-4-모르폴리노-1,3,5-트리아지닐-6-아미노)스틸벤-2,2'-디설폰산의 염 또는 디에탄올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아닐리노기 또는 2-메톡시에틸아미노기를 모르폴리노기 대신에 함유하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또한 적합하다. 더욱이, 치환 디페닐스티릴 유형의 발광제, 예를 들어 4,4'-비스(2-설포스티릴)디페닐, 4,4'-비스(4-클로로-3-설포스티릴)디페닐 또는 4-(4-클로로스티릴)-4'-(2-설포스티릴)디페닐의 알칼리 염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형광 발광제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기계 세척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제에 종래의 소포제를 첨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적합한 소포제에는, 예를 들어, 다량의 C18-C24 지방산을 함유하는 천연 또는 합성 유래의 비누가 포함된다. 적합한 비계면활성제 소포제에는, 예를 들어,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마이크로파인 (microfine) 과의 혼합물, 임의로 실란화 규소산 및 파라핀, 왁스, 미세결정질 왁스 및 실란화 규소산 또는 비스-지방산 알킬렌-디아미드와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다양한 소포제의 혼합물을 또한 사용하여 예를 들어 실리콘, 파라핀 또는 왁스의 것을 촉진시킬 수 있다.
소포제, 특히 실리콘 및/또는 파라핀 함유 소포제는 바람직하게는 과립성, 수용성 및/또는 수분산성 담체 물질에 결합된다. 파라핀과 비스테아릴-에틸렌디아미드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체 제제의 합성은 어떠한 문제점을 내포하지 않고,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분사 건조 또는 과립화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여기서 효소 및 가능하게는 다른 열민감성 성분, 예컨대 표백제는 개별적으로 나중에 임의 첨가된다. 벌크 밀도가 높은, 특히 650 g/L 내지 950 g/L 범위의 본 발명의 제제를 합성하기 위해서, 압출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단층 또는 하나 이상의 상, 하나 이상의 색, 특히 1 층 또는 다층, 특히 2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본 발명의 제제를 타블릿 형태로 제조하기 위해서, 수행 절차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성분을 함께 혼합기에서, 임의로 각각 1 층으로 혼합한 후 종래의 타블릿 가압기, 예를 들어 편심 가압기 또는 회전 가압기를 사용하고 약 50 내지 100 kN,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kN 범위의 가압력을 사용하여 혼합물을 가압하는 것이다. 특히 다층 타블릿을 사용하여 1 이상의 층을 예비 가압하는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kN, 특히 10 내지 15 kN 의 가압력에서 수행되어, 내파열성 타블렛을 수득하고, 이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 조건 하에서 충분히 신속하게 용해되고, 통상적으로 100 내지 200 N, 바람직하게는 150 N 초과의 휨 강도 및 파괴 강도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타블릿은 바람직하게는 중량이 10 g 내지 50 g, 특히 15 g 내지 40 g 이다. 타블릿은 임의의 형상, 즉,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지만, 중간 형상도 가능하다. 모퉁이 및 가장자리는 유리하게는 원형이다. 원형 타블릿은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30 ㎜ 내지 40 ㎜ 이다. 바람직하게는 식기세척기에, 예를 들어, 계량 장치를 통해 도입되는 다각형 또는 입방형 타블릿의 크기는 상기 계량 장치의 형상 및 부피에 따른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구현예는 기저 면적이 (20 내지 30 ㎜) × (34 내지 40 ㎜) 이고, 특히 기저 면적이 26 × 36 ㎜ 또는 24 × 38 ㎜ 이다.
종래의 용매를 함유하는 용액의 형태인 액체 및/또는 페이스트성 본 발명의 제제는 통상적으로 벌크 또는 용액으로서 자동 혼합기에 첨가될 수 있는 성분의 간단한 혼합으로 제조된다.
실시예 1: 이염방지
본 발명의 세제 또는 세정제 E1 및 비교예 V1 의 것의 조성을 하기 표에 제시한다:
[표 1]
Figure 112009060594658-PCT00004
* 셀룰라아제, 아밀라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혼합물
모든 세제 또는 세정제 조성물은 안정하였고, 침전이 일어나지 않았다.
