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115216A -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216A
KR20090115216A KR1020097019742A KR20097019742A KR20090115216A KR 20090115216 A KR20090115216 A KR 20090115216A KR 1020097019742 A KR1020097019742 A KR 1020097019742A KR 20097019742 A KR20097019742 A KR 20097019742A KR 20090115216 A KR20090115216 A KR 20090115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data
scheduling
us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이시이
아닐 우메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115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21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 H04L1/003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evaluation of received explicit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04L1/201Frame classification, e.g. bad, good or er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7Timing of allocation when data requirements 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based on age of data to be s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유저장치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에, 유저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MAC 레이어의 제어신호가 존재하는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유저장치를 선택하는 유저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무선통신, 기지국장치, 통신제어, 유저장치, 공유채널, 하향링크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하향링크에 있어서 직교 주파수 분할다중(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적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W-CDMA나 HSDPA의 후계가 되는 통신방식, 즉 LTE(Long Term Evolution)가, W-CDMA의 표준화 단체 3GPP에 의해 검토되고,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검토되고 있다.
OFDM은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 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주파수대 상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서브캐리어를 주파수 상에, 일부 서로 중첩시키면서도 서로 간섭하지 않고 밀접하게 배열함으로써, 고속전송을 실현하고, 주파수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SC-FDMA는,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 간에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전송방식이다. SC-FDMA에서는, 송신전력의 변동이 작아지는 특징을 가지므로, 단말의 저소비전력화 및 넓 은 커버리지를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LTE는,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기지국장치는, 서브프레임마다(1ms마다), 상기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을 선별하고, 선별한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공유채널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을 선별하는 처리는, 스케줄링 처리라고 불리어진다.
또한, LTE에서는, 적응변조ㆍ부호화(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가 적용되므로, 상기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은 서브프레임마다 다르다. 여기서, 상기 송신포맷은, 예를 들어, 주파수 리소스인 리소스 블럭의 할당정보나 변조방식, 페이로드 사이즈, 리던던시 버전(Redundancy version) 파라미터나 프로세스 번호 등의 HARQ에 관한 정보나, 스트림의 수나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 정보 등의 MIMO에 관한 정보 등이다.
LTE에 있어서는, 상술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의 식별정보나, 상기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포맷은, 물리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맵핑되는 Down Scheduling Information에 의해 통지된다. 또한, 상기 물리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는, DL L1/L2 Control Channel(DL L1/L2 제어채널)이라고도 불리어진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술한 스케줄링 처리나 AMC에 있어서의 송신포맷의 결정처리는, 적절하게 제어되지 않는 경우, 전송특성의 열화, 혹은, 무선용량의 열화로 이어진다.
또한, 접속중의 유저장치 모두가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스케줄링이 수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며, 그 목적은, LTE의 하향링크에 있어서, 적절하게 스케줄링 처리나 AMC에 있어서의 송신포맷의 결정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는,
유저장치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유저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MAC 레이어의 제어신호가 존재하는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유저장치를 선택하는 유저선택수단;을 구비한다.
다른 기지국장치는,
유저장치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유저장치가, 간헐수신처리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유저장치를 선택하는 유저선택수단;을 구비한다.
다른 기지국장치는,
유저장치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RLC 레이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체류시간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유저장치를 선택하는 유저선택수단;을 구비한다.
다른 기지국장치는,
유저장치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유저장치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계수를 계산하는 계수계산수단;
상기 계수에 따라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유저장치를 선택하는 유저선택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계수계산수단은,
송신하는 데이터의 우선도;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무선품질정보;
재송회수;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의 유무;
할당빈도;
유저장치에 대한 평균전송속도;
유저장치에 대한 전송속도의 목표값;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고 있는지 아닌지;
간헐수신처리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
RLC 레이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체류시간;
다른 주파수의 셀을 측정하는 모드에 있어서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계수를 계산한다.
다른 기지국장치는,
유저장치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유저장치를, 2개 이상의 계층으로 계층화하는 계층화수단;
상기 유저장치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계수를 계산하는 계수계산수단;
상기 2개 이상의 계층 내, 높은 계층의 유저장치부터 순서대로, 상기 계수에 따라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유저장치를 선택하는 유저선택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계수계산수단은,
송신하는 데이터의 우선도;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무선품질정보;
재송회수;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의 유무;
할당빈도;
유저장치에 대한 평균전송속도;
유저장치에 대한 전송속도의 목표값;
핸드오버처리를 수행하고 있는지 아닌지;
간헐수신처리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
RLC 레이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체류시간;
다른 주파수의 셀을 측정하는 모드에 있어서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계수를 계산한다.
통신제어방법은,
유저장치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의 통신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유저장치를, 2개 이상의 계층에 계층화하는 제 1 단계;
상기 유저장치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계수를 계산하는 제 2 단계;
상기 2개 이상의 계층 내, 높은 계층의 유저장치부터 순서대로, 상기 계수에 따라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유저장치를 선택하는 제 3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송신하는 데이터의 우선도;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무선품질정보;
재송회수;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의 유무;
할당빈도;
유저장치에 대한 평균전송속도;
유저장치에 대한 전송속도의 목표값;
핸드오버처리를 수행하고 있는지 아닌지;
간헐수신처리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
RLC 레이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체류시간;
다른 주파수의 셀을 측정하는 모드에 있어서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계수를 계산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LTE의 하향링크에 있어서, 적절하게 스케줄링 처리나 AMC에 있어서의 송신포맷의 결정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 MAC 데이터 송신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 계수 계산처리 및 후보 UE의 선택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FR selection에 관한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동기신호 및 알림채널에 할당하는 리소스 블럭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DL TF Related Table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 MAC 데이터 송신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 계수 계산처리 및 후보 UE의 선택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FR selection에 관한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블럭 그룹 할당에 관한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럭도,
도 14는,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간섭을 나타내는 설명도, 그리고
도 15는, 상향링크의 송신신호에 의한 하향링크의 수신신호로의 간섭을 저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50 셀
1001, 1002, 1003, 100n, 유저장치
104 앰프부
106 송수신부
108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
110 어플리케이션부
200 기지국장치
202 MBMS 서브프레임 판정부
204 PCH, RACH 응답 판정부
206 스케줄링 계수 계산부
208 다중 UE수 계산부
210 트랜스포트 포맷, 리소스 블럭 선택부
252 레이어 1 처리부
254 유저장치 상태 관리부
256 스케줄링 계수 계산부
258 UE 선택부
260 MAC 제어신호 생성부
262 공통 CH, MCH 리소스 관리부
264 주파수 리소스 관리부
266 퍼시스턴트 리소스 관리부
268 TFR Selection부
270(2701, 2702, ..., 270n) HARQ 제어부
272 RLC/PDCP 처리부
2721n,k RLC Buf
300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400 코어 네트워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이하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 도면에 있어서, 동일기능을 가지는 것은 동일부호를 이용하며, 반복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기지국장치가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무선통신 시스템(1000)은, 예를 들어 Evolved UTRA and UTRAN(다른 이름: Long Term Evolution, 혹은, Super 3G)이 적용되는 시스템이며, 기지국장치(eNB: eNode B)(200)와 복수의 유저장치(UE: User Equipment, 혹은, 이동국이라고도 불리어진다)(100n)(1001, 1002, 1003,..., 100n, n은 n>0의 정수)를 구비한다. 기지국장치(200)는, 상위국, 예를 들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와 접속되며,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코어 네트워크(400)와 접속된다. 여기서, 유저장치(100n) 는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이하, 유저장치(100n)(1001, 1002, 1003,..., 100n)에 대해서는, 동일의 구성, 기능, 상태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특단의 이유가 없는 한 유저장치(100n)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무선통신 시스템(1000)은,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직교 주파수 분할다원 접속),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 캐리어-주파수 분할다원 접속)이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FDM은,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 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주파수대 상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SC-FDMA는,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 간에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전송방식이다.
여기서, Evolved UTRA and UTRAN에 있어서의 통신채널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유저장치(100n)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물리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과, 물리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 이용된다. 하향링크에서는, 물리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의해,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유저의 정보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유저의 정보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 등이 통지된다. 또는, 물리하향링크 공유채널 에 의해 유저 데이터가 전송된다. 상기 유저 데이터는, 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하향링크 공유채널(Downlink-Share Channel(DL-SCH))이다.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유저장치(100n)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물리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과, LTE용의 제어채널이 이용된다. 또한, LTE용의 제어채널에는, 물리상향링크 공유채널과 시간다중되는 채널과, 주파수 다중되는 채널의 2종류가 있다. 물리상향링크 공유채널과 주파수 다중되는 제어채널은, 물리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라 불리어진다.
상향링크에서는, LTE용의 제어채널에 의해,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공유채널의 스케줄링, 적응변복조ㆍ부호화(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에 이용하기 위한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및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HARQ ACK information)가 전송된다. 또한, 물리상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유저 데이터가 전송된다. 상기 유저 데이터는, 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상향링크 공유채널(Uplink-Shared Channel(UL-SCH))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통신제어방법으로서의 하향링크 MAC(DL MAC) 데이터 전송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논리채널은, 예를 들어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에 대응한다. 또한, 프라이어리티 클래스(Priority class)는, 예를 들어 우선도에 대응한다.
물리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의 송신대역의 할당단위에 대해서 설명한다. PDSCH의 송신대역의 할당은, 예를 들어 시스템 파라미터로서 정의되는 리소스 블럭 그룹(Resource block group)(이하, RB group이라고 부른다)을 단위로 해서, 서브프레임(Sub-frame)마다 수행된다. RB group은, 복수의 Resource Block(RB)으로 구성되며, RB와 RB group의 대응관계는, 시스템 파라미터로서 외부입력 인터페이스(IF)에 의해 설정된다. 퍼시스턴트 스케줄링(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PDSCH에 대해서도, 상기 RB group 단위로 송신대역의 할당이 수행된다. 이하, Resource group이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Resource group을 구성하지 않고 Resource Block을 단위로서 PDSCH의 송신대역의 할당을 수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다이나믹 스케줄링은, 동적으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수행하는 제 1의 리소스 할당방법에 상당한다. 다이나믹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하향링크 공유채널(DL-SCH)은, 해당 유저장치에 대하여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무선 리소스가 할당되며, 그 경우의 송신포맷, 즉, 주파수 리소스인 리소스 블럭 할당정보나 변조방식, 페이로드 사이즈, Redundancy version 파라미터나 프로세스 번호 등의 HARQ에 관한 정보나, MIMO에 관한 정보 등은 다양한 값이 설정된다.
한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은, 데이터 종별, 혹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에 따라서, 일정 주기마다 데이터의 송신기회를 할당하는 스케줄링 방법이며, 일정주기마다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수행하는 제 2의 리소스 할당방 법에 상당한다. 즉,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하향링크 공유채널(DL-SCH)은, 해당 유저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이 송신되며, 그 경우의 송신포맷, 즉, 주파수 리소스인 리소스 블럭의 할당정보나 변조방식, 페이로드 사이즈, Redundancy version 파라미터나 프로세스 번호 등의 HARQ에 관한 정보나, MIMO에 관한 정보 등은, 소정의 값이 설정된다. 즉, 미리 정해진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무선 리소스)이 할당되며, 미리 정해진 송신포맷으로 하향링크 공유채널(DL-SCH)이 송신된다. 상기 미리 정해진 서브프레임은, 예를 들어, 일정의 주기가 되도록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송신포맷은, 일 종류일 필요 없이, 복수의 종류가 존재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다운링크 MAC 데이터 송신 수순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스케줄링 계수의 계산에 의한 스케줄링 처리부터, 트랜스포트 포맷(Transport format) 및 할당되는 RB group을 결정하는 DL TFR selection 처리까지의 수순을 나타낸 것이다.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 DL MAC 최대 다중수(NDLMAX) 설정이 수행된다(단계 S202). DL MAC 최대 다중수(NDLMAX)는, 다이나믹 스케줄링(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하향링크-공유채널(DL-SCH)의, 1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최대 다중수이며, 외부 인터페이스(I/F)에 의해 지정된다.
다음으로, 기지국장치(200)는, 단계 S206에서, 해당 Sub-frame에 있어서의 PCH 및 RACH response의 수를 카운트하고, 그 수를 각각 NPCH, NRACHres로 한다. 여기 서, PCH 및 RACH response의 수로서, 실제의 PCH나 RACH response의 수가 아니라, PCH를 위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수 및 RACH response를 위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수를 산출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 스케줄링 계수의 계산(Calculation for Scheduling cofficients)가 수행된다(단계 S208).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다이나믹 스케줄링(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유저장치(UE: User Equipment)를 선택한다.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UE의 수를 NDL - SCH로 정의한다.
단계 S212에서는, 하향링크 트랜스포트 포맷 및 리소스 선택(DL TFR selection: Downlink Transport format and Resource selection)이 수행된다. 즉,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 동기채널(SCH)이라고도 불리어진다), 알림채널(BCH), 페이징 채널(PCH), 랜덤 액세스 채널 응답(RACH response, 혹은,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의 Message 2) 및 퍼시스턴트 스케줄링(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에 관한 송신포맷의 결정과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S208에서 수행되는 스케줄링 계수의 계산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스케줄링 계수의 계산에 의해,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UE의 선택을 수행하는 처리 흐름을 나타낸다. 기지국장 치(200)는, LTE 액티브(LTE active) 상태, 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상태에 있는 모든 UE에 대하여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n=1, Nscheduling=0으로 설정된다(단계 S302). 여기서, n은 유저장치(100n)의 인덱스이며, n=1,..., N(N>0의 정수)이다.
다음으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엔터티 스테이터스의 갱신(Renewal of HARQ Entity Status)이 수행된다(단계 S304). 여기서는, 해당 UE의, 하향링크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로서 ACK를 수신한 프로세스를 해방한다. 또한, 최대 재송회수에 도달한 프로세스도 해방하고, 프로세스 내의 유저 데이터를 폐기한다. 최대 재송회수는, Priority class마다 외부입력 인터페이스(IF)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복수의 논리채널이 다중되어 있는 MAC PDU의 최대 재송회수는, 가장 우선도가 높은 Priority Class의 논리채널의 최대 재송회수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메이져먼트 갭의 체크(Measurement Gap Check)가 수행된다(단계 S306). 해당 UE에 관하여, 해당 Sub-frame, 즉,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이 Measurement gap에 포함되는지 아닌지, 또는, 상기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 ACK/NACK을 수신하는 Sub-frame이 Measurement gap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해당 Sub-frame이 Measurement gap에 포함되는지 아닌지, 또는 ACK/NACK을 수신하는 Sub-frame이 Measurement gap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NG를 반송하고, 그것 이외의 경우에 OK를 반송한다. Measurement gap은, UE가 이주파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다른 주파수의 셀의 측정을 수행하고 있는 시간간격이며, 그 시간에는 통신할 수 없으므로, UE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수신할 수 없다. 또한, UE는, 다른 주파수의 셀의 측정을 수행하고 있는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ACK/NACK을 송신할 수 없으며, 즉, 기지국장치(100n)은 ACK/NACK을 수신할 수 없다. Measurement gap Check의 결과가 NG의 경우(단계 S306: NG), 해당 UE를 스케줄링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여기서, 상기 다른 주파수의 셀은, Evolved UTRA and UTRAN의 셀이어도 좋으며, 다른 시스템의 셀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다른 시스템으로서, GSM, WCDMA, TDD-CDMA, CDMA 2000, WiMAX 등이 고려된다.
다음으로, 간헐수신(DRX)의 체크가 수행된다(단계 S308). 해당 UE가 DRX 상태인지 아닌지, 및, 해당 UE가 DRX 상태인 경우, 해당 Sub-frame이 DRX 수신 타이밍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DRX 상태이며, 그리고, DRX 수신 타이밍이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NG를 반송하고, 그것 이외의 경우에 OK를 반송한다. 즉, 「DRX 상태가 아닌 경우」 또는 「DRX상태로, 그리고, DRX 수신 타이밍인 경우」에 OK를 반송한다. 「DRX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후술하는 flagDRX를 0으로 하고, 「DRX상태로, 그리고, DRX 수신 타이밍인 경우」에 flagDRX를 1로 한다. 여기서, DRX 수신 타이밍은,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가능한 타이밍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DRX 상태이며, 그리고, DRX 수신 타이밍이 아닌 상태는, 하향링크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슬립 상태에 상당한다.
DRX Check의 결과가 NG의 경우(단계 S308: NG), 해당 UE를 스케줄링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다음으로, 상향링크의 동기상태의 체크(UL Sync Check)가 수행된다(단계 S310). 해당 UE의 상향링크의 동기상태가 동기손실 Type B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동기손실 Type B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NG를 반송하고, 동기손실 Type B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OK를 반송한다.
UL Sync Check의 결과가 NG의 경우(단계 S310: NG), 해당 UE를 스케줄링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또한, 동기손실 Type A인 경우에는, 해당 UE를 스케줄링의 대상에서 제외하지 않는다.
eNB(200)는 RRC_connected 상태의 각 UE(100n)에 관하여 이하의 2종류의 상향링크의 동기상태의 판정을 수행한다.
셀 반경을 고려한 윈도우 1(Widonw 1), 예를 들어, RACH preamble을 대기하는 Window 정도의 크기 내에서 해당 UE의 Sounding RS의 Power 판정을 수행한다. 즉, 해당 UE의 Power 판정에 있어서의 메트릭(metric)이 소정의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Power 판정 OK로 하고,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Power 판정 NG로 한다. 또한, 본 판정에 있어서의 반영시간(OK로 판정할 때까지의 시간, 혹은, NG로 판정할 때까지의 시간)은, Sounding RS를 연속 수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200ms-1000ms를 목표로 한다.
또한, FFT timing과 CP 길이에 의해 정의되는 Window 2 내에, 해당 UE의 신 호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로 판정을 수행한다. 즉, Window 2 내에, 해당 UE의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FFT timing 판정 OK로 하고, 해당 UE의 메인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FFT timing 판정 NG로 한다. 또한, 본 판정에 있어서의 반영시간(OK로 판정할 때까지의 시간, 혹은, NG로 판정할 때까지의 시간)은, Sounding RS를 연속 수신하고 있는 상태로 1ms-200ms를 목표로 한다.
동기손실 타입 A(Type A)은, Power 판정결과가 OK이며 FFT timing이 NG인 UE의 동기상태를 말하며, 동기손실 타입 B(Type B)는, Power 판정결과가 NG이며 FFT timing이 NG인 UE의 동기상태를 말한다.
다음으로, 수신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의 체크(Received CQI Check)가 수행된다(단계 S312). 해당 UE로부터의,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를 수신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해당 Sub-frame, 혹은, 해당 Sub-frame보다 이전의 Sub-frame에 있어서, 해당 UE로부터 송신된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를 수신하고, 그리고,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의 CQI 신뢰도 판정결과가 적어도 한번은 OK인 경우에 OK를 반송하고, 상기 이외의 경우에 NG를 반송한다. 여기서, 상기 CQI 신뢰도 판정은, 예를 들어, CQI의 수신신호의 SIR을 산출하고, 상기 SIR에 기초하여 CQI의 신뢰도를 판정하는 처리인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SIR이 소정의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에 해당 CQI의 신뢰도는 NG인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SIR이 소정의 문턱값 이상의 경우에 해당 CQI의 신뢰도는 OK인 것으로 판정한다.
