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110635A - 양면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양면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635A
KR20090110635A KR1020080036239A KR20080036239A KR20090110635A KR 20090110635 A KR20090110635 A KR 20090110635A KR 1020080036239 A KR1020080036239 A KR 1020080036239A KR 20080036239 A KR20080036239 A KR 20080036239A KR 20090110635 A KR20090110635 A KR 20090110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double
transparent
transparent adhesive
protective gla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주
조천희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6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0635A/ko
Publication of KR20090110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63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제조 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양면 점착 시트의 합착면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할 수 있으며, 굴절율, 투과율 및 헤이즈 등을 최적화시켜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점착층 등의 두께를 최적화여 보호유리의 손상 현상을 방지하며, 표시 장치의 두께를 박형화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 사이에 개재되어,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를 접착시키는 한층의 투명 점착층을 포함하는 양면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여기서, 양면 점착 시트는 제1투명 점착층, 제2투명 점착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투명 필름을 중심으로 양면에 제1투명 점착층 및 제2투명 점착층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양면 점착 시트는 중앙의 투명 점착층을 중심으로 양면에 각각 투명 필름이 접착되고, 각 투명 필름의 바깥면에 투명 점착층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양면 점착 시트, 투명 점착층, 투명 필름, 표시 장치

Description

양면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OUBLE-SIDED ADHESIVE SHEE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양면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블렛(tablet)은 2차원 그래픽 작업을 위한 장치로서,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문자를 쓰거나 또는 그림 등을 그리기 위한 좌표를 지시하고, 판 모양의 타블렛 패드에서 지시한 좌표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는 평판 표시 장치의 하나로서, 다른 표시 장치인 씨알티(CRT)에 비해 경박단소형화 및 저소비전력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박막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는 씨알티에 필적할만한 표시 화면의 고화질화, 대형화 및 컬러화 등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들어 노트북 PC 및 모니터 시장에서 각광받고 있다. 상기의 타블렛 기능과 액정 표시 장치가 결합된 PC가 타블렛 PC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타블렛 PC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타블렛 PC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되는 위치 좌표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타이저가 적층된 LCD 모듈(110')이 베젤(120')에 의해 적층 조립되고, LCD 모듈(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포인팅 디바이스(100') 및 외부 충격에 의한 LCD 모듈(1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유리(130')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타블렛 PC는 포인팅 디바이스(100')에 의한 LCD 모듈(110')의 손상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LCD 모듈(1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LCD 모듈(110')과 보호유리(130') 사이에 대략 0.5~1mm정도의 공기층(150')을 두고 접착제(140')에 의해 베젤(120')과 보호유리(130')를 접착하여 외부 충격이 LCD 모듈(11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LCD 모듈(110')과 보호유리(130')의 사이에 공기층(150')을 두고 타블렛 PC를 제작할 경우, LCD 모듈(110')과 공기층(150'), 보호유리(130')와 공기층(150')의 굴절율 차이로 인하여 LCD 모듈(110')로부터 표시되는 영상의 굴절 및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난반사에 의하여 시인성 및 휘도가 저하됨은 물론, 공기층(150')에 수분이 응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 충격에 의한 LCD 모듈(110') 및 보호유리(130')의 내구성이 약하여, 보호유리(130')의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므로 박형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보호유리와 경화후 굴절율이 비슷한 액상 수지를 LCD 모듈과 보호유리 사이에 주입한 후 실온에서 경화하는 방법, 핫멜 트 접착제(hot melt adhesive)를 가열 용융하여 접착하는 방법, 투명 점착 시트를 진공 압착 처리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실온 경화형 액상 수지로 접합하는 방법은 기포의 혼입과 경화 수축에 의해 접착면이 들뜨는 문제점, 경화 수축에 의해 액정 표시 패널의 셀 갭이 변형되어 표시 무라(mura)가 발생하는 문제점 및 액상 수지의 경화를 위하여 고가의 도포 및 경화 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온 경화형 액상 수지는 경화한 후에 LCD 표시 장치를 재회수할 수 없는 이유로 재접착성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더불어, 핫멜트 접착제는 접착시 고온으로 가열을 하여야 하므로 표시 패널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또는 열화된다.
상기 투명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방법은 보호 기재가 플라스틱 기판일 경우는 보호 기재가 유연성을 갖고 있어서 파손의 위험없이 라미네이팅 등의 필름 접착 방법으로 기포의 혼입을 방지하면서 접착이 가능하다.
그러나, 플라스틱 보호 기재의 표면 경도가 충분하지 못하여 포인팅 디바이스 및 외부로부터의 긁힘 등에 의하여 보호 기재 표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보호 기재로 강화유리를 사용한 경우는, 제조 공정 중 상부 유리의 파손 가능성으로 인하여 라미네이팅 등의 필름 접합 방법을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필름을 면접착하여야 하므로 혼입된 기포의 제거가 어려워 제조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조 설비를 그대로 이용하여 새로운 설비 투자가 필요없는 양면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를 접착시키는 양면 점착 시트중 합착면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최적 온도 및 최적 압력하에서 표시 장치의 손상없이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표시 장치의 제조 수율을 높일 수 있는 양면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양면 점착 시트의 굴절율, 투과율 및 헤이즈 등을 최적화시킴으로써,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면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점착층 또는 투명 필름의 두께를 최적화시킴으로써, 포인팅 디바이스 및 외부 충격에 의한 압력으로부터 보호유리의 손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손쉽게 제조 가능한 양면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얇은 두께의 양면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를 고정시킴으로써, 표시 장치를 더욱 박형화할 수 있는 양면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 사이에 투명 양면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상기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를 접착시키는 투명 점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점착층은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실리콘계 감압성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감압성 점착제, 고무계 감압성 점착제 및 우레탄계 감압성 점착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점착층은 전체 두께가 10㎛ 내지 500㎛일 수 있다.