개별 세제 또는 세정제의 이염방지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ISO 105-A04 에 근거한 염색 스케일 평가 (staining scale rating, SSR) 를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기 위해, 2 개의 백색 패브릭 (소위 인접 패브릭) 을 상기 제공된 세제 또는 세정제 제형물 중 하나를 60 ℃의 Linitester (Atals 사제) 에서 사용하여 유색 패브릭과 세척한 후, 물로 헹구고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그 다음, 2 개의 인접 패브릭의 변색 정도를 분광-측광으로 측정하였다.
이어서, 변색 정도를 1 (심한 변색) 내지 5 (변색 없음) 의 값으로 제시하였 다.
본 발명의 제제가 비교 방법보다 다중 직물 염료에 대해 양호한 이염방지 특성을 가진다는 것은 SSR 로부터 명백해졌다.
실시예 2: 색 유지
실시예 1 에 열거된 제제를 실시예 1 의 조건과 달리 상응하는 조건 하에 염색된 직물에서 시험하였다.
세척 조건
비등/유색 세척 프로그램 60 ℃, Miele W 985
세척/건조 주기의 수 5
물 경도 16°dH
투여량 75 g
시험 직물
유색 직물
적색 직물
황색 직물
흑색 직물
측정 및 결과 분석
직물의 색 변화를 Spectraflash 장치 (섬광이 없고 UV 가 존재) 로 측정하였고, dL, da, db 및 dE 값을 GSC 값으로 전환하였다; 스케일 1 내지 5 (1 = 불량, 5 = 변화 없음).
본 발명의 제제 E1 의 사용으로 모든 5 개의 시험 직물로부터의 평균을 비교하여 제제 VI 를 사용했을 때보다 1 배 이상 높은 수가 나왔다.

Claims (14)

  1. 하기 화학식 (I) 의 하나 이상의 구조 요소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우레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 또는 이의 산 부가 화합물 및/또는 염 형태의 이염방지제 (dye transfer inhibitor) 를 상기 성분과 융화성인 통상 성분에 더해 함유하는 세제 또는 세정제:
    -Y-A-(C=O)-A- (I)
    (식 중, 각 A 는 독립적으로 S, O 및 NR1 로부터 선택되고,
    Y 는 탄소수 1000 이하 (또한 임의로 존재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단위체의 탄소 원자를 계수하지 않음) 의 2 가 내지 다가, 특히 4 가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치환 또는 비치환 탄화수소 라디칼로부터 선택되고, 이는 -O-, -(CO)-, -NH-, -NR2-, -(N+R2R3)- 및 규소수 2 내지 1000 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단위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고,
    R1 은 수소, 또는 탄소수 40 이하의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이는 -O-, -(CO)-, -NH- 및 -NR2- 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고,
    R2 는 탄소수 40 이하의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이는 -O-, -(CO)- 및 -NH- 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 를 함유할 수 있고,
    R3 은 탄소수 100 이하의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 (이는 -O-, -(CO)- 및 -NH- 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음), 또는 2 가 라디칼 (이는 라디칼 Y 내에서 시클릭 구조를 형성함) 이거나,
    라디칼 Y 에 인접한 라디칼 A 하나 또는 모두는 이들 사이의 라디칼 Y 와 함께 질소 함유 헤테로시클릭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고,
    전체 화합물에서, 화학식 (I) 에 나타낸 라디칼 A 및/또는 Y 및/또는 R1 및/또는 R2 및/또는 R3 모두가 동일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고, 단, 전체 화합물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칼 Y 는 규소수 2 내지 1000 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단위체임).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우레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에 존재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구조 요소가 -(SiR4 2O)p-(SiR4 2)- 구조 (식 중, R4 는 탄소수 20 이하의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p = 1 내지 999) 인 제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제 중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우레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이 2 이상, 특히 3 이상의 상기 폴리오르가노실록산 구조 요소를 함유하는 제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우레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에서 화학식 (I) 의 구조 요소에 따른 하나 이상의 Y 단위체가 -NR2- 기를 갖고/갖거나 화학식 (I) 의 구조 요소에 따른 하나 이상의 Y 단위체가 -(N+R2R3)- 기를 갖는 제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올리고에톡시 및/또는 올리고프로폭시기가 이들의 올리고머화도가 특히 2 내지 60 의 범위이도록 화학식 (I) 의 구조 요소에 따른 Y, R1, R2 및/또는 R3 단위체 중 하나 이상에 존재하는 제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올리고머화도가 10 내지 150000 의 범위인 올리고에틸렌-이민기가 화학식 (I) 의 구조 요소에 따른 Y, R1, R2 및/또는 R3 단위체 중 하나 이상에 존재하는 제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 의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하기 화학식 (II) 또는 화학식 (III) 의 구조 요소를 갖는 폴리카르보네 이트- 및/또는 폴리우레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제:
    -A-Y-A-(CO)-O-Z-(CHOH)-Z-O-(CO)- (II)
    -A-Y-A-(CO)-O-(CHCH2OH)-Z-O-(CO)- (III)
    (식 중, A 및 Y 는 상기 제시된 의미를 가지고,
    Z 는 탄소수 1 내지 12 의 2 가,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임의 치환된 탄화수소 라디칼로부터 선택됨).
