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898A - Assembled and Detachable Band Exercise Equipment - Google Patents
Assembled and Detachable Band Exercise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24898A KR20090124898A KR1020080111184A KR20080111184A KR20090124898A KR 20090124898 A KR20090124898 A KR 20090124898A KR 1020080111184 A KR1020080111184 A KR 1020080111184A KR 20080111184 A KR20080111184 A KR 20080111184A KR 20090124898 A KR20090124898 A KR 200901248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coupling means
- belt
- exercise device
- detach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및 분리형 밴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인체에 착용하여 고정하는 고정벨트(1)와, 상기 고정벨트(1)에 연결된 밴드로 구성된 밴드 운동기구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ed and detachable band exercis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in a band exercise device including a fixing belt (1) for wearing and fixing on a human body and a band connected to the fixing belt (1),
상기 고정벨트(1)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길이조절고리(B3)를 연결한 신축성이 없는 벨트의 중간 부분을 신축부(101)로 연결하고, 고정벨트(1)의 양단부에는 암수로 이루어진 결합수단(B1, B2)을 각각 형성하여 암수 결합수단(B1, B2) 간의 결합이 가능케 하며, 고정벨트(1)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벨트(1)가 끼워지는 고리부(201)를 일체로 형성한 연결구(2)에는 상, 하단부에 암결합수단(B1)을 형성하여, 수결합수단(B2)을 형성한 밴드를 상기 연결구(2)의 암결합수단(B1)과 결합하여 연결구(2)에 탈부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고정벨트(1)에 사용자가 원하는 수만큼의 밴드를 연결하여 전신운동이나, 신체의 특정 부위에 대한 운동이 가능케 한 효과가 있다.The fixed belt (1) is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elastic belt 101 is connected to the elastic portion 101, the length adjustment ring (B3) is connected to allow the length adjustment, the coupling end made of male and female on both ends of the fixed belt (1) By means of forming the means (B1, B2),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engag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means (B1, B2), integrally the ring portion 201 to which the fixing belt (1) is fitted to be movable along the fixing belt (1) The formed coupler 2 has a female coupling means B1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nd a band having the male coupling means B2 is coupled with the female coupling means B1 of the connector 2 to connect the connector 2. By attaching and detaching), by connecting the number of bands as desired by the user to the fixing belt (1) there is an effect that enables the whole body movement or exercise for a specific part of the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 및 분리형 밴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탄력을 가진 밴드를 고정벨트에 탈부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부위의 운동이 가능케 한 조립 및 분리형 밴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ed and detachable band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ssembled and detachable band exercise device capable of exercising a desired body part by attaching and detaching a band having high elasticity to a fixing belt.
일반적으로 밴드 운동기구는 강한 탄력성을 지닌 밴드를 신체의 특정 부위를 이용해 밀거나 당겨서 밴드가 늘어나도록 함으로써, 해당 신체 부위에 대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로서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인 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기 때문에 최근 많은 사용자가 애용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a band exercise device is a device that allows the band to be stretched by pushing or pulling a band having a strong elasticity using a specific part of the body, thereby obtaining an exercise effect on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body. However, since the handling and storage is easy, many users have been favored recently.
밴드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효과는 과거 운동 선수들의 재활 트레이닝 과정에서 손상된 근력 회복이나 주요 관절 부위의 부상 회복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일반인들에게도 밴드 운동기구를 이용한 다양한 운동 방법이 알려지게 되었 다.The exercise effect using the band exercise equipment is known to be effective in restoring the damaged muscle strength or the injury of the major joints dur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of athletes in the past, and various methods of exercise using the band exercise equipment have been known to the general public.
밴드 운동기구를 이용한 가장 대표적인 운동 방법은 일자로 길게 형성된 고탄력 밴드의 양단부를 양손으로 잡고 밴드의 가운데 부분에 발이나 무릎과 같은 신체 특정 부위를 건 상태에서 해당 신체 부위를 밀면서 폈다가 접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해당 신체 부위에 대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자형의 고탄력 밴드 하나 만으로도 다양한 신체 부위의 운동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The most representative exercise method using a band exercise device is holding both ends of a long elastic band formed with straight hands with both hands, and pushing and folding the body parts while pressing a specific part of the body such as a foot or a knee in the middle of the band. By doing so to obtain the exercise effect on the body pa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tilized in the movement of various body parts with a single high elastic band of the straight.
