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105130A - Occlusion status determination method through digital data and digital articulator - Google Patents

Occlusion status determination method through digital data and digital articu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130A
KR20090105130A KR1020080030403A KR20080030403A KR20090105130A KR 20090105130 A KR20090105130 A KR 20090105130A KR 1020080030403 A KR1020080030403 A KR 1020080030403A KR 20080030403 A KR20080030403 A KR 20080030403A KR 20090105130 A KR20090105130 A KR 20090105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tooth model
data
mandibular
tee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4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54552B1 (en
Inventor
이태경
Original Assignee
이태경
주식회사 워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경, 주식회사 워랜텍 filed Critical 이태경
Priority to KR1020080030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552B1/en
Publication of KR20090105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1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55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4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recording mandibular movement, e.g. face b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를 통한 교합상태 판단방법 및 디지털 교합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치아 등에 대한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통해 수복치료가 필요한 치아모델에 대한 형상 및 그 치아모델의 교합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치아모델의 형상을 보정함에 따라 간편하고 정확하게 교합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를 통한 교합상태 판단방법 및 디지털 교합기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occlusal state through digital data and a digital articu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determine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and the occlusal state of the tooth model through the digitalized data of the patient's teeth. Through this,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occlusal state through digital data and the digital articulator can easi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occlusal state by correcting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를 통한 교합상태 판단방법은 하악운동 결정요소 및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그에 기초하여 수복치료가 필요한 치아에 대한 치아모델을 형성하고 환자의 하악운동을 시뮬레이션하여 상기 치아모델의 교합상태를 계산한 후 치아모델의 형상을 보정한다.Occlusal state determination method through the digital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ter the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s and the data of the patient's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to form a tooth model for the teeth needing repair treatment based on the After calculating the occlusal state of the tooth model by simulation,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is corrected.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를 통한 교합상태 판단방법에 따르면 교합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복잡하고 비싼 전조절성 교합기를 통하지 않고도 간편하고 저렴하게 치아모델에 대한 교합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determining occlusal state through digital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cclusal state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and the occlusal state of the dental model can be easily and inexpensively determined without using a complicated and expensive preregulatory articulator.

Description

디지털 데이터를 통한 교합상태 판단방법 및 디지털 교합기{Digitized Articulating Method and Digital Articulator}Occlusal state determination method and digital articulator using digital data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를 통한 교합상태 판단방법 및 디지털 교합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복치료 시 수복될 치아와 기존의 치아와의 교합상태를 판단하는 교합기 및 교합상태 판단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occlusal state through digital data and a digital articu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ticulator and an occlusal state determining method for determining an occlusal state between a tooth to be restored and an existing tooth during a restoration treatment.

치아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음식물을 씹는 기능으로 치아가 손상되는 경우 손상된 치아를 회복하는 수복치료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수복되는 치아와 기존에 있는 치아사이의 교합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수복될 치아의 형상을 보정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치게 된다.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the teeth is to chew food, and when the teeth are damaged, the restoration treatment is performed to restore the damaged teeth. At this time, the occlusal state between the restored teeth and the existing teeth is judged and the shape of the teeth to be restored It is essential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correction.

이 경우 수복될 치아와 기존의 치아사이의 교합상태를 판단하기 위해서 구강을 이루는 상악과 하악의 악골운동을 구강 외에서 재현할 필요가 있는데 구강 외에서 악골운동을 재현하는 장치를 교합기라고 한다.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reproduce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jaw movements of the oral cavity outside the oral cavity in order to determine the occlusal state between the tooth to be repaired and the existing teeth. The device for reproducing the jaw movement outside the oral cavity is called an articulator.

이러한 교합기는 상악과 하악의 상태를 정확하게 반영하여 악골운동을 정확 하게 재현하는 것이 중요한데 악골운동을 구강외에서 재현하기 위해서는 상악과 하악의 해부학적 위치관계를 교합기에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reproduce the jaw movement by accurately reflecting the state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In order to reproduce the jaw movement outside the mouth,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reflect the anatomical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in the articulator.

다만, 인체의 해부학적 위치관계는 개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악골운동 자체에 대한 연구도 현재 진행 중인 상태로서 인체의 악골운동을 정확하게 구강 외에서 재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However, the anatomical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human body varies greatly from person to person, and research on the jaw movement itself is currently in progress.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accurately reproduce the jaw movement of the human body outside the mouth.

또한, 악골운동을 매우 복합적인 운동으로서 어느 한 방향으로만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상악과 하악간의 상하운동 및 전후방운동과 측방운동이 동시에 일어난다. 이러한 악골운동은 상악과 하악을 연결하는 관절의 해부학적 특성에 기인하는데 상악과 하악에 대한 해부학적 특성을 반영하는 정도에 따라 악골운동의 재현능력이 달라지게 되고 그에 따라 비조절성 교합기, 반조절성 교합기 및 전조절성 교합기로 나눌 수 있다.In addition, the jaw movement is a very complex movement, which is not only progressed in one direction, but also the up and down movement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the lateral movement occur simultaneously. These jaw movements are due to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joints connecting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The reproducibility of the jaw movements var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flecting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xilla and mandible. It can be divided into sex articulator and preregulatory articulator.

비조절성 교합기는 현재까지도 사용되기는 하지만 상하 개폐운동만 가능하며 평선 교합기 또는 평균치식 교합기로 나뉜다. 비조절성 교합기는 인체의 해부학적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상하 개폐운동만이 가능한 교합기로 실제 구강내의 운동과 상당한 오차를 가지고 있으므로 구강 내에서 교합 조기접촉이나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The unregulated articulator is still used, but it can only open and close, and is divided into a flat articulator or an average articulator. The non-regulatory articulator does not accurately reflect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and can only cause up-and-down movement of the articulator, which can cause premature occlusion or disability in the oral cavity.

