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198A - chair - Google Patents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11198A KR20090111198A KR1020080036835A KR20080036835A KR20090111198A KR 20090111198 A KR20090111198 A KR 20090111198A KR 1020080036835 A KR1020080036835 A KR 1020080036835A KR 20080036835 A KR20080036835 A KR 20080036835A KR 20090111198 A KR20090111198 A KR 200901111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seated person
- support
- head
- armres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5—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bar or leaf sprin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석자의 자세를 정형외과적 중립위치로 유도하여 편안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석과, 좌석의 후방에 배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등받이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착석자의 후두부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머리받침대와, 등받이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착석자의 후두부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머리받침대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좌석의 양측에 착석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도록 좌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팔걸이들과, 팔걸이들의 상면 전방에 구비되어 있으며 착석자의 전완부가 상기 팔걸이들의 상면에 지지될 때 정형외과적 중립위치에 유지되도록 착석자의 손바닥이 지지되어 돌기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머리받침대가 착석자의 측두부와 후두부를 좌우방향에서 지지하여 머리무게를 분산시킴으로써, 착석자의 경추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착석자의 피로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머리받침대의 가변 위치가 조절되어 항상 목을 바르게 유질할 수 있고, 팔걸이들에 지지되는 착석자의 전완부가 자연스럽게 정형외과적 중립위치를 유지하여 수근부의 근육 및 인대의 염좌, 수근터널증후군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hair for guiding a seated person's posture to an orthopedic neutral position to maintain a comfortable and correct postu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t for supporting the seat of the occupant's buttocks, a backrest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eat to support the back of the seat, a first head rest disposed above the backrest 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back of the seat, and an upper back of the backrest. It is arranged in the second head restraint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occipital head of the seated pers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armrests that are moun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so as to support the arm of the seat on both sides of the seat, the front of the upper armrests and the forearm of the seat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s When supported, the palm of the seated person is supported and is composed of a protruding member so as to remain in the orthopedic neutral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head restraints support the temporal and posterior heads of the seated pers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disperse the head weight, thereby preventing the load from being concentrated on the cervical spine of the seated person and greatly reducing the fatigue of the seated person. . In addition, the variabl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restraints can be adjusted so that the neck can always be properly oiled, and the forearm of the seated person supported by the armrest naturally maintains the orthopedic neutral position so that the sprains of muscles and ligaments of the carpals, Carpal tunnel syndrome is effective in prevent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자의 자세를 정형외과적 중립위치로 유도하여 편안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for guiding a seated person's posture to an orthopedic neutral position to maintain a comfortable and correct posture.
사무실, 학교, 가정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의자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석(2), 좌석(2)을 받쳐주는 좌석지지대(Seat Support: 4)와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Backrest: 6)를 구비한다. 등받이(6)의 상부에 착석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받침대(Headrest: 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의자에 착석자가 앉아서 여러 가지 업무를 보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다. One example of a chair widely used in offices, schools, homes, and the like i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1, the chair has a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의자는 머리받침대에 의하여 착석자의 후두부만을 지지하기 때문에 착석자의 머리 무게가 분산되지 못하고 하중이 착석자의 경추에 집중되어 디스크라 불리고 있는 추간판탈출증의 원인으로 작용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착석자의 머리가 머리받침대의 한쪽으로 치우쳐 기울어짐으로써, 목 근육의 피로도를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hair supports only the occipital head of the occupant by the head restraint, so that the weight of the occupant's head is not dispersed and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cervical spine of the occupant. In addition, the head of the seated person is inclined to one side of the head restraint, thereby increasing the neck muscle fatigue.