상기 투명 점착층은 단층의 점착제층으로 형성되거나, 제1투명 점착층과, 상기 제1투명 점착층에 접착되는 제2투명 점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투명 점착층은 상기 표시 모듈에 접착되고, 상기 제2투명 점착층은 상기 보호유리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투명 점착층과 상기 제2투명 점착층은 재질이 서로 같거나 재질이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투명 점착층과 상기 제2투명 점착층은 접착력이 서로 같거나 접착력이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투명 점착층과 상기 제2투명 점착층의 사이에는 투명 필름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 트리아세틸 셀룰로스(TAC)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은 단독 또는 적어도 2종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은 두께가 25㎛ 내지 5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양면 점착 시트는 중앙 투명 점착층; 상기 중앙 투명 점착층의 일면에 접착된 제1투명 필름; 상기 중앙 투명 점착층의 타면에 접착된 제2투명 필름; 상기 제1투명 필름에서 중앙 투명 점착층이 접착된 면의 반대면에 접착된 제1투명 점착층; 및, 상기 제2투명 필름에서 중앙 투명 점착층이 접착된 면의 반대면에 접착된 제2투명 점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는 가시광 파장 영역에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85%보다 크고, 헤이즈는 5.0 %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는 굴절율이 1.47~1.55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위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양면 점착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의 화상 표시면에 투명 점착층을 형성하는 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 상기 투명 점착층에 상기 보호유리를 합착하는 합착 단계; 상기 투명 점착층과 상기 보호유리의 합착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단계; 및,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보호유리의 가장자리를 베젤로 조립하는 베젤 조립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는 상기 표시 모듈 중 화상 표시면 전체에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는 박리라이너에 부착된 투명 점착층을 상기 표시 모듈 중 화상 표시면에 전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합착 단계는 표시 모듈의 점착층과 보호유리를 면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표시 모듈 또는 상기 보호유리에 압력을 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호유리 중 상기 표시 모듈을 향하는 표면에 투명 점착층을 형성하는 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 상기 투명 점착층과 상기 표시 모듈의 표시면을 합착하는 합착 단계; 상기 투명 점착층과 상기 표시 모듈의 합착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단계; 및,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보호유리의 가장자리를 베젤로 조립하는 베젤 조립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는 보호유리 중 상기 표시 모듈의 화상 표시면 전체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는 박리라이너에 부착된 투명 점착층을 상기 보호유리의 상기 표시 모듈을 향하는 표면에 전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합착 단계는 보호유리의 점착층과 표시 모듈을 면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표시 모듈 또는 상기 보호유리에 압력을 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 중 화상 표시면에 제1투명 점착층을 형성하는 제1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 상 기 보호유리 중 상기 표시 모듈을 향하는 표면에 제2투명 점착층을 형성하는 제2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 상기 표시 모듈의 제1투명 점착층 위에 상기 보호유리의 제2투명 점착층을 합착하는 합착 단계; 및, 상기 제1투명 점착층과 상기 제2투명 점착층 사이의 합착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는 상기 표시 모듈 중 화상 표시면 전체에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는 박리라이너에 부착된 제1투명 점착층을 상기 표시 모듈 중 화상 표시면에 전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는 박리라이너에 부착된 제2투명 점착층을 상기 보호유리중 상기 표시 모듈을 향하는 표면 전체에 전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합착 단계는 상기 표시 모듈의 제1투명 점착층과 보호유리의 제2투명 점착층을 면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표시 모듈 또는 상기 보호유리에 압력을 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투명 필름을 중심으로 일면에 제1투명 점착층 및 제1박리 라이너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타면에 제2투명 점착층 및 제2박리 라이너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양면 점착 시트를 구비하는 양면 점착 시트 구비 단계; 상기 양면 점착 시트중 제1박리 라이너를 제거하고, 상기 표시 모듈중 화상 표시면에 상기 제1투명 점착층을 접착하는 양면 점착 시트 접착 단계; 상기 양면 점착 시트중 제2박리 라이너를 제거하고, 상기 제2투명 점착층에 상기 보호유리를 합착하는 합착 단계; 상기 제2투명 점착층의 합착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단계; 및,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보호유리의 가장자리를 베젤로 조립하는 베젤 조립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투명 필름을 중심으로 일면에 제1투명 점착층 및 제1박리 라이너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타면에 제2투명 점착층 및 제2박리 라이너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양면 점착 시트를 구비하는 양면 점착 시트 구비 단계; 상기 양면 점착 시트중 제2박리 라이너를 제거하고, 상기 보호유리에 상기 제2투명 점착층을 접착하는 양면 점착 시트 접착 단계; 상기 양면 점착 시트중 제1박리 라이너를 제거하고, 상기 제1투명 점착층에 상기 표시 모듈중 화상 표시면을 합착하는 합착 단계; 상기 제1투명 점착층의 합착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단계; 및,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보호유리의 가장자리를 베젤로 조립하는 베젤 조립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포 제거 단계는 30℃ 내지 150℃의 공정 온도가 제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포 제거 단계는 1기압 내지 10기압의 공정 압력이 제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은 기존의 제조 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음으로써, 새로운 설비 투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를 접착시키는 양면 점착 시트 중 합착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기포를 최적 온도 및 최적 압력하에서 표시 장치의 손상없이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표시 장치의 제조 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면 점착 시트의 굴절율, 투과율 및 헤이즈 등을 최적화시킴으로써,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 점착층 또는 투명 필름의 두께를 최적화시킴으로써, 포인팅 디바이스 및 외부 충격에 의한 압력으로부터 보호유리의 손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얇은 두께의 양면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를 고정시킴으로써, 표시 장치를 더욱 박형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화상 표시면(111)을 갖는 표시 모듈(110)과, 상기 표시 모듈(110)의 화상 표시면(111)과 대 응하여 형성된 보호유리(120)와, 상기 표시 모듈(110)의 화상 표시면(111)과 보호유리(120)를 접착시키는 양면 점착 시트(130)와, 상기 양면 점착 시트(130)로 고정된 표시 모듈(110) 및 보호유리(120)의 둘레를 고정시키는 베젤(140)을 포함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50은 포인팅 디바이스이다.
상기 표시 모듈(110)은 액정 표시 모듈, 유기전계발광 표시 모듈, 플라즈마 표시 모듈, 전기 영동 표시 모듈 또는 그 등가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여기서 그 표시 모듈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일례로 타블렛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되는 위치 좌표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타이저가 포함된 액정 표시 모듈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호유리(120)는 통상의 유리, 강화유리 또는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여기서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130)는 표시 모듈(110)중 화상 표시면(111)의 시인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투명 점착층 또는 그 등가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130)는 표시 모듈(110)의 시인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라면 어느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면 점착 시트(130)는 굴절율이 대략 1.47~1.55인 투명 점착시트일 수 있다. 상기 보호유리(120)의 굴절율이 대략 1.52이므로, 이와 유사한 굴절율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130)는 표시 모듈(110)과 보호유리(120)의 난반사 현상을 억제하고, 시인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일례로, 상기 양면 점착 시트(130)를 이루는 투명 점착층은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실리콘 계 감압성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감압성 점착제, 고무계 감압성 점착제, 우레탄계 감압성 점착제 및 그 등가물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은 하기할 제1투명 점착층 또는 제2투명 점착층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면 점착 시트(130)로서의 투명 점착층 또는 하기할 제1투명 점착층 및 제2투명 점착층은 두께가 대략 1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대략 30㎛ 내지 400㎛,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50㎛ 내지 300㎛의 범위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130)의 두께가 대략 10㎛ 미만이면 보호유리(120)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이 표시 장치(100) 쪽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상기 표시 장치(100)의 불량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더불어, 상기 양면 점착 시트(130)는 두께가 대략 500㎛를 초과하면 점착시트의 제조가 어렵고, 그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워서 표시무라를 일으킬 수 있고, 표시 장치(100)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져서 박형화의 추세에 위배된다..