이에 비해 반조절성 교합기는 이차원교합기로도 불리며 과로경사를 조절할 수 있고 절치로 유도각 등을 조절할 수 있어 비조절성 교합기에 비해 재현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반조절성 교합기는 비교적 그 재현성이 우수하고 사용방법이 전조절성 교합기에 비해 간단하여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mi-regulatory articulator is also called a two-dimensional articulator and can control over-inclination and control the induction angle with the incisor, so it has better reproducibility than the non-regulatory articulator. Such semi-regulatory articulators have been widely used in clinical practice because of their excellent reproducibility and simpler usage than the pre-regulatory articulators.

전조절성 교합기는 과두 경사로의 굴곡과 방향을 포함한 모든 한계운동의 특징을 재현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고 하악운동의 중심축을 정밀하게 재현하므로 아주 정확하게 악골운동을 재현할 수 있으나 매우 고가이고 사용법이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The preadjustable articulator is designed to rep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all marginal movements, including the curvature and direction of the condylar ramp, and accurately reproduces the central axis of the mandibular movement, so that the jaw movement can be reproduced very accurately, but it is very expensive and very easy to use. There is a complicated problem.

위와 같이 종래의 기계적인 교합기는 악골운동을 정확하게 재현하지 못하거나 사용법이 매우 복잡하여 범용적인 사용이 어렵고 가장 악골운동을 정확하게 재현하는 전조절성 교합기의 경우 매우 고가로서 자유로운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mechanical articulator does not accurately reproduce the jaw movement or the usage is very complicated, so that the general use is difficult and the pre-regulatory articulator that accurately reproduces the jaw movement has a problem of being very expensive and free to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환자의 치아 등에 대한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통해 수복치료가 필요한 치아모델에 대한 형상 및 그 치아모델의 교합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치아모델의 형상을 보정함에 따라 간편하고 정확하게 교합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를 통한 교합상태 판단방법 및 디지털 교합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and the occlusal state of the tooth model that needs to be repaired through the digitized data of the patient's teeth, etc.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orrect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through Disclosed is a method for determining occlusal state through digital data and a digital articulator capable of easily and accurately determining occlusal st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를 통한 교합상태 판단방법은 치아의 수복치료를 위해 치아의 교합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악의 힌지축(mha)의 위치를 포함하여 하악운동 결정요소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복치료가 필요한 치아에 대한 치아모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악운동 결정요소 및 치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하악운동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 단계 중 상기 치아모델의 교합상태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교합상태에 기초하여 치아모델의 형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cclusal state determination method through the digital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occlusal state of the teeth for the restoration of the teeth,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lower hinge axis (mha) Inputting data on an exercise determinant; Inputting data about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of the patient; Forming a tooth model of a tooth in need of a restoration treatment based on data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patient; Simulating the mandibular movement of the patient based on the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 and data on the tooth; Calculating an occlusal state of the tooth model during the simulation step; Correcting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based on the calculated occlusal state.

또한, 상기 하악운동 결정요소에 대한 데이터는 facebow를 포함하는 기구적인 구성을 통해 역추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ata on the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 is characterized in that back trace through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facebow.

또한, 상기 하악운동 결정요소에 대한 데이터는 환자의 하악운동에 대한 모션캡쳐를 통해 추출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ata on the mandibular movement determinant is characterized in that extracted through the motion capture for the mandibular movement of the patient and input.

또한, 상기 하악운동 결정요소에 대한 데이터는 환자의 하악운동 상태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3D 스캔하고 상기 스캔된 자료를 통해 상기 하악운동 결정요소를 추출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ata on the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dible movement state of the patient 3D scan at regular intervals, and extracts and inputs the mandatory motion determinant through the scanned data.

또한, 상기 하악운동 결정요소에 대한 데이터는 환자에 대한 CT를 포함하는 영상진단기기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통해 추출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ata on the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 is characterized in that extracted through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diagnostic device including a CT for the patient is input.

또한, 상기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는 3D스캔을 통해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ata on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pati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put through the 3D scan.

또한, 상기 치아모델 형성단계에서 수복이 필요한 치아모델은 상기 상악 및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아의 형상을 결정하고 상기 형상에 기초 하여 치아에 대한 해부학적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oth model that needs to be repaired in the tooth model forming step is to determine the shape of the teeth using the data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and to select from the database stored anatomical data about the teeth based on the shape It features.

또한, 상기 치아모델 형성단계에서 수복이 필요한 치아모델은 상기 상악 및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아의 형상을 결정하고 상기 수복이 필요한 치아와 인접한 치아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치아모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oth model that needs to be repaired in the tooth model forming step may determine the shape of the tooth using data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and form the tooth model based on the shape of the tooth adjacent to the repaired tooth.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치아모델 형성단계에서 상기 상악 및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아의 형상을 결정하고, 상기 환자의 하악운동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는 상기 힌지축(mha)에 대한 수평축, 수직축, 시상축을 따라 일정 범위내에서 회전하는 운동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운동은 상기 치아의 형상을 고려하여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tooth model forming step, the shape of the tooth is determined using data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and the step of simulating the mandibular movement of the patient includes a horizontal axis, a vertical axis, and a thalamus for the hinge axis (mha). It includes a motion to rotate within a certain range along the axis, the rotational move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mul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tooth.

또한, 상기 치아모델의 교합상태는 상기 치아의 형상 및 수복이 필요한 치아모델의 표면을 좌표화하고, 상기 치아모델과 상기 치아모델에 인접하는 치아의 표면에 대한 좌표를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cclusal state of the tooth model coordinates the shape of the tooth and the surface of the tooth model in need of repair, and compares and determines the coordinates of the tooth model and the surface of the teeth adjacent to the tooth model. do.

또한, 상기 치아모델의 형상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모델과 상기 치아모델에 인접하는 치아의 표면에 대한 좌표의 대비결과 역전이 일어나는 부분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correcting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modifying the data for the portion where the reverse occurs as a result of the contrast of the coordinates of the tooth model and the surface of the teeth adjacent to the tooth model.