한편, 좌석(2)의 양측에는 착석자의 팔을 지지하는 한 쌍의 팔걸이(Armrest)들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착석자가 손바닥이 아래를 향하고 손등이 위를 향하도록 팔걸이들의 상면에 올려놓는 구조는 정형외과적 중립위치를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어깨 및 손목관절의 통증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a pair of armrests supporting arm of the seated person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석자의 측두부와 후두부를 좌우방향에서 지지하여 머리무게를것을 방지하고, 착석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의자를 분산시킴으로써, 착석자의 경추에 하중이 집중되는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temporal and laryngeal part of the sea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prevent the head weight, reduce the fatigue of the seated By distributing the chair,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cervical spine of the seated pers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의 자세를 교정하여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that can maintain a correct posture by correcting the posture of the neck at all tim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팔걸이들에 지지되는 착석자의 전완부가 자연스럽게 정형외과적 중립위치에 놓이게 하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that allows the forearm of the seated person supported by the armrests to be naturally placed in an orthopedic neutral position.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석과; 좌석의 후방에 배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등받이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착석자의 후두부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머리받침대와; 등받이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착석자의 후두부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머리받침대로 이루어지는 의자에 있다.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eat for supporting the buttocks of the seated person; A backrest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eat to support the back of the seated person; A first head rest disposed above the backrest 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back of the seated occupant; It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backrest, and is in the chair which consists of the 2nd head restraint which supports the other side of the back head of a seated perso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석과; 좌석의 양측에 착석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도록 좌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팔걸이들과; 팔걸이들의 상면 전방에 구비되어 있으며, 착석자의 전완부가 팔걸이들의 상면에 지지될 때 정형외과적 중립위치에 유지되도록 착석자의 손바닥이 지지되어 돌기부재로 이루어지는 의자에 있다.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s a seat for supporting the buttocks of the seated person; A pair of armrests moun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to support the arm of the seated occupant on both sides of the seat; It is provid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s, the seat of the seat arm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s so that the palm of the seated person is supported in the orthopedic neutral position in the chair made of a projection member.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들, 그 밖의 목적들과 신규한 특징은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보면, 보다 완전하고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fully understood and understood upon reading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명세서의 정형외과적 중립위치(Neutral Position)란 수근관절이 내회전(internal Rotation)되어 회내(Pronation)되지 않는 이상적인 자세를 말한다. 즉, 손바닥이 몸의 안쪽을 향하는 자세이며, 이 때 전완부의 요골과 척골이 꼬이지 않고 평행한 상태를 말하며, 이를 정형외과적 중립위치라고 한다.First, the orthopedic neutral posi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s to an ideal posture in which the carpal joint is not internally rotated and pronation. In other words, the palm of the body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the forearm radius of the forearm and ulna is not twisted parallel state, which is called orthopedic neutral posi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따른 의자는 좌석(10)과 좌석지지대(20)를 구비한다. 좌석(10)은 착석자의 둔부에서 대퇴부에 이르는 신체 부위를 지지한다. 좌석(10)은 좌석지지대(20)의 상부에 받쳐져 있다. 좌석지지대(20)는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다리(22)를 가지고 있다. 다리(22)는 복수의 캐스터(Caster: 24)들에 의하여 바닥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 다.2,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의 의자는 좌석(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30)를 구비한다. 등받이(30)는 착석자의 등을 좌우에서 안정적으로 감싸서 지지할 수 있도록 좌측등받이(32)와 우측등받이(34)로 분할되어 있다. 좌우측등받이(32, 34)는 인체의 척추의 모양과 유사하도록 굴곡을 갖는 인체공학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측등받이(32, 34)는 등받이지지대(Backrest Support: 36)의 전방에 장착되어 있으며, 등받이지지대(36)는 좌석(10)의 후단 또는 좌석지지대(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좌우측등받이(32, 34)는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등받이지지대(36)에 대하여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좌우측등받이(32, 34)는 서로에 대한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등받이지지대(36)에 장착될 수도 있다. 