  8. 하기 화학식 (IV) 또는 (V) 의 화합물의 형태 및/또는 히드록실기, 1 차 및 2 차 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된 관능기를 갖는 중합체 기질과 하기 화학식 (IV) 또는 (V) 의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한 중합체의 형태의 이염방지제를 함유하는 세제 또는 세정제:
    Figure 112009060594658-PCT00005
    IV V
    (식 중,
    R 은 C1-C12 알킬렌을 의미하고,
    k 는 0 초과의 수를 의미하고,
    X 는 CO-CH=CH2, CO-C(CH3)=CH2, CO-O-아릴, C2-C6-알킬렌-SO2-CH=CH2 또는 CO-NH-R1 을 의미하고; R1 은 C1-C30-알킬, C1-C30-할로알킬, C1-C30-히드록시알킬, C1-C6-알킬옥시-C1-C30-알킬, C1-C6-알킬카르보닐옥시-C1-C30-알킬, 아미노-C1-C30-알킬, 모노- 또는 디(C1-C6-알킬)아미노-C1-C30-알킬, 암모니오-C1-C30-알킬, 폴리옥시알킬렌-C1-C30-알킬, 폴리실록사닐-C1-C30-알킬, (메트)아크릴로일옥시-C1-C30-알킬, 설포노-C1-C30-알킬, 포스포노-C1-C30-알킬, 디(C1-C6-알킬)포스포노-C1-C30-알킬, 포스포네이토-C1-C30-알킬, 디(C1-C6-알킬)포스포네이토-C1-C30-알킬 또는 사카라이드 라디칼을 의미하고, k 가 1 을 의미하는 경우에만 화학식 I 중 X 가 상기 의미를 가지거나,
    k 가 1 초과의 수를 의미하는 경우
    X 는
    (i) 괄호 안의 화학식 일부가 (CO)NH 기를 통해 결합되는 폴리아민의 라디칼, 또는
    (ii) 괄호 안의 화학식 일부가 (CO), NH-C2-C6-알킬렌-O(CO) 또는 (CO)-O-C2-C6-알킬렌-O(CO) 기를 통해 결합되는 중합체 구조, 또는
    (iii) 괄호 안의 화학식 일부가 (CO)-폴리실록사닐-C1-C30-알킬기를 통해 결합되는 중합체 구조를 의미함).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1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1 중량% 내지 1 중량%의 이염방지 성분을 함유하는 제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비닐피롤리돈, 비닐이미다졸, 비닐피리딘 N-옥시드의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제제.