그러나 위와 같이 일자형으로 된 종래의 밴드 운동기구는 양단부를 반드시 고정한 상태에서 운동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밴드 운동기구의 양단부를 손으로 잡거나 별도의 도구에 묶어서 고정한 상태에서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한번에 특정한 신체 부위 한 곳에만 운동 효과가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밴드 운동기구의 양단부를 손으로 잡고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손아귀에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도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band exercise equipment having a straight shape as described above must be exercised while both ends are fixed, only one specific body part at a time by performing the exercise while holding both ends of the band exercise equipment by hand or by binding it to a separate tool Not only has the problem that the exercise effect is concentrate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causes pain in the hands when exercising by holding both ends of the band exercise equipment by hand.
그리하여 최근에는 여러 신체 부위에 대한 운동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도록 여러 줄의 밴드가 일체로 연결된 밴드 운동기구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밴드 운동기구는 신체의 특정 부위만 운동하고 싶더라도 여러 줄의 밴드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위치의 밴드들이 운동하는 데 거치적거려 번거로움을 초래함으로써 효과적인 운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us, in recent years, a band exercise device has been developed in which several rows of bands are integrally implemented to simultaneously exercise a plurality of body parts. Since it is connected to the bands of the different positions are difficult to exercise due to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problem of preventing effective movement.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고정벨트를 착용하고, 그 고정벨트에 사용자가 원하는 수만큼의 고탄력 밴드를 연결함으로써, 전신운동이나, 신체의 특정 부위에 대한 운동이 가능케 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by wearing a fastening belt, by connecting a high elastic band as many times as the user wants to the fastening belt, the whole body movement or exercise for a specific part of the body is The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to exercis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에 착용하여 고정하는 고정벨트(1)와, 상기 고정벨트(1)에 연결된 밴드로 구성된 밴드 운동기구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nd exercise device consisting of a fixed belt (1) and a band connected to the fixed belt (1) to be worn on the human body,
상기 고정벨트(1)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길이조절고리(B3)를 연결한 신축성이 없는 벨트의 중간 부분을 신축부(101)로 연결하고, 고정벨트(1)의 양단부에는 암수로 이루어진 결합수단(B1, B2)을 각각 형성하여 암수 결합수단(B1, B2) 간의 결합이 가능케 하며, 고정벨트(1)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벨트(1)가 끼워지는 고리부(201)를 일체로 형성한 연결구(2)에는 상, 하단부에 암결합수단(B1)을 형성하여, 일단부에 수결합수단(B2)을 형성한 밴드를 상기 연결구(2)의 암결합수단(B1)과 결합하여 연결구(2)에 탈부착할 수 있게 한 구성이다.The fixed belt (1) is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한편, 상기 밴드는 비신축성 소재로 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조절고리(B3)를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band is made of a non-stretch material includes connecting the length adjustment ring (B3) to enable the length adjustment.
또한, 상기 밴드는 고탄력성 소재로 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조절고리(B3)를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and is made of a high elastic material includes connecting the length adjustment ring (B3)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 밴드는 양 단부에 동일한 결합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and includes forming the same coupling means at both ends.
또한, 상기 밴드는 양 단부에 암수 결합수단(B1, B2)을 형성하여 양 단부의 결합수단을 서로 결합하여 밴드를 고리형으로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and includes a male and female coupling means (B1, B2) on both ends to combine the coupling means of both ends to form a band in a ring shape.
또한, 상기 밴드에는 쿠션커버(4)를 끼워서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and includes inserting the cushion cover (4).
또한, 상기 밴드는 수결합수단(B2)이 형성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발착용부(5)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and includes integrally forming the
또한, 상기 밴드는 양단부에 동일한 결합수단을 형성하고, 중간에는 발착용부(5a)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and includes forming the same coupling means at both ends, and in the middle forming the landing portion (5a).