Received CQI Check의 결과가 NG의 경우(단계 S312: NG), 해당 UE를 스케줄 링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Received CQI Check의 결과가 NG의 경우에는, 해당 UE가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을 가지는 경우에도, 스케줄링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이 때,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상기 UE에 할당되는 퍼시스턴트 리소스(Persistent Resource)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Persistence Resource를 해방한다. 여기서, Persistent Resource는, Persistent Scheduling용으로 확보된 Resource block인 것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의 체크(Persistent Scheduling Check)가 수행된다(단계 S314).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은, 데이터 종별, 혹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에 따라서, 일정 주기마다 데이터의 송신기회를 할당하는 스케줄링방법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 종별은 예를 들어, Voice Over IP에 의한 데이터이거나, 혹은, Streaming에 의한 데이터이거나 한다. 상기 Voice Over IP 또는 Streaming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당한다.
해당 UE가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을 가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해당 UE가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을 가지는 경우에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 서브프레임 체크(Persistent scheduling Sub-frame check)의 처리(단계 S330)로 진행하고, 상기 이외의 경우에 로컬라이즈드(Localized)/디스트리뷰티드(Distributed) check의 처리(단계 S316)로 진행한다. 로컬라이즈드는, 해당 UE와 기지국장치(200) 간의 전파환경에 있어서의 페이딩(fading) 주파수가 작기 때문에, CQI에 기초하여, 비교적 연속하는 주파수 블럭(리소스블럭)을 할당한 쪽이 양호한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디스트리뷰티드 는, 해당 UE와 기지국장치(200) 간의 사이의 전파환경에 있어서의 페이딩 주파수가 크기 때문에, CQI의 값에 관계없이, 비교적 이산적으로 분산한 주파수 블럭(리소스 블럭)을 할당한 쪽이 양호한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 S330에서는,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해당 UE가 가지는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에 Persistent resource가 할당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Persistent resource가 할당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단계 S330: OK), 할당/해방체크(Assign/Release Check)의 처리로 진행하고(단계 S332), Persistent resource가 할당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단계 S330: NG), Localized/Distributed Check로 진행한다(단계 S316).
단계 S332에서는, 해당 UE가 가지는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에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즉, 기지국장치(200)는, 데이터 버퍼 내에, 송신가능한, 상기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의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있는 경우(단계 S332: Assign), 데이터 사이즈 체크(Data Size Check)의 처리로 진행하고(단계 S334),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없는 경우(단계 S332: Release)에는, 퍼시스턴트 리소스의 해방(Persistent Resource Release)의 처리로 진행한다(단계 S336).
단계 S334에서는, 해당 UE가 가지는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의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문턱값(Thresholddata _ size)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Thresholddata _ size 이상인 경우(단계 S334: NG), 퍼시스턴트 리 소스 해방(Persistent Resource Release)의 처리로 진행하고(단계 S336),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Thresholddata _ size 미만인 경우(단계 S334: OK), 퍼시스턴트 리소스 확보(Persistent Resource Reservation)의 처리로 진행한다(단계 S338).
단계 S338에서는, 해당 UE가 가지는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에 할당되는 Persistent Resource를 확보한다. 또한,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Persistent Resource가 할당되는 UE에 관해서도 후술하는 스케줄링 계수의 계산을 수행하고,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을 위해 무선 리소스가 할당된 경우에는,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과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을 다중하여 MAC PDU(DL-SCH)의 송신을 수행한다.
단계 S336에서는, 해당 UE가 가지는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에 할당되는 예정의 Persistent Resource를 해방한다. 또한, 상기 Persistent Resource는, 해당 Sub-frame만 해방되는 것으로 하고, 다음의 Persistent Resource가 할당되는 타이밍에 있어서는, 새롭게 Assign/Release Check의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한다.
단계 S316에서는, 해당 UE의 하향링크의 전송 타입(DL Transmission type), 즉 Localized 송신/Distributed 송신을 판정한다. 또한, Transmission type은, DL과 UL에서 별개로 관리된다.
예를 들어, 해당 UE의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가 문턱값(ThresholdCQI) 이상이며, 그리고, 해당 UE의 Fd 추정값이 문턱값(ThresholdFd , DL) 이하인 경우에 Localized 송신으로 판정하고, 상기 이외의 경우를 Distributed 송신으로 판정한다.
상기 Fd 추정값은, UE에 의해 메이져먼트 리포트(Measurement report) 등의 RRC message에 의해 보고되는 값을 이용하여도 좋으며, UE에 의해 송신되는 Sounding용의 레퍼런스 신호의 시간 상관값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값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의 값과 Fd 추정값의 양방의 값을 이용하여, 전송 타입을 판정하였지만, 대신,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의 값만으로 전송 타입을 판정하여도 좋으며, 혹은, Fd 추정값만으로 전송타입을 판정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버퍼상태의 체크(Buffer Status Check)가 수행된다(단계 S318). 해당 UE가 가지는 논리채널에 관하여,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즉, 기지국장치(200)는, 해당 UE의 각 논리채널에 관하여, 데이터 버퍼 내에,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모든 논리채널에 관하여,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NG를 반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논리채널에 관해서는,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OK를 반송한다. 여기서, 송신가능한 데이터는, 신규로 송신가능한 데이터 또는 재송가능한 데이터인 것이다. 또한, 상기 논리채널 중에, 단계 S338에 있어서 Persistent Resource가 확보된 논리채널은 포함하지 않는다. 즉, 단계 S338에서 Persistent Resource가 확보된 논리채널만이 송신가능한 데이터를 가지는 경우에는 NG를 반송한다. 송신가능한 데이터로서,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개별제어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DCCH))과 동일의 Priority class에 속하는 논리채널로서 다루어도 좋다. Buffer Status Check의 결과가 NG의 경우(단계 S318: NG), 해당 UE를 스케줄링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Buffer Status Check의 결과가 OK의 경우(단계 S318: OK), 이하의 선택논리에 기초하여,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논리채널 중에서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을 선택하고, Scheduling Coefficient Calculation의 처리로 진행한다(단계 S320). 또한, 이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을 선택할 때에는, 단계 S338에 있어서 Persistent Resource가 확보된 논리채널도 선택의 대상으로 한다.
(선택논리 1) 가장 우선도가 높은 논리채널을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로 한다.
(선택논리 2) 선택논리 1을 만족하는 복수의 논리채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송신가능한 재송 데이터를 가지는 논리채널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로 한다.
(선택논리 3) 선택논리 2를 만족하는 복수의 논리채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개별제어채널(DCCH: Dedicated Control Channel)이 존재하는 것이라면, DCCH를 Higest priority의 논리채널로 하고, DCCH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면, 상기 복수의 논리채널의 내, 임의의 논리채널을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로 한다.
본 판단기준을 적용하는 경우, 우선도가 낮은 논리채널의 재송 데이터가 아 니라, 우선도가 높은 논리채널의 신규 데이터가, 보다 높은 논리채널로서 판정된다.
또한, 상술한 단계 S306, S308, S310, S312, S318에 있어서, 해당 UE를 스케줄링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라는 처리는, 후술하는 Scheduling Coefficient Calculation의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로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UE에 대하여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은 송신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기지국장치(200)는, 상술한 단계 S306, S308, S310, S312, S318에 있어서, 해당 UE를 스케줄링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는 것으로 판정된 UE 이외의 UE 중에서, 스케줄링의 처리를 수행하고, 즉, 공유채널을 송신하는 UE를 선택하고, 그리고, 선택된 UE에 대하여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한다.
단계 S320에서는, 단계 S318에서, Highest priority로 판정된 논리채널에 관하여, 후술하는 평가식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계수를 산출한다.
테이블 1 및 2에 외부 I/F에 의해 설정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01
Figure 112009057977446-PCT00002
테이블 3 및 4에, Sub-frame 단위로, 각 UE의 각 논리채널에 할당되는 입력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03
Figure 112009057977446-PCT00004
테이블 1 및 2에 나타내는 입력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UE(#n),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h)의 스케줄링 계수(Cn)를 식(1)대로 계산한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05
혹은, 상기 UE(#n), Higest Priority의 논리채널(#h)의 스케줄링 계수(Cn)는, 이하와 같이 계산되어도 좋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06
식(1')은, 식(1)에, 「H(flaggap _ control)」의 항이 부가되어 있다. flaggap _ control은, 해당 UE(#n)가, 메이져먼트 갭 컨트롤 모드(Measurement gap control mode)에 있는지 없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여기서, Measurement gap control mode는, 다른 주파수의 셀을 수행하기 위한 Measurement gap이 적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모드이며, Measurement gap control mode가 온(On)의 경우에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Measurement gap이 설정된다. 상기 Measurement gap은,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Measurement gap이 적용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Measurement gap이 적용되어 있지 않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리소스를, 해당 UE(#n)에 할당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flaggap _ control=1(Measurement gap control mode: On)에 있는 경우에, H(flaggap _ control)=10으로 하고, flaggap_control=0(Measurement gap control mode: Off)에 있는 경우, H(flaggap _ control)=1로 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Measurement gap이 적용되어 있지 않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는 동작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단계 S306의 메이져먼트 갭의 체크에 의해, Measurement gap control mode: On에 있고, 그리고, 해당 Sub-frame이 Measurement gap에 포함되는지 아닌지, 또는, ACK/NACK을 수신하는 Sub-frame이 Measurement gap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본 처리(단계 S320)는 수행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Measurement gap control mode: On에 있으며, 그리고, 본 처리(단계 S320)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해당 서브프레임은, 다른 주파수의 셀을 측정하는 모드에 있어서, 같은 주파수(본래의 주파수)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타이밍이다. 즉, 「H(flaggap _ control)」의 항에 의해, 다른 주파수의 셀을 측정하는 모드에 있어서, 같은 주파수(본래의 주파수)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타이밍에 있는 이동국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공유채널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Intra-eNB Hand Over(Intra-eNB HO) 시에는, 스케줄링에 이용하는 측정값, 산출값은, Target eNB(핸드오버 목적지의 eNB)로 인계하는 것으로 한다.
단계 S320에서는, 평균 데이터 레이트(Average Data Rate)의 측정이 수행된다.
Average Data Rate는, 식(2)를 이용하여 구해진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07
단, Nn ,k(1, 2,...)는, Average Data Rate의 갱신회수이다. 단, Nn ,k=0이 되는 Sub-frame에 있어서는, 식(3)으로 한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08
또한, 망각계수(δn,k)는, 이하와 같이 계산된다.
δn,k=min(1-1/Nn ,k, δ'PCn ,k)
Average Data Rate의 갱신주기는 「기지국장치(200) 내의 데이터 버퍼에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한 Sub-frame마다」로 하고, rn ,k의 계산방법은 「송신된 MAC SDU의 사이즈」로 한다. 즉, Average Data Rate의 계산은, Average Data Rate의 갱신기회의 Sub-frame에 있어서, 이하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한다.
1. 송신을 수행한 UE에 대해서는, 「rn ,k=송신된 MAC SDU의 사이즈」로 Average Data Rate의 계산을 수행한다.
2. 송신을 수행하지 않은 UE에 대해서는, 「rn ,k=0」로 Average Data Rate의 계산을 수행한다.
또한, Average Data Rate는, Received CQI Check가 OK, 그리고, 갱신기회의 조건이 일치한 경우에 계산을 수행한다. 즉, CQI를 적어도 한번은 수신한 후부터 계산이 개시된다.
다음으로, 스케줄링 계수의 계산이 수행된 UE수를 나타내는 NScheduling을 1만큼 증가시키고(단계 S322), UE 인덱스를 나타내는 n을 1만큼 증가시킨다(단계 S324).
다음으로, n이 NScheduling 이하인지 아닌지 판정한다(단계 S326). n이 NScheduling 이하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단계 S326: YES), 단계 S304로 돌아간다.
한편, n이 NScheduling보다 큰 것으로 판정한 경우(단계 S326: NO), 단계 S328에 있어서, 유저장치의 선택(UE Selection)이 수행된다. 즉,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UE를 선택한다.
우선, 이하의 식에 의해,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UE의 수, 즉,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이 송신되는 UE의 수 NDL - SCH를 산출한다. 여기서, NScheduling은, Scheduling Coefficient Calculation이 수행된 UE의 수를 나타낸다(도 3을 참조).
NDL - SCH=min(NScheduling, NDLMAX-NPCH-NRACHres)
다음으로, Hig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Scheduling priority group마다, 단계 S320에 있어서 산출된 스케줄링 계수가 큰 순서부터, NDL - SCH대의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UE를 선택한다. 즉,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 목적지가 되는 UE를 선택한다. 여기서, Scheduling priority group은, 스케줄링에 있어서의 우선도가 부여된 그룹이며, 각 논리채널에 대하여, 속해야 하는 Scheduling priority group이 정의된다.
이하의 순서로 상기 「UE」를 선택한다. 또한, 해당 UE가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송신해야 하는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를 가지는 경우에는, 그 Scheduling priority group을, Hig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Scheduling priority group에 관계없이, 「High」로 한다.
High(1st)->High(2nd)->...->Middle(1st)->Midddle(2nd)->...->Low(1st)->Low(2nd)->...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장치의 인덱스(UE index)인 n에 관하여 루프처리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할 수 있다고 판단된 각 유저장치에 대하여, 스케줄링 계수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계산된 스케줄링 계수가 큰 유저장치에 대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즉,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한다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의 우선도나,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무선품질정보, 재송회수,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의 유무, 할당빈도, 평균의 전송속도, 목표의 전송속도를 고려하여,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고 있는지 아닌지, 간헐수신처리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 RLC 레이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체 류시간, 다른 주파수의 셀을 측정하는 모드에 있어서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를 고려하여, 무선 리소스(하향링크의 공유채널)를 할당하는 유저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유저장치에 대하여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Scheduling priority group은, High, Middle, Low의 3종류였지만, 4종류 이상의 Scheduling priority group을 준비하여도 좋으며, 2종류 이하의 Scheduling priority group을 준비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HighMAC, HighDRX, High, Midddle, Low의 5종류의 Scheduling priority group을 준비하고, 우선도를, 높은 순서부터, HighMAC, HighDRX, High, Middle, Low로 한다. 그리고, 송신해야 하는 MAC control block을 가지는 UE에 대해서는, 그 Scheduling priority group을,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Scheduling priority group에 관계없이, 「HighMAC」으로 하고, DRX 상태에서, 그리고, DRX 수신 타이밍 시의 UE에 대해서는, 그 Scheduling priority group을,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Scheduling priority group에 관계없이, 「HighDRX」로 하여도 좋다. 송신해야 하는 MAC control block을 가지는 UE, 또는, DRX 상태에서, 그리고, DRX 수신 타이밍시의 UE에 대해서, 보다 우선적으로 공유채널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MAC control block을 가지는 UE와 MAC control block을 가지지 않는 UE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식(1)에 있어서 Cn의 값에 관계없이, MAC control block을 가지는 UE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공유채널을 할당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우선도를, 높은 순서부터, HighMAC, HighDRX, High, Middle, Low로 하였지만, 이것은 일 예이며, 그 외의 순번, 예를 들어, High, HighMAC, HighDRX, Middle, Low 등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단계 S212에 있어서 수행되는 하향링크 TFR 선택처리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DL TFR selection의 처리흐름을 나타낸다. 본 처리흐름에 의해, 공통채널(Common channel), 예를 들어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 혹은, 동기채널(SCH)이라고도 불리어진다), 알림채널(BCH), 페이징 채널(PCH), 랜덤 액세스 채널 응답(RACH response, 혹은,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의 Message 2) 및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에 관한 송신포맷의 결정과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된다.
공통채널에 대한 리소스 블럭의 할당(RB allocation for Common channel)이 수행된다(단계 S402).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동기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테이블(5)에 도시하는 RB를 동기신호에 할당한다. 시스템 대역폭이 5MHz의 경우에는 25개의 리소스 블럭에 의해 구성되며, 10MHz의 경우에는 50개의 리소스 블럭에 의해 구성되며, 20MHz의 경우에는 100개의 리소스 블럭에 의해 구성된다. 각 리소스 블럭에는, 일단부터 #0으로 시작하는 식별번호가 부여된다. 동기신호에 할당된 RB를 포함하는 RB group은,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에 할당되지 않는다. 시스템 대역폭이 10MHz 및 20MHz의 경우에는, 시스템 대역의 중심에 위치하는 6개의 리소스 블럭을 동기신호에 할당한다. 즉, 시스템 대역폭이 10MHz의 경우에는, RB #22 내지 RB #27를 동기신호에 할당하고, 또한, 시스템 대역폭이 20MHz의 경우에는, RB #47 내지 RB #52를 동기신호게 할당한다. 시스템 대역폭이 5MHz의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에 위치하는 7개의 리소스 블럭을 동기신호에 할당한다. 즉, 시스템 대역폭이 5MHz의 경우에는, RB #9 내지 RB #15를 동기신호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동기신호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럭은, 다른 채널이 맵핑되지 않도록, 동기신호를 위해 확보된 리소스 블럭을 의미하고, 동기신호가 실제로 맵핑되는 리소스 블럭 혹은 서브캐리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즉, 동기신호는, 상기 동기신호를 위해 할당된 리소스 블럭 중의 소정의 서브캐리어에 맵핑된다. 예를 들어, 동기신호는, 시스템 대역의 중심에 위치하는 72개의 서브캐리어에 맵핑되어 송신된다. 이 경우, 동기신호가 맵핑되는 서브캐리어 번호를 k로 하면, k은 이하와 같이 기재된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09
여기서, NBW DL은, 시스템 대역 전체의 서브캐리어 수이다. 이 경우, 시스템 대역폭이 5MHz의 경우에는, 동기신호가 맵핑되는 서브캐리어의 집합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이 맵핑되는 리소스 블럭과 일치하지 않는다(도 5를 참조). 즉,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이 맵핑되는 리소스 블럭에 대하여, 90kHz(6서브캐리어) 편이된 서브캐리어의 집합으로서 송신된다.
또한, 동기신호의 송신전력(모든 resource element(sub-carrier)의 송신전력의 합. 절대값으로 하고, 단위를 W로 한다)을 PSCH로 한다.
테이블 5 SCH 에 할당되는 RB
시스템 대역폭 할당되는 RB의 RB번호
5MHz #9~#15
10MHz #22~#27
20MHz #47~#52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BCH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테이블 6에 나타내는 RB를 BCH에 할당한다. 시스템 대역폭이 100MHz 및 20MHz의 경우에는, 시스템 대역의 중심에 위치하는 6개의 리소스 블럭을 BCH로 할당한다. 즉, 시스템 대역폭이 10MHz의 경우에는, RB #22 내지 RB #27를 SCH에 할당하고, 그리고, 시스템 대역폭이 20MHz의 경우에는, RB #47 내지 RB #52를 SCH에 할당한다. 시스템 대역폭이 5MHz의 경우에는,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에 위치하는 7개의 리소스 블럭을 BCH에 할당한다. 즉, 시스템 대역폭이 5MHz의 경우에는, RB #9 내지 RB #15를 SCH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BCH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럭은, 다른 채널이 맵핑되지 않도록, BCH를 위해 확보된 리소스 블럭을 의미하고, BCH가 실제로 맵핑되는 리소스 블럭 혹은 서브캐리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즉, BCH는, 상기 BCH를 위해 할당된 리소스 블럭 중의 소정의 서브캐리어에 맵핑된다. 예를 들어, BCH는, 동기신호가 맵핑되는 서브캐리어와 같은 서브캐리어 번호로 맵핑되어도 좋다. 이 경우, 시스템 대역폭이 5MHz의 경우에는, 동기신호가 맵핑되는 서브캐리어의 집합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이 맵핑되는 리소스 블럭과 일치하지 않는다. 즉,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이 맵핑되는 리소스 블럭에 대하여, 90kHz(6서브캐리어) 편이된 서브캐리어의 집합으로서 송신된다.