상기 베젤(140)은 상기 표시 모듈(110) 및 보호유리(120)의 가장 자리를 따라 결합됨으로써, 상기 표시 모듈(110)과 보호유리(120)를 일체화시킨다. 이러한 베젤(14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시 장치(100)의 낙하 충격을 완화하여 표시 장치(100)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은 양 면 점착 시트 형성 단계(S31)와, 합착 단계(S32)와, 기포 제거 단계(S33)와, 베젤 조립 단계(S34)를 포함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점착 시트 형성 단계(S31)에서는 일례로 액정 표시 패널, 백라이트 어셈블리, 디지타이저를 적층 조립하여 형성한 표시 모듈(110)에 일정 두께의 양면 점착 시트(130)를 접착한다. 즉, 상기 표시 모듈(110)중 화상 표시면(111)의 전체에 투명한 양면 점착 시트(130)를 접착한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130)는 표시 모듈(110)중 화상 표시면(111)에 투명 점착층을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면 점착 시트(130)는 양면이 박리 라이너로 보호된 투명 점착층일 수 있다. 따라서, 일면의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여 투명 점착층이 표시 모듈(110)중 화상 표시면에 접착되도록 하고, 반대면의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여 이후 보호유리(120)가 접착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착 단계(S32)에서는 보호유리(120)를 박리 라이너가 제거된 양면 점착 시트(130) 위에 합착한다. 합착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가능하다. 첫번째 방법으로 먼저 보호유리(120)를 표시 모듈(110)의 양면 점착 시트(130) 위에 배치한다. 이어서, 진공 상태를 만들고 상기 보호유리(120)의 상면 전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하며 상기 양면 점착 시트(130)쪽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표시 모듈(110)과 보호유리(120)의 파손없이, 표시 모듈(110)과 보호유 리(120)가 서로 합착된다. 두번째 방법으로, 먼저 표시 모듈(110)의 양면 점착 시트(130)와 보호유리(120)가 서로 전면에 걸쳐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어서 롤 합착 방식을 이용하여 보호유리(120)를 가압한다. 그러면, 비록 보호유리(120)에 유연성이 없지만 보호유리(120)의 파손이 방지되면서 합착이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유연성이 없는 표시 모듈(110)쪽의 양면 점착 시트(130)와 보호유리(120)는 전면이 맞닿은 상태로 합착이 진행되므로, 기포의 혼입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없다. 따라서, 양면 점착 시트(130)와 보호유리(120) 사이의 합착면에 약간의 기포가 혼입되어 존재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 제거 단계(S33)에서는 보호유리(120)와 양면 점착 시트(130) 사이의 합착면에 형성될 수 있는 기포를 제거한다. 일례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가온, 가압 처리하여 혼입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오토클레이브 내에서의 기포 제거는 표시 장치(100)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온도와 압력에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가 대략 30℃ 내지 150℃, 압력이 대략 1기압 내지 10기압의 조건, 바람직하게는 온도가 대략 40℃ 내지 약 100℃, 압력이 대략 2기압 내지 7기압의 조건에서 실시하면, 혼입된 기포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온도가 대략 30℃ 미만이거나 압력이 대략 1기압 미만인 경우에는 기포의 제거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온도가 대략 150℃를 초과하거나 압력이 10기압을 초과할 경우에는 표시 장치(100)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 조립 단계(S34)에서는 양면 점착 시트(130)에 의해 고정된 표시 모듈(110)과 보호유리(120)의 가장 자리를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베젤(140)로 단단하게 고정시킴으로써, 표시 모듈(110)과 보호유리(120)가 더욱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표시 모듈(110)과 보호유리(120)의 둘레를 베젤(140)로 조립함으로써, 표시 장치(100)의 제조 공정이 완료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의 다른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점착 시트 형성 단계(S31)에서는 일례로 보호유리(120)에 일정 두께의 양면 점착 시트(130)를 접착한다. 즉, 상기 보호유리(120)중 표시 모듈의 화상 표시면과 대응하는 영역에 투명한 양면 점착 시트(130)를 접착한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130)는 보호유리(120)에 투명 점착층을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면 점착 시트(130)는 양면이 박리 라이너로 보호된 투명 점착층일 수 있다. 따라서, 일면의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여 투명 점착층이 보호유리(120)중 화상 표시면과 대응하는 영역에 접착되도록 하고, 반대면의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여 이후 표시 모듈의 화상 표시면이 접착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착 단계(S32)에서는 표시 모듈(110)의 화상 표시면(111)이 박리 라이너가 제거된 양면 점착 시트(130)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여 합착한다. 합착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가능하다. 첫번째 방법으로 먼저 양면 점착 시트(130)가 접착된 보호유리(120)를 표시 모듈(110)의 위에 배치한다. 이어서, 진공 상태를 만들고 상기 보호유리(120)의 상면 전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하며 상기 표시 모듈(110)의 화상 표시면(111)쪽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보호유리(120)와 표시 모듈(110)의 파손없이, 보호유리(120)와 표시 모듈(110)이 서로 합착된다. 두번째 방법으로, 먼저 보호유리(120)의 양면 점착 시트(130)와 표시 모듈(110)의 화상 표시면(111)이 서로 전면에 걸쳐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어서 롤 합착 방식을 이용하여 보호유리(120)를 가압한다. 그러면, 비록 보호유리(120)에 유연성이 없지만 보호유리(120)의 파손이 방지되면서 합착이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유연성이 부족한 보호유리(120)쪽의 양면 점착 시트(130)와 표시 모듈(110)은 전면이 맞닿은 상태로 합착이 진행되므로, 기포의 혼입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없다. 따라서, 양면 점착 시트(130)와 표시 모듈(110)중 화상 표시면(111) 사이의 합착면에 약간의 기포가 혼입되어 존재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 제거 단계(S33)에서는 표시 모듈(110)의 화상표시면(111)과 양면 점착 시트(130) 사이의 합착면에 형성될 수 있는 기포를 제거한다. 일례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가온, 가압 처리하여 혼입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오토클레이브 내에서의 기포 제거는 표시 장치(100)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온도와 압력에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가 대략 30℃ 내지 150℃, 압력이 대략 1기압 내지 10기압의 조건, 바람직하게는 온도가 대략 40℃ 내지 약 100℃, 압력이 대략 2기압 내지 7기압의 조건에서 실시하면, 혼입된 기포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온도가 대략 30℃ 미만이거나 압력이 대략 1기압 미만인 경우에는 기포의 제거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온도가 대략 150℃를 초과하거나 압력이 10기압을 초과할 경우에는 표시 장치(100)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 조립 단계(S34)에서는 양면 점착 시트(130)에 의해 고정된 보호유리(120)와 표시 모듈(110)의 가장 자리를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베젤(140)로 단단하게 고정시킴으로써, 보호유리(120)와 표시 모듈(110)이 더욱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보호유리(120)와 표시 모듈(110)의 둘레를 베젤(140)로 조립함으로써, 표시 장치(100)의 제조 공정이 완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200)는 화상 표시면(111)을 갖는 표시 모듈(110)과, 상기 표시 모듈(110)의 화상 표시면(111)과 대응하여 