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120132A - 핸들중앙 비상키겸용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 Google Patents

핸들중앙 비상키겸용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132A
KR20090120132A KR1020080046019A KR20080046019A KR20090120132A KR 20090120132 A KR20090120132 A KR 20090120132A KR 1020080046019 A KR1020080046019 A KR 1020080046019A KR 20080046019 A KR20080046019 A KR 20080046019A KR 20090120132 A KR20090120132 A KR 20090120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emergency key
screw
lever
door 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장열
Original Assignee
엠피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피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피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6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0132A/ko
Publication of KR2009012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132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6Clutches, couplings or brak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31)의 구동에 의하여 레버(36)를 연동이동시키고, 탄성 스프링(23)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되어 클러치 해제되게 형성되어 있는 클러치 축이음부재(22)를, 상기 레버(36)에 의해 강제 이동시킴으로써 클러치 결합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에 있어서, 모터(31)를 이용하여 레버(36)를 연동시키기 위하여 모터를 일정시간 구동하면 모터에연결된 스크루(32)에 의해 스크루가이드(33)가 연동되도록 구성하고있는 기본적인 디지털 클러치모듈의 구조에 핸들중앙에 장착된 비상키(기계식키)를 이용하여 바깥핸들고정대(41)에 부착되어 일체화로 움직이는 비상키스프링(43)에 의해서 상부쪽으로 항상 위치하고 있는 비상키이동부재(42)가 비상키레버(44)를 90도 회전시켜서 축이음부재(22)를 이동시켜 클러치의 결합동작을 동시에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도어록, 클러치 본체, 핸들, 비상키, 레버

Description

핸들중앙 비상키겸용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A clutch module for digital door lock}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정보를 활용하여 도어를 여닫는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과정에서 모터의 구동에 따른 클러치 개폐에 따른 클러치모듈 및 핸들중앙에 있는 비상키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문을 열 수 있는 디지털도어록의 클러치모듈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 lock)은 기존의 열쇠 대신 비밀 번호와, 반도체 칩, 스마트 카드 등 디지털화한 정보를 열쇠로 활용하여 도어를 여닫도록 하는 첨단 잠금 장치로서, 기존의 열쇠 및 자물쇠의 기계적인 정합에 의한 도어 개폐의 단점을 감안하여 일반 가정, 상가, 정부기관, 기업체 등에서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부가하는 형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디지털 도어록에 설치되는 클러치 모듈은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 또 는 카드가 미리 입력된 신호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외측 손잡이의 회전을 도어 내측에 설치된 별도의 잠금장치 즉, 데드 볼트 또는 래치에 전달하거나 차단한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는 구성의 어려움과 정밀도에 따른 불량요소가 많아서 현장에서 디지털도어록의 고장으로 집에 갇히는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에 스크류와 스크류가이더를 이용하여 레버를 구동하고 스크류 양쪽에 한정스프링을 모터의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클러치모듈과 디지털방식의 도어록에 불량 등으로 문제가 발생하면 문을 열지 못하고 갇히는 문제를 갖고 있어서 기존의 디지털도어록 시스템에 비상키(기계식)를 추가하여 편의성 및 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는 추세이다 이에 본 기술은 핸들중앙에 비상키(기계식키)를 장착하여 디지털방식과 핸들중앙의 비상키 방식을 동시 또는 개별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술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과정에서 클러치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불량요소인 동작 방향외의 이탈을 방지하고 구성부품들의 복잡함에 따른 구성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레버를 누르는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제안함으로써 불량의 요소를 제거하여, 안전성과 편리성을 동시에 만족 시킬 수 있도록 도어록의 특성에 맞는 클러치모듈을 구성하고, 핸들중앙에 있는 비상키를 이용하여 문을 열도록 구성된 디지털도어록 시스템에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모터(31)의 구동에 의하여 레버(36)를 연동이동시키고, 탄성 스프링(23)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되어 클러치가 해제되게 형성되어 있는 클러치 