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9377A -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 - Google Patents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19377A KR20090119377A KR1020080045375A KR20080045375A KR20090119377A KR 20090119377 A KR20090119377 A KR 20090119377A KR 1020080045375 A KR1020080045375 A KR 1020080045375A KR 20080045375 A KR20080045375 A KR 20080045375A KR 20090119377 A KR20090119377 A KR 200901193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wborn
- urine
- newborns
- groove
- infan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group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59 skin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08 skin probl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03 subcutaneous f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6—Auxiliary or portable seats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저귀 등을 착용하지 않도록 하여 신생아 및 유아의 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는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에 관한 것이다.
신생아, 유아, 변기, 배설물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저귀 등을 착용하지 않도록 하여 신생아 및 유아의 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는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에 관한 것이다.
신생아 및 유아는 자신이 소변과 대변을 조절하고 변기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 기저귀를 차게 된다.
기저귀를 차게 되면 그 기저귀와 피부 사이에 땀과 소변 대변이 차서 많은 피부병과 같은 문제점을 나타낸다.
특히 신생아의 경우에는 피하지방이 많이 축적되어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피부에 통풍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나 그 반대로 기저귀 등을 차게 되어 더욱 문제점이 심각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신생 아 및 유아가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기저귀를 착용하지 않고 소변과 대변을 볼 수 있는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는 눕거나 앉을 수 있도록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배설물통을 넣을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기 홈에 끼워져 배설물을 저장하게 되는 배설물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에는 그 측면에 신생아나 유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안전벨트의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은 몸체의 반대편 측면에 벨크로로 안전벨트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배설물통은 옆으로 누운 형태로 이루어지고, 입구에는 신생아의 아래를 받치고 통 내부로 배설물을 유도하는 받침부와 신생아가 남아인 경우 소변을 막아 상기 받침부로 유도하는 소변막이가 설치되고, 통 끝단에는 통이 상기 몸체의 홈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벨트가 들어가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배설물통은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고 그 아래의 몸체는 접히는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는 신생아와 유아에게 기저귀를 차지 않도록 하여 피부건강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의 경우에는 배변 훈련도 함께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에 신생아가 누워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생아는 몸체(10)의 상면에 누워 있고 몸체(10) 사이, 신생아의 두 다리 사이에 배설물통(20)이 장착되어 있다. 몸체(10)의 측면에는 안전벨트(14)가 고정되어 있고 반대편으로 넘겨 신생아를 묶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벨크로를 사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또 그 측면에는 고정벨트(15)가 나와서 배설물통(20)의 끝단을 경유한 다음 반대편에 같은 방식인 벨크로로 고정되어 배설물통(20)을 몸체(10)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도 2는 몸체(10)의 분해사시도로서, 몸체(10)는 상하부의 스펀지(11,12)와 그 사이에 끼워지는 플라스틱 패널(13)로 구성된다. 플라스틱 패널(13)은 스펀지(11,12)보다 그 크기가 약간 작도록 제작하고 플라스틱 패널(13)에 안전벨트(14)와 고정벨트(15)의 끝단이 부착된다. 이렇게 플라스틱 패널(13)에 안전벨트(14)와 고정벨트(15)를 부착하고 위아래에서 상하부 스펀지(11,12)를 덮은 상태에서 방수비닐팩을 씌워 방수처리하면 몸체(10)가 완성된다. 몸체(10)에는 배설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설물통(20)이 들어가는 홈(20b)이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각 스펀지(11,12)와 플라스틱 패널(13)에도 홈(11a,12a,13a)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여기서는 몸체(10)를 구성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패널(13)과 스펀지(11,12)를 사용하였으나 플라스틱이나 스펀지 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만 배설물통(20)을 넣기 위한 홈(20b)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 중요할 따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배설물통(20)이 도시되어 있다. 배설물통(20)은 신생아가 배출한 소변과 대변을 모으게 되는 바, 일반적인 통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고정벨트(15)가 지나가는 자리를 위하여 홈(20b)을 형성하고 손으로 잘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 모양으로 패인 부분(20c)을 형성한다. 그리고 소변과 대변은 받침부(22)에 의해 모아져 통 내부로 들어오게 되고, 남아의 경우 소변막이(21)에 소변이 부딪혀 흘러내린 다음 다시 받침부(22)를 거쳐 통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받침부(22)는 그 끝단(22a)이 신생아의 엉덩이 밑에 일부가 들어가도록 하고 소변막이(21)는 상부에 소변이 튀지 않도록 우산(21a)이 형성되고 하부는 통의 입구(20a)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벌어지는 고리부(21b)를 형성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변기세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바, 배설물통(30)을 달리 적용한 것이다. 