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125660A - 새로운 나이아신 및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 복합제제 - Google Patents

새로운 나이아신 및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 복합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5660A
KR20090125660A KR1020080051873A KR20080051873A KR20090125660A KR 20090125660 A KR20090125660 A KR 20090125660A KR 1020080051873 A KR1020080051873 A KR 1020080051873A KR 20080051873 A KR20080051873 A KR 20080051873A KR 20090125660 A KR20090125660 A KR 20090125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acin
formulation
prepared
carboxyvinyl polymer
tab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웅
민병구
조상민
김종일
김대욱
정용미
장재상
류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제약
Priority to KR1020080051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5660A/ko
Priority to PCT/KR2009/002923 priority patent/WO2009148245A2/ko
Publication of KR20090125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이아신을 함유한 제어방출형 제제 및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인 스타틴계 약물을 함유하는 제제를 하나의 제어방출형 경구용 제제로 단일화한 복합 제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나이아신;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첨가제; 붕해제 및 활택제를 포함하되,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HPMC가 1:1 내지 1:100인 중량비로 포함되는 나이아신 제어방출형 제제 및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 치료용 복합 제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제제는 콜레스테롤 생합성의 속도결정단계인 HMG-CoA 환원 효소를 저해하여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V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농도를 탁월하게 저하시키는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의 용출은 증가시키면서, HDL-콜레스테롤의 상승 효과가 있는 나이아신 제어방출 제제의 매트릭스의 형태가 제제의 용출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유지되어 약물의 용출에 필요한 시간 동안 용출 패턴이 급격히 변화하지 않고 일정하게 원하는 용출 패턴으로 유지되어,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을 효과적으로, 나이아신에 의한 부작용을 상당히 경감시켜 장기간 치료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나이아신, 제어방출형 제제,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매트릭스 형태(matrix form)

Description

새로운 나이아신 및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 복합 제제{HMG-CoA reductase inhibitor combination formulation}
본 발명은 나이아신을 함유한 제어방출형 제제 및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인 스타틴계 약물을 함유하는 속방형 제제를 하나의 제어방출형 경구용 제제로 단일화한 신규한 복합 제제에 관한 것이다.
고지혈증 또는 혈청내 지질의 상승은 심혈관 질환 및 동맥 경화증의 발생 빈도 증가와 관련되어 있다.
고지혈증의 구체적 유형으로는, 예컨대 고콜레스테롤혈증, 가족성 이상 베타리포프로테인혈증당뇨병 이상 지질혈증, 신증 이상 지질혈증, 및 가족성 복합 고지혈증이 있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은 혈청내 저밀도 리포프로테인-콜레스테롤 및 혈청내 총콜레스테롤의 상승을 특징으로 한다. 저밀도 리포프로테인(LDL-콜레스테롤)은 혈액 내에서 콜레스테롤을 운반한다. 또한, 타입 III 고지혈증이라고 알려져 있는 가족성 이상 베타리포프로테인혈증은 극저밀도 리포프로테인 콜레스테롤(VLDL-콜레스테롤) 입자라고 부르는 베타 VLDL이 혈청내에 축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증상은, 정상의 아포리포프로테인 E3이 비정상의 이형 아포리 포프로테인 E2로 치환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당뇨병 이상 지질혈증은, VLDL-콜레스테롤의 과다 생성, VLDL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비정상 지방 분해, LDL-콜레스테롤 수용체 활성의 저하 및 종종 발생하는 타입 III 고지혈증 등의 다수의 리포프로테인 이상에 특징이 있다. 신증 이상지질혈증은 치료가 어려운데, 그 중 빈번하게 발생하는 예로는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이 있다. 가족성 복합 고지혈증은 다수 표현형의 고지혈증, 즉 타입 IIa, IIb, IV, V 또는 과아포베타리포프로테인을 특징으로 한다.
혈청 내 지질, 특히 LDL-콜레스테롤이 저하되는 경우, 심혈관 질환의 발병 가능성은 저하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혈청 내 지질이 저하되는 경우, 동맥 경화증의 진행이 지연되거나 또는 동맥 경화증의 퇴행이 유도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우, 고지혈증 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으로 진단된 개체는, 심혈관 질환, 특히 관상 동맥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동맥 경화증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또는 동맥 경화증의 퇴행을 유도하는 지질 저하 치료법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과(過)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은 심혈관 질환(예, 관상 동맥 질환)의 독립적 위험인자이다. 고지혈증 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이 있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치가 높다. 높은 수치의 트리글리세라이드가 저하되면 콜레스테롤이 간접적으로 저하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은 동맥 경화증 및 관상 동맥 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높은 수치의 트리글리세 라이드를 저하시키는 지질 저하 치료법을 고려해야 한다. 콜레스테롤은 혈액 중에서 리포프로테인 착물(예: VL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고밀도 리포프로테인-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에 의해 운반된다. LDL은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을 혈관벽의 내피하 공간으로 운반한다. 혈관벽의 내피 하 공간내 LDL-콜레스테롤이 과산화 되면 동맥 경화증의 혈전이 형성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HDL-콜레스테롤은 혈전 형성에 억제 작용을 하고, 심혈관 질환 및 동맥 경화증 증상의 개시를 지연 또는 예방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최근에 몇 가지 서브타입의 HDL-콜레스테롤, 예컨대 HDL1-콜레스테롤, HDL2-콜레스테롤 및 HDL3-콜레스테롤이 확인되었다.
과거, 높은 수치의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고 HDL-콜레스테롤 수치를 상승시키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제안된 바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 방법으로는 지질 변경제 또는 저지질혈증제를 매일 투여하는 방법 및/또는 식이 요법이 있다. 제안된 또 다른 방법은, 미국 특허 제4,895,55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연속 유동 여과 시스템에 의한 주기적 혈장 파괴법에 관한 것이다. 심혈관 질환으로 진단된 고지혈증 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정상 지질혈증을 치료하기 위해 수종의 저지질혈증제가 개발된 바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 약물은 (1) 혈청 리포프로테인 또는 지질의 생성을 감소시키거나, (2) 혈청 또는 혈장으로부터 리포프로테인 또는 지질의 제거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혈청 리포프로테인 또는 지질의 농도를 저하시키는 약물로는, 콜레스테롤의 생합성 경로 중의 속도 제어 효소인 HMG-CoA 환원 효소의 억제제가 있다.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의 예로는 메바스타틴(미국 특허 제3,983,140호), 메비놀린이라고도부르는 로바스타틴(미국 특허 제4,231,938호), 프 라바스타틴(미국 특허 제4,346,227호 및 제4,410,629호), 프라바스타틴의 락톤(미국 특허 제4,448,979호), 신비놀린이라고 부르는 벨로스타틴 및 심바스타틴(미국 특허 제4,448,784호 및 제4,450,171호), 리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아토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및 세리바스타틴을 들 수 있다.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의 또 다른 예로는 미국 특허 제5,217,992호, 제5,196,440호, 제5,189,180호, 제5,166,364호, 제5,157,134호, 제5,110,940호, 제5,106,992호, 제5,099,035호, 제5,081,136호, 제5,049,696호, 제5,049,577호, 제5,025,017호, 제5,011,947호, 제5,010,105호, 제4,970,221호, 제4,940,800호, 제4,866,058호, 제4,686,237호, 제4,647,576호, 유럽 특허 출원 제0142146A2호 및 제0221025A1호, 그리고 PCT 출원 WO86/03488 및 WO 86/07054를 참고할 수 있다.
혈청 내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기타 약물의 예로는, 니코틴산, 담즙산 차단제, 예컨대 콜레스티르아민, 콜레스티폴 DEAE 세파덱스(Sephadex)[Secholex(등록상표) 및 Polidexide(등록상표)], 미국 특허 제3,674,83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프로부콜 및 관련 화합물, 리포스타빌(롱-푸랑), 에자이(Eisai) E5050(N-치환 에탄올아민 유도체), 이마닉실(HOE-402), 테트라히드로리프스타틴(THL), 이시티그마스타닐포스포릴콜린(SPC, 로슈), 아미노시클로덱스트린(다나베 세이요쿠), 아지노모토 AJ-814(아즐렌 유도체), 멜린아미드(스미토모), 산도즈(Sandoz) 58-035, 어메리칸 사이나미드(American Cyanamide) CL-277,082 및 CL-283,546(이중 치환된 우레아 유도체), 로니톨(니코틴산에 상응하는 알코올류함유), 네오마이신, p-아미노살리실 산, 아스피린, 미국 특허 제4,027,009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4급 아민 폴리(디알릴디메틸염화암모늄)과 이오넨, 미국 특허 제4,759,923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폴리(디알릴메틸아민) 유도체, 각종 어유 보충물에 함유된 오메가-3-지방산, 피브르산 유도체(예: 겜피브로질, 클로피브레이트 베자피브레이트, 페노피브레이트, 시프로피브레이트 및 클리노피브레이트) 및 미국 특허 제5,200,424호 유럽 특허 출원 제0065835A1호, 유럽 특허 제164-698-A호, 영국 특허 제1,586,152호 및 영국 특허 출원 제2162-179-A호에 기재된 것들과 같은 다른 공지된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제가 있다.
나이아신(niacin)이라고 알려진 니코틴산은 고지혈증 또는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치료에 수십년 동안 사용되어 왔다. 이 화합물은 인체 내에서 총콜레스테롤, VLDL-콜레스테롤 및 VLDL-콜레스테롤 잔류물, LDL-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Lp(a)"로 알려진 아포리포프로테인을 저하시키는 한편, 목적으로 하는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니코틴산은 대개 식사 후 3회/일로 투여된다. 이러한 투여 섭생법은 크놉프 등의 문헌["Contrasting Effects of Unmodified and Time-release Forms of Niacin on Lipoprotein in Hyperlipidemic Subjects: Clues to Mechanism of Action of Niacin": Metabolism (34) 7:642-647(1985)]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혈액 지질에 대해 매우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한 섭생법이 유리한 효 과를 나타내긴 하나, 니코틴산을 투여한 고지혈증 환자에게서는 여전히 피부 발열 증상 등이 종종 발생한다.