축이음부재(22)를, 상기 레버(36)에 의해 강제 이동시킴으로써 클러치 결합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에 있어서, 모터(31)를 이용하여 레버(36)를 연동시키기 위하여 모터를 일정시간 구동하면 모터에연결된 스크루(32)에 의해 스크루가이드(33)가 연동되도록 구성하고있는 기본적인 디지털 클러치모듈의 구조에 핸들중앙에 장착된 비상키(기계식키)를 이용하여 바깥핸들고정대(41)에 부착되어 일체화로 움직이는 비상키스프링(43)에 의해서 상부쪽으로 항상 위치하고 있는 비상키이동부재(42)가 비상키레버(44)를 90도회전시켜서 축이음부재(22)를 이동시켜 클러치의 결합동작을 동시에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모듈바디(10)에 안착되어 결합하는 안쪽핸들고정대(21)의 내측에 상기 클러치 축이음부재(22)를 안쪽핸들고정대(21)에 형성된 요홈(21a)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스프링(23)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안쪽핸들고정대(21)의 요홈(21a)와 연통되는 바깥쪽핸들고정대(41)의 요홈(41b)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클러치 축이음부재(22)가 상기 양쪽핸들과 연결되는 요홈(21a)(41b)을 따라 가이드되어 직선운동을 하면서 안쪽과 바깥쪽핸들의 두 개축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모듈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31)에 스크루(32)가 축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크루(32)에 스크루 가이드(33)가 나선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모터(31)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기 스크루 가이드(33)가 직선 이동되며, 직선 운동시 일정시간 동안 전원을 주면 스크루가이드(33)가 한정스프링(35)의 일면을 밀면 스프링의 휨에 의해서 스크루(32)를 이탈하게되고 전원이 끊기면 한정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서 다시 스크루(32)의 끝단 나선에 걸쳐지면서 역 전원을 주면 모터(31)쪽으로 다시 되돌아오도록 구성된 구조로, 상기 스크루 가이드(33)가 상기 모터(31)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스크루 가이드(33)의 상측에 구성된 턱으로 레버(36)를 누르게 되면 레버(36)에 접촉하고 있는 축이음부재(22)가 상기 요홈(21a)(41b)방향으로 강제 이동되면서 상기 양 요홈(21a)(41b)에 동시에 걸쳐지는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클러치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발명에서 바깥핸들고정대(41)에는 비상키이동부재(42)가 바깥핸들고정대(41)의 요홈(41b)에 따라 가이드되면서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도록 구성하고 요홈(41b)방향으로 밀어주는 비상키탄성스프링(43)이 평시에는 요홈(41b) 을 따라 원주바깥으로 밀어주고 있는 구조에 비상키이동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시에는 축이음부재(22)를 요홈(21a)(41b)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서 바깥핸들(46)중앙에 있는 비상키뭉치(45)에 연결된 비상키레버(44)가 비상키이동부재(42)에 삽입되어 90도를 회전시키면 비상키이동부재(42)가 축이음부재(22)를 축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양 요홈(21a)(41b)에 동시에 걸쳐지는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바깥핸들고정대(41)과 안쪽핸들고정대(21)를 연결시켜서 클러치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의 구성 및 작동과정에서 구성을 간단히 하고, 동작 방향외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서 오작동 및 불량의 요소를 감소시키고, 핸들중앙에 비상용키(기계식키)를 이용하여 도어록의 동작을 동시 또는 개별로 구성이 가능하도록 고안하여 도어록의 역할 및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는 효과를 줄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3,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바디(10)는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형태로서 내면에 관통공(11)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 상측에 레버(36)의 힌지를 만들수 있도록 보스(13)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의 후방에는 후술하는 안쪽핸들(25) 이 진입되는 가이드공(16)이 설치되어 있다. 안쪽핸들(25)과 안쪽핸들고정대(21) 사이에는 핸들사각봉(20)으로 일체화가 되도록 구성하고있다.
또한, 상기 모듈바디(10)의 각 모서리에 스크루공(14)이 형성되어, 바디커버(50)와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상기 모듈바디(10)의 내측 소정 개소에는 후술하는 모터(31)와 스크루(32)를 고정 및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판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핸들과 연결되는 핸들사각봉(20)이 고정되는 안쪽핸들고정대(21)의 단차진 형상의 헤드부 내측에 축이음부재스프링(23)이 장착되고, 상기 안쪽핸들고정대(21)헤드부 내면에 축이음부재(22)가 삽입되어 축이음부재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서 항시 원주방향으로 향하고있다, 축이음부재(22)의 상측 돌출부(22b)는 모터(31)에 의해서 이동되는 스크루가이더(33)이동할 때 레버(36)에 의해 누를 수 있도록 돌출되어있다. 축이음부재(22) 하측돌출부(22a)은 바깥쪽핸들고정대(41)의 삽입공을 통과하는 비상키레버(44)의 끝부분이 안쪽핸들고정대(21) 중앙의 삽입공(21d)에 삽입되어 두 개의 축이 중심을 이루고 동작이 되도록 구성한다.