  11. 수용액, 특히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에서 함께 세척되는 경우 염색된 직물에서 염색되지 않은 직물 또는 상이한 색의 직물로의 직물 염료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하기 화학식 (I) 의 하나 이상의 구조 요소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우레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 또는 이의 산 부가 화합물 및/또는 염의 용도:
    -Y-A-(C=O)-A- (I)
    (식 중, 각 A 는 독립적으로 S, O 및 NR1 로부터 선택되고,
    Y 는 탄소수 1000 이하 (또한 임의로 포함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단위체의 탄소 원자를 계수하지 않음) 의 2 가 내지 다가, 특히 4 가,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치환 또는 비치환 탄화수소 라디칼로부터 선택되고, 이는 -O-, -(CO)-, -NH-, -NR2-, -(N+R2R3)- 및 규소수 2 내지 1000 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단위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고,
    R1 은 수소, 또는 탄소수 40 이하의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이는 -O-, -(CO)-, -NH- 및 -NR2- 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고,
    R2 는 탄소수 40 이하의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이는 -O-, -(CO)- 및 -NH- 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고,
    R3 은 탄소수 100 이하의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 (이는 -O-, -(CO)- 및 -NH- 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음), 또는 2 가 라디칼 (이는 라디칼 Y 내에서 시클릭 구조를 형성함) 이거나,
    라디칼 Y 에 인접한 라디칼 A 하나 또는 모두는 이들 사이의 라디칼 Y 와 함께 질소 함유 헤테로시클릭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고,
    전체 화합물에서, 화학식 (I) 에 나타낸 라디칼 A 및/또는 Y 및/또는 R1 및/또는 R2 및/또는 R3 모두가 동일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고, 단, 전체 화합물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칼 Y 가 규소수 2 내지 1000 인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단위체임).
  12. 수용액, 특히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에서 함께 세척되는 경우 염색된 직물 에서 염색되지 않은 직물 또는 상이한 색의 직물로의 직물 염료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하기 화학식 (IV) 또는 (V) 의 화합물 및/또는 히드록실기, 1 차 및 2 차 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중합체 기질과 하기 화학식 (IV) 또는 (V) 의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한 중합체의 용도:
    Figure 112009060594658-PCT00006
    IV V
    (식 중,
    R 은 C1-C12 알킬렌을 의미하고,
    k 는 0 초과의 수를 의미하고,
    X 는 CO-CH=CH2, CO-C(CH3)=CH2, CO-O-아릴, C2-C6-알킬렌-SO2-CH=CH2 또는 CO-NH-R1 을 의미하고; R1 은 C1-C30-알킬, C1-C30-할로알킬, C1-C30-히드록시알킬, C1-C6-알킬옥시-C1-C30-알킬, C1-C6-알킬카르보닐옥시-C1-C30-알킬, 아미노-C1-C30-알킬, 모노- 또는 디(C1-C6-알킬)아미노-C1-C30-알킬, 암모니오-C1-C30-알킬, 폴리옥시알킬렌-C1-C30-알킬, 폴리실록사닐-C1-C30-알킬, (메트)아크릴로일옥시-C1-C30-알킬, 설포노-C1-C30-알킬, 포스포노-C1-C30-알킬, 디(C1-C6-알킬)포스포노-C1-C30-알킬, 포스포 네이토-C1-C30-알킬, 디(C1-C6-알킬)포스포네이토-C1-C30-알킬 또는 사카라이드 라디칼을 의미하고, k 가 1 을 의미하는 경우에만 화학식 I 중 X 가 상기 의미를 가지거나,
    k 가 1 초과의 수를 의미하는 경우
    X 는
    (i) 괄호 안의 화학식 일부가 (CO)NH 기를 통해 결합되는 폴리아민의 라디칼, 또는
    (ii) 괄호 안의 화학식 일부가 (CO), NH-C2-C6-알킬렌-O(CO) 또는 (CO)-O-C2-C6-알킬렌-O(CO) 기를 통해 결합되는 중합체 구조, 또는
    (iii) 괄호 안의 화학식 일부가 (CO)-폴리실록사닐-C1-C30-알킬기를 통해 결합되는 중합체 구조를 의미함).