니코틴산 치료에 의한 피부 발열 증상을 예방하거나 또는 완화시키기 위해서, 유효량의 니코틴산과 함께 구아 검(미국 특허 제4,965,252호), 무기염(미국 특허 제5,023,245호), 무기 마그네슘 염(미국 특허 제4,911,917호), 아스피린 등의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PCT 출원 제96/32942호) 등을 병행 투여하기 위한 제제가 제안된 바 있다. 이들 약물은 니코틴산 분할 투여 관련이 있는 피부 발열 부작용을 예방하거나 또는 완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속방성 나이아신과 관련된 부작용을 예방하거나 또는 완화시키는 또 다른 방법은 서방형 제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서방형 제제는 정제 또는 캡슐제로부터 활성 성분을 서서히 방출시키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투여 제형 또는 속방성 투여 제형과 관련된 통상의 투여 빈도에 비해 투여 빈도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서방성의 약물 방출은 혈액내 약물 수치를 저하 및 연장시키므로, 종래의 나이아신 제품 또는 속방형 나이아신 제품과 관련된 피부 발열 부작용을 저하 또는 감소시킨다. 나이아신의 서방형 제제로는, 예컨대 NicobidTM 캅셀(롱-푸랑 로라), Endur-acinTM(이노바이트 코포레이션) 및 두 가지 타입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cellulose: 이하 'HPMC'로 약칭함) 및 소수성 성분을 함유하는 서방성 나이아신 제제(미국 특허 제5,126,145호 및 제5,268,181호)와 같은 것 들이 개발된 바 있다. 또한 대표적인 나이아신 함유 서방성 제제로서 약물에 더하여 팽윤제, 결합제 및 활택제를 포함하는 Niaspan (MERCK)이 시판되고 있다.
니코틴산 치료에 의한 피부 발열 증상을 예방하거나 또는 완화시키기 위해서, 유효량의 니코틴산과 함께 구아검(미국특허 제 4,965,252), 무기염(미국특허 제 5,023,245호), 무기 마그네슘염(미국 특허 제4,911,917호), 아스피린 등의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PCT 출원 제96/32942호) 등을 병행 투여하기 위한 제제가 제안된 바 있다. 이들 약물은 니코틴산 분할 투여 관련이 있는 피부 발열 부작용을 예방하거나 또는 완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서방성 제제들은 단순히 HPMC 등의 팽윤제가 수분을 흡수하여 수용성 매트릭스를 형성함으로써 약물의 방출을 지연시키는 서방성 제제로서 위장관 내에서의 pH의 변화 등에 대처하는 별도의 조절 기작을 제공하지 못하여 위와 장에서 별도의 제어 방출을 달성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반면, HMG-CoA 환원효소억제제인 스타틴계 약물들은 수십년 동안 고지혈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대표적인 예로 심바스타틴은 일부 개체 내의 HDL-콜레스테롤 수치를 상승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룬디 S.M, 의 문헌〔N Engl J Med, 319(1) :24-32, 25-26 및 31(1988.7) 참조). HMG-CoA 가 메발로네이트로 전환되는 단계는 콜레스테롤의 생합성 과정 중 초기 단 계이다. 메발로네이트의 생성을 방해하는 HMG-CoA 환원 효소의 억제는,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가 이들의 총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및 LDL-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발휘하는 것에 준하여 이루어진다 (그룬디 S.M. 의 문헌〔N Engl J Med, 319(1):24-32, 25-26(1988.7.7)〕참조).
심바스타틴은 1일 1회 복용으로 대조임상시험결과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 1일 40mg씩 저녁에 투여하거나 1일 총 80mg을 20mg, 20mg, 저녁에 40mg씩 3회에 나누어 투여한다. 다른 지질 저하치료와 병행하거나, 다른 지질저하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심바스타틴을 투여하며 노인환자에게는 1일 용량 20mg으로도 콜레스테롤치의 최대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시클로스포린을 투여하는 환자에게 심바스타틴을 동시에 투여하는 경우 초회 개시 용량은 1일 5mg이며, 1일 10mg을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아미오다론 또는 베라파밀을 투여하는 환자에게 심바스타틴을 동시에 투여하는 경우 이 약의 용량은 1일 20mg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심바스타틴을 지질저하 용량의 니아신과 병용투여한다면 근증/횡문근변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신장으로 많이 배설되지 않으므로 경증의 신부전환자의 경우 용량조절이 필요하지 않으나 중증의 신부전환자의 경우 세심하게 모니터링 하여야 한다.
아토르바스타틴은 1일 1회 복용으로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복합형 이상지질혈증 환자에게 10mg을 투여하며 치료학적 반응은 2주 이내에 나타나며 최대효과는 4주 이내에 달성된다. 아토르바스타틴은 일반적으로 내약성이 좋으나 대조 임상연구에 참여한 환자 2%에게서 근육통과 소화불량 전신 무력감등의 이상반응이 나타났다.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에는 결점이 있다.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는 여러 근증/횡문근변성을 유발할 수 있다. 근증은 근육통과 압통 혹은 근육약화를 주증상으로 하고 크레아티닌키나제의 상승을 동반한다. 또한 임상시험 결과 심바스타틴을 투여한 환자의 1%에서 트란스아미나제치의 상승이 일어난다. 이와 같은 현상은 가넷 W.R.의 논문 〔Am J Cardiol, 78(Suppl 6A):20-25(1996.9.26), 로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연구단( The Lovastatin Pravastatin Study Group)의 논문〔Am J Cardiol, 71:810-815(1993.4.1), 두조브네 C.A.등의 논문〔Am J Med, 91(suppl 1B): 25S-30S(1991.7.31)〕및 만텔 G.M. 등의 논문〔Am J Cardiol, 66:11B-15B(1990.9.18)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의 치료를 위해서는 나이아신 및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가 갖는 부작용을 최대한 경감시키면서도 효과적으로 상기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나이아신 제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서방성 제제와 같이 수용성 매트릭스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위와 장에서 별도의 제어방출 시스템이 작용하여 약물의 방출 제어가 정교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장에서 약물의 제어 방출이 우수한, 유효량의 나이아신; pH-의존적 고분자 기제; pH-비의존적 고분자 기제; 첨가제; 붕해제; 및 활택제를 포함하는 나이아신 서방성 제제를 개발하여 2006년 6월 19일자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93252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런데, 부작용 경감 및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나이아신의 정교하고 일정한 제어 방출은 단순히 원하는 용출 범위 내로 제제의 용출율을 조절하는 것으로만 달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제제의 용출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용출 패턴이 급격히 변화하지 않고 일정하게 원하는 용출 패턴으로 유지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특히 나이아신 제제가 장기간 약물을 투여하여야만 하는 고지혈증과 같은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는 점에서 약물의 유효 혈중 농도 유지시간을 일정하게 하고, 보다 높은 약물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나이아신 제어방출형 제제의 개발은 나이아신의 제제 생산에 있어 매우 중요한 선결 과제라 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매트릭스 형태는 폴리머가 제제 중에 골고루 분포하여 약물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만드는 방식으로 약물의 초기방출 및 전체적인 방출조절을 매우 일정한 패턴을 보이게 하여 보다 안전한 약물 복용이 가능하게 하여야 한다. 그런데, 기존의 일반적인 나이아신 서방성 제제의 수용성 매트릭스는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지 않는 불규칙한 침식 메카니즘(erosion mechanism)에 의해 유효 성분인 나이아신이 용출되게 하는데, 이와 같은 메카니즘에 의해서는 제제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매우 불규칙하게 침식되기 때문에 용출 패턴이 매우 고르지 못하며, 이로 인해 생체 내에서 예상치 못한 조건에 의해 용출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예를 들어 dose-dumping 현상) 원하지 않는 나이아신의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시간보다 빨리 유효 성분의 용출이 완료될 수 있으며 각 시간별, 각 제제별, 각 개체별로 일정한 생체 이용율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나이아신의 서방형 제제의 개발을 위하여, HPMC 및/또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와 같은 고분자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수용성 매트릭스 형태를 생성하게 하여 약물을 서방형으로 방출시키는 기술만이 공지되어 있을 뿐, 이러한 매트릭스를 실질적으로 원하는 시간 동안 일정한 형태를 유지시키는 것에 대한 문제제기 및 그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전혀 공지된 바가 없다.
본 발명자는 이에 계속적인 연구를 거듭한 결과, pH-비의존적 고분자로서 HPMC와 pH-의존적 고분자로서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를 일정한 비율로 사용하는 경우 놀랍게도 나이아신 제제의 용출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나이아신 제제가 일정한 매트릭스 형태를 유지하여 탁월한 성능을 가지는 제어방출형태의 나이아신 제제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이를 2007년 9월 7일자에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91181호로 출원한 바 있으며, 이 문헌은 본 발명의 참고문헌으로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에 추가하여 이러한 나이아신 제어방출형 제제를 속방형의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와 함께 단일의 복합제제를 제조하는 경우, 나이아신의 정교한 제어방출로 인한 나이아신의 부작용 감소 및 탁월한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에 관한 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용성 매트릭스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나이아신 제제의 용출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나이아신 제제가 일정한 매트릭스 형태를 유지하여 나이아신의 방출 제어가 매우 정교하기 이루어지는 새로운 나이아신 제어방출형 제제와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제제를 포함하여 매우 탁월한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 치료 효과를 가지는 복합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나이아신,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나이아신 제어방출형 제제; 및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되,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가 1:1 내지 1:100,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50, 가장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20인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 치료용 제어방출형 복합 제제에 관한 것이다.