또한, 상기 밴드에 직각 방향이 되도록 일단부는 밴드와 연결하고, 타단부에는 밴드에 연결된 일단부와 탈부착할 수 있도록 밸크로테입(601)을 부착한 고정끈(6)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on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an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band, and the other end includes integrally forming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체에 고정하는 고정벨트에 고탄력성 밴드를 결합수단을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수만큼 연결함으로써, 전신운동이나 신체의 특정 부위에 대한 선택적인 운동이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whole body movement or the selective movement of a specific part of the body by connecting a high elastic band to the fixing belt fixed to the body as many times as desired by the user using a coupling means.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고정벨트(1)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벨트(1)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길이조절고리(B3)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과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서 그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또한, 신축성이 없는 고정벨트(1)의 중간 부분을 신축성 소재로된 신축부(101)로 연결함으로써, 고정벨트(1)를 허리나 신체 특정 부위에 착용한 후에도 운동하는 과정에서 고정벨트(1)를 착용한 신체 부위를 지나치게 조이지 않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운동이 가능케 되며, 고정벨트(1)의 양단부에는 암수 결합수단(B1, B2)을 각각 형성하여 암수 결합수단(B1, B2)의 상호간의 결합이 가능케 함으로써, 고정벨트(1)의 신속하고 편리한 착용과 탈착이 가능케 된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non-elastic fixing belt (1) by the
또한, 고정벨트(1)에는 다수의 연결구(2)를 연결하게 되는데, 그 연결구(2)에는 고리부(201)를 일체로 형성하여 그 고리부(201)에 고정벨트(1)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연결구(2)가 고정벨트(1)를 따라서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xing belt (1)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nnectors (2), the connector (2) to form a
아울러, 상기 연결구(2)의 상, 하단부에는 각각 암결합수단(B1)을 형성함으로써 일단부에 수결합수단(B2)을 형성한 여러 가지 형태의 밴드를 상기 연결구(2)에 간편하게 신속하고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female coupling means (B1)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nector (2), the various types of bands formed with the male coupling means (B2) at one end simply and quickly and easily attached to the connector (2) You can do it.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밴드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수결합수단(B2)을 형성한 고탄력성 소재로 된 밴드(3)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8" 자 형태로 된 길이조절고리(B3)를 걸어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이나 신장에 따른 신체 조건에 맞도록 적절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길이를 짧게 형성하면 일정한 신축성을 가진 밴드(3)라 하더라도 운동을 위하여 최대한 잡아당길 때 더 강한 힘을 필요로 하게 되며, 그와 반대로 전체 길이를 길게 하면 운동을 위하여 최대한 잡아당길 때 비교적 적은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밴드(3)의 길이 조절을 통해서 운동 강도를 조절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3 to 6 are exemplary views showing various forms of the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 length of the
또한, 첨부도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조절고리(B3)를 연결한 비신축성 소재로 된 밴드(3a)의 양단부에는 똑같이 수결합수단(B2)을 연결함으로써, 밴드(3a)의 양단부를 고정벨트(1)에 끼워진 2 개의 연결구(2)에 형성된 암결합수단(B1)에 동시에 결합하면, 고정벨트(1)를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밴드(3a)를 어깨에 걸어서 고정벨트(1)의 견고한 착용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by connecting the water coupling means (B2) to both ends of the band (3a) of the non-elastic material connected to the length adjustment ring (B3) to enable the length adjustment, the band ( When both ends of the 3a) are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female coupling means B1 formed on the two
아울러, 첨부도면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를 고탄력성 소재로 형성하게 되면, 밴드(3a)의 양단부를 고정벨트(1)에 끼워진 2 개의 연결구(2)에 형성된 암결합수단(B1)에 각각 결합한 상태에서 밴드(3a)의 중간 지점을 밀어서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band is formed of a high elastic material as shown in Figure 4a, the both ends of the band (3a) to the female coupling means (B1) formed in the two connector (2) fitted to the fixing belt (1) In each of the combined state by pushing the middle point of the band (3a) can be utilized in the exercise to strengthen the strength.
한편, 첨부도면 도 4b와 도 4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탄력성 소재로 된 밴드(3a)의 양 단부에 암수 결합수단(B1, B2)을 각각 형성하게 되면, 하나의 밴드에 형성된 암수 결합수단(B1, B2)을 서로 결합하여 밴드를 고리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밴드만을 이용한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양단부에 동일하게 암결합수단(B1)을 형성함으로써, 양단부에 수결합수단(B2)를 형성한 또 다른 밴드와 연결하여 더 큰 고리 형태의 밴드를 형성함으로서, 전신 운동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means (B1, B2)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band (3a) made of a highly elastic material, as shown in Figure 4b and 4c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combining the bands B1 and B2 with each other to form a ring, it is possible to exercise using only one band, and by forming the female coupling means B1 equally at both ends, the male coupling means B2 at both ends. By forming a larger ring-shaped band by connecting to another band formed, it can be utilized for the whole body movement.