  13. 하기 화학식 (I) 의 하나 이상의 구조 요소를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우레아-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화합물 또는 이의 산 부가 화합물 및/또는 염을 함유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이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에서의 직물의 세탁 방법:
    -Y-A-(C=O)-A- (I)
    (식 중, 각 A 는 독립적으로 S, O 및 NR1 로부터 선택되고,
    Y 는 탄소수 1000 이하 (임의로 또한 존재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단위체의 탄소 원자를 계수하지 않음) 의 2 가 내지 다가, 특히 4 가,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치환 또는 비치환 탄화수소 라디칼로부터 선택되고, 이는 -O-, -(CO)-, -NH-, NR2-, -(N+R2R3)- 및 규소수 2 내지 1000 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단위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고,
    R1 은 수소, 또는 탄소수 40 이하의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이는 -O-, -(CO)-, -NH- 및 NR2- 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고,
    R2 는 탄소수 40 이하의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이는 -O-, -(CO)- 및 -NH- 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고,
    R3 은 탄소수 100 이하의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 (이는 -O-, -(CO)- 및 -NH- 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를 함유할 수 있음), 또는 2 가 라디칼 (이는 라디칼 Y 내에서 시클릭 구조를 형성함) 이거나,
    라디칼 Y 에 인접한 라디칼 A 하나 또는 모두는 이들 사이의 라디칼 Y 와 함께 질소 함유 헤테로시클릭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고,
    전체 화합물에서, 화학식 (I) 에 나타낸 라디칼 A 및/또는 Y 및/또는 R1 및/또는 R2 및/또는 R3 모두가 동일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고, 단, 전체 화합물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칼 Y 는 규소수 2 내지 1000 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단위체임).
  14. 하기 화학식 (IV) 또는 (V) 의 화합물 및/또는 히드록실기, 1 차 및 2 차 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중합체 기질과 하기 화학식 (IV) 또는 (V) 의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한 중합체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이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에서의 직물의 세탁 방법:
    Figure 112009060594658-PCT00007
    IV V
    (식 중,
    R 은 C1-C12 알킬렌을 의미하고,
    k 는 0 초과의 수를 의미하고,
    X 는 CO-CH=CH2, CO-C(CH3)=CH2, CO-O-아릴, C2-C6-알킬렌-SO2-CH=CH2 또는 CO-NH-R1 을 의미하고; R1 은 C1-C30-알킬, C1-C30-할로알킬, C1-C30-히드록시알킬, C1-C6-알킬옥시-C1-C30-알킬, C1-C6-알킬카르보닐옥시-C1-C30-알킬, 아미노-C1-C30-알킬, 모노- 또는 디(C1-C6-알킬)아미노-C1-C30-알킬, 암모니오-C1-C30-알킬, 폴리옥시알킬렌-C1-C30-알킬, 폴리실록사닐-C1-C30-알킬, (메트)아크릴로일옥시-C1-C30-알킬, 설포노-C1-C30-알킬, 포스포노-C1-C30-알킬, 디(C1-C6-알킬)포스포노-C1-C30-알킬, 포스포네이토-C1-C30-알킬, 디(C1-C6-알킬)포스포네이토-C1-C30-알킬 또는 사카라이드 라디칼을 의미하고, k 가 1 을 의미하는 경우에만 화학식 I 중 X 가 상기 의미를 가지거나,
    k 가 1 초과의 수를 의미하는 경우
    X 는
    (i) 괄호 안의 화학식 일부가 (CO)NH 기를 통해 결합되는 폴리아민의 라디칼, 또는
    (ii) 괄호 안의 화학식 일부가 (CO), NH-C2-C6-알킬렌-O(CO) 또는 (CO)-O-C2-C6-알킬렌-O(CO) 기를 통해 결합되는 중합체 구조, 또는
    (iii) 괄호 안의 화학식 일부가 (CO)-폴리실록사닐-C1-C30-알킬기를 통해 결합되는 중합체 구조를 의미함).
