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315A - 레가시 단말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전송 및갱신 방법 - Google Patents
레가시 단말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전송 및갱신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06315A KR20090106315A KR1020080041035A KR20080041035A KR20090106315A KR 20090106315 A KR20090106315 A KR 20090106315A KR 1020080041035 A KR1020080041035 A KR 1020080041035A KR 20080041035 A KR20080041035 A KR 20080041035A KR 20090106315 A KR20090106315 A KR 200901063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nnel
- control information
- transmission control
- legacy
- reg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레가시 단말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전송 및 갱신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은 슈퍼프레임의 신규 영역에서 레가시 영역의 채널 기술자를 지시하는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슈퍼맵을 전송하고, 상기 레가시 영역에서 상기 채널 기술자와 상기 채널 기술자를 지시하는 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채널 기술자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변경 카운트 또는 변경 비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기지국이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를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신규 단말은 매번 시스템 정보를 디코딩할 필요가 없으며 변경된 시스템 정보만을 디코딩하고 갱신할 수 있으므로, 무선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시스템 정보의 갱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MAP IE, channel descriptor, DCD, UCD, resource overhead
Description
본 발명은 MAP 정보 요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레가시(Legacy) 단말을 지원하는 경우, 자원 오버헤드(resource overhead)를 최소화하면서 신규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효율적으로 갱신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UCD(Uplink Channel Descriptor)의 갱신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UL-MAP은 프레임 존속 구간을 20 ms로 하여 매 프레임마다 전송되고, UCD 전송 간격은 10s로 가정한다. 또한 단말은 이미 설정 변경 카운트가 i인 UCD를 받은 상태이다. 기지국은 UCD 카운트가 i인 UL-MAP을 20ms마다 전송한다(S101, S102). 기지국은 UCD 메시지를 전송할 시점에 설정 변경 카운트가 i인 UCD 메시지를 재전송한다(S103). 이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해당 메시지를 디코딩한 후, 자신이 갖고 있는 UCD와 새로 수신한 UCD의 설정 변경 카운트를 비교하여 같을 경우 새로 수신한 메시지 내의 시스템 정보를 무시한다(S104). 기지국은 계속 해서 UCD 카운트가 i인 UL-MAP을 20ms마다 전송한다(S105). 만약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S106), 기지국은 설정 변경 카운트 (i+1)와 변경된 UCD 메시지를 해당 전송시점에 전송한다(S107). 수신한 단말은 해당 메시지를 디코딩한 후, 자신이 갖고 있는 UCD와 새로 수신한 UCD의 설정 변경 카운트를 비교하여 다를 경우 새로 수신한 메시지 내의 시스템 정보를 저장한다(S108). 기지국은 계속해서 UCD 카운트가 i인 UL-MAP을 20ms마다 전송한다(S109, S110). 기지국은 앞서 전송한 UCD 메시지를 해당 전송시점에 재전송하고 UCD 전이 구간(UCD transition interval) 타이머를 시작한다(S111). 이 타이머가 종료되면, 기지국은 UCD 카운트가 i+1인 UL-MAP을 전송한다(S112). 이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기존 UCD 시스템 정보는 삭제하고 새로운 UCD 시스템 정보를 적용한다(S113). 이와 같은 과정은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메시지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를 하나의 메시지로 긴 간격마다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은 단말들이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메시지를 매번 디코딩하게 하며, 갱신할 필요가 없는 시스템 정보까지 저장 및 갱신하게 한다. 또한 단말이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적용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질 수 있다.
도 1b는 IEEE 802.16m의 슈퍼프레임과 프레임, 서브프레임, OFDM 심볼과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의 예에서 한 슈퍼프레임의 길이는 20ms이고, 5ms길이를 갖는 프레임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슈퍼프레임의 시작 위치에는 슈퍼프레임 헤더(Super-Frame header)가 존재하는데, 슈퍼프레임 헤더 시스템 정보, 방송메시지들을 포함한다. 슈퍼프레임 헤더는 몇 개의 심볼로 구성된 구조 또는 몇 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5ms길이의 한 프레임은 8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한 서브프레임은 6개의 OFDMA 심볼들로 구성된다.