용어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는 생체내에서 코엔자임 Q10의 합성이나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로서, 특히 콜레스테롤의 합성하는 과정에서 HMG-CoA를 메발로네이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HMG-CoA 환원 효소 (3-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reductase)의 작용을 억제시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로 알려진 물질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심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로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및 프라바스타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나이아신"이라 함은 니코틴산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예를 들어 니코틴산, 니코틴아미드, 니코틸 알콜 타르트레이트(nicotyl alcohol tartrate) 및 d-글루시톨 헥사니코티네이트(d-glucitol hexanicotinate) 등이 포함되며 생체 내에서 대사되어 니코틴산으로 전환가능한 모든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어방출형 제제에 포함되는 나이아신의 양은 약물의 경제성 및 안정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통상 300 내지 1000mg(1일 1회 서방용),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mg이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나이아신은 특징적인 제어방출형 형태로 제제화된다.
본 발명의 복합 제제에 사용되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HPMC라고도 불리우며, 일반적으로 브랜드명 Methocel로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HPMC는 다양한 등급으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모든 HPMC를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 예를 들어 EP 375156, US 4,369,172, US 4,357,469, US 4,226,846 및 US 4,389,393에 언급 된 모든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HPMC의 제조방법은 종래 기술에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HPMC는 80,000 내지 120,0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한 HPMC의 점도는 100,000 cps 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제제에 사용되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는 또한 "카보머" 또는 카르복시폴리메틸렌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공급원, 예를 들면 Noveon, Inc.(Cleveland, Ohio)(상표명, 카르보폴®로 유통된다)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카르보폴 폴리머는 가교결합된, 아크릴산-기초 폴리머로서 알릴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알릴 펜타에리트리톨과 가교결합 되어있다. 카르보폴 코폴리머는 C10-80 알킬 아트릴레이트에 의해 변형된 아크릴산의 폴리머이고, 알릴펜타에리트리톨과 가교결합 되어있다.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의 종류에는 카보머 910, 934, 934P, 940, 971P, 974P 및 1342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모든 종류의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보머 934P, 971P 및 974P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Carbopol 934P NF, Carbopol 971NF, Carbopol 974P NF 및 Carbopol 71G NF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의 비율은 전체 총 중량의 0.3% 내지 10% 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HPMC와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는 나이아신 제제가 그 투여시 약효가 지속되기를 원하는 시간 동안 일정한 용출율 및 패턴을 유지할 수 있는 매트릭스 형태가 침식되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나이아신의 제어용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비율로 본 발명의 복합 제제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및 HPMC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HPMC가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50, 가장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20의 중량비로 본 발명의 복합 제제에 포함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복합제제는 항산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항산화제는 약제학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항산화제는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항산화제의 예로는 수용성 비타민 C, 비타민 E, 래디칼 저해제인 토코페놀(Tocopherol), 쎄사몰(Sesamol), 진저론(Gingeron), 캡사이신(Capsaicin), 퀘르세틴(Quercetin) 및 갈릭산(Garlic acid)와 항산화 작용이 거의 없으나 래디칼 저해제와 공존시 상승효과가 있는 구연산 및 아스코르빈산 등이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복합 제제는 추가적으로 첨가제, 붕해제, 활택제, 결합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붕해제는 수분을 흡수하여 나이아신의 용출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의 제제에 사용될 수 있는 붕해제의 일 예로는 크로스카멜로오스 소듐(Croscamellose sodium), 소듐 스타치 글리콜레이트(Sodium starch glycolate) 프리젤라틴화된 스타치(Pregelatinized Starch)[Starch 1500® 또는 Prejel®], 미세결정셀룰로오즈(microcrystalline cellulose), 크로스포비돈(Crospovidone, cross-linked povidone)과 기타 상업적으로 유용한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Povidone®),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cellulose, low substituted), 알긴산(alginic acid),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칼슘염 및 나트륨염,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fumed silica, colloidal sillica), 구아 검(guar gum), 마그네슘 알류미늄 실리케이트(Magnesium aluminium silicate),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분말성 셀룰로오스, 전분 및 소디움 알지네이트(sodium algin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붕해제로 크로스카멜로오스 소듐, 소듐 스타치 글리콜레이트, 프리젤라틴화 스타치, 미세결정셀룰로오스 또는 크로스포비돈 및 상업적으로 유용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붕해제로서 크로스포비돈, 소듐스타치글리콜레이트 또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두 가지 이상의 붕해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 이때, 붕해제는 5 내지 20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중량부이다.
또한, 본 발명의 나이아신 복합 제제에 사용되는 활택제는 경구용 제제의 성형성을 향상시켜 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그 일 예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산화실리카(SiO2) 또는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colloidal silica, Cab-O-SIL®) 혹은 탈크(talc)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활택제는 0.1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제제에는 결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제로서는 임의의 공지된 결합제를 제한 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1-에테닐-2-피롤리디논(1-ethenyl-2-pyrrolidinone)의 반복단위를 가지는 폴리머류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머는 일반적으로 10,000 내지 700,000의 분자량을 가지며 "포비돈(povidone)"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결합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복합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로는 락토오스, 설탕, 만니톨, 유당 및 소르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보존제, 안정화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수행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제제는 적합한 다양한 경구투여 제형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바람직한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의 복합제제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 치료 효과의 최적화 및 부작용의 효율적인 감소를 위하여 이층정 또는 피복정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복합 제제가 이층정으로 제형화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제 1층은 정제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층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활성 성분 3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를 포함한다. 또한 제 2층은 상기 카르복시비닐폴리머와 HPMC가 특정 조성비로 포함되는 나이아신 제어방출형 제제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활성 성분 1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제제가 피복정으로 제형화되는 경우, 나이아신을 함유하는 제어방출형 제제는 핵으로 제조되고 이를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피복물은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 가소제, 계면활성제, 필름 형성제 및 피복제 및 착색제를 포함한다.
피복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매는 물, 알코올, 에스테르류, 케톤류 및 염화 탄화수소류가 있으며 기제로는 셀룰로오스류, 비닐류 및 글리콜류, 가소제로서는 폴리하이드릭 알콜류, 아세테이트 에스터류, 프탈레이트 에스터류 및 글리세라이드류와 오일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피복물에서 필름형성제 및 피복제의 예시적인 양은 정제의 약 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복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를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히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의 용액 중에 현탁 또는 용해시킨 후 유효량의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를 함유하는 두께가 되도록 필름 피복 공정에 의해 서방형 정제 표면에 분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당한 피복 두께의 예로는 약 0.1mm 내지 약 2.0mm의 범위 또는 그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제제에 포함되는 나이아신의 양은 약물의 경제성 및 안정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통상 300 ~ 1000mg(1일1회 성방용), 바람직하게는 500 ~ 1000mg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제제에 포함되는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의 양은 약물의 경제성 및 안정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통상 2 ~ 80mg(1일1회), 바람직하게는 10 ~ 20mg이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복합 제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 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경구투여용 제제를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습식 또는 건식법에 의해 본 발명의 제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습식 또는 건식법은 원료의 조립법에 의해 나누어지는 것으로, 건식법은 저속타정기(slug machine) 또는 롤러콤팩터(roller compactor)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건식조립법으로 만든 슬러지(slug)나 쉬트(sheet)상 물질을 분쇄 및 정립하여 활택제를 혼합하여 압축하는 방법이다. 또한, 습식법은 주약을 가해서 만든 습성과립을 압축하는 방법으로 많은 약제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제정법이다. 습식 과립은 압출조립법, 파쇄형조립법으로 습윤 과립을 만들어 이것을 건조 및 정립하여 활택제, 필요하면 붕해제를 가하여 타정한다. 이러한 습식 또는 건식법은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이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a) 나이아신;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첨가제 및 붕해제를 혼합하는 단계;
(b)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 첨가제; 붕해제; 및 항산화제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a) 및 (b)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 각각에 액상 용매를 첨가하여 과립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및
(c) 활택제를 혼합하여 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이때, 카르복시비닐폴리머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카르복시비 닐 폴리머 : HPMC가 특정한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나이아신 제어방출형 제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HPMC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50, 가장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20이다.
본 발명의 나이아신 제어방출형 제제의 제조시 혼합 분말에 첨가되는 상기 용매는 유효성분인 나이아신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일반적으로 과립의 제조에 사용되는 용매는 모두 사용가능하며 이러한 용매들은 당해 업계에 매우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물,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상 용매는 에탄올 또는 물 및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용매가 물 단독 또는 물 및 에탄올의 혼합 용매일 경우, 약물 중량비에 5 내지 40%를 사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3%를 사용한다. 또한,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a) 단계에서 추가적으로 결합제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나이아신, HPMC, 카보머, 첨가제 및 붕해제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소량의 액상 용매를 가하고 다시 혼합하여 습윤 및 건조된 습식 과립을 제조하고 상기 습식 과립을 건조 후 밀링하고 활택제 및/또는 결합제를 후혼합하여 일반 정제기를 사용하여 직접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나이아신 제어방출형 제제를 포함하는 핵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a)에서 제조된 핵에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이때,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HPMC가 1:1 내지 1:100,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50, 가장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20인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제1항에 따른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 치료용 제어방출형 복합 제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복합 제제는 피복정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하기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카르복시비닐폴리머와 HPMC의 비율을 달리하여 나이아신 제제를 제조한 후 이들 제제가 매트릭스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지 여부를 관찰한 결과, 나이아신 제제가 카르복시비닐폴리머:HPMC로 1:1 내지 1:100,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50, 가장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20인 중량비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및 HPMC를 포함하는 경우에, 예기치 못하게 기존 시판제제와는 달리 특이적으로 제제의 매트릭스 형태가 24시간 이상 일정하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제제는 그에 포함되는 신규한 나이아신 제어방출형 제제에 의해 기존의 시판 제제에 비해 우수한 용출 제어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나이아신 방출 과다로 인한 피부발열 및 홍조 등의 부작용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부작용으로 인하여 복합 제제화로 인한 효용성 낮았던 나이아신과 HMG-CoA 환원 효소 억제 제를 복합화함으로써,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의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보다 상세히 기술할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약물인 니아신 500.0mg과 부형제인 유당 52.0mg과 미결정셀룰로오스 52.0mg을 충분히 혼합하여 약물의 유동성을 증가시켰다. 상기에 더하여 고분자 기제로, HPMC 170.0mg을 분말 혼합기에 넣어 균일하게 혼합한 후 에탄올로 분무하여 습식과립을 제조하였다.