KR1020097020620A 2007-04-03 2008-04-03 색보호 세제 또는 세정제 KR200901284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16391A DE102007016391A1 (de) 2007-04-03 2007-04-03 Farbschützendes Wasch- oder Reinigungsmittel
DE102007016391.8 2007-04-03
DE102007023828A DE102007023828A1 (de) 2007-05-21 2007-05-21 Farbschützendes Wasch- oder Reinigungsmittel
DE102007023828.4 2007-05-21
DE200710038450 DE102007038450A1 (de) 2007-08-14 2007-08-14 Farbschützendes Wasch- oder Reinigungsmittel
DE102007038450.7 2007-08-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444A true KR20090128444A (ko) 2009-12-15

Family

ID=39400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620A KR20090128444A (ko) 2007-04-03 2008-04-03 색보호 세제 또는 세정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24648B2 (ko)
EP (2) EP2129759B2 (ko)
KR (1) KR20090128444A (ko)
WO (1) WO20081198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461B1 (ko) * 2023-03-09 2024-02-27 조위전 세탁 이염방지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9836A2 (de) * 2007-04-03 2008-10-09 Henkel Ag & Co. Kgaa Waschmittel, enthaltend schmutzablösevermögende wirkstoffe
EP2134826B1 (de) 2007-04-03 2015-11-04 Henkel AG & Co. KGaA Vergrauungsinhibierendes waschmittel
EP2129760B1 (de) * 2007-04-03 2016-07-27 Henkel AG & Co. KGaA Mittel zur behandlung harter oberflächen
EP2129761B1 (de) * 2007-04-03 2016-08-17 Henkel AG & Co. KGaA Reinigungsmittel
WO2008141858A2 (de) * 2007-04-03 2008-11-27 Henkel Ag & Co. Kgaa Waschmittel mit die primärwaschkraft verbessernden wirkstoffen
ATE554128T1 (de) * 2009-08-06 2012-05-15 Siate S R L Polymere, träger mit den polymeren und verwendungen davon als farbaufnehmende und bakterizide wirkstoffe
KR101820568B1 (ko) 2012-02-21 2018-01-19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색보호 세제
US9745543B2 (en) 2012-09-10 2017-08-29 Ecolab Usa Inc. Stable liquid manual dishwashing compositions containing enzymes
CA3072640C (en) * 2018-05-11 2022-05-10 Ecochem Australia Pty Ltd Compositions, methods and systems for removal of starch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7920A (en) 1964-11-24 1968-02-06 Merck & Co Inc Polyurea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GB1154730A (en) 1965-10-08 1969-06-11 Ici Ltd Improvements in the Laundering of Synthetic Polymeric Textile Materials
GB1377092A (en) 1971-01-13 1974-12-11 Unilever Ltd Detergent compositions
CA989557A (en) 1971-10-28 1976-05-2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imparting renewable soil release finish to polyester-containing fabrics
AT330930B (de) 1973-04-13 1976-07-26 Henkel & C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sten, schuttfahigen wasch- oder reinigungsmitteln mit einem gehalt an calcium bindenden substanzen
US4174305A (en) 1975-04-02 1979-1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lkyl benzene sulfonate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cellulose ether soil release agents
US4000093A (en) 1975-04-02 1976-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lkyl sulfate detergent compositions
FR2334698A1 (fr) 1975-12-09 1977-07-08 Rhone Poulenc Ind Polyurethannes hydrophiles utilisables dans les compositions detergentes
US4136038A (en) 1976-02-02 1979-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conditioning compositions containing methyl cellulose ether
US4201824A (en) 1976-12-07 1980-05-06 Rhone-Poulenc Industries Hydrophilic polyurethanes and their application as soil-release, anti-soil redeposition, and anti-static agents for textile substrates
US4116885A (en) 1977-09-23 1978-09-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ionic surfactant-containing detergent compositions having soil-release properties
FR2407980A1 (fr) 1977-11-02 1979-06-01 Rhone Poulenc Ind Nouvelles compositions anti-salissure et anti-redeposition utilisables en detergence