도 2는 레가시 단말과 신규 단말 각각에 대한 시스템 정보의 스케줄링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신규 시스템의 요구사항(예를 들어, TGm SRD - IEEE 802.16m-07/002r4)이 충족되도록 최적화된 시스템 정보 전송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레가시 영역과 신규 영역 모두 각각 시스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무선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 번째 기술적 과제는 신규 단말에서 레가시 영역으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 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한정된 무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레가시 영역으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신규 단말이 수신하고 갱신할 수는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첫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은 슈퍼프레임의 신규 영역에서 레가시 영역의 채널 기술자(Channel Descriptor)를 지시하는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슈퍼맵을 전송하고, 상기 레가시 영역에서 상기 채널 기술자와 상기 채널 기술자를 지시하는 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채널 기술자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변경 카운트 또는 변경 비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채널 기술자가 전송되는 시작 서브프레임, 시작 무선 블록 또는 상기 채널 기술자에 할당된 무선 블록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레가시 영역의 DCD 메 시지와 UCD 메시지를 각각 지시하는 별도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레가시 영역의 DCD 메시지와 UCD 메시지에 대한 반복 코딩 방법 또는 코딩 방법을 지시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은 슈퍼프레임의 신규 영역에서 레가시 영역의 채널 기술자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변경 카운트를 포함하는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를 슈퍼맵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신규 단말에서 상기 설정 변경 카운트에 따라 상기 채널 기술자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레가시 영역에서 상기 채널 기술자를 디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레가시 영역의 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설정 변경 카운트와 동일한 UCD 카운트 및/또는 DCD 카운트가 수신되면, 상기 채널 기술자를 상기 신규 단말의 시스템 정보에 적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신규 영역의 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설정 변경 카운트와 동일한 UCD 카운트 및/또는 DCD 카운트가 수신되면, 상기 채널 기술자를 상기 신규 단말의 시스템 정보에 적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채널 기술자가 전송되는 시작 서브프레임, 시작 무선 블록 또는 상기 채널 기술자에 할당된 무선 블록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레가시 영역의 DCD 메시지와 UCD 메시지에 대한 반복 코딩 방법 또는 코딩 방법을 지시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은 슈퍼프레임의 신규 영역에서 레가시 영역의 채널 기술자의 변경 여부를 토글 방식으로 나타내는 변경 비트를 포함하는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를 슈퍼맵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신규 단말에서 상기 변경 비트에 따라 상기 채널 기술자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레가시 영역에서 상기 채널 기술자를 디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채널 기술자가 전송되는 시작 서브프레임, 시작 무선 블록 또는 상기 채널 기술자에 할당된 무선 블록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레가시 영역의 DCD 메시지와 UCD 메시지에 대한 반복 코딩 방법 또는 코딩 방법을 지시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기지국이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를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신규 단말은 매번 시스템 정보를 디코딩할 필요가 없으며 변경된 시스템 정보만을 디코딩하고 갱신할 수 있으므로, 무선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시스템 정보의 갱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한정된 무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레가시 영역으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신규 단말이 효율적으로 수신하고 갱신할 수 있게 하는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레가시란, 상대적인 개념이다. 예를 들어, 신규 단말이 IEEE 802.16m을 지원하는 단말인 경우, 레가시 단말은 IEEE 802.16e와 같이 과거에 논의된 규격의 단말일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배포할 시스템 정보들을 레가시 영역을 통해 전송하며, 신규 단말이 상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를 신규 영역으로 전송한다. 신규 단말은 상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의 변경 여부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시스템 정보를 디코딩 및 갱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정보의 스케줄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 레가시 영역의 DCD/UCD 메시지를 지시(indication)한다. 이 실시 예에서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 신규 영역에 대한 제어 정보 등을 전달하는 슈퍼맵(Super-MAP)을 통해 전송한다.
시스템 정보에 대한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의 예는 표 1과 같다.
문법 | 설명 |
Type | 0001 : DCD 0010 : UCD 0011 : DCD + UCD Other : reserved |
Repetition_Coding_Indication | 0b00 - No repetition coding 0b01 - Repetition coding of 2 0b10 - Repetition coding of 4 0b11 - Repetition coding of 6 |
Coding_Indication | 0b000 - CC encoding 0b001 - BTC encoding 0b010 - CTC encoding 0b011 - ZT CC encoding 0b100 - LDPC encoding 0b101 ~ 0b111 - Reserved |
If (Type == 0001 || 0011) { | |
Configuration Change Count | 다음 슈퍼프레임에서 전송되는 메시지의 설정 변경 카운트. |
Change Bit | 토글 키(toggle key). 기지국이 다음 슈퍼프레임에서 변경된 메시지를 전송하면, 이 필드가 토글됨(toggled). |
Sub-frame Offset | 슈퍼프레임에서 메시지가 전송되는 시작 서브프레임(Start Sub-frame) |
Radio_block Offset | 메시지가 전송되는 시작 무선 블록(Start Radio-block) |
Radio_block Number | 메시에 할당된 무선 블록의 수(Number of Radio-block) |
} | |
Else If (Type == 0010 || 0011) { | |
Configuration Change Count | |
Change Bit | |
Sub-frame Offset | |
Radio_block Offset | |
Radio_block Number | |
} |
DCD와 UCD 메시지는 하향링크 맵(DL-MAP)을 전송할 때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변조(Modulation) 방식과 코딩 방식으로 전송된다. 레가시 DL-MAP에서 사용되는 변조 방식과 코딩 방식에 대한 정보는 레가시 영역의 FCH(Frame Control Header)를 통해 전달되므로, 신규 단말은 FCH를 디코딩하여 변조 및 코딩 방식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 1과 같이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에 이들 정보 (Repetition_Coding_Indication, Coding_Indication)를 포함시켜 전송하면, 신규 단말은 FCH를 디코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만약 DCD 와 UCD 메시지의 코딩 방식을 고정한다면, 변조 및 코딩 방식에 대한 정보는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를 통해 전송될 필요가 없다.
