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114189A -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및정제공급방법 - Google Patents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및정제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189A
KR20090114189A KR1020080039998A KR20080039998A KR20090114189A KR 20090114189 A KR20090114189 A KR 20090114189A KR 1020080039998 A KR1020080039998 A KR 1020080039998A KR 20080039998 A KR20080039998 A KR 20080039998A KR 20090114189 A KR20090114189 A KR 20090114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ablet
tablets
supply unit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5947B1 (ko
Inventor
김호연
Original Assignee
(주)크레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레템 filed Critical (주)크레템
Priority to KR1020080039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947B1/ko
Priority to CN200880104759.7A priority patent/CN101820847B/zh
Priority to EP08832480.1A priority patent/EP2200561B1/en
Priority to ES08832480T priority patent/ES2424327T3/es
Priority to JP2010520950A priority patent/JP5027926B2/ja
Priority to US12/673,033 priority patent/US8386073B2/en
Priority to PCT/KR2008/005549 priority patent/WO2009038380A2/en
Publication of KR20090114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1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 B65B39/002Pivot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1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 B65B39/003Rot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의 공급부로부터 호퍼까지의 이송 시간을 단축시켜 신속한 정제 포장을 실현시킨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및 정제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제를 약제포장장치의 호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를 상기 호퍼로 이송가이드 하는 이송통로;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의 개수가 설정된 기준량과 일치할 때 개방되도록 설치된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와 호퍼 사이에서 상기 이송통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2도어; 및 상기 제2도어가 개방하면 상기 공급부로부터 다음 정제가 공급되게 하고,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 사이에 정제가 존재하면 상기 제1도어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제, 포장

Description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및 정제공급방법{Dispensing module of free shape type tablet for medicine packing apparatus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약제포장장치에 설치되는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및 정제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제(錠劑)의 공급부로부터 호퍼까지의 이송 시간을 단축시켜 신속한 정제 포장을 실현시킨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및 정제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제포장장치는 병원, 약국 등에서 의사 또는 약사에 의해 처방된 처방전에 근거하여 약을 조제할 때, 자동으로 약제가 포장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약제포장장치는 서랍식 또는 드럼식으로 배열된 다수의 카세트들을 상부에 배치하고, 상기 카세트들에 각각 정제를 수용시킨다. 상기 카세트들에 수용된 정제들은 인터페이스된 컴퓨터의 입력데이터에 근거하여 카세트로부터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된 정제들은 상기 카세트의 하부에 설치된 호퍼에 집결되며,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된 포장부에서 포장된다.
한편,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수용홈을 갖는 분배트레이를 구비하는 수동 타입의 약제포장장치가 있다. 약조제자는 수작업으로 상기 수용홈에 정제를 투입하며, 이와 같이 투입된 정제들은 상기 분배트레이의 하부에 마련된 포장부에서 포장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수동 타입의 약제포장장치는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소규모의 병원 또는 약국 등에서 사용되기 적합하다. 한편, 전술한 카세트를 구비한 자동 타입의 약제포장장치는 대규모의 병원 또는 약국 등에서 많은 종류의 약제들을 처리하기에 적합하며, 종종 수동 타입과 자동 타입이 결합된 약제포장장치도 사용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약제포장장치는 정제가 수용되어 배출되는 공급부로부터 호퍼까지 이송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급부는 다수의 카세트, 또는 분배트레이, 또는 반알 등과 같은 특수정제들을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정제공급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약제포장장치는 하부에 포장부가 마련되어, 일 회분의 정제가 한 포에 담겨져 포장되게 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공급부들로부터 배출되는 정제가 호퍼로 집결되기 위해, 약제포장장치는 상기 이송통로를 불가피하게 길게 형성하여야 할 경우도 있다.
