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512A - Connection structure of steel plate formwork and beam - Google Patents
Connection structure of steel plate formwork and bea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05512A KR20090105512A KR1020080031009A KR20080031009A KR20090105512A KR 20090105512 A KR20090105512 A KR 20090105512A KR 1020080031009 A KR1020080031009 A KR 1020080031009A KR 20080031009 A KR20080031009 A KR 20080031009A KR 20090105512 A KR20090105512 A KR 200901055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welding
- plate
- welded
- diaphrag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85—Connections not covered by E04B1/21 and E04B1/2403, e.g. connections between structural parts of different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의 상,하측에 볼트로 체결되는 보강판들이 양분된 다이어프램들과 마주 접한 상태로 강관기둥에 용접되어 이들 양분된 다이어프램을 연결하도록 하여 다이어프램에서 받는 전단력 및 휨모우멘트가 보강되며 보의 횡 좌굴 및 내진에 견디도록 한 것이며, 특히 보강판과 강관기둥의 용접면이 틀어질 경우 볼트의 체결을 조정면서 용접면을 일직선으로 맞추고 최종적으로 보강판과 기둥면이 용접되도록 하여 용접 정밀도를 높인 강관기둥과 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welded to the steel pipe column in the state that the reinforcing plate is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eam with the bisected diaphragms to connect the bisected diaphragm to reinforce the shear force and bending moment received from the diaphragm It is designed to withstand the transverse buckling and seismic resistance of the joint.In particular, when the welding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late and the steel pipe pillar is twisted, the welding surface is aligned in line with the adjustment of the bolt connection, and the welding plate is finally welded to improve the welding precision. It is about the connection structure of steel pipe column and beam.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 내부에 보 연결부위마다 상,하부다이어프램을 용접하고, 상기 보 끝단의 상,하부플랜지에는 상기 강관기둥 외주면과 직접 용접되어 상기 상,하부다이어프램과 대응되는 상,하부보강판을 형성하되, 상기 상부보강판은 상기 보의 수직 웨브로 끼워 들어가 상기 상부플랜지 밑에 놓이도록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보강판 및 보의 상부플랜지는 볼트로 체결되며, 상기 하부보강판은 상기 보의 하부플랜지 밑에서 볼트로 체결되고, 상기 보의 상,하부보강판을 상기 강관기둥의 외주면에 용접할 때 상기 볼트의 체결력을 조정하여 용접면 일치로 용접정밀도를 높이고 보 인장력이 보완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welds the upper and lower diaphragms for each beam connection portion in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f the beam ends are directly weld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pillar to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diaphragms. A lower reinforcing plate is formed, wherein the upper reinforcing plate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web of the beam so that a cutout groove is formed to be placed under the upper flange, and the upper reinforcing plate and the upper flange of the beam are fastened with bolts, and the lower reinforcing plate The plate is fastened with bolts under the lower flange of the beam. When welding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plates of the beam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column, the tightening force of the bolt is adjusted to increase the welding precision by matching the welding surface and complement the beam tension. There is a feature to be ma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충전 강관 기둥(CFT : Concrete Filled Steel Tube)에 보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관기둥과 연결되는 보의 상,하부플랜지에 보강판을 볼트 체결 방식으로 조립하고 현장에서 상기 보강판과 강관기둥을 용접하되, 상기 강관기둥의 거시트와 보의 수직 웨브를 볼트로 체결할 때 상기 보강판과 강관기둥의 용접면을 일직선으로 맞추고 볼트로 고정한 뒤 용접함으로써, 용접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상기 기둥 내부의 다이어프램에서 받는 전단력 및 휨모우멘트가 상기 보강판에서 보강되며 보의 횡 좌굴 및 내진에 견디도록 한 철판거푸집과 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he beam to the concrete filled steel tube (CFT: Concrete Filled Steel Tube), and more specifically, the reinforcing plate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f the beam connected to the steel pipe column by assembling the bolt fastening method and in the field When welding the reinforcement plate and the steel pipe pillar, when welding the vertical web of the steel sheet pillar and the beam by bolts, the welding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late and the steel pipe pillar is aligned in line and fixed with bolts and then welded to increase the welding precision. And it relates to the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the steel sheet formwork and the beam that the shear force and the bending moment received from the diaphragm inside the column is reinforced in the reinforcement plate to withstand the transverse buckling and seismic of the beam.