또한, 상기 치아모델과 상기 치아모델에 인접하는 치아의 표면에 대한 좌표의 대비는 일정 범위의 좌표를 묶은 좌표군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ast of the coordinates of the tooth model and the surface of the teeth adjacent to the tooth model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the coordinate group grouping a range of coordinates.

또한, 상기 역전이 일어나는 부분에 대한 판단은 상기 좌표군의 수직축에 대 한 좌표의 대소관계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reversal occur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rmination of the magnitude of the coordinat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coordinate group.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교합기는 치아의 수복치료를 위해 치아의 교합상태를 판단하는 교합기에 있어서, 하악의 힌지축(mha)의 위치를 포함하여 상악과 하악의 해부학적 데이터 및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모듈; 상기 입력된 해부학적 데이터를 역추적하여 하악운동의 결정요소를 결정하는 하악운동요소 결정모듈; 상기 입력된 상악과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복치료가 필요한 치아에 대한 치아모델의 형상을 결정하는 치아모델 형성모듈; 상기 결정된 하악운동의 결정요소에 기초하여 하악운동을 재현하고 상기 치아모델 형성모듈로부터 형성된 치아모델과 이미 존재하는 치아와의 교합상태를 판단하는 교합상태 판정모듈; 상기 판단된 교합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형성된 치아모델의 형상을 보정하는 치아모델 보정모듈을 포함한다.Digital artic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articulator for determining the occlusal state of the tooth for the restoration treatment of the teeth,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hinge axis (mha) of the lower jaw anatomical data And an input module for inputting data on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patient. A mandibular movement element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the determination element of the mandibular movement by tracing back the input anatomical data; A tooth model forming module for determining a shape of a tooth model for a tooth in need of a restoration treatment based on the input data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Occlusal state determination module for reproducing the mandible movement based on the determined factor of the mandibular movement and determines the occlusal state of the tooth model formed from the tooth model forming module and the existing tooth; It includes a tooth model correction module for correcting the shape of the formed tooth model based on the determined occlusal stat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복합적인 악골운동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accurately reproduce the complex jaw movement.

또한, 고가인 전조절성 교합기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악골운동을 더욱 정확하게 재형하여 수복치료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 without the use of expensive pre-regulatory articulators, the jaw movement can be reformed more accurately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restoration treatment.

또한, 교합과정을 디지탈 데이터로 처리함에 따라 수치해석장치와 연계하여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복물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treating the occlusal process with digital data,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and efficiently produced in connection with the numerical analysis device.

또한, 수복될 치아와 기존에 존재하는 치아사이의 교합상태를 동적으로 파악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dynamically determine the occlusal state between the tooth to be repaired and the existing tooth.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를 통한 교합상태 판단방법 및 디지털 교합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determining occlusion state and digital articulator through digit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를 통한 교합상태 판단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occlusal state through digit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손상된 치아의 수복치료를 위해 수복될 치아와 기존에 존재하는 치아사이의 교합상태를 판단하고 수복될 치아가 자연스러운 교합상태를 이루도록 치아의 형상을 결정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rmine the occlusal state between the tooth to be repaired and the existing tooth for the repair treatment of the damaged tooth and determine the shape of the tooth to achieve a natural occlusion state.

우선 본 발명의 교합상태 판단방법은 치아 사이의 교합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악골운동 즉, 하악운동을 재현하기 위한 하악운동 결정요소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하악운동 결정요소를 역추적하게 된다.(S100)First,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occlusal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races back the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 through data on the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 for reproducing the jaw movement, that is, the mandibular mo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occlusal state between teeth.

실제의 하악운동은 해부학적으로 하악의 끝부분에 위치한 과두와 상악 부분에 위치한 관절융기 및 관절원판을 포함하는 복잡한 구조의 상호작용 하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악운동은 어느 하나의 운동만이 단독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운동이 복합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이유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강 외에서 하악운동을 재현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유사하게 재현하기 위한 기구적인 구성이 복잡하고 사용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다.The actual mandibular movements are anatomically complex interactions involving the condyle located at the tip of the mandible and the joint ridges and discs located at the maxillary part. Therefore, the mandible movement does not occur in any one movement alone, but various movements occur in combination. For this reason, as mentioned above, it is very difficult to reproduce the mandibular movement outside the oral cavity, and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for reproducing similarly is complicated, difficult to use, and expensive.

본 발명에 따른 교합상태 판단방법은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하악 운동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유롭게 하악운동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어 동적으로 교합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Occlusal stat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not only reproduce the mandibular movement of the patient as it is using digital data as it can freely adjust the state of the mandibular movement to determine the occlusal state dynamically.

본 발명의 교합상태 판단방법은 이러한 하악운동을 재현하기 위한 하악운동 결정요소를 해부학적 데이터를 역추적하여 결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역추적은 해부학적 데이터의 입력형태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The occlusal stat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 for reproducing the mandible motion by backtracking anatomical data. Such backtracking may be automat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put form of the anatomical data.

하악운동은 여러 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복잡한 운동이다. 이러한 하악운동의 결정요소에는 악골의 해부학적 데이터로 이루어지는데 전방과로경사도, 측방과로경사도, Bennett angle, 절치경사도 및 과두간 거리를 포함한다. Mandibular movement is a complex movement caused by a combination of several factors. The determinants of mandibular movement consist of anatomical data of jawbone, including anterior overtilt, lateral overtilt, Bennett angle, incisal inclination, and distance between the head.

전방과로경사도(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두의 상부에 있는 뼈의 경사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악의 전방 또는 후방운동의 궤적을 결정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전방과로경사도를 조절하여 전방운동 중 치아의 표면의 상태를 감안하여 수복될 치아의 교합여부를 판단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anterior overwork slope (A) represents the inclination of the bone in the upper part of the condyle and determines the trajectory of the forward or backward movement of the mandible. By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gradient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eth to be repaired ar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the surface of the teeth during the forward movement.