하지만, 종래의 약제포장장치에서, 정제들의 이송통로 통과 시간이 길어져 전체적인 약 조제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공급부로부터 호퍼까지의 정제 이송 시간을 단축하여, 약제의 포장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및 정제공급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제를 약제포장장치의 호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를 상기 호퍼로 이송가이드 하는 이송통로;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의 개수가 설정된 기준량과 일치할 때 개방되도록 설치된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와 호퍼 사이에서 상기 이송통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2도어; 및 상기 제2도어가 개방하면 상기 공급부로부터 다음 정제가 공급되게 하고,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 사이에 정제가 존재하면 상기 제1도어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부로부터 이송통로로 정제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의 개수가 설정된 기준량과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 정제의 개수가 설정된 기준량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상기 공급부로 정제를 회수하는 단 계; 상기 이송통로 상에 배치되는 제1도어와 제2도어 사이에 정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 사이에 정제가 존재하면 상기 제1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정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1도어를 개방하여 정제를 상기 제2도어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제2도어를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개방하여 정제를 호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의 정제공급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및 정제공급방법은 정제의 이송 경로상에 별도의 도어를 추가로 구비하여, 정제의 이송 시간을 단축시키고, 이에 따라 약조제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제포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100)은 약제포장장치(200)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제포장장치(200)는 카세트(110)와, 호퍼(120)와, 포장부(130) 및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100)을 구비한다. 상기 카세트(110)는 그 내부에 정제가 수납되어 다단으로 다 수 배열된다. 상기 호퍼(120)는 상기 카세트(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카세트(110)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들을 집결시킨다. 상기 포장부(130)는 상기 호퍼(120)로 집결된 정제들을 일 회분씩 포장지에 담아 실링하고 커팅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100)은 상기 카세트(110)에 수납되지 못하는 반알이나 사용빈도가 많은 정제 등의 자유로운 형상을 갖는 정제들을 상기 호퍼(12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100)은 전술한 자동 타입의 약제포장장치(200) 이외에도, 수동 타입의 약제포장장치 등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100)은 공급부와, 이송통로(62)와, 제1도어(80)와, 제2도어(9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급부는 정제를 약제포장장치(200)의 호퍼(120)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공급부는 전술한 자동 타입 약제포장장치(200)의 카세트(110)들일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동 타입 약제포장장치의 분배트레이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급부를 도 2와 같이 반알, 1/4조각, 등의 자유로운 형상을 갖는 정제를 수용하고 이송시켜 공급하는 방식의 자유형상정제 공급 타입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자유형상정제란 반알정제, 1/4조각정제, 타원형정제, 사각정제, 원형정제 등 무수히 많은 다양한 종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정제를 말한다.
즉, 자유형상정제 공급 타입은 수동 타입과 자동 타입의 단점을 보완하여 정제를 일일이 손으로 만지지 않으면서도 소형으로 이루어져 자동으로 정제를 포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반알이나 사용빈도가 많은 특수정제도 자동으로 포장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상기 자유형상정제 공급 타입의 공급부는 다음과 같은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본체(10)와 진동부(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안내트랙(11)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트랙(11)은 본체(10)의 바닥부로부터 상부까지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트랙(11)은 본체(10) 내에 수용된 정제가 이송되는 경로이다.
상기 진동부(20)는 상기 본체(10) 내의 정제들이 상기 안내트랙(11)을 따라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진동부(20)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를 미세하게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A방향)으로 진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본체(10) 내에 수용된 정제들은 상기 안내트랙(11)을 따라 상부로 이송된다.
이송통로(6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가 약제포장장치(200)의 호퍼(120) 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연결수단이다. 상기 이송통로(62)는 수량조절모듈(5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량조절모듈(50)은 상기 공급부의 출구(13)로부터 배출되는 정제가 유입되어 상기 이송통 로(62)의 입구로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부의 출구(13)와 상기 이송통로(62)의 입구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수량조절모듈(50)은 상단에 유입구(61)가 형성된 몸체(60)와, 상기 몸체(60) 내에 배치되어 유입된 정제의 개수를 카운트하도록 정제를 감지하는 센서(7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수량조절모듈(50)은 후술할 제1도어와 연계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정제의 개수를 제어하여, 상기 이송통로(62)로 정제를 공급하는 작용을 한다.
제1도어(80)는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의 개수가 설정된 기준량과 일치할 때 개방된다. 상기 제1도어(80)는 이송통로(62) 상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수량조절모듈(50)과 이송통로(62)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도어(80)는 전술한 센서(70)로 감지된 정제의 개수가 설정된 기준량(예를 들어 한알 또는 두알 등)과 일치할 때만 개방되어, 정제를 약제포장장치(200)의 호퍼(120) 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1도어(80)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판(81)(82)(83)들을 모터에 연결하여 완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판(81)(82)(83)들은 도 3과 같이 세 개가 형성될 수 있고, 두 개 또는 네 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도어(80)는 솔레노이드에 연결된 단일판의 형태로도 만들 수 있다.