철판거푸집인 콘크리트충전 강관 기둥(CFT : Concrete Filled Steel Tube)은 기존의 철골조의 강관 기둥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것으로서, 뛰어난 내진성능과 강성이 확보되고 또한 내화피복의 감소 및 내화성능이 우수한 이점 때문에 기존의 S조(철골조), RC조 및 SRC조에 이은 제4의 구조로서 최근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일본을 비롯하여 중국 그리고 한국에서도 이 방법에 의한 건물 구조가 채택되고 있다.Concrete Filled Steel Tube (CFT), which is a steel sheet formwork, is a concrete filled steel pipe column of existing steel frame, which has excellent seismic performance and rigidity, and also has the advantages of reducing fireproof coating and excellent fire resistance. The fourth structure following Group S (Steel Frame), RC Group and SRC Group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and the building structure has been adopted by this method in Japan, China and Korea.
콘크리트의 충전성이 중요하므로 고유동 콘크리트(High Flowable Concrete) 가 사용되고 있으며 기둥 내에 콘크리트가 공극 없이 충전될 필요가 있다. 대개 지하층은 상부에서 호퍼와 콘크리트 버켓을 이용하여 타설하며, 지상층 기둥은 기둥 하부에서 상부로 펌프배관을 이용하여 역 타설하거나 또는 상부에서 트래미관을 이용하여 타설한다.Since the filling of concrete is important, high flowable concrete is used, and the concrete needs to be filled without voids in the column. The basement is usually cast from the top with hoppers and concrete buckets, and the ground-floor column is casted back from the bottom of the column with pump pipes or from the top with a tram tube.
종래의 철판거푸집구조는 기둥의 한 변을 이루는 철판 4장을 맞대고 용접하여 사각 단면의 강관 기둥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4개의 철판을 용접하는 과정에서 건물의 보 연결용 다이어프램을 내장하여 보와 기둥의 연결시 보강 되도록 하였다.Conventional iron sheet formwork fabricated four square steel plate pillars forming one side of the column to produce a steel pipe column with a square cross-section. In the process of welding four steel plates, the diaphragm for beam connection of the building was built to reinforce the connection between beams and columns.
철판거푸집구조에서 보와 기둥은 접합부에서 모든 하중이 전달되므로 보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 철판거푸집 강관이 국부 파괴되거나, 강관의 국부변형을 초래하는 응력집중에 의해서 접합부가 조기에 파단 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기둥 및 보의 접합부가 충분한 강성 및 내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적절한 보강을 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과 보의 접합부 보강은 전단보강과 모멘트보강으로 구분할 수 있다.In the formwork, beams and columns transfer all the loads at the joint, so the formwork steel pipe can be locally destroyed by the force acting on the beam, or the joint can be broken early due to the stress concentration that causes local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For this reason, it is essential to make proper reinforcement to ensure that the joints of the columns and beams have sufficient rigidity and strength. The joint reinforcement of concrete filled steel pipe columns and beams can be divided into shear reinforcement and moment reinforcement.
종래에는 전단 보강하기 위해 기둥의 외측면에 철판을 덧대어 두께를 증가시키는 철판덧댐보강방법 및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의 내측면에 스터드볼트를 접합하는 스터드볼트접합 보강방법을 채택하여 왔다. 그러나 철판덧댐보강방법은 상당 두께를 가지는 철판의 요구로 경제성이 떨어지고, 스터드볼트접합 보강방법은 스터드볼트가 미치는 보강범위가 강관 내측면 부위로 한정되기 때문에 보의 전단력이 콘크리트 충전강관 내부까지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a steel plate addition reinforcement method for increasing the thickness by applying an iron plate on the outer surface of a column for shear reinforcement and a stud bolt joint reinforcement method for joining a stud bolt to the inner surface of a concrete filled steel pipe column have been adopted. However, the method of reinforcing steel plate is less economical due to the demand of steel plate with considerable thickness, and the method of reinforcing the stud bolt joint reinforces the shear force of the beam to the insid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because the reinforcement range of the stud bolt is limited to the inner side of the steel pipe. There was no problem.