등받이(30)는 좌측등받이(32)와 우측등받이(34)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등받이(30)는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단일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일 부재의 등받이는 좌석(10)의 후단 또는 좌석지지대(20)의 상부에 결합되고, 등받이지지대(36)는 삭제될 수 있다. The left and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착석자의 팔(A)을 지지하는 한 쌍의 팔걸이(40)들이 좌석(10)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팔걸이(40)들은 지지대(42)에 의하여 좌석(10)에 결합되어 있다. 팔걸이(40)들은 착석자의 전완부(Forearm), 즉 손목부터 팔꿈치까지의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인 체공학적인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팔걸이(40)들의 상면에는 착석자의 팔(A)을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홈(44)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2 and 4, a pair of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자는 착석자의 후두부와 측두부를 좌우방향에서 지지하는 제1 머리받침대(50)와 제2 머리받침대(60)를 구비한다. 제1 머리받침대(50)와 제2 머리받침대(60) 각각은 받침부재(52, 62), 플렉시블 조인트(Flexible Joint: 54, 64)와 고정대(56, 66)로 구성되어 있다.2 and 5,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받침부재(52, 62)는 착석자의 후두부와 측두부를 좌우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등받이(30)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받침부재(52, 62)의 내면은 착석자의 머리(H)를 좌우에서 감쌀 수 있도록 굴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재(52, 62)는 착석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쿠션부재(Cushion Member)로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ing
플렉시블 조인트(54, 64)는 받침부재(52, 62)의 위치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외력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갖는 소재, 예를 들어 고무, 합성고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조인트(54, 64)는 스프링바(Spring Bar), 스프링판(Spring Plate)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대(56, 66)의 일단은 플렉시블 조인트(54, 64)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등받이지지대(36)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대(56, 66)는 등받이(30)에 대하여 받침부재(52, 6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등받이지지대(36)에 고정될 수 있다.The
도 1, 도 2,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팔걸이(40)들의 상면 전방에 착석자의 전완부가 정형외과적 중립위치에 놓이도록 유도하는 돌기부재(70)가 구비되어 있다. 돌기부재(70)의 일측에 나사(72)가 고정되어 있으며, 나사(72)는 팔걸이(40)들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있다. 착석자가 전완부를 팔걸이(40)들에 올려놓을 때, 손바닥은 돌기부재(70)에 지지되어 팔걸이(40)들의 상면을 향하지 못하고 전완부의 정형외과적 중립위치가 자연스럽게 유지된다.1, 2, 4 and 5, a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착석자가 좌석(10)에 앉게 되면, 착석자의 둔부에서 대퇴부에 이르는 신체 부위는 좌석(10)에 지지된다. 좌우측등받이(32, 34)는 착석자의 등과 허리를 감싸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또한 착석자의 허리를 펴주게 된다.3 and 5, when the seated person is seated in the
제1 및 제2 머리받침대(50, 60)의 받침부재(52, 62)는 착석자의 머리(H)를 좌우에서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지지한다. 착석자의 머리(H)가 받침부재(52, 62)에 지지되면서 받침부재(52, 62)는 외력을 받게 된다. 플렉시블 조인트(54, 64)는 받침부재(52, 62)에 부여되는 외력에 의하여 탄성변형된다. 받침부재(52, 62)의 위치는 플렉시블 조인트(54, 64)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가변되면서 착석자의 측두부와 후두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머리(H)의 무게는 받침부재(52, 64)에 분산되어 지지되므로, 착석자의 경추에 집중되는 무게는 감소되고, 목근육에 작용되는 근육스트레스가 완화되어 착석자는 장시간 앉아 있더라도 피로도가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착석자의 머리(H)가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는 경우, 플렉시블 조인트(54, 64)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는 받침부재(52, 62)는 착석자의 머리(H)와 목의 자세를 바로잡아 주게 된다. 머리(H)와 목의 자세 교정에 따라 착석자는 본 발명의 의자에 항상 바른 자세로 앉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ead H of the seated person is biased in one direction, the supporting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착석자가 팔(A)을 팔걸이(40)들에 올려놓으면, 손목에서 팔꿈치까지의 전완부가 팔걸이(40)들의 홈(44)에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착석자의 손바닥은 돌기부재(70)에 지지되어 팔걸이(40)들의 상면을 향하지 못하면서 전완부가 정형외과적 중립위치, 즉 손등이 전완부와 평행한 이상적인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속목의 신전(Extended Position)이 방지되어 통증, 수근관 증후군, 테니스 엘보우(Tennis Elbow)라 부르고도 있는 상완골 외상과염이 예방된다. 도 6에는 착석자의 전완부를 정형외과적 중립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는 돌기부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돌기부재(70a)는 팔걸이(40)들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팔걸이(40)들과 돌기부재(70a)들의 일체형 구조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를 소재로 사출성형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4 and 5, when the seated person places the arm A on the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merely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or substitutions may be made thereto, and such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 의하면, 제1 및 제2 머리받침대가 착석자의 측두부와 후두부를 좌우방향에서 지지하여 머리무게를 분산시킴으로써, 착석자의 경추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착석자의 피로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머리받침대의 가변 위치가 조절되어 목이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팔걸이들에 지지되는 착석자의 전완부가 자연스럽게 정형외과적 중립위치를 유지하여, 수근부의 근육 및 인대의 염좌, 수근터널증후군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head restraints support the temporal and posterior heads of the seated pers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distribute the head weight, thereby preventing the load from being concentrated on the cervical spine of the seated person. The fatigue of the seated person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the variabl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restraints can be adjusted so that the neck is always in a correct posture, and the forearm of the seated person supported by the armrests naturally maintains the orthopedic neutral position, thereby spraining the muscles and ligaments of the carpals.