측방과로경사도(B)와 Bennett angle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두를 감싸고 있는 뼈의 경사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악의 회전(측방)운동의 궤적을 결정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측방과로경사도에 따라 하악의 회전(측방)운동 시의 궤적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게 하는 요소이나 종래의 기계적인 교합기로는 전방과로경사도 및 측방과로경사도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이 동시에 일어나는 운동을 재현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은 이미 언급했다.As shown in FIG. 3, the lateral overwork slope (B) and the Bennett angle represent the inclination of the bone surrounding the condyle, and determine the trajectory of the mandibular rotation (lateral) movement. According to the side sloping degree, the element that accurately reproduces the trajectory of the mandibular rotation (lateral) movement or the conventional mechanical articulator considers the forward and sloping angles and the lateral overslope inclination. It has already been mentioned that it is difficult to reproduce a motion in which rotational motion occurs simultaneously.

절치경사도(C)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니의 경사도를 나타내는데 전방 운동 및 상하운동 시의 궤적을 결정하게 된다. The inclination inclination (C) represents the inclination of the incisors as shown in Figure 4 to determine the trajectory during the forward and vertical movement.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두간의 거리(ℓ)는 측방운동 시의 회전반경을 결정하는 요소로 측방운동 시 하악이 움직이는 궤적을 결정하게 된다.Also, as shown in FIG. 5,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s ℓ i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radius of rotation during the lateral movement, and determines the trajectory of the lower jaw during the lateral movement.

하악운동은 위의 결정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운동으로 종래의 기계적인 교합기로는 직선 및 회전운동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운동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없는 태생적인 문제를 안고 있고, 정확한 재현을 위해서는 취급이 매우 어렵고 고가이며 오차의 발생을 막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Mandibular movement is a movement caused by the combined action of the above determinants. There is a natural problem that conventional mechanical articulators cannot accurately reproduce the movement of complex linear and rotary movements. There is a problem that is very difficult, expensive and can not prevent the occurrence of errors.

위의 하악운동 결정요소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역추적하여 결정하게 되는데 하악운동 결정요소를 역추적하기 위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일 실시예로 모션캡쳐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모션캡쳐는 치아로부터 얼굴 앞쪽으로 돌출되는 기준점을 하악에 고정하고 하악운동을 재현하도록 한 후 기준점의 동작을 일정 시간단위로 캡쳐하여 하악운동의 결정요소를 역추적하게 된다. 이러한 역추적을 위해서는 종래의 해부학적인 통계자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일예로 하악운동의 중심축의 위치는 재현되는 하악운동에서 부채꼴로 형성되는 기준점의 중심을 추출하여 하악의 치아로부터의 상대적인 위치를 추출하게 된다. 또한, 과두경사 등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하악운동을 재현하고 기준점의 운동을 분석하여 기존에 존재하는 해부학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역추척하여 결정한다.The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 is determined by backtracking in various ways. The data input for backtracking the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 may be input through motion capture. Motion capture is to fix the reference point protruding from the tooth in front of the face to the mandible to reproduce the mandibular movement, and then capture the movement of the reference point by a certain time unit to trace back the determinants of the mandibular movement. For this backtracking, conventional anatomical statistics may be used.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mandibular movement extracts the relative position from the mandible teeth by extracting the center of the reference point formed in a fan shape in the reproduced mandibular movement. In addition, the epididymal inclination is determined by reproducing the mandibular movement forward or rearward and analyzing the movement of the reference point by backtracking using an existing anatomical analysis method.

하악운동 결정요소는 기구적인 구성을 통해서도 역추적할 수 있는데 일예로 facebow라는 기구를 환자의 상악 및 하악에 장착하고 재현되는 하악운동을 기록하여 하악운동의 결정요소를 결정하게 되는데 facebow는 kinematic facebow와 arbitrary facebow로 크게 나뉘나 어떠한 facebow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다만 kinematic이 좀더 정밀하게 하악운동 결정요소를 역추적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하악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장점은 있다.Mandibular motion determinants can also be traced back through mechanical configuration. For example, a facebow is mounted on the patient's maxilla and mandible and the mandibular motion is recorded to determine the determinants of mandible motion. It is divided into arbitrary facebows, but any facebow can be used. However, since kinematic can trace back the mandibular determinants more precisely, there is an advantage of accurately reproducing the mandibular movement.

하악운동의 결정요소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재현되는 하악운동을 3D스캔하고 스캔된 자료를 적당히 처리하여 하악운동 결정요소를 역추척할 수도 있다. 연속되는 스캔자료로부터 하악운동의 경로를 추출할 수 있고 이렇게 추출된 경로를 분석하여 하악운동의 결정요소를 역추적 할 수 있게 된다.The determinant of mandibular motion may be backtracking of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 by 3D scanning the mandible motion that is reproduced at regular intervals and processing the scanned data appropriately. The path of mandibular movement can be extracted from successive scan data, and the extracted path can be analyzed to trace back the determinants of mandibular movement.

또한, 하악운동의 결정요소는 환자에 대한 CT를 포함하는 영상진단기기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통해서도 역추척할 수 있다. 이는 재현되는 하악운동을 CT 등의 영상진단기기를 통해 연속 또는 한계범위의 경계에서 획득되는 영상을 통해 하악운동의 결정요소를 역추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주로 하악운동의 결정요소는 인체의 구조적인 데이터를 통해 추출되므로 CT 영상이 하악운동의 결정요소를 추출하는데 유리한 측면은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ant of the mandibular movement can also be traced back through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diagnosis apparatus including the CT for the patient. This can be traced back to the determinants of the mandibular movement through the image obtained at the boundary of the continuous or limited range of the mandibular movement that is reproduced through the image diagnostic equipment such as CT. In this case, since the determinant of mandibular movement is mainly extracted through structural data of the human body, the CT image has an advantageous side in extracting the determinant of mandibular movement.