DCD와 UCD 메시지의 전송 위치는 DL-MAP을 통해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신규 단말은 DCD와 UCD 메시지의 전송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DL-MAP을 디코딩하거나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Sub-frame Offset, Radio_block Offset, Radio_block Number)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레가시 영역에서 DCD 및 UCD 메시지의 매핑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IEEE 802.16m 표준 초안(DRAFT Standard) 중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을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Air Interface for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s)에 제시된 OFDMA 슬롯 매핑의 한 예이다. 레가시 영역의 DCD와 UCD 메시지는 PUSC(Partial Usage SubChannel) 모드에서 도 4의 방식으로 매핑되어 전송되므로 신규 단말은 이를 고려하여 이들 메시지를 디코딩해야 한다.
단말은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를 통해 전송된 메시지에 해당하는 설정 변경 카운트(Configuration Change Count)와 자신이 갖고 있는 설정 변경 카운트를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 경우, 다음 슈퍼프레임에서 전송될 해당 메시지를 디코딩한 후 저장한다. 또는, 단말은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를 통해 전송된 메시지의 변경 비트(Change Bit)와 자신이 갖고 있는 변경 비트를 비교하여 차이가 나면, 다음 슈퍼프레임에서 전송될 해당 메시지를 디코딩한 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DCD 혹은 UCD 카운트를 참조할 수 있다. 단말은 전송된 메시지의 설정 변경 카운트가 자신이 갖고 있는 설정 변경 카운트와 동일하거나 전송된 메시지의 변경 비트가 자신의 변경 비트와 동일하다면, 해당 메시지를 디코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에 따라 지시되는 데이터 영역(520)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510) 내의 서브프레임 오프셋(Sub-frame Offset), 무선 블록 오프셋(Radio_block Offset), 무선 블록수(Radio_block Number)의 기능을 나타낸다. 서브프레임 오프셋(Sub-frame offset)은 메시지가 전송될 시작 서브프레임을 의미하며, 무선 블록 오프셋(Radio_block offset)은 시작 서브프레임 내에 몇 번째 무선 블록에서 메시지가 시작하는지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무선 블록수(Radio-block number)는 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할당된 무선 블록의 개수를 의미한다.
여기서, IEEE 802.16e의 하향 링크는 블록 할당(block allocation) 방식으로 자원을 할당하기 때문에, 할당되는 영역(520)의 결정에는 블록 할당 방식이 고려된다.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510)에 의해 지시되는 영역(520)은 서브프레임 오프셋(Sub-frame offset), 무선 블록 오프셋(Radio_block offset), 무선 블록수(Radio-block number)의 값에 의해 수학식 1 내지 3과 같이 결정된다. 또한 무선 블록수(Radio-block number)는 항상 짝수의 값을 갖는다.
(2 <= i <= RB_Nuseful)
여기서, RB_Nuseful은 무선 블록 오프셋(Radio_block offset)에 따라 결정되는 서브프레임별 가용 무선 블록의 수를 나타낸다.
RBused는 서브프레임 오프셋(Sub-frame offset), 무선 블록 오프셋(Radio_block offset), 서브프레임 수(number of Sub-frames) 및 서브프레임별 무선 블록의 수(number of radio blocks per Sub-frame)에 따라 결정된다.
