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128199A -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 Google Patents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8199A
KR20090128199A KR1020080054245A KR20080054245A KR20090128199A KR 20090128199 A KR20090128199 A KR 20090128199A KR 1020080054245 A KR1020080054245 A KR 1020080054245A KR 20080054245 A KR20080054245 A KR 20080054245A KR 20090128199 A KR20090128199 A KR 20090128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opper
double wall
container body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준식
고은정
Original Assignee
원준식
고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준식, 고은정 filed Critical 원준식
Priority to KR1020080054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8199A/ko
Publication of KR20090128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19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 형상의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되되, 이중 벽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이중 벽 사이에 설치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중 벽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마개의 돌출부는 유연하고 탄성이 있기 때문에, 수용된 물이 결빙되어 이중 벽 사이의 공간의 부피가 팽창하거나, 수용된 물이 용해되어 이중 벽 사이의 공간의 부피가 줄어들 경우에도, 이중 벽 사이의 공간을 돌출부가 밀봉하므로, 수용된 물이 마개 사이로 세지 않아 사용자들이 사용함에 있어 아주 간편하고 편리하다.

Description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본 발명은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 형상의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되되, 이중 벽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이중 벽 사이에 설치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맥주 또는 생수를 마실 때에는 컵에 내용물을 담아준 상태에서 내용물을 마시게 되는데, 보통 맥주, 콜라 및 사이다 등과 같은 음료를 시원한 상태에서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컵 내부의 음료에 얼음을 투입시켜 음료를 시원해지게 한 후 마셨다.
또한, 컵 또는 접시를 냉장고에 넣어 일시적으로 얼려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없음은 물론이고, 음료에 투입되어 있는 얼음이 녹아 희석되면서 음료의 농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원래의 맛을 느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벽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마개의 돌출부는 유연하고 탄성이 있기 때문에, 수용된 물이 결빙되어 이중 벽 사이의 공간의 부피가 팽창하거나, 수용된 물이 용해되어 이중 벽 사이의 공간의 부피가 줄어들 경우에도, 이중 벽 사이의 공간을 견고히 밀봉하므로, 수용된 물이 마개 사이로 세지 않아 사용자들이 사용함에 있어 아주 간편하고 편리한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료 또는 음식의 특성에 맞게 실온에서도 적절히 시원하게 유지시켜 주어 음료 또는 음식의 원래의 맛을 최대한 살려주는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는, 컵 형상의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되되, 이중 벽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이중 벽 사이에 설치되는 마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개는, 유연하고 탄성이 있는 재질이고, 일측면의 외주둘레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용기 본체의 이중 벽 사이에 끼워지는 돌출부 및 돌출부의 외측의 둘레 면에 부착된 고무패킹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는, 컵 형상의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되고,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의 외주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유입구에 나사 타입으로 설치되는 마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개는, 일측면의 외주둘레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외측 외주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와, 돌출부의 외측의 둘레 면에 부착된 고무패킹 및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반대 방향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는, 컵 형상의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되고, 상부에 이중 벽 사이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유입구에 설치되는 마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개는, 유연하고 탄성이 있는 재질이고, 일측면의 외주둘레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 및 돌출부의 외측의 둘레 면에 부착된 고무패킹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는, 접시 형태로 형성된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되고, 일측에 마개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유입구가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유입구에 설치되는 마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개는, 유연하고 탄성이 있는 재질이고, 일측면의 외주둘레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 및 돌출부의 외측의 둘레 면에 부착된 고무패킹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는, 접시 형태로 형성된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되고, 일측에 마개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유입구의 외주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유입구에 나사 타입으로 설치되는 마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개는, 일측면의 외주둘레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외측 외주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와, 돌출부의 외측의 둘레 면에 부착된 고무패킹 및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반대 방향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벽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마개의 돌출부는 유연하고 탄성이 있기 때문에, 수용된 물이 결빙되어 이중 벽 사이의 공간의 부피가 팽창하거나, 수용된 물이 용해되어 이중 벽 사이의 공간의 부피가 줄어들 경우에도, 이중 벽 사이의 공간을 견고히 밀봉하므로, 수용된 물이 마개 사이로 세지 않아 사용자들이 사용함에 있어 아주 간편하고 편리한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의 음료 또는 음식의 특성에 맞게 실온에서도 적절히 시원하게 유지시켜 주어 음료 또는 음식의 원래의 맛을 최대한 살려주는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100)는, 용기 본체(110) 및 마개(120)를 포함한다.
