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869A - Stop search method and system using road information - Google Patents
Stop search method and system using road inform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12869A KR20090112869A KR1020080038619A KR20080038619A KR20090112869A KR 20090112869 A KR20090112869 A KR 20090112869A KR 1020080038619 A KR1020080038619 A KR 1020080038619A KR 20080038619 A KR20080038619 A KR 20080038619A KR 20090112869 A KR20090112869 A KR 200901128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p
- search
- distance
- departure
- arriv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08G1/09688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where input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mobile device, e.g. a mobile phone, a PD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도로 정보를 이용하여 정류장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출발지 및 도착지로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정류장을 검색하고, 검색된 정류장 사이의 대중 교통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A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for stop information using road information are provided. More specifically, a method for searching for a stop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point set as a departure point and a destination point, and providing public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between the found stops. And a system is provided.
도로 정보를 이용한 정류장 검색에 기초한 대중 교통 경로 제공 방법은 (a)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출발지로부터 제 1 검색 거리 내에 있는 출발 정류장을 검색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도착지로부터 제 2 검색 거리 내에 있는 도착 정류장을 검색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색된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상기 검색된 도착 정류장까지의 대중 교통 경로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검색 거리 및 상기 제 2 검색 거리는 실제 도로 정보에 기초이다.A method of providing a public transportation route based on a stop search using road information includes (a) searching for a departure stop within a first search distance from a departure point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and (b) a second departure from the arrival poin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Searching for an arrival stop within a search distance and (c) searching for a public transportation route from the searched departure stop to the searched arrival stop, wherein the first search distance and the second search distance are actual road information. Is the basis.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 정보를 이용하여 정류장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발지 및 도착지로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정류장을 검색하고, 검색된 정류장 사이의 대중 교통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for stop information by using road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search for a stop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point set as a departure point and an arrival point, and to search public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between the found stops. It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Services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and in particular,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are widely used.
일반적으로, 운전자나 승객의 의사에 따라 자유롭게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택시 등을 제외하고,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은 미리 정하여진 소정의 노선을 따라서 운행된다. 이러한 대중 교통의 이용을 위해, 사용자가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면 상기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한 경로를 보여주는 경로 제공 서비스가 유무선 인터넷 등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In general, except for taxis and the like, which can freely select a rout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driver or a passenger,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a bus or a subway runs along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route. In order to use such public transportation, when a user inputs a departure point and a destination, a route providing service showing a route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is provided through wired or wireless Internet.
경로 제공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서, 사용자는 출발지 및 도착지를 정류장이 아닌 거주지 또는 근무지를 중심으로 입력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제공된 대중 교통 경로를 이용하기 위하여 최초 출발지로부터 출발 정류장까지 도보로 이동하고, 다시 도착 정류장으로부터 최종 도착지까지 도보로 이동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In the use of the route providing service, the user generally enters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place based on the place of residence or the work place, not the stop, and moves from the original departure point to the departure stop in order to use the provided public transportation route. It is common to travel from the arrival stop to the final destination on foot.
출발지 또는 도착지가 정류장 이외의 장소로 입력된 경우, 종래에 제공되는 대중 교통 경로 검색 서비스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출발지 및 도착지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한 정류장을 검색하고, 검색된 정류장을 기준으로 대중 교통 경로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였다.When a departure point or arrival point is entered as a place other than a stop, a conventional public transportation route search service searches for a stop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round a departure point and a destination received from a user, and searches for a public transportation route based on the found stop. Searched and provided to the user.