즉, 기지국장치(200)는, 시스템 대역폭이 5MHz인 경우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이 맵핑되는 리소스 블럭에 대하여, 90kHz(6서브프레임) 편이된 서브캐리어의 집합을 통해 알림채널을 송신한다.
또한, 유저장치(100n)는, 시스템 대역폭이 5MHz인 경우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이 맵핑되는 리소스 블럭에 대하여, 90kHz(6서브캐리어) 편이된 서브캐리어의 집합을 통해 알림채널을 수신한다.
또한, BCH의 송신전력(모든 resource element(sub-carrier)의 송신전력의 합. 절대값으로 하고, 단위를 W로 한다)을 PBCH로 한다.
또한, BCH는 트랜스포트 채널로서의 이름이며, 물리채널로서는,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CCPCH)이다.
테이블 6 BCH 에 할당되는 RB
시스템 대역폭 할당되는 RB의 RB번호
5MHz #9~#15
10MHz #22~#27
20MHz #47~#52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PCH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외부 인터페이스(IF)에 의해 설정되는 RB group을 PCH로 할당한다. 또한, PCH의 데이터 사이즈 또는 PCH가 송신되는 유저장치의 수에 따른 TFR Selection을 수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RACH response(랜덤 액세스 채널 응답, 혹은,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의 Message 2)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RACH response의 TFR selection을 수행하기 위한 CQI값(CQIRACHres(i))와, RACH response의 사이즈(SizeRACHres)에 기초하여, RACH response에 할당하는 RB수(NumRB , RACHres)를 결정한다.
RACH response의 사이즈(SizeRACHres)는, 해당 RACH response에 다중되는 UE의 수와, 그 RACH 송신목적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CQI값(CQIRACHres(i))은, RACH 프리앰블(RACH preamble)의 품질정보마다 외부 인터페이스(IF)로부터 설정된다. i는 품질정보의 Index이며, RACH response 내에 다중되는 UE의 품질정보의 중에, 가장 품질이 낮은 값(Index의 값이 가장 작은 값)을 설정한다.
NumRB , RACHres=DL_Table_TF_RB(SizeRACHres, CQIRACHres(i))(i=0, 1, 2, 3)
그리고, 해당 RACH response에 할당되는 RB의 수가 NumRB , RACHres 이상이 될 때까지, RB group 번호가 작은 RB group부터 순서대로, RB group을 해당 RACH response로 할당한다.
다음으로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대한 리소스 블럭 할당(RB allocation for Persistent Scheduling)이 수행된다(단계 S404). 단계 S338에 있어서 확보된 Persistent Resource를,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를 가지는 UE에 할당한다.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에 할당되는 RB도, RB group 단위로 할당된다. 또한,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의 송신전력(모든 resource element(sub-carrier)의 송신전력의 합. 절대값으로 하고, 단위를 W로 한다)을 Ppersist로 한다. 여기서, Ppersist는,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를 가지는 UE가 2대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 UE의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의 송신전력의 합계값으로 한다.
다음으로, 물리하향 공유채널의 리소스 블럭 수의 계산(Calculation for Number of RBs for PDSCH)이 수행된다(단계 S406). 기지국장치(200)의 최대송신전력(이하, Pmax로 기재한다. 단위를 W로 한다), 동기신호의 송신전력(PSCH), BCH의 송신전력(PBCH), PCH의 송신전력(PPCH), RACH response의 송신전력(PRACHres),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의 송신전력 Ppersist,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의 1RB당 송신전력(Pdynamic ( RB ))에 기초하여, 이하의 식을 이용하여 PDSCH로 할당가능한 RB수(Ndynamic ( RB ))를 산출한다. 여기서, Nsystem ( RB )는 시스템 대역 전체의 RB수이며, NBCH, NSCH, NPCH, NRACHres, Npersist는, 각각,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BCH, 동기신호, PCH, RACH reponse,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에 할당되는 RB의 수이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10
Ndynamic ( RB )<Nsystem ( RB )-Ncommon-Npersist인 경우에는,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BCH, PCH, RACH response,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에 할당된 RB group 이외의 RB group 내의 일부의 RB group의 송신을 금지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장치(200)의 총 송신전력을 최대송신전력 이하가 되도록 제어한다. (Nsystem ( RB )-Ncommon-Npersist-Ndynamic (RB))개 이상의 RB의 송신이 금지될 때까지, 이하의 처리, 즉 RB수가 가장 작은 RB group의 송신을 금지하고, RB수가 가장 작은 RB group이 둘 이상 존재하는 경우, RB group 번호가 작은 RB group부터 RB group의 송신을 금지하는 처리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송신을 금지하는 RB group을 결정한다.
k=1로 한다(단계 S408).
다음으로, 리소스 블럭이 남아 있는지 아닌지의 체크(RB Remaining Check)가 수행된다(단계 S410).
단계 S410에서는,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에 할당가능한 RB group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할당가능한 RB group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OK를 반송하고, 할당가능한 RB group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NG를 반송한다. RB Remaining Check가 NG의 경우(단계 S410: NG), DL TFR Selection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에 할당가능한 RB group」는, BCH, PCH, RACH response,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 이미 TFR Selection이 수행된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에 할당된 RB group 이외의 RB group인 것이다. 또한, 상기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로 할당가능한 RB group」에 포함되는 RB의 총수를 Nremain ( RB )로 한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에 할당가능한 RB group」을, BCH, PCH, RACH response,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 이미 TFR Selection이 수행된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에 할당된 RB group 이외의 RB group, 으로 하였지만, 대신, 동기신호, BCH, PCH, RACH response,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 이미 TFR Selection이 수행된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에 할당된 RB group 이외의 RB group으로 하여도 좋다.
한편, RB Remaining Check가 OK의 경우(단계 S410: OK), 단계 S412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하향링크 TFR 선택(DL TFR Selection)이 수행된다(단계 S412).
상술한 단계 S210에 있어서 결정된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UE(PCH, RACH response를 포함하지 않는다)」의 Transport format의 결정, RB group의 할당을 수행한다.
DL TFR Selection에서는, CQI 조절(CQI adjustment)이 수행된다. TFR Selection에 이용되는 CQI에는, 이하에 도시하는, 주파수 방향의 바꿔읽기 처리(frequency direction regarding process), 아우터 루프(Outer-loop)적인 오프셋 조절처리,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우선도에 기초하는 오프셋 처리가 적용된다.
주파수 방향의 바꿔읽기 처리(frequency direction regarding process)에 대해서 설명한다.
UE에 의해 보고되는 CQI의 RB group의 정의와, DL TFR Selection에 있어서의 RB group의 정의가 다른 경우에는, UE에 의해 보고되는 RB group 마다의 CQI(이하, CQIreceived(j)로 기재한다. j는 RB group 번호를 나타낸다)를, DL TFR Selection에 있어서 RB group마다의 CQI(이하, CQIcalibrated(i)로 기재한다, i는 RB group번호를 나타낸다)로 여겨진다(regard). 또한, CQI의 보고방법으로서 Best-M individual 방법을 적용하고 있는 경우에, 보고된 CQI가 존재하지 않는 RB group의 CQI는 시스템 대역폭 전체의 CQI와 동일하게 한다. Best-M individual 방법은, 예를 들어, 시스템 대역을 4 리소스 블럭마다 분할하고, 상기 4 리소스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리소스 블럭의 집합에 관하여 CQI를 산출하고, 그리고, 상기 CQI 내, 가장 품질이 좋은 M개의 CQI를, 유저장치가 기지국장치로 보고하는 방법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를 표현할 때에는, 인수를 「all」로 하여 기재한다.
예를 들어, DL-TFR Selection에 있어서의 RB group #i내에, UE에 의해 보고되는 CQI의 RB group #a의 RB가 Na개와, UE에 의해 보고되는 CQI의 RB group #b의 RB가 Nb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DL TFR Selection에 있어서 RB group # i의 CQI는 이하와 같이 산출된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11
Outer-loop적인 오프셋 조절처리(CQI offset adjustement)에 대해서 설명한다.
CQI_offseti는,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priority class가 Xi , adjust인 DL-SCH의 송달확인정보(CRC check 결과)에 기초하여, 식(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uter-loop적으로 조절된다.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Priority class가 Xi,adjust와 다른 경우에는, Outer-loop적인 오프셋의 조절(식(4)의 처리)은 수행되지 않는다.
CQI_offset1은, UE마다 조절된다. 또한, CQI offset adjustement 처리의 대상이 되는 Priority class Xi , adjust는, 외부입력 인터페이스(IF)에 의해 UE마다 설정된다.
Δadj ( PC ), BLERtarget ( PC )는 외부입력 인터페이스(IF)에 의해 설정가능한 것으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 CQI_offseti의 최대값을 CQI_offsetPC ( MAX ), 최소값을 CQI_offsetPC (min)으로 한다. 상기 CQI_offseti의 최대값 CQI_offsetPC ( max ), 최소값 CQI_offsetPC (min)은, 외부입력 인터페이스(IF)에 의해 설정된다. CQI_offseti가 최대값 혹은 최소값으로 고정된 경우에는, 식(4)의 계산은 수행하지 않는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12
그리고, 상기 CQI_offseti가, 전력오프셋으로서, 각 RB group의 CQI값 및 시스템 대역전체에 관한 CQI의 값에 가산된다. 식(5)의 처리는,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Priority class가 Xi , adjust인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DL TFR Selection을 수행하는 모든 Sub-frame에 있어서 수행된다.
CQIadjusted(i)=CQIadjusted(i)+CQI_offseti (5)
우선도에 기초하는 오프셋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우선도에 기초하는 오프셋(ΔPC)에 의해, 각 RB group의 CQI 값 및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값이 조정된다. ΔPC는 예를 들어 외부입력 인터페이스(IF)에 의해 설정된다. 첨자 PC는 Priority class를 나타낸다.
CQIadjust(i)=CQIadjust(i)-ΔPC
다음으로, 리소스 블럭 그룹 할당(RB group allocation)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처리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k번째의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UE(PCH, RACH response를 포함하지 않는다)」에 대하여 RB group의 할당을 수행한다. 또한, DL_TF_Related_table의 이미지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에는, 일 예로서 CQI가 1인 경우에 대해서 나타낸다.
<처리>
Nremain ( RB ): 나머지 리소스 블럭 수(Number of Remaining RBs)
Ncapability: UE category에 의해 결정되는 최대 RB수
Nmax , bit: UE category에 의해 결정되는 최대 데이터 사이즈(Payload size)
Nremain ( UE )=NDL - SCH-k+1
Figure 112009057977446-PCT00013
하향링크의 송신타입이 디스트리뷰티드인 경우, 해당 UE에 할당되는 RB의 수가 Nallocated ( RB ) 이상이 될 때까지, 시스템 대역 내에 있어서 이산적으로 분산하는 주파수 리소스가 할당되도록, RB group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RB group 번호가 작은 RB group부터 순서대로 RB group을 할당한 경우, 시스템 대역 내에 있어서 이산적으로 분산하는 주파수 리소스가 할당되도록 RB group을 정의해두고, RB group번호가 작은 RB group부터 순서대로, RB group을 해당 UE에 할당하여도 좋다.
하향링크의 송신타입이 디스트리뷰티드가 아닌 경우(즉, 로컬라이즈드인 경우), 해당 UE에 할당되는 RB의 수가 Nallocated ( RB ) 이상이 될 때까지, CQIadjusted의 값이 큰 RB group부터 순서대로 RB group을 해당 UE로 할당한다.
상기 처리에 있어서 「해당 UE에 할당된다」라고 판정된 RB group을 이하에서 Temporary RB group으로 부른다.
해당 UE가 「상술한 단계 S338에서 Persistent Resource가 확보된 논리채널 」을 가지는 경우에는, Temporary RB group에, 상기 Persistent Resource를 추가한다.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이 재송가능한 데이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재송가능한 데이터(MAC PDU) 내,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RLC SDU의 버퍼 체류시간」이 최대의 RLC SDU를 포함하는 데이터(MAC PDU)를 송신한다. 여기서, RLC SDU의 버퍼 체류시간의 정의는, 상술한 테이블 1의 항번 5에 있어서 RLC SDU 버퍼 체류시간과 동일하다. 상기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되는 RB group은, Temporary RB group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변조방식은, 초회송신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이 재송가능한 데이터를 가지지않는 경우, CQITFR을 이하와 같이 산출한다.
하향링크 송신타입이 디스트리뷰티드인 경우, CQITFR=CQUadjusted(all)로 하고, 하향링크 송신타입이 디스트리뷰티드가 아닌 경우(즉, 로컬라이즈드인 경우), CQITFR=CQIadjusted(i)를 Temporary RB group의 대역에서 참값 평균한 값(단, RB group마다의 RB수의 비율을 고려하여 평균한다)으로 한다.
Temporary RB group 내의 RB 수(RB_available)와 CQITFR을 인수로 하여 TF_related_table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데이터 사이즈(Size로 기재한다)와, 변조방식(Modulation으로 기재한다)을 결정한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14
여기서, Size>Nmax , bit인 경우에는, Size≤Nmax , bit가 될 때까지, CQITFR의 값을 1씩 작게한다(DL_TF_related_table의, 보다 작은 CQI의 Table을 참조한다. 이 때, RB_available의 값은 변하지 않는다). Size가 확정한 값에, Modulation의 값을 DL_TF_related_table이 대응하는 값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이하의 수순에 의해, 상기 Size를 가지는 MAC PDU에,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 및 데이터 버퍼 내의 전논리채널의 데이터를 다중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버퍼는, 예를 들어, RLB buffer이다.
RLC buffer 내에 충분한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순 1) 우선,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최우선으로 상기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를 다중한다.
(수순 2) 다음으로, 우선도가 높은 논리채널부터 순서대로, RLB buffer 내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다중한다. 동일의 우선도의 논리채널이 2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DCCH가 존재하는 것이라면 DCCH를 최우선으로 하고, DCCH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면, 임의의 논리채널부터 순서대로, RLC buffer 내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다중한다. 여기서, 상기 임의의 논리채널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라운드로빈을 이용하여도 좋다.
RLC buffer 내에 충분한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MAC control block 및 전 논리채널 RLC buffer 내의 데이터의 합계 사이즈(Sizeall)과 CQITFR을 인수로서 TF_related_table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할당하는 RB수(NUMRB)를 재계산한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15
하향링크 송신타입이 디스트리뷰티드인 경우, 송신에 이용하는 RB group 내의 RB수가 NUMRB 미만이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하의 처리, 즉 RB수가 가장 작은 RB group을 삭제하고, RB수가 가장 작은 RB group이 2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RB group 번호가 작은 RB group부터 RB group을 삭제하는 처리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Temporary RB group 내의 RB group을 삭제한다(삭제된 RB group은 k+1번째 이후의 UE의 무선 리소스로서 사용된다). 상기 처리를 수행한 후의, Temporary RB group내의 RB수를, NumRB ,F로 한다.
하향링크 송신타입이 디스트리뷰트가 아닌 경우, 송신에 이용하는 RB group 내의 RB수가 NUMRB 미만이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CQIadjusted의 값이 작은 RB group부터 순서대로 RB group을 삭제한다. CQIadjusted가 가장 작은 RB group이 2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RB수가 작은 RB group부터 RB group을 삭제하고, CQIadjusted가 가장 작고, 그리고, RB수가 가장 작은 RB group이 2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RB group 번호가 큰 RB group부터 RB group을 삭제하는 처리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Temporary RB group 내의 RB group을 삭제하여도 좋다.
상기의 처리에 있어서 삭제된 RB group은 k+1번째 이후의 UE의 무선 리소스로서 사용된다. 상기 처리를 수행한 후의, Temporary RB group 내의 RB수를 NumRB,F로 한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16
단계 S414에 있어서 RV Selection(Redundancy Version Selection)에 대해서 설명한다.
각 재송회수(초회송신을 0으로 하는 값)에 있어서 RV parameter는, 외부 인터페이스(IF)에 의해 설정된다. eNB는, RSN의 값에 기초하여 RV parameter를 결정한다. 또한, RSN은, 해당 MAC PDU의 추정수신회수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즉, UL에 있어서 수신하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인 HARQ-ACK for DL-SCH의 NACK의 수에 기초하여 설정된다(상기 HARQ-ACK for DL-SCH의 ACK/NACK/DTX 판정결과가 DTX인 경우에는, RSN의 값을 인크리멘트하지 않는다).
단계 S416에서, k의 값을 인크리멘트하고, 단계 S418에서, k의 값이, NDL - SCH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k의 값이 NDL - SCH 이하인 경우(단계 S418의 처리: YES), 단계 S410 전으로 돌아간다. 한편, k의 값이 NDL - SCH 이하가 아닌 경우(단계 S418의 처리: NO),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는, PCH, RACH 응답판정부(204)와, 선택수단으로서의 스케줄링 계수 계산부(206)와, 할당수단으로서의 트랜스포트 포맷ㆍ리소스 블럭 선택부(210)와, 레이어 1 처리부(212), 를 구비한다.
PCH, RACH 응답판정부(204)는, 상술한 단계 S206의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PCH, RACH 응답판정부(204)는, 해당 Sub-frame에 있어서의 PCH 및 RACH response의 수를 카운트하고, 그 결과를 스케줄링 계수계산부(206)로 입력한다.
스케줄링 계수 계산부(206)는, 상술한 단계 S208의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스케줄링 계수 계산부(206)는,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다이나믹 스케줄링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유저장치를 선택하고, 다이나믹 스케줄링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UE의 수 NDL - SCH를 트랜스포트 포맷ㆍ리소스 블럭 선택부(210)로 입력한다.
트랜스포트 포맷ㆍ리소스 블럭 선택부(210)는, 상술한 단계 S212 및 단계 S214의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트랜스포트 포맷ㆍ리소스 블럭 선택부(210)는, 하향링크 트랜스포트 포맷 및 리소스 선택을 수행한다. 트랜스포트 포맷ㆍ리소스 블럭 선택부(210)는, 공통채널(Common channel), 예를 들어 동기채 널(SCH), 알림채널(BCH), 페이징 채널(PCH), 랜덤 액세스 채널응답(RACH response) 및 퍼시스턴트 스케줄링(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에 관한 송신포맷의 결정과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수행한다.
레이어 1 처리부(212)는, 레이어 1에 관한 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저장치(100n)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같은 도면에 있어서, 유저장치(100n)는, 송수신 안테나(102)와, 앰프부(104)와, 송수신부(106)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와, 어플리케이션부(110), 를 구비한다.