우선, 용기 본체(110)의 외형은 보통의 컵 형상으로 형성되되, 특히 맥주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100)는 예컨대 500cc 맥주잔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용기 본체(110)의 재질은 플라스틱류인 것이 바람직한데,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그리고, 용기 본체(110)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 이중 벽 사이의 공간(111)에 물이 수용된다.
또한, 용기 본체(110)의 바닥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마개(120)의 돌출부(121)가 이중 벽 사이의 공간(111)에 끼워진다.
즉, 용기 본체(110)의 개방된 방향으로 물이 유입되면, 이중 벽 사이의 공간(111)에 물이 수용되는 것이다.
마개(120)는, 돌출부(121) 및 고무패킹(123)을 포함한다.
돌출부(121)는 마개(120)의 일측면의 외주둘레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는 이중 벽 사이의 공간(111)에 억지 끼움이 되도록 테이퍼지게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재질은 유연하고 탄성이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용된 물이 결빙되어 이중 벽 사이의 공간(111)의 부피가 팽창하거나, 수용된 물이 용해되어 이중 벽 사이의 공간(111)의 부피가 줄어들 경우에도, 이중 벽 사이의 공간(111)을 유연하고 탄성이 있는 돌출부(121)가 견고히 밀봉하게 된다.
따라서, 수용된 물이 마개(120) 사이로 세지 않아 사용자들이 사용함에 있어 아주 간편하고 편리한 것이다.
고무패킹(123)은, 돌출부(121)의 외측의 둘레 면에 부착되며, 마개(120)가 이중 벽 사이의 공간(111)에 끼워졌을 때, 용기 본체(110)의 외주둘레 외측의 바닥면에 밀착되는데, 이로 인하여 용기 본체(110)의 이중 벽 사이의 공간(111)에 수용된 물이 마개(120) 사이로 흘러나오지 않게 한다.
물론, 돌출부(121) 및 고무패킹(123)의 재질은 유연하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재질이면 고무 재질뿐만 아니라 다른 어떠한 재질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100)는, 용기 본체(110) 및 마개(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11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된다. 이 이중 벽 사이의 공간(111)에 물이 수용되는데, 용기 본체(110)의 이중 벽 사이의 공간(111)은 양측면 뿐만 아니라 바닥부분에도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110)는 바닥에는 유입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입구(112)의 외주둘레에는 나사산(12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실시예의 마개(120)의 돌출부(121)는, 유입구(112)에 볼트형식으로 끼워지도록 외측 외주둘레에 나사산(12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입구(112)를 통해 용기 본체(110)의 이중 벽 사이의 공간(111)에 물을 주입한 후, 마개(120)를 유입구(112)에 돌리면, 마개(120)의 돌출부(121)는 유입구(112)에 볼트형식으로 끼워지는 것이다.
그 외 다른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100)는, 용기 본체(110) 및 마개(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용기 본체(110)의 외형은, 제1 실시예의 용기 본체(110)와 마찬가지로 보통의 컵 형상으로 형성되되, 특히 맥주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3 실시예의 용기 본체(11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이중 벽 사이와 연결되는 유입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유입구(112)는, 용기 본체(110)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고, 이 유입구(112)에 마개(120)가 끼워져 설치되는데, 그 외 다른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100)는, 용기 본체(110) 및 마개(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용기 본체(110)의 외형은 보통의 접시 형상으로 형성되되, 특히 회 접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100)는 예컨대 회를 담는 형태의 회 접시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용기 본체(110)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용기 본체(110)의 이중벽 사이의 공간(111)에 물이 수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용기 본체(110)의 바닥에는 마개(120)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유입구(112)가 형성되어 있어, 이 유입구(112)로 마개(120)가 가 설치된다.
그 외 다른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100)는, 용기 본체(110) 및 마개(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110)는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바닥에 마개(120)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유입구(112)가 형성되어 있 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입구(112)의 외주둘레에는 나사산(12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5 실시예의 마개(120)의 돌출부(121)는, 유입구(112)에 볼트형식으로 끼워지도록 외주둘레 외측으로 나사산(12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개(120)의 돌출부(121)가 형성된 반대 방향에는 손잡이(124)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잡이(124)를 돌리면, 마개(120)의 돌출부(121)는 유입구(112)에 볼트형식으로 끼워지는 것이다.
한편, 손잡이(124)는 제5 실시예의 마개(120) 뿐만 아이라, 도 1 내지 도 4의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의 마개(120)에서도 마찬가지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에에서 용기 본체(110)를 맥주 컵 또는 회 접시 형태인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그 외에 각종 음료 또는 음식 등을 담을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에 따른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110: 용기 본체 111: 이중 벽 사이의 공간
112: 유입구 120: 마개
121: 돌출부 123: 고무패킹
124: 손잡이 125: 나사산