그리고 모멘트보강으로 접합부에 보연결 다이어프램을 삽입하는 다이어프램 방식을 채택하여 왔다. 종래의 다이어프램방식에는 다이어프램의 삽입위치에 따라 내측 다이어프램방식, 외측 다이어프램방식 및 관통형 다이어프램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기둥의 중간에 다이어프램을 설치해야 되므로 중간을 일부 절개해야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diaphragm method of inserting a beam connecting diaphragm to the joint part by moment reinforcement has been adopted. Conventional diaphragm method can be divided into the inner diaphragm method, the outer diaphragm method and the through-type diaphragm method according to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diaphragm. However, because the diaphragm must b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pilla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middle portion was cut partially.
일본 특개평 제1-290844호에는 콘크리트 충전용 구멍과 철근관통용 구멍이 있는 십자형 다이어프램을 철골보의 상하 거시트에 직접 연결한 기둥-보 접합구조가 개시된 바 있고, 일본특개평 제9-291599호에는 슬리브가 삽입된 다이어프램을 강관에 용접한 구조가 개시된 바 있고, 일본특개소 제62-072841호에는 기둥과 보가 접합되는 부위의 강관 내측 중심부에 슬리브를 매설하고 강관과 슬리브 사이에 스티프너를 삽입한 구조가 개시된 바 있고, 일본특개평 제6-294159호에는 보 거시트를 용접 접합한 강관 기둥 면 또는 콘크리트충전강관 기둥면의 내부에 관형부재를 매입한 구조가 개시된 바 있고, 일본 특개평 제6-288001호에는 보 거시트를 용접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의 내부에 수직리브와 다이어프램을 용접한 구조가 개시된 바 있고, 일본특개평 제5-346039호에는 콘크리트충전 강관 기둥-SRC 보 접합부에서 강관의 내측면에 수직 스티프너를 부착한 기둥-보 접합구조가 개시된 바 있고, 일본특개평 제5-156710호에는 각형 또는 원형 강관 기둥-보 접합부의 내측에 수직 스티프너를 부착한 접합구조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일본특개평 제6-306942호에는 보 거시트와 강관 기둥 사이에 외측 다이어프램을 용접하고, 그 부위의 강관 내측면에 수직 스티프너로 보강한 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Japanese Patent Laid-Open No. 1-290844 discloses a column-beam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a cross-shaped diaphragm having concrete filling holes and holes for reinforcing steel bars is directly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gussets of steel golbo beams. In the above, a structure in which a diaphragm in which a sleeve is inserted is welded to a steel pipe has been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2-072841, a sleeve is embedded in an inner center of a steel pipe at a site where a column and a beam are joined, and a stiffener is inserted between the steel pipe and the sleeve. The structure has been disclosed,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294159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tubular member is embedded in the inside of a steel pipe column surface or a concrete filled steel pipe column surface welded and bonded to a bogie sheet. No. 288001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vertical ribs and diaphragms are welded to the inside of a concrete-filled steel pipe column welded to a bogie sheet. -346039 discloses a column-beam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a vertical stiffener is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a steel pipe at a concrete-filled steel pipe column-SRC beam connection,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156710 discloses a square or circular steel pipe column-beam connection. A joint structure has been disclosed in which a vertical stiffener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JP-A-6-306942. An outer diaphragm is welded between a bogie sheet and a steel pipe column, and reinforced with a vertical stiffen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at the site. The structure has been disclosed.