DE3324258A1 (de) 1982-07-09 1984-01-12 Colgate-Palmolive Co., 10022 New York, N.Y. Nichtionogene waschmittelzusammensetzung mit verbesserter schmutzauswaschbarkeit
DE3413571A1 (de) 1984-04-11 1985-10-24 Hoechst Ag, 6230 Frankfurt Verwendung von kristallinen schichtfoermigen natriumsilikaten zur wasserenthaertung und verfahren zur wasserenthaertung
EP0185427B1 (en) 1984-12-21 1992-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lock polyesters and like compounds useful as soil release agents in detergent compositions
GB8519046D0 (en) 1985-07-29 1985-09-04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US4661332A (en) 1985-07-29 1987-04-28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Zeolite (ECR-18) isostructural with paulingite and a method for its preparation
GB8519047D0 (en) 1985-07-29 1985-09-04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US4711730A (en) 1986-04-15 1987-12-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apped 1,2-propylene terephthalate-polyoxyethylene terephthalate polyesters useful as soil release agents
US4713194A (en) 1986-04-15 1987-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lock polyester and like compounds having branched hydrophilic capping groups useful as soil release agents in detergent compositions
GB8617255D0 (en) 1986-07-15 1986-08-20 Procter & Gamble Ltd Laundry compositions
US4770666A (en) 1986-12-12 1988-09-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composition containing peroxyacid bleach and soil release agent
GB8629936D0 (en) 1986-12-15 1987-01-28 Procter & Gamble Laundry compositions
US4721580A (en) 1987-01-07 1988-01-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ionic end-capped oligomeric esters as soil release agents in detergent compositions
DE3723873A1 (de) 1987-07-18 1989-01-26 Henkel Kgaa Verwendung von hydroxyalkylpolyethylenglykolethern in klarspuelmitteln fuer die maschinelle geschirreinigung
ATE134669T1 (de) 1988-08-26 1996-03-15 Procter & Gamble Schmutzabweisende mittel mit von allylgruppen abgeleiteten sulphonierten endgruppen
DE4244386A1 (de) * 1992-12-29 1994-06-30 Basf Ag Vinylpyrrolidon- und Vinylimidazol-Copolymerisate, Verfahren zur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in Waschmitteln
US5534182A (en) * 1993-07-12 1996-07-09 Rohm And Haas Company Process and laundry formulations for preventing the transfer of dye in laundry processes
US5380447A (en) * 1993-07-12 1995-01-10 Rohm And Haas Company Process and fabric finishing compositions for preventing the deposition of dye in fabric finishing processes
FR2708199B1 (fr) 1993-07-28 1995-09-01 Oreal Nouvelles compositions cosmétiques et utilisations.
WO1997009369A1 (de) 1995-09-01 1997-03-13 HÜLS Aktiengesellschaft Schmutzlösepolymere auf basis von polycarbonaten als bestandteil von formulierungen zur ablösung von öl- und fettschmutz
FR2743297B1 (fr) 1996-01-05 1998-03-1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s a base de polycondensats ionisables multisequences polysiloxane/polyurethane et/ou polyuree en solution et utilisation
AU2284799A (en) * 1998-02-11 1999-08-30 Rhodia Chimie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mine silicone and a polymer inhibiting colour transfer
MXPA01013284A (es) 1999-06-15 2002-06-04 Procter & Gamble Composiciones de limpieza.
DE10050622A1 (de) 2000-07-07 2002-05-02 Henkel Kgaa Klarspülmittel II a
DE10037126A1 (de) 2000-07-29 2002-02-14 Henkel Kgaa Cellulasehaltiges Waschmittel
CN1575308B (zh) 2001-10-22 2010-04-28 汉高两合股份公司 对棉有活性、具有去污能力的以氨基甲酸酯为基础的聚合物
DE10156133A1 (de) * 2001-11-16 2003-05-28 Basf Ag Pfropfpolymerisate mit Stickstoffheterocyclen enthaltenden Seitenketten
DE10216896A1 (de) 2002-04-17 2003-11-13 Goldschmidt Ag Th Wässrige Polysiloxan-Polyurethan-Dispersion,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in Beschichtungsmitteln
