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9063A - 안테나 모듈,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 표시 장치를 갖는정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테나 모듈,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 표시 장치를 갖는정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19063A KR20090119063A KR1020080044887A KR20080044887A KR20090119063A KR 20090119063 A KR20090119063 A KR 20090119063A KR 1020080044887 A KR1020080044887 A KR 1020080044887A KR 20080044887 A KR20080044887 A KR 20080044887A KR 20090119063 A KR20090119063 A KR 200901190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enna
- ground
- line
- connection line
- display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5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 H01Q1/226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disposed inside the comput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8—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re-radiation of a support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8—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rectilinear path
- H01Q21/10—Collinear arrangements of substantially straight elongated conductive uni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안테나 모듈,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 표시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 및 연결선을 포함한다. 안테나는 무선 통신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연결선은 일단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단과 타단 사이에 형성된 접지부를 포함한다. 접지부는 무선 통신 대역 중 최저 주파수의 반파장 길이 만큼 연결선이 연장된 방향에 위치한 안테나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안테나와 연결된 연결선에 접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무선 통신 대역의 노이즈 간섭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안테나, 무선 통신 대역, 반파장, 접지, 노이즈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테나 모듈,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 표시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 모듈,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 표시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음극선관(CRT) 보다 표시 성능 및 가격에서 열세이나, 박형, 경량, 저소비전력 등의 장점이 있으며, TFT(Thin Film Transistor)-액정표시장치는 고도 정보 표시가 가능하고 성능면에서도 음극선관(CRT)과 거의 동등한 수준을 실현하고 있다. 이러한 장점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대형 TV 는 물론, 중, 소형 표시 장치, 예컨대,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핸드폰 등에 다양하게 채용되고 있다.
최근 노트북 컴퓨터는 인터넷 비즈니스 환경 진화에 따른 이동형 인터넷 접속 시스템으로 개발되고 있다. 즉, 무선 원거리 통신(Wireless Regional Area Network : WRAN), 무선 광대역 통신(Wireless Wide Area Network : WWAN) 등의 기 술의 발달로 네트워크 환경이 구축되어 상기 노트북 컴퓨터를 이용해 언제 어디에서나 쉽게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반사, 회전, 체배 및 왜곡 등 여러 작용들을 거친 신호는 무선 통신 안테나에 영향을 미치는 간섭으로 작용한다. 예컨대, 노트북 컴퓨터에서는 그래픽 카드, 표시 모듈 및 인터페이스 케이블 등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노이즈가 무선 통신 안테나의 간섭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이 채용된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정보 처리 시스템은 노이즈에 대해 안정화된 데이터 및 신호들을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예기치 않은 전기적, 전자기적 에너지 형태의 노이즈를 최소화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노이즈 간섭을 개선하기 위한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안테나 모듈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 및 연결선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는 무선 통신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연결선은 일단은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형성된 접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무선 통신 대역 중 최저 주파수의 반파장 길이 만큼 상기 연결선이 연장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안테나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무선 통신 대역 중 최저 주파수가 850 MHz 인 경우, 상기 접지부는 상기 안테나의 단부로부터 7.8 cm 내지 9.8 cm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안테나 모듈, 하부 케이스, 표시 모듈 및 상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모듈은 무선 통신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일단은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접지부가 형성된 연결선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케이스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된 측벽들 및 상기 접지부를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측벽들에 고정하고 상기 연결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안테나 모듈은 무선 통신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주 안테나와 상기 주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지선이 노출된 접지부가 형성된 제1 연결선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케이스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된 측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를 상기 바닥판 및 측벽들에 고정하여 상기 제1 연결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안테나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을 수납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은 표시 장치 및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무선 통신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일단은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 사이에 접지부가 형성된 연결선을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과,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된 측벽들 및 상기 접지부를 고정하고 상기 연결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와,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와 힌지 결합하고, 상기 연결선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사용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테나 모듈,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 표시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안테나와 연결된 연결선에 접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무선 통신 대역의 노이즈 간섭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 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은 표시 장치(100), 데이터 처리 장치(500) 및 힌지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100)는 표시부(DP) 및 안테나 모듈(WA)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DP)는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안테나 모듈(WA)은 주 안테나 모듈(MA)과 보조 안테나 모듈(AA)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안테나 모듈(MA)은 주 안테나(130) 및 상기 주 안테나(130)와 연결된 제1 연결선(1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선(140)은 상기 주 안테나(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단(140a)과 상기 일단(140a)과 대향하고 외부 장치인 신호처리부(5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타단(140b)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 안테나 모듈(AA)은 보조 안테나(150)와 상기 보조 안테나(150)와 연결된 제2 연결선(16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연결선(160)은 상기 보조 안테나(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단(150a)과 상기 일단(150a)과 대향하고 상기 신호처리부(5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타단(160b)을 포함한다.