하향링크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102)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104)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106)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다. 이 베이스밴드 신호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서 FFT 처리나, 오류정정복호,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등이 이루어진다. 상기 하향링크의 데이터 내, 하향링크의 유저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부(110)에 전송된다. 어플리케이션부(110)는, 물리 레이어나 MA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는, 시스템 대역폭이 5MHz인 경우에, 도 5에 도시되는 알림채널을 수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즉,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이 맵핑되는 리소스 블럭에 대하여, 90kHz(6 서브캐리어) 편이된 서브캐리어의 집합에 맵핑된 알림채널(BCH)(물리채널로서는 CCPCH)을 수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한편, 상향링크의 유저 데이터에 대해서는, 어플리케이션부(110)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로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에서는, 재송제어(H-ARQ(Hybrid ARQ))의 송신처리나, 채널부호화, IFFT 처리 등이 수행되어 송수신부(106)로 전송된다. 송수신부(106)에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8)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주파수대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처리가 시행되고, 그 후, 앰프부(104)에서 증폭되어 송수신 안테나(102)에 의해 송신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가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통신 시스템과 동일하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무선통신 시스템(1000)은, 예를 들어 Evolved UTRA and UTRAN(다른 이름: Long Term Evolution, 혹은, Super 3G)이 적용되는 시스템이며, 기지국장치(eNB: eNode B)(200)와 복수의 유저장치(UE: User Equipment, 혹은, 이동국이라고도 불리어진다)(100n(1001, 1002, 1003,...100n, n은 n>0의 정수)), 를 구비한다. 기지국장치(200)는, 상위국, 예를 들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와 접속되고,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코어 네트워크(400)와 접속된다. 여기서, 유저장치(100n)는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이하, 유저장치(100n)(1001, 1002, 1003,...100n)에 대해서는, 동일의 구성, 기능, 상태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특단의 이유가 없는 한 유저장치(100n)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무선통신 시스템(1000)은,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직교주파수 분할다원 접속),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캐리어-주파수 분할다원 접속)이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FDM은,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 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주파수대 상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SC-FDMA는,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 간에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전송방식이다.
여기서, Evolved UTRA and UTRAN에 있어서의 통신채널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유저장치(100n)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물리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과, 물리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 이용된다. 하향링크에서는, 물리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의해,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유저의 정보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유저의 정보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 등이 통지된다. 또는, 물리하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유저 데이터가 전송된다. 상기 유저 데이터는, 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하 향링크 공유채널(Downlink-Share Channel(DL-SCH))이다.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유저장치(100n)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물리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과, LTE용의 제어채널이 이용된다. 또한, LTE용의 제어채널에는, 물리상향링크 공유채널과 시간다중되는 채널과, 주파수 다중되는 채널의 2종류가 있다. 물리상향링크 공유채널과 주파수 다중되는 제어채널은, 물리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라고 불리어진다.
상향링크에서는, LTE용의 제어채널에 의해,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공유채널의 스케줄링, 적응변복조ㆍ부호화(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에 이용하기 위한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및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HARQ ACK information)가 전송된다. 또한, 물리상향링크 공유채널에 의해 유저 데이터가 전송된다. 상기 유저 데이터는, 트랜스포트 채널로서는, 상향링크 공유채널(Uplink-Shared Channel(UL-SCH))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통신제어방법으로서의 하향링크 MAC(DL MAC) 데이터 송신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논리채널은, 예를 들어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에 대응한다. 또한, 프라이어리티 클래스는, 예를 들어 우선도 또는 논리채널 우선도(Logical Channel Priority)에 대응한다.
물리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의 송신대 역의 할당단위에 대해서 설명한다. PDSCH의 송신대역의 할당은, 예를 들어 시스템 파라미터로서 정의되는 리소스 블럭 그룹(Resource block group)(이하, RB group이라고 불리어진다)을 단위로서, 서브프레임(Sub-frame)마다 수행된다. RB group은, 복수의 Resource Block(RB)으로 구성되며, RB와 RB group이 대응관계는, 시스템 파라미터로서 외부입력 인터페이스(IF)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상기 RB와 RB group의 관계는, 시스템 파라미터이기 때문에, 장치 내부의 고정의 파라미터이어도 좋다. 퍼시스턴트 스케줄링(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PDSCH에 대해서도, 상기 RB group 단위로 송신대역의 할당이 수행되어도 좋다. 이하, Resource group이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Resource group을 구성하지 않고 Resource Block을 단위로서 PDSCH의 송신대역의 할당을 수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다이나믹 스케줄링은, 동적으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수행하는 제 1의 리소스 할당방법에 상당한다. 다이나믹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하향링크 공유채널(DL-SCH)은, 해당 유저장치에 대해서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무선 리소스가 할당되며, 그 경우의 송신포맷, 즉, 주파수 리소스인 리소스 블럭의 할당정보나 변조방식, 페이로드 사이즈, Redundancy version 파라미터나 프로세스 번호 등의 HARQ에 관한 정보나, MIMO에 관한 정보 등은 다양한 값이 설정된다. 상기 송신포맷, 즉, 주파수 리소스인 리소스 블럭의 할당 정보나 변조방식, 페이로드 사이즈, Redundancy version 파라미터나 프로세스 번호 등의 HARQ에 관한 정보나, MIMO에 관한 정보 등은, 하향링크의 제어채널 PDCCH에 맵핑되는 DL Scheduling Information에 의해 UE에 대하여 통지된다.
한편,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은, 데이터 종별, 혹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에 따라서, 일정 주기마다 데이터의 송신기회를 할당하는 스케줄링 방법으로, 일정 주기마다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수행하는 제 2의 리소스 할당방법에 상당한다. 즉,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하향링크 공유채널(DL-SCH)는, 해당 유저장치에 대해서 소정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이 송신되고, 그 경우의 송신포맷, 즉, 주파수 리소스인 리소스 블럭의 할당정보나 변조방식, 페이로드 사이즈, Redundancy version 파라미터나 프로세스 번호 등의 HARQ에 관한 정보나, MIMO에 관한 정보 등은, 소정의 값이 설정된다. 즉, 미리 정해진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공유채널(무선 리소스)이 할당되고, 미리 정해진 송신포맷으로 하향링크 공유채널(DL-SCH)이 송신된다. 상기 미리 정해진 서브프레임은, 예를 들어, 일정의 주기가 되도록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송신포맷은, 일종류일 필요는 없으며, 복수의 종류가 존재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다운링크 MAC 데이터 송신 수순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스케줄링 계수의 계산에 의한 스케줄링 처리부터, 트랜스포트 포맷(Transport format) 및 할당되는 RB group을 결정하는 DL TFR selection 처리까지의 수순을 나타낸 것이다.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 DL MAC 최대 다중수(NDLMAX) 설정이 수행된다(단계 S902). DL MAC 최대 다중수(NDLMAX)는, 다이나믹 스케줄링(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하향링크-공유채널(DL-SCH)의, 1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최대 다중수이며, 외부 인터페이스(I/F)에 의해 지정된다. 또한, 상기 DL MAC 최대 다중수(NDLMAX)는, 1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송신되는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최대수여도 좋다.
다음으로, 기지국장치(200)는, 단계 S904에서, 해당 Sub-frame에 있어서의 MCH의 수를 카운트하고, 그 수를 NMCH로 한다. 여기서, MCH의 수로서, 실제의 MCH의 수가 아니라, MCH를 위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수를 산출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기지국장치(200)는, 단계 S906에서,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PCH 및 RACH response 및 D-BCH 및 RACH message 4의 수를 카운트하고, 그 수를 각각 NPCH, NRACHres, ND - BCH, NRACHm4로 한다. 여기서, PCH 및 RACH response 및 D-BCH 및 MCH 및 RACH message 4의 수로서, 실제의 PCH나 RACH response나 D-BCH나 RACH message 4의 수가 아니라, PCH를 위한 Downlink Schedluing Information의 수 및 RACH response를 위한 Downlink Schelduing Information의 수 및 D-BCH를 위한 Downlink Schelduing Information의 수 및 RACH message 4를 위한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의 수를 산출하여도 좋다. 또한, 본 처리에 있어서, PCH, RACH response, D-BCH, RACH message 4의 채널에 관하여, 그 수를 카운트하였지만, 상기 채널 내의 일부에 관해서만 카운트를 수행하여도 좋으며, 혹은, 상기 채널 이외의 공통채널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카운트를 수행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 스케줄링 계수의 계산(Calcualtion for Scheduling coefficients)이 수행된다(단계 S908).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다이나믹 스케줄링(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유저장치(UE: User Equipement)를 선택한다.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UE의 수를 NDL - SCH로 정의한다.
단계 S912에서는, 하향링크 트랜스포트 포맷 및 리소스 선택(DL TFR selection: Downlink Transport format and Resource selection)이 수행된다. 즉,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 동기채널(SCH)로도 불리어진다), 프라이머리 알림채널(P-BCH), 다이나믹 알림채널(D-BCH), 페이징 채널(PCH), 랜덤 액세스 채널응답(RACH response, 혹은,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 Message 2), RACH Message 4, MCH 및 퍼시스턴트 스케줄링(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에 관한 송신포맷의 결정과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S908에서 수행되는 스케줄링 계수의 계산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는, 스케줄링 계수의 계산에 의해,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UE의 선택을 수행하는 처리 흐름을 나타낸다. 기지국장치(200)는, LTE 액티브(LTE active) 상태, 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상태에 있는 모든 UE에 대하여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n=1, Nscheduling=0으로 설정된다(단계 S1002). 여기서, n은 유저장치(100n)의 인덱스이며, n=1,...,N(N>0의 정수)이다.
다음으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엔터티 스테이터스의 갱신(Renewal of HARQ Entity Status)이 수행된다(단계 S1004). 여기서는, 해당 UE의, 하향링크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로서 ACK를 수신한 프로세스를 해방한다. 또한, 최대 재송회수에 도달한 프로세스도 해방하고, 프로세스 내의 유저 데이터를 폐기한다. 최대 재송회수는, Priority class마다 외부입력 인터페이스(IF)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복수의 논리채널이 다중되고 있는 MAC-PDU의 최대재송회수는, 가장 우선도가 높은 Priority Class의 논리채널의 최대 재송회수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메이져먼트 갭의 체크(Measurement Gap Check)가 수행된다(단계 S1006). 해당 UE에 관해서, 해당 Sub-frame, 즉,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이 Measurement gap에 포함되는지 아닌지, 또는, 상기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ACK/NACK)을 수신하는 Sub-frame이 Measurement gap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해당 Sub-frame이 Meausrement gap에 포함되는지 아닌지, 또는, ACK/NACK을 수신하는 Sub-frame이 Measusrement gap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NG를 반송하고, 그것 이외의 경우에 OK를 반송한다. Measurement gap은, UE가 이주파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다른 주파수의 셀의 측정을 수행하고 있는 시간간격이며, 그 시간에는 통신할 수 없기 때문에, UE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수신할 수 없다. 또한, UE는, 다른 주파수의 셀의 측정을 수행하고 있는 시간간격에 있어서, 상기 ACK/NACK을 송신할 수 없는, 즉, 기지국장 치(100n)는 ACK/NACK을 수신할 수 없다. Measurement gap Check의 결과가 NG의 경우(단계 S1006: NG), 해당 UE를 스케줄링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여기서, 상기 다른 주파수의 셀은, Evolved UTRA and UTRAN의 셀이어도 좋으며, 다른 시스템의 셀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다른 시스템으로서, GSM, WCDMA, TDD-CDMA, CDMA2000, WiMAX 등이 고려된다.
Measurement gap Check의 결과가 OK의 경우(단계 S1006: OK), Half Duplex Check이 수행된다(단계 S1007). 또한, Half Duplex는, 상향링크의 송신과, 하향링크의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지 않는 통신방식인 것을 나타낸다. 즉, Half Duplex에 있어서는, UE는, 상향링크의 송신과 하향링크의 수신은 개개의 타이밍에서 수행한다.
Half Duplex Check에 있어서는, 해당 UE가 Half Duplex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UE인 경우에, 해당 UE에 관해서, 이하의 6개의 판정: 해당 Sub-frame, 즉,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이, 해당 UE가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하는 Sub-frame과 중첩되는지 아닌지 해당 Sub-frame, 즉,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이, 해당 UE가 상향링크에 있어서 CQI(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 또는 Soudning Reference Signal(사운딩용의 레퍼런스 신호) 또는 Scheduling Request(스케줄링 요구신호) 또는 랜덤 액세스 채널(RACH Preamble)을 송신하는 서브프레임과 중첩되는지 아닌지 해당 Sub-frame, 즉,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이, 해당 UE가 상향링크에서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ACK/NACK)을 송신하는 서브프레임과 중첩되는지 아닌지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한 경우에, UE에 의해 상향링크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의 공통채널(SCH(동기신호)/P-BCH(프라이머리 알림채널)/D-BCH(다이나믹 알림채널)/MBMS 채널)이 송신되는 서브프레임과 중첩되는지 아닌지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한 경우에, UE에 의해 상향링크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이전에 UE에 의해 송신된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과 중첩되는지 아닌지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한 경우에, UE에 의해 상향링크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의 Persistent Scheduling을 위한 제어정보(UL Scheduling Grant 및 DL Scheduling Information)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과 중첩되는지 아닌지를 수행하고, 어느 하나의 판정에 있어서 참인 경우에 NG를 반송하고, 그것 이외의 경우에 OK를 반송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판정에 있어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의 채널은, 그 모두가 고려되어도 좋으며, 그 일부가 고려되어도 좋다. Half Duplex Check의 결과가 NG의 경우(단계 S1007: NG), 해당 UE를 스케줄링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Half Duplex의 UE는, 상향링크의 송신을 수행할 때, 하향링크의 수신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처리에 의해,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송신을 수행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상향링크의 송신을 수행할 때, 하향링크의 송신 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Half Duplex의 UE가, 상향링크의 송신을 수행할 때, 하향링크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는 문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여섯의 판정에 있어서, UE에 있어서 DL 수신과 UL 송신 간의 전환시간을 고려하여, 상술한 판정이 수행되어도 좋다. 즉, UE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의 송신 타이밍, 또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타이밍이, 전환시간에 중첩되는 경우에는, 해당 Half Duplex Check 결과를 NG로 판정하여도 좋다.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Half Duplex Check은, Half Duplex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UE에 대하여 수행되고 있지만, 상술한 처리는, Half Duplex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UE에 대한 것뿐 아니라, Full Duplex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UE에 대하여 적용되어도 좋다. Full Duplex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든 UE에 대하여, 상기 Half Duplex Check이 적용되어도 좋다. 혹은, 해당 UE와 기지국장치(200) 간의 패스로스가 소정의 문턱값을 초과하고 있는, Full Duplex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UE에 관하여, 상술한 Half Duplex Check가 수행되며, 해당 UE와 기지국장치(200) 간의 패스로스가 소정의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는, Full Duplex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UE에 관해서는, 상술한 Half Duplex Check가 수행되지 않는다는 처리가 수행되어도 좋다. 이 경우, UE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송신과 하향링크의 수신이 동시에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후술하는, 「UE 내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송신신호가, 하향링크의 수신신호로의 간섭신호가 되며, 결과로서, 하향링크의 수신신호의 품질이 열화한다」라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UE 내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송신신호가, 하향링크의 수신신호로의 간섭신호가 되며, 결과로서, 하향링크의 수신신호의 품질이 열화한다」라는 문제의 영향이 큰 셀, 또는,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Full Duplex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UE에 대해서도, 상술한 Half Duplex Check이 수행되며, 그것 이외의 셀, 또는,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는, Full Duplex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UE에 대해서는, 상술한 Half Duplex Check이 수행되지 않는다는 처리를 수행하여도 좋다.
Half Duplex Check의 결과가 OK의 경우(단계 S1007: OK), 간헐수신(DRX)의 체크가 수행된다(단계 S1008). 해당 UE가 DRX 상태인지 아닌지, 및, 해당 UE가 DRX 상태인 경우, 해당 Sub-frame이 DRX 수신 타이밍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DRX 상태이며, 그리고, DRX 수신 타이밍이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NG를 반송하고, 그것 이외의 경우에 OK를 반송한다. 즉, 「DRX 상태가 아닌 경우」또는 「DRX 상태이고, 그리고, DRX 수신타이밍인 경우」에 OK를 반송한다. 「DRX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후술하는 flagDRX를 0으로 하고, 「DRX상태이고, 그리고, DRX 수신 타이밍인 경우에 flagDRX를 1로 한다. 여기서, DRX 수신 타이밍은,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가능한 타이밍인 것을 나타낸다. DRX 수신 타이밍은, On-duration이라고도 불리어진다. 또한, DRX 상태이며, 그리고, DRX 수신 타이밍이 아닌 상태는, 하향링크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슬립상태에 상당한다.
또한, DRX 상태이며, 그리고, Persistent resource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의 재송 타이밍(「초회송신의 Sub-frame+HARQ RTT」~「초회송신의 Sub-frame+HARQ RTT+DRX Retransmission Timer」인 경우에는, 「DRX 상태이며, 그리고, DRX 수신타이밍인 경우」로 간주한다. 여기서, DRX Retransmission Timer는, 상기 초회송신에 대한 재송을 수행하여 좋은 구간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며, 사전에, 기지국과 이동국 간에 설정되는 파라미터이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초회송신에 한정하였지만, 초회송신 이외에도 상기 DRX Retransmission Timer가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HARQ RTT의 값은, 예를 들어, 8Sub-frame이어도, 또한, DRX Retransmission Timer은 3Sub-frame이어도 좋다. 물론 상술한 8이나 3인 값은 일 예이며, 그것 이외의 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DRX Check의 결과가 NG의 경우(단계 S1008: NG), 해당 UE를 스케줄링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DRX Check의 결과가 OK의 경우(단계 S1008: OK), 수신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의 체크(Received CQI Check)가 수행된다(단계 S1010). 즉,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이용되는 CQI의 값을 구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장치(200)는, 해당 UE로부터 과거에 적어도 하나의 CQI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최신의 시스템 대역폭 전체의 CQI(Wideband CQI) 및 UE Selected Sub-band CQI를, 후술하는 단계 S1024의 처리, 및, 단계 S912의 처리에 이용한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장치(200)는, 해당 UE로부터 과거에 한번도 CQI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 인터페이스에 의해 설정되는, 미리 정해진 고정의 시스템 대역폭 전체의 CQI(Wideband CQI)를, 후술하는 단계 S1024의 처리, 및, 단계 S912의 처리에 이용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의해 설정되는, 미리 정해진 고정의 시스템 대역폭 전체의 CQI(Wideband CQI)는, 예를 들어, 장치 내부의 파라미터로서 유지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의해 설정되는, 미리 정해진 고정의 시스템 대역폭 전체의 CQI(Wideband CQI)는, 예를 들어, 해당 셀의 셀 단에 위치하는 UE의 수신 SIR에 기초하여 산출되어도 좋다.
또한, 기지국장치(200)는, 수신한 CQI의 신뢰도를 판정하고, 상기 신뢰도가 낮은 경우에, 해당 CQI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여도 좋다. 즉, 상기 「과거에 적어도 하나의 CQI를 수신하고 있다」는 것은, 과거에 적어도 하나의 신뢰도가 높은 CQI를 수신하고 있다는 의미여도 좋다. 혹은, 상기 「최신의 시스템 대역폭 전체의 CQI(Wideband CQI) 및 UE Selected Sub-band CQI」는, 신뢰도가 높은 CQI 내의, 최신의 시스템 대역폭 전체의 CQI(Wideband CQI) 및 UE Selected Sub-band CQI라는 의미여도 좋다. 혹은, 상기 「과거에 한번도 CQI를 수신하지 않았다」는, 과거에 한번도 신뢰도가 높은 CQI를 수신하지 않았다는 의미여도 좋다. 또한, 상기 CQI의 신뢰도는, 예를 들어, CQI의 수신품질, 예를 들어, CQI의 신호의 SIR, 보다 구체적으로는,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SIR에 기초하여 판정되어도 좋다. 즉, 상기 CQI의 수신품질이, 소정의 문턱값 이상의 경우에, 신뢰도가 높다고 판정하고, 상기 CQI의 수신품질이, 소정의 문턱값 미만인 경우에, 신뢰도가 낮다고 판정하여도 좋다.