US6887836B2 (en) 2002-05-09 2005-05-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ome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dicarboxy functionalized polyorganosiloxane
US20040034911A1 (en) 2002-08-21 2004-02-26 Arie Day Preventing adherence of an exudate on a toilet bowl surface
DE10350420A1 (de) 2003-10-28 2005-06-02 Basf Ag Verwendung von Alkylenoxideinheiten enthaltenden Copolymeren als belagsinhibierende Additive im Klarspülgang des maschinellen Geschirrspülers
EP1541568A1 (de) 2003-12-09 2005-06-15 Deutsches Wollforschungsinstitut an der Rheinisch-Westfälischen Technischen Hochschule Aachen e.V. Reaktive cyclische Carbonate und Harnstoffe zur Modifizierung von Biomolekülen, Polymeren und Oberflächen
DE10357232B3 (de) 2003-12-09 2005-06-30 Henkel Kgaa Artifizielle Fäkalanschmutzung
DE102004028322A1 (de) 2004-06-11 2005-12-29 Wacker-Chemie Gmbh Verfahren zur Modifizierung faserartiger Substrate mit Siloxancopolymeren
EP1781717B1 (en) 2004-07-10 2012-11-07 Henkel AG & Co. KGaA Copolymer-containing cleaning compositions
DE102004044402A1 (de) 2004-09-14 2006-03-30 Basf Ag Klarspülmittel enthaltend hydrophob modifizierte Polycarboxylate
EP1672006A1 (de) 2004-12-14 2006-06-21 Ciba Spezialitätenchemie Pfersee GmbH Wässrige Dispersionen von Harnstoffgruppen enthaltenden Polyorganosiloxanen
DE102004062201A1 (de) 2004-12-23 2006-07-13 Basf Ag Urethanverbindung, die ein Polyethergruppen-haltiges Siliconderivat und einen Stickstoffheterocyclus eingebaut enthält
EP1885939B1 (en) * 2005-05-23 2010-10-27 Dow Corning Corporation Surface treatment compositions comprising saccharide-siloxane copolymers
EP2129760B1 (de) 2007-04-03 2016-07-27 Henkel AG & Co. KGaA Mittel zur behandlung harter oberflächen
EP2134826B1 (de) 2007-04-03 2015-11-04 Henkel AG & Co. KGaA Vergrauungsinhibierendes waschmittel
EP2129761B1 (de) 2007-04-03 2016-08-17 Henkel AG & Co. KGaA Reinigungsmittel
WO2008141858A2 (de) 2007-04-03 2008-11-27 Henkel Ag & Co. Kgaa Waschmittel mit die primärwaschkraft verbessernden wirkstoffen
WO2008119836A2 (de) 2007-04-03 2008-10-09 Henkel Ag & Co. Kgaa Waschmittel, enthaltend schmutzablösevermögende wirkstoffe
EP2190902A4 (en) 2007-09-12 2012-08-08 Alzo Int Inc MIXTURES OF POLYURETHANE AND SILIC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461B1 (ko) * 2023-03-09 2024-02-27 조위전 세탁 이염방지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11519A1 (en) 2010-01-21
EP2129759B2 (de) 2019-08-21
US8524648B2 (en) 2013-09-03
EP2487230A1 (de) 2012-08-15
EP2129759B1 (de) 2016-07-27
EP2487230B1 (de) 2014-12-03
EP2129759A1 (de) 2009-12-09
WO2008119832A1 (de)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8444A (ko) 색보호 세제 또는 세정제
US20110034364A1 (en) Color-Protecting Detergent or Cleanser
EP2262884B1 (de) Farbschützendes wasch- oder reinigungsmittel
US20090143271A1 (en) Colour-protecting laundry detergent
EP2817402B1 (en) Color protection detergent
KR102171646B1 (ko) 색 보호 세제
EP1084219A1 (de) Amylase und percarbonat enthaltende wasch- und reinigungsmittel
EP3209760B1 (en) Colour protection detergent
WO1999063037A1 (de) Amylase und percarbonsäure enthaltende wasch- und reinigungsmittel
WO1999063035A1 (de) Amylase und farbübertragungsinhibitor enthaltende waschmittel
JP5143752B2 (ja) 着色防止性の洗濯洗剤組成物
MX2014009702A (es) Detergente de proteccion de color o agente de limpieza.
US20240376405A1 (en) Color-Protecting Detergents
US20240376406A1 (en) Color-Protecting Detergents
US20240352381A1 (en) Color-Protecting Detergents
US20240360388A1 (en) Color-Protecting Detergents
EP3209759B1 (en) Anti-grey detergent
KR20150125699A (ko) 색상-보호 세제
EP3241888A1 (en) Colour protection method
DE102007016391A1 (de) Farbschützendes Wasch- oder Reinigungsmittel
WO1999063039A1 (de) Amylase enthaltende wasch- und reinigungsmittel
DE102007023828A1 (de) Farbschützendes Wasch- oder Reinigungsmittel
DE102007038450A1 (de) Farbschützendes Wasch- oder Reinigungsmitt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