상기 주 안테나(130) 및 상기 보조 안테나(150)는 해당하는 무선 통신 방식에서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무선 원거리(Wireless Regional Area Network : WRAN) 및 무선 광대역(Wireless Wide Area Network : WWAN)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다음의 [표 1]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및 GSM(Group Special Mobile) 통신에서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과 노이즈 레벨을 나타낸 것이다.
Technology | Frequency Band (MHz) | Max. Allowable Noise (dBm) | Antenna Connected |
850 UMTS | 869 - 894 | -101 | ALL WWAN |
900 GSM | 925 - 960 | -113 | ALL WWAN |
1800 GSM | 1805 - 1880 | -113 | ALL WWAN |
1900 UMTS | 1930 - 1990 | -105 | ALL WWAN |
2100 UMTS | 2110 - 2170 | -102 | ALL WWAN |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500)는 입력부(IP)와 신호처리부(55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IP)는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면, 키보드 및 마우스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처리부(550)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선들(140, 16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신호처리부(550)는 상기 주 안테나(130) 및 상기 보조 안테나(150)로부터 수신된 신호들 중 양호한 신호를 선택하여 신호 처리한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처리부(550)는 무선 네트워크 카드로서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고 송신하는 신호를 디코딩한다.
상기 힌지부(700)는 상기 표시 장치(100) 및 데이터 처리 장치(500)를 힌지(Hinge) 방식으로 연결한다. 상기 힌지 방식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100) 및 데이터 처리 장치(500)의 휴대가 용이하다.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은 예를 들면, 노트북 컴퓨터를 들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는 하부 케이스(110), 상부 케이스(180) 및 표시 모듈(40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는 바닥판(101)과 상기 바닥판(101)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 제2, 제3 및 제4 측벽들(103, 104, 105, 106)로 이루어져 수납 공간을 정의한다. 상기 수납 공간이 정의된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내측 표면은 도전층으로 코팅되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110)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에는 주 안테나 모듈(MA) 및 보조 안테나 모듈(AA)이 배치된다. 상기 주 안테나 모듈(MA)은 주 안테나(130)와 상기 주 안테나(130)와 연결된 제1 연결선(14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선(140)은 복수의 접지부들(143a, 143b, 143c)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 안테나 모듈(AA)은 보조 안테나(150)와 상기 보조 안테나(150)와 연결된 제2 연결선(160)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선(160)은 복수의 접지부들(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상기 제1 측벽(103)에 인접한 상기 바닥판(101)에는 상기 주 안테나(130) 및 보조 안테나(150)가 배치된다. 상기 주 안테나(130)와 연결된 제1 연결선(140)은 상기 제1 측벽(103) 및 상기 제1 측벽(103)과 직각으로 연결된 제2 측벽(104)을 따라서 상기 바닥판(101)과 상기 제1 및 제2 측벽(103, 104)이 만나는 모서리에 고정된다. 상기 보조 안테나(150)와 연결된 제2 연결선(160)은 상기 제1 측벽(103) 및 상기 제2 측벽(104)과 대향하는 제3 측벽(105)을 따라서 상기 바닥판(101)과 상기 제1 및 제3 측벽(103, 105)이 만나는 모서리에 고정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측벽들(103, 104, 105)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선들(140, 160)을 고정하는 복수의 가이드부들(115a, 115b, 115c)을 포함한다. 또는, 상기 가이드부들(115a, 115b, 115c)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측벽들(103, 104, 105) 또는 상기 바닥판(101)에 형성되어, 상기 모서리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선들(140, 160)을 상기 하부 케이스(110)에 가이드하여 고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부들(115a, 115b, 115c)은 상기 제1 연결선(140)의 상기 접지부들(143a, 143b, 143c)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연결선(140)을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상기 제1, 제2 및 제3 측벽들(103, 104, 105) 및 상기 바닥판(101)에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연결선(140)의 접지부들(143a, 143b, 143c)은 상기 하부 케이스(110)를 통해 접지된다.