그러나 이들 역시 기둥의 한쪽면을 개방시킨 상태로 전단 보강하거나 또는 다이어프램을 용접하는 방식이므로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기둥을 축으로 횡 용접하는 방식이므로 철판의 휨변형에 따른 수직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y are also difficult to manufacture because of the method of shear reinforcement or diaphragm welding with one side of the column open, and the problem of falling verticality due to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steel plate because of the method of transverse welding of the column. There was.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ㄷ"자 형태로 절곡된 철판을 서로 맞대고 용접하되 각 절곡 철판들에는 보의 상부플랜지와 대응되는 부위에 반쪽 다이어프램을 용접한 뒤 이들 절곡 철판들을 서로 맞대고 두 변을 용접하면 상기 반쪽 내측다이어프램들이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하나의 강관기둥이 제작되도록 함으로써, 용접 개소를 줄인 강관기둥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때 상기 보의 상측에 볼트로 체결되는 보강판이 상기 양분된 다이어프램들과 마주 접한 상태로 강관기둥에 용접되어 이들 양분된 다이어프램을 연결하여 다이어프램에서 받는 전단력 및 휨모우멘트가 보강되며 보의 횡 좌굴 및 내진에 견디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보강판과 강관기둥의 용접면이 틀어질 경우 볼트의 체결을 느슨하게 한 뒤 용접면을 일직선으로 맞추고 최종적으로 보강판과 기둥면이 용접되도록 하여 용접 정밀도를 높인 철판거푸집과 보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view of the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weld each of the iron plates bent in the form of "c" to each other but weld each diaphragm to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flange of the beam to each bending iron plate Then, when these two bent iron plates are welded to each other and the two sides are welded, the half inner diaphragms are made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a single steel pipe column is manufactured, thereby providing a steel pipe column with reduced welding points, wherein a bol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eam. The reinforcing plate is fastened to the steel pipe pillar in contact with the bisected diaphragms to connect the bisected diaphragms to reinforce the shear force and bending moment received from the diaphragm and to withstand the transverse buckling and seismic resistance of the beam. In particular, when the welding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late and the steel pipe column is distorted, loosen the bolts, and then align the welding surface and finally weld the reinforcement plate and the column surface to provid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teel plate formwork and the beam, which improves the welding precision. have.
본 발명 한 실시예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 내부에 보 연결부위마다 다이어프램을 용접하고, 상기 보 끝단의 상,하부플랜지에는 상기 강관기둥 외주면과 직접 용접되는 상,하부보강판을 형성하되, 상기 상부보강판은 상기 보의 수직 웨브로 끼워 들어가 상기 상부플랜지 밑에 놓여 상기 다이어프램과 대응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보강판 및 보의 상부플랜지는 볼트로 체결되며, 상기 하부보강판은 상기 보의 하부플랜지 밑에서 볼트로 체결되고, 상기 보의 상,하부보강판을 상기 강관기둥의 외주면에 용접할 때 상기 볼트의 체결력을 조정하여 용접면 일치로 용접정밀도를 높이고 보 인장력이 보완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phragm is welded to each beam connection portion inside a concrete-filled steel pipe column, and upper and lower flanges of upper and lower flange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plates directly weld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column. The plate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web of the beam to be placed under the upper flange to form a cutting groove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aphragm, the upper reinforcing plate and the upper flange of the beam is fastened by bolts, the lower reinforcing plate is the lower portion of the beam The bolt is fastened under the flange, and when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plate of the beam is weld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pillar, the tightening force of the bolt is adjusted to increase the welding precision by matching the welding surface and complement the beam tension.
본 발명의 보강판은 보의 상,하부플랜지에 볼트 체결방식으로 조립된 것이므로 현장에서 강관기둥과 용접할 때 용접면이 틀어지면 볼트이 체결력을 느슨하게 조정한 뒤 이들 용접면을 일직선으로 맞춰 용접할 수 있으므로 용접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다이어프램은 강관기둥의 내부에 용접되고 강관기둥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강관기둥에 별도의 인출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강관기둥에 보 연결용 보조 수평보를 별도 용접할 필요가 없으므로 강관기둥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어 보다 많은 강관 기둥을 운반할 수 있으므로 물류비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reinforcemen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f the beam by the bolt fastening method, when the welding surface is twisted when welding with the steel pipe pillar in the field, the bolts can be adjusted in a straight line after the bolts are loosely adjusted. Therefore, welding precision can be improved. And since the diaphragm is welded to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column and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teel pipe column,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separate outlet for the steel pipe column, and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weld the auxiliary horizontal beam for connecting the beam to the steel pipe column. Since it is possible to carry more steel pipe pillars is reduc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ogistics cost is reduced.