단계 S1012에서는,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UE에 Persistent Resource가 할당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Persistent Resource는, Persistent Scheduling 용으로 확보된 Resource block인 것을 나타낸다. Persistent Scheduling은, 데이터 종별, 혹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에 따라서, 일정 주기마다 데이터의 송신기회를 할당하는 스케줄링 방법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 종별은 예를 들어, Voice Over IP(VoIP)에 의한 데이터이거나, 혹은, Streaming에 의한 데이터이거나 한다. 상기 Voice Over IP 또는 Streaming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당한다.
상기 Persistent Resource는, HARQ의 초회송신을 위해 할당된 리소스여도 좋다. 이 경우, 해당 데이터가 재송되는 경우에는,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로서 송신된다. 즉, 재송되는 데이터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단계 S1032에 있어서 UE 선택의 처리에 있어서 해당 데이터가 송신되는 UE가 선택되는 것에 의해, 송신이 수행된다.
Persistent resource가 할당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단계 S1012: OK), 데이터 사이즈의 체크(Data Size Check)의 처리로 진행하고(단계 S1014), Persistent resource가 할당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단계 S1012: NG), Localized/Distributed Check로 진행한다(단계 S1020). 로컬라이즈드는, 해당 UE와 기지국장치(200) 간의 전파환경에 있어서 페이딩 주파수가 작기 때문에, CQI에 기초하여, 비교적 연속하는 주파수 블럭(리소스 블럭)을 할당한 쪽이 양호한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며, 디스트리뷰티드는, 해당 UE와 기지국장치(200) 간의 전파환경에 있어서의 페이딩 주파수가 크기 때문에, CQI의 값에 관계없이, 비교적 이산적으로 분산한 주파수 블럭(리소스 블럭)을 할당한 쪽이 양호한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 낸다. 또한, 로컬라이즈드는, Low Fd(페이딩 주파수)로 불리어져도 좋으며, 디스트리뷰티드는 High Fd(페이딩 주파수)라고 불리어져도 좋다.
단계 S1014에서는, 해당 UE가 가지는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의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문턱값(Thresholddata _ size)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Thresholddata _ size 이상인 경우(단계 S1014: NG), 퍼시스턴트 리소스 해방(Persistent Resource Release)의 처리로 진행하고(단계 S1018),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Thresholddata _ size 미만인 경우(단계 S1014: OK), 퍼시스턴트 리소스 확보(Persistent Resource Reservation)의 처리로 진행한다(단계 S1016). 또한, 각 논리채널에 대하여,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지 아닌지는,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VoIP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논리채널을,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로 하고, 그것 이외의 논리채널을,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로 한다.
또한, 상술한 문턱값(Thresholddata_size)은, 예를 들어, 퍼시스턴트 리소스에 의해 송신가능한 데이터의 최대값이 설정되어도 좋다.
단계 S1016에서는, 해당 UE가 가지는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에 할당되는 Persistent Resource를 확보한다. 또한,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Persistent Resource가 할당되는 UE에 관해서도 후술하는 스케줄링 계수의 계산을 수행하고,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을 위해 무선 리소스가 할당된 경우에는, Persistent Resource를 해방하고,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Logical Channel을 위해 할당된 Resource에,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과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을 다중하여 MAC PDU(DL-SCH)의 송신을 수행한다.
또한,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Persistent Resource가 할당되는 UE에 관해서도, 후술하는 단계 S1024에 기재의 스케줄링 계수의 계산을 수행하고,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Logical Channel을 위해 송신 리소스가 할당된 경우에는, Persistent Resource를 해방하고,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Logical Channel을 위해 할당된 Resource를 이용하여, 해당 UE에 대하여 MAC PDU(DL-SCH)의 송신을 수행한다. 또한, MAC PDU에, MAC control block 및 각 Logical Channel의 RCL buffer 내의 데이터의 다중방법에 관해서는, 단계 S912에 도시된다.
또한, MAC control block은,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이다. 혹은, MAC control block은, MAC 레이어의 헤더 정보이어도 좋다.
단계 S1018에서는, 해당 UE가 가지는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논리채널에 할당될 예정의 Persistent Resource를 해방한다. 또한, 상기 Persistent Resource는, 해당 Sub-frame만 해방되는 것으로 하고, 다음의 Persistent Resource가 할당되는 타이밍에 있어서는, 새롭게 Data Size Check 처리(단계 S1014)를 수행하는 것으로 한다.
단계 S1020에서는, 해당 UE의 하향링크의 전송타입(DL Transmission type), 즉 Localized 송신/Distributed 송신을 판정한다. 또한, Transmission type은, DL 과 UL로 공통으로 관리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해당 UE의 Fd 추정값이 문턱값(ThresholdFd , DL) 이하인 경우 Localized 송신으로 판정하고, 상기 이외의 경우를 Distributed 송신으로 판정한다. 상기 Localized 송신을, Low Fd로 불러도 좋으며, 상기 Distributed 송신을, High Fd로 불러도 좋다.
상기 Fd 추정값은, UE보다 Measurement report 등의 RRC message에 의해 보고되는 값을 이용하여도 좋으며, UE에 의해 송신되는 Soudning 용의 레퍼런스 신호의 시간 상관값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값을 이용하여도 좋다. 혹은, 상기 Fd 추정값은, UE에 의해 송신되는 PUSCH에 있어서의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시간 상관값에 기초하여 산출되어도 좋다. 혹은, 상기 Fd 추정값은, UE에 의해 송신되는 PUCCH에 있어서의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시간 상관값에 기초하여 산출되어도 좋다. 상기 PUCCH에 의해, 하향공유채널에 관한 송달확인정보나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가 송신된다.
다음으로, 버퍼상태의 체크(Buffer Status Check)가 수행된다(단계 S1022). 해당 UE가 가지는 논리채널에 관하여,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즉, 기지국장치(200)는, 해당 UE의 각 논리채널에 관하여, 데이터 버퍼 내에,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모든 논리채널에 관하여,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NG를 반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논리채널에 관해서는,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 우에는 OK를 반송한다. 여기서, 송신가능한 데이터는, 신규로 송신가능한 데이터 또는 재송가능한 데이터인 것이다.
단, 이하에, 상기 버퍼상태의 체크에 있어서의 예외적인 처리를 나타낸다.
RLC 레이어의 송신 윈도우가 풀(Full)이 되고, 스톨(Stall) 상태가 되어 있는 Logical Channel에 관해서는,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해당 UE에 대해서는, 기지국장치 간의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것이 정해져 있는 경우, 해당 UE의 논리채널 내, DTCH에 관해서는,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즉, 해당 UE의 논리채널 내, DCCH만을 송신가능한 데이터로 간주한다. 또한, MAC control block에 관해서는, DCCH 송신시에 송신가능한 MAC control block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송신을 수행한다. 또한, MAC control block에 관해서는, DCCH의 유무에 관계없이,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여도 좋으며, 혹은, 반대로,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여도 좋다.
해당 UE가 다른 기지국장치로부터 해당 기지국장치로 핸드오버해 온 경우에는, 해당 UE로의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할 때까지, 해당 UE에 대하여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기지국장치(200)는, 예를 들어, 상기 다른 기지국장치로부터 해당 기지국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하고, 그리고, PDCP 레이어의 스테이터스 레포트(Status Report)를 수신한 경우에, 해당 UE로의 데이터 송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다른 기지국장치로부터 해당 기지국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한다라는 것을, 예를 들어, 타이머를 정의 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하는 것으로 정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PDCP 레이어의 Status Report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의 판단은, 상기 PDCP 레이어의 Status Report의 송신을 미리 지정하고 있는 논리채널에 관해서만 수행하는 것으로 한다.
해당 UE의 상향링크의 동기상태가 동기손실인 경우, 또는, UL 개별 리소스 상태가 NG인 경우에는, 해당 UE의 DTCH에 관해서는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DCCH 또는 MAC control block만을 송신가능한 데이터로 간주한다.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Persistent Resource가 확보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1016의 처리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논리채널(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어 있는 논리채널)에 관해서는, 송신가능한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단, 이 경우도, 단계 S912의 처리에 있어서, MAC PDU에 MAC control block 및 각 Logical Channel의 RLC buffer 내의 데이터를 다중하는 처리에 있어서는,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송신가능한 데이터로서, MAC control block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DCCH와 동일의 프라이어리티 클래스에 속하는 논리채널로서 취급한다. 즉, 송신가능한 데이터로서, MAC control block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송신가능한 DCCH 상당의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ersistent Resource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016의 처리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Logical Channel에 관해서는, 이하의 처리를 수행한다.
신규로 송신가능한 데이터의 Data size가 문턱값(Thresholddata _ size) 이상인 경우, 또는, 재송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송신가능한 데이터의 Data size가 문턱값(Thresholddata _ size) 미만인 경우,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본 처리에 의해, Persistent Resource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Sub-frame에 있어서,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어야 하는 데이터에 송신 리소스가 할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논리채널에 관한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않는지」의 판정결과는,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단계 S912의 처리에 있어서의, MAC PDU에 MAC control block 및 각 Logical Channel의 RLC buffer 내의 데이터를 다중하는 처리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즉, 본 판정에 있어서, 「송신가능한 데이터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912의 처리에 있어서의, MAC PDU에 MAC control block 및 각 Logical Channel의 RLC buffer 내의 데이터를 다중하는 처리에 있어서도,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Buffer Status Check의 결과가 NG의 경우(단계 S1022: NB), 해당 UE를 스케줄링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Buffer Status Check의 결과가 OK인 경우(단계 S1022: OK), 이하의 선택논리에 기초하여, 송신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논리채널 중에서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을 선택하고, Scheduling Coefficient Calculation의 처리로 진행한다(단계 S1024).
(선택논리 1) 가장 우선도가 높은 논리채널을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로 한다.
(선택논리 2) 선택논리 1을 만족하는 복수의 논리채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송신가능한 재송 데이터를 가지는 논리채널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로 한다.
(선택논리 3) 선택논리 2를 만족하는 복수의 논리채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개별 제어채널(DCCH: Dedicated Control Channel)이 존재하는 것이라면, DCCH를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로 하고, DCCH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면, 상기 복수의 논리채널 내, 임의의 논리채널을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로 한다.
본 판단기준을 적용하는 경우, 우선도가 낮은 논리채널의 재송 데이터가 아니라, 우선도가 높은 논리채널의 신규 데이터가, 보다 높은 논리채널로서 판정된다.
또한, 상술한 단계 S1006, S1008, S1022에 있어서의, 해당 UE를 스케줄링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는 처리는, 후술하는 Scheduling Coefficient Calculation의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로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UE에 대하여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은 송신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기지국장치(200)는, 상술한 단계 S1006, S1008, S1022에 있어서, 해당 UE를 스케줄링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고 판정된 UE이외의 UE 중에서, 스케줄링의 처리를 수행하고, 즉, 공유채널을 송신하는 UE를 선택하고, 그리고, 선택된 UE에 대하여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한다.
단계 S1024에서는, 단계 S1022에서, Highest priority로 판정된 논리채널에 관해서, 후술하는 평가식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계수를 산출한다. 즉, 어느 UE에 대하여 복수의 논리채널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논리채널 내의 모두에 대하여, 스케줄링 계수의 계산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우선도가 높은 논리채널에 대하여 스케줄링 계수의 계산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장치(200)의 처리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테이블 5-8에 외부 I/F에 의해 설정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17
Figure 112009057977446-PCT00018
Figure 112009057977446-PCT00019
Figure 112009057977446-PCT00020
테이블 9에, Sub-frame 단위로, 각 UE의 각 논리채널에 부여되는 입력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21
테이블 5-8에 도시하는 입력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UE(#n),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h)의 스케줄링 계수(Cn)를 식(1)대로 계산한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22
또한, Intra-eNB Hand Over(Intra-eNB HO) 시에는, 스케줄링에 이용하는 측정값, 산출값은, Target eNB(핸드오버 목적지의 eNB)에 인계가 없는 것으로 한다.
단계 S1024에서는, 평균 데이터 레이트(Average Data Rate)의 측정이 수행된다.
Average Data Rate는, 상술한 식(2)을 이용하여 구해진다.
단, Nn ,k(1, 2,...)는, Average Data Rate의 갱신회수이다. 단, Nn ,k=0이 되는 Sub-frame에 있어서는, 상술한 식(3)으로 한다.
또한, 망각계수(δn,k)는, 이하와 같이 계산된다.
δn,k=min(1-1/Nn ,k, δ'PCn ,k)
Average Data Rate의 갱신주기는 「기지국장치(200) 내의 논리채널 #k의 데이터 버퍼에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한 Sub-frame마다」로 하고, rn ,k의 계산방법은 「송신된 MAC SDU의 사이즈」로 한다. 즉, Average Data Rate의 계산은, Average Data Rate의 갱신기회의 Sub-frame에 있어서, 이하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한다.
1. 송신을 수행한 UE에 대하여는, 「rn ,k=송신된 MAC SDU의 사이즈」로 Average Data Rate의 계산을 수행한다.
2. 송신을 수행하지 않은 UE에 대해서는, 「rn ,k=0」으로 Average Data Rate의 계산을 수행한다.
또한, Average Data Rate는, Received CQI Check에 있어서, 과거에 적어도 하나의 CQI를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그리고, 갱신기회의 조건이 일치한 경우에 계산을 수행한다. 즉, CQI를 적어도 한번은 수신한 후부터 계산이 개시된다.
다음으로, 스케줄링 계수의 계산이 수행된 UE수를 나타내는 NScheduling을 1만큼 증가시키고(단계 S1026), UE 인덱스를 나타내는 n을 1만큼 증가시킨다(단계 S1028).
다음으로, n이 NScheduling 이하인지 아닌지 판정한다(단계 S1030). n이 NScheduling 이하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단계 S1030: YES), 단계 S1004로 돌아간다.
한편, n이 NScheduling보다 큰 것으로 판정한 경우(단계 S1030: NO), 단계 S1032에 있어서, 유저장치의 선택(UE Selection)이 수행된다. 즉,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UE를 선택한다.
우선, 이하의 식에 의해,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UE의 수, 즉,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이 송신되는 UE의 수(NDL - SCH)를 산출한다. 여기서, NScheduling은, Scheduling Coefficient Calculation이 수행된 UE의 수를 나타낸다(도 10을 참조).
NDL - SCH=min(NScheduling, NDLMAX-NPCH-NRACHres-ND - BCH-NRACHm4-NMCH)
또한, 상술한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이 송신되는 UE의 수(NDL - SCH)를 산출할 때, NDL-SCH<0이 된 경우에는, RACH message 4, RACH response, MCH, PCH, D-BCH의 순번으로, 해당 Sub-frame에 있어서의 송신처리를 금지한다.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송신처리를 금지하는 것으로 결정된 채널은,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송신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Scheduling priority group마다, 단계 S1024에서 산출된 스케줄링 계수가 큰 순서부터, NDL - SCH대의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UE를 선택한다. 즉,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 목적지가 되는 UE를 선택한다. 여기서, Scheduling priority group은, 스케줄링에 있어서의 우선도 부여가 된 그룹이며, 각 논리채널에 대하여, 속해야하는 Scheduling priority group이 정의된다. 즉, 각 UE는,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Scheduling priority group으로 계층화되고, 각 계층 중에, 단계 S1024에 있어서 산출된 스케줄링 계수가 큰 순서부터,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 목적지가 되는 UE가 선택된다. 즉, 스케줄링 된다.
이하의 순서로 상기 「UE」를 선택한다.
High(1st)->High(2nd)->...->Middle(1st)->Middle(2nd)->...->Low(1st)->Low(2nd)->...
또한, 해당 UE가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송신해야 하는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를 가지는 경우에는, 그 Scheduling priority group을,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Scheduling priority group에 관계없이, 「High」로 한다. 즉, 기지국장치(200)는,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송신해야 하는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가 존재하는 UE를, 우선도가 높은 Scheduling priority group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High, Middle, Low의 3종류의 Scheduling priority group이 정의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또한, Super High가 정의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셀 내의 혼잡도가 높은 경우에만 설정되는 우선도 플래그가 정의되고, 상기 우선도 플래그가 설정된 UE, 또는, 논리채널을, 상기 Super High의 Scheduling priority group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도 좋다. 상기 우선도 플래그가 설정되는 UE, 또는, 논리채널은, 긴급호(緊急呼)이거나, 혹은, 우선호이거나 한다. 기지국장치(200)는, 상기 우선도 플래그가 설정되는 UE, 또는, 논리채널을 위해, 셀 내의 혼잡도가 높은 경우에는, 기지국장치(200) 내의 리소스를 확보한다는 처리를 수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리소스는, 예를 들어, CPU 능력이나 메모리량, 베이스밴 드 리소스나 송신전력 리소스, 주파수 리소스, 시간방향의 리소스여도 좋다. 혹은, 상기 리소스를 확보하기 위해, 셀 내의 UE수에 제약을 두어도 좋다. 즉, 셀 내의 최대로 접속되는 UE의 수를 저감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우선도 플래그가 설정된 UE, 또는, 상기 우선도 플래그가 설정된 논리채널을 가지는 UE에 관하여, 상기 UE에 설정되어 있는 모든 논리채널이, Super High의 Scheduling priority group에 속하는 것으로 설정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UE에 설정되어 있는 어떠한 논리채널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리소스가 할당되는, 즉, 공유채널이 할당되게 된다.
상기 우선도 플래그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되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장치의 인덱스(UE index)인 n에 관하여 루프처리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 각 유저장치에 대하여, 스케줄링 계수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계산된 스케줄링 계수가 큰 유저장치에 대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 즉,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한다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의 우선도나,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무선품질정보, 재송회수,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의 유무, 할당빈도, 평균의 전송속도, 목표의 전송속도를 고려하여,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고 있는지 아닌지, 간헐수신처리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 RLC 레이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체류시간, 다른 주파수의 셀을 측정하는 모드에 있어서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를 고려하여, 무선 리소스(하향링크의 공유채널)를 할당하는 유저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유저장치에 대하여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 해진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Scheduling priority group은, High, Middle, Low의 3종류이지만, 4종류 이상의 Scheduling priority group을 준비하여도 좋으며, 2종류 이상의 Scheduling priority group을 준비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HighMAC, HighDRX, High, Middle, Low의 5종류의 Scheduling priority group을 준비하고, 우선도를, 높은 순서부터, HighMAC, HighDRX, High, Middle, Low로 한다. 그리고, 송신해야 하는 MAC control block을 가지는 UE에 대해서는, 그 Scheduling priority group을,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Scheduling priority group에 관계없이, 「HighMAC」으로 하고, DRX 상태에서, 그리고, DRX 수신 타이밍시의 UE에 대하여, 그 Scheduling priority group을,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Scheduling priority group에 관계없이, 「HighDRX」로 하여도 좋다. 송신해야 하는 MAC control block을 가지는 UE, 또는, DRX 상태에서, 그리고, DRX 수신 타이밍시의 UE에 대하여, 보다 우선적으로 공유채널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MAC control block을 가지는 UE와 MAC control block을 갖지않는 UE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식(1)에 있어서 Cn의 값에 관계없이, MAC control block을 가지는 UE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공유채널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우선도를, 높은 순서부터, HighMAC, HighDRX, High, Middle, Low로 하였지만, 이것은 일 예이며, 그 외의 순번, 예를 들어, High, HighMAC, HighDRX, Middle, Low 등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단계 S912에서 수행되는 하향링크 TFR 선택처리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DL TFR selection의 처리 흐름을 나타낸다. 본 처리 흐름에 의해, 동기신호(Sychronization Signal, 혹은, 동기채널(SCH)이라고도 불리어진다), 프라이머리 알림채널(P-BCH), 페이징 채널(PCH), 다이나믹 알림채널(D-BCH), 랜덤 액세스 채널응답(RACH response, 혹은,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의 Message 2),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의 Message 4, MBMS 채널(MCH), 및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에 관한 송신포맷의 결정과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된다. 상술한, SCH나 P-BCH, PCH, D-BCH, RACH response, RACH message 4는 공통채널로 불리어진다.