이처럼 출발지 및 도착지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한 정류장을 기계적으로 검색하는 경우에는, 정류장이 도보로 접근 가능하여야 한다는 사실이 전혀 고려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출발지 또는 도착지의 주변에 산, 하천, 횡단보도가 없는 도로 등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 이들의 존재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정류장 정보가 검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검색된 정보를 실제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As such, when mechanically searching for a stop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round the starting point and the arriving poi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ct that the stop must be accessible on foot is not considered at all. For example, if there are obstacles such as mountains, rivers, and roads without crosswalks near the departure or destination, stop information that does not consider their existence is searched for, so that the user cannot actually use the searched information. A problem occur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제 도로 정보에 기초한 거리를 기준으로 검색된 정류장을 이용하여 대중 교통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ublic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using a stop searched based on the distance based on the actual road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도착 정류장까지의 모든 대중 교통 경로 정보를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arranging and providing all public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departure stops to one or more arrival stops in order of priority.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a)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출발지로부터 제 1 검색 거리 내에 있는 출발 정류장을 검색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도착지로부터 제 2 검색 거리 내에 있는 도착 정류장을 검색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색된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상기 검색된 도착 정류장까지의 대중 교통 경로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검색 거리 및 상기 제 2 검색 거리는 실제 도로 정보에 기초한 거리인 도로 정보를 이용한 정류장 검색에 기초한 대중 교통 경로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rching for a departure stop within a first search distance from the origi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b)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Searching for an arrival stop within a second search distance from a destination and (c) searching for a public transport route from the searched departure stop to the searched arrival stop, wherein the first search distance and the second The search distance may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public transportation route based on a stop search using road information, which is a distance based on actual road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도착지 및 검색 조건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상기 출발지로부터 실제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검색 거리 이내에 있는 출발 정류장을 검색하고, 상기 도착지로부터 실제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검색 거리 이내에 있는 도착 정류장을 검색하는 정류장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상기 검색된 도착 정류장까지의 대중 교통 경로를 상기 검색 조건에 따라 정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경로 검색부를 포함하는 도로 정보를 이용한 정류장 검색에 기초한 대중 교통 경로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pu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departure point, an arrival point and a search condition from a user terminal, searching for a departure stop within a first search distance based on the actual road information from the departure point, and from the arrival point to the actual road. A stop search unit for searching for an arrival stop within a second search distance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a route search unit for arranging public transportation routes from the searched departure stop to the searched arrival stop according to the search condition and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the search condition; A public transportation route providing system based on a stop search using roa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실제 도로 정보에 기초한 거리를 기준으로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이 검색되고, 검색된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에 대한 대중 교통 경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arture stop and the arrival stop are searched based on the distance based on the actual road information, and the public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for the retrieved departure stop and the arrival stop may be provided.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출발 정류장 또는 도착 정류장이 검색된 경우, 모든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에 대한 대중 교통 경로 정보가 소정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or more departure stops or arrival stops are searched, public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for all departure stops and arrival stops may b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riority order.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장 검색을 이용한 대중 교통 경로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 public transportation route providing method using a stop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105)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중 교통 경로 정보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경로를 검색하기 위한 출발지 및 도착지를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출발지 및 도착지는 대중 교통의 정류장, 예를 들어 버스 정류장, 지하철 역 등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주거지, 근무지 또는 관광지 등 모든 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105, a search request for public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for searching for the route are received. Departures and destination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re not limited to public transport stops, for example, bus stops, subway stations,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ll places such as a user's residence, working place, or tourist destination.
또한, 사용자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이며, 예를 들어 데스크탑,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스마트폰, UM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is a terminal capable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desktop, a notebook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cellular phone, a smartphone, a UMPC, and the like.
단계(S110)에서는, 단계(S105)에서 수신한 출발지로부터 제 1 검색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정류장인 출발 정류장을 검색한다. 제 1 검색 거리는 실제 도로 정보에 기초한 거리이며, 제 1 검색 거리는 서버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 자 단말에 의해 직접 설정될 수 있다.In step S110, a departure stop, which is a stop located within a first search distance from the departure point received in step S105, is searched. The first search distance is a distance based on actual road information, and the first search distance may be preset by the server or directly by the user terminal.
예를 들어, 출발지가 도심 지역인 경우, 제 1 검색 거리는 최초에 100 m로 설정될 수 있으며, 출발지가 도외 지역인 경우에는, 제 1 검색 거리는 최초에 300 m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eparture point is an urban area, the first search distance may be initially set to 100 m, and when the departure point is an out-of-town area, the first search distance may be initially set to 300 m.