앞서 예를 든 DCD와 UCD 전송 주기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슈퍼맵마다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의 포함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나 예약된 코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정보의 스케줄링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신규 단말이 DCD와 UCD 메시지의 변경 유무를 파악하는 실시 예이다. 단말은 첫 번째 신규 영역에서 채널 기술 제어 정보 내의 타입 값을 통해 DCD와 UCD 메시지가 다음 레가시 영역에 전송됨을 알 수 있다. 채널 기술 제어 정보 내의 DCD와 UCD 메시지의 변경 비트는 각각 1이다. 단말은 마지막 신규 영역에서도 채널 기술 제어 정보 내의 타입 값을 통해 DCD와 UCD 메시지가 다음 레가시 영역에 전송됨을 알 수 있으며, DCD와 UCD의 변경 비트를 단말 자신의 변경 비트들과 각각 비교한다. 도 6에서는 DCD의 변경 비트만 변경되었으므로, 단말은 DCD 메시지만을 디코딩하면 된다. 도 6에서 표현되지 않았지만, 하나의 예로서, 변경된 정보가 실제 적용되는 절차는 레가시 영역의 DL-MAP 메시지 또는 신규 영역의 슈퍼프레임 헤더(Super-frame header)에 포함된 카운트 값의 변화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 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레가시 단말을 지원하는 경우, 자원 오버헤드(resource overhead)를 최소화하면서 신규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효율적으로 갱신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IEEE 802.16m 뿐만 아니라, IEEE std 802.16-2004, IEEE std 802.16e -2005, IEEE 802.16Rev2 등의 시스템에서 기지국, 단말 등의 장치 적용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UCD의 갱신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슈퍼프레임과 프레임, 서브프레임, OFDM 심볼과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레가시 단말과 신규 단말 각각에 대한 시스템 정보의 스케줄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정보의 스케줄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레가시 영역에서 DCD 및 UCD 메시지의 매핑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의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에 따라 지시되는 데이터 영역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정보의 스케줄링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11)
- 레가시 단말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신규 단말에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슈퍼프레임의 신규 영역에서 레가시 영역의 채널 기술자(Channel Descriptor)를 지시하는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슈퍼맵을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레가시 영역에서 상기 채널 기술자와 상기 채널 기술자를 지시하는 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상기 채널 기술자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변경 카운트 또는 변경 비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상기 채널 기술자가 전송되는 시작 서브프레임, 시작 무선 블록 또는 상기 채널 기술자에 할당된 무선 블록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상기 레가시 영역의 DCD 메시지와 UCD 메시지를 각각 지시하는 별도의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상기 레가시 영역의 DCD 메시지와 UCD 메시지에 대한 반복 코딩 방법 또는 코딩 방법을 지시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
- 레가시 단말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신규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슈퍼프레임의 신규 영역에서 레가시 영역의 채널 기술자(Channel Descriptor)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변경 카운트를 포함하는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를 슈퍼맵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상기 신규 단말에서 상기 설정 변경 카운트에 따라 상기 채널 기술자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레가시 영역에서 상기 채널 기술자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레가시 영역 또는 신규 영역의 맵 메시지를 통해 상기 설정 변경 카운트와 동일한 UCD 카운트 또는 DCD 카운트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채널 기술자를 상기 신규 단말의 시스템 정보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상기 채널 기술자가 전송되는 시작 서브프레임, 시작 무선 블록 또는 상기 채널 기술자에 할당된 무선 블록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상기 레가시 영역의 DCD 메시지와 UCD 메시지에 대한 반복 코딩 방법 또는 코딩 방법을 지시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 레가시 단말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신규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슈퍼프레임의 신규 영역에서 레가시 영역의 채널 기술자(Channel Descriptor)의 변경 여부를 토글 방식으로 나타내는 변경 비트를 포함하는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를 슈퍼맵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상기 신규 단말에서 상기 변경 비트에 따라 상기 채널 기술자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레가시 영역에서 상기 채널 기술자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상기 채널 기술자가 전송되는 시작 서브프레임, 시작 무선 블록 또는 상기 채널 기술자에 할당된 무선 블록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채널 기술 전송 제어 정보는,상기 레가시 영역의 DCD 메시지와 UCD 메시지에 대한 반복 코딩 방법 또는 코딩 방법을 지시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1035A KR20090106315A (ko) | 2008-04-04 | 2008-05-01 | 레가시 단말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전송 및갱신 방법 |
US12/920,586 US8718570B2 (en) | 2008-04-04 | 2009-04-06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updating system information in a legacy support system |
PCT/KR2009/001756 WO2009123425A1 (en) | 2008-04-04 | 2009-04-06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updating system information in a legacy support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61/042,272 | 2008-04-04 | ||
KR1020080041035A KR20090106315A (ko) | 2008-04-04 | 2008-05-01 | 레가시 단말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전송 및갱신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6315A true KR20090106315A (ko) | 2009-10-08 |
Family
ID=4113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1035A Withdrawn KR20090106315A (ko) | 2008-04-04 | 2008-05-01 | 레가시 단말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전송 및갱신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718570B2 (ko) |
KR (1) | KR20090106315A (ko) |