하기와 같이 비상키이동부재(42)는 비상키스프링(43)의 탄성력에의해 항시 바깥쪽핸들고정대(41) 요홈(41b)을 따라 상부로 향하고있다. 비상키레버(44)의 중간부가 비상키이동부재(42)의 삽입공(42a)에 삽입되어 90도로 회전을 시키면 삽입공의 형상에 따라서 비상키이동부재(42)는 축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비상키이동부재(42)의 상부턱(42b)이 축이음부재(22)의 하부턱(22a)을 끌고 내려와서 안쪽핸들고정대(21)의 요홈(21a)에 따라 이동하면 두축이 결합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축이음부재(22)와 비상키이동부재(42) 각각의 고정대의 요홈(21a)(41b)에 따라 이동되면서 축 방향으로 이탈이되지 않도록 각각의 날개(22c)(42c)를 갖고있도록 구성하여, 두축이 서로 분리운동을 할 때 이탈이나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하면서 두축을 분리, 결합하는 클러치의 역활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모듈바디(10)의 내부 일측에 모터(31)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스크루(32)가 축결합되며, 상기 스크루(32)는 스크루가이드(33)에 나선 결합되어 있다. 스크루(32)의 나선을 타고 스크루가이드(33)가 이동을 하면서 이동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하여 스크루(32) 양쪽끝단에 한정스프링(25)을 구성한다. 스크루가이더(33)상부는 턱을 구성하고 레버(36)를 걸치게하여 스크루가이더(33)가 이동시에 레버(36)를 누르게 구성한다.
한편, 도3 및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커버(24)는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수개의 스크루를 통해 조립되어 안쪽핸들고정대(2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하고, 커버부재(50)는 상기 바디(10)의 전면에 다수의 스크루를 통해 조립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구성품을 보호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모터(31)가 작동하면, 상기 스크루(3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루가이더(33)가 모터(31)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을 통해 상기 레버(36)의 일측을 가압하면 안쪽핸들고정대(21)의 요홈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축이음부재스프링(23)에 의해서 상측으로 있던 축이음부재(22)를 누르게 된다. 이 축이음부재(22)는 안쪽핸들고정대(21)의 요홈(21a)와 바깥핸들고정대(41)의 요홈(41b)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두축이 결합되어 양쪽핸들이 연결되어 문을 열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모터(31)를 역방향으로 전원을 주면 상기 스크루(32)가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스크루가이더(33)가 모터(31)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축이음부재(22)를 누르고 있던 레버(36)가 축이음부재스프링(23)의 복원력에 의해서 축이음이 해제되어 두축이 분리되어 바깥쪽 핸들이 헛돌게된다.
상기 모터(31)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되는 스크루가이더(33)는 수개의 나선을 갖고 있어서 일정시간 신호에 위해서 이동을 하면 스크루(32)의 나선을 탈선하여 한정스프링(35)에 의해서 위치이동은 정지되면서 헛 돌게된다. 이때 모터(31)가 정지를 하면 한정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서 1개이상의 나선이 걸쳐져서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나선을 타고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였다.