상기 제2 및 제3 측벽들(104, 105)을 따라서 고정된 상기 제1 및 제2 연결선들(140, 160)은 상기 제1 측벽(103)과 대향하는 제4 측벽(106)에 형성된 개구들(106a)을 통해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외부로 각각 인출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8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와 결합되어, 상기 표시 모듈(400)을 수납한다.
상기 표시 모듈(400)은 하부 수납용기(410), 상부 수납용기(430),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및 패널 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수납용기(410)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300)를 수납한다. 상기 상부 수납용기(430)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410)에 수납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0)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부 수납용기(410)와 결합된다. 상기 하부 및 상부 수납용기(410, 430)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거나, 도전성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램프 유닛(210), 반사 부재(230), 도광판(250) 및 광학 부재(270)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 유닛(210)은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제1 및 제4 측벽들(103, 10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램프 유닛(210)은 광을 발생하는 램프(211) 및 상기 램프(211)를 커버하는 램프 커버(213)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 부재(230)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410)의 바닥면 위에 배치되어 상기 램프(211)로부터 발생된 광을 상기 도광판(250) 측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도광판(250)은 상기 반사 부재(230) 위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250)의 서로 마주보는 양 단부에는 상기 램프 유닛(210)이 각각 배치된다. 상기 도광판(250)은 상기 램프로부터 발생된 광을 상기 패널 어셈블리(300) 측으로 가이드 한다. 상기 광학 부재(270)는 상기 도광판(250) 위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25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광학 부재(270)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시트 및 광을 집광 시키는 프리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0)는 표시 패널(310), 데이터 구동회로(330) 및 게이트 구동회로(35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310)은 예를 들면, 액정표시패널로서, 서로 마주보는 기판들과, 상기 기판들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330)는 상기 표시 패널(310)에 형성된 데이터 배선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350)는 상기 표시 패널(310)에 형성된 상기 데이터 배선과 교차하는 게이트 배선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한다. 여기서는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330) 및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350) 각각이 구동칩이 패키징 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하였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 및 게이트 구동회로(330, 350) 각각은 구동 칩으로 상기 표시 패널(310)에 실장 되거나, 상기 표시 패널(310)에 회로로 집적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I'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하부 케이스에 배치된 주 안테나 모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론, 상기 하부 케이스에 배치된 보조 안테나 모듈 역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판(101) 및 상기 바닥판(101)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측벽들(103, 104, 105, 106)은 도전성 물질로 코팅된 도전층(111)이 형성된다. 상기 도전성 물질의 예로서는, 은(Ag), 알루미늄(Al)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103)과 만나는 상기 바닥판(101)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주 안테나(130)가 배치된다. 상기 주 안테나(130)와 연결된 제1 연결선(140)은 상기 제1 측벽(103) 및 상기 제1 측벽(103)과 수직으로 연결된 제2 측벽(104)을 따라서 고정된다.