하악운동의 결정요소를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하고 치아의 교합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교합상태 판단방법은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상악과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는 일례로 3D 스캔을 통해 입력하게 되는데 스캔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치아의 표면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추출된 치아의 표면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아의 형상을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복될 치아모델의 형상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치아모델 형상의 결정에는 일례로 다양한 치아에 대한 해부학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In order to extract the determinants of the mandibular movement in various ways and determine the occlusal state of the teeth, the occlusal stat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puts data o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of the patient. Data about the teeth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is input through a 3D scan, for example, and the data about the surface of the tooth is extracted by processing the data input through the scan. The shape of the tooth is determined by using the data of the extracted tooth surface, and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to be repaired is determined using the tooth model. For example, the anatomical data of various teeth is stored in the determination of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You can also use a database.

치아에 대한 해부학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환자의 기존재하는 치아의 형상에 대한 데이터를 해부학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치아 데이터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치아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치아데이터를 기초로 수복될 치아모델의 형상을 결정하게 된다.When using an anatomical database of teeth, the data of the patient's existing tooth shape is compared with the tooth data stored in the anatomical database to search for the same or similar tooth data and to determine the restoration of the tooth model based on the retrieved tooth data. The shape will be determined.

해부학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수복이 필요한 치아모델의 형상은 인접한 치아의 형상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는데 이는 치아의 위치에 따라 일반적인 치아모델의 형상을 대략 결정하고 인접하는 치아 즉, 양측면 및 상부 또는 하부의 치아의 표면을 고려하여 치아모델의 형상을 결정할 수도 있다.Even without using an anatomical database,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that needs to be repaired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shape of the adjacent tooth, which roughly determines the shape of the general tooth mode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oth and the adjacent teeth, ie both sides and top or bottom.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may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surface of the tooth.

위와 같이 하악운동의 결정요소 및 상악과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고 수복될 치아모델의 형상이 결정되고 나면 하악운동 결정요소에 따라 하악운동을 재현하게 되는데 이러한 재현에는 한계범위 내에서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하악운동은 하악운동 결정요소에 의해서만 재현되는 것이 아니라 앞서 결정된 치아의 형상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즉, 하악운동을 중심축 등을 축으로 회전 또는 과두경사면을 따라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운동을 앞서 결정된 치아의 표면을 따라 약간씩 변형되게 된다. 즉, 축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직선운동을 하더라도 상악과 하악에 있는 치아의 표면을 파고들거나 상악에 있는 치아의 표면이 하악에 있는 치아의 표면보다 아래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악운동을 재현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determinants of the mandibular movement and the data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are input and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to be repaired is determined, the mandibular movement is reproduced according to the mandibular movement determinant. And linear motion is made complex. The mandibular movement is not only reproduced by the mandibular determinants but is also affected by the shape of the tooth previously determined. In other words, the mandibular movement is rotated about the central axis or the like, or linear movement along the condylar inclination surface is slightly deformed along the surface of the tooth determined before. That is, even if the axis is rotated or linearly moved around the axis of the teeth in the maxillary and mandible, or the surface of the teeth in the maxillary to reproduce the mandibular movement so that it is not located below the surface of the teeth in the mandible.

이렇게 거시적인 측면에서 하악운동 결정요소를 통해 하악운동을 재현하고 미시적인 측면에서 상악과 하악의 치아의 표면을 고려하여 하악운동을 변형하여 정확하고 정밀하게 하악운동을 재현하게 된다.In this macro aspect, the mandibular movement determinants are reproduced, and in the microscopic aspect, the mandibular movement is mod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surfaces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ular teeth to accurately and precisely reproduce the mandibular movement.

위와 같이 하악운동을 재현하면서 수복될 치아모델의 형상과 기존에 존재하는 치아와의 교합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교합상태의 판단방법의 일예로는 치아의 표면에 대한 데이터를 좌표화 하고 수복될 치아모델에 대한 좌표와 이미 존재하는 치아에 대한 좌표를 비교하여 교합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치아모델 및 기존의 치아에 대한 좌표를 일정 범위의 좌표로 묶은 좌표군별로 분류하고 z축으로 수직하는 좌표군별로 z축의 좌표를 대비하여 좌표값의 역전이 일어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역전이 일어나는 경우 수복될 치아와 기존에 존재하는 치아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수복될 치아모델의 표면에 있는 좌표군의 z축 좌표값을 간섭이 일어난 치아의 표면에 있는 좌표군의 z축 좌표값으로 대치한다. By reproducing the mandibular movement as above,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to be repaired and the occlusal state of the existing tooth are judged. As an example of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occlusal state, the occlusal state may be determined by coordinate data on the surface of the tooth and compare the coordinates of the tooth model to be repaired with the coordinates of the existing tooth. That is, the coordinates of the tooth model and the existing tooth are classified by coordinate groups grouped by a certain range of coordinates,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version of the coordinate value occurs in contrast to the coordinates of the z axis for each coordinate group perpendicular to the z axis. If the result of the reversal indicates that there is interference between the tooth to be repaired and the existing tooth, the coordinate group on the surface of the interfered tooth is compared to the z-axis coordinate value of the coordinate group on the surface of the tooth model to be repaired. Replace with the z-axis coordinate of.

이렇게 대치한 후 다시 재현되는 상악운동에 따라 z축으로 인접하는 좌표군과 다시 z축 좌표를 대비하고 역전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렇게 하악운동 결정요소 및 기존의 치아의 형상을 고려하여 재현된 하악운동을 통해 기존의 치아와 수복될 치아모델과의 교합상태를 판단하고 간섭이 제거되는 쪽으로 치아모델의 형상을 보정함에 따라 치아모델의 형상이 기존의 치아 및 관절에 잘 부합하도록 보정되게 된다. 단순하게 z축의 좌표만 대치하게 되면 치아모델의 형상이 각이 질 수 있는데 이런 경우 곡선처리를 통해 자연스러운 표면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constructed maxillary motion after this replacement, the z-axis coordinates are contrasted with the z-axis adjacent to the z-axis adjacent to determine whether the reverse. The dental model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occlusal state between the existing tooth and the tooth model to be repaired through the mandibular movement reproduced in consideration of the determinants of the mandibular movement and the shape of the existing tooth and correcting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to remove the interference. The shape of is to be corrected to fit well with existing teeth and joints. By simply replacing the z-axis coordinates,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can be angled. In this case, the curved surface can have a natural surfac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교합기의 일실시예의 블럭도를 도시한 그림인데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교합기는 입력 모듈(100), 하악운동요 소 결정모듈(200), 치아모델 형성모듈(300), 교합상태 판정모듈(400), 치아모델 보정모듈(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6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digital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digital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module 100, a mandibular motion element determining module 200, and a tooth model. It comprises a module 300, the occlusal state determination module 400, the tooth model correction module 500.