그리고 강관기둥은 철판을 "ㄷ"자 형태로 절곡하여 마주 접하는 두 변만 용접하면 되므로 용접 개소가 줄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으며, 보의 보강판은 양분된 강관기둥의 다이어프램을 연결하는 구성이므로 다이어프램의 전단 보강 및 모멘트 보강이 확실하게 이뤄지는 등의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steel pipe pillar has only the two sides facing each other by bending the steel plate in a "c" shape, so that the welding location is reduced and the productivity is improved.The reinforcement plate of the beam is a diaphragm structure that connects the diaphragm of the divided steel pipe pillar. It is also effective in that shear reinforcement and moment reinforcement are secure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강관기둥과 보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보의 조립 평단면도 이다. 본 발명은 철판을 "ㄷ"자로 절곡한 절곡 철판(11)을 두 개 준비한 뒤 이들 각 절곡 철판(11)의 내부에 보 연결 부위마다 다수개의 다이어프램(20)을 용접한다. 이들 다이어프램(20)은 보(30)의 상부플랜지(31)가 강관기둥면에 직접 용접되는 부분마다 설치되며, 하나의 다이어프램이 양분된 형태이며 이들 절곡 철판(11)들에는 직각도 유지 및 보강을 위해 다수개의 직각유지바(13)가 V자 형태로 용접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pillar and a be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assembled plan sectional view of the be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s two
두개의 절곡 철판(11)을 서로 맞대고 마주 접하는 두 변의 용접면(12)을 용접하면 하나의 강관기둥(10)으로 제작된다. 이때 서로 양분된 다이어프램은 대향면이 서로 접하면서 하나의 다이어프램(20)으로 완성되며, 이들 다이어프램에는 콘크리트를 상부 타설하거나 또는 하부에서 역 타설하기 위한 타설구멍(21)이 형성된다.When the two
보(30)는 강관기둥(10)의 외측면과 직접 용접하기 위한 상,하부보강판(40,44)이 구비된다. 상기 보강판(40,44)은 보(30)의 상,하부플랜지(31)(32)에 볼트로 체결되는데, 상부보강판(40)은 보(30)의 수직 웨브(33)에 끼워지는 절개홈(41)이 형성되어 상부플랜지(31) 밑에 놓이고 볼트(50) 및 너트(51)를 체결하기 위한 장방형의 볼트구멍(42)이 형성되며, 상부플랜지(31)에도 볼트구멍(34)이 형성되어 볼트(50)로 이들 상부보강판(40) 및 상부플랜지(31)가 체결되며, 이들의 선단에는 강관기둥(10)면에 용접하기위한 용접면(35,43)이 모따기 형태로 가공되어 상부보강판(40)이 상부플랜지(31) 밑에 놓이므로 용접시 별도의 백바를 상부플랜지(31) 밑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하부플랜지(32)에는 밑면으로 하부보강판(44)이 볼트(50)로 체결되기 위하여 이들에 볼트구멍(34,46)이 형성되며, 강관기둥(10)면에 용접하기 위한 용접면(35,45)이 모따기 형태로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14는 강관기둥(10)의 외주면에 용접되어 보(30)의 수직 웨브(33)를 볼트로 체결하기 위한 거시트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는 다이어프램(20)이 강관기둥(10) 내부에 용접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기둥(10)에 별도의 인출구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서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강관기둥(10)을 양분하여 절곡 형태로 제작한 뒤 마주 접하는 두 곳만 용접하면 되므로 용접 개소가 줄어 강관기둥의 생산성이 향상된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illar and the beam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oes not need to process a separate outlet on the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보(30)의 상,하부보강판(40,44)은 강관기둥(10)의 마주 접하는 용접면(12)을 가로지르면서 내부의 다이어프램(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용접된다. 용접과정은 먼저 강관기둥(10)의 거시트(13)에 보(30)의 수직 웨브(33)를 대고 볼트로 체결하여 보와 기둥을 연결한다. 이때 보(30)의 상,하부플랜지(31,32)에 체결된 상,하부보강판(40,44)의 체결력을 느슨하게 조정하면 이들 보강판의 용접면(43,45)이 강관기둥(10)의 외측면과 일직선으로 접하게 되어 용접부(60)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볼트를 강하게 체결하여 보강판과 플랜지를 고정시킨 뒤 이들 보강판(40,44)과 강관기둥(10)을 용접하면 보와 기둥이 연결이 보완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upper and
따라서 강관기둥(10) 내부에 용접된 다이어프램(20)이 양분되었더라도 보의 상부보강판(40)이 강관기둥(10)의 외측면에 용접되어 이들 양분된 다이어프램을 연 결하는 형태이므로 다이어프램의 인장력이 보완되며, 상,하부보강판(40,44)은 볼트 및 용접부(60)를 통하여 보(30)의 상,하부플랜지(31,32)와 연결되므로 보와 기둥이 구조적으로 안정된다.Therefore, even if the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강관기둥과 보의 조립 측단면도 로써, 보(30)의 상부플랜지(31)에 윗면에 상부보강판(40)을 올려놓고 볼트로 체결한 것을 제외하곤 본 발명 한 실시예와 동일 구성을 갖는다. 단지 상부보강판(40)이 플랜지 윗쪽에 고정되므로 용접과정에서 용접내용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플랜지(31) 밑면에 별도의 백바(47)를 부착시켜야 된다.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y of the steel pipe pillar and the be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 upper reinforcing