종래와 같이, 단순히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한 정류장을 검색하는 경우, 도로 사정, 예를 들어 건물, 도로, 하천 등의 장애물에 의해 실제적으로 출발지로부터 도보 거리가 먼 정류장이 검색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실제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정류장을 검색하는 경우, 출발지로부터 실제로 도보 접근이 용이한 정류장을 검색할 수 있다.As in the related art, when searching for a stop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 stop that is actually far from the starting point may be searched for by road conditions, for example, obstacles such as buildings, roads, and rivers. However, when searching for a stop loc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based on the actual road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a stop that is actually easily accessible from the starting point.
이처럼 출발 정류장은 출발지로부터 단순히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한 정류장이 아닌 실제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검색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정류장이므로, 출발지로부터의 접근 용이성이 고려되어 검색될 수 있다.As such, the departure stop is a stop located within the first search distance based on actual road information, not a stop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departure point, and thus can be searched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access from the departure point.
단계(S115)에서는, 단계(S110)에서 검색된 출발 정류장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정류장의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 1 검색 거리 이내에 위치한 출발 정류장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정류장의 수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S11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departure stops searched in step S11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number of stops.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departure stops located within the first search distance satisfies the preset number of stops.
도심, 특히 번화가의 경우 좁은 지역에 다수의 정류장이 존재하므로 최초 설정된 제 1 검색 거리 이내에 충분한 정류장 개수가 존재할 수 있으나, 주거지 또는 유동 인구가 적은 지역의 경우 정류장의 밀집도가 낮아 최초 설정된 제 1 검색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정류장의 수가 적을 수 있다.In the case of downtown, especially downtown area, there are many stops in the narrow area, so there may be enough stops within the first search distance.However, in the case of a dwelling area or a small floating population, the stop density is low and the first search distance is initially set. The number of stops located within may be small.
따라서, 단계(S110)에서 검색된 출발 정류장의 개수가 경로 검색을 위해 필 요한 정류장의 수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erefor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departure stops searched in step S110 satisfies the number of stops required for the route search.
단계(S120)에서는, 단계(S115)에서 출발 정류장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정류장의 개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 1 검색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확장한다.In step S120,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115 that the number of departure stops is less than the preset number of stops, the first search distance is extended by the preset distance.
즉, 단계(S110)에서 검색된 출발 정류장의 개수가 경로 검색을 위해 필요한 정류장의 수를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제 1 검색 거리를 일정 거리만큼 단계적으로 확장하며 출발 정류장에 대한 검색 범위를 넓힌다.That is, when the number of departure stops searched in step S110 does not satisfy the number of stops required for the route search, the first search distance is gradu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earch range for the departure stops is expanded.
그 후, 단계(S115)에서 검색된 출발 정류장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정류장의 개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S125)로 진행한다. Thereaft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15 that the number of departure stops foun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number of stops, the flow proceeds to step S125.
지금까지는, 검색된 출발 정류장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정류장의 개수 이상이 될 때까지, 제 1 검색 거리를 무한히 반복하여 확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검색 거리의 최대 확장 범위는 서버 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Until now, the first search distance is infinitely repeated until the number of searched departure stop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preset stop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maximum extension range of the first search distance may be preset by the server or the user.
예를 들어, 출발지가 도심 지역인 경우, 제 1 검색 거리는 최초에 100 m에서 출발하여, 필요한 정류장의 수를 충족할 때까지 50 m씩 확장하며, 최대 500 m까지 확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출발지가 도외 지역인 경우에는, 제 1 검색 거리는 300 m에서 출발하여, 필요한 정류장의 수를 충족할 때까지 100 m 씩 확장하며, 최대 1 Km까지 확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tarting point is an urban area, the first search distance may be set to extend from 50 m up to 50 m until the required number of stops starts at 100 m. In addition, when the departure point is an out-of-town area, the first search distance may be set to extend from 1 m to 100 m until the required number of stops starts from 300 m.