통상 정제 100정을 제조하기 위해 에탄올 10ml를 사용하였다. 필요에 따라 처방 중 소량의 고분자 기제를 물 또는 알코올의 혼합 용매에 녹여 분말을 과립화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제조된 과립은 60℃온도의 오븐에서 충분히 건조한 후 고르게 밀링하고, 후 혼합으로 제제의 성형을 위해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6mg을 추가로 혼합하고 로타리 정제기를 사용하여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조성에서 고분자 기제로서 소디움 알지네이트 60.0mg을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6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조성에서 고분자 기제로서 카보폴 60.0mg을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조성에서 고분자 기제로서 카보폴 60.0mg을 추가로 사용한 것과 결합제로서 포비돈 17.0m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6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니아신을 함유하는 경구용 제제에 대한 조성을 하기 표1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08039632207-PAT00001
<실험예 1> 경도시험 및 약물함량 실험
종래의 시판정제(Niaspanor®)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니아신을 함유하는 경구용 정제에 대하여 각각 10정씩 취하여 ERWEKA 경도측정기를 사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종래 시판정제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를 각각 20정씩 취하여 유발에서 분말로 갈았다. 상기 제조한 분말을 니아신으로서 500.0mg 해당하는 양을 달아 1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50ml 물을 넣어 30분간 가온한 다음 초음파 추출한 다음 물을 넣어 100ml로 한다. 위의 용액 1ml를 정확히 취하여 1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물을 넣어 100ml로 한액을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파장 262nm 영역에서 역상컬럼(C18)을 사용하여 니아신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종래의 시판정제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의 경도 평균값과 함량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39632207-PAT00002
상기 표 2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는 고분자 기제인 HPMC, 카보머 또는 소디움 알지네이트의 함량이 높을수록 종래의 시판정제보다 경도가 유사하거나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상기 표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경구용 정제는 니아신을 평균 95%이상을 함유하고 있으며 종래의 시판제제와 유의성 있는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 및 종래의 시판정제에 대하여 물, 인공위액(pH 1.2), 초산 완충액(pH 4.0) 및 인공장액(pH 6.8) 각각의 용출액 조건에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용출률을 시험하였다.
일정 함량의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를 대한 약전 제 8개정 용출시험법에 따라 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 및 종래의 시판 정제를 정확히 무게를 측정한 후에 물, 인공위액(pH 1.2), 초산 완충액(pH 4.0), 인공장액(pH 6.8)에서 용출용액 900ml에서 패들 방법(paddle method)(100rpm)을 이용하였고, 용출온도 37±1℃에서 24시간 동안 용출시험을 진행하였다. 용출시험을 시작하고 15분, 30분, 60분, 90분, 2시간부터는 1시간 간격으로 24시간까지 각각의 용출액 1ml씩을 채취한 후, 동시에 같은 양의 용출용액을 보충해 주었다. 채취한 용출액은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검액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각각 실험하였다.
<조건>
- 컬럼 : Kromasil KR100-5C18 (250 Χ 4.6mm)
- 이동상 : pH 3.0, 0.05mol 인산이수소나트륨 : 메탄올 (4:1)을 1ℓ로 한 다음 1-옥탄설폰산나트륨 1.1g을 넣어 이동상으로 한다.
- 파장 : 262 nm
- 유속 : 1.0 ml/min
표준 검량선으로부터 약물의 농도를 먼저 계산하고, 용출률(%)로 환산하였다. 우선 가장 적절한 실시예의 처방을 선정하였고 선정한 처방에 따라 물, 인공위액(pH 1.2), 초산 완충액(pH 4.0), 인공장액(pH 6.8)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 및 종래의 시판 정제에 대하여 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시판정제와 비교한 물에서의 용출률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39632207-PAT00003
<실시예 5>
약물인 니아신 1000.0mg과 부형제인 유당 15.0mg과 미결정셀룰로오스 15.0mg을 충분히 혼합하여 약물의 유동성을 증가시켰다. 상기에 더하여 고분자 기제로, HPMC 120.0mg을 분말 혼합기에 넣어 균일하게 혼합한 후 에탄올로 분무하여 습식과립을 제조하였다.
통상 정제 100정을 제조하기 위해 에탄올 10ml를 사용하였다. 필요에 따라 처방 중 소량의 고분자 기제를 물 또는 알코올의 혼합 용매에 녹여 분말을 과립화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제조된 과립은 60℃온도의 오븐에서 충분히 건조한 후 고르게 밀링하고, 후 혼합으로 제제의 성형을 위해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0mg을 추가로 혼합하고 로타리 정제기를 사용하여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의 조성에서 고분자 기제로서 소디움 알지네이트 30.0mg을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5의 조성에서 고분자 기제로서 카보폴 30.0mg을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5의 조성에서 고분자 기제로서 카보폴 30.0mg을 추가로 사용한 것과 결합제로서 포비돈 17.0m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니아신을 함유하는 경구용 제제에 대한 조성을 하기 표 4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니아신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HPMC 소디움알지네이트 카보폴 포비돈 소디움스타치글리콜레이트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실시예5 1000.0 15.0 15.0 120.0 - - - - 20.0
실시예6 1000.0 15.0 15.0 120.0 30.0 - - - 20.0
실시예7 1000.0 15.0 15.0 120.0 - 30.0 - - 20.0
실시예8 1000.0 15.0 15.0 120.0 - 30.0 17.0 - 20.0
<실험예 3>
종래의 시판정제(Niaspanor®)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니아신을 함유하는 경구용 정제에 대하여 각각 10정씩 취하여 ERWEKA 경도측정기를 사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종래 시판정제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를 각각 20정씩 취하여 유발에서 분말로 갈았다. 상기 제조한 분말을 니아신으로서 1000.0mg에 해당하는 양을 달아 1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50ml 을 넣어 30분간 가온한 다음 초음파 추출한 다음 물을 넣어 100ml로 한다. 위의 용액 1ml를 정확히 취하여 1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물을 넣어 100ml로 한 액을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파장 262nm 영역에서 역상컬럼(C18)을 사용하여 니아신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종래의 시판정제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의 경도 평균값과 함량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39632207-PAT00004
상기 표5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는 고분자 기제인 HPMC, 카보머 또는 소디움 알지네이트의 함량이 높을수록 종래의 시판정제보다 경도가 유사하거나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상기 표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경구용 정제는 니아신을 평균 95%이상을 함유하고 있으며 종래의 시판제제와 유의성 있는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 및 종래의 시판정제에 대하여 물, 인공위액(pH 1.2), 초산 완충액(pH 4.0), 인공장액(pH 6.8) 각각의 용출액 조건에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용출률을 시험하였다.
일정 함량의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를 대한 약전 제 8개정 용출시험법에 따라 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 및 종래의 시판 정제를 정확히 무게를 측정한 후에 물, 인공위액(pH 1.2), 초산 완충액(pH 4.0), 인공장액(pH 6.8)에서 용출용액 900ml에서 패들 방법(paddle method)(100rpm)을 이용하였고, 용출온도 37±1℃에서 24시간 동안 용출시험을 진행하였다. 용출시험을 시작하고 15분, 30분, 60분, 90분, 2시간부터는 1시간 간격으로 24시간까지 각각의 용출액 1ml씩을 채취한 후, 동시에 같은 양의 용출용액을 보충해 주었다. 채취한 용출액은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검액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각각 실험하였다.
<조건>
- 컬럼 : Kromasil KR100-5C18 (250 Χ 4.6mm)
- 이동상 : pH 3.0, 0.05mol 인산이수소나트륨 : 메탄올 (4:1)을 1ℓ로 한 다음 1-옥탄설폰산나트륨 1.1g을 넣어 이동상으로 한다.
- 파장 : 262 nm
- 유속 : 1.0 ml/min
표준 검량선으로부터 약물의 농도를 먼저 계산하고, 용출률(%)로 환산하였다. 우선 가장 적절한 실시예의 처방을 선정하였고 선정한 처방에 따라 물, 인공위액(pH 1.2), 초산 완충액(pH 4.0), 인공장액(pH 6.8)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 및 종래의 시판 정제에 대하여 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시판정제와 비교한 물에서의 용출률을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39632207-PAT00005
<실시예 9>
약물인 심바스타틴 20mg과 부형제인 유당 80.0mg, 미결정셀룰로오스 80.0mg과 구연산 2.5mg을 충분히 혼합하여 약물의 유동성을 증가시켰다. 상기에 더하여 항산화제로서 아스코르빈산 5mg과 부틸히드록시아니솔 0.1mg을 분말 혼합기에 넣어 균일하게 혼합한 후 호화전분 20mg이 용해되어 있는 에탄올로 분무하여 습식과립을 제조하였다.