배설물통(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31a)에 원형의 실리콘 고리(31)가 상부에 형성되고 몸체(10)의 홈에 들어갈 수 있도록 그 하부에는 타원형의 자바라(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손잡이(33)가 부착되어 있다. 배설물통(30)을 몸체(10)의 홈에 넣은 상태의 도 6을 보면, 홈에 실리콘 고리(31)가 상부에 있기 때문에 유아가 앉은 상태에서 소변 및 대변을 보게 된다. 따라서 아기가 어느 정도 자라면 배설물통(30)을 갈아 끼움으로써 배변훈련을 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또 다른 배설물통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20)에 상부에는 구멍(121a)이 형성되고 실리콘 고리(121)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옆으로는 손잡이(1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20) 전체 에 걸쳐 자라바(120c)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벨트를 걸기 위한 홈(12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에는 받침부(122)와 소변막이(123)가 형성되어 소변이 구멍(122a)을 통하여 몸체(120)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변기세트의 일부구성요소인 몸체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을 가진 상부 스펀지(11)와 하부의 패널(13')로 이루어지되, 특히 하부의 패널(13')에는 변기통을 수용하는 수용박스(113)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쪽에는 패널(13')을 지지하기 위한 다리(114)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낸다. 따라서 사용자는 아기가 누운 상태에서 수용박스(113) 사이로 변기통을 넣거나 빼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에 신생아가 누워있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의 일부구성요소인 배설물통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의 일부구성요소인 소변막이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의 일부구성요소인 배설물통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설물통을 본 발명의 실시예 적용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의 일부구성요소인 배설물통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의 일부구성요소인 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5)
- 아이가 눕거나 앉을 수 있도록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배설물통을 넣을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기 홈에 끼워져 배설물을 저장하게 되는 배설물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몸체에는 그 측면에 신생아나 유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안전벨트의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은 몸체의 반대편 측면에 벨크로로 안전벨트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배설물통은 옆으로 누운 형태로 이루어지고, 입구에는 신생아의 아래를 받치고 통 내부로 배설물을 유도하는 받침부와 신생아가 남아인 경우 소변을 막아 상기 받침부로 유도하는 소변막이가 설치되고, 통 끝단에는 통이 상기 몸체의 홈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벨트가 들어가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배설물통은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고 그 아래의 몸체는 접히는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배설물통은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고 그 아래의 몸체는 접히는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전방입구에는 신생아의 아래를 받치고 통 내부로 배설물을 유도하는 받침부와 신생아가 남아인 경우 소변을 막아 상기 받침부로 유도하는 소변막이가 설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5375A KR20090119377A (ko) | 2008-05-16 | 2008-05-16 |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5375A KR20090119377A (ko) | 2008-05-16 | 2008-05-16 |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9377A true KR20090119377A (ko) | 2009-11-19 |
Family
ID=4160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5375A Withdrawn KR20090119377A (ko) | 2008-05-16 | 2008-05-16 |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11937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44039A (zh) * | 2014-06-19 | 2015-05-27 | 李琪 | 婴儿把便器 |
-
2008
- 2008-05-16 KR KR1020080045375A patent/KR20090119377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44039A (zh) * | 2014-06-19 | 2015-05-27 | 李琪 | 婴儿把便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09851B2 (ja) | トイレ訓練及びトイレ装置 | |
JP2008523928A6 (ja) | トイレ訓練及びトイレ装置 | |
AU2009278818B2 (en) | Toilet training device | |
US20110107511A1 (en) | Standing baby shower seat | |
KR101456283B1 (ko) | 영유아용 비데 | |
CN101484057A (zh) | 儿童大小便训练椅 | |
US7712159B2 (en) | Convertible potty chair and urinal training device | |
WO2007104101A1 (en) | Toileting and toilet training devices for children | |
JP2013523306A (ja) | トイレット・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 |
KR101492170B1 (ko) | 유아용 목욕 보조대 | |
CN105768982B (zh) | 折叠式幼儿清洗辅助用具 | |
KR101125972B1 (ko) | 배변 유도가 용이한 양변기 설치형 고양이 화장실 | |
KR20090119377A (ko) |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 | |
CN202477991U (zh) | 一种新型尿垫 | |
JP3162236U (ja) | 幼児用便器構造 | |
KR200414378Y1 (ko) | 좌변기의 덮개 | |
CN208798937U (zh) | 一种婴儿臀部清洗床 | |
JP6708896B2 (ja) | 介護用パンツを着用した排泄と、入浴が出来る介護用ベッド | |
KR200486696Y1 (ko) | 유아용 입식보조기 | |
AU2005318927B2 (en) | Toilet training, bathing and toileting devices for infants, toddlers and pre schoolers | |
CN207613699U (zh) | 宝宝坐便器 | |
KR20140069967A (ko) | 유아 세정보조기구 | |
TWI779416B (zh) | 幼兒臀部清洗輔助裝置 | |
KR200378346Y1 (ko) | 남아용 소변기 | |
JP2013009720A (ja) | 幼児用便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