형성된 보호유리(120)와, 상기 표시 모듈(110)의 화상 표시면(111)과 보호유리(120)를 접착시키는 양면 점착 시트(230)와, 상기 표시 모듈(110)을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보호유리(120)에 접착된 베젤(14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모듈(110)은 액정 표시 모듈, 유기전계발광 표시 모듈, 플라즈마 표시 모듈, 전기 영동 표시 모듈 또는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여기서 그 표시 모듈(110)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일례로 타블렛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되는 위치 좌표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 환하는 디지타이저가 포함된 액정 표시 모듈(1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호유리(120)는 통상의 유리, 강화 유리 또는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여기서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230)는 표시 모듈(110)중 화상 표시면(111)의 시인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제1투명 점착층(231) 및 제2투명 점착층(232)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230)중 제1투명 점착층(231)은 상기 표시 모듈(110)중 화상 표시면(111)의 전체에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양면 점착 시트(230)중 제2투명 점착층(232)은 보호유리(120)의 하면 전체에 형성됨으로써, 일부 영역은 상기 제1투명 점착층(231)에 합착되고, 가장 자리 영역은 상기 베젤(140)에 접착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유리(120)는 상기 양면 점착 시트(230)중 상기 제2투명 점착층(232)에 의해 표시 모듈(110) 및 베젤(140)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양면 점착 시트(230)는 표시 모듈(110)의 시인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면 점착 시트(230)는 굴절율이 대략 1.47~1.55인 제1투명 점착층(231) 및 제2투명 점착층(232)이다. 상기 보호유리(120)의 굴절율이 대략 1.52이므로, 이와 유사한 굴절율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230)는 표시 모듈(110)과 보호유리(120)의 난반사 현상을 억제하고, 시인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더불어, 상기 양면 점착 시트(230)를 이루는 제1투명 점착층(231) 및 제2투명 점착층(232)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양면 점착 시트(230)는 제1투명 점착층(231)과 제2투명 점착층(232)의 접착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투명 점착층(232)의 접착력이 상기 제1투명 점착층(231)의 접착력보다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보호유리(120)를 표시 모듈(110)에 접착할 때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보호유리(120)와 함께 제1투명 점착층(231) 및 제2투명 점착층(232)을 상기 표시 모듈(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듈(110)에 제1투명 점착층(231)을 다시 형성할 수 있고, 이어서 제2투명 점착층(232)을 갖는 보호유리(120)를 재부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양면 점착 시트(230)를 이루는 제1투명 점착층(231) 및 제2투명 점착층(232)의 접착력을 다르게 하여, 재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베젤(140)은 상기 표시 모듈(110)의 가장 자리를 따라 결합되어 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젤(140)의 상부 영역은 양면 점착 시트(230)중 제2투명 점착층(232)에 의해 상기 보호유리(120)에 접착된다. 이와 같은 베젤(140)의 결합 형태에 의해 표시 장치(200)의 가장 자리를 따라서 상부 방향으로 베젤(140)이 돌출되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200)의 제조 방법은 양면 점착 시트중 제1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S61)와, 양면 점착 시트중 제2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S62)와, 합착 단계(S63)와, 기포 제거 단계(S64)를 포함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에 도시된 표시 장치(20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 정도이다.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2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점착 시트중 제1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S61)에서는 일례로 액정 표시 패널, 백라이트 어셈블리, 디지타이저를 적층 조립하고, 그 둘레를 베젤(140)로 결합한 표시 모듈(110)에 양면 점착 시트(230)중 제1투명 점착층(231)을 형성한다. 상기 제1투명 점착층(231)은 상기 표시 모듈(110)중 화상 표시면(111)에 투명 점착층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투명 점착층(231)은 양면이 박리 라이너로 보호된 제1투명 점착층(231)일 수 있다. 따라서, 일면의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여 제1투명 점착층(231)이 표시 모듈(110)중 화상 표시면(111)에 접착되도록 하고, 반대면의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여 이후 보호유리(120)에 형성된 제2투명 점착층(232)이 접착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점착 시트중 제2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S62)에서는 보호유리(120)중 상기 표시 모듈(110)을 향하는 전체 표면에 양면 점착 시트(230)중 제2투명 점착층(232)을 형성한다. 일례로, 상기 제2투명 점착층(232)은 상기 보호유리(120)의 표면에 투명 점착층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투명 점착층(232)은 양면이 박리 라이너로 보호된 제2투명 점착층(232)일 수 있다. 따라서, 일면의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여 제2투명 점착층(232)이 보호유리(120)에 접착되도록 하고, 반대면의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여 이후 표시 모듈(110)에 형성된 제1투명 점착층(231)에 접착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착 단계(S63)에서는 표시 모듈(110)에 형성된 제1투명 점착층(231)과 보호유리(120)에 형성된 제2투명 점착층(232)을 상호간 합착한다. 합착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가능하다. 첫번째 방법으로 먼저 제2투명 점착층(232)이 형성된 보호유리(120)를 제1투명 점착층(231)이 형성된 표시 모듈(110)의 위에 배치한다. 이어서, 진공 상태를 만들고 상기 보호유리(120)의 상면 전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하며 상기 표시 모듈(110)쪽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보호유리(120)의 파손없이, 상기 표시 모듈(110)의 제1투명 점착층(231)과 상기 보호유리(120)의 제2투명 점착층(232)이 상호간 합착된다. 두번째 방법으로, 먼저 표시 모듈(110)의 제1투명 점착층(231)과 보호유리(120)의 제2투명 점착층(232)이 서로 전면에 걸쳐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어서 롤 합착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유리(120)를 가압한다. 그러면, 비록 보호유리(120)에 유연성이 없지만 보호유리(120)의 파손이 방지되면서 합착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유연성이 없는 표시 모듈(110)쪽의 제1투명 점착층(231)과 보호유리(120)의 제2투명 점착층(232)이 맞닿은 상태로 합착이 진행되므로, 상기 제1투명 점착층(231)과 상기 제2투명 점착층(232) 사이의 합착면에 기포가 혼입될 수 있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 제거 단계(S64)에서는 표시 모듈(110)에 형성된 제1투명 점착층(231)과 보호유리(120)에 형성된 제2투명 점착층(232) 사이의 합착면에 형성될 수 있는 기포를 제거한다. 일례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가온, 가압 처리하여 혼입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오토클레이브 내에서의 기포 제거는 표시 장치(200)의 기능을 저 해하지 않는 온도와 압력에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가 대략 30℃ 내지 150℃, 압력이 대략 1기압 내지 10기압의 조건, 바람직하게는 대략 40℃ 내지 약 100℃, 압력이 대략 2기압 내지 7기압의 조건에서 실시하면, 혼입된 기포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온도가 대략 30℃ 미만이거나 압력이 대략 1기압 미만인 경우에는 기포의 제거 효율이 완벽하지 않다. 