공통채널에 대한 리소스 블럭의 할당(RB allocation for Common channel)이 수행된다(단계 S1102).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동기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거의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에 위치하는 6 또는 7 리소스 블럭을 동기신호에 할당한다. 동기신호에 할당된 RB를 포함하는 RB group은,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에 할당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동기신호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럭은, 다른 채널이 맵핑되지 않 도록, 동기신호를 위해 확보된 리소스 블럭을 의미하고, 동기신호가 실제로 맵핑되는 리소스 블럭 혹은 서브캐리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즉, 동기신호는, 상기동기신호를 위해 할당된 리소스 블럭 중의 소정의 서브캐리어로 맵핑된다.
또한, 동기신호의 송신전력(모든 resource element(sub-carrier)의 송신전력의 합. 절대값으로 하고, 단위를 W로 한다)을 PSCH로 한다.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P-BCH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거의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에 위치하는 6 또는 7 리소스 블럭을 P-BCH로 할당한다. 또한, 상술한 P-BCH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럭은, 다른 채널이 맵핑되지 않도록, P-BCH를 위해 확보된 리소스 블럭을 의미하고, P-BCH가 실제로 맵핑되는 리소스 블럭 혹은 서브캐리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즉, P-BCH는, 상기 P-BCH를 위해 할당된 리소스 블럭 중의 소정의 서브캐리어로 맵핑된다. 예를 들어, P-BCH는, 동기신호가 맵핑되는 서브캐리어와 같은 서브캐리어 번호로 맵핑되어도 좋다.
또한, P-BCH의 송신전력(모든 resource element(sub-carrier)의 송신전력의 합. 절대값으로 하고, 단위를 W로 한다)를 PP - BCH로 한다.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PCH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RB group를 PCH로 할당한다. 혹은, PCH의 데이터 사이즈 또는 PCH가 송신되는 유저장치의 수에 따라서, 또는, 이용가능한 RB group에 따라서, PCH로의 RB group의 할당을 수행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이용가능한 RB group 내, PCH의 데이터 사이즈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RB수를 초과할 때까지, 시스템 대역의 양단부터 순번대로 RB group을 선 택하고, 선택된 RB group을, PCH로 할당하는 RB group으로 하여도 좋다. 여기서, 이용가능한 RB group은,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시점에서, 다른 채널로 할당하는 것으로 결정되어 있지 않은 RB group인 것이다.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RACH response(랜덤 액세스 채널 응답, 혹은,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의 Message 2)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RB group을 RACH response로 할당한다. 혹은, RACH response의 데이터 사이즈 또는 RACH response가 송신되는 유저장치의 수에 따라서, 또는, 이용가능한 RB group에 따라서, RACH response로의 RB group의 할당을 수행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이용가능한 RB group 내, RACH response의 데이터 사이즈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RB 수를 초과할 때까지, 시스템 대역의 양단부터 순번대로 RB group을 선택하고, 선택된 RB group을, RACH response로 할당하는 RB group으로 하여도 좋다. 여기서, 이용가능한 RB group은,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시점에서, 다른 채널로 할당하는 것으로 결정되어 있지 않은 RB group인 것이다.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D-BCH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RB group을 D-BCH로 할당한다. 혹은, D-BCH의 데이터 사이즈에 따라서, 또는, 이용가능한 RB group에 따라서, D-BCH로의 RB group의 할당을 수행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이용가능한 RB group 내, D-BCH의 데이터 사이즈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RB수를 초과할 때까지, 시스템 대역의 양단으로부터 순번대로 RB group을 선택하고, 선택된 RB group을, D-BCH로 할당하는 RB group으로 하여도 좋다. 여기서, 이용가능한 RB group은,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시점에서, 다른 채널로 할당하는 것으로 결정되어 있지 않은 RB group인 것이다.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RACH message 4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RB group을 RACH message 4로 할당한다. 혹은, RACH message 4의 데이터 사이즈 또는 RACH message 4가 송신되는 유저장치의 수에 따라서, 또는, 이용가능한 RB group에 따라서, RACH message 4로의 RB group의 할당을 수행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이용가능한 RB group 내 , RACH message 4의 데이터 사이즈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RB 수를 초과할 때까지, 시스템 대역의 양단으로부터 순번대로 RB group을 선택하고, 선택된 RB group을, RACH message 4로 할당하는 RB group으로 하여도 좋다. 여기서, 이용가능한 RB group은,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시점에서, 다른 채널로 할당하는 것으로 결정되어 있지 않은 RB group인 것이다.
MBMS 채널, 즉, MCH에 대한 리소스 블럭의 할당(RB allocation for MCH)이 수행된다(단계 S1104). 즉,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MCH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RB group을 MCH로 할당한다. 혹은, MCH의 데이터 사이즈에 따라서, 또는, 이용가능한 RG group에 따라서, MCH로의 RB group의 할당을 수행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이용가능한 RB group 내, MCH의 데이터 사이즈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RB수를 초과할 때까지, 시스템 대역의 양단부터 순번대로 RB group을 선택하고, 선택된 RB group을, MCH로 할당하는 RB group으로 하여도 좋다. 여기서, 이용가능한 RB group은,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시점에서, 다른 채널로 할당하는 것으로 결정되어 있지 않은 RB group인 것이다.
다음으로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대한 리소스 블럭 할당(RB allocation for Persistent Scheduling)이 수행된다(단계 S1106). 단계 S1016에서 확보된 Persistent Resource를,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를 가지는 UE로 할당한다.
단,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Persistent Resource가 할당되는 UE에 관해서도, 단계 S1024에 기재의 스케줄링 계수의 계산을 수행하고,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Logical Channel을 위해 송신 리소스가 할당된 경우에는, 기지국장치(200)는, Persistent Resource를 해방하고,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Logical Channel을 위해 할당된 Resource를 이용하여, 해당 UE에 대하여 MAC PDU(DL-SCH)의 송신을 수행한다. 또한, MAC PDU에, MAC control block 및 각 Logical Channel의 RLC buffer 내의 데이터의 다중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의 송신전력(모든 resource element(sub-carrier)의 송신전력의 합. 절대값으로 하고, 단위를 W로 한다)을 Ppersist로 한다. 여기서, Ppersist는,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를 가지는 UE가 2대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 UE의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의 송신전력의 합계값으로 한다.
다음으로, 물리하향 공유채널의 리소스 블럭 수의 계산(Calculation for Number of RBs for PDSCH)이 수행된다(단계 S1108). 기지국장치(200)의 최대 송신전력(이하, Pmax로 기재한다. 단위를 W로 한다), 동기신호의 송신전력(PSCH), P-BCH의 송신전력(PP - BCH), PCH의 송신전력(PPCH), RACH response의 송신전력(PRACHres), D-BCH의 송신전력(PD - BCH), RACH message 4의 송신전력(PRACHm4), MCH의 송신전력(PMCH),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의 송신전력(Ppersist),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의 1RB당 송신전력(Pdynamic ( RB ))에 기초하여, 이하의 식을 이용하여 PDSCH로 할당가능한 RB수(Ndynamic ( RB ))를 산출한다. 여기서, Nsystem ( RB )은 시스템 대역 전체의 RB수이며, NP - BCH, NSCH, NPCH, NRACHres, Npersist, ND - BCH, NRACHm4, NMCH는, 각각,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P-BCH, 동기신호, PCH, RACH response, D-BCH, RACH message 4, MCH,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로 할당되는 RB의 수이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23
Ndynamic ( RB )<Nsystem ( RB )-Ncommon-Npersist인 경우에는,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P-BCH, PCH, RACH response, D-BCH, MCH, RACH message 4,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로 할당된 RB group 이외의 RB group 내의 일부의 RB group의 송신을 금지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장치(200)의 총 송신전력을 최대 송신전력 이하가 되도록 제어한다. (Nsystem ( RB )-Ncommon-Npersist-Ndynamic ( RB ))개 이상의 RB의 송신이 금지될 때까지, 이하의 처리, 즉 RB수가 가장 작은 RB group의 송신을 금지하고, RB수가 가장 작은 RB group이 둘 이상 존재하는 경우, RB group 번호가 작은 RB group부터 RB group의 송신을 금지하는 처리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송신을 금지하는 RB group을 결정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RB group 번호가 작은 RB group부터 RB group의 송신을 금지한다는 처리를 수행하였지만, RB group 번호가 큰 RB group부터 RB group의 송신을 금지하는 처리를 수행하여도 좋으며, 혹은, 시스템 대역의 중심에 가까운 RB group부터 RB group의 송신을 금지하는 처리를 수행하여도 좋으며, 혹은, 상기 이외의 순번으로 RB group의 송신을 금지하는 처리를 수행하여도 좋다.
k=1로 한다(단계 S1110).
다음으로, 리소스 블럭이 남아 있는지 아닌지의 체크(RB Remaining Check)가 수행된다(단계 S1112).
단계 S1112에서,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로 할당가능한 RB group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할당가능한 RB group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OK를 반송하고, 할당가능한 RB group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NG를 반송한다. RB Remaining Check가 NG의 경우(단계 S1112: NG), DL TFR Selection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로 할당가능한 RB group 」은, P-BCH, PCH, RACH response, D-BCH, RACH message 4, MCH,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 이미 TFR Selection이 수행된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로 할당된 RB group 이외의 RB group인 것이다. 또한, 상기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로 할당가능한 RB group」에 포함되는 RB의 총 수를 Nremain ( RB )로 한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로 할당가능한 RB group」을, P-BCH, PCH, RACH response, D-BCH, RACH message 4, MCH,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 이미 TFR Selection이 수행된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로 할당된 RB group 이외의 RB group, 으로 하였지만, 대신, 동기신호, P-BCH, PCH, RACH response, D-BCH, RACH message 4, MCH,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 이미 TFR Selection이 수행된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로 할당된 RB group 이외의 RB group으로 하여도 좋다.
한편, RB Remaining Check가 OK의 경우(단계 S1112: OK), 단계 S1114로 진행한다.
이하, 하향링크 TFR 선택(DL TFR Selection)이 수행된다(단계 S1114).
상술한 단계 S1032에 있어서 결정된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UE」의 Transport format의 결정, RB group의 할당을 수행한다.
또한, S1110~S1120에 있어서의 k의 루프는, 단계 S1032에서 결정된,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UE」로서 선택된 순으로 수행한다.
DL TFR Selection에서는, CQI 조절(CQI adjustement)이 수행된다. TFR Selection에 이용되는 CQI에는, 이하에 도시하는, 주파수 방향의 바꿔읽기 처리, 아우터 루프(Outer-loop)적인 오프셋 조절처리,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우선도에 기초하는 오프셋 처리가 적용된다.
주파수 방향의 바꿔읽기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UE에 의해 보고되는 CQI에 기초하여, 각 RB group의 CQI를 산출한다. 시스템 대역폭 전체의 CQI(Wideband CQI)가 보고되며, UE selected Sub-band의 CQI가 존재하지 않는 RB group은, 시스템 대역폭 전체의 CQI(Wideband CQI)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또한, 단계 S1020에 있어서, 전송타입이 Distributed 송신으로 판정된 UE에 대해서는, 모든 RB group의 CQI를, 시스템 대역폭 전체의 CQI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여도 좋다.
또한, 이하에서는,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를 표현할 때에는, 인수를 「all」로 하여 기재한다.
Outer-loop적 오프셋 조절처리(CQI offset adjustement)에 대해서 설명한다.
CQI_offseti는,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priority class가 Xi , adjust인 DL-SCH의 송달확인정보(CRC check 결과)에 기초하여, 상술한 식(4)에 도시하는 바 와 같이 Outer-loop적으로 조절된다.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Priority class가 Xi , adjust와 다른 경우에는, Outer-loop적 오프셋의 조절(식(4)의 처리)은 수행되지 않는다.
또한, 해당 UE에 대하여, 1Sub-frame 내에 둘 이상의 MAC PDU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둘 이상의 MAC PDU의 각각에 관하여, 상기 Outer-loop적인 오프셋의 조절을 수행한다. 여기서, 둘 이상의 MAC PDU를 송신하는 것은, MIMO 적용 시에 둘 이상의 Codeword로 송신을 수행하는 것에 해당한다.
CQI_offseti는, UE마다 조절된다. 또한, CQI offset adjustment 처리의 대상이 되는 Priority class Xi , adjust는, 외부입력 인터페이스(IF)에 의해 UE마다 설정된다. 이와 같이, 모든 프라이어리티 클래스에 관해서, Outer-loop적인 오프셋의 조정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설정된 하나의 프라이어리티 클래스에 관해서, Outer-loop적인 오프셋의 조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장치의 처리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상기 Priority class Xi , adjust는, 가장 송신빈도가 높은 논리채널이 속하는 Priority class가 설정된다.
Δadj ( PC ), BLERtarget ( PC )는 외부입력 인터페이스(IF)에 의해 설정가능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단, CQI_offseti의 최대값을 CQI_offsetPC ( max ), 최소값을 CQI_offsetPC (min)으로 한다. 상기 CQI_offseti의 최대값(CQI_offsetPC ( max )), 최소 값(CQI_offsetPC (min))은, 외부입력 인터페이스(IF)에 의해 설정된다. CQI_offseti가 최대값 혹은 최소값으로 고정된 경우에는, 식(4)의 계산은 수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CQI_offseti가, 전력 오프셋으로서, 각 RB group의 CQI의 값 및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의 값에 가산된다. 상술한 식(5)의 처리는,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Priority class가 Xi , adjust인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DL TFR Selection을 수행하는 모든 Sub-frame에 있어서 수행된다.
우선도에 기초하는 오프셋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우선도에 기초하는 오프셋(ΔPC)에 의해, 각 RB group의 CQI의 값 및 시스템 대역 전체에 관한 CQI의 값이 조정된다. ΔPC는 예를 들어 외부입력 인터페이스(IF)에 의해 설정된다. 첨자인 PC는 Priority class를 나타낸다.
CQIadjust(i)=CQIadjust(i)-ΔPC
다음으로, 리소스 블럭그룹 할당(RB group allocation)에 대해서,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처리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k번째의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UE」에 대하여 RB group의 할당을 수행한다. 또한, DL_TF_Related_table의 이미지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에는, 일 예로서 CQI가 1인 경우에 대해서 도시한다.
<처리>
단계 S1202에 있어서 이하의 파라미터의 설정을 수행한다.
Nremain ( RB ): 나머지 리소스 블럭수(Number of Remaining RBs)
Ncapability: 최대 RB수
Nmax , bit: UE category에 의해 결정되는 최대 데이터 사이즈(Payload size)
또한, 상기 Ncapability는, 장치 내부의 파라미터로서 설정되어도 좋으며, 상위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파라미터로서 설정되어도 좋으며, UE로부터 통지되는 UE capability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Ncapability는, UE로부터 전송속도를 낮추는 것을 지시받은 경우에, 이하와 같이 계산되어도 좋다.
Ncapability=Ncapability
여기서, α는, 전송속도를 높이는 경우의, UE가 수신가능한 최대의 스루풋에 대한 비(比)여도 좋다. 예를 들어, 기지국장치(200)는, UE로부터, UE가 수신가능한 최대의 스루풋의 80% 이하가 되도록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받은 경우에, α=0.8로 하여도 좋다. 또한, UE가 상기 보고를 수행하는 방법은, 전송속도를 낮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UE가 수신가능한 최대의 스루풋에 대한 비여도 좋으며, 절대적인 스루풋의 값이어도 좋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기지국장치(200)는, UE로부터 지시에 기초하여, UE가 수신가능한 최대의 스루풋에 대한 비로 바꿔읽는 것에 의해, 상기 α를 산출하고, 상기 계산을 수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Nmax , bit는, UE로부터 전송속도를 낮추는 것을 지시받은 경우에, 이하와 같이 계산되어도 좋다.
Nmax , bit=Nmax , bit
여기서, α는, 전송속도를 낮추는 경우의, UE가 수신가능한 최대의 스루풋에 대한 비여도 좋다. 예를 들어, 기지국장치(200)는, UE로부터, UE가 수신가능한 최대의 스루풋의 80% 이하가 되도록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받은 경우에, α=0.8로 하여도 좋다. 또한, UE가 상기 보고를 수행하는 방법은, 전송속도를 낮추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UE가 수신가능한 최대의 스루풋에 대한 비여도 좋으며, 절대적인 스루풋의 값이어도 좋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기지국장치(200)는, UE로부터 지시에 기초하여, UE가 수신가능한 최대의 스루풋에 대한 비로 바꿔읽는 것에 의해, 상기 α를 산출하고, 상기 계산을 수행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단계 S1204에 있어서, 해당 UE로 할당가능한 RB수(Nallocated ( RB ))를 산출한다:
Nremain ( UE )=min(NDL - SCH-k+1,Ncapability)
본 식에 의해, 해당 UE로 할당되는 RB수를, Ncapability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min(A, B)는, A와 B 중, 보다 작은 쪽을 출력하는 함수이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24
단계 S1206에서, 하향링크의 송신타입이 로컬라이즈드인지 디스트리뷰티드인지를 판정한다.
하향링크의 송신타입이 디스트리뷰티드인 경우(단계 S1206의 판정결과: Distributed), 단계 S1208로 진행한다. 단계 S1208에 있어서, 해당 UE로 할당되는 RB의 수가 Nallocated ( RB ) 이상이 될 때까지, 시스템 대역 내에 있어서 이산적으로 분산하는 주파수 리소스가 할당되도록, RB group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대역의 양단부터 교호로 RB group을 할당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 대역 내에 있어서 이산적으로 분산하는 주파수 리소스가 할당되도록, RB group을 선택하여도 좋다. 혹은, RB group 번호가 작은 RB group과 RB group 번호가 큰 RB group을 교호로 순번대로 해당 UE로 할당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 대역 내에 있어서 이산적으로 분산하는 주파수 리소스가 할당되도록, RB group을 선택하여도 좋다.
하향링크의 송신타입이 디스트리뷰티드가 아닌 경우(즉, 로컬라이즈드인 경우, 단계 S1206의 판정결과: Localized), 단계 S12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210에서, 해당 UE로 할당되는 RB의 수가 Nallocated ( RB ) 이상이 될 때까지, CQIadjusted 의 값이 큰 RB group부터 순서대로 RB group을 해당 UE로 할당한다.
또한, 단계 S1206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송신타입이 로컬라이즈드인지 디스트리뷰티드인지를 판정하는지를 판정하기 전에, 해당 UE와 기지국장치(200) 간의 패스로스에 기초하여, 해당 UE에 대하여 RB group을 할당하는 방법을 결정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문턱값(ThresholdDL , PL)을 정의하고, UE와 기지국장치(200) 간의 패스로스가, 문턱값(ThresholdDL,PL)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UE로 할당되는 RB의 수가 Nallocated ( RB ) 이상이 될 때까지, 주파수가 높은 RB group부터 순서대로 RB group을 해당 UE로 할당한다는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패스로스가, 문턱값(ThresholdDL , PL) 이하인 경우에는, 상술한, 하향링크의 송신타입이 로컬라이즈드인지 디스트리뷰티드인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에 기초한 RB group의 할당처리를 수행하여도 좋다. 혹은, 상술한 처리에 있어서, 상기 패스로스가 문턱값(ThresholdDL , PL) 이하인 경우에, 하향링크의 송신타입이 로컬라이즈드인지 디스트리뷰티드인지의 판정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UE로 할당되는 RB의 수가 Nallocated ( RB ) 이상이 될 때까지, 주파수가 낮은 RB group부터 순서대로 RB group을 해당 UE로 할당한다는 처리를 수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패스로스는, UE로부터 보고되는 UE Power Headroom과 상향링크의 공유채널 또는 사운딩용의 레퍼런스 신호의 수신레벨로부터 산출되어도 좋으며, UE로부터 보고되는 패스로스로부터 산출되어도 좋다. 또한, UE로부터 보고되는 UE Power Headroom과 상향링크의 공유채널 또는 사운딩용의 레퍼런스 신호의 수신레벨로부터 산출되는 패스로스는, 상향링크의 패스로스에 상당하며, UE로부터 보고되는 패스로스는 하향링크의 패스로스에 상당한다.