핸들중앙 비상키의 동작은 모터(31)의 전원가 관계없이 동작하는 것으로 바 깥핸들(46) 중앙에 있는 비상키뭉치(45)에 연결된 비상키레버(44)가 바깥핸들고정대(41)의 요홈(41b)에 안착되어 비상키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하여 항시 원주방향으로 이동되어있는 비상키이동부재(42)의 하부홈(42a)에 비상키레버(44)가 통과하여 한방향으로 90도 회전을 하면 비상키레버(44)의 회전반경에 의해서 비상키이동부재(42)가 이동하면서 상부턱(42b)이 축이음부재(22)의 하부턱(22a)을 누르게 되면서 두개의 이동부재가 안쪽핸들고정대(21)의 요홈(21a)을 따라 이동하면서 두축이 연결되어 바깥핸들을 돌려서 문을 열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문을 열고나서 비상키를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을 하면 비상키를 뺄 수 가 있고, 비상키이동부재(42)는 비상키스프링(43)의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디지털 도어록 핸들 및 클러치 모듈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에 있어서, 커버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핸들 및 클러치 모듈의 일측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핸들 및 클러치 모듈의 타측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에 있어서의 클러치 모듈부의 일측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에 있어서의 클러치 모듈부의 타측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록 클러치모듈의 세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듈바디 20 : 핸들사각봉
21 : 안쪽핸들고정대 22 : 축이음부재
23 : 축이음부재스프링 25 : 안쪽핸들
31 : 모터 32 : 스크루
33 : 스크루 가이더 34 : 광센서
35 : 한정스프링 41 : 바깥핸들고정대
42 : 비상키이동부재 43 : 비상키스프링
44 : 비상키레버 45 : 비상키뭉치
46 : 바깥핸들

Claims (4)

  1. 모터(31)의 구동에 의하여 레버(36)를 연동이동시키고, 축이음부재스프링(23)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되어 클러치 해제되게 형성되어 있는 클러치 축이음부재(22)를 상기 레버(36)에 의해 강제 이동시킴으로써 클러치 결합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모듈바디(10)에 안착되어 결합하는 안쪽핸들고정대(21)의 내측에는 축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날개(22c)가 형성된 상기 클러치 축이음부재(22)를 상기 안쪽핸들고정대(21)에 형성된 요홈(21a)방향으로 밀어주는 축이음 스프링(23)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안쪽핸들고정대(21)와 결합하는 바깥쪽핸들고정대(41)에는 상기 안쪽핸들고정대(21)의 요홈(21a)과 연통되는 요홈(41b)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클러치 축이음 부재(26)가 상기 양 요홈(21a)(41b)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직선 운동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31)에 스크루(32)가 축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크루(32)에 스크루 가이드(33)가 나선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모터(31)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기 스크루 가이드(33)가 직선 이동되며,
    상기 스크루 가이드(33)가 상기 모터(31)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스크루 가이드(33) 일측에 형성된 걸림 턱이 상기 레버(36)를 밀면
    상기 레버(36)와 접촉하는 상기 클러치 축이음부재(22)가 상기 요홈(21a) 방향으로 강제 이동되면서 상기 양 요홈(21a)(41b)에 동시에 걸쳐지는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클러치 결합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바깥핸들(46) 중앙에 있는 비상키뭉치(45)에 연결된 비상키레버(44)가 바깥핸들고정대(41)의 요홈(41b)에 안착되어 비상키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하여 항시 원주방향으로 이동되어있는 비상키이동부재(42)의 하부홈(42a)에 비상키레버(44)가 통과하여 한방향으로 90도 회전을 하면 비상키레버(44)의 회전반경에 의해서 비상키이동부재(42)가 이동하면서 상부턱(42b)이 축이음부재(22)의 하부턱(22a)을 누르게 되면서 두개의 이동부재가 상기 양 요홈(21a)(41b)을 따라 동시에 걸쳐지는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클러치 결합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4. 제 1항 또는 제 2항, 제3항 에 있어서,
    상기 모터(31)와 연결된 스크루(32)의 회전에 의해서 수개의 나선을 갖은 스크루가이더(33)가 일정시간의 신호에 의해서 이동하여 스크루(32)의 나선을 이탈하면서 헛돌다가 신호가 정지되면 한정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서 스크루(32)의 나선을 1개이상 걸쳐져서 역방향의 전원을 줄 때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KR1020080046019A 2008-05-19 2008-05-19 핸들중앙 비상키겸용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Abandoned KR20090120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019A KR20090120132A (ko) 2008-05-19 2008-05-19 핸들중앙 비상키겸용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019A KR20090120132A (ko) 2008-05-19 2008-05-19 핸들중앙 비상키겸용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132A true KR20090120132A (ko) 2009-11-24