입력모듈(100)은 하악운동 결정요소를 역추적하기 위한 데이터 및 상악과 하악의 치아데이터를 입력하는 모듈이다. 입력모듈(100)은 일반적인 컴퓨터의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좀더 편리한 입력을 위해 특정한 GUI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input module 100 is a module for inputting data for backtracking the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 and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ooth data. The input module 10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of a general computer or may include a specific GUI for more convenient input.

하악운동 결정묘듈(200)은 입력모듈(100)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악운동의 결정요소를 역추적하는 모듈로서 모션캡쳐를 통해 역추적하는 경우 모션캡쳐장치를 포함하고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facebow등을 포함한다.The lower jaw motion determination module 200 is a module that traces back the determinants of the lower maneuver using the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100, and includes a motion capture device and a mechanical device when the back motion is traced through the motion capture. If used, include facebow.

치아모델 형성모듈(300)은 입력모듈(100)을 통해 입력된 상악과 하악의 치아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복될 치아모델을 형성한다. 수복될 치아모델은 인접 치아의 표면데이터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나 기존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600)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The tooth model forming module 300 forms a tooth model to be repaired using the teeth data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100. The tooth model to be repaired may be formed using surface data of adjacent teeth, but may also be formed using a database 600 for existing teeth.

교합상태 판정모듈(400)은 하악운동 결정요소 및 상악과 하악의 치아표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악운동을 재현하면서 치아모델과 기존의 치아와의 교합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 교합기는 종래의 기계적인 교합기와는 달리 하악운동에 관련된 요소를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하악운동을 재현함에 따라 하악운동을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치아모델의 교합상태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Occlusal state determination module 400 is to determine the occlusal state of the tooth model and the existing teeth while reproducing the mandibular movement using the mandibular movement determining factors and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ooth surface data. Unlike the conventional mechanical articulator, the digital artic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letely reproduce the mandibular movement by applying the elements related to the mandibular movement in real time to reproduce the mandibular movement in real tim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ccurately and effectively determine the occlusal state of the tooth model.

교합상태 판정모듈(400)에서 판단된 교합상태의 결과를 반영하여 치아모델 보정모듈(500)은 수복될 치아모델의 형상을 보정한다. The tooth model correction module 500 corrects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to be repaired by reflecting the result of the occlusal state determined by the occlusal state determination module 400.

이렇게 보정된 치아모델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도시될 수 있으며 다시 적절하게 수정될 수도 있다. The corrected tooth model may be shown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device and may be appropriately modified again.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교합기는 최종적으로 보정된 치아모델의 형상을 CAD, CAM의 데이터로 출력하여 CAD, CAM을 통해 바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현재 수일 또는 수주가 소요되는 보철 및 수복치료가 당일로 될 수도 있고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artic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directly through the CAD, CAM by outputting the shape of the finally corrected tooth model as CAD, CAM data. In this case, the prosthesis and restoration treatment, which currently takes several days or weeks, may become the same day and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합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occlus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전방과로경사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해부학적 그림이다.2 is a schematic anatomical diagram showing an anterior oblique oblique view.

도 3은 측방과로경사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해부학적 그림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anatomical diagram showing the lateral oblique oblique view.

도 4는 절치경사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그림이다.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clination inclination.

도 5는 과두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해부학적 그림이다.5 is a schematic anatomical diagram illustr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yle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교합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arti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입력모듈 : 100 하악운동 결정모듈 : 200Input module: 100 Mandibular motion determination module: 200

치아모델 형성모듈 : 300 교합상태 판정모듈 : 400Tooth model formation module: 300 Occlusal state determination module: 400

치아모델 보정모듈 : 500Tooth model correction module: 500

Claims (24)