상기 제1 연결선(140)은 신호선(141), 접지선(143) 및 피복(145)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선(141)은 상기 주 안테나(13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접지선(143)은 상기 신호선(141)을 감싸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피복(145)은 상기 접지선(143)을 감싸며, 절연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선(140)은 상기 피복(145)이 벗겨져 상기 접지선(143)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접지부들(143a, 143b, 143c)을 포함한다. 상기 접지부들(143a, 143b, 143c)은 상기 주 안테나(13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통신 대역의 반파장에 대응하여 형성 위치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주 안테나(130)가 850 UMTS, 900 GSM, 1800 GSM, 1900 UMTS, 및 2100 UMTS 의 무선 통신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 대역들 중 최저 주파수 대역인 850 UMTS 의 주파수 대역(869 MHz ~ 894 MHz)의 반파장(λ/2)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주 안테나(130)의 단부(133)로부터 약 8.8 cm 이격된 부분에 제3 접지부(143c)를 형성한다. 다음의 [수학식 1]은 주파수(f)와 파장(λ)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상기 C는 빛의 속도이고, f(Hz) 는 주파수이다.
상기 [수학식 1]에 따라서, 주파수 850 MHz의 신호 파장(λ)은 약 0.352 m 이고, λ/4 은 약 0.088 m 로, 약 8.8 cm 이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3 접지부(146c)는 상기 단부(133)로부터 약 8.8 cm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3 접지부(143c)에 의해 상기 850 MHz 의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 간섭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2100 MHz의 신호 파장(λ/4)은 약 3.6 cm 이고, 주파수 1800 MHz 의 신호 파장(λ/4)은 약 4.2 cm 이다. 이에 따라서, 상기 단부(133)로부터 약 5.8 cm 이격된 상기 제2 접지부(143b)에 의해 상기 1800 MHz 내지 상기 2100 MHz 의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 간섭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부(133)로부터 약 1.8 cm 이격된 상기 제1 접지부(143a)에 의해 상기 2100 M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 간섭을 개선할 수 있다.
전체 무선 통신 대역의 노이즈를 개선하기 위해서 최저 주파수의 반파장(λ/2)(및 λ/4) 길이 만큼 상기 안테나(130)의 단부(13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3 접지부(143c)를 형성하고, 상기 제3 접지부(143c)와 상기 단부(133) 사이에 실험치에 따라 설정된 제1 및 제2 접지부들(143a, 143b)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접지부(143a)는 상기 주 안테나(130)의 단부(133)로부터 약 0.8 cm 내지 2.8 cm 이격되고, 바람직하게는 약 1.8 cm 이격된다. 상기 제2 접지부(143b)는 상기 단부(133)로부터 약 4.8 cm 내지 6.8 cm 이격되고, 바람직하게는 약 5.8cm 만큼 이격된다. 상기 제3 접지부(143c)는 상기 단부(133)로부터 약 7.8 cm 내지 9.8 cm 만큼 이격되고, 바람직하게는 약 8.8 cm 만큼 이격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지부들(143a, 143b, 143c)은 약 1cm 정도의 폭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연결선(140)은 상기 제3 접지부(143c)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인 신호처리부(5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타단(140b)까지는 상기 접지선(143)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피복(145)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103, 104)에는 상기 제1 연결선(140)을 상기 바닥판(101)과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103, 104)이 만나는 모서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부들(115a, 115b, 115c)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들(115a, 115b, 115c) 역시 상기 도전층(111)으로 코팅된다. 상기 가이드부들(115a, 115b, 115c)은 상기 제1 연결선(140)의 접지부들(143a, 143b, 143c)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접지부들(143a, 143b, 143c)과 접촉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연결선(140)은 상기 접지부들(143a, 143b, 143c), 상기 가이드부들(115a, 115b, 115c) 및 상기 하부 케이스(110)로 접지 경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110)에 수납되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410)를 통해서도 접지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납용기(410)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접지부를 다양한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접지부의 위치에 따라 안테나 모듈의 수신 성능을 비교하여 보았다.