제2도어(90)는 상기 제1도어(80)와 호퍼(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통로(62)를 개폐한다. 상기 제2도어(90)는 상기 이송통로(62) 상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도어(80)와 호퍼(120)의 중간 지점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2도어(90)는 약제포장장치(200)의 메인 컨트롤러의 신호를 받아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통로(62)에 제2도어(90)를 구비하면,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가 상기 호퍼(120)로 이송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약제포장장치(200)의 호퍼(120)로 정제들이 집결되도록 카세트(110) 등의 정제 배출과 관련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장치이다.
만약, 제2도어(90)가 구비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정제는 상기 제1도어(80)로부터 배출되어 호퍼(120)까지 이송되게 된다. 이때, 이송거리는 상기 공급부와 호퍼(120)를 연결하는 이송통로(62)의 길이가 된다. 정제의 이송 시간은 상기 이송통로(62)의 길이에 비례하는데, 상기 이송통로(62)의 길이는 약제포장장치(200)의 구조상 단축시킬 수 없다.
그런데, 약제포장장치(200)는 정제들이 상기 공급부를 통해서만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에 배치된 다수의 카세트(110)들을 통해서도 공급되며, 별도로 설치되는 산제(散劑)(가루약)를 통해서도 약제가 공급되어 상기 호퍼(120)에 집결된 후 함께 일 회분씩 포장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호퍼(120)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카세트(110)들을 통해 배출되는 정제들은 자유 낙하에 의해 비교적 빠르게 상기 호퍼(120)까지 도착하고, 산제도 상기 호퍼(120)와 비교적 가까이 위치하여 짧은 시간안에 상기 호퍼(120)까지 도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100)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의 출발점을 상기 제1도어(80)로 하는 것이 아니라, 출발점을 최대한 상기 호퍼(120) 측에 인접하게 하도록 상기 제2도어(90)를 이송통로(62)의 적정 위 치에 배치시킨 것이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상기 제2도어(90)를 구비했을 때의 정제 이송 시간은 구비하지 않았을 때의 정제 이송 시간보다 크게 단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제2도어(90)가 개방되어 정제를 상기 호퍼(120) 측으로 배출하면, 상기 공급부로부터 또 하나의 정제가 공급되게 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도어(80)와 제2도어(90) 사이에 정제가 존재하면, 상기 제1도어(8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즉, 상기 제1도어(80)는 상기 제1도어(80)와 제2도어(90) 사이에 정제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80)는 상기 공급부로부터 배출된 정제가 설정된 기준량과 일치하고 상기 제1도어(80)와 제2도어(90) 사이에 정제가 없다는 두 가지 조건이 모두 만족할 때만 개방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100)은 회수통로(6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통로(63)는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의 개수가 설정된 기준량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상기 공급부로 정제를 회수시키는 통로가 된다. 즉, 상기 제1도어(80)는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의 개수가 설정된 기준량과 일치하지 않을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정제를 상기 회수통로(63)로 배출한다. 회수된 정제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회수통(15)을 통해 본체(10)내로 다시 들어간다.
또한, 상기 제2도어(90)는 상기 이송통로(62)를 개폐하는 도어 판(91)(92)(93)(94)들이 방사형으로 복수개 이루어져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는 90°씩 회전되는 스텝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판(91)(92)(93)(94)들은 이송통로(62)의 바닥면보다 하부를 향해 미세하게 예각으로 공차를 형성시켜, 정제가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도어판(91)(92)(93)(94)들의 교차 부위에, 정제가 상기 도어판(91)(92)(93)(94)들 사이로 끼는 현상을 방지하는 오목곡면부(9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목곡면부(99)는 특히 매우 작은 정제나 단부가 뾰족한 정제들이 상기 도어판(91)(92)(93)(94)들의 교차지점에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정제공급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포장장치의 정제공급방법은 공급부로부터 이송통로로 정제를 공급하는 단계(S1)와, 정제의 개수가 기준량과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S2)와, 제1도어와 제2도어 사이에 정제가 존재하는지 검출하는 단계(S4)와,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 사이에 정제가 존재하면 상기 제1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정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1도어를 개방하여 정제를 상기 제2도어로 이송시키는 단계(S5)(S6)와, 제2도어를 개방하여 정제를 호퍼로 배출하는 단계(S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S1)단계는 공급부로부터 정제가 공급되는 단계이다. 상기 공급부는 도 2와 같이 진동부(20)로 정제가 수용된 본체(10)를 진동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내에 수용된 정제는 상기 진동부(20)의 진동에 의해 내부에 형성된 안 내트랙(11)을 따라 상부로 이송되어 출구(13)로 배출된다.