WO (1) | WO200912342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2515B1 (ko) * | 2008-04-07 | 2015-08-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중 홉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 지원 장치 및 방법 |
US9918305B2 (en) * | 2013-10-04 | 2018-03-13 | Qualcomm Incorporated | Enhanced system information decoding |
US10428849B2 (en) * | 2017-10-24 | 2019-10-01 | Oz-Post International, LLC | Radially expanding post extender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53320A (en) * | 1997-08-08 | 1999-09-14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temporary list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US6201969B1 (en) * | 1998-06-02 | 2001-03-13 | Lucent Technologies Inc. | Control of handoff in CDMA cellular systems |
US7155223B2 (en) * | 2002-12-20 | 2006-12-26 | Nortel Networks Limited | Optimizing hand-off neighbor lists for improved system performance |
AU2004303041B2 (en) * | 2003-09-04 | 2008-07-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serving base station according to a drop of a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
US20060153227A1 (en) * | 2005-01-12 | 2006-07-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7702289B2 (en) * | 2005-07-21 | 2010-04-20 | Motorola, Inc. | Fast acquisition of a communication uplink allo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mobile processing capabilities |
US8175600B2 (en) * | 2005-08-13 | 2012-05-08 | Motorola Mobility,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ecreasing latencies during handover |
WO2007024110A1 (en) | 2005-08-26 | 2007-03-01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in ofdma cellular system |
CN1933390B (zh) * | 2005-09-15 | 2014-08-13 | 三星电子株式会社 | 在正交频分多址通信系统中生成帧的方法 |
KR101387486B1 (ko) * | 2007-03-14 | 2014-04-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종 모드 지원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 |
US20090005052A1 (en) * | 2007-06-30 | 2009-01-01 | David Abusch-Magder |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reating and Updating Base Station Neighbor Lists |
US20090067377A1 (en) * | 2007-08-15 | 2009-03-12 | Motorola, Inc. | Medium access control frame stru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20100278123A1 (en) * | 2007-12-10 | 2010-11-04 | Nortel Networks Limited | Wireless communication frame structure and apparatus |
KR101471559B1 (ko) * | 2007-12-11 | 2014-12-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진입 제어 장치 및 방법 |
WO2009110744A2 (ko) * | 2008-03-04 | 2009-09-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레거시 서포트 모드를 지원하는 레인징 구조, 멀티플렉싱 방법 및 시그널링 방법 |
-
2008
- 2008-05-01 KR KR1020080041035A patent/KR20090106315A/ko not_active Withdrawn
-
2009
- 2009-04-06 WO PCT/KR2009/001756 patent/WO200912342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4-06 US US12/920,586 patent/US871857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10014877A1 (en) | 2011-01-20 |
US8718570B2 (en) | 2014-05-06 |
WO2009123425A1 (en) | 2009-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2578B1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 전송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 |
US9578641B2 (en) | Method and apparatus of receiving different types of subframe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101452489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방법 | |
KR101570350B1 (ko) | 동적 전송시간간격 할당방법 | |
US1173622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of system information | |
RU2548039C2 (ru) | Способ назначения ресурсов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многоадресного и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ого обсуживания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US2011006963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Channel Search Space Location Indication for a Relay Backhaul Link | |
US878084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istent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access system | |
KR20080000206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 |
CN101784097A (zh) | 系统消息更新的指示方法和装置 | |
KR20100115320A (ko) | 중계기에서 harq ack/nack 피드백 신호 검출 방법 | |
KR101722779B1 (ko) |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 |
JP2015524221A (ja) | Tddアップ/ダウンリンク構成の更新方法及び装置、並びにtdd再構成情報の通知方法及び装置 | |
CN102833703A (zh) |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数据的方法和设备 | |
KR20080015983A (ko)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프레임 통신 장치 및 방법 | |
US20110255499A1 (en) | Method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 |
CN101730241B (zh) | 无线通信系统中非用户专有控制信息的传输方法 | |
JP4906976B1 (ja) | 基地局、移動局及び移動通信方法 | |
KR101638197B1 (ko) |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자원 할당 해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090106315A (ko) | 레가시 단말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전송 및갱신 방법 | |
KR20110021604A (ko)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자원할당 장치 및 방법 | |
CN101562476A (zh) | 一种无线通信系统中控制信道的设计和发送方法 | |
KR101604874B1 (ko) |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 | |
KR20090014792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및 그 장치 | |
RU2507685C2 (ru) | Способ обновления системной информации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в ретрансляционной станции системы широкополосного беспроводного доступ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