단계(S125)에서, 단계(S105)에서 수신한 도착지로부터 제 2 검색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정류장인 도착 정류장을 검색한다. 제 2 검색 거리는 제 1 검색 거리 와 마찬가지로 실제 도로 정보에 기초한 거리이며, 제 2 거리는 서버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착지로부터 실제로 도보 접근이 용이한 도착 정류장이 검색될 수 있다.In step S125, an arrival stop, which is a stop located within a second search distance from the destination received in step S105, is searched. Like the first search distance, the second search distance is a distance based on actual road information, and the second distance may be preset by the server or set from the user terminal. Therefore, the arrival stop which is actually easily accessible by foot from the arrival place can be retrieved.
단계(S130)에서, 단계(S125)에서 검색된 도착 정류장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정류장의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미리 설정된 제 2 검색 거리 이내에 위치한 도착 정류장의 개수가 경로 검색을 위해 필요한 정류장의 수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S1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arrival stops retrieved in step S125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number of stops.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arrival stops located within the second preset search distance satisfies the number of stops required for the route search.
단계(S135)에서, 단계(S130)에서 도착 정류장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요구 정류장의 개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 2 검색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확장한다.In step S135,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30 that the number of arrival stops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request stops, the second search distance is extended by the preset distance.
즉, 출발 정류장의 검색과 마찬가지로, 단계(S130)에서 검색된 도착 정류장의 개수가 경로 검색을 위해 필요한 정류장의 수를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제 2 검색 거리를 일정 거리만큼 단계적으로 확장하며 도착 정류장에 대한 검색 범위를 넓힌다.That is, as in the search for the departure stop, if the number of arrival stops found in step S130 does not satisfy the number of stops required for the route search, the second search distance is gradu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 the arrival stop. Broaden your search.
그 후, 단계(S130)에서 검색된 출발 정류장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정류장의 개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S140)로 진행한다.Thereaft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departure stops searched in step S13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number of stops, the flow proceeds to step S140.
출발 정류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2 검색 거리가 무한히 반복하여 확장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검색 거리의 최대 확장 범위는 서버 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As in the case of the departure stop, the second search distance is not infinitely extended repeatedly, and the maximum extension range of the second search distance may be preset by the server or the user.
단계(S140)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경로 검색에 대한 조건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S140, it is determined whether a condition for path search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사용자는 단순히 경로에 대한 검색을 요청할 수도 있지만, 선호하는 대중 교통 수단, 최단 시간, 최소 환승, 최소 요금, 최단 거리 또는 경유지 등을 조건으로 하여 경로에 대한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A user may simply request a search for a route, but may request a search for a route subject to preferred public transportation, shortest time, minimum transfer, minimum fare, shortest distance or waypoint.
따라서, 단계(S140)에서는, 단계(S105)에서 수신한 검색 요청과 함께 이러한 검색 조건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erefore, in step S140, it is determined whether such a search condition is received together with the search request received in step S105.
단계(S145)에서, 단계(S140)에서 검색 조건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신된 검색 조건을 대중 교통 경로의 검색에 대한 조건으로 설정한다.In step S145,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140 that the search condi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received search condition is set as a condition for the search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route.
단계(S150)에서, 단계(S110)에서 검색된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단계(S125)에서 검색된 도착 정류장까지의 대중 교통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대중 교통 경로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In step S150, the public transit route is searched from the departure stop searched in step S110 to the arrival stop searched in step S125, and information on the searched public transportation rout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대중 교통 경로 정보는 출발 정류장에서부터 도착 정류장까지의 대중 교통 경로뿐만 아니라, 출발지로부터 출발 정류장까지의 경로 및 도착 정류장으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blic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not only the public transportation route from the departure stop to the arrival stop, but also the route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parture stop and the route from the arrival stop to the destination.
따라서, 사용자는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을 별도로 지정하지 않고, 출발지 및 도착지만을 입력하여도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이 검색되어 이에 대한 대중 교통 경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search for the departure stop and the arrival stop even if the departure point and the arrival stop are inputted separately, and receive the public transportation route information.