도 4는 안테나 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830) 및 상기 안테나(830)와 연결된 연결선(84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선(840)의 일단은 상기 안테나(830)의 일부분(831)에 납땜 방식으로 연결하였다. 상기 연결선(840)은 피복을 제거하여 접지선을 노출시킨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및 제7 접지부들(A, B, C, D, E, F, G)을 형성하였다. 각 접지부는 약 1 cm 폭으로 상기 피복을 제거하였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및 제7 접지부들(A, B, C, D, E, F, G)의 위치는 다음의 [표 2]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접지부 위치 | 길이(cm) |
A | L1 = 1.8 |
A-B | L2 = 5.8 |
A-B-C | L3 = 8.8 |
A-B-C-D | L4 = 11.8 |
A-B-C-D-E | L5 = 14.8 |
A-B-C-D-E-F | L6 = 17.8 |
A-B-C-D-E-F-G | L7 = 20.8 |
상기 [표 2]와 같이, 제1 접지부(A)는 상기 안테나(830)의 일단부(833), 즉 상기 연결선(840)의 연장방향 측에 대응하는 단부로부터 제1 길이(L1=1.8cm) 만큼 이격된 부분에 형성하였다. 제2 접지부(B)는 상기 안테나(830)의 단부(833)로부터 제2 길이(L2=5.8cm) 만큼 이격된 부분에 형성하였다. 제3 접지부(C)는 상기 안테나(830)의 단부(833)로부터 제3 길이(L3=8.8cm) 만큼 이격된 부분에 형성하였다. 제4 접지부(D)는 상기 안테나(830)의 단부(833)로부터 제4 길이(L4=11.8cm) 만큼 이격된 부분에 형성하였다. 제5 접지부(E)는 상기 안테나(830)의 단부(833)로부터 제5 길이(L5=14.8cm) 만큼 이격된 부분에 형성하였다. 제6 접지부(F)는 상기 안테나(830)의 단부(833)로부터 제6 길이(L6=17.8cm) 만큼 이격된 부분에 형성하였다. 제7 접지부(G)는 상기 안테나(830)의 단부(833)로부터 제8 길이(L8=20.8cm) 만큼 이격된 부분에 형성하였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지부의 위치에 따른 노이즈 레벨의 분포도이다. 다음의 [표 3]은 도 5에 도시된 노이즈 레벨을 무선 통신 대역별로 정리한 데이터이다.
850 UMTS | 900 GSM | 1800 GSM | 1900 UMTS | 2100 UMTS | |
허용치 | -101(dBm) | -113(dBm) | -113(dBm) | -105(dBm) | -102(dBm) |
샘플 1 | -92(dBm) | -101(dBm) | -104(dBm) | -94(dBm) | -93(dBm) |
샘플 2 | -96(dBm) | -110(dBm) | -110(dBm) | -97(dBm) | -93(dBm) |
샘플 3 | -98(dBm) | -111(dBm) | -112(dBm) | -99(dBm) | -96(dBm) |
샘플 4 | -95(dBm) | -107(dBm) | -104(dBm) | -96(dBm) | -93(dBm) |
샘플 5 | -93(dBm) | -108(dBm) | -105(dBm) | -94(dBm) | -92(dBm) |
샘플 6 | -93(dBm) | -106(dBm) | -104(dBm) | -93(dBm) | -91(dBm) |
샘플 7 | -96(dBm) | -103(dBm) | -108(dBm) | -92(dBm) | -93(dBm) |
도 5 및 [표 3]을 참조하면, 샘플 1의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1 접지부(A)만을 접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830)의 수신 성능을 측정하여 보았다. 그 결과, 상기 샘플 1의 안테나에서 측정된 노이즈는 850 UMTS 대역에서는 최대 허용치 -101 dBm 에 대해 약 -92 dBm 이었고, 900 GSM 대역에서는 최대 허용치 -113 dBm에 대해 약 -101 dBm 이었고, 1800 GSM 대역에서는 최대 허용치 -113 dBm 에 대해 약 -104 dBm 이었고, 1900 UMTS 대역에서는 최대 허용치 -105 dBm 에 대해 약 -94 dBm 이었으며, 2100 UMTS 대역에서는 최대 허용치 -102 dBm 에 대해 약 -93 dBm 이었다.