(S2)단계는 상기 공급부로부터 배출된 정제의 개수가 설정된 기준량과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이다. 상기 (S2)단계는 정제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센서(70)의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부(20)의 진동으로 정제가 이송되고 설정된 기준량이 한 알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안내트랙(11)의 출구(13)를 통해 떨어진 정제가 한 알이면 조건에 일치하는 경우이다. 하지만, 상기 출구(13)를 통해 한 알이 떨어진 후 뒤따라오던 정제가 의도되지 않게 추가로 떨어지면 조건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된다.
(S4)단계는 제1도어(80)와 제2도어(90) 사이에 정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도어(80)가 개방되어 정제를 제2도어(90) 측으로 배출하고 상기 제2도어(90)가 닫힌 상태로 있을 경우, 상기 제1도어(80)와 제2도어(90) 사이에 정제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도어(90)가 개방되어 정제를 배출하고 상기 제1도어(80)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도어(80)와 제2도어(90) 사이에 정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S5)단계는 상기 제1도어(80)와 제2도어(90) 사이에 정제가 존재하면, 상기 제1도어(8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이다.
(S6)단계는 상기 제1도어(80)와 제2도어(90) 사이에 정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1도어(80)를 개방하여 정제를 상기 제2도어(90)로 이송시키는 단계이다.
(S7)단계는 상기 제2도어(90)를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개방하여 정제를 호 퍼(120)로 배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S7)단계는 약제포장장치(200)의 메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도어(80)가 개방되어 정제를 상기 제2도어(90) 방향으로 배출한 후,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도어(80)로 다음 차례의 정제를 공급하는 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90)가 개방되어 호퍼(120)로 정제를 배출하면, 동시에 상기 제1도어(80)로부터 다른 정제가 상기 제2도어(90) 측으로 이송되고, 동시에 상기 공급부로부터 또 다른 정제가 상기 제1도어(80) 측으로 공급되어 정제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제공급방법은 정제의 개수가 설정된 기준량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상기 공급부로 정제를 회수하는 단계(S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3)단계는 정제의 개수가 설정된 기준량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상기 공급부로 정제를 회수하는 단계이다. 정제의 회수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도어(8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수통로(63)를 통해 정제를 공급부로 회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제포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제공급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진동부
50 : 수량조절모듈 62 : 이송통로
63 : 회수통로 70 : 센서
80 : 제1도어 90 : 제2도어
100 :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Claims (7)

  1. 정제를 약제포장장치의 호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를 상기 호퍼로 이송가이드 하는 이송통로;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의 개수가 설정된 기준량과 일치할 때 개방되도록 설치된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와 호퍼 사이에서 상기 이송통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2도어; 및
    상기 제2도어가 개방하면 상기 공급부로부터 다음 정제가 공급되게 하고,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 사이에 정제가 존재하면 상기 제1도어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의 개수가 설정된 기준량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상기 공급부로 정제를 회수시키는 회수통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이송통로를 개폐하는 도어판이 방사형으로 복수개 이루어져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판들의 교차 부위에, 정제가 상기 도어판들 사이로 끼는 현상을 방지하는 오목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5. 제 1항의 구조로 이루어진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의 정제공급방법으로서,
    공급부로부터 이송통로로 정제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제의 개수가 설정된 기준량과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이송통로 상에 배치되는 제1도어와 제2도어 사이에 정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 사이에 정제가 존재하면 상기 제1도어가 닫혀 상기 공급부로부터 이송통로로 유입된 정제가 머물게 하고,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 사이에 정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1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공급부로부터 이송통로로 유입된 정제를 상기 제2도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제2도어를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개방하여 정제를 호퍼로 배출하는 단 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의 정제공급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가 개방되어 정제를 상기 제2도어 방향으로 배출한 후,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도어로 다음 차례의 정제를 공급하는 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의 정제공급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정제의 개수가 설정된 기준량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상기 공급부로 정제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의 정제공급방법.