다수의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이 검색된 경우, 각각의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도착 정류장까지의 경로가 검색되고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M은 자연 수) 개의 출발 정류장 및 N(N은 자연수) 개의 도착 정류장이 검색된 경우, M × N 개 이상의 대중 교통 경로가 검색되고 제공될 수 있다. M × N 개 이상의 대중 교통 경로가 검색되는 이유는 동일한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동일한 도착 정류장까지의 경로가 복수 개일 수 있기 때문이다.If multiple departure and arrival stops have been retrieved, a route from each departure stop to the arrival stop may be retrieved and provided. For example, when M (M is a natural number) departure stops and N (N is a natural number) arrival stops are retrieved, M × N or more public transport routes may be retrieved and provided. The reason why MxN or more public transportation routes are searched is that there may be a plurality of routes from the same departure stop to the same arrival stop.
또한, 단계(S145)에서 검색 조건이 설정된 경우, 검색 조건에 따라 경로 정보들 간의 우선 순위가 결정될 수 있으며,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경로 정보의 리스트가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earch condition is set in operation S145, priorities of the path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arch condition, and a list of the path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alignm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다시 말해, 다수의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이 검색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경로가 검색된 경우, 검색된 경로는 미리 설정된 순서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검색 조건에 따라 정렬되어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된 경로는 출발지와 출발 정류장 사이의 거리, 도착지와 도착 정류장 사이의 거리, 총 소요 시간, 운임, 이동 거리, 환승 횟수 등을 기준으로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a plurality of departure and arrival stops are searched, and thus a plurality of routes are searched, the searched route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n a sorted order according to a preset order or a search condi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searched route may be provided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departure point and the departure stop, the distance between the arrival destination and the arrival stop, the total travel time, the fare, the moving distance, and the number of transfer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제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정류장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op searched based on actual roa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색된 출발 정류장은 A1 정류장(111)을 포함하고, A2 정류장(121) 및 A3 정류장(131)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A1 정류장(111)은 출발지(101)로부터 제 1 검색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정류장이며, A2 정류장(121) 및 A3 정류장(131)은 출발지(101)로부터 제 1 검색 거리를 초과한 위치에 존재하는 정류장이기 때문이다. 이는, 출발지(101)로부터 A1 정류장(111)까지의 거리(112), A2 정류장(121)까지의 거리(122) 및 A3 정류장(131)까지의 거리(132)가 각각 실제 도로 정보에 기초한 거리이기 때문이다.The departure stop search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도시된 바와 같이, 출발지(101)로부터 단순히 반경을 기준으로 검색하는 경우, A1 정류장(111)은 A2 정류장(121) 및 A3 정류장(131)에 비해 출발지(101)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한다.As shown, in the case of simply searching based on the radius from the
그러나 제 1 검색 거리, 즉 실제 도로 정보에 기초한 거리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출발지(101)로부터 각각의 정류장까지의 실제 도로 상황, 예를 들어 도로 배치 또는 건물, 산, 하천 등의 장애물로 인하여, 출발지(101)로부터 A1 정류장(111)까지의 거리(112)는 출발지(101)로부터 A2 정류장(121)까지의 거리(122) 및 A3 정류장(131)까지의 거리(132)에 비해 출발지(101)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다.However, when based on the first search distance, that is, the distance based on the actual road information, due to the actual road situation from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경만을 고려한 종래 기술과 달리, 사용자가 실제 도보에 의해 도달할 수 있는 정류장이 검색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considering only the radiu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op that the user can reach by actually walking is searched.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색된 도착 정류장은 B2 정류장(221)을 포함하며, B1 정류장(211)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B2 정류장(221)은 출발지(201)로부터 제 2 검색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정류장이며, B1 정류장(211)은 출발지(201)로부터 제 2 검색 거리를 초과한 위치에 존재하는 정류장이기 때문이다. 이는, 출발지(201)로부터 B2 정류장(221)까지의 거리(222), B1 정류장(211)까지의 거리(211)가 각각 실제 도로 정보에 기초한 거리이기 때문이다.Similarly, the arrival stops retriev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B2 stop 221 and do not include a