또한, 온도가 대략 150℃를 초과하거나 압력이 10기압을 초과할 경우에는 표시 장치(200)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베젤(140)은 이미 표시 모듈(110)이 결합된 상태이고, 이러한 베젤(140)에는 보호유리(120)에 형성된 제2투명 점착층(232)이 접착된 상태이므로, 상기와 같은 기포 제거 단계에 의해 표시 장치(200)의 제조 공정은 완료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300)는 화상 표시면(111)을 갖는 표시 모듈(110)과, 상기 표시 모듈(110)의 화상 표시면(111)과 대응하여 형성된 보호유리(120)와, 상기 표시 모듈(110)의 화상 표시면(111)과 보호유리(120)를 접착시키는 양면 점착 시트(330)와, 상기 양면 점착 시트(330)로 고정된 표시 모듈(110) 및 보호유리(120)의 둘레를 고정시키는 베젤(14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모듈(110)은 액정 표시 모듈, 유기전계발광 표시 모듈, 플라즈마 표시 모듈, 전기 영동 표시 모듈 또는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여기서 그 표시 모듈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일례로 타블렛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되는 위치 좌표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 는 디지타이저가 포함된 액정 표시 모듈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호유리(120)는 통상의 유리, 강화 유리 또는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여기서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330)는 표시 모듈(110)중 화상 표시면(111)의 시인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양면 점착 시트(330)는 투명 필름(331), 제1투명 점착층(332) 및 제2투명 점착층(3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331)을 제1투명 점착층(332)과 제2투명 점착층(333) 사이에 도입하면, 점착제층의 두께를 줄이고 전체 양면 점착 시트의 두께를 높일 수 있어 양면 점착 시트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 투명 필름 양편에 제1투명 점착제층과 제2투명 점착제층의 접착력을 다르게 조절하여 재접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331)은 표시 장치(300)의 시인성을 저해시키지 않는 투과율과 헤이즈를 갖고, 강화유리와 유사한 굴절율을 갖는 것이라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투명 필름(331)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 트리아세틸 셀룰로스(TA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필름(331)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고투명성을 가지면서 보호유리(120)와 비슷한 굴절율을 가지는 필름,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PMMA)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331)은 두께가 대략 25㎛ 내지 약 500㎛, 바람직하게는 대략 100㎛ 내지 400㎛ 내의 범위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331)의 두께가 25㎛ 미만이면 표시 장치(300)의 내충격성을 높이기 위하여 점착제층을 두껍게 형성해야 하므로 양면 점착 시트의 제조가 어려워 져서, 점착시트의 제조 수율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투명 필름(331)의 두께가 500㎛를 초과하면 표시 장치(300)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져서 박형화의 추세에 위배된다.
상기 투명 필름(331)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제1투명 점착층(332) 및 제2투명 점착층(333)은 표시 장치(300)의 시인성을 저해시키지 않는 투명성을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투명 점착층(332) 및 상기 제2투명 점착층(333)은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실리콘계 감압성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감압성 점착제, 고무계 감압성 점착제, 우레탄계 감압성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압성 점착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투명 점착층(332)과 상기 제2투명 점착층(333)은 두께가 대략 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대략 5㎛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10㎛ 내지 30㎛의 범위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1투명 점착층(332) 및 상기 제2투명 점착층(333)의 두께가 대략 1㎛ 미만이면 보호유리(120)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압력이 표시 모듈(110)쪽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표시 장치(300)의 불량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상기 제1투명 점착층(332) 및 제2투명 점착층(333)은 두께가 대략 100㎛를 초과하면 투명 필름을 채용하여도 점착제층을 두껍게 형성해야 하므로 투명 필름에 의한 투명 점착 시트 제조의 용이성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기와 같은 양면 점착 시트(330)는 투명 필름(331)의 양쪽 면에 각각 제1투명 점착층(332)과 제2투명 점착층(333)을 도포하여 형성하는 방법, 또는 박리 라이너상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점착층을 투명 필름(331)의 양면에 전사하는 방법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 시트(330)는 투과율이 대략 85% 이상이고, 헤이즈(haze)는 대략 5.0%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과율이 대략 90% 이상이고, 헤이즈는 대략 2.0% 이하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이 85% 미만 또는 헤이즈가 5.0%를 초과하게 되면, 표시 장치(300)의 시인성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 시트(330) 즉, 투명 필름(331), 제1투명 점착층(332) 및 제2투명 점착층(333)의 총 굴절율은 보호유리(120)와 비슷한 대략 1.47~1.55, 바람직하게는 굴절율이 1.49~1.53 이내의 범위로 선택될 수 있다. 굴절율이 1.47 미만이거나 1.55를 초과하면 보호유리와의 굴절율 차이가 커져서 표시 장치(300)의 시인성 향상효과를 얻을 수 없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 시트(330)는 제1투명 점착층(332)과 제2투명 점착층(333)이 박리 라이너로 보호된 상태로 제공되어, 선택적으로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여 표시 모듈(110)과 보호유리(120)를 고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베젤(140)은 상기 표시 모듈(110) 및 보호유리(120)의 가장 자리를 따라 결합됨으로써, 상기 표시 모듈(110)과 보호유리(120)를 일체화시킨다. 이러한 베젤(14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으며, 표시 장치(300)의 낙하시 충격을 완화하여 표시 장치(300)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300)의 제조 방법은 양면 점착 시트 구비 단계(S91)와, 양면 점착 시트 접착 단계(S92)와, 합착 단계(S93)와, 기포 제거 단계(S94)와, 베젤 조립 단계(S95)를 포함한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도 10에 도시된 표시 장치(30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3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점착 시트 구비 단계(S91)에서는 투명 필름(331)을 중심으로 일면에 제1투명 점착층(332) 및 제1박리 라이너(334)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타면에 제2투명 점착층(333) 및 제2박리 라이너(335)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양면 점착 시트(330)를 구비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점착 시트 접착 단계(S92)에서는 상기 양면 점착 시트(330)중 제1박리 라이너(334)를 제거하고, 상기 표시 모듈(110)중 화상 표시면(111)에 상기 제1투명 점착층(332)을 접착한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착 단계(S93)에서는 상기 양면 점착 시트(330)중 제2박리 라이너(335)를 제거하여, 제2투명 점착층(333)이 외부로 노출되 도록 한 후, 그 위에 보호유리(120)를 합착한다. 