통상 정제 100정을 제조하기 위해 에탄올 5ml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과립은 60℃온도의 오븐에서 충분히 건조한 후 고르게 밀링하고, 후 혼합으로 제제의 성형을 위해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추가로 혼합하고 로타리 정제기를 사용하여 심바스타틴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9의 조성에서 유당을 100.0mg과 미결정셀룰로오스 60.0m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심바스타틴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9의 조성에서 유당을 120.0mg과 미결정셀룰로오스 40.0m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심바스타틴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9의 조성에서 유당을 140.0mg과 미결정셀룰로오스 20.0m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심바스타틴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9의 조성에서 유당을 60.0mg과 미결정셀룰로오스 100.0m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심바스타틴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9의 조성에서 유당을 40.0mg과 미결정셀룰로오스 120.0m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심바스타틴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9의 조성에서 유당을 20.0mg과 미결정셀룰로오스 140.0m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심바스타틴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심바스타틴을 함유하는 경구용 제제에 대한 조성을 하기 표 7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08039632207-PAT00006
<실험예 5>
종래의 시판정제(조코정®)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심바스타틴을 함유하는 경구용 정제에 대하여 각각 10정씩 취하여 ERWEKA 경도측정기를 사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종래 시판정제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를 각각 20정씩 취하여 유발에서 분말로 갈았다. 상기 제조한 분말을 심바스타틴으로서 20.0mg 해당하는 양을 정확히 달아 1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pH 4.0의 아세토니트릴 : 0.01M 인산이수소칼륨용액(60:40)으로 표선을 맞추고 혼화하여 검액으로 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파장 238nm 영역에서 역상컬럼(C18)을 사용하여 심바스타틴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종래의 시판정제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의 경도 평균값과 함량을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39632207-PAT00007
상기 표 8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는 부형제인 유당의 함량이 높을수록 종래의 시판정제보다 경도가 유사하거나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상기 표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경구용 정제는 심바스탄틴을 평균 95%이상을 함유하고 있으며 종래의 시판제제와 유의성 있는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 및 종래의 시판정제에 대하여 용출시험액 (0.5% 라우릴황산나트륨, 0.01M 인산염 완충액, pH 7.0) 900ml를 써서 대한 약전 제 8개정 용출시험법 제2법에 따라, 매분 37±1℃에서 50회전으로 시험한다. 용출시험을 시작하고 5분 10분 15분 30분 45분후에 용출액 약 10ml을 취해 4000rpm 에서 약 2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해 검액으로 하여 용출률을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각각 시험하였다.
<조건>
- 컬럼 : Hypersil ODS C18 (250 Χ 4.6mm)
- 이동상 : 0.025M 인산이수소나트륨(pH 4.5) :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35:65)
- 파장 : 238nm
- 유속 : 1.5 ml/min
- 컬럼온도 : 45℃
표준 검량선으로부터 약물의 농도를 먼저 계산하고, 용출률(%)로 환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 및 종래의 시판 정제에 대하여 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시판정제와 비교한 물에서의 용출률을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39632207-PAT00008
<실시예 16>
실시예 12의 조성으로 제조한 심바스타틴을 함유한 과립물과 실시예 1의 조성으로 제조한 니아신을 함유한 과립물 각 층의 성분들을 이층정으로 타정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2의 조성으로 제조한 심바스타틴을 함유한 과립물과 실시예 2의 조성으로 제조한 니아신을 함유한 과립물 각 층의 성분들을 이층정으로 타정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2의 조성으로 제조한 심바스타틴을 함유한 과립물과 실시예 3의 조성으로 제조한 니아신을 함유한 과립물 각 층의 성분들을 이층정으로 타정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2의 조성으로 제조한 심바스타틴을 함유한 과립물과 실시예 4의 조성으로 제조한 니아신을 함유한 과립물 각 층의 성분들을 이층정으로 타정하였다.
<실험예 7>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층정으로 제조된 니아신과 심바스타틴을 함유하는 경구용 정제에 대하여 10정을 취하여 ERWEKA 경도측정기를 사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층정으로 제조된 니아신과 심바스타틴을 함유하는 경구용 정제를 20정을 취하여 유발에서 분말로 갈았다. 상기에서 제조한 분말을 니아신으로서 500mg에 해당하는 양을 각각 달아 1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50ml물을 넣어 30분간 가온한 다음 초음파 추출한 다음 물을 넣어 100ml로 한다. 위의 용액 1ml를 정확히 취하여 1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물을 넣어 100ml로 한 액을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파장 262nm 영역에서 역상컬럼(C18)을 사용하여 니아신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종래의 시판정제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의 경도 평균값과 함량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에서 제조한 분말을 심바스타틴으로서 20.0mg 해당하는 양을 정확히 달아 1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pH 4.0의 아세토니트릴 : 0.01M 인산이수소칼륨용액(60:40)으로 표선을 맞추고 혼화하여 검액으로 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파장 238nm 영역에서 역상컬럼(C18)을 사용하여 심바스타틴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종래의 시판정제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의 경도 평균값과 함량을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경도(kg) 심바스타틴 함량(%) 니아신 함량(%)
실시예16 11.3 99.5 99.8
실시예17 11.2 99.4 99.2
실시예18 12.4 99.2 99.6
실시예19 12.8 100.4 100.1
상기 표10 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이층정제는 부형제인 유당의 함량이 높을수록 경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상기 표 1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경구용 정제는 심바스탄틴과 니아신의 함량평균 95%이상을 함유하고 있으며 각각의 단일정제와 비교하여 경도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8>
상기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이층정제 중 서방성인 니아신의 물, 인공위액(pH 1.2), 초산 완충액(pH 4.0), 인공장액(pH 6.8) 각각의 용출액 조건에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용출률을 시험하였다.
일정 함량의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를 대한 약전 제 8개정 용출시험법에 따라 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 및 종래의 시판 정제를 정확히 무게를 측정한 후에 물, 인공위액(pH 1.2), 초산 완충액(pH 4.0), 인공장액(pH 6.8)에서 용출용액 900ml에서 패들 방법(paddle method)(100rpm)을 이용하였고, 용출온도 37±1℃에서 24시간 동안 용출시험을 진행하였다. 용출시험을 시작하고 15분, 30분, 60분, 90분, 2시간부터는 1시간 간격으로 24시간까지 각각의 용출액 1ml씩을 채취한 후, 동시에 같은 양의 용출용액을 보충해 주었다. 채취한 용출액은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검액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각각 실험하였다.
<조건>
- 컬럼 : Kromasil KR100-5C18 (250 Χ 4.6mm)
- 이동상 : pH 3.0, 0.05mol 인산이수소나트륨 : 메탄올 (4:1)을 1ℓ로 한 다음 1-옥탄설폰산나트륨 1.1g을 넣어 이동상으로 한다.
- 파장 : 262 nm
- 유속 : 1.0 ml/min
상기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이층정중 속방성인 심바스타틴은 용출시험액 (0.5% 라우릴황산나트륨, 0.01M 인산염 완충액, pH 7.0) 900ml를 써서 대한 약전 제 8개정 용출시험법 제2법에 따라, 매분 37±1℃에서 50회전으로 시험한다. 용출시험을 시작하고 5분 10분 15분 30분 45분후에 용출액 약 10ml을 취해 4000rpm 에서 약 2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 1ml을 1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아세토니트릴을 넣어 100ml로 한액을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검액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각각 실험하였다.
<조건>
- 컬럼 : Hypersil ODS C18 (250 Χ 4.6mm)
- 이동상 : 0.025M 인산이수소나트륨(pH 4.5) :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35:65)
- 파장 : 238nm
- 유속 : 1.5 ml/min
- 컬럼온도 : 45℃
표준 검량선으로부터 약물의 농도를 먼저 계산하고, 용출률(%)로 환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 및 종래의 시판 정제에 대하여 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물에서의 용출률만을 하기 표 11 및 표12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39632207-PAT00009
Figure 112008039632207-PAT00010
<실시예 20>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 4의 니아신 서방정 조성물에 속방성 형태인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심바스타틴으로 이루어진 피막으로 피복된 서방성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로타리 정제기를 사용하여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 제조하였다.
상기의 제조된 니아신 함유 서방성 정제를 다음과 같이 하이코터 HCT 48/60을 이용하여 피복하였다. 심바스타틴 20mg,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1.65mg,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65mg 및 산화티탄1.5mg, 정제 탈크 0.60mg을 약 5분 동안 예비 혼합한다. 이 혼합물들을 100mesh체를 통과 시킨후 정제수를 넣어 미리 무게를 달아놓은 용기에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 물질이 완전히 분산 현탁될 때까지 혼합을 계속한다.
피복 현탁액의 제조 후, 서방성 정제를 다음과 같이 피복한다. 정제 피복기는 단일의 건형 분무바와 2.5mm 뚜껑 및 1.5mm의 노즐구가 장착되어야 한다. 기계적 조건은 팬의 속도 15 rpm, 입구 공기 온도는 60℃, 배출공기 온도는 40℃로 설정하며 냉각시 팬의 속도 3.3 rpm, 입구공기 가열을 중지, 피복된 정제의 온도는 35℃ 이하로 냉각한다.
피복된 정제는 속방형 심바스타틴, 서방형 니아신을 함유하며 피복된 정제 중량범위의 대략 ±10% 가 되어야한다.