KR1020080039998A 2007-09-21 2008-04-29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및정제공급방법 KR100955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998A KR100955947B1 (ko) 2008-04-29 2008-04-29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및정제공급방법
CN200880104759.7A CN101820847B (zh) 2007-09-21 2008-09-19 用于调节在自动药片分配器中的各种形状药片的数量的模块及其药片分配方法
EP08832480.1A EP2200561B1 (en) 2007-09-21 2008-09-19 Module for regulating quantity of various-shaped tablets in automatic tablet dispenser,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ES08832480T ES2424327T3 (es) 2007-09-21 2008-09-19 Módulo para regular la cantidad de comprimidos de varias formas en un dispensador automático de comprimidos, y método de dispensación de comprimidos para el mismo
JP2010520950A JP5027926B2 (ja) 2007-09-21 2008-09-19 自由形状錠剤の自動排出器の数量調節モジュール及び錠剤供給方法
US12/673,033 US8386073B2 (en) 2007-09-21 2008-09-19 Module for regulating quantity of various-shaped tablets in automatic tablet dispenser,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PCT/KR2008/005549 WO2009038380A2 (en) 2007-09-21 2008-09-19 Module for regulating quantity of various-shaped tablets in automatic tablet dispenser,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998A KR100955947B1 (ko) 2008-04-29 2008-04-29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및정제공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189A true KR20090114189A (ko) 2009-11-03
KR100955947B1 KR100955947B1 (ko) 2010-05-03

Family

ID=4155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998A KR100955947B1 (ko) 2007-09-21 2008-04-29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및정제공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9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1565A2 (ko) * 2011-03-09 2012-09-13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검사장치 및 방법
KR102123932B1 (ko) * 2019-11-05 2020-06-18 (주)강원랜드 분변토 및 유충 자동 분리장치
KR102297739B1 (ko) * 2021-06-08 2021-09-03 박종선 알약 분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489B1 (ko) * 2017-09-06 2019-10-15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정제 배출 슈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365B1 (ko) * 2002-12-13 2009-06-05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형 물질 공급 장치
KR100582760B1 (ko) 2005-02-21 2006-05-23 (주)제이브이엠 가루약 자동 포장장치
KR100910395B1 (ko) * 2007-09-21 2009-08-04 (주)크레템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1565A2 (ko) * 2011-03-09 2012-09-13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검사장치 및 방법
WO2012121565A3 (ko) * 2011-03-09 2012-12-20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검사장치 및 방법
KR102123932B1 (ko) * 2019-11-05 2020-06-18 (주)강원랜드 분변토 및 유충 자동 분리장치
KR102297739B1 (ko) * 2021-06-08 2021-09-03 박종선 알약 분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947B1 (ko) 201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0561B1 (en) Module for regulating quantity of various-shaped tablets in automatic tablet dispenser,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KR960028891A (ko) 약제 패킹장치
KR100910395B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JP4362239B2 (ja) 小物品の計数供給装置
ES2445655T3 (es) Dispensador de distribución automática de comprimidos de varias formas en una máquina de envasado de medicamentos y su método de dispensar comprimidos
KR101238245B1 (ko) 고체 약물 전달용 분배 캐니스터
US9180992B2 (en) Tablet dispenser of medicine packing apparatus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US8700208B2 (en) Rotary-type tablet feeder
KR101261265B1 (ko) 약제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그리고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CN113544062B (zh) 用于对药品进行计数并将药品插入瓶子内部的计数器填充装置
KR100955947B1 (ko)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모듈 및정제공급방법
KR10133349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US7516836B2 (en) Centrifugal fill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886493B1 (ko) 정제공급기의 수량조절모듈
KR102218087B1 (ko) 작은 입자 약제 정량 배출기 및 이를 구비한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장치
JP6582421B2 (ja) 物品分配投入装置
KR10135696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KR101107664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KR102051801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20080085615A (ko) 반알과 같이 등분된 특수형상의 정제투입장치를 가지는정제자동분배기
KR100955946B1 (ko) 약제포장기의 이송장치
KR101896910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982600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862544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CN117295662A (zh) 一种将预定数量的药物制品罐装瓶子的方法以及用于实现该方法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