도 5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보 연결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보는 TSC 보(70)이다.Figure 5 shows a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TSC 보(70)는 철판을 절곡하여 두 개를 아래쪽에서 용접한 합성보 로써, 강관기둥(10)에는 TSC 보(70)를 고정하기 위한 거시트(15) 및 받침대(16)가 형성되며, TSC 보(70)의 상부에는 상부보강판(71)이 볼트(72)로 체결 고정된다.The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는 한쌍의 절곡 철판(11) 내부에 분할된 다이어프램(20)을 용접하여 강관기둥(10)을 제작하는 과정은 본 발명 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단지 TSC 보(70)의 상부에 상부보강판(71)을 볼트(72)로 체결한 차이가 있으며, 상기 TSC 보(70)는 강관기둥(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거시트(15) 및 받침대(16)에 올려놓고 볼트로 체결한 뒤 상부보강판(71)을 기둥에 용접하여 최종적으로 보와 기둥을 연결한다. 이때 상부보강판(71)에는 철근(74) 연결용 철근구멍(73)이 다수개 형성되므로 철근(74)을 보강판에 연결하여 인장력을 보완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강관기둥과 보의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el pipe pillar and bea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강관기둥과 보의 조립 평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y of 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강관기둥과 보의 조립된 측단면도Figure 3 is an assembl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eel pipe pillar and bea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강관기둥과 보의 조립 측단면도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y of 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강관기둥과 보의 조립 단면도5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eel pipe pillar and be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 : 강관기둥 11 : 절곡 철판10: steel pipe pillar 11: bending iron plate
20 : 다이어프램 30 : 보20: diaphragm 30: beam
31,32 : 상,하부플랜지 33 : 웨브:31,32: upper and lower flange 33: web:
40상부보강판 41 : 절개홈40 Upper Reinforcement Plate 41: Incision Groove
42 : 볼트구멍 43 : 용접면42: bolt hole 43: welding surface
44 : 하부보강판 45 : 용접면44: lower reinforcing plate 45: welding surface
46 : 볼트구멍 50 : 볼트46: bolt hole 50: bolt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1009A KR20090105512A (en) | 2008-04-03 | 2008-04-03 | Connection structure of steel plate formwork and bea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1009A KR20090105512A (en) | 2008-04-03 | 2008-04-03 | Connection structure of steel plate formwork and bea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5512A true KR20090105512A (en) | 2009-10-07 |
Family
ID=41535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1009A Ceased KR20090105512A (en) | 2008-04-03 | 2008-04-03 | Connection structure of steel plate formwork and bea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105512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47365A (en) * | 2014-05-05 | 2014-09-17 | 浙江杭萧钢构股份有限公司 | Steel beam and steel tube bundle composite structure shear wall joint node |
CN104652617A (en) * | 2015-02-08 | 2015-05-27 | 北京工业大学 | Beam-column joint connection device of multi-story fabricated steel structure system |
CN108252406A (en) * | 2018-04-11 | 2018-07-06 | 兰州理工大学 | Assembly concrete-filled steel tube column-girder steel punching flange partition board node and construction method |
WO2018152956A1 (en) * | 2017-02-23 | 2018-08-30 | 青岛理工大学 | Assembled-type round steel pipe casing fiber-reinforced concrete column connecting node and mounting method |
CN109518612A (en) * | 2018-12-29 | 2019-03-26 | 南昌大学 | A kind of truss I steel composite type bent cap anchor ear construction bracket and its setting method |
KR102625510B1 (en) * | 2022-11-28 | 2024-01-16 | (주)에스엠구조안전진단 | Joint CFT Column and Wide Hybrid Beam |
-
2008
- 2008-04-03 KR KR1020080031009A patent/KR20090105512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47365A (en) * | 2014-05-05 | 2014-09-17 | 浙江杭萧钢构股份有限公司 | Steel beam and steel tube bundle composite structure shear wall joint node |