합착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가능하다. 첫번째 방법으로 먼저 보호유리(120)를 제2투명 점착층(333)이 형성된 표시 모듈(110)의 위에 배치한다. 이어서, 진공 상태를 만들고 상기 보호유리(120)의 상면 전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하며 상기 표시 모듈(110)쪽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보호유리(120)의 파손없이, 상기 표시 모듈(110)의 제2투명 점착층(333)과 상기 보호유리(120)가 상호간 합착된다. 두번째 방법으로, 먼저 표시 모듈(110)의 제2투명 점착층(333)과 보호유리(120)가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어서 롤 합착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유리(120)를 가압한다. 그러면, 비록 보호유리(120)에 유연성이 없지만 보호유리(120)의 파손이 방지되면서 합착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 제거 단계(S94)에서는 상기 제2투명 점착층(333)과 보호유리(120) 사이의 합착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한다. 일례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가온, 가압 처리하여 혼입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오토클레이브 내에서의 기포 제거는 표시 장치(300)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온도와 압력에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가 대략 30℃ 내지 150℃, 압력이 대략 1기압 내지 10기압의 조건, 바람직하게는 대략 40℃ 내지 약 100℃, 압력이 대략 2기압 내지 7기압의 조건에서 실시하면, 혼입된 기포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온도가 대략 30℃ 미만이거나 압력이 대략 1기압 미만인 경우에는 기포의 제거 효율이 완벽하지 않다. 또한, 온도가 대략 150℃를 초과하거나 압력이 10기압을 초과할 경우에는 표시 장 치(300)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젤 조립 단계(S95)에서는 양면 점착 시트(330)에 의해 고정된 표시 모듈(110)과 보호유리(120)의 가장 자리를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베젤(140)로 단단하게 고정시킴으로써, 표시 모듈(110)과 보호유리(120)가 더욱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표시 모듈(110)과 보호유리(120)의 경계를 베젤(140)로 조립함으로써, 표시 장치(300)의 제조 공정이 완료된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여기서, 도 12a에 도시된 양면 점착 시트 구비 단계(S91)는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고, 도 12d에 도시된 기포 제거 단계(S94)는 도 11d에 도시된 것과 같으며, 도 12e에 도시된 베젤 조립 단계(S95)는 도 11e에 도시된 것과 같다. 따라서, 동일한 공정의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점착 시트 접착 단계(S92)에서는 양면 점착 시트(330)중 제2박리 라이너(335)를 제거하고, 보호유리(120)의 저면에 제2투명 점착층(333)이 접착되도록 한다.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착 단계(S93)에서는 상기 양면 점착 시트(330)중 제1박리 라이너(334)를 제거하여, 제1투명 점착층(33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 그 아래에 위치된 표시 모듈(110)의 화상 표시면(111)에 상기 제1투명 점착층(332)이 접착되도록 한다. 합착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가능하다. 첫번째 방법으로 먼저 표시 모듈(110)의 위에 제1투명 점착층(332)이 형성된 보호유리(120)를 위치시킨다. 이어서, 진공 상태를 만들고 상기 보호유리(120)의 상면 전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하며 상기 표시 모듈(110)쪽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보호유리(120)의 파손없이, 상기 보호유리(120)의 제1투명 점착층(332)이 상기 표시 모듈(110)의 화상 표시면에 합착된다. 두번째 방법으로, 먼저 보호유리(120)의 제1투명 점착층(332)이 표시 모듈(110)에 접촉되도록 하고, 이어서 롤 합착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유리(120)를 가압한다. 그러면, 비록 보호유리(120)에 유연성이 없지만 보호유리(120)의 파손이 방지되면서 합착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양면 점착 시트(330)를 표시 모듈(110)이 아닌 보호유리(120)에 먼저 접착한 후 나머지 공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양면 점착 시트(330)의 접착 순서를 바꿔도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모두 동일하게 나타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점착 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 시트(430)는 중앙 투명 점착층(430a)과, 상기 중앙 투명 점착층(430a)의 일면에 접착된 제1투명 필름(431)과, 상기 중앙 투명 점착층(430a)의 타면에 접착된 제2투명 필름(432)과, 상기 제1투명 필름(431)에서 중앙 투명 점착층(430a)이 접착된 면의 반대면에 접착된 제1투명 점 착층(433)과, 상기 제2투명 필름(432)에서 중앙 투명 점착층(430a)이 접착된 면의 반대면에 접착된 제2투명 점착층(4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투명 점착층(433)은 제1박리 라이너가(435)가 덮고, 상기 제2투명 점착층(434)는 제2박라 라이너(436)가 덮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중앙 투명 점착층(430a), 제1투명 점착층(433) 및 제2투명 점착층(434)은 상기 다른 실시예에 개시된 투명 점착층과 재료, 물리 및 화학 특성이 모두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1투명 필름(431) 및 제2투명 필름(432) 역시 상기 다른 실시예에 개시된 투명 필름과 재료, 물리 및 화학 특성이 동일하다. 더욱이, 이러한 양면 점착 시트(430)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도 상기 다른 실시예에 개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대략 80㎛ 두께의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필름의 한 면에 박리라이너로 양면이 보호된 아크릴계 점착층(나노폴리텍사 DAF??030)을 롤라미네이터(로얄소브린 RSL??2702)를 이용하여 압력 0.8kg/cm2, 3cm/sec의 속도로 전사하여 대략 30㎛의 두께로 제1투명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필름의 다른 쪽에 박리라이너로 양면이 보호된 아크릴계 점착층(나노폴리텍사 DAF??030)을 롤 합착 방식으로 전사하여 대략 30㎛의 두께로 제2투명 점착층을 형성하여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상기 양면 점착 시트의 제조후 제2투명 점착층을 보호유리의 표면에 롤 합착 방식으로 접착하고, 이어서 제1투명 점착층을 표시 모듈중 화상 표시면 즉, 편광판에 롤 합착 방식에 의해 접착시켰다. 물론, 그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즉, 제1투명 점착층을 표시 모듈의 화상 표시면에 롤 합착 방식으로 접착하고, 이어서 제2투명 점착층에 보호유리의 표면이 롤 합착 방식으로 접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된 샘플을 오토클레이브내에서 대략 50℃의 온도 및 5기압의 압력으로 20분간 처리한 후 평가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투명 필름의 기재로서 대략 120㎛ 두께의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평가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투명 필름의 기재로서 대략 380㎛ 두께의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평가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투명 필름의 기재로서 대략 120㎛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평가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투명 필름의 기재로서 대략 380㎛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평가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대략 120㎛ 두께의 제1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 면에 박리 라이너로 양면이 보호된 아크릴계 점착층(나노폴리텍사 DAF??030)을 롤라미네이터(로얄소브린 RSL??2702)를 이용하여 압력 0.8kg/cm2, 3cm/sec의 속도로 전사하여 대략 30㎛의 두께로 중앙 투명 점착층을 형성한 후, 제2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롤라미네이터로 합착하였다. 즉, 제1투명 필름과 제2투명 필름 사이에 중앙 투명 점착층을 형성한 것이다.