도착 정류장의 경우에도, 도착지(201)로부터의 반경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B2 정류장(221)은 B1 정류장(211)에 비해 도착지(201)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하지만, 실제 도로 정보에 기초한 거리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도착지(201)로부터 B1 정류장(211)까지의 거리(212)는 도착지(201)로부터 B2 정류장(221)까지의 거리(122)에 비해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다.Even in the case of an arrival stop, when the radius from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색된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에 따라 검색되는 대중 교통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ublic transportation route searched according to a departure stop and arrival stop sear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검색된 출발 정류장(310)은 A1, A2 및 A3이며, 도착 정류장(330)은 B1 및 B2이다. 이 경우 출발 정류장(310)으로부터 도착 정류장(330)까지의 경로(320)는 A1-B1, A1-B2, A2-B1, A2-B2, A3-B1 및 A3-B2가 존재할 수 있다.Departure stops 310 retriev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1, A2 and A3,
이처럼 출발 정류장은 M(M은 자연수) 개이고 도착 정류장은 N(N은 자연수) 개인 경우, M × N 개의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도착 정류장까지의 대중 교통 경로가 검색될 수 있다. 또한, 중간에 환승을 해야 하는 경우 등에는, M × N 개보다 훨씬 많은 수의 대중 교통 경로가 검색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departure stop is M (M is a natural number) and the arrival stop is N (N is a natural number), a public transport route from M × N departure stops to the arrival stop may be searched. Further, in the case where transfers are to be made in the middle, a much larger number of public transportation routes than M × N can be retriev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장 검색을 이용한 대중 교통 경로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ublic transportation route providing system using a stop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경로 제공 시스템은 입력 수신부(410), 정류장 검색부(420), 경로 검색부(430) 및 데이터베이스(440)를 포함한다.Public transportation rout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입력 수신부(4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중 교통 경로의 검색 요청을 수신 하고, 경로 탐색을 위한 출발지 및 도착지를 수신한다. 또한, 입력 수신부(4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경로 검색의 조건을 수신한다. 검색 조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선호하는 대중 교통 수단, 최단 시간, 최소 환승, 최소 요금, 최단 거리 또는 경유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정류장 검색부(420)는 출발지로부터 제 1 검색 거리 이내에 있는 출발 정류장을 검색하고, 도착지로부터 제 2 검색 거리 이내에 있는 도착 정류장을 검색한다. 제 1 검색 거리 및 제 2 검색 거리는 실제 도로 정보를 기초로 하는 거리이며, 서버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The
실제 도로 정보는 도로 사정, 예를 들어 건물, 담, 하천 등의 장애물 등을 반영한 도로 정보이다. 따라서, 제 1 검색 거리 및 제 2 검색 거리를 이용하여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를 검색하는 경우, 사용자가 실제 이동하는 거리를 고려하여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이 검색될 수 있다.The actual road information is road information reflecting road conditions, for example, obstacles such as buildings, fences, and rivers. Therefore, when searching for the departure stop and the arrival stop using the first search distance and the second search distance, the departure stop and the arrival stop may be search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actually moved by the user.
정류장 검색부(420)에 의해 검색된 출발 정류장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정류장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 정류장 검색부(420)는 제 1 검색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단계적으로 확장하며 출발 정류장을 다시 검색한다. 제 1 검색 거리의 최대 확장 범위는 서버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 1 검색 거리의 단계적 확장 거리 및 최대 확장 범위는 출발지의 종류 또는 위치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외 지역은 도심 지역보다 단계적 확장 거리 및 최대 확장 범위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departure stops searched by the
또한, 정류장 검색부(420)에 의해 검색된 도착 정류장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정류장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 정류장 검색부(420)는 마찬가지로 제 2 검색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단계적으로 확장하며 도착 정류장을 다시 검색한다. 제 2 검색 거리의 최대 확장 범위는 서버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단계적 확장 거리 및 최대 확장 범위는 도착지의 종류 또는 위치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arrival stops retrieved by the