CN104652617A (en) * | 2015-02-08 | 2015-05-27 | 北京工业大学 | Beam-column joint connection device of multi-story fabricated steel structure system |
WO2018152956A1 (en) * | 2017-02-23 | 2018-08-30 | 青岛理工大学 | Assembled-type round steel pipe casing fiber-reinforced concrete column connecting node and mounting method |
US10851537B2 (en) | 2017-02-23 | 2020-12-01 | Chunwei Zhang | Assemblable structural column joint connection using fiber-reinforced concrete filled round double steel tubes and mounting method thereof |
CN108252406A (en) * | 2018-04-11 | 2018-07-06 | 兰州理工大学 | Assembly concrete-filled steel tube column-girder steel punching flange partition board node and construction method |
CN108252406B (en) * | 2018-04-11 | 2023-12-22 | 兰州理工大学 | Assembled concrete filled steel tubular column-steel beam penetrating flange partition plate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
CN109518612A (en) * | 2018-12-29 | 2019-03-26 | 南昌大学 | A kind of truss I steel composite type bent cap anchor ear construction bracket and its setting method |
CN109518612B (en) * | 2018-12-29 | 2024-05-03 | 南昌大学 | Truss I-steel combined bent cap hoop construction support and setting method thereof |
KR102625510B1 (en) * | 2022-11-28 | 2024-01-16 | (주)에스엠구조안전진단 | Joint CFT Column and Wide Hybrid Bea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8974B1 (en) | Concrete Filled Steel Tub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0684931B1 (en) | Prefabricated closed steel member using bending steel plate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 |
KR101186062B1 (en) | Connection of concrete filled steel tube column and H-shaped steel beam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e same | |
KR101295740B1 (en) | Joint of Steel Column | |
JP2645365B2 (en) | Beam-column joint | |
KR102075165B1 (en) | Concrete filled tubular column and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766807B1 (en) |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girder and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girder and precast concrete beam using the plate, the modular system using the same | |
KR102001041B1 (en) | Joint structure between the cft square column and the steel girder | |
KR20090105512A (en) | Connection structure of steel plate formwork and beam | |
KR102172323B1 (en) | Joint of column and beam with hybrid diaphragm | |
KR101375382B1 (en) | Precast formless composite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200143987A (en) | Reinforcement unit for support point of steel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429527B1 (en) | Joint structure of Composite Girder | |
KR102474490B1 (en) | Steel structure with column-beam reinforcement joints | |
KR102217178B1 (en) | Non-welding beam-to-column connection structure with reinforcing plate and through bolt | |
JP5635734B2 (en) | Beam-column joints and reinforcement hardware for beam-column joints | |
KR101498720B1 (en) | Design method for steel frame girder having reinforcing member at end lower part thereof | |
JP2000170285A (en) | Joint method and joint structure of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wall | |
JP2008007949A (en) | Precast concrete column or wall and beam frame system | |
JP2008007950A (en) | Embedded metal fittings and precast concrete parts | |
KR101254983B1 (en) | Joint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tube and beam | |
KR100631363B1 (en) | Panel zone system of y shape tied column reinforced with high tension bolts | |
JPH10292636A (en) | Structural reinforcement braces for existing buildings | |
KR102352235B1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column and beam | |
KR20210066225A (en) | Connecting core for column-beam joi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0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