Claims (10)

  1. 컵 형상의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되되, 이중 벽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이중 벽 사이에 설치되는 마개; 를 포함하는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유연하고 탄성이 있는 재질이고, 일측면의 외주둘레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용기 본체의 이중 벽 사이에 끼워지는 돌출부; 및
    돌출부의 외측의 둘레 면에 부착된 고무패킹; 을 포함하는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3. 컵 형상의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되고,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의 외주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유입구에 나사 타입으로 설치되는 마개; 를 포함하는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일측면의 외주둘레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외측 외주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
    돌출부의 외측의 둘레 면에 부착된 고무패킹; 및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반대 방향에 형성된 손잡이; 를 포함하는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5. 컵 형상의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되고, 상부에 이중 벽 사이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유입구에 설치되는 마개; 를 포함하는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유연하고 탄성이 있는 재질이고, 일측면의 외주둘레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 및
    돌출부의 외측의 둘레 면에 부착된 고무패킹; 을 포함하는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7. 접시 형태로 형성된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되고, 일측에 마개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유입구가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유입구에 설치되는 마개; 를 포함하는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유연하고 탄성이 있는 재질이고, 일측면의 외주둘레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 및
    돌출부의 외측의 둘레 면에 부착된 고무패킹; 을 포함하는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9. 접시 형태로 형성된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중 벽 구조로 형성되고, 일측에 마개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유입구의 외주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유입구에 나사 타입으로 설치되는 마개; 를 포함하는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일측면의 외주둘레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외측 외주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
    돌출부의 외측의 둘레 면에 부착된 고무패킹; 및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반대 방향에 형성된 손잡이; 를 포함하는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KR1020080054245A 2008-06-10 2008-06-10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Ceased KR20090128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245A KR20090128199A (ko) 2008-06-10 2008-06-10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245A KR20090128199A (ko) 2008-06-10 2008-06-10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199A true KR20090128199A (ko) 2009-12-15

Family

ID=4168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245A Ceased KR20090128199A (ko) 2008-06-10 2008-06-10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81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0666A (zh) * 2018-11-30 2019-05-21 宁波优帕信息科技有限公司 双开口水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0666A (zh) * 2018-11-30 2019-05-21 宁波优帕信息科技有限公司 双开口水杯
CN109770666B (zh) * 2018-11-30 2021-03-02 绍兴市柯桥区欣飞科技有限公司 双开口水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4028A (en) Ice holder incorporated within a beverage container
US20030178433A1 (en) Beverage can cap with an ice compartment
US8439221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chill sleeve
US20130233866A1 (en) Cool Cup
US6502418B2 (en) Spill-resistant container with reinforced cold plug
US12071285B2 (en) Food ja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20070090077A1 (en) Container arrangement
US20040112904A1 (en) Bottle, particularly a beverage bottle
US20110042374A1 (en) Drink cup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KR20090128199A (ko) 물 수용이 가능한 이중벽면 용기
KR200344346Y1 (ko) 이중 용기
KR200453465Y1 (ko) 음료수병
US20060201165A1 (en) Portable Bottle with Refrigeration/Heater System
KR200259252Y1 (ko) 음료분말 또는 티백이 내장되는 생수병 뚜껑
KR200366160Y1 (ko) 용기
KR200448121Y1 (ko) 음식 용기용 보조 냉장장치
KR20190057680A (ko) 팩 음료 보관 보냉용기
JP3050770U (ja) 保冷用飲料容器
KR200276214Y1 (ko) 컵형 뚜껑
KR200213745Y1 (ko) 컵을 부착한 탄산음료 용기
KR200328710Y1 (ko) 탄산가스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탄산 음료병용 컵
KR200323811Y1 (ko) 다용도 병따개
KR20190013369A (ko) 다용도 페트병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9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3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