샘플 2의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접지부(A, B)를 접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830)의 수신 성능을 측정하여 보았다. 그 결과, 노이즈 레벨은 850 UMTS 대역에서는 약 -96 dBm 이었고, 900 GSM 대역에서는 약 -110 dBm 이었고, 1800 GSM 대역에서는 약 -110 dBm 이었고, 1900 UMTS 대역에서는 약 -97 dBm 이었으며, 2100 UMTS 대역에서는 약 -93 dBm 이었다.
샘플 3의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접지부들(A, B, C)을 접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830)의 수신 성능을 측정하여 보았다. 그 결과, 노이즈 레벨은 850 UMTS 대역에서는 약 -98 dBm 이었고, 900 GSM 대역에서는 약 -111 dBm 이었고, 1800 GSM 대역에서는 약 -112 dBm 이었고, 1900 UMTS 대역에서는 약 -99 dBm 이었으며, 2100 UMTS 대역에서는 약 -96 dBm 이었다.
샘플 4의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접지부들(A, B, C, D)을 접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830)의 수신 성능을 측정하여 보았다. 그 결과, 노이즈 레벨은 850 UMTS 대역에서는 약 -95 dBm 이었고, 900 GSM 대역에서는 약 -107 dBm 이었고, 1800 GSM 대역에서는 약 -104 dBm 이었고, 1900 UMTS 대역에서는 약 -96 dBm 이었으며, 2100 UMTS 대역에서는 약 -93 dBm 이었다.
샘플 5의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접지부들(A, B, C, D, E)을 접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830)의 수신 성능을 측정하여 보았다. 그 결과, 노이즈 레벨은 850 UMTS 대역에서는 약 -93 dBm 이었고, 900 GSM 대역에서는 약 -108 dBm 이었고, 1800 GSM 대역에서는 약 -104 dBm 이었고, 1900 UMTS 대역에서는 약 -94 dBm 이었으며, 2100 UMTS 대역에서는 약 -92 dBm 이었다.
샘플 6의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접지부들(A, B, C, D, E, F)을 접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830)의 수신 성능을 측정하여 보았다. 그 결과, 노이즈 레벨은 850 UMTS 대역에서는 약 -93 dBm 이었고, 900 GSM 대역에서는 약 -106 dBm 이었고, 1800 GSM 대역에서는 약 -104 dBm 이었고, 1900 UMTS 대역에서는 약 -93 dBm 이었으며, 2100 UMTS 대역에서는 약 -91 dBm 이었다.
샘플 7의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및 제7 접지부들(A, B, C, D, E, F, G)을 접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830)의 수신 성능을 측정하여 보았다. 그 결과, 노이즈 레벨은 850 UMTS 대역에서는 약 -96 dBm 이었고, 900 GSM 대역에서는 약 -103 dBm 이었고, 1800 GSM 대역에서는 약 -108 dBm 이었고, 1900 UMTS 대역에서는 약 -92 dBm 이었으며, 2100 UMTS 대역에서는 약 -93 dBm 이었다.
상기 샘플 1 내지 샘플 7 중에서 샘플 3의 경우, 즉, 제1, 제2 및 제3 접지부들(A, B, C)을 접지시킨 경우, 노이즈 레벨이 최대 허용치와 가장 근접하였다.