경로 검색부(430)는 정류장 검색부(420)에 의해 검색된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도착 정류장까지의 모든 대중 교통 경로를 검색한다. 복수의 출발 정류장 또는 도착 정류장이 검색된 경우, 검색된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에 대응하는 모든 경로가 검색될 수 있으며, 검색된 경로는 이종의 대중 교통 수단 간의 환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입력 수신부(410)가 검색 조건을 수신한 경우, 경로 검색부(430)는 검색 조건을 만족하는 경로를 검색할 수 있으며, 복수의 경로 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데이터베이스(440)는 정류장, 실제 도로 정보, 대중 교통 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정류장 검색부(420)에 의해 검색된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과 경로 검색부(430)에 의해 검색된 대중 교통 경로 정보를 저장한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440)는 이종의 대중 교통 수단 간의 데이터베이스를 모두 통합한 통합 대중 교통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이종(異種)의 대중 교통 정보 사이의 공통 요소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 값이 될 수 있다. 각각의 대중 교통 정보, 예를 들어 시내 버스의 교통 정보와 지 하철의 교통 정보는 별개의 데이터베이스로 존재하여 정류장, 노선 등을 나타내는 방법, 명칭 등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각 정류장 및 각 노선의 GPS 좌표 값은 공통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이처럼 모든 대중 교통 정보가 GPS 좌표 값을 기초로 구축되어 있는 경우, GPS 좌표 값을 공통 요소로 하여 이종의 대중 교통 수단 간의 통합 대중 교통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각 대중 교통 수단별 데이터베이스가 포함하는 지리적 정보, 예를 들어 정류장 정보 등은 GPS 좌표 값을 기준으로 수집되어 정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정 범위, 예를 들어 5 미터 이내의 GPS 좌표 값을 갖는 정류장은 동일한 정류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범위, 예를 들어, 30 미터 이내의 GPS 좌표 값을 갖는 정류장은 환승 가능한 정류장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When all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is constructed based on GPS coordinate values 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public transportation database between heterogeneous public transportation means can be generated using the GPS coordinate values as common elements. That is, geographic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base for each public transportation, for example, stop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and arranged based on GPS coordinate values. In this case, GPS coordinate values within a certain range, for example, 5 meters may be collected. The stop having can be set to the same stop. In addition, a stop having a GPS coordinate value within a preset range, for example, 30 meters, may be set as a transferable stop.
따라서, 각각의 대중 교통 수단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가 서로 상이한 명칭 또는 형식이라 하여도, GPS 좌표 값을 기준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경우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를 변형시키지 않고도 각각의 대중 교통 수단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통합 대중 교통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information stored in each public transportation database has a different name or format, when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 information based on GPS coordinate values, the database for each public transportation without modifying the existing database may be used. You can create an integrated public transport database that includes.
이러한 통합 대중 교통 데이터베이스는 각 대중 교통별 정류장, 노선, 거리, 시간 및 운임 요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정류장에 대한 정보는 전술한 GPS 좌표 값뿐만 아니라, 정류장이 위치한 행정구역 명칭 및 정류장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grated public transportation database may include information on each public transport stop, route, distance, time and far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about each stop is not only the GPS coordinate values described above, but also the name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where the stop is located and the stop. May include a name.
이와 같이, 통합 대중 교통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경우, 이종의 교 통 수단 간에 환승 가능한 정류장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환승 가능한 정류장은 행정구역 명칭, 정류장 명칭 및 GPS 좌표 값 등을 고려하여 분류 및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하철 역 및 버스 정류장이 동일 행정구역 명칭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정류장 명칭이 동일하거나 또는 GPS 좌표 값에 의한 거리가 100 미터 이내인 경우, 이러한 지하철 역 및 버스 정류장은 환승 가능한 정류장으로 설정되고 이에 대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As such, when an integrated public transportation database is established, stop information that can be transferred between different means of transportation may be generated. Transferable stops may be classified and managed in consider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 names, stop names and GPS coordinate values. For example, if a particular subway station and bus station contain the same administrative area name and additionally have the same station name or the distance by GPS coordinate values is within 100 meters, such subway station and bus station are transferable stops. Can be set and information about it generated.