이어서, 합착된 제1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다른 면에 박리라이너로 양면이 보호된 아크릴계 점착층(나노폴리텍사 DAF??030)을 롤라미네이터로 전사하여 대략 30㎛의 두께로 제1투명 점착층을 형성한 후, 다른 쪽 제2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반대면에 박리라이너로 양면이 보호된 아크릴계 점착층(나노폴리텍사 DAF??030)을 롤합착방식으로 전사하여 대략 30㎛의 두께로 제2투명 점착층을 형성하여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양면 점착 시트의 제조 후 제1투명 점착층 쪽의 면에 보호유리를 롤합착에 의하여 접착시키고, 제2투명 점착층 쪽의 면을 표시 모듈에 미리 형성된 편광판에 롤합착에 의하여 접착하였다. 접착된 샘플을 오토클레이브내에서 대략 50℃의 온도 및 대략 5기압의 압력으로 20분간 처리한 후 평가 샘플을 제조 하였다.
실시예 7
베젤을 제거하지 않은 표시 모듈의 화상 표시면 즉, 편광판에 박리라이너로 양면이 보호된 아크릴계 점착층(나노폴리텍사 DAF??300)을 롤라미네이터(로얄소브린 RSL??2702)를 이용하여 압력 0.8kg/cm2, 3cm/sec의 속도로 전사하여 대략 300㎛의 두께로 제1투명 점착층을 형성하고, 보호유리의 표면에 박리라이너로 양면이 보호된 아크릴계 점착층(나노폴리텍사 DAF??030)을 롤 합착 방식으로 전사하여 제2투명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제1투명 점착층과 제2투명 점착층의 박리라이너를 제거하여 접착이 가능하도록 한 후, 보호유리의 제2투명 점착층을 제1투명 점착층과 베젤 위에 롤 합착 방식에 의해 접착시켰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된 샘플을 오토클레이브내에서 대략 50℃의 온도 및 5기압의 압력으로 20분간 처리한 후 평가 샘플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투명 필름의 기재로서 380㎛ 두께의 폴리에스테르술폰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평가 샘플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표시 모듈에 형성된 편광판 위에 경화후의 두께가 400㎛가 되도록 자외선 경화성 아크릴계 중합 용액을 도포한 후 보호유리를 덮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서 평가 샘플을 제조 하였다.
<양면 점착 시트의 특성 평가>
1) 낙하충격 평가
금속제 지지구(외경 60mm, 내경 50mm, 높이 40mm)에 도 14와 같이 글래스 다이(두께 3mm ㅧ 100mm)를 놓고 그 위에 산도종이를 적재하며, 더불어 그 위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표시 장치를 산도종이 위에 적층한다. 그리고 무게 0.1Kgf의 쇠구슬을 1m의 높이에서부터 자유낙하시킨다. 그때 충격치(0.981J)에서 표시 장치가 파손하지 않으면 ○, 파손하면 ㅧ 라고 평가하였다.
2) 투과율 및 헤이즈 평가
양면 점착 시트의 헤이즈의 측정을 통해 양면 점착 시트의 광투과도를 평가하였다. 먼저 헤이즈 측정 샘플은 40 ㅧ 70mm2로 잘라내고 JIS K7150과 ASTM D 1003??95에 근거해서 적분 공식 광선 투과율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확산투과율 Td 및 전광선 투과율 Ti를 측정하였다. 헤이즈는 Ti에 대한 Td의 백분율로 정의한다. 이어서 측정 샘플은 동일한 순서로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3) 내구성의 평가
양면 점착 시트의 제2투명 점착층 쪽의 면에 보호유리를 롤 합착 방식으로 접착시키고, 제1투명 점착층 쪽의 면을 표시 모듈에 미리 형성된 화상 표시면 즉, 편광판에 롤 합착 방식으로 접착하였다. 접착된 샘플을 오토클레이브내에서 50℃의 온도 및 5기압의 압력으로 20분간 처리하여 내구성 평가 샘플을 제작하였다. 상 기 샘플을 80℃, 및 60℃, 90%RH의 조건에서 240시간 방치한 후, 육안 관찰로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접착 계면에서 외관 결함이 관찰되지 않았을 경우 ○, 기포, 부유 등의 결함이 관찰되었을 경우 ㅧ로 평가하였다.
4) 시인성 평가
양면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보호유리와 편광판이 부착된 표시 모듈을 롤합착방식으로 접착시키고, 접착된 샘플을 오토클레이브내에서 대략 50℃의 온도 및 대략 5기압의 압력으로 20분간 처리하였다. 표시 장치를 구동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표시 이상 유무를 관찰하였다
5) 재접착성의 평가
양면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편광판이 부착된 표시 장치를 롤 합착 방식으로 접착시키고, 접착된 샘플을 오토클레이브내에서 50℃의 온도 및 5기압의 압력으로 20분간 처리하였다. 양면 점착 시트를 박리 속도 대략 300mm/min 및 박리 각도 대략 30도 내지 60도에서 박리하였다. 박리후 양면 점착 시트를 편광판이 부착된 표시 장치에 재접착하는 경우의 접착면에 유발되는 기포의 혼입 유무 등을 육안으로 확인한후 기포의 혼입시 불량, 기포의 혼입이 없을시 불량 없음으로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08027843286-PAT00001
위의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에 개시된 양면 점착 시트는 굴절율이 1.47 내지 1.53의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보호유리의 굴절율과 유사하다. 그러나, 비교예 1에 개시된 양면 점착 시트는 굴절율이 1.63으로서 보호유리의 굴절율과 많은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또한, 투과율에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 6은 다른 실시예 1 내지 5 및 7에 비하여 낮은 값을 갖는다. 이는 실시예 6이 2장의 투명 필름을 사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실시예 6 역시 시인성에 있어서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오히려 비교예 1에 개시된 양면 점착 시트의 경우 영상이 흐려지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또한 비교예 2에 개시된 양면 점착 시트의 경우 무라가 발생하였다.
더불어, 내구성 평가에 있어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은 모든 항목을 통과하였으나, 비교예 2의 경우 박리가 불가능하였으며, 내부에 기포의 혼입이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표시 장 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다른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도 10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점착 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낙하 충격 평가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300;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110; 표시 모듈 120; 보호유리
130,230,330,430; 양면 점착 시트 140; 베젤

Claims (26)

  1.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를 접착시키는 투명 점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점착층은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실리콘계 감압성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감압성 점착제, 고무계 감압성 점착제 및 우레탄계 감압성 점착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점착층은 두께가 10㎛ 내지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점착층은 제1투명 점착층과, 상기 제1투명 점착층에 접착되는 제2투명 점착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투명 점착층은 상기 표시 모듈에 접착되고, 상기 제2투명 점착층은 상기 보호유리에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 점착층과 상기 제2투명 점착층은 재질이 서로 같거나 재질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 점착층과 상기 제2투명 점착층은 접착력이 서로 같거나 접착력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 점착층과 상기 제2투명 점착층의 사이에는 투명 필름이 더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 트리아세틸 셀룰로스(TAC)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은 단독 또는 적어도 2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은 두께가 25㎛ 내지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11. 중앙 투명 점착층;
    상기 중앙 투명 점착층의 일면에 접착된 제1투명 필름;
    상기 중앙 투명 점착층의 타면에 접착된 제2투명 필름;
    상기 제1투명 필름에서 중앙 투명 점착층이 접착된 면의 반대면에 접착된 제1투명 점착층; 및,
    상기 제2투명 필름에서 중앙 투명 점착층이 접착된 면의 반대면에 접착된 제2투명 점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 시트는 가시광 파장 영역에서의 총 광선 투과율이 85%보다 크고, 헤이즈는 5.0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 시트는 굴절율이 1.47~1.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14.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적어도 어느 한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시트를 갖는 표시 장치.