즉, 상기 850 UMTS, 900 GSM, 1800 GSM, 1900 UMTS, 및 2100 UMTS 의 무선 통신 대역들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의 경우, 최저 주파수 대역인 850 MHz 의 반파장에 대응하는 길이 약 8.8 cm 이내에서 접지부를 형성하는 경우 850 M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상대적으로, 850 MHz 이하의 주파수의 반파장에 대응하는 길이 약 10.8 cm 이상의 길이에 접지부를 형성하는 경우(샘플 4, 5, 6 및 7), 및 1800 MHz 이상의 주파수의 반파장에 대응하는 길이 약 5.8 cm 이내에 접지부를 형성하는 경우(샘플 1 및 2)에는 상기 무선 통신 대역들의 전체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와 연결된 연결선에 접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무선 통신 대역의 고주파 노이즈 간섭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통신 대역 중 최저 주파수의 반파장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상기 안테나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상기 접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 대역의 노이즈 간섭을 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 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안테나 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지부의 위치에 따른 노이즈 레벨의 분포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 장치 500 : 데이터 처리장치
130 : 주 안테나 140 : 제1 연결선
150 : 보조 안테나 160 : 제2 연결선
110 : 하부 케이스 180 : 상부 케이스
400 : 표시 모듈 410 : 하부 수납용기
430: 상부 수납용기 2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300 : 패널 어셈블리 143a, 143b, 143c : 접지부들
Claims (20)
- 무선 통신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및일단은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형성된 접지부를 포함하는 연결선을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무선 통신 대역 중 최저 주파수의 반파장 길이 만큼 상기 연결선이 연장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안테나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신호가 전송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을 감싸는 접지선 및 상기 접지선을 감싸는 피복을 포함하며,상기 접지부는 상기 피복이 제거되어 상기 접지선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상기 접지부로부터 상기 타단까지 상기 접지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피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대역 중 최저 주파수가 850 MHz 인 경우,상기 접지부는 상기 안테나의 단부로부터 7.8 cm 내지 9.8 cm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상기 안테나의 단부와 상기 접지부 사이에 복수의 접지부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 무선 통신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일단은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접지부가 형성된 연결선을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된 측벽들 및 상기 접지부를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측벽들에 고정하고 상기 연결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하부 케이스;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안테나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을 수납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무선 통신 대역 중 최저 주파수의 반파장 길이 만큼 상기 연결선이 연장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안테나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신호가 전송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을 감싸는 접지선 및 상기 접지선을 감싸는 피복을 포함하며,상기 접지부는 상기 피복이 제거되어 상기 접지선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상기 접지부로부터 상기 타단까지 상기 접지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피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대역 중 최저 주파수가 850 MHz 인 경우,상기 접지부는 상기 안테나의 단부로부터 7.8 cm 내지 9.8 cm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상기 안테나의 단부와 상기 접지부 사이에 복수의 접지부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측벽들과 상기 바닥판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측벽들 또는 상기 바닥판에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측벽들 중 제1 측벽에 인접한 상기 바닥판 위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과 인접한 제2 측벽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벽과 만나는 상기 바닥판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부들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상기 하부 케이스를 수납하고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하부 수납용기;상기 하부 수납용기에 수납되고, 광을 발생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위에 배치되고, 상기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 및상기 하부 수납용기와 결합하여,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상부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무선 통신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일단은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 사이에 접지부가 형성된 연결선을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과,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된 측벽들 및 상기 접지부를 고정하고 상기 연결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와,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 셈블리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상기 표시 장치와 힌지 결합하고, 상기 연결선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사용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무선 통신 대역 중 최저 주파수의 반파장 길이 만큼 상기 연결선이 연장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안테나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신호가 전송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을 감싸는 접지선 및 상기 접지선을 감싸는 피복을 포함하며,상기 접지부는 상기 피복이 제거되어 상기 접지선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상기 접지부로부터 상기 타단까지 상기 접지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피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상기 안테나의 단부와 상기 접지부 사이에 복수의 접지부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4887A KR20090119063A (ko) | 2008-05-15 | 2008-05-15 | 안테나 모듈,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 표시 장치를 갖는정보 처리 시스템 |