<실시예 21>
실시예 20의 조성에서 산화방지제로서 부틸히드록시아니솔 0.02mg, 아스코르빈산 2.5mg 을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0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 제조하여 속방형 심바스타틴, 서방형 니아신을 함유하는 피복된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20의 조성에서 착색제로서 황색산화철 0.092mg, 적색산화철 0.023mg 을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0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 제조하여 속방형 심바스타틴, 서방형 니아신을 함유하는 피복된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20의 조성에서 산화방지제로서 부틸히드록시아니솔 0.02mg, 아스코르빈산 2.5mg, 착색제로서 황색산화철 0.092mg, 적색산화철 0.023mg 을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0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 제조하여 속방형 심바스타틴, 서방형 니아신을 함유하는 피복된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8>
상기 발명의 실시예에서 속방형 심바스타틴으로 피복된 니아신 함유 경구용 정제에 대하여 10정을 취하여 실험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함량과 경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08039632207-PAT00011
상기 표 13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속방성 HMG-CoA 환원억제제로 피복된 서방성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의 경도는 피복물의 조성에 큰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상기 표 1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경구용 정제는 심바스탄틴과 니아신의 함량평균 95%이상을 함유하고 있으며 각각의 단일정제와 비교하여 경도의 유의성을 확인할수 있다.
<실시예 24>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 8의 니아신 서방정 조성물에 속방성 형태인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심바스타틴으로 이루어진 피막으로 피복된 서방성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로타리 정제기를 사용하여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 제조하였다.
상기의 제조된 니아신 함유 서방성 정제를 다음과 같이 하이코터 HCT 48/60을 이용하여 피복하였다. 심바스타틴 20mg,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1.65mg,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65mg 및 산화티탄1.5mg, 정제 탈크 0.60mg을 약 5분 동안 예비 혼합한다. 이 혼합물들을 100mesh체를 통과 시킨후 정제수를 넣어 미리 무게를 달아놓은 용기에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 물질이 완전히 분산 현탁될 때까지 혼합을 계속한다.
피복 현탁액의 제조 후, 서방성 정제를 다음과 같이 피복한다. 정제 피복기는 단일의 건형 분무바와 2.5mm 뚜껑 및 1.5mm의 노즐구가 장착되어야 한다. 기계적 조건은 팬의 속도 15 rpm, 입구 공기 온도는 60℃, 배출공기 온도는 40℃로 설정하며 냉각시 팬의 속도 3.3 rpm, 입구공기 가열을 중지, 피복된 정제의 온도는 35℃ 이하로 냉각한다.
피복된 정제는 속방형 심바스타틴, 서방형 니아신을 함유하며 피복된 정제 중량범위의 대략 ±10% 가 되어야한다.
<실시예 25>
실시예 24의 조성에서 산화방지제로서 부틸히드록시아니솔 0.02mg, 아스코르빈산 2.5mg 을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 제조하여 속방형 심바스타틴, 서방형 니아신을 함유하는 피복된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6>
실시예 24의 조성에서 착색제로서 황색산화철 0.092mg, 적색산화철 0.023mg 을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 제조하여 속방형 심바스타틴, 서방형 니아신을 함유하는 피복된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7>
실시예 24의 조성에서 산화방지제로서 부틸히드록시아니솔 0.02mg, 아스코르빈산 2.5mg, 착색제로서 황색산화철 0.092mg, 적색산화철 0.023mg 을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 제조하여 속방형 심바스타틴, 서방형 니아신을 함유하는 피복된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9>
상기의 실시예에서 속방형 심바스타틴으로 피복된 니아신 함유 경구용 정제에 대하여 10정을 취하여 실험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함량과 경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08039632207-PAT00012
상기 표 14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속방성 HMG-CoA 환원억제제로 피복된 서방성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의 경도는 피복물의 조성에 큰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상기 표 1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경구용 정제는 심바스탄틴과 니아신의 함량평균 95%이상을 함유하고 있으며 각각의 단일정제와 비교하여 경도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0>
상기 발명 실시예에서 제조된 속방성 HMG-CoA 환원억제제로 피복된 서방성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의 용출률을 물, 인공위액(pH 1.2), 초산 완충액(pH 4.0), 인공장액(pH 6.8)에서 시험하였다.
일정 함량의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를 대한 약전 제 8개정 용출시험법에 따라 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 및 종래의 시판 정제를 정확히 무게를 측정한 후에 물, 인공위액(pH 1.2), 초산 완충액(pH 4.0), 인공장액(pH 6.8)에서 용출용액 900ml에서 패들 방법(paddle method)(100rpm)을 이용하였고, 용출온도 37±1℃에서 24시간 동안 용출시험을 진행하였다. 용출시험을 시작하고 15분, 30분, 60분, 90분, 2시간부터는 1시간 간격으로 24시간까지 각각의 용출액 1ml씩을 채취한 후, 동시에 같은 양의 용출용액을 보충해 주었다. 채취한 용출액은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검액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각각 실험하였다.
<조건>
- 컬럼 : Kromasil KR100-5C18 (250 Χ 4.6mm)
- 이동상 : pH 3.0, 0.05mol 인산이수소나트륨 : 메탄올 (4:1)을 1ℓ로 한 다음 1-옥탄설폰산나트륨 1.1g을 넣어 이동상으로 한다.
- 파장 : 262 nm
- 유속 : 1.0 ml/min
상기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피복물중 속방성인 심바스타틴은 용출시험액 (0.5% 라우릴황산나트륨, 0.01M 인산염 완충액, pH 7.0) 900ml를 써서 대한 약전 제 8개정 용출시험법 제2법에 따라, 매분 37±1℃에서 50회전으로 시험한다. 용출시험을 시작하고 5분 10분 15분 30분 45분후에 용출액 약 10ml을 취해 4000rpm 에서 약 2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 1ml을 1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아세토니트릴을 넣어 100ml로 한액을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검액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각각 실험하였다.
<조건>
- 컬럼 : Hypersil ODS C18 (250 Χ 4.6mm)
- 이동상 : 0.025M 인산이수소나트륨(pH 4.5) :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35:65)
- 파장 : 238nm
- 유속 : 1.5 ml/min
- 컬럼온도 : 45℃
표준 검량선으로부터 약물의 농도를 먼저 계산하고, 용출률(%)로 환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 및 종래의 시판 정제에 대하여 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물에서의 용출률만을 하기 표 15 내지 표 1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39632207-PAT00013
Figure 112008039632207-PAT00014
Figure 112008039632207-PAT00015
Figure 112008039632207-PAT00016
<실시예 28>
약물인 아토르바스타틴 10mg과 부형제인 탄산칼슘 33.0mg, 미결정셀룰로오스 60.0mg과 유당 32.5mg을 충분히 혼합하여 약물의 유동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과립제로서 폴리소르베이트 80 0.6mg, 붕해제로서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9mg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혼합물에 결합제로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3.0mg 을 사용하여 습식과립을 하였으며 제조된 과립은 60℃온도의 오븐에서 충분히 건조한 후 고르게 밀링하고, 후 혼합으로 제제의 성형을 위해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을 추가로 혼합하고 로타리 정제기를 사용하여 아토르바스타틴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이후, 이와 같이 제조한 아토르바스타틴을 함유한 과립물과 실시예 4의 조성으로 제조한 니아신을 함유한 과립물 각 층의 성분들을 이층정으로 타정하였다.
<실시예 29>
실시예 28의 조성으로 제조한 아토르바스타틴을 함유한 과립물과 실시예 8의 조성으로 제조한 니아신을 함유한 과립물 각 층의 성분들을 이층정으로 타정하였다.
<실시예 30>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 4의 니아신 서방정 조성물에 속방성 형태인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아토르바스타틴으로 이루어진 피막으로 피복된 서방성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로타리 정제기를 사용하여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 제조하였다.
상기의 제조된 니아신 함유 서방성 정제를 다음과 같이 하이코터 HCT 48/60을 이용하여 피복하였다. 아토르바스타틴 10mg,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4.0mg, 폴리에틸렌글라이콜6000 0.4mg 및 산화티탄 1.5mg을 약 5분 동안 예비 혼합한다. 이 혼합물들을 100mesh체를 통과 시킨후 정제수를 넣어 미리 무게를 달아놓은 용기에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 물질이 완전히 분산 현탁될 때까지 혼합을 계속한다.
피복 현탁액의 제조 후, 서방성 정제를 다음과 같이 피복한다. 정제 피복기는 단일의 건형 분무바와 2.5mm 뚜껑 및 1.5mm의 노즐구가 장착되어야 한다. 기계적 조건은 팬의 속도 15 rpm, 입구 공기 온도는 60℃, 배출공기 온도는 40℃로 설정하며 냉각시 팬의 속도 3.3 rpm, 입구공기 가열을 중지, 피복된 정제의 온도는 35℃ 이하로 냉각한다.
피복된 정제는 속방형 아토르바스타틴, 서방형 니아신을 함유하며 피복된 정제 중량범위의 대략 ±10% 가 되어야한다.
<실시예 31>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 8의 니아신 서방정 조성물에 속방성 형태인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아토르바스타틴으로 이루어진 피막으로 피복된 서방성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로타리 정제기를 사용하여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를 타정 제조하였다.
상기의 제조된 니아신 함유 서방성 정제를 다음과 같이 하이코터 HCT 48/60을 이용하여 피복하였다. 아토르바스타틴 10mg,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4.0mg, 폴리에틸렌글라이콜6000 0.4mg 및 산화티탄 1.5mg을 약 5분 동안 예비 혼합한다. 이 혼합물들을 100mesh체를 통과 시킨후 정제수를 넣어 미리 무게를 달아놓은 용기에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 물질이 완전히 분산 현탁될 때까지 혼합을 계속한다.