치아의 수복치료를 위해 치아의 교합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occlusal state of the teeth for the restoration of the teeth, 하악의 힌지축(mha)의 위치를 포함하여 상악과 하악의 해부학적 데이터를 통해 하악운동 결정요소를 역추적 하여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back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s through the anatomical data of the maxilla and mandible,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hinge axis of the mandible (mha);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Inputting data about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of the patient; 상기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복치료가 필요한 치아에 대한 치아모델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tooth model of a tooth in need of a restoration treatment based on data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patient; 상기 하악운동 결정요소 및 치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하악운동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Simulating the mandibular movement of the patient based on the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 and data on the tooth; 상기 시뮬레이션 단계 중 상기 치아모델의 교합상태를 계산하는 단계;Calculating an occlusal state of the tooth model during the simulation step; 상기 계산된 교합상태에 기초하여 치아모델의 형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통한 교합상태 판단방법.And a method of determining an occlusal state through digital data, the method including correcting a shape of a tooth model based on the calculated occlusal state. 청구항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악운동 결정요소에 대한 데이터는 facebow를 포함하는 기구적인 구성을 통해 역추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된 교합상태 판단방법.And the data about the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 is traced back through a mecha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facebow. 청구항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악운동 결정요소에 대한 데이터는 환자의 하악운동에 대한 모션캡쳐를 통해 역추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된 교합상태 판단방법.And the data on the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 is traced back through motion capture of the mandibular motion of the patient. 청구항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악운동 결정요소에 대한 데이터는 환자의 하악운동 상태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3D 스캔하고 상기 스캔된 자료를 통해 상기 하악운동 결정요소를 역추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된 교합상태 판단방법.The data on the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 is a 3D scan of the state of the mandibular motion of the patient at regular intervals and digitized occlusal state determin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ce back the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 through the scanned data. 청구항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악운동 결정요소에 대한 데이터는 환자에 대한 CT를 포함하는 영상진단기기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통해 역추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된 교합상태 판단방법.And the data of the mandibular motion determinant is traced back through an image acquired by an image diagnosis apparatus including a CT of a patient. 청구항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는 3D스캔을 통해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된 교합상태 판단방법.Digital occlusal state determin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of the patient's upper and lower teeth teeth through a 3D scan. 청구항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치아모델 형성단계에서 수복이 필요한 치아모델은 상기 상악 및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아의 형상을 결정하고 상기 형상에 기초하여 치아에 대한 해부학적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된 교합상태 판단방법.The tooth model that needs to be repaired in the tooth model forming step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tooth using data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and selecting from a database storing anatomical data about the tooth based on the shape. Digitalized occlusion state determination method. 청구항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치아모델 형성단계에서 수복이 필요한 치아모델은 상기 상악 및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아의 형상을 결정하고 상기 수복이 필요한 치아와 인접한 치아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치아모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된 교합상태 판단방법.In the tooth model forming step, the tooth model that needs to be repaired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shape of the tooth using data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and to form the tooth model based on the shape of the tooth adjacent to the repaired tooth. A method for determining a digitized occlusion stat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치아모델 형성단계에서 상기 상악 및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아의 형상을 결정하고,In the tooth model forming step to determine the shape of the teeth using the data on the upper and lower teeth, 상기 환자의 하악운동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는 상기 힌지축(mha)에 대한 수 평축, 수직축, 시상축을 따라 일정 범위 내에서 직선 또는 회전하는 운동을 포함하고,Simulating the mandibular movement of the patient includes a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long the horizontal axis, vertical axis, sagittal axis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mha), 상기 직선 또는 회전운동은 상기 치아의 형상을 고려하여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된 교합상태 판단방법.The linear or rotational motion is digitized occlusal state determin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imul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tooth. 청구항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치아모델의 교합상태는 상기 치아의 형상 및 수복이 필요한 치아모델의 표면을 좌표화하고, 상기 치아모델과 상기 치아모델에 인접하는 치아의 표면에 대한 좌표를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된 교합상태 판단방법. The occlusal state of the tooth model is coordinated with the shape of the tooth and the surface of the tooth model that needs to be repaired, and digitization characterized by comparing the coordinates of the tooth model and the surface of the teeth adjacent to the tooth model Method for determining occlusion status. 청구항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치아모델의 형상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모델과 상기 치아모델에 인접하는 치아의 표면에 대한 좌표의 대비결과 역전이 일어나는 부분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된 교합상태 판단방법. The step of correcting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is a digitalized occlusal state determin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by modifying the data on the inversion occurs as a result of the contrast of the coordinates of the tooth model and the surface of the teeth adjacent to the tooth model . 청구항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치아모델과 상기 치아모델에 인접하는 치아의 표면에 대한 좌표의 대비는 일정 범위의 좌표를 묶은 좌표군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된 교합상태 판단방법.The contrast of the coordinates of the tooth model and the surface of the teeth adjacent to the tooth model is a digitized occlusal state determin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made for each coordinate group grouped coordinates of a certain range. 청구항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역전이 일어나는 부분에 대한 판단은 상기 좌표군의 수직축에 대한 좌표의 대소관계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된 교합상태 판단방법.And determining the portion where the reversal occurs by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the coordinat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coordinate group. 치아의 수복치료를 위해 치아의 교합상태를 판단하는 교합기에 있어서,In the articulator for determining the occlusal state of the teeth for the restoration of the teeth, 하악의 힌지축(mha)의 위치를 포함하여 상악과 하악의 해부학적 데이터 및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모듈;An input module to input anatomical data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and data about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of the patient,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hinge axis of the mandible; 상기 입력된 해부학적 데이터를 역추적하여 하악운동의 결정요소를 결정하는 하악운동요소 결정모듈;A mandibular movement element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the determination element of the mandibular movement by tracing back the input anatomical data; 상기 입력된 상악과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복치료가 필요한 치아에 대한 치아모델의 형상을 결정하는 치아모델 형성모듈;A tooth model forming module for determining a shape of a tooth model for a tooth in need of a restoration treatment based on the input data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상기 결정된 하악운동의 결정요소에 기초하여 하악운동을 재현하고 상기 치아모델 형성모듈로부터 형성된 치아모델과 이미 존재하는 치아와의 교합상태를 판단하는 교합상태 판정모듈;Occlusal state determination module for reproducing the mandible movement based on the determined factor of the mandibular movement and determines the occlusal state of the tooth model formed from the tooth model forming module and the existing tooth; 상기 판단된 교합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형성된 치아모델의 형상을 보정하는 치아모델 보정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교합기.And a dental model correcting module for correcting a shape of the formed dental model based on the determined occlusal state. 청구항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상기 하악운동의 결정요소는 facebow를 포함하는 기구적인 구성을 통해 역추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합기.The decisive factor of the mandibular motion is a digital 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 trace through a mecha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facebow. 청구항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상기 하악운동의 결정요소는 환자의 하악운동에 대한 모션캡쳐를 통해 추출된 데이터를 역추적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합기.The decisive factor of the mandibular motion is a digital 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by determining the trace back data extracted through the motion capture of the mandibular motion of the patient. 청구항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상기 하악운동의 결정요소는 환자의 하악운동 상태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3D스캔하고 상기 스캔된 자료를 이용하여 역추적을 통해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합기.The decisive factor of the mandibular motion is a digital 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datory movement state of the patient 3D sca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determine through the back trace using the scanned data. 청구항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상기 하악운동의 결정요소는 환자의 상악과 하악에 대한 CT를 포함하는 영상진단기기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역추적을 통해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합기.The decisive factor of the mandibular movement is a digital articulator, which is determined by back tracking using an image obtained through an image diagnosis apparatus including a CT of a maxillary and a mandible of a patient. 청구항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상기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는 3D 스캔을 통해 추출되고,Data about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of the patient is extracted through a 3D scan, 상기 수복될 치아모델의 형상은 상기 3D 스캔을 통해 추출된 상악과 하악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치아에 대한 해부학적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합기.The shape of the tooth model to be repaired is selected based on the data on the teeth of the upper and lower jaw extracted through the 3D scan,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selection in the database stored anatomical data for the teeth. 청구항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수복될 치아모델은 상기 3D 스캔을 통해 추출된 치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아모델의 형상을 결정하되,The tooth model to be repaired determines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using data about the teeth extracted through the 3D scan, 상기 수복될 치아와 인접한 치아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치아모델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합기. And determine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based on the shape of the tooth adjacent to the repaired tooth. 청구항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상기 환자의 하악운동의 재현은 상기 힌지축(mha)에 대한 수평축, 수직축, 시상축을 따라 일정 범위 내에서 직선 또는 회전하는 운동을 포함하고,Reproduction of the mandibular movement of the patient includes a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long the horizontal axis, vertical axis, sagittal axis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mha), 상기 직선 또는 회전운동은 상기 치아의 형상을 고려하여 상기 하악운동을 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합기.The linear or rotary motion is a digital 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to reproduce the mandibular mov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tooth. 청구항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치아모델의 교합상태는 상기 치아의 형상 및 수복이 필요한 치아모델의 표면을 좌표화하고, 상기 치아모델과 상기 치아모델에 인접하는 치아의 표면에 대한 좌표를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합기. The occlusal state of the tooth model coordinates the shape of the tooth and the surface of the tooth model in need of repair, and compares the tooth model and the coordinates of the surface of the tooth adjacent to the tooth model to determine the digital. Articulator. 청구항 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치아모델의 형상의 보정은 상기 치아모델과 상기 치아모델에 인접하는 치아의 표면에 대한 좌표의 대비결과 역전이 일어나는 부분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여 이루어지되,Correction of the shape of the tooth model is made by modifying the data for the portion where the inversion occurs as a result of the contrast of the coordinates of the tooth model and the surface of the teeth adjacent to the tooth model, 상기 치아모델과 상기 치아모델에 인접하는 치아의 표면에 대한 좌표의 대비는 일정 범위의 좌표를 묶은 좌표군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합기.The contrast of the coordinates of the tooth model and the surface of the teeth adjacent to the tooth model is a digital articulator, characterized in that made for each coordinate group grouping a range of coordinates. 청구항 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역전이 일어나는 부분에 대한 판단은 상기 좌표군의 수직축에 대한 좌표의 대소관계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합기.And determining the portion where the reversal occurs by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the coordinat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coordinate group.
KR1020080030403A 2008-04-01 2008-04-01 Occlusion status determination method through digital data and digital articulator Expired - Fee Related KR1009545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403A KR100954552B1 (en) 2008-04-01 2008-04-01 Occlusion status determination method through digital data and digital articu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403A KR100954552B1 (en) 2008-04-01 2008-04-01 Occlusion status determination method through digital data and digital articu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130A true KR20090105130A (en) 2009-10-07
KR100954552B1 KR100954552B1 (en) 2010-04-23