  15. 제 12 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시트를 갖는 표시 장치.
  16. 제 13 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시트를 갖는 표시 장치.
  17.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의 화상 표시면에 투명 점착층을 형성하는 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
    상기 투명 점착층에 상기 보호유리를 합착하는 합착 단계;
    상기 투명 점착층과 상기 보호유리의 합착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단계; 및,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보호유리의 가장자리를 베젤로 조립하는 베젤 조립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 단계는 표시 모듈의 점착층과 보호유리를 면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표시 모듈 또는 상기 보호유리에 압력을 가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 치의 제조 방법.
  19.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호유리중 상기 표시 모듈을 향하는 표면에 투명 점착층을 형성하는 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
    상기 투명 점착층에 상기 표시 모듈을 합착하는 합착 단계;
    상기 투명 점착층과 상기 표시 모듈의 합착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단계; 및,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보호유리의 가장자리를 베젤로 조립하는 베젤 조립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 단계는 보호유리의 점착층과 상기 표시 모듈을 면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표시 모듈 또는 상기 보호유리에 압력을 가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1.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중 화상 표시면에 제1투명 점착층을 형성하는 제1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
    상기 보호유리중 상기 표시 모듈을 향하는 표면에 제2투명 점착층을 형성하 는 제2투명 점착층 형성 단계;
    상기 표시 모듈의 제1투명 점착층 위에 상기 보호유리의 제2투명 점착층을 합착하는 합착 단계; 및,
    상기 제1투명 점착층과 상기 제2투명 점착층 사이의 합착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 단계는 상기 표시 모듈의 제1투명 점착층과 보호유리의 제2투명 점착층을 면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표시 모듈 또는 상기 보호유리에 압력을 가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3.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투명 필름을 중심으로 일면에 제1투명 점착층 및 제1박리 라이너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타면에 제2투명 점착층 및 제2박리 라이너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양면 점착 시트를 구비하는 양면 점착 시트 구비 단계;
    상기 양면 점착 시트중 제1박리 라이너를 제거하고, 상기 표시 모듈중 화상 표시면에 상기 제1투명 점착층을 접착하는 양면 점착 시트 접착 단계;
    상기 양면 점착 시트중 제2박리 라이너를 제거하고, 상기 제2투명 점착층에 상기 보호유리를 합착하는 합착 단계;
    상기 제2투명 점착층의 합착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단계; 및,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보호유리의 가장자리를 베젤로 조립하는 베젤 조립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4. 표시 모듈과, 보호유리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투명 필름을 중심으로 일면에 제1투명 점착층 및 제1박리 라이너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타면에 제2투명 점착층 및 제2박리 라이너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양면 점착 시트를 구비하는 양면 점착 시트 구비 단계;
    상기 양면 점착 시트중 제2박리 라이너를 제거하고, 상기 보호유리에 상기 제2투명 점착층을 접착하는 양면 점착 시트 접착 단계;
    상기 양면 점착 시트중 제1박리 라이너를 제거하고, 상기 제1투명 점착층에 상기 표시 모듈중 화상 표시면을 합착하는 합착 단계;
    상기 제1투명 점착층의 합착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단계; 및,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보호유리의 가장자리를 베젤로 조립하는 베젤 조립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5. 제 17 항, 제 19 항, 제 21 항,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기포 제거 단계는 30℃ 내지 150℃의 공정 온도가 제공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6. 제 17 항, 제 19 항, 제 21 항,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기포 제거 단계는 1기압 내지 10기압의 공정 압력이 제공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80036239A 2008-04-18 2008-04-18 양면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ithdrawn KR20090110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239A KR20090110635A (ko) 2008-04-18 2008-04-18 양면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239A KR20090110635A (ko) 2008-04-18 2008-04-18 양면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635A true KR20090110635A (ko) 2009-10-22

Family

ID=4153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239A Withdrawn KR20090110635A (ko) 2008-04-18 2008-04-18 양면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063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096B1 (ko) * 2011-03-07 2013-06-13 주식회사 디엠케이 기포제거방법
KR20150039034A (ko) * 2013-10-01 2015-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6007163A1 (en) * 2014-07-10 2016-01-14 Apple Inc. Method for activating adhesives on complex surfaces
JPWO2018194103A1 (ja) * 2017-04-19 2020-02-27 Agc株式会社 カバー部材および表示装置
CN114019600A (zh) * 2021-11-17 2022-02-08 重庆京东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偏光结构层、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096B1 (ko) * 2011-03-07 2013-06-13 주식회사 디엠케이 기포제거방법
KR20150039034A (ko) * 2013-10-01 2015-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6007163A1 (en) * 2014-07-10 2016-01-14 Apple Inc. Method for activating adhesives on complex surfaces
JPWO2018194103A1 (ja) * 2017-04-19 2020-02-27 Agc株式会社 カバー部材および表示装置
CN114019600A (zh) * 2021-11-17 2022-02-08 重庆京东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偏光结构层、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385B1 (ko) 양면 점착 시트 및 표시장치에 대한 터치패널의 접착 고정 방법
JP4493273B2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EP1973089B1 (en) Process for producing display and method of laminating
TWI553084B (zh) 具有光學膠黏劑之物件及彼等之製造方法
US10000037B2 (en) Transparent laminate and protective tool including the same
JP2009227826A (ja) 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画像表示モジュール
KR20130002288A (ko) 광학용 양면 감압 점착 시트, 광학 부재, 터치 패널, 화상 표시 장치, 및 분리 방법
TW201226201A (en) Transparent protective plate,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for producing flat panel display
CN101322169A (zh) 粘合方法以及显示装置的制造方法
JP2003342542A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CN1708984A (zh) 显示器用的贴面固定系统
JP5530743B2 (ja) 凹凸追従性積層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20090110635A (ko) 양면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060058B2 (ja) 情報表示面の保護シート及び保護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90103537A (ko)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갖는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JP6390087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47980B1 (ko) 비산 방지 효과가 강화된 전사 인쇄를 위한 무 기재 점착 테이프
JP2003150065A (ja) フィルター一体型画像表示装置
JP2009139435A (ja) 表示デバイス及びリペア可能な透明板を有する表示デバイス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34879B1 (ko) 광학용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TW202124641A (zh) 著色黏著片及顯示體
WO2013016859A1 (en) Layered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2015012438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17138364A1 (ja) 液晶表示装置
KR101648221B1 (ko) 요철 추종성 적층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터치 패널 부착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