예를 들어, FDD 방식이 적용되는 LTE에 있어서는, UE내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송신신호가, 하향링크의 수신신호로의 간섭신호가 되며, 결과로서, 하향링크의 수신신호의 품질이 열화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UE내에 있어서는, Duplexer로 불리어지는 기능부가 존재하며, 상기 Duplexer에 의해, UE 내에서, 상향링크의 송신신호가, 하향링크의 신호의 수신, 즉, 복조나 복호를 수행하는 기능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고 있지만, 완전히, 그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도 14에, UE에 있어서의 간섭의 메카니즘의 이미지 도를 나타낸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부에서 생성된 송신신호가, Duplexer에 있어서 그 전력을 완전히 떨어뜨리지 않고 수신부로 새는 것에 의해, 간섭신호가 되며, 결과로서, 수신신호의 품질이 열화한다.
상기 새는 것은, 상향링크의 송신신호의 주파수와 하향링크의 수신신호의 주파수가 이격되어 있으면 있을수록, 또한, 상향링크의 송신신호의 송신전력이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작아진다.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패스로스가 클수록, 그 송신전력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패스로스가 큰 경우에,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주파수 리소스로서, 주파수가 높은 주파수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상향링크의 송신신호에 의한 하향링크의 수신신호로의 간섭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5에, 상술한, 상향링크의 송신신호에 의한 하향링크의 수신신호로의 간섭을 저감하는 효과에 관한 이미지 도를 나타낸다. 도 15에 따르면, 패스로스가 큰 경우에는, DL과 UL과의 간격을 크게 한다. 즉, 패스로스가 큰 UE에 대한 하향링크(DL)의 송신신호는, UL의 송신대역으로부터 이격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한다. 결과로서, 상향링크의 신호에 의하 간섭이 저감된다. 또한, 패스로스가 작은 경우에는, DL과 UL과의 간격을 작게 한다. 즉, 패스로스가 작은 UE에 대한 하향링크(DL)의 송신신호는, UL의 송신대역에 가까운 주파수 대역을 할당한다. UL의 송신전력이 작기 때문에, 상향링크의 신호에 의하 간섭은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상향링크의 주파수가, 하향링크의 주파수보다 낮은 것을 전제로 기재하고 있다. 상향링크의 주파수가, 하향링크의 주파수보다 높은 경우에는, 반대로, 상기 패스로스가, 문턱값(ThresholdDL,PL)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UE로 할당되는 RB의 수가 Nallocated ( RB ) 이상이 될 때까지, 주파수가 낮은 RB group부터 순서대로 RB group을 해당 UE로 할당한다는 처리가 된다.
또한, 상술한 처리에 있어서는, 단계 S1110~단계 S1120의 처리를 수행하는 UE의 순번(k의 루프의 순번)을, 단계 S1032에 있어서 결정된,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UE」로서 선택된 순서로 수행하고 있지만, 대신, 단계 S1110~단계 S1120의 처리를 수행하는 UE의 순번(k의 루프의 순번)을, 패스로스가 큰 순으로 하여도 좋다. 즉, 패스로스가 큰 UE부터 순서대로, 단계 S1110~단계 S1120의 처리가 수행된다. 이 경우, 확실하게, 패스로스가 큰 UE부터 순서대로, 상향링크의 송신주파수로부터 보다 이격된 주파수 리소스, 즉, 주 파수가 높은 주파수 리소스가 할당되기 때문에, 결과로서, 상술한, 상향링크의 송신신호에 의한 하향링크의 수신신호로의 간섭을 저감하는 효과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처리(단계 S1208 및 단계 S1210)에 있어서 「해당 UE로 할당된다」고 판정된 RB group을 이하에서는 Temporary RB group이라고 부른다.
단계 S1212에서,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이 재송가능한 데이터를 가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이 재송가능한 데이터를 가지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단계 S1212의 판정결과: YES), 단계 S1214로 진행한다. 한편,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이 재송가능한 데이터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단계 S1212의 판정결과: NO), 단계 S12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213에 있어서, 신규송신을 위한 HARQ process가 존재하지 않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신규송신을 위한 HARQ process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 S1213의 판정결과: YES), 단계 S1215로 진행한다.
단계 S1214에 있어서, 상기 재송가능한 데이터(MAC PDU) 내,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RCL SDU의 버퍼체류시간」이 최대의 RLC SDU를 포함하는 데이터(MAC PDU)를,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송신하는 MAC PDU로서 선택한다. 즉, 상기 Highest priority의 논리채널의 「RLC SDU의 버퍼체류시간」이 최대의 RLC SDU를 포함하는 데이터(MAC PDU)를 송신한다. 여기서, RLC SDU의 버퍼체류시간의 정의는, 상술한 테이블 7의 항번 5에 있어서 RLC SDU 버퍼체류시간과 동일하다.
단계 S1215에 있어서는, 재송가능한 데이터(MAC PDU) 내, 가장 우선도가 높은 재송 데이터(MAC PDU)를 송신한다. 상기 우선도는, 상기 재송 데이터(MAC PDU)로 다중되어 있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 내, 가장 우선도가 높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의 우선도로 한다.
또한, 가장 우선도가 높은 재송 데이터(MAC PDU)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장 우선도가 높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의 「RLC SDU의 버퍼체류시간」이 최대의 RLC SDU를 포함하는 데이터(MAC PDU)를 송신한다. 여기서, RLC SDU의 버퍼체류시간의 정의는, 상술한 테이블 7의 항번 5에 있어서의 RLC SDU 버퍼 체류시간과 동일하다.
그리고, 단계 S1216에 있어서, 해당 Sub-frame의 송신에 사용되는 RB group 및 변조방식을 결정한다. 즉, 상기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되는 RB group은, Temporary RB group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변조방식은, 초회송신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상기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되는 RB group을, Temporary RB group과 동일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대신, 상기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되는 RB group에 포함되는 RB수가, 초회 송신시에 할당된 RB수 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Sub-frame의 송신에 사용되는 RB group의 일부를, RB수가 초회 송신시에 할당된 RB수와 동일하게 될 때까지 할당하지 않는다, 는 처리를 수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되는 RB group을, 템포러리 리소스 블럭 그룹(Temporary RB group)으로 하는 대신, RB group 내의 RB수에 기초하여, RB group 내의 RB수를 저감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Temporary RB group 내의 RB수가, 초 회송신의 RB group 내의 RB수를 2배한 값보다 큰 경우에는, Temporary RB group 내의 RB수가, 초회송신의 RB group 내의 RB수를 2배한 값 이하가 되도록, Temporary RB group 내의 RB수를 저감하여도 좋다. 또한, RB수의 저감의 방법은, 단계 S1224나 단계 S1232와 동일한 방법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 2배라는 값은, 1배나 3배 등, 2배 이외의 값이어도 좋다.
한편, 신규송신을 위한 HARQprocess가 존재하는 경우(단계 S1213의 판정결과: NO), 단계 S1218로 진행한다.
단계 S1218에 있어서, Temporary RB group에 있어서의 CQI값, CQITFR을 이하와 같이 산출한다.
하향링크 송신타입이 디스트리뷰티드인 경우, CQITFR=CQIadjusted(all)로 하고, 하향링크의 송신타입이 디스트리뷰티드가 아닌 경우(즉, 로컬라이즈드인 경우), CQITFR=「Temporary RB Group 내의 RB group마다의 CQIadjusted를 Temporary RB group의 대역에서 참값 평균한 값(단, RB group마다의 RB수의 비율을 고려하여 평균할 것)」으로 한다.
그리고, 단계 S1220에 있어서, Temporary RB group 내의 RB수(RB_available)와 CQITFR을 인수로서 TF_related_table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데이터 사이즈(Size로 기재한다)와, 변조방식(Modulation으로 기재한다)을 결정한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25
단계 S1222에 있어서, Size>Nmax,bit가 참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Size>Nmax , bit인 경우(단계 S1222의 판정결과: YES)에는, 단계 S1224에 있어서, Size≤Nmax , bit가 될 때까지, Temporary RB group 내의 RB수(RB available)를 저감한다. 즉, Nmax , bit와 CQITFR을 인수로서 TF related table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할당 RB수(NUMRB)를 재계산한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26
그리고, 하향링크 송신 타입이 디스트리뷰티드인 경우, 송신에 이용하는 RB group 내의 RB수가 NUMRB 이하가 될 때까지, 이하의 처리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Temporary RB group 내의 RB group을 삭제한다(삭제된 RB group은 k+1번째 이후의 UE의 송신 리소스로서 사용된다).
(처리) Temporary RB group 내, RB group 번호가 작은 RB group과 RB group번호가 큰 RB group을, 교호로 순번대로 삭제한다.
상기 처리를 수행한 후의, Temporary RB group 내의 RB 수를, NumRB로 한다. 상기 처리는, RB group을 삭제한 후에 남은 RB group이, 시스템 대역 내에 있어서 이산적으로 분산되는 것을 의도하여 수행된다.
한편, 하향링크의 송신타입이 로컬라이즈드인 경우, 송신에 이용하는 RB group 내의 RB 수가 NUMRB 이하가 될 때까지, 이하의 처리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Temporary RB group 내의 RB group을 삭제한다(삭제된 RB group은 k+1번째 이후의 UE의 송신 리소스로서 사용된다).
(처리) CQIadjusted가 가장 작은 RB group을 삭제한다. CQIadjusted가 가장 작은 RB group이 둘 이상 존재하는 경우, RB수가 작은 RB group부터 RB group을 삭제한다. CQIadjusted가 가장 작고, 그리고, RB수가 작은 RB group이 둘 이상 존재하는 경우, RB group 번호가 큰 RB group부터 RB group을 삭제한다.
상기 처리를 수행한 후의 Temporary RB group을, 이하의 처리에서는 Temporary RB group으로서 이용한다. 또한, 상기 처리를 수행한 후의 Temporary RB group 내의 RB수를 NumRB로 한다. 그리고, Temporary RB group 내의 RB수(RB_available)과 CQITFR을 인수로서 TF_related_table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데이터 사이즈(Size로 기재한다)와, 변조방식(Modulation으로 기재한다)를 다시 한번 결정한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27
단계 S1224의 처리 후, 단계 S1226으로 진행한다.
한편, Size≤Nmax , bit인 경우(단계 S1222의 판정결과: NO), 단계 S1226으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S1226에서, RLC Buffer 내에 충분한 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RLC Buffer 내에 충분한 데이터가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단계 S1226의 판정결과: YES), 단계 S1228에서, 이하의 수순에 의해, 상기 Size를 가지는 MAC PDU로,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 및 RLC Buffer 내의 전 논리채널의 데이터를 다중한다.
(수순 1) 우선,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최우선으로 상기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를 다중한다.
(수순 2) 다음으로, 우선도가 높은 논리채널로부터 순서대로, RLC buffer 내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다중한다. 동일의 우선도의 논리채널이 둘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DCCH가 존재하는 것이라면 DCCH를 최우선으로 하고, DCCH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면, 임의의 논리채널로부터 순서대로, RLC buffer 내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다중한다. 여기서, 상기 임의의 논리채널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라운드로빈을 이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단계 S1230에 있어서, 해당 Sub-frame의 송신에 사용되는 RB group 및 변조방식, 페이로드 사이즈를 결정한다. 즉, 상기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되는 RB group은, Temporary RB group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되는 변조방식은, Modulation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의 페이로드 사이즈는, Size와 동일하다.
한편, RLC Buffer 내에 충분한 데이터가 없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단계 S1226의 판정결과: NO), 단계 S1232에 있어서, Size≤Sizeall가 될 때까지, 할당하는 RB수를 줄인다. 여기서, Sizeall은, MAC control block 및 전 Logical Channel의 RLC Buffer 내의 데이터의 합계 사이즈이다. 이하에 상세한 처리 방법을 나타낸다.
우선, MAC control block 및 전 논리채널 RLC buffer 내의 데이터의 합계 사이즈(Sizeall)와 CQITFR을 인수로서 TF_related_table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할당하는 RB 수(NUMRB)을 재계산한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28
하향링크 송신타입이 디스트리뷰티드인 경우, 송신에 이용하는 RB group 내의 RB수가 NUMRB 미만이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하의 처리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Temporary RB group 내의 RB group을 삭제한다.
(처리) Temporary RB group 내의 RB group 내, RB group 번호가 작은 RB group과 RB group 번호가 큰 RB group을, 교호로 순번대로 삭제한다.
상기 처리를 수행한 후의 Temporary RB group을, 이하의 처리에서는 Temporary RB group으로서 이용한다. 또한, 상기 처리를 수행한 후의 Temporary RB group 내의 RB 수를 NumRB ,F로 한다.
하향링크 송신타입이 디스트리뷰트가 아닌 경우, 즉, 하향링크의 송신타입이 로컬라이즈드인 경우, 송신에 이용하는 RB group 내의 RB수가 NUMRB 미만이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하의 처리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Temporary RB group 내의 RB group을 삭제한다.
(처리) CQIadjusted의 값이 작은 RB group부터 순서대로 RB group을 삭제한다. CQIadjusted가 가장 작은 RB group이 둘 이상 존재하는 경우, RB수가 작은 RB group부터 RB group을 삭제하고, CQIadjusted가 가장 작고, 그리고, RB수가 가장 작은 RB group이 둘 이상 존재하는 경우, RB group 번호가 큰 RB group부터 RB group을 삭제한다.
상기 처리를 수행한 후의 Temporary RB group을, 이하의 처리에서는 Temporary RB group으로서 이용한다. 또한, 상기처리를 수행한 후의 Temporary RB group 내의 RB수를 NumRB ,F로 한다.
상기의 처리에 있어서 삭제된 RB group은 k+1번째 이후의 UE의 무선 리소스 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Temporary RB group 내의 RB수(NumRB ,F)와, CQITFR을 인수로서 TF_related_table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데이터 사이즈(Size로 기재한다)와, 변조방식(Modulation으로 기재한다)을 다시 한번 결정한다.
Figure 112009057977446-PCT00029
그리고, 단계 S1234에 있어서, 상기 Size를 가지는 MAC PDU에,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 및 RLC Buffer 내의 전 논리채널의 데이터를 다중한다.
그리고, 단계 S1230에 있어서, 해당 Sub-frame의 송신에 사용되는 RB group 및 변조방식, 페이로드 사이즈를 결정한다. 즉, 상기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되는 RB group은, Temporary RB group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되는 변조방식은, Modulation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의 페이로드 사이즈는, Size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의 RLC Buffer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버퍼이다. 또한, RLC Buffer가 아니라, PDCP Buffer에 관해서 동일의 처리를 수행하여도 좋다.
단계 S1116에 있어서, RV Selection(Redundancy Version Selection)을 수행 한다.
단계 S1118에서, k의 값을 인크리멘트하고, 단계 S1120에 있어서, k의 값이, NDL - SCH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k의 값이 NDL - SCH 이하인 경우(단계 S1120의 처리: YES), 단계 S1112의 전으로 돌아간다. 한편, k의 값이 NDL - SCH 이하가 아닌 경우(단계 S1120의 처리: NO),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다른 기지국장치(200)는, 레이어 1 처리부(252)와, 유저장치 상태 관리부(254)와, 스케줄링 계수 계산부(256)와, UE 선택부(258)와, TFR Selection부(268)와, MAC 제어신호 생성부(260)와, 공통 CH, MCH 리소스 관리부(262)와, 주파수 리소스 관리부(264)와, 퍼시스턴트 리소스 관리부(266)와, HARQ 제어부(270)(2701, 2702, ..., 270n)과, RLC/PDCP 처리부(272), 를 포함한다. HARQ 제어부(270)는, UE #1, #2,..., UE #n에 관한 HARQ 제어부(2701), HARQ 제어부(2702),..., HARQ 제어부(270n)로 구성된다. RLC/PDCP 처리부(272)는, UE #1의 논리채널 #1, UE #1의 논리채널 2,..., UE #1의 논리채널 #k, UE #2의 논리채널 #1, ..., UE #n의 논리채널 #k에 관한 RLC Buf27211 ,1 RLC Buf27211 ,2, RLC Buf27211,k RLC Buf27212 ,1,..., RLC Buf2721n ,k로 구성된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는, UE #n의 HARQ 제어부n을, UE마다 구비하고 있지만, UE마다 구비할 필요는 없이, 전 UE에 관해서 하나의 HARQ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으며, 복수의 UE에 관해서 하나의 HARQ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RLC Buffn,k에 관해서도, 1UE에 대해서 하나의 RLC Buf로 하고, 논리채널마다 RLC Buf을 구비하지 않아도 좋으며, 혹은, 전 UE에 관해서 하나의 RLC Buf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레이어 1 처리부(252)는, 레이어 1에 관한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어 1 처리부(252)에서는, 하향링크에서 송신되는 공유채널의 채널부호화나 IFFT 처리, 상향링크에서 송신되는 공유채널의 FFT 처리나 채널 복호화 등의 수신처리 등이 수행된다. 상기 하향링크에서 송신되는 공유채널은, 예를 들어,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공유채널과, Persistent Scheduling이 적용되는 공유채널이다.
또한, 레이어 1 처리부(252)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위한 제어정보인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이나,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위한 제어정보인 UL Scheduling Grant의 송신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레이어 1 처리부(252)는, 상향링크에서 송신되는 제어정보, 즉, Channel Quality Indicator(CQI)나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송달확인정보의 수신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CQI나 송달확인정보는, 유저장치 상태 관리부(254)로 송신된다.
또한, 레이어 1 처리부(252)는, 상향링크에서 송신되는 사운딩용의 레퍼런스 신호나 상기 CQI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동기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결과를 유저장치 상태 관리부(254)로 통지한다.
또한, 레이어 1 처리부(252)는, 상향링크에서 송신되는 사운딩용의 레퍼런스 신호나 상기 CQI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수신 타이밍을 추정하여도 좋다. 상기 상향링크의 수신 타이밍의 추정결과는, 예를 들어, 유저장치 상태 관리부(254)를 통해, MAC 제어신호 생성부(260)로 송신된다.
또한, 레이어 1 처리부(252)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향링크에 관해서는, 레이어 1 처리부(252)에서 생성된 베이스밴드 신호가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되고, 그 후, 앰프에서 증폭되고, 안테나를 통해, UE에 신호가 송신된다. 한편, 상향링크에 관해서는, 안테나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에서 증폭된 후에,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서, 레이어 1 처리부(252)로 입력된다.