피복 현탁액의 제조 후, 서방성 정제를 다음과 같이 피복한다. 정제 피복기는 단일의 건형 분무바와 2.5mm 뚜껑 및 1.5mm의 노즐구가 장착되어야 한다. 기계적 조건은 팬의 속도 15 rpm, 입구 공기 온도는 60℃, 배출공기 온도는 40℃로 설정하며 냉각시 팬의 속도 3.3 rpm, 입구공기 가열을 중지, 피복된 정제의 온도는 35℃ 이하로 냉각한다.
피복된 정제는 속방형 아토르바스타틴, 서방형 니아신을 함유하며 피복된 정제 중량범위의 대략 ±10% 가 되어야한다.
친수성 폴리머와 pH 의존성 친수성 폴리머를 포함한 그 외 폴리머 해당량 (표?)을 메탄올 적량에 녹인 후 약물(아토바스타틴)을 첨가 후 용해하여 약물코팅용액을 제조하였다. (아토바스타틴/코팅기제=1/9 중량비). 용액중의 고체성분(약물과 코팅기제)의 농도는 10%(w/v) 되도록 하였다.
<실험예 1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아토르바스타틴 단일정, 이층정, 속방형 아토르바스타틴 피복으로 제조된 니아신을 함유하는 경구용 정제에 대하여 각각 20정씩을 취하여 ERWEKA 경도측정기를 사용하여 경도를 측정하고 함량을 다음 시험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아토르바스타틴 단일정, 이층정, 속방형 아토르바스타틴 피복으로 제조된 니아신을 함유하는 경구용 정제를 20정을 취하여 유발에서 분말로 갈았다. 상기에서 제조한 분말을 니아신으로서 500mg 1000.0mg 해당하는 양을 각각 달아 1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50ml물을 넣어 30분간 가온한 다음 초음파 추출한 다음 물을 넣어 100ml로 한다. 위의 용액 1ml를 정확히 취하여 1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물을 넣어 100ml로 한 액을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파장 262nm 영역에서 역상컬럼(C18)을 사용하여 니아신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에서 제조한 경구용 정제 10정을 500ml 용량 플라스크에 넣고 0.05M 구연산암모늄(pH7.4)/아세토니트릴 혼합액(1:1)을 넣어 잘 흔들어 녹인 후 표선을 맞춘다. 이 액 25ml를 정확히 취하여 구연산암모늄(pH7.4)/아세토니트릴 혼합액(1:1)을 넣어 100ml로 한액을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파장 244nm 영역에서 역상컬럼(C18)을 사용하여 아토르바스타틴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종래의 시판정제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의 경도 평균값과 함량을 하기 표 19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39632207-PAT00017
상기 표 19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아토르바스타틴 단일정제는 시판정제보다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표 1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경구용 정제는 아토르바스타틴과 니아신의 함량평균 95%이상을 함유하고 있으며 각각의 단일정제와 비교하여 경도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2>
상기의 실시예에서 이층정, 속방형 아토르바스타틴 피복으로 제조된 니아신을 함유하는 경구용 정제에 중 서방성인 니아신의 물, 인공위액(pH 1.2), 초산 완충액(pH 4.0), 인공장액(pH 6.8) 각각의 용출액 조건에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용출률을 시험하였다.
일정 함량의 니아신을 함유하는 정제를 대한 약전 제 8개정 용출시험법에 따라 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 및 종래의 시판 정제를 정확히 무게를 측정한 후에 물, 인공위액(pH 1.2), 초산 완충액(pH 4.0), 인공장액(pH 6.8)에서 용출용액 900ml에서 패들 방법(paddle method)(100rpm)을 이용하였고, 용출온도 37±1℃에서 24시간 동안 용출시험을 진행하였다. 용출시험을 시작하고 15분, 30분, 60분, 90분, 2시간부터는 1시간 간격으로 24시간까지 각각의 용출액 1ml씩을 채취한 후, 동시에 같은 양의 용출용액을 보충해 주었다. 채취한 용출액은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검액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각각 실험하였다.
<조건>
- 컬럼 : Kromasil KR100-5C18 (250 Χ 4.6mm)
- 이동상 : pH 3.0, 0.05mol 인산이수소나트륨 : 메탄올 (4:1)을 1ℓ로 한 다음 1-옥탄설폰산나트륨 1.1g을 넣어 이동상으로 한다.
- 파장 : 262 nm
- 유속 : 1.0 ml/min
상기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아토르바스타틴 단일정, 이층정, 속방형 아토르바스타틴 피복으로 제조된 니아신을 함유하는 경구용 정제에 대한 용출시험은 시험액으로 물 900ml를 써서 대한 약전 제 8개정 용출시험법 제2법에 따라 매분 37±1℃에서 50회전으로 시험하였다. 용출시험 개시 5분 10분 15분 30분 45분후에 용출액 20ml를 취하여 0.45u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다. 처음 여액 5ml를 버리고 다음의 여액을 검액으로 한다. 검액을 가지고 약전의 일반 시험법중 흡광도 측정법에 따라 물을 대조액으로 하여 24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용출율을 계산한다.
표준 검량선으로부터 약물의 농도를 먼저 계산하고, 용출률(%)로 환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제 및 종래의 시판 정제에 대하여 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Figure 112008039632207-PAT00018
Figure 112008039632207-PAT00019
Figure 112008039632207-PAT00020
<실험예 13> : 기존 시판 제제와 본 발명의 제제의 비교용출시험
본 발명의 복합 제제에 포함되는 나이아신 제어방출형 제제 및 기존 시판 나이아신 서방형 제제가 원하는 시간 동안 (24시간 이상) 매트릭스 형태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용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나이아신이 각각 500mg씩 포함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제제 중에 포함되는 나이아신 제어방출형 제제(나이아신 500mg, 유당 90mg, 미결정셀룰로오스 90mg, HPMC 170mg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6mg의 조성을 가짐) 및 시판 나이아신 서방형 제제인 니아스파노TM를 각각 물 900ml, 37℃에서 50rpm으로 24시간 동안 용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용출 시험을 위해 Pharma test(Germany)사의 PT4005956을 이용하여 시험을 하였으며, 미국약전(USP)의 용출 시험 Ⅱ인 패들(paddle) 법을 사용하였다. 이후 시험 검체를 꺼내어 각각의 매트릭스 형태 유지를 확인하였다(도 1 내지 도 2). 그 결과, 시판 제제인 니아스파노TM의 경우 서서히 침식(erosion)되어 24 시간이 지난 후에는 완전히 붕해되고 분산되어 일정한 매트릭스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제제 중에 포함되는 나이아신 제어방출형 제제는 24시간 동안 팽윤되어 일정한 매트릭스 형태를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4>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와 HPMC의 조성비에 따른 나이아신 제제의 매트릭스 형태 유지 양상 확인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와 HPMC의 조성비에 따라 나이아신 제제가 일정한 매트릭스 형태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조성비별로 용출 시험 후 그 매트릭스 형태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HPMC가 각각 1:1, 1:10, 1:50, 1:100, 1:150, 1:200, 10:1 및 50:1의 비율로 포함되는 나이아신 정제를 나이아신 500mg, 유당 90mg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6mg을 기본 조성으로 하고 각각의 비율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와 HPMC를 포함하도록 제조하여, 이들 정제를 물 900ml, 37℃에서 50rpm으로 48시간 동안 용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용출시험법은 실험예 13과 동일하다. 각 시간대별로 용출 후 육안으로 매트릭스 형태의 유지를 확인하였으며, 이때 매트릭스 형태 유지는 정제 원형을 유지함을 기준으로 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기재하였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나이아신 제제에 포함되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대 HPMC의 비율이 50:1 내지 1:100 범위인 경우에는 24시간 이상 나이아신 정제의 매트릭스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나,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매트릭스의 형태 유지 시간이 급격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대 HPMC의 비율이 50:1 또는 10:1 인 경우에는 비록 그 매트릭스 형태는 유지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비율을 가진 경우에는 나이아신의 용출 양상이 현저히 상이하게 되어 고지질혈증 등의 나이아신 적용 질환의 치료에 적합한 용출율을 나타낼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데이터 기재하지 않음). 따라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HPMC가 1:1 내지 1:100의 비율로 나이아신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에 특이적으로 나이아신 정제의 매트릭스 형태 유지와 적절한 용출 양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만약 이 비율을 벗어나는 비율로 나이아신 정제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매트릭스 형태를 원하는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없거나 형태가 유지된다 하더라도 나이아신 적용 질환의 치료에 적합한 용출율을 얻기는 힘들다.
<실험예 15> : HPMC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용출율 변화
HPMC의 종류는 치환기의 종류, 점도, SR(sustained release), 메톡실 대 하이드록시프로필기의 비율(methoxyl : hydroxypropyl) 등에 의해 여러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번째로, 본 발명자들은 이들 중에서 HPMC의 점도에 따른 용출율 프로파일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나이아신 500mg, 유당 50mg, 스테아린산마그네슘(활택제) 5mg 및 HPMC 200mg의 조성으로, HPMC의 점도(labeled viscosity)를 100, 400, 1500, 4000, 15000 및 100000으로 달리하여 각각의 나이아신 정제를 제조하였다. 이후 물 900ml에 상기 나이아신 제제를 넣고 37℃에서 50rpm으로 시간대 별로 나이아신 제제의 용출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용출 시험 방법은 실험예 13과 동일하다.
두 번째로, 본 발명자들은 HPMC의 함량에 따른 용출율 프로파일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나이아신 500mg, 유당 50mg,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0mg 및 1000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HPMC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나이아신 정제를 제조하였으며, 이때 HPMC의 함유량은 100 내지 300mg의 범위 내에서 각각 달리하였다(100, 150, 200, 250 및 300mg). 이후 물 900ml에 상기 나이아신 제제를 넣고 37℃에서 50rpm으로 시간대 별로 나이아신 제제의 용출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용출 시험 방법은 실험예 13과 동일하다.