아울러,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3, 3a)에는 쿠션커버(4)를 끼워서 설치함으로써, 고정벨트(1)의 연결구(2)에 결합하는 밴드(3, 3a)를 신체 특정 부위에 걸어서 고정용으로 사용하거나, 운동용으로 사용할 때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감소시켜 편안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3 to 4 attached to the band (3, 3a) by installing the
한편, 첨부도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수결합수단(B2)이 형성된 밴드(3b)의 타단부에 발착용부(5)를 형성함으로써, 수결합수단(B2)은 고정벨트(1)의 연결구(2)에 형성된 암결합수단(B1)에 결합하고, 발착용부(5)는 양말을 신듯이 발에 착용함으로써, 다리 운동을 할 때 다리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고, 운동중에 밴드(3b)가 발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운동이 가능케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by forming the mounting portion (5) at the other end of the band (3b) is formed in one end of the water coupling means (B2), the water coupling means (B2) is fixed belt ( Coupled to the arm coupling means (B1) formed in the connector (2) of 1), the wearing
그뿐만 아니라, 밴드(3b)에 직각 방향이 되도록 일단부는 밴드(3b)와 재봉하여 연결하고, 타단부에는 밴드(3b)에 연결된 일단부와 탈부착할 수 있도록 밸크로테입(601)을 부착한 고정끈(6)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발착용부(5)를 형성한 밴드(3b)를 이용하여 다리 운동을 할 때 고정끈(6)을 허벅지나 무릎, 종아리 등에 감 아서 고정함으로써 밴드(3b)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신체 특정 부위의 운동을 수행할 때 운동 효과를 배가시키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one end is sewn and connected to the
또한, 첨부도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부에 수결합수단(B2)이 형성된 밴드(3c)의 중간 지점에 밸크로테잎(601)을 부착한 고정끈(6)이 일체로 형성된 발착용부(5a)를 형성함으로써, 밴드(3c) 양단부의 수결합수단(B2)을 고정벨트(1)에 형성된 연결구(2)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발착용부(5a)에 착용하게 되면 2개의 밴트가 한쪽 다리에 걸린 형태가 되기 때문에 다리 근력이 뛰어난 남성이나 운동 선수들이 보다 강한 탄력의 밴드를 이용하여 강한 근력 운동을 수행하는데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attached to the attachment portion formed with a fixed strap (6) integrally attached to the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벨트(1)에 6개 정도의 연결구(2)를 끼워서 연결하게 되면 6개의 연결구(2) 중에서 2개의 연결구(2)에는 양단부에 수결합수단(B2)을 형성한 밴드(3a)를 어깨 또는 양다리 사이를 걸쳐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고정벨트(1)를 신체에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보조 고정 수단으로 이용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attached to the fixed belt (1), as shown in Figure 6 connecting the two about two fittings (2) in the two connectors (2) of the two connectors (2) at both ends By allowing the
또한, 6개의 연결구(2) 중에서 나머지 4개의 연결구(2)에는 상부나 하부의 암결합수단(B1) 중에서 원하는 위치의 암결합수단(B1)에 4개의 밴드를 접속하여 결합함으로써 각각의 밴드를 이용하여 양팔과 양다리의 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신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밴드의 결합 숫자를 사용자 가 가감함으로써, 전신이 아닌 특정 부위에 대한 집중적인 운동도 가능케 된다.In addition, four bands of the six
첨부도면 도 8은 본 발명을 이용한 다양한 운동방법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방법 외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운동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Accompanying drawings Figure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ariety of exercise methods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method shown in the drawings will be found in advance that the user can apply various types of exercise methods desired.