또한, GPS 좌표 값에 의한 반경 거리가 100 미터 이내인 경우에도, 중간에 횡단 보도가 존재하지 않거나, 하천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환승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GPS 좌표 값 이외에도 행정구역 명칭 및 정류장 명칭 등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환승 가능한 정류장 정보를 생성해야 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radial distance based on the GPS coordinate value is within 100 meters, when there is no crosswalk in the middle, or when there is a river or the like, there may be a case where transfer is practically impossible. Therefore, in this case, transfer information must be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name of the administrative region and the name of the stop in addition to the GPS coordinate valu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the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methods and system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ei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system having a general hardware architectur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장 검색을 이용한 대중 교통 경로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1 is a flow chart showing the flow of a public transport route providing method using a stop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제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정류장을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op searched based on actual roa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색된 출발지, 출발 정류장, 도착 정류장 및 도착지에 따라 검색되는 경로를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oute searched according to a departure point, a departure stop, an arrival stop, and an arrival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장 검색을 이용한 대중 교통 경로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ublic transport route providing system using a stop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8619A KR100983482B1 (en) | 2008-04-25 | 2008-04-25 |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station information based on road inform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8619A KR100983482B1 (en) | 2008-04-25 | 2008-04-25 |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station information based on road inform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2869A true KR20090112869A (en) | 2009-10-29 |
KR100983482B1 KR100983482B1 (en) | 2010-09-27 |
Family
ID=4155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8619A Active KR100983482B1 (en) | 2008-04-25 | 2008-04-25 |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station information based on road inform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3482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8940A (en) * | 2014-08-07 | 2016-02-18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nearby station,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
KR20160144807A (en) * | 2015-06-09 | 2016-12-19 | 네이버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information |
KR101877311B1 (en) * | 2016-11-04 | 2018-07-1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evaluating public transportation for real estate |
KR20180119545A (en) * | 2018-10-25 | 2018-11-02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nearby station,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1149B1 (en) * | 2005-11-17 | 2007-03-2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tourist routes using public transportation |
-
2008
- 2008-04-25 KR KR1020080038619A patent/KR100983482B1/en active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8940A (en) * | 2014-08-07 | 2016-02-18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nearby station,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
KR20160144807A (en) * | 2015-06-09 | 2016-12-19 | 네이버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information |
KR101877311B1 (en) * | 2016-11-04 | 2018-07-1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evaluating public transportation for real estate |
KR20180119545A (en) * | 2018-10-25 | 2018-11-02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nearby station,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83482B1 (en) | 2010-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62536B2 (en) | Route guidance server device, navigation device, route guidance system, and route guidance method | |
JP4148580B2 (en) | Method and system for using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with a navigation system | |
JP3987877B2 (en) | Map information updating apparatus and map information updating method | |
KR100506220B1 (en) | Map ma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ingle path or multi paths to navigation service | |
US8768624B2 (en) | Vehicle operation support system and vehicle operation support method | |
US2018034979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 parking occupancy model | |
US20130204528A1 (en) | Route Guidance System, Route Guidance Server Apparatus and Navigation Terminal Apparatus | |
US1027432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inimum overlapping alternative path | |
JP4045303B2 (en) | Map information updating apparatus and map information updating method | |
US6775613B2 (en) |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proximity searching | |
JP2002116689A (en) | Updating method of road information in map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ts updating server, serv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the program | |
EP1750092A1 (en) | Position information reception device and shape matching method | |
US2017035071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e calculation considering potential mistakes | |
JP4708323B2 (en) | Navigation system, route search server, route search method, and terminal device | |
KR10098348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station information based on road information | |
JP5114254B2 (en) | Map display system, route search server, route search method, and terminal device | |
JP5007152B2 (en) | Navigation system, route search server, route search method, and terminal device | |
JP2007114030A (en) | Navigation system, mobile terminal device, and route search server | |
JP2009036720A (en) | Information delivery system, information delivery server, mobile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delivery method | |
US20180128629A1 (en) | Route search apparatus, route search metho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am and data structure | |
JP4604055B2 (en) | Navigation system, route search server, route search method, and terminal device | |
Shiraishi et al. | A personal navigation system with functions to compose tour schedules based on multiple conflicting criteria | |
KR100485868B1 (en) | route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system for providing the route information using the same | |
JP4045304B2 (en) | Map information updating apparatus and map information updating method | |
JP4045302B2 (en) | Map information updating apparatus and map information updat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