도 4 및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나이아신 제제의 용출률은 HPMC의 함유량에 의해서는 크게 좌우되지 않으나, HPMC의 점도에 따라 변화함을 알 수 있었으며, HPMC의 점도가 100000 cps인 경우 나이아신 제제의 효과 및 부작용을 고려하였을 때 도출되는 가장 적절한 용출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6>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의 함량에 따른 용출율 변화
본 발명자들은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의 함량에 따른 용출율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나이아신 500mg, 유당 5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0mg 및 카보머(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나이아신 정제를 제조하였으며, 이때, 카보머의 함량은 10 내지 100mg에서 각각 달리하였다. 이후 인공 장액(pH 7.5) 900ml에 상기 나이아신 제제를 넣고 37℃에서 50rpm으로 시간대 별로 나이아신 제제의 용출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용출 시험 방법은 용출액으로 인공 장액을 쓰는 이외에는 실험예 13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도 6에서 알수있는 바와 같이, 나이아신 제제의 용출율은 카보머의 함량에 따라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7> : 약물의 종류에 따른 용출 프로파일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와 HPMC의 조성 비율이 나이아신 외의 다른 약물에도 적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약물의 종류에 따른 용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유당 90mg, 미결정셀룰로오스 90mg, HPMC 170mg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6mg을 기본 조성으로 하고, 유효성분으로서 나이아신(500mg),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50mg) 및 테오필린(theophylline)(50mg)을 포함하는 제제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후, 물 900ml에 상기 나이아신 제제를 넣고 37℃에서 50rpm으로 시간대 별로 나이아신 제제의 용출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용출 시험 방법은 실험예 13과 동일하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HPMC와 카르복시비닐 폴리머가 동일한 비율로 포함된다 하더라도 약물의 종류에 따라 각각 매우 상이한 용출 패턴을 가지며 나이아신만이 나이아신의 적절한 약효 발현 및 부작용의 감소를 위해 요구되는 용출율 범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나이아신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용출 프로파일을 확립하기 위해서 고안된 본 발명에 따른 HPMC와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의 조성 비율은 나이아신에만 특이적으로 적용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제제는 콜레스테롤 생합성의 속도결정단계인 HMG-CoA 환원 효소를 저해하여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V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농도를 탁월하게 저하시키는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의 용출은 증가시키면서, HDL-콜레스테롤의 상승 효과가 있는 나이아신 제어방출 제제의 매트릭스의 형태가 제제의 용출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유지되어 약물의 용출에 필요한 시간 동안 용출 패턴이 급격히 변화하지 않고 일정하게 원하는 용출 패턴으로 유지되어,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을 효과적으로, 나이아신에 의한 부작용을 상당히 경감시켜 장기간 치료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기존 시판 제제인 니아스파노TM 및 본 발명의 복합제제에 포함되는 나이아신 제어방출형 제제를 24시간 동안 팽윤 시험한 후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대 HPMC의 비율을 달리하여 나이아신 제제를 제조한 후 이들이 일정한 매트릭스 형태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시간대 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HPMC의 점도를 달리하여 나이아신 정제를 제조하여 물에 넣고 용출 시험을 한 후 그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HPMC의 함량을 달리하여 나이아신 정제를 제조하여 물에 넣고 용출 시험을 한 후 그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의 함량을 달리하여 나이아신 정제를 제조한 후, 이를 인공 장액에 넣고 용출 시험을 한 후 그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동일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및 HPMC의 조성비를 가지는 다양한 약물에 대해 용출 시험을 한 후 그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21)

  1. 나이아신,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나이아신 제어방출형 제제; 및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되,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가 1:1 내지 1:100인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 치료용 제어방출형 복합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항산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제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비타민 C, 비타민 E, 토코페롤, 쎄사몰, 진저론, 캡사이신, 퀘르세틴, 갈릭산 및 구연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첨가제, 붕해제, 활택제, 결합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제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붕해제는 크로스카멜로스 소듐, 소듐 스타치 글리콜레이트, 프리젤라틴화 스타치, 미결정 셀룰로오스, 크로스 포비돈 및 기타 상업적으로 유용한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알긴산,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칼슘염 및 나트륨염,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구아검,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메틸셀룰로오스, 분말상 셀룰로오스, 전분, 소듐 알지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산화 실리카,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탈크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툴로오스의 점도는 80,000 내지 120,000 cps인 제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제제의 제형은 이층정 또는 피복정인 제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정은 추가적으로 가소제, 필름형성제, 피복제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것인 제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정은 나이아신을 포함하는 핵을 HMG-CoA 환원 효소 저해제가 포함된 조성물로 코팅된 것인 제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층정은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를 3 내지 50중량% 포함하는 제1 정제층 및 나이아신을 30 내지 70중량% 포함하는 제2 정제층으로 된 것인 제제.
  12. (a) 나이아신;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첨가제 및 붕해제를 혼합하는 단계;
    (b)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 첨가제; 붕해제; 및 항산화제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a) 및 (b)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 각각에 액상 용매를 첨가하여 과립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및
    (c) 활택제를 혼합하여 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이때,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HPMC가 1:1 내지 1:100인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제1항에 따른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 치료용 제어방출형 복합 제제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및 (b) 단계에서 추가적으로 결합제를 함께 혼합시키는 것인 제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용매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조 방법.
  15. (a) 나이아신 제어방출형 제제를 포함하는 핵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a)에서 제조된 핵에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이때,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HPMC가 1:1 내지 1:100인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제1항에 따른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 치료용 제어방출형 복합 제제의 제조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가 1:1.5 내지 1:50인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 치료용 제어방출형 복합 제제.
  17. 제1항에 있어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가 1:1.5 내지 1:20인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 치료용 제어방출형 복합 제제.
  18. 제12항에 있어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가 1:1.5 내지 1:50인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제조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가 1:1.5 내지 1:20인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제조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가 1:1.5 내지 1:50인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제조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가 1:1.5 내지 1:20인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제조 방법.
KR1020080051873A 2008-06-02 2008-06-02 새로운 나이아신 및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 복합제제 KR20090125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873A KR20090125660A (ko) 2008-06-02 2008-06-02 새로운 나이아신 및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 복합제제
PCT/KR2009/002923 WO2009148245A2 (ko) 2008-06-02 2009-06-02 새로운 나이아신 및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 복합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873A KR20090125660A (ko) 2008-06-02 2008-06-02 새로운 나이아신 및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 복합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660A true KR20090125660A (ko) 2009-12-07

Family

ID=4139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873A KR20090125660A (ko) 2008-06-02 2008-06-02 새로운 나이아신 및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 복합제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125660A (ko)
WO (1) WO2009148245A2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16215A1 (en) * 1997-04-05 1998-10-05 Isa Odidi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s using intelligent polymers having opposing wettability characteristics of hydrophobicity and hydrophilicity
KR20010022508A (ko) * 1997-07-31 2001-03-15 추후보정 3-히드록시-3-메틸글루타릴 조효소 a 환원 효소 억제제와니코틴산 화합물의 조성물 및 야간에 1일 1회 투여하여고지질혈증을 치료하는 방법
KR100593252B1 (ko) * 2004-05-19 2006-06-26 주식회사 서울제약 니아신을 함유하는 제어 방출성의 경구용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8245A3 (ko) 2010-03-04
WO2009148245A4 (ko) 2010-04-22
WO2009148245A2 (ko)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960B1 (ko) 새로운 나이아신 제어방출형 제제
AU752673B2 (en) Combinations of HMG-CoA reductase inhibitors and nicotinic acid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ing hyperlipidemia once a day at night
JP6122098B2 (ja) オルメサルタンメドキソミルとロスバスタチンまたはその塩とを含む医薬組成物
RU2445088C2 (ru) Двухслойная таблетка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сердечно-сосудистых нарушений,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сердечно-сосудистых нарушений, включая апоплексию и паралич, посредством вышеупомянутой таблетки
KR101502031B1 (ko) 약제학적 복합제제
JP2010501607A (ja) ニソルジピンを含有する徐放性の固体状経口投与用配合剤
KR101665641B1 (ko) 타다라필 및 암로디핀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EP3313187B1 (en)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 and tablets prepared therefrom
WO201109848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 combination of metformin and sitagliptin
WO2007069827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extended release layer and fast release layer for treatment of hyperlipidemia and arteriosclerosis
AU200834489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amlodipine and valsartan
KR20180044873A (ko) 암로디핀, 로자탄 및 로수바스타틴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복합 제제
WO2009149058A2 (en) Modified release niacin formulations
KR102306005B1 (ko) 발사르탄 및 로수바스타틴 칼슘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545801B (zh) HMG-CoA还原酶抑制剂以及包含钙通道阻滞剂的复合制剂
SG190326A1 (en) Complex formulation comprising lercanidipine hydrochloride and valsartan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20090125660A (ko) 새로운 나이아신 및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 복합제제
US20100144800A1 (en) extended release tablet formulation of niacin
KR20120120519A (ko) 나이아신 및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복합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93252B1 (ko) 니아신을 함유하는 제어 방출성의 경구용 제제
KR20110132171A (ko) 니아신 함유 복합 제어방출성 제제
JP2015503555A (ja) ボセンタン制御放出性経口製剤
KR101883091B1 (ko)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및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층정 복합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123592A1 (en)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azilsartan medoxomil or pharmaceutical acceptable salt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reof
KR100676917B1 (ko) 염산레르카니디핀 함유 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