도 1은 본 발명의 고정벨트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벨트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Figure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fixing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도 4,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여러가지 밴드를 나타낸 예시도3, 4, 5, and 6 are exemplary views showing various band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벨트와 밴드의 결합 예를 나타낸 예시도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upling example of the fixing belt and the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을 이용한 운동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ercise metho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고정벨트 101: 신축부1: fixing belt 101: elastic part
2: 연결구 201: 고리부2: connector 201: ring portion
3, 3a, 3b, 3c : 밴드 B1: 암결합수단3, 3a, 3b, 3c: band B1: female coupling means
B2: 수결합수단 B3: 길이조절고리B2: Male coupling means B3: Length adjusting ring
4: 쿠션커버 5, 5a: 발착용부4:
6: 고정끈 601: 밸크로테입6: string 601: Velcro tape
Claims (8)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07350 | 2008-05-29 | ||
KR2020080007350 | 2008-05-2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4898A true KR20090124898A (en) | 2009-12-03 |
Family
ID=4168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1184A Abandoned KR20090124898A (en) | 2008-05-29 | 2008-11-10 | Assembled and Detachable Band Exercise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124898A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5089B1 (en) * | 2010-12-03 | 2011-05-19 | 빅터 리 | Portable hip-up fitness equipment |
WO2015169303A1 (en) * | 2014-05-06 | 2015-11-12 | Nnsquare Gbr | Training device |
WO2017159940A1 (en) * | 2016-03-14 | 2017-09-21 | 조강원 | Tubing band wearing belt for boxing training |
KR20200112580A (en) | 2019-03-20 | 2020-10-05 | 박장호 | Wearable Arm Walking Apparatus |
DE112019007445T5 (en) | 2019-06-12 | 2022-03-03 | Jang Ho PARK | PORTABLE DEVICE FOR ARM TRAINING WHILE WALKING |
USD957552S1 (en) | 2020-09-29 | 2022-07-12 | Ken Schmidt | Exercise strap |
US11607585B2 (en) | 2020-04-20 | 2023-03-21 | Ken Schmidt | Glute bridge apparatus |
-
2008
- 2008-11-10 KR KR1020080111184A patent/KR20090124898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5089B1 (en) * | 2010-12-03 | 2011-05-19 | 빅터 리 | Portable hip-up fitness equipment |
WO2012074293A3 (en) * | 2010-12-03 | 2012-07-26 | Ree Victor | Portable apparatus for hip-up exercise |
WO2015169303A1 (en) * | 2014-05-06 | 2015-11-12 | Nnsquare Gbr | Training device |
WO2017159940A1 (en) * | 2016-03-14 | 2017-09-21 | 조강원 | Tubing band wearing belt for boxing training |
KR20200112580A (en) | 2019-03-20 | 2020-10-05 | 박장호 | Wearable Arm Walking Apparatus |
DE112019007445T5 (en) | 2019-06-12 | 2022-03-03 | Jang Ho PARK | PORTABLE DEVICE FOR ARM TRAINING WHILE WALKING |
US11607585B2 (en) | 2020-04-20 | 2023-03-21 | Ken Schmidt | Glute bridge apparatus |
USD957552S1 (en) | 2020-09-29 | 2022-07-12 | Ken Schmidt | Exercise strap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61397B2 (en) | Grab-and-use exercise strap | |
US6258014B1 (en) | Exercise kit and method of using same | |
KR20090124898A (en) | Assembled and Detachable Band Exercise Equipment | |
US20080139369A1 (en) |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 |
WO2005120648A2 (en) | Exerciser vest | |
US20170291058A1 (en) | Multifaceted exercise system | |
US20040185990A1 (en) | Portabl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 |
US20090239723A1 (en) | Foot Harness to Aid Athletic Stretching Exercises | |
JP5124723B2 (en) | Exercise equipment | |
RU2704366C1 (en) | Wearable hand trainer suitable for use in walking | |
US20050227814A1 (en) | Exercise device | |
CN206964988U (en) | A kind of body-building rope of diastole four limbs | |
KR100856073B1 (en) | Telescopic exercise equipment | |
KR200460697Y1 (en) | Apparatus for muscling | |
KR20090007569U (en) | Full body exercise strap | |
JP7138274B2 (en) | stretching equipment | |
KR20100001151U (en) | Strength training equipment | |
KR100660636B1 (en) | Exercise equipment | |
JP3157654U (en) | Training footwear and training equipment | |
CN212347586U (en) | Hip flexion and extension trainer | |
KR20170044920A (en) | A upper body garment for correcting and exercise easy to wear and disrobe | |
CN211536400U (en) | Upper limbs and hand function trainer | |
KR200463301Y1 (en) | body slim belt | |
KR200334099Y1 (en) | A sporting goods for the lower part of the body | |
JP3198049U (en) | Lower abdominal muscle strength ai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9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