US12/465,952 US20090284424A1 (en) | 2008-05-15 | 2009-05-14 | Antenna modu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4887A KR20090119063A (ko) | 2008-05-15 | 2008-05-15 | 안테나 모듈,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 표시 장치를 갖는정보 처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9063A true KR20090119063A (ko) | 2009-11-19 |
Family
ID=4131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4887A Withdrawn KR20090119063A (ko) | 2008-05-15 | 2008-05-15 | 안테나 모듈,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 표시 장치를 갖는정보 처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090284424A1 (ko) |
KR (1) | KR2009011906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69989A (zh) * | 2010-12-29 | 2012-07-11 |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 天线模块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405366B (zh) * | 2009-05-18 | 2013-08-11 | Quanta Comp Inc | 無線通訊裝置及應用其之可攜式電子裝置 |
JP5654379B2 (ja) * | 2010-03-03 | 2015-01-14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電気配線を備えた電子機器 |
JP5724054B2 (ja) * | 2010-03-08 | 2015-05-27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電子機器 |
US8941981B2 (en) | 2010-10-22 | 2015-01-27 | Xplore Technologies Corp. | Computer with high intensity screen |
JP5850015B2 (ja) * | 2013-09-17 | 2016-02-03 | 横河電機株式会社 | 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無線機器 |
CN106058431B (zh) * | 2016-07-27 | 2019-01-22 | 常熟市泓博通讯技术股份有限公司 | 整合天线的模组系统 |
US11301003B2 (en) * | 2019-09-24 | 2022-04-12 |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 Eletronic device with anti-shock function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32150A (ja) * | 2000-05-09 | 2002-01-31 | Sony Corp | 情報処理装置 |
JP4522564B2 (ja) * | 2000-09-22 | 2010-08-11 | 富士通株式会社 | 電子機器 |
US7167726B2 (en) * | 2003-02-14 | 2007-01-23 | Intel Corporation | Multi-mode antenna system for a compu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
TWI265431B (en) * | 2004-09-07 | 2006-11-01 | Acer Inc | Notebook computer with antenna array module |
TWI279943B (en) * | 2006-04-07 | 2007-04-21 | Mitac Technology Corp | Wireless signal transceiving antenna coupled with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protection plate |
US7733276B2 (en) * | 2006-11-09 | 2010-06-08 | Intel Corporation | Antenna system for notebook computer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in multiple wireless systems |
JP4973311B2 (ja) * | 2007-05-16 | 2012-07-11 | ソニー株式会社 | 電子機器 |
-
2008
- 2008-05-15 KR KR1020080044887A patent/KR20090119063A/ko not_active Withdrawn
-
2009
- 2009-05-14 US US12/465,952 patent/US20090284424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69989A (zh) * | 2010-12-29 | 2012-07-11 |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 天线模块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90284424A1 (en) | 2009-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119063A (ko) | 안테나 모듈,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 표시 장치를 갖는정보 처리 시스템 | |
US7855687B2 (en) | Printed circuit boar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 |
EP2774215B1 (en) | Antenna with folded monopole and loop modes | |
CN104428945B (zh) | 与扬声器集成的天线和用于抑制腔模式的方法 | |
TWI511372B (zh) | 具有可變分散式電容之天線 | |
US20040070543A1 (en) | Antenna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unit | |
US6398560B1 (en) | LCD-device retaining structure of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 |
US12225700B2 (en) | Display panel, displa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 |
KR101427589B1 (ko) | 표시장치,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및 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컴퓨터 | |
KR101419414B1 (ko) | 인쇄 회로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 |
WO2018211791A1 (ja) | 携帯型電子機器 | |
US20110068994A1 (en) |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on apparatus | |
CN108288751A (zh) | 电子装置 | |
JP4703536B2 (ja) | 電子機器 | |
US20040264119A1 (en) | Electronic apparatus | |
US8564733B2 (en) | Electrical device having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cab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ing the cable | |
KR100286976B1 (ko) | 정보처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화상표시모듈 | |
CN102629435A (zh) | 显示装置 | |
US7435916B2 (en) | Electronic device reducing influence of system noise on sensitivity of antenna | |
JP2005159851A (ja) | 携帯通信端末 | |
JP2004070459A (ja) | 電子機器 | |
KR20000040699A (ko) | 정보처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화상표시모듈과 이들의조립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