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carpal tunnel syndrome.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의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hair generally us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자에 착석자 앉아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며,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ated person is seated in a chair shown in FIG. 2;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각각의 머리받침대를 나타내는 부분도이며,4 is a partial view showing each of the head restraint shown in FIG.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의자의 팔걸이를 나타내는 부분도이며,5 is a partial view showing the armrest of the chair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의 돌출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otrud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
10: 좌석 20: 좌석지지대10: seat 20: seat support
30: 등받이 32: 좌측등받이30: back 32: left back
34: 우측등받이 36: 등받이지지대34: Right backrest 36: Backrest support
40: 팔걸이들 42: 지지대40: armrests 42: support
50: 제1 머리받침대 52: 받침부재50: first head rest 52: support member
54: 플렉시블 조인트 56: 고정대54: flexible joint 56: holder
60: 제2 머리받침대 62: 머리받침60: second headrest 62: headrest
64: 플렉시블 조인트 76: 고정대64: flexible joint 76: holder
70: 고정대 72: 나사70: holder 72: screw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6835A KR101053959B1 (en) | 2008-04-21 | 2008-04-21 | chair |
PCT/KR2009/002079 WO2009131360A2 (en) | 2008-04-21 | 2009-04-21 | Chair for correcting pos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6835A KR101053959B1 (en) | 2008-04-21 | 2008-04-21 | chai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9367A Division KR20100082747A (en) | 2010-06-23 | 2010-06-23 | Chai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1198A true KR20090111198A (en) | 2009-10-26 |
KR101053959B1 KR101053959B1 (en) | 2011-08-04 |
Family
ID=4153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6835A Active KR101053959B1 (en) | 2008-04-21 | 2008-04-21 | ch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395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03336A (en) * | 2019-10-16 | 2020-09-01 | 中国人民解放军联勤保障部队第九0四医院 | An adjustable post-operative cervical spine fixation pillow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66379A (en) * | 1999-04-16 | 2000-11-15 | 정중희 | Chair equipped with back supports |
KR200292475Y1 (en) * | 2002-06-21 | 2002-10-25 | 황종섭 | chair having rotatable finger pressure and the front and the rear adjustable head support |
DE10313797A1 (en) | 2003-03-20 | 2004-10-07 | Grammer Ag | Headrest,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seat |
US7213883B2 (en) | 2005-05-26 | 2007-05-08 | Richard Charnitski | Head rest |
-
2008
- 2008-04-21 KR KR1020080036835A patent/KR101053959B1/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03336A (en) * | 2019-10-16 | 2020-09-01 | 中国人民解放军联勤保障部队第九0四医院 | An adjustable post-operative cervical spine fixation pillow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53959B1 (en) | 2011-08-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936369B2 (en) | Posture holder | |
US9352675B2 (en) | Bi-level headrest, body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supporting a user's cranium | |
US20070057562A1 (en) | Contoured Seat And Method | |
US20130226053A1 (en) | Adjustable Postural Support Device | |
TWM355061U (en) | Structure of backrest cushion | |
US9913541B2 (en) | Adjustable seating assembly | |
CN103635119A (en) | Computer chair | |
KR101135969B1 (en) | Back for chair | |
US11166564B2 (en) | Ergonomically configured muscle release office chair | |
KR101053959B1 (en) | chair | |
KR20100082747A (en) | Chair | |
WO2009131360A2 (en) | Chair for correcting posture | |
US20080290701A1 (en) | Ergonomic Support Apparatus | |
CN201029631Y (en) | A seat conforming to the physiological curvature of the spine | |
KR101052551B1 (en) | chair | |
KR20170068837A (en) | Apparatus for posture correction | |
KR101011430B1 (en) | chair | |
JP2007098007A (en) | Chair | |
KR101472815B1 (en) | auxiliary seat | |
KR200269736Y1 (en) | Connecting apparatus of chair's back flap | |
CN206933824U (en) | With the seat that Lumbar pad position is adjusted by level | |
EP3796813A1 (en) | Sitting furniture | |
JP2024092670A (en) | Pillow for attachment to hand | |
TW202423345A (en) | Seat cushion shaping adjustment structure capable of pulling up both sides of the hip board to enhance the support force for the hips when the human body waist leans against the waist board | |
KR20170048682A (en) | Seat pad of wheelchair for correction of pos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62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