유저장치 상태 관리부(254)는, 각 UE의 상태관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유저장치 상태 관리부(254)는, HARQ Entity의 상태의 관리나, UE의 Mobility의 관리 및 제어나, DRX 상태의 관리, 상향동기상태의 관리,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을 적용하는지 아닌지의 관리, MAC Control Block의 송신의 유무의 관리, 하향링크 송신상태의 관리, 버퍼상태의 관리를 수행하고, 그리고, 단계 S1024에서 스케줄링 계수의 계산을 수행하기 위한 각 메트릭의 산출, 및, 스케줄링 계수를 계산해야하는지 아닌지의 판정을 수행한다. 즉, 유저장치 상태 관리부(254)는, 도 10에 있어서 단계 S1004~S1022의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UE의 Mobility는, UE가 통신하는 셀을 전환하는 핸드오버인 것이며, 동주파의 핸드오버 및 이주파의 핸드오버 및 다른 시스템 간의 핸드오버를 포함한다. 이주파의 핸드오버 및 이시스템 간의 핸드오버의 경우에는, Measurement Gap의 관리 및 제어가, 상기 UE의 Mobility의 관리 및 제어에 포함된다.
더욱이, 유저장치 상태 관리부(254)는, 단계 S902, S904, S906의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장치 상태 관리부(254)는, 해당 Sub-frame의 DL MAC의 Sub-frame당 최대 다중수를 설정하고, 해당 Sub-frame에 있어서의 MCH의 수를 카운트하고, 해당 Sub-frame에 있어서의 D-BCH 및 PCH 및 RACH response 및 RACH message 4의 수를 카운트한다.
스케줄링 계수 계산부(256)는, 도 10에 있어서 단계 S1002, S1024~S1032의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스케줄링 계수 계산부(206)는,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각 유저장치의 스케줄링 계수를 계산한다(도 11 참조). 그리고, UE 선택부(258)는, 상기 스케줄링 계수에 기초하여, 다이나믹 스케줄링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유저장치를 선택한다. UE 선택부(258)는, 다이나믹 스케줄링에 의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UE의 수(NDL - SCH)를 트랜스포트 포맷ㆍ리소스 블럭 선택(TFR Selection)부(268)로 입력한다.
TFR Selection부(268)는, 단계 S1110, 단계 S1112, 단계 S1114, 단계 S1116, 단계 S1120의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TFR Selection부(268)는,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에 관한 송신포맷의 결정과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수 행한다. TFR Selection부(268)에서 결정되는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DL-SCH에 관한 송신포맷이나 무선 리소스에 관한 정보는, 레이어 1 처리부(252)로 보내지고, 레이어 1 처리부(252)에 있어서, DL Scheduling Information의 송신처리나,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처리에 이용된다.
공통 CH, MCH 리소스 관리부(262)는, MCH나 공통채널(Common channel), 예를 들어 동기채널(SHC), 프라이머리 알림채널(P-BCH), D-BCH, 페이징 채널(PCH), 랜덤 액세스 채널 응답(RACH response), RACH message 4에 관한 송신포맷의 결정과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리소스 내, 주파수 리소스를 주파수 리소스 관리부(264)로 통지한다. 또한, 공통 CH, MCH 리소스 관리부(262)에서 결정된 송신포맷이나 할당된 무선 리소스는, 주파수 리소스 관리부(264), TFR Selection부(268)를 통해, 레이어 1 처리부(252)로 보내지고, 레이어 1 처리부(252)에 있어서, 상기 MCH나 공통채널(Common channel)의 레이어 1의 처리가 수행된다.
주파수 리소스 관리부(264)는, TFR Selection부(268), 공통 CH, MCH 리소스 관리부(262), 퍼시스턴트 리소스 관리부(266)와 접속되며, 주파수 리소스의 관리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Dynamic Scheduling이 적용되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이용가능한 나머지의 주파수 리소스를 감시하고, TFR Selection부(268)에 있어서의 단계 S1110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TFR Selection부(268)로 제공한다.
퍼시스턴트 리소스 관리부(266)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DL-SCH의 상태관리 및 무선 리소스의 관리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퍼시스턴트 리소스 관리부(266)는,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DL-SCH에 관한 송신포맷의 결정과 무선 리소스의 관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리소스 내, 주파수 리소스를 주파수 리소스 관리부(264)로 통지한다. 또한, 퍼시스턴트 리소스 관리부(266)에서 결정된 송신포맷이나 할당된 무선 리소스는, 주파수 리소스부(264), TFR Selection부(268)를 통해, 레이어 1 처리부(252)로 보내지고, 레이어 1 처리부(252)에서, 상기 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DL-SCH의 레이어 1의 처리가 수행된다.
또한, 퍼시스턴트 리소스 관리부(266)는, 유저장치 상태 관리부(254)에 있어서 단계 S1012~S1016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유저장치 상태 관리부(254)에 부여한다.
MAC 제어신호 생성부(260)는, 각 UE에 관하여, MAC 제어신호를 송신해야 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MAC 제어신호를 송신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그 정보를 유저장치 상태 관리부(254)로 통지한다. 또한, 상기 MAC 제어신호가 실제로 MAC PDU로 맵핑되는 경우에는, TFR Selection부(268)로, 상기 MAC 제어신호를 부여한다.
또한, MAC 제어신호에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 타이밍을 조절하는 타이밍 어드밴스나 상향동기의 확립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나 DRX 상태에 들어가는 것을 지시하는 제어신호 등이 있다. 각 제어신호를 송신하는지 아닌지의 판단은, 유저장치 상태 관리부(254)나 레이어 1 처리부(252)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HARQ 제어부(270)는, 각 UE의 HARQ의 제어를 수행한다.
RLC/PDCP 처리부(272)는, 각 UE의 RLC 레이어 및 PDCP 레이어의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RLC/PDCP 처리부(272)는, UE(#n)의 논리채널(#k)에 관한 RLC Buffer, 즉, RLC Buf2721n ,k를 구비하며, 하향링크에 있어서 송신해야 하는 RLC 레이어의 데이터의 버퍼링을 수행한다.
또한, RLC Buf2721n ,k는, 상술한 예에서는, RLC 레이어의 데이터의 버퍼링을 수행하고 있지만, 대신, RLC 레이어와 PDCP 레이어의 데이터의 버퍼링을 수행하여도 좋다.
즉, 해당 Sub-frame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는, RLC/PDCP 처리부(272)에 있어서, 그 버퍼 RLC Buf2721n ,k에 의해 추출되며, HARQ 제어부(270)에서 HARQ 처리가 수행되며, UE 선택부(258), TFR Selection부(268)를 통해, 레이어 1 처리부(252)로 보내지고, 레이어 1 처리부(252)에서, 부호화나 IFFT 등의 송신처리가 수행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의해 기재하였지만, 그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기술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Evovled UTRA and UTRAN(다른 이름: Long Term Evolution, 혹은, Super 3G)이 적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이동국, 기지국장치, 이동통신 시스템 및 통신제어방법은,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다른 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여기에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은 다양한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관한 발명 특정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을 몇 개의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지만, 각 실시예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인 것은 아니라, 2 이상의 실시예가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어도 좋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구체적인 수치예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느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지만, 각 실시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예, 수정예, 대체예, 치환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럭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지만,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 수정예, 대체예, 치환예 등이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7년 3월 1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7-052115호, 2007년 6월 19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7-161938호 및 2007년 12월 20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7-329024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2007-052115호, 2007-161938호 및 2007-329024호의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수용한다.

Claims (12)

  1. 유저장치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유저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MAC 레이어의 제어신호가 존재하는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유저장치를 선택하는 유저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유저장치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유저장치가, 간헐수신처리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유저장치를 선택하는 유저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수신처리의 수신 타이밍에는, 일정주기마다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수행되는 공유채널의 초회송신부터 HARQ Round trip time 경과한 후의 타임 프레임부터 DRX Retransmission Timer 후의 타임 프레임까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유저장치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RLC 레이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체류시간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유저장치를 선택하는 유저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유저장치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유저장치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계수를 계산하는 계수계산수단;
    상기 계수에 따라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유저장치를 선택하는 유저선택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계수계산수단은,
    송신하는 데이터의 우선도;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무선품질정보;
    재송회수;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의 유무;
    할당빈도;
    유저장치에 대한 평균전송속도;
    유저장치에 대한 전송속도의 목표값;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고 있는지 아닌지;
    간헐수신처리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
    RLC 레이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체류시간;
    다른 주파수의 셀을 측정하는 모드에 있어서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계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계산수단은, 유저장치가 포함하는 데이터 종별 내, 가장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 종별에 기초하여, 상기 계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유저장치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유저장치를, 2개 이상의 계층으로 계층화하는 계층화수단;
    상기 유저장치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계수를 계산하는 계수계산수단;
    상기 2개 이상의 계층 내, 높은 계층의 유저장치부터 순서대로, 상기 계수에 따라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유저장치를 선택하는 유저선택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계수계산수단은,
    송신하는 데이터의 우선도;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무선품질정보;
    재송회수;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의 유무;
    할당빈도;
    유저장치에 대한 평균전송속도;
    유저장치에 대한 전송속도의 목표값;
    핸드오버처리를 수행하고 있는지 아닌지;
    간헐수신처리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
    RLC 레이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체류시간;
    다른 주파수의 셀을 측정하는 모드에 있어서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계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화수단은,
    데이터의 우선도에 기초하여 계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화수단은,
    셀 내의 혼잡도가 높은 경우에만, 우선도가 높은 유저장치 또는 논리채널을, 가장 우선도가 높은 계층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선택수단은,
    송신해야 하는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가 존재하는 유저장치를, 우선도가 높은 계층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화수단은,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의 유무, 또는, 간헐수신처리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에 기초하여 계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2. 유저장치와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의 통신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유저장치를, 2개 이상의 계층에 계층화하는 제 1 단계;
    상기 유저장치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계수를 계산하는 제 2 단계;
    상기 2개 이상의 계층 내, 높은 계층의 유저장치부터 순서대로, 상기 계수에 따라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유저장치를 선택하는 제 3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송신하는 데이터의 우선도;
    유저장치로부터 보고되는 무선품질정보;
    재송회수;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의 유무;
    할당빈도;
    유저장치에 대한 평균전송속도;
    유저장치에 대한 전송속도의 목표값;
    핸드오버처리를 수행하고 있는지 아닌지;
    간헐수신처리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
    RLC 레이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체류시간;
    다른 주파수의 셀을 측정하는 모드에 있어서의 수신 타이밍에 있는지 아닌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계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KR1020097019742A 2007-03-01 2008-02-26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Ceased KR200901152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52115 2007-03-01
JPJP-P-2007-052115 2007-03-01
JP2007161938 2007-06-19
JPJP-P-2007-161938 2007-06-19
JP2007329024 2007-12-20
JPJP-P-2007-329024 2007-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216A true KR20090115216A (ko) 2009-11-04

Family

ID=3972124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741A Ceased KR20090129437A (ko) 2007-03-01 2008-02-26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1020097019739A Ceased KR20090126265A (ko) 2007-03-01 2008-02-26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1020097019742A Ceased KR20090115216A (ko) 2007-03-01 2008-02-26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1020097019743A Ceased KR20090118069A (ko) 2007-03-01 2008-02-26 기지국장치 및 유저장치 그리고 통신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741A Ceased KR20090129437A (ko) 2007-03-01 2008-02-26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1020097019739A Ceased KR20090126265A (ko) 2007-03-01 2008-02-26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743A Ceased KR20090118069A (ko) 2007-03-01 2008-02-26 기지국장치 및 유저장치 그리고 통신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10013506A1 (ko)
EP (2) EP2747330A1 (ko)
JP (2) JP5236626B2 (ko)
KR (4) KR20090129437A (ko)
CN (3) CN102781104A (ko)
BR (1) BRPI0808394A2 (ko)
WO (1) WO20081054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4679B2 (en) * 2007-08-20 2012-03-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Inactivity timer in a 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ed system
US9504083B2 (en) * 2008-01-10 2016-11-22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related communications device for improving discontinuous reception functionality
US20090225738A1 (en) * 2008-03-05 2009-09-1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s for mutliple sub-bands
EP2259654A4 (en) * 2008-03-25 2014-01-08 Fujitsu Ltd RADIO COMMUNICATION METHOD, DEVICE DEVICE, BASIC STATION EQUIPMENT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5286353B2 (ja) * 2008-04-25 2013-09-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装置及び方法
US8099119B2 (en) * 2008-08-06 2012-01-17 Intel Corporation Hybrid, multiple channel, and two-step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feedback schemes
JP5579182B2 (ja) * 2008-08-12 2014-08-27 ノーテル・ネットワークス・リミテッド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下りリンクの透過中継のイネーブル
GB2464987A (en) * 2008-11-03 2010-05-05 Nec Corp Methods for designating resource allocation
JP5388332B2 (ja) * 2009-01-07 2014-01-15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情報送信方法
WO2010098264A1 (ja) * 2009-02-26 2010-09-02 株式会社 エヌ・ティ・ティ・ドコモ 制御装置、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及び基地局装置並びに通信制御方法
US9386593B2 (en) * 2009-06-19 2016-07-05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component carrier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138812A (ko) * 2009-06-23 2010-12-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에서 오류 패킷의 재전송 요구 정보 전송 방법 및 재전송 요구에 대한 오류 패킷 재전송 방법
US8599708B2 (en) * 2010-01-14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feedback based on reference signal
CN102340369B (zh) * 2010-07-20 2015-0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调度控制方法和基站
KR101811643B1 (ko) * 2010-12-23 2017-1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지국에서의 무선 링크 실패 결정 방법
US9559956B2 (en) * 2011-02-01 2017-01-31 Google Inc. Sharing bandwidth among multiple users of network applications
US9007898B2 (en) 2011-02-01 2015-04-14 Google Inc. System to share network bandwidth among competing applications
KR20120093559A (ko) * 2011-02-15 2012-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간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179613B2 (ja) * 2011-03-16 2013-04-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及び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ES2919077T3 (es) 2011-04-13 2022-07-21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 y dispositivo para la gestión de almacenador temporal flexible basada en categorías de equipos de usuario en una red de comunicaciones
DK2698018T3 (da) * 2011-04-13 2019-09-23 Ericsson Telefon Ab L M Fremgangsmåde og indretning til bestemmelse af et antal MIMO-lag
US9014110B2 (en) 2011-07-18 2015-04-21 Qualcomm Incorporated Enabling half-duplex operation
JP6227277B2 (ja) * 2013-05-09 2017-11-08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及び送信制御方法
US9998974B2 (en) * 2013-11-28 2018-06-12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torage medium, and cell selection method
EP3111707B1 (en) * 2014-02-28 2022-03-30 Sony Group Corporation Terminal devices, methods and circuitries for the terminal devices to transmit or receive user plane data in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N105471763B (zh) * 2014-09-04 2020-09-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报文传输方法及装置
US10285188B2 (en) * 2014-09-11 2019-05-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Group based downlink transmission
US10708938B2 (en) * 2016-10-31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of UL control channels with dynamic structures
WO2018195913A1 (zh) * 2017-04-28 2018-11-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发送缓存状态的方法及装置
US10644840B2 (en) 2017-08-21 2020-05-05 Mediatek Inc. Methods of efficient HARQ operation for low latency and high performance services
CN112566192B (zh) * 2019-09-26 2023-11-10 中国移动通信集团山东有限公司 控制方法和装置、基站以及非暂态计算机可读存储介质
RU2731775C1 (ru) * 2020-01-31 2020-09-08 Сан Пэтент Траст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распределение ресурсов для связи между устройствами (d2d)
WO2022250473A1 (en) 2021-05-27 2022-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communication in a high frequency network
CN117413558A (zh) * 2021-05-27 2024-01-1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高频网络中的通信的方法和基站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024A (en) 1885-10-27 Eoyal b
JP3376099B2 (ja) * 1994-06-09 2003-02-10 株式会社東芝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JP3109504B2 (ja) * 1998-03-27 2000-11-20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ルラシステムおよびセルラシステムの隣接周波数干渉回避方法と移動局
JP2002078012A (ja) * 2000-08-30 2002-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基地局装置、通信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148080C (zh) * 2001-06-28 2004-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质量估计方法
GB0120033D0 (en) * 2001-08-16 2001-10-10 Fujitsu Ltd Cell selection
JP4287604B2 (ja) * 2001-08-27 2009-07-01 富士通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並びに無線基地局,無線装置及び移動端末
JP4012395B2 (ja) * 2001-11-15 2007-11-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下りパケット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及び無線基地局
JP2004147275A (ja) * 2002-08-30 2004-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パケット送信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EP1560377B1 (en) * 2004-01-30 2006-12-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and device of dynamic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network
KR100943620B1 (ko) * 2004-06-25 2010-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EP1662823B1 (en) * 2004-11-24 2008-01-30 Siemens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s reshuffling in digital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WO2006092856A1 (ja) * 2005-03-02 2006-09-08 Fujitsu Limited マルチキャリア通信方法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基地局及び移動局
JP4531592B2 (ja) * 2005-03-03 2010-08-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マルチバンド伝送におけるチャネル割当装置、チャネル割当方法および無線基地局
JP4538357B2 (ja) * 2005-03-29 2010-09-0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伝送速度制御方法、移動局、無線基地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JP4358158B2 (ja) * 2005-03-31 2009-11-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および割当方法
JP4527067B2 (ja) * 2005-03-31 2010-08-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送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2006352489A (ja) * 2005-06-15 2006-12-28 Ntt Docomo Inc 移動局、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間欠受信方法
CN100555930C (zh) * 2005-07-04 2009-10-28 上海原动力通信科技有限公司 多载波hsdpa的信道建立方法和多载波下行分组数据传输方法
RU2420040C2 (ru) * 2005-07-21 2011-05-27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Улучшение srb по hs-dsch во время смены ячейки
JP2007052115A (ja) 2005-08-16 2007-03-01 Fujifilm Corp 感光性記録媒体用カートリッジ
US7863495B2 (en) 2006-01-12 2011-01-04 Aalnex, Inc. Dressing substrate
JP5133518B2 (ja) 2005-12-16 2013-01-30 株式会社ガリウム 滑走面用ワック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74337A (ja) * 2005-12-22 2007-07-05 Toshiba Corp セルラ通信システム、管理局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4285505B2 (ja) 2006-06-08 2009-06-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装置
US7916675B2 (en) * 2006-06-20 2011-03-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im discontinuous reception/transmission
US8229444B2 (en) * 2006-07-13 2012-07-24 Nec Corporation Cellular system, carrier allocation method thereof,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PL2183869T3 (pl) * 2007-08-14 2018-02-28 Nokia Technologies Oy Harmonogramowanie zasobów umożliwiające częściowo ograniczoną retransmisj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36626B2 (ja) 2013-07-17
BRPI0808394A2 (pt) 2014-07-08
CN102781104A (zh) 2012-11-14
KR20090118069A (ko) 2009-11-17
CN101675701A (zh) 2010-03-17
KR20090129437A (ko) 2009-12-16
EP2120476A1 (en) 2009-11-18
EP2120476A4 (en) 2014-01-01
JP5537691B2 (ja) 2014-07-02
JPWO2008105417A1 (ja) 2010-06-03
WO2008105417A1 (ja) 2008-09-04
US20110013506A1 (en) 2011-01-20
CN102781114A (zh) 2012-11-14
JP2013157998A (ja) 2013-08-15
EP2747330A1 (en) 2014-06-25
US20130058297A1 (en) 2013-03-07
KR20090126265A (ko) 2009-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5216A (ko)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JP5069740B2 (ja)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5069741B2 (ja)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5247674B2 (ja)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9801161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carrier uplink transmission
KR20090121359A (ko)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20090129441A (ko)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20090118073A (ko)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20090118074A (ko)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20090118072A (ko)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20090115217A (ko)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2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