Family

ID=41603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019A Abandoned KR20090120132A (ko) 2008-05-19 2008-05-19 핸들중앙 비상키겸용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013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8595A (zh) * 2013-10-22 2014-01-08 曹国基 具有矫位离合器的锁具
CN103556872A (zh) * 2013-11-06 2014-02-05 上海铭源数码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锁的外置离合装置
CN104481271A (zh) * 2014-11-13 2015-04-01 詹万泉 一种复用机械锁芯孔的电子锁离合装置
CN108798361A (zh) * 2018-07-17 2018-11-13 武邑县多吉柜业有限公司 智能型移门保险柜
CN110259282A (zh) * 2019-07-12 2019-09-20 厦门美科安防科技有限公司 磁卡转舌锁
CN111648671A (zh) * 2020-07-03 2020-09-11 林挺意 防盗锁执行装置
CN112912578A (zh) * 2018-07-24 2021-06-04 施拉奇锁有限责任公司 模块化的离合机构
US20230160235A1 (en) * 2021-11-19 2023-05-25 Schlage Lock Company Llc Lock module with mechanical override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8595A (zh) * 2013-10-22 2014-01-08 曹国基 具有矫位离合器的锁具
CN103498595B (zh) * 2013-10-22 2015-11-18 广东雅洁五金有限公司 具有矫位离合器的锁具
CN103556872A (zh) * 2013-11-06 2014-02-05 上海铭源数码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锁的外置离合装置
CN103556872B (zh) * 2013-11-06 2016-01-20 上海铭源数码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锁的外置离合装置
CN104481271A (zh) * 2014-11-13 2015-04-01 詹万泉 一种复用机械锁芯孔的电子锁离合装置
CN108798361A (zh) * 2018-07-17 2018-11-13 武邑县多吉柜业有限公司 智能型移门保险柜
CN112912578A (zh) * 2018-07-24 2021-06-04 施拉奇锁有限责任公司 模块化的离合机构
CN112912578B (zh) * 2018-07-24 2022-09-02 施拉奇锁有限责任公司 模块化的离合机构
US11739562B2 (en) 2018-07-24 2023-08-29 Schlage Lock Company Llc Modular clutching mechanism
US12203290B2 (en) 2018-07-24 2025-01-21 Schlage Lock Company Llc Modular clutching mechanism
CN110259282A (zh) * 2019-07-12 2019-09-20 厦门美科安防科技有限公司 磁卡转舌锁
CN110259282B (zh) * 2019-07-12 2024-03-29 厦门美科安防科技股份有限公司 磁卡转舌锁
CN111648671A (zh) * 2020-07-03 2020-09-11 林挺意 防盗锁执行装置
US20230160235A1 (en) * 2021-11-19 2023-05-25 Schlage Lock Company Llc Lock module with mechanical override
US11993955B2 (en) 2021-11-19 2024-05-28 Schlage Lock Company Llc Lock module with mechanical override
US20240309679A1 (en) * 2021-11-19 2024-09-19 Schlage Lock Company Llc Lock module with mechanical override
US12331552B2 (en) 2021-11-19 2025-06-17 Schlage Lock Company Llc Lock module with mechanical overri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7837B2 (en) Electro-mechanical lock assembly
KR20090120132A (ko) 핸들중앙 비상키겸용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JP5785099B2 (ja) ロックボックス
US20080141743A1 (en) Electromechanical Lock Device
AU2019202691B2 (en) Clutch engagement assembly of door lock and driving device thereof
JP7025096B2 (ja) 施錠装置
KR101090379B1 (ko)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KR100895874B1 (ko) 도어록
CN112041523B (zh) 把手布置及其用途
US6425609B2 (en) Locking device for a child safety door
JP6277509B2 (ja) 電子錠
JP3788968B2 (ja) 電気錠
FI79168B (fi) Doerrlaos.
JP5301268B2 (ja) 閉止装置
CN108005489B (zh) 一种智能锁
KR200452186Y1 (ko) 매립형 창문 잠금장치
JP5096204B2 (ja) 扉用錠装置
JP6933491B2 (ja) 車両用ロック装置
KR101008980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록
KR101260682B1 (ko) 다점 조임 방식 로킹 장치
JP2009228310A (ja) 扉用錠装置
CN101424140B (zh) 电子锁的连动控制机构及其离合控制装置
KR20090123364A (ko) 키박스
KR200444843Y1 (ko) 모티스 록 장치
CN111329261B (zh) 锁具管理机构及锁具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0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