Family

ID=41534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40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4552B1 (en) 2008-04-01 2008-04-01 Occlusion status determination method through digital data and digital articu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55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476A1 (en) * 2018-03-08 2019-09-12 주식회사 쓰리디산업영상 Oral occlusion analysis method and device on basis of patient's temporomandibular joint motion
US10521969B2 (en) 2015-02-23 2019-12-31 Osstemimplant Co., Ltd. Method for simulating mandibular movement, device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same
KR102130927B1 (en) * 2019-12-02 2020-07-06 김기수 Manufacturing method of dental prosthesis using chewing exercise simulator and dental prosthesi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7043A2 (en) * 2010-12-23 2012-06-28 주식회사 오라픽스 Virtual surgical apparatus for dental treat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wafer using same
KR101309488B1 (en) 2011-12-27 2013-09-2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Simulation Method, Recorder and Apparatus for Orthognathic Surgery
KR101802917B1 (en) * 2016-05-04 2017-11-29 주식회사 메디트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Movement of Dental Model
KR101794561B1 (en) * 2016-06-22 2017-11-07 주식회사 메디트 Apparatus for Dental Model Articulator and Articul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472029B1 (en) * 2020-12-08 2022-11-3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A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articula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3103A (en) * 1996-03-27 1997-09-30 Technol Res Assoc Of Medical & Welfare Apparatus Design method for prosthetic appliance
US6152731A (en) * 1997-09-22 2000-11-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for use in dental articulation
DE10304757B4 (en) 2003-02-05 2005-07-21 Heraeus Kulzer Gmbh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dentur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1969B2 (en) 2015-02-23 2019-12-31 Osstemimplant Co., Ltd. Method for simulating mandibular movement, device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same
WO2019172476A1 (en) * 2018-03-08 2019-09-12 주식회사 쓰리디산업영상 Oral occlusion analysis method and device on basis of patient's temporomandibular joint motion
KR102130927B1 (en) * 2019-12-02 2020-07-06 김기수 Manufacturing method of dental prosthesis using chewing exercise simulator and dental prosthe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4552B1 (en) 201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1981B2 (en) Dynamic virtual articulator for simulating occlusion of teeth
US11633265B2 (en) Dynamic virtual articulator for simulating occlusion of teeth
JP677562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btaining data from people to create 3D models
US11000348B2 (en) Multiple bite configurations
EP3979946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for determining articulation parameters
US71408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teeth
KR100954552B1 (en) Occlusion status determination method through digital data and digital articulator
KR101653494B1 (en) The method and system for fine operation of tooth
JP2019030677A (en) Multiple meshing
CN114668538A (en) Digital jaw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ree-dimensional modular cranio-maxillary medical imaging
KR102742606B1 (en) simulation method for movement of mandibular b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127